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지각과 디자인의 본질적 개념에 대한 고찰을 통해 디자인 교 육에서 지각 발달을 위한 교육, 즉 지각 교육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미적 실천 교육과 예술적 통합 교육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지각 교육이 제시 되었는데, 그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 진행 과정과 결과를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과 디자인의 본질적 개념에 대한 고찰을 통해 ‘미적 경험’은 지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아보고, 발달된 지각 능력은 디 자인을 하기 위한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지각 능력을 발달 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고 이것은 ‘미적 경험’을 풍부하게 해주는 것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교육에의 적용 가능 성을 얻었다.

둘째, ‘미적 경험’은 환경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환경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지각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환경과 지각과 디자인의 상호 관계를 알아 보았다. 이를 통해서, 지각 능력은 환경을 통해 발달되는 것이므로 지각 교육은 이를 보완하고 확대시키 는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과, 환경에서 경험하기 힘든 것이나 구체적 인 탐색 행위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셋째, 국가별 환경 특성이 디자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디자 인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환경에 대한 지각 경험이 디자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뒷받침되었다.

넷째, 이러한 연구 과정을 바탕으로 지각 교육의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다.

지각 교육은 두 가지 측면에서 제시되었는데, 우선 지각 능력의 발달을 위한 지각 교육은 현행 교과 과정에서 바로 적용되어 질 수 있는 교육 내용인 미적 실천 교육과 점차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디자인 교육의 통합 교과 과정인 예술 적 통합 교육이다. 이와 같이 미적 실천 교육과 예술적 통합 교육의 측면으로 구분하고, 그 접근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어서 미적 실천 교육과 예술적 통합 교육의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미적 실천 교육은 교육 내용으로서 주제의 선정 단계, 대상의 미적 특질 지각 단계, 응용 단계, 평가 단계를 거치고, 각각 의 세부 내용과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예술적 통합 교육은 교육 과정으로 서 주제 영역 별로, 미적·상징적 표현 영역, 실용적 ・기능적 수행 영역, 과학 적 ・공학적 응용 영역, 예 술 적 ・정서적 태도 영역의 네 가지로 나누고, 그 목 적과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 지각 발달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 대한 연 구는 디자인 교육에서 지각을 발달 시킬 수 있는 발달된 지각 능력을 키워 줌 으로써 디자인의 가치를 바로 볼 수 있는 소비자, 창조적인 디자인물을 생산 하는 디자이너를 키워 미래의 디자인 강대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 하고, 이 논문을 통하여 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기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디자인 교육에서 기초 디자인 교육이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는 점을 상기시켰다는 측면이다.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컴퓨터 위주의 교육이 중요시 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디자인에서 지각 능력의 중요함을 찾고 이를 고찰하 고, 디자인 교육에서 지각을 발달시키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한 것은 앞으로의 디자인 교육 방향에 있어서 기초 디자인 교육이 중시되어야 함에 기 여할 수 있다.

둘째, 디자인 교육에서 지각 발달을 위한 교육의 접근 가능성을 제시하였 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을 기초로 지각 발달을 위한 교육에 대한 연구 가 진행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지각 능력 발달을 위한 지각 교육의 가능성을 토대로 더욱 체계적인 지각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체계적인 지각 교육을 통하여 발달된 지각 능력을 갖춘다면, 디자인 을 진행함에 있어서는 훨씬 효과적이고, 숙달된 디자인을 할 수 있는 토대가 되고, 일반 소비자로서는 잘 된 디자인을 선택할 줄 아는 안목을 키워 주어 디자인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서는 발달된 지각 능력으로 디자인 되어진 환경은 우리에게 다시 미적 경험을 풍부히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어 개인 스스로 발달된 지각 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단 행 본

김민수, 21 세기디자인문화탐사, 솔, 1997 김용옥, 여자란 무엇인가, 통나무, 1994 임승빈, 환경심리・행태론, 보성문화사, 1993 임규혁, 교육심리학, 학지사, 1997

이건호, 디자인 통론, 유림문화사, 1994 이재국, 디자인 미학, 청주대학교출판부, 2000 이희승 감수, 민중에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1999 우흥룡, 디자인 사고와 방법, 창미, 1996

