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각 능력 발달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지각 능력 발달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Copied!
11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논문

지각 능력 발달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erceptive Ability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 전공

이 정 은

2001

(2)

지각 능력 발달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정 도 성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01 년 12 월 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디자인교육 전공

이 정 은

2001

(3)

이 정 은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1 년 12 월 일

심사위원장 정 도 성 (인) 심사위원 김 철 수 (인) 심사위원 김 관 배 (인)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4)

논 문 개 요

인간의 지각은 풍부한 ‘미(美)’적 경험을 통해서 발달되어진다. 지각은 인 간이 환경을 체험하면서 스스로 학습되어지는 것이나, 그 발달 정도는 개인이 처한 환경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최근의 심리학적인 연구에서도 음악과 그림에 접하게 된 아기나 어린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지각 기능이 훨씬 빨리 발달된다는 사실이 분명히 밝혀졌다.

발달된 지각 능력은 디자인에서 인간의 감성에 호소하는 미(美)를 지각하 고 인간과 커뮤니케이션하는 창조물을 만들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 이에 따라 디자인의 기초 교육으로서 지각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의 접근이 필요 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디자인의 기초가 되는 지각 능력의 발달을 위한 지각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고 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 기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진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과 디자인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지각 능력을 발달 시킬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디자인을 위한 지각 요소를 살펴보고, 환경과 지각 및 디자인의 관 계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사례를 통하여 환경에 대한 지각 경험이 디자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뒷받침하였다.

셋째, 지각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디자인 교육의 접근 방향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에서 제시된 지각 교육의 접근 방향과 방법은 디자인 교육에서 지각 교육을 어떠한 방향으로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방법을 제안하는 것 으로써 정확한 대상이 명시되지 않았으므로, 향후 명확한 대상에 대한 세부적

(5)

인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각 교육의 접근 방법을 바탕으로 좀 더 체계화된 교육 과정과 내용을 발전시킨다면 학생들의 지각 능력을 발달시켜 감각에 대한 정교한 지각 능력을 갖추고, 디자인 사고 에 필수적인 창의력의 발달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6)

목 차

1. 서론 .……….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 . 1

1-2. 연구범위 및 방법 ………. 3

2. 지각과 디 자 인 ………...………. 4

2-1. 지각 ………...……… 4

2-1-1. 지각의 개념 ………..……… 4

2-1-2. 지각의 특성 ………..………… 6

2-1-3. 지각의 과정 ……….…………. 9

2-1-4. 지각의 양식 ……….………..……. 13

2-2. 디자인 ……….……… 17

2-2-1. 디자인의 특성 ………..……….. 17

2-2-2. 디자인 과정과 창의성 ………..……… 19

2-2-3. 디자인에 있어서 지각의 중요성 ………...……. 21

2-3. 디자인 교육에서 지각 교육의 가능성 ……….……… 26

2-3-1. 지각 교육의 이해 …………..………..………..…… 26

2-3-2. 지각 교육의 구분 ……..…………..………..…… 28

2-3-3. 지각 교육의 대상 ………..…..……….………. 30

.

3. 디 자 인 을 위 한 지 각 ………...………....………..……. 32

3-1. 인간과 환경 ………...……… 33

3-1-1. 환경의 개념 ……… 33

3-1-2. 물리적 환경 ……… 34

3-1-3. 사회적 환경 ………...… .35

3-2. 디자인을 위한 지각 요소 ………...………… 39

3-2-1. 공간지각 ………..… 39

(7)

3-2-2. 형태지각 ………..……… 42

3-2-3. 색채지각 ………..………… 43

3-2-4. 시간지각 ……….. 47

3-2-5. 의미지각 ………..……… 48

3-2-6. 시각적 선호 ……… 50

3-3. 환경과 지각 및 디자인의 관계 ……….……… 53

4. 국가별 환 경 특 성 과 디 자 인 특 성 및 디 자 인 교 육 의 사 례 ……..…… 56

4-1. 미국 ………. 56

4-2. 이탈리아 ………. 61

4-3. 독일 ………. 66

4-4. 핀란드 ………...………….. 72

4-5. 일본 ………...……… 76

5. 디자인 교 육 에 있 어 서 지 각 교 육 의 접 근 ………...……. 82

5-1. 지각 발달을 위한 교육의 접근 방향 ……….….... 82

5-1-1. 미적 실천 교육 ……….………. 84

5-1-2. 예술적 통합 교육 ………..…… 90

5-2. 지각 발달을 위한 교육의 접근 방법 ………..….…… 94

5-2-1. 지각 교육의 접근 방법 Ι (미적 실천교육) ….…...…..…… 94

5-2-2. 지각 교육의 접근 방법 Π(예술적 통합교육) ...……….…… 97

6. 결론 ………...………. 102

참고문헌

Abstract

(8)

그 림 목 차

<그림 2-1> 미적 지각과 비미적 지각과의 관계 ……….…….…...….…….. 6

<그림 2-2> 올드리치의 미적 체험의 주관성과 환영의 예 ……….. 8

<그림 2-3> 지각의 개인차에 관한 필터 모델 ………..…...….…….. 9

<그림 2-4> 지각 과정과 미적 반응 과정 ………..…...………. 10

<그림 2-5> 지각 경험과 양식 ………..………….……….…….. 13

<그림 2-6> 미적 가치의 지속성 ………..……….……….…….. 16

<그림 2-7> 예술과 과학의 통합으로서의 디자인 ……….….….. 18

<그림 2-8> 모든 학문 분야를 통합하는 디자인 ………...…….…….. 18

<그림 2-9> 창의성의 유형 ………..…….. 20

<그림 2-10> 디자인 과정과 창의성 ……….…….…….. 21

<그림 3-1> 환경의 개념도 ………..…….. 34

<그림 3-2> 문화의 형성 ……….….…….. 36

<그림 3-3> 미의 지각적 요소와 지각의 상관관계 ………...….…….. 39

<그림 3-4> 중복배치에 의한 거리지각 ………...….…….. 40

<그림 3-5> 도형과 배경 ……….….…….. 43

<그림 3-6> 색채지각에 있어서 빛과 색의 역사적 개념 ………..….. 44

<그림 3-7> 기능과 의미의 관계 ………...…….…….. 48

<그림 3-8> 지각적 선호와 미적 질 ………..…….. 51

<그림 3-9> Muller-Lyer 착시 ……….…….. 54

<그림 3-10> 환경과 지각 및 디자인의 관계 ……… 55

<그림 4-1> 접시, 스위드 포웰 ………..…….…….. 58

<그림 4-2> 의자, 허먼 밀러 사 ………..……..…….…….. 58

<그림 4-3> 키보드, 애플 사 ………..……….…….. 59

<그림 4-4> 코카콜라 , 코카콜라 사 ………..…….…….. 59

<그림 4-5> 책장, 에토레소사스 ……….…….. 63

<그림 4-6> 레몬 과즙기, 알레시 사 ………..………...…….. 64

(9)

