•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hung 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 Chung 등"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 9, No. 2, 102-109, 2006

서 론

화상으로 발생하는 상지의 화상은 전체 환자의 50% 이상 을 차지하며 환자의 일상 생활 동작 및 기능적인 제한에 이르게 되는 장애를 발생시킨다. 손 및 손가락의 변형, 피부 의 변화, 통증 등의 합병증으로 화상 환자들의 심리적, 사회 적인 장애 요소로서 심각한 문제로 남게 된다.

1,2)

한국에서 화상은 개인과 가족 그리고 사회에 신체적, 정 신적, 경제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주고, 그 정도가 심할 경우 장기적으로 일생동안의 후유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사회 및 학교로의 복귀를 막는 상황이 될 수 있다.

3)

수부 화상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적절한 초기 치료를 통해 기능의 회복과 극대화에 있다. 이러한 치료의 기능적 인 평가는 화상 환자의 재활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기능적인 변화의 척도로는 일상 기능 평가, 움직임의 정도, 기능적인 수행 능력의 평가로 사용될 수 있다. 기본적 인 방법으로는 손가락 및 수부의 관절 각도 측정, 파지력 검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4)

수부 기능의 기능적인 상태 평가는 화상 재활 환자의 평 가에 중요한 요소로서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치료 방향 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부 기능 상태에 대한 표준화된 측정 원칙이 세워지는 것이 정확하면서도 객관화 된 환자의 상태 평가에 이용될 수 있다.

Chung 등

5,6)

은 Michigan Hand Outcomes Questionaire (MHQ)를 고안해 손기능 평가에 신뢰도와 타당도 있는 평 가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고 Umraw 등

7)

은 화 상 환자에서 MHQ가 비용과 자원이 적게 드는 평가 방법이 라고 주장하였다. MHQ는 수부 수술 및 화상 환자의 수부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Michi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in Burn Injury Patients

Cheong Hoon Seo, M.D., Ki Un Jang, M.D., Do Hern Kim, M.D.

1

, Jun Hur, M.D.

1

, Wook Chun, M.D.

1

, Jong Hyun Kim, M.D.

1

, Hyun-Gyun Son, M.D.

2

and Byung Chul Lee, M.D.

2 Departments of Rehabilitation Medicine, 1General Surgery and 2Psy- chiatry,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 ackgrounds: The ultimate goals of hand burn rehabilita- tion should be to maximize and restore function through proper initial management. To monitor treatment and reha- bilitation progress, evaluations of functional outcome of burn patients are impera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dapt the Michi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MHQ) into Korean, including assessing reliability and Validity.

M ethods: The MHQ was translated and its poperties were tested regarding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Eighty Korean burn patients treated at the Burn unit of the Hangang Sa- cred Heart Hospital responded to Korean version of Michi- 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MHQ-K) and took the Jebsen Hand function test.

R esults: The MHQ-K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test- retest reliabilit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0.78∼0.93) and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s 0.82∼0.94).

Test for validity showed that correlation between Jebsen hand function score and the MHQ-K was satisfactory (Pear- son correlation coefficient range, 0.432∼0.761) for the ADL, work performance, and pain scales.

Conclusions: The MHQ-K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hand outcomes after burn injury in Korea.

This instument can be used as a tool for evaluation of the

화상 환자 장애 평가를 위한 미시간 손기능 평가 설문의 신뢰도와 타당도

서정훈․장기언․김도헌

1

․허 준

1

․전 욱

1

․김종현

1

․손현균

2

․이병철

2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강성심병원 재활의학과, 1외과, 2정신과

hand function in the burn injured patients. (Journal of K o- rean B urn S ociety 2006;9:102-109)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 ey W ords: Burn, Hand function, Disability, Rehabilitation

책임저자:서정훈,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94-200

ꂕ 150-719,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강성심병원 재활 의학과

Tel: 02-2639-5730, Fax: 02-2633-7571 E-mail: s9036@hanmail.net

(2)

기능 평가가 이루어져 있지만 국내에서는 한글화 및 객관 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MHQ 를 한글 번역함과 동시에 이를 표준화하는 작업을 하여 신 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환자군

한림의대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에 2005년 6월부터 2006 년 2월까지 입원하여 치료를 받았던 화상 환자 중 수부의 화상을 갖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제외 기준은 말초 신경계 병변, 정신과적 이 상, 절단 환자, 인대, 연골, 관절 등의 심부조직 손상이 심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연령은 41±22.1세였고 남자가 68명, 여자가 12명이었다. 오른손 잡이의 비율이 91.2%였다. 그 외의 화 상관련 임상변수의 특징은 Table 1과 같다.