<그림 4-7> 켄티버러 의자, 미스 반 데로 ………..….…….. 68

<그림 4-8> 풍자 만화, 만프레드 슈미트 ……….…….. 69

<그림 4-9> 비틀, 폴스바겐 사 ………..……….…….. 70

<그림 4-10> 카메라, 라이카 사 ………..…………..……….…….. 70

<그림 4-11> 면도기, 브라운 사 ………..………..……….…….. 70

<그림 4-12> 화병, 알바 알토 ………....……….…….. 74

<그림 4-13> 안락의자, 알바 알토 ………....……….…….. 75

<그림 4-14> 정원용 가위, 파스카 건서머 사 ………..……..…….…….. 75

<그림 4-15> 그릇, 파피오 윌카라 …..………..……….…….. 75

<그림 4-16> 포스터, 이코 타나까 ………..………..……….…….. 79

<그림 4-17> 바이올린, 야마하 사 ………..………..……….…….. 79

<그림 4-18> 디지털 카메라, 소니 사 ………..………....……….…….. 80

<그림 5-1> 지각 교육의 접근 ………..………...……….…….. 84

<그림 5-2> 미적 실천 교육 ………..………...…………..……….…….. 90

<그림 5-3> 예술적 통합 교육을 위한 기초 영역 ………...……….…….. 93

표 목 차

<표 3-1> 제품 이미지 형성 요인 모형과 그 예 ……….….…..…….. 32

<표 3-2> 색과 감정의 관계 ………...….…….. 46

<표 5-1> 예술적 통합 교육 ………..……….….….... 100

(10)

논 문 의 전 체 적 인 PROCESS

결 론 사 례 지 각 디자인

지각 교육의 가능성

디자인을 위한 환경지각

지각적선호 의미지각

공간지각 형태지각 시간지각

지각 교육의 접근

미적 실천 교육 예술적 통합 교육

(11)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 적

인간은 살아가면서 필수적으로 환경을 체험한다. 환경에 대한 모든 정보 는 인간의 감각을 통해 지각되고, 이 과정에서 인간은 미(美)를 경험한다. 따 라서 자라온 환경은 미적 경험을 풍부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소득층 자녀들, 특히 빈민가에서 가난한 생활을 하는 아동들은 그 지역 의 학교에서 배우는 유복한 집안의 아동과 비교할 때 같은 정도로 지각 능력 들이 발달되지 않는다는 점은 이미 알려져 있다.1 본 연구자는 예전부터 “ 부자 와 이탈리아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디자이너가 된다.”라는 말을 수없이 들어 왔다. 이 말은 부유한 환경과 이탈리아의 환경이 미적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 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지각 능력이 발달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 이 환경을 통해서 미적 경험을 풍부히 가질 수 있느냐 없느냐는 발달된 지각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타난다.

디자인은 ‘미’를 창조하는 행위이다. 그러나 디자인에 있어서 미란 예술 에서 말하는 미와는 달리 상당한 객관성을 포함하고 있다. 예술에서 아름다움 이란 주관적인 것으로,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아름다움이 미적 대상을 결정 짓는다면, 디자인에서 아름다움은 대상물(디자인 물)이 가진 유용성의 미, 장 식성의 미, 다양성의 미를 통해서 대중들에게 전달된다. 즉, 디자인에 있어서 미는 예술에서 논의되는 미의 개념과는 달리 ‘순수한 미’가 아닌 디자인의 목 적을 달성하는 데 효과를 가미 시키거나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향에 초점이

1 Benjamin Bloom, Allision Davis, and Robert Hess, Compensatory Education for Culturl Deprivarion (New York : Holt, Rinehart and Winstion, 1965)

E. W. 아이스너,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역,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1995, p83 재 인용

(12)

맞추어져 있는 것이다.

이 같은 배경에서 미에 대한 지각 능력은 그 중요함을 가지고 있다. 그러 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의 기초가 되는 지각 능력의 발달을 위한 지각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고 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기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지각 교육은 디자인의 기초 교육에 있어서 지각 능력을 발달 시 켜주어 디자인을 진행함에 있어서는 디자인이 지녀야 할 미를 창조할 수 있는 토대가 되고, 일반 소비자로서는 잘 된 디자인을 선택할 줄 아는 안목을 키워 주게 될 것이다.

(13)

1-2 연구내용 및 방 법

본 연구의 내용은 지각 능력이 디자인에서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위치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디자인 교육에서 지각 능력의 발달을 가져올 수 있는 교 육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1 장에서는 본 연구를 시작 하게 된 연구의 배경과 연구의 목적을 기술하 고, 연구의 전체적인 진행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2 장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지각과 디자인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 하여 디자인에 있어서 지각 능력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에 따라 디 자인 교육에 있어서 지각 능력을 발달 시킬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에 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3 장에서는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살펴보고, 이를 지각하게 하는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이에 따라, 환경에 영향을 받는 지각과 디자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4 장에서는 국가별 환경 특성이 디자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환경에 대한 지각 경험이 디자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아 보았다.

5 장에서는 디자인 교육에서 지각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지각 교육의 접근 방향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제안에서는 지각 능력을 발달 시키기 위 하여, 기초 디자인 교육에서 지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교육 내용으로서는 미적 실천 교육이, 교육 과정으로서 예술적 통합 교육의 두 가지 측면에서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6 장에서는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디자인에 있어서 지각 능력의 중요성에 따른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각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4)

2. 지각과 디자인

이 장에서는 지각과 디자인에 관하여 고찰하고 디자인에서 지각 능력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또한 이에 따라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지각 능력을 발달 시키는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본다.

2-1. 지각

지각이란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정보를 조직하고 해석하는 과정이다.

인간은 지각 과정을 통하여 현존하는 환경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해석하 고 이 과정에서 얻은 미적 경험은 디자인에서 형태나 색감을 표현하기 위한 능력을 발달 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2-1-1. 지 각 의 개 념

지각에 대한 개념의 정립을 위하여 심리학과 미학에서 주로 일컬어지는 지각에 대한 해석을 알아보도록 한다.

지각(perception)이란 경험에 의미와 해석을 부여하는 과정이다.2 유기체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환경의 상태나 변화를 지각하여야 한다.3 환경의 지각은 인간이 살고 있는 환경이나 사물에 관한 지식의 바탕을 제공해주며 이러한 지 식은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다. 인간은 지각을 통 하여 일상 환경의 주요한 정보를 받아들이며, 다른 사람과의 정보 교환 및 사

2 임규혁, 교육심리학, 학지사, 1997, p153

3 경북대학교 곽호완 교수의 지각공학 심리학 홈페이지

http://pearl.knu.ac.kr/intro_psy/html_split_viewer.cgi?filename=p4_percept.html

(15)

회적 작용이 가능해지며 다양한 ‘미(美)적 경험’을 즐길 수 있다.

여기서 ‘미적 경험’이란 전통적으로 주목하여 감상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인식되는 사물과 사건의 고유한 특성을 경험하는 것이다.4 하르트만 (N.

Hartman)은 미를 경험하는 것을 지각이라고 하면서 ‘미적 대상의 소여 형식은 지각에 있다’고 했다.5 일찍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은 관찰하면서 인식하기 때문에 기뻐한다.6”고 말했던 것처럼 미적인 지각 경험을 ‘하느냐’ 또는 ‘하지 않으냐’ 하는 것은 선호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7

아퀴나스(S.T. Aquinas)는 ‘즐겁게 하는 것을 바로 지각하는 것’을 ‘아름다 움’이라고 불렀는데, 이 말은 두개의 개념을 포함한다. 첫째, 아름다운 것은 기쁨을 준다는 것이요, 둘째, 기쁨을 주는 모든 것이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직 접적으로 지각에서 기쁨을 주는 것이라야 아름다운 것이다.8

올드리치(Aldrich)는 지각방식에는 미적 방식과 일상적 방식, 즉 비미적 방식이라는 두 가지의 종류가 있다고 역설하고 있다.9 그는 비미적 방식을 ‘관 찰(observation)’이라고 부르고 미적 방식을 ‘감지(prehension)10’ 라고 했는데, 관 찰은 과학적인 탐구나 거의 매일 하는 활동의 특성이 되고 있는 일상적인 종 류의 지각이고, 감지는 미적 경험의 특성이 되고 있는 또 다른 지각이다. 또한 그는 관찰의 대상을 ‘물리적 대상’이라 부르고 감지의 대상을 ‘미적 대상’이라 고 하고, 디자인 자체에 해당되는 사물을 ‘물질적 대상’이라고 했다. 이 물질 적 대상이 관찰될 때에는 물리적 대상으로 보이게 되며, 감지될 때에는 미적 대상으로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미적 지각과 비미적 지각 사이에는 미 분화된 통합적 지각이 있는데, 이것은 관찰과 감지 사이에 있는 ‘중성적’ 지각

4 M.M.이턴, 유호전 역, 미학의 핵심, 동문선, 1998, p260

5 김주완, 미와 예술, 형설출판사, 1994, p173

6 Aristoteles : Poestik. In : Asthetik der Antike, S. p266, M.S. 까간, 진중권 역, 미학강의 2, 새 길, 1998, p120, 재인용

7 죠지딕키, 오병남 역, 현대미학, 서광사, 1982, p52-53

8 M.Rader B.Jessup, 김광명 역, 예술과 인간가치, 이론과 실천, 1997, p40

9 죠지딕키, 오병남 역, 미학입문, 서광사, 1983, p133-134

10 여기서 ‘ 감지’란 ‘인상주의적으로 바라보는 방식’이라고 부를 수도 있으나 지각 방식으로서 말 하자면 물질적인 것들에 객관적인 생기를 불어 넣은 인상들을 지니고 있는 하나의 지각 방식이다.

(죠지딕키, 오병남 역, 미학입문, 서광사, 1983, p136)

(16)

을 말한다.

<그림 2-1> 미적지각과 비미적 지각과의 관계

(출처 : 죠지딕키, 오병남 역, 미학입문, 서광사, 1983, p134, 일부수정)

이상과 같은 해석을 통해 지각은 자극을 통해 들어온 정보를 인간의 경 험에 비추어 해석하는 과정으로, 인상적인 느낌이 관여하는 미적 지각과 비미 적인 지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각의 여러 측면 중에서 디자인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앞에 언급된 미적 지각이라고 볼 수 있다. 미적 지각은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정보를 단 순히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미적 경험을 바탕으로 미적 지각 능력이 발달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2-1-2. 지 각 의 특 성

인간의 지각은 항상 안정적이고 정확한 것은 아니다. 휴고(M.P.Hugo)는 인간이 어떤 사물의 본직을 파악하거나 사실의 개념을 받아들이려면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해서 인식되어야 한다11고 했는데 인간의 감각은 상대적인 것이

11 이재국, 디자인 미학, 청주대학교출판부, 2000, p184

마 음 디자인

관찰하는 주관

감지하는 주관 미적 대상

물리적 대상

미분화된 통합적 지각

감 지 관 찰

(17)

어서 자극에 쉽게 적응해 익숙해진다.

미국 심라학자 헤스(Hess) 등이 눈동자에 관해 실험한 연구결과12나 눈동 자의 반응을 조사한 실험들13에 따르면 눈동자의 지름이 흥미와 관심 등의 심 리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14 이러한 감각기관 자체의 변화는 시각을 가능하게 해주는 눈 뿐만 아니라, 후각기관인 코나, 미 각기관인 입을 통해서도 쉽게 경험할 수 있다.

감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각도 예외일 수 없다. 동일한 대상 이라 하더라도 여러 지각경험을 할 수 있고, 대상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데 도 불구하고 그 대상을 생생히 지각할 수 있다.15 지각은 충분한 의식 없이는 수행될 수 없으며, 관찰자는 그가 적절히 파악하기에는 너무 불투명하거나 생 소한 것들은 의식적으로 무시하거나 지각하지 않게 된다.16

1940 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지각이란 주로 지각자와 지각 대상물간의 상 호작용관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1950 년대에 접어들면서 지각자 의 특성이 강조되기 시작했다.17 일단 지각이 일어난 자극은 그것이 ‘객관적 실재’로서의 자극이 아니라 개인마다 다르게 받아들이는 ‘주관적 실재’로서의 자극이 된다.18 지각한 것을 이해하는 것은 주관적인 과정이므로 지각하는 사 람에 따라 모두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지각된 것을 이해하고 해 석하는 것은 가치관, 경험, 지식, 욕구, 상황, 자아정체성, 문화 등 많은 것의 영향을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 과정은 다른 요인에 의해 쉽게 왜곡될 수 있다. 동일한 대상이라 하더라도 주변에 있는 요인들에 따라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12 남성누드, 여성누드, 아기, 아기를 안고 있는 엄마, 풍경 등의 사진을 실험대상자에게 주고 그 가 그것을 보았을 대 눈동자의 지름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측정한 것으로 그 결과에 따르면 사 진의 종류에 의해 또는 실험대상자에 의해 눈동자의 확산도는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13 Atwood, 1971 / Metalis, 1982 / Wagoner, 1978 / Stass, 1967 / Hicks, 1979

14 오미겐타로, 권민 역, 조형심리, 동국출판사, 1996, p29-31

15 경북대학교 곽호완 교수의 지각공학 심리학 홈페이지

16 신명희, 지각의 심리, 학지사, 1995, p40

17 안정미, 감각기관을 통한 정보의 상호간섭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00, p10

18 임규혁, 교육심리학, 학지사, 1997, p153

(18)

올드리치가 예로 든 그림을 보면 우리가 환경을 지각함에 있어 주관적 요소가 상당히 개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체험하여 경험한 물리적 환경의 대부분은 우리의 경험적 개입, 즉 개인의 학습화 과정을 통해 인식된 다.

토끼 오리 토끼+오리

<그림 2-2> 올드리치의 미적 체험의 주관성과 환영의 예

씰(Thiel)은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는 방법의 개인차를, 생리적 특성, 정보선택 특성, 심리적 구조의 3 단계 차이로 설명하고 있다.19 씰의 이 론은 <그림 2-3>과 같은 내용으로 이해된다. 지각 필터 가운데 ‘생리적 특성’

은 연령에 따라 다른 신체 크기나 감각기관의 감도 등으로 어린이나 노인, 핸 디캡 등과 같이 신체적인 차이에 따른 것이고, ‘정보선택 특성’은 교육정도, 지 식, 직업 외에도 문화, 생활패턴이나 견해나 선호, 혹은 입장차이 등에 따른 것이다. 또한, ‘심리적 구조’는 그 시점에서의 욕구상황이나 각성상태에 따라 지각의 해석이 달라짐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각이란 현재의 상태와 과거 경험의 정도에 따라 좌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개인이 가진 고유한 지각의 특

19Thiel, P. : People, Paths and Purposes : Notation for a participatory Envirotecture.