2. 연구 도구

화상부위의 손기능 평가를 위해 미시간 손기능 평가 설 문지

5,6)

와 젭슨 손기능 평가(Jebsen Hand Function Test)

8)

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1) 미시간 손기능 평가 설문

미시간 손기능 평가 설문지

5)

를 이용해 환자에게 같은 시 점에서 설문지를 제공하여 환자 본인의 우성 손의 기능 및 상태를 직접 기입하도록 하여 조사하였다. 미시간 손기능 평가는 화상 환자의 손기능 평가에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 증된 평가 방법으로 원저자의 동의 하에 한국어로 번역하 였다. 평가 항목은 손의 기능, 일상생활동작능력, 일의 수행 성, 통증, 손의 외관, 손기능의 만족의 6가지 항목으로 이루 어져 있어 환자 자신의 평가 점수를 구할 수 있게 되어있다.

각 항목은 최고점수인 100점의 환산치로 표기하였다 (Appendix 1, 2).

2) 젭슨 손기능 평가

젭슨 손기능 검사는 우성 손에 대해서 짧은 문장 쓰기, 카드 뒤집기, 작은 물건을 집어서 깡통에 넣기, 먹는 흉내 내기, 장기알 쌓기, 크고 가벼운 깡통 옮기기, 크고 무거운 깡통 옮기기의 7가지의 항목을 실시하였다. 숙련화된 작업 치료사가 검사하였으며 검사 전 피검사자에게 검사의 목적 과 방법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하였고, 시계를 이용하여 시간을 초단위로 측정하였다.

8)

3. 연구 진행과정 1) 번역과정

MHQ의 원저자인 Chung 등

5)

으로부터 미시간 수기능 평 가 설문의 한국판 번역을 허락받았다. 이를 화상 전문의에 의해 한글 번역 작업을 실시하고 보완 후, 검사자들과 설명, 시범과정을 반복하였다. 문화적 차이에 의해 사용이 어려 운 항목은 저자와의 타당도 검증 후 수정하였다.

2) 검사 실시

한글화된 MHQ 평가와 젭슨 손기능 평가를 이용 수부의 화상 병변을 가지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 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MHQ 평가를 2주 후 재 측정하였다. 설문 응답 중 답변이 일부 빠진 경우나 불성실 하게 작성된 경우는 제외하였다.

4. 자료분석 1) 신뢰도

MHQ의 시간적 안정성 즉, 반복적으로 검사 시 같은 결과 가 나오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2차례에 걸쳐 설문을 실시 하여 1차와 2차 검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를 Spearman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척도의 내적 일치도(internal consistency)는 검사항목의 균질성을 확인하는 검사로 각 검사 항목이 다른 항목과 연

Table 1. Demographic Data for Hand Burn Injury Patients

(n=80)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Variabl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Mean age, years (mean±SD) 41±22.1

Male/Female 68/12

Right-hand dominant (%) 91.20 Injured hand (%)

Right 32.1

Left 26.2

Both 51.7

Burn type (%)

Flame 35 (43.8)

Scalding 12 (15.0)

Electrical 13 (16.3)

Contact 8 (10.0)

Chemical 6 (7.5)

Others 6 (7.5)

Total burn surface area (%)

0∼10 32 (40.0)

10∼30 13 (16.3)

30∼70 26 (32.5)

70∼ 7 (11.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관성을 보기 위한 것이다.

크론바흐 알파(Chronbach alpha) 계수로 내적 일관성을 구하였다.

2) 타당도

MHQ의 구성 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 Jebsen 수부 기능평 가를 실시하여 MHQ와의 상호 연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신뢰도

미시간 손기능 평가 조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 test reliability)에서 전반적 손기능을 봤을 때 Pearson 상관 계수(r) 값은 우측 손은 0.78, 좌측 손은 0.83이었다(p<

0.01). 6가지 평가 지수에서 5가지 항목이 0.85 이상의 상관 계수 값을 보여주었다(Table 2).

미시간 손기능 평가 조사의 내적 일치(internal consis- tency)는 크론바흐 알파(Chronbach alpha) 지수로 전반적 손기능에서 우측 손은 0.89, 좌측 손은 0.82의 내적 일관성 을 보였다. 6가지 항목에서 모든 항목이 0.8보다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Table 3).