University df Washington Press. 1997, p113, 일본건축학회, 배현미 외 역, 인간심리행태와 환 경디자인, 2000, p27, 재인용

(19)

성은 디자인에서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디자인 특성으로 표현 되어진다.

<그림 2-3> 지각의 개인차에 관한 필터 모델

2-1-3. 지 각 의 과 정

미학의 창시자 바움가르텐(Baumgarten)이 말했듯이 아름다움이란 인지적 사고를 표상한다.20 즉, 아름다움이란 사고를 통해 지각되고 표현된다. 우리는 지각 과정이 저절로 일어나기 때문에 별다른 복잡한 과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 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환경을 지각하는 것은 그리 단순하지 않다.

인간의 지각 과정은 논리적으로 해석하기 힘든 복잡성을 내포하고 있지만, 그 결과는 직접적이고, 즉시성을 띤다.

인간의 형태정보처리 과정은 <정보의 취득-정보의 저장-정보의 통합> 과 정으로 이루어진다.21 환경이나 대상물을 지각하는 것은 자극이 감각수용기를 통해 들어오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22 사람은 감각기관을 통하여 대상의 자극 을 받아들이고, 이에 대하여 근육의 움직임, 생리적 작용, 감정의 변화, 생각의 수정 등의 형태로 반응을 한다. 지각과정은 수용기를 자극하는 정보와 이미

20 루돌프 아른하임, 윤현섭 역, 예술심리학, 을유문화사, 1995, p55

21 소비자 선호형태창출을 위한 제품형태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 개발연 구소, 1997, p29

22 경북대학교 곽호완 교수의 지각공학 심리학 홈페이지

수용 자극

물리적

환경 정보선택특성

심리적자세 심리적특성

지각필터

(20)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과거경험에서 나오는 정보의 상호작용이다.23

임승빈은 그의 저서 <환경심리 ・행태론>에서 환경이나 사물의 지각 과정 에서 미적 반응 과정을 자극탐구, 자극선택, 자극해석, 자극에 대한 반응의 순 서로 구분하고 있다.24 이 과정은 지각 과정 중에서도 미적 지각 경험을 하게 되는 과정으로 <그림 2-4>에서 볼 수 있듯이 자극에 대해 쾌락감을 느끼고 반 응으로 나타나게 된다. 다음에서 지각 과정을 미적 지각의 측면에서 좀 더 자 세하게 고찰해 보기로 한다.

<그림 2-4> 지각 과정과 미적 반응 과정

(출처 : 임승빈, 환경심리・행태론, 보성문화사, 1993, p75, 일부수정)

1) 자극탐구

로위(H. Lowie)에 따르면 미적 충동은 인간정신에서 떼어 놓을 수 없는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이며, 모든 사람에게 있어 모든 생활의 기본적 충동이다.

자극탐구의 행위는 여러 가지 동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벌라인(Berlyne)은 이를 크게 생물적 본능과 관계 있는 행위와 생물적 본능과 관계 없는 행위로

23 E. Bruce Goldstein, 정찬섭 외 역, 감각과 지각, 시그마프레스, 1999, p4

24 임승빈, 환경심리・행태론, 보성문화사, 1993, p75

자극선택 자극해석 반 응 자극탐구

자 극

물리적 변수 추상적 변수 상징적 변수

쾌락감 (즐거움, 흥미 로움, 유쾌함) 감각기제 두 뇌

후속반응 매개적 반응

감정적 반응 행동적 반응 구술적 반응 정신생리적 반응

개인적 성격 개인의 판단기준

자극탐구 행위 자 극

환경적 자극

(21)

구분하였다.25 또한 벌라인은 탐구행위의 기능적 측면에 대해 구체적 탐구와 다양성 탐구를 구별26하였는데, 이 중에서 미적 경험을 위한 자극탐구 행위는 생물적 본능과 관계없는 행위로 다양성 탐구와 보다 관계가 깊다. 이것은 “인 간은 생존과는 무관한 ‘아름다움’을 왜 그토록 오랫동안 추구해 왔는가?”라는 오랜 미학적 물음과도 일맥상통한다. 이와 같이 미적 자극탐구 행위는 인간의 생물적 본능과는 무관하며 호기심에 의하여 일어나기 보다는 다양성 추구의 동기로부터 나온다.

2) 자극선택

인간은 특별한 동기가 있다든지, 정서적인 문제(욕구)가 있을 때는 보고 듣는 것이 전혀 달라진다. 인간은 욕구에 부응하는 것을 지각하려고 하는 마 음의 태도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욕구를 만족시킬 것이라고 여겨지는 대상물 을 지각할 가능성이 보다 크다.27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종류의 자극 을 보고, 듣고, 냄새 맡으며, 맛을 보며, 촉감을 느낀다. 그러나 이 모든 자극 에 대하여 동시에 반응할 수 없으며 그 중에서 특정한 자극만을 선택하여 이 에 관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그에 대하여 반응한다. 이와 같은 자극의 선택은 심리학에서 말하는 ‘선택적 주의집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지각의 영향 을 주는 요인 중 인간의 동기나 욕구, 또는 의도에 관계되는 것으로 지각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한편 자극의 특성이 주의집중을 좌우하기도 한다. 즉 빨간색은 파란색보 다 사람들의 주의집중도가 높은 것과 같이 자극특성에 따라서 선택이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은 동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선택한 사물에 대해 특정색이나 형태가 먼저 눈에 보이는 예를 들 수 있다.

25 위의 책, p75

26 탐구를 위한 동기에는 호기심이 있는데, 호기심들이 불확실함을 줄일 수 있는 정보를 얻기 위 하여 더 많은 자극을 탐구하는 행위가 구체적 탐구라면 호기심과는 무관하게 지루함에 의한 매력 적인 자극을 추구하는 행위를 다양성 탐구라 한다.

27 서자영, 지각과 Gestalt 이론에 의한 디자인의 표현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1997, p8

(22)

2) 자극해석

과거의 경험은 대부분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 자극은 경험으로 인해 해석 이 달라지고, 어떤 사건이 외부세계에서 어떤 양상으로 일어날지 기대할 수 있다. 기대감도 하나의 태도이며 무엇을 지각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 자체가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실제로 시폴라(E. M. Siipola)는 실험을 통하여 인간의 기대를 조작하면 지각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28 또한 인간은 자극요소를 개별적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전체적 패턴으로서 이해한다.

게슈탈트(Gestalt) 심리학자들은 자극요소의 다양한 패턴이나 구성이 지각에 현 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인간은 환경과 사물을 받아들임에 있어서 그 요소보다는 패턴을 인지하게 되며, 요소간의 비교 혹은 과거와 현재 경험간의 비교를 통하여 해 석하게 된다.

4) 자극반응

하나의 자극에 대한 개인의 반응은 하나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보통 여러 형태의 반응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후에 일어나는 반응은 자극으 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분 아니라 앞서의 반응에 의하여서도 영향을 받 는다. 앞서의 반응은 외부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후에 일어나는 반응은 근육반 응과 같이 외부적으로 표출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전자나 후자나 모두 공통된 반응의 유형을 지닐 수 있다. 반응의 유형으로는 감정적, 행동적, 구술적 그리 고 정신생리적 반응이 있다.29

이상의 네 단계들은 실제 지각과정에 있어서는 거의 동시에 일어나므로 각 단계 사이의 시간적 경계를 명확히 할 수 없으며, 이들 과정은 반복적, 복 합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미적 지각과 비미적 지각의 과정은 모두 동일한 지

28 서자영, 앞의 논문, p9

29 임승빈, 앞의 책, p78

(23)

각 과정을 거치나, 이 과정 중에서 자극 탐구와 자극 반응에서 가장 큰 차이 가 나타난다.

2-1-5. 지 각 의 양 식

이재국30은 미적 경험이 친숙성, 기억과 연상, 전형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 고 하였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지각은 개인의 경험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 으로, 자극이 미적 반응 과정을 거치게 된 것은 다시 일정한 양식이 되어 개 인의 기억 속에 남게 되고, 이것은 다시 유사한 자극에 접했을 때 미적 반응 을 하기 위한 토대가 된다. 이러한 순환 과정은 인간의 일생동안 반복되어지 면서 지각의 양식으로 자리잡게 된다.

따라서 미적 지각의 양식은 미적 경험을 가져오는 요인과 마찬가지로 친 숙성, 기억과 연상, 전형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그림 2-5> 지각 경험과 양식

1) 친숙성

지각 과정에서 미적 경험은 사람과 대상물간의 친숙성에서 비롯된다. 다 시 말해서 미적 경험은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늘 보는 것이나 사용하고 있는

30 이재국, 디자인 미학, 청주대학교출판부, 2000, p46 전형

연상

기억 친숙성

자극 미적 지각

친숙성

기억과 연상

전형

(24)

각종 생활용품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체험된다. 또한 이것은 인간의 미적 관심 과 관심의 대상이 어느 특수한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활 속에 널리 산재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각은 사람과 대상물과의 친밀한 유대관계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만일 사람과 대상물과의 친밀감이 결여되어 있다면 사람들은 그러한 물건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설령 대상물을 보거나 사용한다 해도 거기에서 즐거운 감정이나 아름다움을 느끼지는 못할 것이다.

친숙성이 결여되어 있을 때 미적인 경험을 하기 어렵다는 것은 다음의 예로서 분명히 드러난다. 만일 음악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는 사람이 처음으 로 교향곡을 듣는다면, 그는 주요 테마를 알아내지 못할 것이며 설령 알아낸 다 해도 그 부분이 지나고 나면 이를 ‘마음에 간직’하지 못할 것이다.31 또한 재미있고 명랑한 작품이라도 이에 친숙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유머가 없는 것 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즉 이것은 그 작품을 이해하지 못하고 작품이 전하는 메시지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이 경우 우리가 미적인 경험을 한다는 것은 매 우 어렵다. 즉 익숙하지도 않고, 알지도 못하며, 친밀하지도 않은 것에서 미적 으로 어떤 특별한 충동을 일으켜 즐거운 감정을 느끼게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 다.

2) 기억과 연상

미라는 것이 형태, 색, 질감 등과 같은 사물이 지니는 질적 속성과 함께 개인의 미적 감각 사이에서 유발되는 주관적인 가치 체계이다. 이는 우리가 흔히 ‘아름답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단지 그 자체가 아름다운 사물을 바라보 고 감지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이 아니라 관찰자 자신과의 관련성을 통해 경험 된 것 임을 의미한다.32 앞의 친숙성에서도 이야기 한 바와 같이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보고 듣는 것과 사용하는 여러 가지 사물에서 자연스럽게 미적 지각 경험을 하게 되고, 이것은 어떤 대상물에 대한 기억과 그 기억에 의한 연상작

31 이재국, 앞의 책, p49

32 김민수, 21 세기디자인문화탐사, 솔, 1997, p84

(25)

용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사물을 지각함에 있어 인간이나 동물 또는 제품과 마주칠 때, 단 순한 객체로만 인식하지 않고 정신적 존재 의미로써 동시에 인식되는 것은, 과거 경험을 통한 의미화 과정에 기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화 과정은 개인의 주관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며, 개인의 다른 주관성 때문에 같 은 사물에 대한 의미 내용이 다르게 형성되기도 한다.33 즉 미적 지각 경험은 개인에 따른 주관적 특성에 기인하여 사물에 대한 의미는 달라진다고 할 수 있으므로 개인이 가지는 경험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3) 전형34

미적 지각 경험은 주어진 모든 상황-사회적, 시대적, 지역적, 경제적, 문화 적, 환경적 상황-에 따라 형성된 서로 다른 ‘전형들’을 통해 서로 다르게 체험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거에는 주문에 의한 일품제작 방법을 통해 서로 다 른 개개인의 취향에 부응할 수 있었으나,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용품들 은 대부분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으로의 생산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을 똑같이 만족시켜 줄 수는 없다. 달리 말하면 한 가지 용품에 대해 모든 사람들은 서로 다른 미적 체험을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모든 디자 인은 다수를 겨냥하지 않을 수 없으나 다수의 개인은 항상 개인차가 있으며, 따라서 그 시대 상황에 따라 평균치에 의한 미적 지각의 표준이 요구되고 있 다.

이러한 미의 전형이 달라지는 것은 미적 가치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벌라 인의 모형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미적 쾌감은 시간이 지나면 점차로 미적 불쾌감으로 전이되는 현상이 발견된다.

33 안철홍, 사용자의 심리적 연상이 제품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논 문, 2000, p7

34 어떤 사항에 관해서 기준 또는 규범이 되는 형식 또는 그 형식을 갖춘 대상

(26)

<그림 2-6> 미적가치의 지속성

(출처 : 조영식, 제품조형의 내구적 속성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30, 1999)

미에 대한 기준이란 지역사회나 문화환경에 따라 천차만별의 양상을 띠 기 때문에 ‘전형적인 미적 기준’을 설정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것은 이 시대에 있어서의 굿 디자인이 미래에도 굿 디자인이라고 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시대의 변천과 기술의 가족적 발전으로 인간의 행태 및 심리가 어떠한 방향으로든 변화할 것이며, 재질에 따른 소재도 급격히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 다. 항상 그 시대에 따라 그 시대의 가치에 맞는 미적 기준은 변하기 마련이 나, ‘객관적 미’를 바탕으로 한 대상물은 변하지 않는 미적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이처럼 미적 지각은 이미 지각된 경험을 통해 반응하며, 또한 지각된 것 은 다시 친숙성과 기억과 연상, 그리고 전형으로 남아 미적 지각 경험의 토대 가 된다.

부정적 미적쾌락의 가치 긍정적

인식시간

(27)

2-2. 디자인

디자인은 사물, 인간, 사회, 자연의 관계가 좋은 면을 지향하는 작업이며, 교육은 이러한 것을 가르치고 생각한 것을 종합하는 능력을 갖게 하려는 것이 다.35 디자인이 가진 특성과 과정은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디자인의 특성과 과정을 살펴보고 인간의 지각 능력이 디자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를 살펴보기로 한다.