2. 타당도

구성 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보기 위해 Jebsen 수부 기능평가를 실시하여 MHQ와의 상호 연관관계를 비교 분 석한 결과 전반적 손기능 평가에서 우측 손은 0.761, 좌측 손은 0.711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통증 지수의 경 우 -0.521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Table 4).

고 찰

최근 의료 사회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질

Table 3. Cronbach's Alpha for the Six Scales in the Michi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Cronbach's alpha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 Overall hand function

Right hand 0.89

Left hand 0.82

2. Activities of daily living

Right hand 0.92

Left hand 0.93

Both hands 0.94

3. Work performance 0.89

4. Pain 0.91

5. Aesthetics

Right hand 0.89

Left hand 0.82

6. Satisfaction with hand function

Right hand 0.83

Left hand 0.8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4. Spearman's Correlations between the Michi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and the Jebsen Hand Func- tion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Correlation coefficient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 Overall hand function

Right hand 0.761

Left hand 0.711

2. Activities of daily living

Right hand 0.706

Left hand 0.612

Both hands 0.582

3. Work performance 0.432

4. Pain -0.521

5. Aesthetics

Right hand 0.182

Left hand 0.264

6. Satisfaction with hand function

Right hand 0.542

Left hand 0.7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2. Test-Retest Correlation for the Six Scales in the Mi-

chi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Intraclass correlatio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 Overall hand function

Right hand 0.78

Left hand 0.83

2. Activities of daily living

Right hand 0.89

Left hand 0.91

Both hands 0.92

3. Work performance 0.92

4. Pain 0.89

5. Aesthetics

Right hand 0.88

Left hand 0.87

6. Satisfaction with hand function

Right hand 0.92

Left hand 0.9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

병의 병리학적 발생이나 진행과정뿐만 아니라 기능, 웰빙, 삶의 질과 연관된 결과에 주목하게 되었다. 따라서 환자 상 태의 평가 및 분석은 병을 치료하는 본질적인 문제와 치료 계획이나 예후 판정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5,6)

화상 재활치료의 단기 목표는 환자의 가동 운동 범위의 유지와 기능적 회복에 있으며 장기적 재활치료의 목표는 환자의 독립적 일상생활로의 복귀와 화상 후 남게 되는 기 능적 소실의 회복을 위한 재활 운동에 있다. 화상의 분포와 화상 범위를 판단하여 장애가 발생할 원인을 분석하여 미 연에 방지하는 과정이 화상 직후 바로 이루어져서 장, 단기 적 치료 방향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화상의 정도가 심할수 록 재활치료가 담당하는 범위는 커지게 되며, 초기 환자 관 리 시부터 재활의학과적인 관점으로 장애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화상 환자의 장애 추이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하다.

화상 환자의 장애 중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이 오는 것이다. 관절 운동 장애 중 손가락 관절 움직임 장애가 가장 많아 이 부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 수지부는 화상 후에 많은 문제가 발 생하는 부위이다. 수지부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수지부는 부종이 잘 생기고, 상처 회복과 기능 회복이 어려우며, 다른 관절보다 변형이 잘 생기기 때문이다. 수지관절은 4주 이상 부동 상태로 있으면, 불가역적인 변형이 올 수 있다고 알려 져 있다.

9,10)

수상 직후 환자에게 쉽게 적용 가능한 보조기와 자세 유지를 위한 침대 개발이 필요하며 이식 수술 후 조기 재활치료시기의 조정도 필요하다. 화상 후 입원 당일부터 조기 재활치료가 시작되어야 하며 환자의 의식이 뚜렷할 경우 능동 운동부터 시작하여 운동의 단계를 증가시키고 조기에 관절 운동 범위 운동과 보행 훈련을 시작함으로써 합병증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11-13)

본 연구의 목적은 화상 환자의 손기능 평가에 대한 새로 운 지침을 만들기위한 것이다. 화상 환자의 손기능의 변화 는 많은 환자에서 나타나는데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나 장애 정도에 대한 연구가 되어 있지 않아 본 한국판 미시간 손기능 평가가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

화상 환자의 손기능 평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관절각도의 측정이나 상처회복의 평가만 이 이용되고 있는데

14)

본 연구에서는 젭슨 손기능 평가와 미시간 손기능 평가 설문지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미시간 손기능 평가 설문지는 화상 환자에게 적용하였을때 객관성 과 일관성이 입증된 방법으로써

7)