2-2-1. 디 자 인 의 특 성

디자인 교육의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디자인이 가진 복합적인 학문 적 성격을 고찰해 보아야 한다.

전통적으로 디자인 행위는 창의성을 필요로 하며 과학과는 거리가 먼 것 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그러나 디자인 행위는 예술, 과학, 수학 등을 조화시켜 서 사용하는 복합적인 활동이다. 주된 상이점은 시간 개념의 차이로 예술가와 과학자는 물질적인 세계를 현존하는 것으로 취급하나 수학자는 역사적 시간과 는 무관한 추상적 관계를 취급하고 있다. 하지만 디자이너는 상상하는 미래와 존재하지 않는 사실을 취급하는 것이 의무이다.36 또한 과학과 디자인이 인간 에게 끼치는 영향을 비교해보면, 과학은 과학자의 사유의 인식활동의 성과를 구현한 것이므로 사람의 사유에 호소하지만, 디자인은 이와 달리 사유와 동시 에 감정에 호소한다. 디자인된 대상은 우리에게 이해와 동시에 체험이 요구된 다. 이것이 디자인의 교육적 작용의 특징이다.

이와 같이 디자인이 가진 여러 학문의 복합적인 성격은 디자인 교육이 다양한 교과 영역의 통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35 이건호, 디자인통론, 유림문화사, 1994, p74

36 J.크리스토퍼 존스, 김재윤 역, 디자인 방법론, 대우출판사, 1993, p24

(28)

<그림 2-7> 예술과 과학의 통합으로서의 디자인

(출처 : Stuart Pugh, Design ・the integrative enveloping culture ・not a third culture, Design Studies, Vol. 3, No.2, April 1982, p95, 김혜숙, 초등학교 디자인 교 육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 1999, p12, 재인용)

<그림 2-8> 모든 학문 분야를 통합하는 디자인

(출처 : 찰스 L.오웬, 정보화사회에 있어서의 디자인 교육, 국제 디자인 세미나, 한국과 학기술원 과학기술대학, 1989, p21, 김혜숙,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 과학기술원, 석사, 1999, p12, 재인용)

다음으로 효과적인 디자인 교육을 위하여 디자인의 본질을 살펴보는 것 이 필수적이다.

빅터 파파넥은 그의 유명한 저서 <인간과 디자인>에서 ‘디자인이란 인간 이 자신의 환경과 나아가서는 그 자신까지도 창조할 수 있는 인류에게는 가장

학문들의 통합적 속성 (Integrative, not separative)

과학 공학 인문학 전문직

미술

디자인 디자인

미술 과학

디자인

미술 과학

디자인

미술 과학

(29)

강한 도구이다37’라고 규정했다. 또한 아처(Archer)는 디자인의 본질을 ‘목적추 구활동’과 ‘변화’의 관점에서 보았다.38 이것은 듀이(Dewey)의 도구주의 철학 사상39과 같은 맥락을 가지며, 디자인 문제에 비추어 볼 때 아처의 관점은 적 절한 것으로 해석되어 진다.

종합해 보면, 디자인의 본질은 한 마디로 ‘인간의 삶을 위해 상호작용하 고 변화(창조)해가는 과정’ 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을 교육하는 것 은 그 내용과 방법 그리고 목적에 따라 사회와 미래를 만들어 나간다는 것이 다.

2-2-2. 디 자 인 과 정 과 창 의 성

창의성은 일반적인 문제해결과는 달리 전에 생각치 않았던 새로운 것을 해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창의성은 우리 주변의 세계를 새롭고 유일한 것으 로 개념화한 것이다. 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 사고의 중요한 인자로서 창조성 (Creativity)은 예술, 과학기술 , 그리고 사회문제의 해결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 있는 착상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독창성과 이에 따른 표현 력으로 확인된다.40

같은 맥락으로 임승빈은 창의성을 ‘사고의 창의성’과 ‘표현의 창의성’으로 구분하였다.41 사고의 창의성은 주로 과학과 관련되어 혁신적인 아이디어 혹은 개념을 도출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다. 이는 보통의 사고방식으로는 도출하기 어려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눈으로 보거나 귀로 들을 수 없 는 주로 추상적인 내용을 말한다. 표현의 창의성은 주로 예술과 관련되어 건

37 빅터파파넥, 이해묵 외 역, 인간과 디자인, 1986, p132

38L.Bruce Archer, “System Method For Designers”, in Developments in Design

methodology(Chister:John Wiley & Sons. 1984), p60-67, 우흥룡, 디자인 사고와 방법, 창미, 1996, p8-9 재인용

39인간은 유기체로서 날 때부터 주위 환경과 더불어 상호작용에 의하여 자연을 정복하고 이용하 여 사회를 발전시켜 가면서 생을 존속해 나간다.

40 우흥룡, 디자인 사고와 방법, 창미, 1996, p59

(30)

축, 미술, 음악 등과 같이 감각기관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는 구체적 내용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다. 사고와 표현의 창의성이 구별되는 것은 같은 아이디어 혹은 개념을 갖고서도 이것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수많은 형태를 지 닐 수 있음에 기인한다.

<그림 2-9> 창의성의 유형

좀 더 구체적으로 디자인 과정을 살펴보면 두 가지 창의성이 필요한 이 유가 더욱 확연해진다. 디자인은 사고를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디자인 과정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분석⇒종합⇒평가(디자인 안의 도출)>의 순서로 이 루어지는데, 프로그래밍 단계는 디자인 컨셉의 도출 및 자료의 수집 단계로 사고의 창의성이 요구되며, 디자인 안의 도출 단계에서는 아이디어 스케치 등 표현의 창의성이 요구된다.

와트(C.R. Watt)는 디자인 과정을 분석 ・종 합 ・평가의 주기를 반복하면서 추상적인 수준에서 구체적인 수준으로 단계적으로 변화함을 제안하였다.42 이 러한 디자인 방법은 구체적인 디자인 과정에서는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며, 이 과정에서는 사고의 창의성과 표현의 창의성이 반복되어 진다. 따라서 디자인 행위의 과정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창의성이 모두 필요하다.

41 임승빈, 앞의 책, p18

42 우흥룡, 앞의 책, p83 창 의 성

디 자 인 사고의 창의성

표현의 창의성

과학

예술

(31)

<그림 2-10> 디자인 과정과 창의성

(출처 : 우흥룡, 디자인 사고와 방법, 창미, 1996, p83, 일부수정)

종합해 보면,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는 사고의 창의성과 표현의 창의성이 모두 필요하므로,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는 적절한 밸런스를 가지고 두 가지의 창의성을 모두 키워주어야 한다.

2-2-3. 디 자 인 에 있 어 서 지 각 의 중 요 성

디자인에 있어서 인간심리의 중요함에 관한 것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 다. 이를 최초로 인식한 사람은 스위스의 건축가 메이어(Meyer)라고 전해지며, 그에 의하여 디자인 교육에서 심리학 강의는 1919 년에 설립되어진 최초의 현 대 디자인 교육 기관인 바우하우스에서 개설되었다. 지각은 인간심리의 한 부 분이므로 디자인에 있어서 지각의 중요성은 디자인에서 인간심리의 중요성을 논하는 것과 같다.

예술적, 미적 대상과 지각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형태, 색채, 리 듬 등 그들이 지닌 가치 있는 고유한 특징들을 지적하면 된다. 그러나 이미 18 세기에 미학에서는 예술작품을 지각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정신적 능력이

평가 종합

분석

사고의 창의성

표현의 창의성

결정의 연속으로서의 디자인 과정에 따라 창의성도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32)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했고43

대다수 미학자들은 이것들에 관한 ‘경험’이 가

치 있는 것이지 사물 자체가 가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믿는다.44 지각의 특징 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간은 대상을 사실 그대로 지각하지 못하고 개개인의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 축적된 지식, 문화체계, 가치관 등과 결합되어 주관적인 평가 및 반응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미적 지각 경험은 미적 대상을 규명한다.

디자인과 예술은 모두 아름다움을 추구한다는 공통적인 측면에서 발달된 지각 능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디자인에서 추구하는 미는 예술에서 논의되 는 주관적인 미의 개념과는 달리 대중들에게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객관적인 미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예술과 다른 객관적인 미 를 추구한다는 것은, 예술보다도 디자인에서 지각 능력이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디자인에서 발달된 지각 능력이 필요한 이유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디자인의 커뮤니케이션 방식

오감이라고 지칭하는 인간의 감각을 둘러싼 사회의 변화는 크게 네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문화적인 것을 향수하기 위해 오감을 추구하는 ‘문 화오감의 추구’, 가상현실 속에서의 오감의 체험을 현실화하고자 하는 ‘전자오 감의 확장’, 현대사회에서 쇠퇴한 감각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기본오감의 회 복’, 그리고 인간을 이성과 감성, 감각을 포함한 복잡한 구조를 가진 존재로서 파악해야 한다는 ‘인간 파악의 전체화’이다. 이 중에서 디자인과 특히 관계가 깊은 것은 ‘문화오감의 추구’이다.45 디자인 언어는 같은 언어체계라는 점에서 구술적(말)이고 문자적인(글) 언어와 유사하지만 동일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43 M.S. 까간, 앞의 책, p119

44 M.M.이턴, 앞의 책, p231

45 안정미, 앞의 논문, p11

(33)

취하지 않는다. 구술된 말은 본질적으로 음성과 같은 소리 신호에 의해 지각 되고, 인쇄된 글은 시각적인 신호에 의해 수용된다. 즉 말 또는 글은 하나 또 는 두 가지의 감각 양식으로 지각된다. 그러나 이미지와 사물에 관여하는 디 자인 언어는 가지각색의 여러 감각양식을 요구한다. 이는 사용의 국면에서 경 험되었을 때 인간의 여러 감각 양식에 대해 계속적인 영향을 가한다는 점에서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46

이렇듯 지각 능력은 사물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또 새로운 커뮤니케이 션을 위한 창조물을 디자인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요구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디자인 과정에서의 창의성

앞에서 디자인 과정은 결정의 연속이라고 하였다. 디자인의 의사결정을 연구한 마커스(Markes)는 디자인의 의사결정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는 4 가지 기본적 정보원으로서 디자이너 ①자신의 경험, ②다른 사람의 경험, ③기존의 연구, ④새로운 연구를 열거했다.47

또한 디자인 이론가 중에서 소수파이지만 중요한 네 사람(Osborn(1963), Gordon(1961), Matchett(1968), Broadbent(1966))은 함축하고 있는 디자인 프로세 스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디자이너 머리속에서 발전하고, 어떤 부분은 자기 자신의 의식적 제어에 도달할 수 없다는 데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 다.48 디자인은 형태와 그 내용에 있어 사물의 본질을 정의하고 지각하는 행위 이다. 디자인은 스케치 또는 드로잉 과정을 통해 자신의 행위를 지각하고 사 유 하지만 그 과정에서 기술적인 문제로 숙고해야 한다. 스케치를 하는 순간 그의 이성은 멈추고 그의 마음의 직관적 부분들이 담당하게 된다.49

이와 같은 것은 앞서 언급한바 있는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표현의 창의

46 김민수, 앞의 책, p66

47 윤내한, 동서양디자인사유의원형 및 미학비교고찰,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1999, p13

48 J.크리스토퍼 존스, 김재윤 역, 대우출판사, 1993, p56

49 김민수, <디자인사고의 패러다임>, 산업디자인 132 호, 1994

(34)

성이 필요한 부분이다. 또한, 달리(J.Daley)는 ‘디자인의 창의성과 그 대상의 이해(Design Creativity and the Understanding of Objects)’라는 그의 논문에서 디자 인의 창의성을 인식론(epistemology)의 영역에서 풀어가야 한다는 전제아래 선 험(先驗)적 지각에 대한 그의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50 여기에서 그는 지각 능 력이 디자인의 창의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51 이와 같 은 연구들에 비추어 볼 때 지각 능력은 디자인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서 창의 성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디자인 형태의 창의적인 개발은 선험적 지각능력의 바탕 위에 주어진 조건을 최대한 활용할 때 가능하고, 디자인 형태의 이해도 이와 같은 관점에 초점을 맞출 때 좀 더 명쾌하게 그 특성이 파악될 수 있고 각각의 형태는 서 로 다른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닐 수 있을 것이다.

3) 개인의 경험 차이로 인한 지각의 불균형

도울 김용옥52은 동양 철학을 바탕으로 디자인은 어울림의 모든 단계에 내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어울림은 기존하는 요소들간의 어울림이 아니다.

어울림의 가장 근원적인 뜻은 우리의 경험의 모든 요소들이 끊임없이 어울림 의 과정 속에 있으며 생멸(生滅)의 연속성에 있으며 모든 체험의 요소 그 자 체가 존재론적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말은 개인의 모든 경험이 어울려 디자인을 하게 되는 바탕이 되는 것을 뜻한다.

어떠한 대상의 이미지를 기억하는 과정에서는 그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50 달리는 보워(DR. Bower)박사가 생후 몇주 안되는 신생아들도 기하학적 도형의 선이 통합되어 지속성을 유지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는 실험결과를 통하여 인간에게는 지속적인 시간과 공간속에 존재하는 3 차원적 대상을 선험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그는 또한 “모든 문법이 생 성되는 근본적인 구조는 특정한 형태의 천성적인 도식체계에 의존하게 되고 이러한 구조는 특정 한 언어를 바탕으로 무한한 변형을 가능하게 해주는 요체가 된다”는 촘스키(Chomsky) 교수의 언 어학에 관한 선험적 특성을 인용하여 지각능력이 디자인의 창의성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51 Janet Daley, “Design Creatively and the Understanding of Objects”, Design Studies, vol.3,no.3,July(UK : Butterworth & Co.,Ltd., 1982), P136-137, 이재국, 앞의 책, p 191-192, 재인용

52 도올 김용옥, <어울림 산조>, 산업디자인, 2000.11 ・12

(35)

어떠한 특성과 대응되는 매체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매체가 무엇이 되고 어 떠한 방법으로 운용되는 것은 개인의 학습정도에 달려 있다.53 인간은 학습이 라는 과정을 통해 대상과 대상들간의 관계를 기억하고, 이 과정에서 개인의 해석이 적용된다. 이와 같은 개인의 해석은 경험에 근거하며, 개인의 경험은 인식의 유형을 선정하는 주요 요소이다.