화상 재활 환자의 치료 효 과 및 장애 판정,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미시간 손기능 평가의 검사-재검사 신뢰

도는 척도의 시간적 안정성을 분석하는 것인데 측정 사이 의 일치도가 상당히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고 이는 원저 자인 Chung의 연구

5)

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타당도 는 화상 환자의 손기능 평가 중 작업치료 영역에서 사용되 는 젭슨 손기능 평가와 비교하였는데 모든 항목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어 손기능 평가에 중요한 지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화상의 장애는 여러 가지 요소로 평가할 수 있는데 화상 범위와 재원일수 등이 사용되지만 환자 개인의 기능적 요 소와 포괄적인 회복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확 한 장애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화상 후 삶의 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구인 Short Form 36

12)

, Burn-specific Health Scale

15)

, VABS-SF

16)

등을 이용한 평가가 추후 연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전향적이며 다중 기관 연구가 이루 어져서 환자 장애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시도가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연구가 단일기관에서 이루어 져서 한국의 화상 환자에게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되는 점이 있으며 환자군의 숫자가 80명으로 화상 의 원인, 범위 등에 따라 계층화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를 보안하여 다기관의 체계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결 론

화상환자의 수부 평가를 위해 표준화된 한국판 미시간 손기능 평가를 개발하였고 화상 환자의 수부 기능을 평가 할 수 있는 도구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다른 수부의 수술 후 상태 및 장애 평가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 ES

1) Helm PA: Burn rehabilitation: dimensions of the problem.

Clinic Plast Surg 19: 5519, 1992

2) Tredget E: Management of the acutely burned upper extre- mity. Hand Clin 16: 187-202, 2000

3) Spires MC: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burns. In: Brad- dom RL.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st ed, WB Saunders, Philadelphia, 1996, 1215-1236

4) Weinstock-Zlotnick G, Torres-Gray D, Segal R: Effect of pre- ssure garment work gloves on h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hand burns: a pilot study. J Hand Ther 17: 368-376, 2004 5) Chung KC, Pillsbury MS, Walters MR, Hayward RA: Relia-

bility and validity testing of the Michi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J Hand Surg 23: 575-587, 1998

6) Chung KC, Hamil JB, Walters MR, Hayward RA: The Michi- 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MHQ): assessment of responsiveness to clinical change. Ann Plast Surg 42: 619- 622, 1999

(5)

7) Umraw N, Chan Y, Gomez M, Cartotto RC, Fish JS: Effective hand function assessment after burn injuries. J Burn Care Rehabil 25: 134-139, 2004

8) Jebsen RH, Taylor N, Trieschmann RB, Trotter MJ, Howard LA.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test of hand function.

Arch Phys Med Rehabil 50: 311-349, 1969

9) Helm PA, Kevorkian CG, Lushbaugh M, Pullium G, Head MD, Cromes GS: Burn injury: rehabilitation management in 1982. Arch Phys Med Rehabil 63: 6-16, 1982

10) Richard RL, Staley MJ: Burn care and rehabilitation: principles and practice. 1st ed, FA Davis Co, Philadelphia, 1994, 243-249 11) Costa BA, Engrav LH, Holavanahalli R, et al: Impairment after burns: a two-center, prospective report. Burns 29: 671- 675, 2003

12) Engrav LH, Covey MH, Dutcher KD, Heimbach DM, Walk- inshaw MD, Marvin JA: Impairment, time out of school, and time off from work after burns. Plast Reconstr Surg 79:

927-934, 1987

13) Fisher SV: Disability evaluation following burn injury. Phys Med Rehabil Clin N Am 12: 637-645, 2001

14) Settle JAD: Principles and practice of burns management. 1st ed, Churchill Livingstone, New York, 1996, pp458-460 15) Kildal M, Andersson G, Fugl-Meyer AR, Lannerstam K,

Gerdin B: Development of a brief version of the Burn- Specific Health Scale (BSHS-B). J Trauma 2001; 51: 740-746 16) Sparrow SS, Balla DA, Cicchetti DV: Interview edition survey form manual for the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American Guidance Service, Minnesota, 1984

(6)

A ppendix 2. 한국판 미시간 손기능 평가 설문지(MHQ-K)