이러한 경험의 부족이나 불균형으로 지각 능력이 발달하지 않은 사람은 한 번에 한 가지 형태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인다.54 예를 들어 옷을 입 거나, 방을 장식할 때 선택한 각 품목은 그 자체로서 매우 보기 좋을 수도 있 으나 다른 것들과 함께 있어서는 어울리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요소들간의 조 화를 이루게 하는 미적 지각 능력이 부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세가지 측면에서 디자인에서 지각 능력이 차지하고 있는 중요 한 위치를 살펴보았다. 디자인은 인간의 감각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 지고, 디자인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서 개인 자신의 선험적 지각능력이 중요시 되고, 개인의 경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지각의 불균형 현상 등은 디자인 교 육에 있어서 지각 능력을 발달 시켜주는 교육이 필요함을 말해 주고 있다. 따 라서 디자인 교육에서의 지각 교육은 한 곳에 초점을 맞춘 시각이 아니라 복 잡한 관계를 볼 수 있는 맥락적 시각을 발달시키는 데 중요성이 있다. 디자인 의 교육적인 힘은 인간에게 체험, 즉 경험을 야기시킨다는 데 있다. 지각은 우 리가 항상 감각을 통해 경험하는 것이며, 지각 발달을 위한 교육은 이 경험을 풍부하게 함과 동시에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하겠다.

53 김종환, 건축공간 지각특성과 경로탐색(wayfinding)측면을 고려한 건축설계에 관한 연구, 단국 대학교, 박사논문, 1992. 8. p25

54 E. W. 아이스너, 앞의 책, p86

(36)

2-3. 디자인 교육에 있 어 서 지 각 교 육 의 가 능 성

본 연구자는 여기서 지각 발달을 위한 교육을 ‘지각 교육’이라 칭하고자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발달된 지각 능력은 디자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여기서는 교육을 통해 지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봄 으로써 다소 생소한 지각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2-3-1. 지각 교 육 의 이 해

대상에 대한 지각은 보통 제한적이고 단편적이다. 보통 지각은 대상이 어 떤 종류의 것이고, 어떤 효용을 지니는가 하는 것을 단편적으로 확인하는 것 이다. 어린아이는 한 사물이 무엇이고, 무슨 목적으로 사용되는지 등에 대해 힘들게 배워야 하는 반면 성인들은 그렇지 않다. 성인의 지각은 습관에 의해 절약되고 있으며, 그 결과 거의 한 눈에 사물의 정체와 효용을 알 수 있다.55 이렇듯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지각적 경험은 지각에 대한 지식의 도움이나 의 식없이 일어난다. 사물이 지닌 모든 형태들은 보는 사람의 각도에 따라 달라 지고 부분적으로 가려져 있기도 하지만 이러한 대상을 지각하는 것이 하등 문 제가 되지 않는다. 즉 대상을 지각하는 데 있어서 우리는 거의 노력을 기울이 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이유로 특별히 지각의 장애가 없는 한, 일반인에 대한 지각 교육의 필요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앞서 디자인에 있어서는 발달된 지각 능력이 필요함을 언급하였 다. 지각이 발달하는 과정은 매우 미묘한 것들까지 식별해 내는 전문가나 감 정가의 능력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미각 분야에서 포도주 감별사는 대부 분의 사람들이 지나치기 쉬운 포도주의 아주 미묘한 특성까지 발견해 내며 맛 뿐만 아니라, 향기, 색깔까지 감별해 내는 감각들의 발달로 나타난다. 미술비

55 J.Stolnitz, 오병남 역, 미학과 비평철학, 이론과 실천, 1991, p37

(37)

평가와 예술가들은 고도의 세련된 지각능력을 발달시켜 왔다. 미술비평가들은 어떤 화가의 활동이 짧았다고 하더라도 어느 시대의 누구의 작품인지를 구별 할 수 있다. 그들이 시각적 형태를 통해서 보아 왔던 폭 넓은 경험이 그들의 지각능력을 발달시킨 것이다. 또한 지각 발달은 뇌의 움직임과 관련되어서 다 른 영역에도 영향을 미친다. 김연희는 "두정엽이 손상된 실독증 환자는 공간 지각영역의 기능이 떨어져 영어는 읽지만, 한글은 읽지 못할 수도 있다.56"고 했다.

이렇듯 인간의 지각은 뇌의 기억을 통해 차츰 자극을 구별할 수 있게 되 는데, 심리학에서는 이러한 진행과정을 ‘분화’라 한다. ‘지각분화57’는 한 개인 이 어떤 분야에서 전문성을 확장 시킴으로써 더욱 복잡하고 상세한 구별이 가 능하게 되고, 다른 영역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것들은 지각 능력이 교육 을 통해 발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앞서 언급한 대로 디자인의 본질은 ‘인간의 삶을 위해 상호작용하고 변화 (창조)해 가는 과정’이고, 이를 위해 디자인은 ‘의미 있는 질서를 부여하는 의 식적이고 직관적인 노력58’을 하는 과정이다. 디자인이 ‘의미 있는 질서’를 부 여하기 위한 의식적이고 직관적인 노력이라면, 디자인을 교육함에 있어서는

‘의미 있는 질서’에 대한 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러면, ‘의미 있는 질 서’란 무엇인가? 본 연구자는 여기에서 ‘의미 있는 질서’를 ‘미(美)’로 규정하 고자 한다. 앞서 언급한 대로 이것은 예술에서 말하는 주관적인 ‘미’와는 달리 대중들에게 전달 되기 위하여 객관성을 포함하고 있는 ‘미’이다. 이러한 ‘미’

을 발견하고 ‘미’를 재창조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디자인 교육이 가진 가장 중요한 역할인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에서 필요한 지각 능력은 미 적 지각 능력으로, 이것은 환경을 통해 풍부한 미적 경험을 갖음으로써 발달

56 전북의대 김연희 교수팀 연구, 신동호 기자, 과학동아, 2001. 5.

http://my.netian.com/~greatkan/history8/history8-1-40.htm

57 게슈탈트(Gestalt)심리학자들의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성숙함에 따라 외부 환경을 구성하는 여러 특성을 구별하는 능력이 증가되는데 이러한 특질들을 지각하고 비교, 대조할 수 있는 과정 을 지각 분화(perceptual differentiation)라고 한다.

58 빅터파파넥, 앞의 책, p132

참조

관련 문서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te of first aid education completion, knowledge level and abilities

Furthermore, if desirable teachers' images and teaching methods that American, English cultures have like as this study showed are added to English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es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STEAM of middle school students centering on programs where music education

Therefore, it is hoped that appropriate education will be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esign through the opening of the universal design

Therefore, if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tinue to provide child-care center teacher in the next scene, their infants and young

If effective educational research programs with application of museums become activated through museum educ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society, museu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develop and expand SW-based AI education 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Moreover, it describes how this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with referring to studies and literatu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ading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