I. 지난 1주일 동안 손과 손목의 기능에 대한 질문입니다.

<<오른손잡이의 경우에 답해주세요>>

A. 당신의 오른손과 손목에 대해 아래 물음에 답하세요.

<<왼손잡이의 경우에 답해주세요>>

B. 당신의 왼쪽 손과 손목에 대해 아래 물음에 답하세요.

II. 지난 1주일 동안 어떤 일(일상생활)을 하는데 손의 기능에 대해 다음 물음에 답하세요.

<<오른손잡이의 경우에 답해주세요>>

A. 오른손을 사용하여 아래 보기에 있는 일을 할 때 얼마나 어려움을 느끼나요?

A ppendix 1. MHQ-K Scoring Algorithm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Scale Recode* Raw score range Normalizatio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Overall hand function None 5∼25 -(raw score -25)/20×100

Activities of daily living None 5∼25: 1-handed -(raw score-25)/20×100 7∼35: 2-handed -(raw score-35)/28×100 Overall ADL (1-handed+2-handed)/2

Work None 5∼25 (raw score-5)/20×100

Pain Question 2: 5∼25 If question 1=5,

(1=5)(2=4)(4=2)(5=1) then pain score=0; if question 1=5, then -(raw score-25)/20/×100

Aesthetics Question 1: 4∼20 (raw score-4)/16×100

(1=5)(2=4)(4=2)(5=1)

Satisfaction None 6∼30 -(raw score-30)/24×1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he response categories for some of the questions are reversed and are recoded. In the pain scale, high scores indicate greater pain, whereas in the other five scales, high scores indicate better hand performance. The raw scores for each domain are converted to normalized score (0∼100).

매우 좋다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 아주 나쁘다

1. 전반적인 오른손 작업은 어떤가요? 1 2 3 4 5

2. 오른쪽 손가락의 움직임은 어떤가요? 1 2 3 4 5

3. 오른쪽 손목의 움직임은 어떤가요? 1 2 3 4 5

4. 오른쪽 손의 힘은 어떤가요? 1 2 3 4 5

5. 오른쪽 손의 감각은 어떤가요? 1 2 3 4 5

매우 좋다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 아주 나쁘다

1. 전반적인 왼손 작업은 어떤가요? 1 2 3 4 5

2. 왼쪽 손가락의 움직임은 어떤가요? 1 2 3 4 5

3. 왼쪽 손목의 움직임은 어떤가요? 1 2 3 4 5

4. 왼쪽 손의 힘은 어떤가요? 1 2 3 4 5

5. 왼쪽 손 감각은 어떤가요? 1 2 3 4 5

전혀 안 어렵다 약간어렵다 보통이다 어렵다 매우 어렵다

1. 문 열기 1 2 3 4 5

2. 동전 줍기 1 2 3 4 5

3. 물컵 잡기 1 2 3 4 5

4. 열쇠를 끼워 돌리기 1 2 3 4 5

5. 프라이팬 들기 1 2 3 4 5

(7)

<<왼손잡이의 경우에 답해주세요>>

B. 왼손을 사용하여 아래 보기에 있는 일을 할 때 얼마나 어려움을 느끼나요?

C. 양손을 사용하여 아래 보기에 있는 일을 할 때 얼마나 어려움을 느끼나요?

III. 지난 한달 동안 학교일과 집안일을 얼마나 하였는지 아래 물음에 답하세요(각 물음에 대해 1에서 5까지 한가지 숫자만 골라서 표시해 주세요).

IV. 지난 1주 동안 손/손목이 얼마나 아팠는지에 대해 아래 물음에 답하세요.

1. 손/손목의 통증이 얼마나 자주 아팠나요?

1) 항상 있다. 2) 종종 있다. 3) 가끔 있다. 4) 별로 없다. 5) 전혀 없다.

만약 IV-1에서 ‘전혀 없다’에 답했다면 V번 항목에 답해주십시요.

2. 손/손목의 통증에 대해 설명 하세요.

1) 매우 경한 통증이다. 2) 경한 통증이다. 3) 중등도의 통증이다. 4) 심한 통증이다. 5) 매우 심한 통증이다.

전혀 안 어렵다 약간 어렵다 보통이다 어렵다 매우 어렵다

1. 문 열기 1 2 3 4 5

2. 동전 줍기 1 2 3 4 5

3. 물컵 잡기 1 2 3 4 5

4. 열쇠를 끼워 돌리기 1 2 3 4 5

5. 프라이팬 들기 1 2 3 4 5

전혀 안 어렵다 약간 어렵다 보통이다 어렵다 매우 어렵다

1. 병 따기 1 2 3 4 5

2. 옷에 단추 채우기 1 2 3 4 5

3. 두손을 이용해서 식사하기 1 2 3 4 5

4. 장바구니 옮기기 1 2 3 4 5

5. 설거지하기 1 2 3 4 5

6. 머리감기 1 2 3 4 5

7. 신발끈 매기 1 2 3 4 5

항상 있다 종종 있다 가끔 있다 별로 없다 전혀 없다

1. 손/손목의 문제 때문에 일하기가 힘들 때가 있었나요? 1 2 3 4 5

2. 손/손목의 문제 때문에 근무일이 줄어든 적이 있었나요? 1 2 3 4 5

3. 손/손목의 문제 때문에 느리게 일하게 된 적이 있었나요? 1 2 3 4 5

4. 손/손목의 문제 때문에 일을 끝내지 못할 때가 있었나요? 1 2 3 4 5

5. 손/손목의 문제 때문에 일을 더 오래 할 때가 있었나요? 1 2 3 4 5

항상 있다 종종 있다 가끔 있다 별로 없다 전혀 없다.

3. 손/손목의 통증이 수면 장애를 줄 때가 얼마나 자주 있나요? 1 2 3 4 5

4. 손/손목이 통증이 식사나 목욕 같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때가 1 2 3 4 5

얼마나 있나요?

5. 손/손목의 통증이 불쾌한 기분을 유발할 때가 얼마나 자주 있나요? 1 2 3 4 5

(8)

<<오른손잡이의 경우에 답해주세요>>

V. A. 지난 주 동안 오른손의 모습에 대해 아래 물음에 답하세요.

<<왼손잡이의 경우에 답해주세요>>

B. 지난 주 동안 왼손의 모습에 대해 아래 물음에 답하세요.

VI. A. 지난주 동안 오른손/손목의 만족도에 대해 아래 물음에 답하세요.

<<오른손잡이의 경우에 답해주세요>>

B. 지난주 동안 왼손/손목의 만족도에 대해 아래 물음에 답하세요.

<<왼손잡이의 경우에 답해주세요>>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

1. 왼손의 모습은 만족스러웠다. 1 2 3 4 5

2. 왼손의 모습은 사람들 앞에서 나를 불편하게 만들었다. 1 2 3 4 5

3. 왼손의 모습은 나를 우울하게 만들었다. 1 2 3 4 5

4. 왼손의 모습은 나의 사회 활동을 방해했다. 1 2 3 4 5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

1. 오른손의 모습은 만족스러웠다. 1 2 3 4 5

2. 오른손의 모습은 사람들 앞에서 나를 불편하게 만들었다. 1 2 3 4 5

3. 오른손의 모습은 나를 우울하게 만들었다. 1 2 3 4 5

4. 오른손의 모습은 나의 사회 활동을 방해했다. 1 2 3 4 5

매우만족함 만족함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1. 오른손의 전반적 기능 1 2 3 4 5

2. 오른손가락의 움직임 1 2 3 4 5

3. 오른쪽 손목의 움직임 1 2 3 4 5

4. 오른손의 힘 1 2 3 4 5

5. 오른손의 통증정도 1 2 3 4 5

6. 오른손의 감각 1 2 3 4 5

매우 만족함 만족함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1. 왼손의 전반적 기능 1 2 3 4 5

2. 왼쪽 손가락의 움직임 1 2 3 4 5

3. 왼쪽 손목의 움직임 1 2 3 4 5

4. 왼손의 힘 1 2 3 4 5

5. 왼손의 통증정도 1 2 3 4 5

6. 왼손의 감각 1 2 3 4 5

수치

Table 4.  Spearman's  Correlations  between  the  Michi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and  the  Jebsen  Hand   Func-tion

참조

관련 문서

(1) For slip, the crystallographic orientation above and below the slip lane is the same both before and after the deformation; for twinning, there is a reorientation

Putting these conclusions together, the brain breathing medit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concentration and learning attitude for children who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al outcomes including bone fusion and subsidence that occurred after

36 SEM Microphotographs of the Electrical Electrodes of the Burn Resistor PCB ((a): Before Vibration and Thermal Vacuum Test, (b): After Vibration and Thermal

A comparison of the cleaning efficacy of short-term sonic and ultrasonic passive irrigation after hand instrumentation in molar root canals.. Ultrasonic

Although Korea has been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fusion power generation and Korea is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world stage,

- Example) Suppose that a new product or facility is proposed and that the criterion for success is a 10 percent rate of return on the investment for a 5-year life of the

The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 Korea shoulder society (KSS) score, Mayo elbow performance (MEP) score and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