정시화, 산업디자인 150 년, 미진사, 1991

일본건축학회, 배현미 외 역, 인간심리행태와 환경디자인, 2000

E. W. 아이스너,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 역,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 술교육, 예경, 1995

E. Bruce Goldstein , 정찬섭 외 역, 감각과 지각, 시그마프레스, 1999 Robert H. Mckim, 김이환 역, 시각적 사고, 평민사, 1989

M.M.이턴, 유호전 역, 미학의 핵심, 동문선, 1998 M.S.까간, 진중권 역, 미학강의 2, 새길, 1998

J.Stolnitz, 오병남 역, 미학과 비평철학, 이론과 실천, 1991 Jeffrey D. Fisher 외, 환경심리학, 이진환 외 역, 학지사, 1997 J. 리차드 블록 외, 신재원 역, 시각심리학, 도서판국제, 1995 J.크리스토퍼 존스, 김재윤 역, 디자인방법론, 대우출판사, 1993 도널드 노먼, 이창우 외 역, 디자인과 인간심리, 학지사, 1996 아서아사버거, 이지희 역, 보는 믿는 것이다., 미진사, 1997 오미겐타로, 권민 역, 조형심리, 동국출판사, 1996

죠지딕키, 오병남 역, 현대미학, 서광사 1982

죠지딕키, 오병남 역, 미학입문, 서광사, 1983 빅터 파파넥, 이해묵 외 역, 인간과 디자인, 1986

루돌프 아른하임, 김춘일 역,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1995 루돌프 아른하임, 윤현섭 역, 예술심리학, 을유문화사, 1995 루돌프 아른하임, 예술심리학, 이화여자대학교, 1998 사또루 후지, 김복영 역, 미와 조형의 심리학, 조형사, 1994

찰스 왈쉬레거 외, 원유홍 역,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안그라픽스, 1998

논 문

김종환, 건축공간 지각특성과 경로탐색(wayfinding)측면을 고려한 건축설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논문, 1992

김혜숙,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논문, 1999 서자영, 지각과 Gestalt 이론에 의한 디자인의 표현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1997

안정미, 감각기관을 통한 정보의 상호간섭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00

안철홍, 사용자의 심리적 연상이 제품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00

유상준, 전시공간의 공간구성과 지각특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1999

윤내한, 동서양디자인사유의원형 및 미학비교고찰,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1999

이병찬, 에콜로지 디자인 방법으로서의 롱라이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 학교, 석사논문, 1999

지상현, 그림의 지각적 표현양식이 심미적 인상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1996

학 술 보 고 서 및 정 기 간 행 물

이재국, 산업디자인, 산업디자이너-기능과 역할, 월간디자인, 디자인하우스, 1983.4.

조영식, 제품조형의 내구적 속성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30, 1999 권은숙, 초 ・중등디자인교육에 대한 발상 전환과 발전 방향, 산업디자인,

1999. 9 ・10,

김민수, 디자인사고의 패러다임, 산업디자인 132 호, 1994 정도성, 일본의 색채학교, 산업디자인, 1999. 9 ・10, 김용옥, 어울림 산조, 산업디자인, 2000.11 ・12

이건표, 제품의 이미지 평가와 이의 디자인 구현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산업 디자인 128 호, 1993

이수경 외, 한국 디자인 교육의 실태 조사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민경우 외, 미래디자인 가치예측 및 활용기술개발,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산

업자원부 1998

민경우 외, 한국적 디자인의 응용사례 연구, 통상산업부, 1997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 개발연구소, 소비자 선호형태창출을 위한 제품형태 분 석방법에 관한 연구, 1997, p29

웹 사 이 트

경북대학교 곽호완 교수의 지각공학 심리학 (http://pearl.knu.ac.kr)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http://psylab.yonsei.ac.kr)

외 국 서 적

PRODUCTS BY DESIGN 1, GRAPHIS, 1998 GOOD DESIGN, 일본산업디자인진흥원, 1998

ABSTRACT

A Study on Design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erceptive Ability

by Lee, Jung-Eun Depart. of Desig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 Min University Seoul, Korea Advised by Prof. Chung, Do-Sung

Human perception develops through rich aesthetic experience.

Perception can be learned, as men experience an environment. However, the extent to which men develop their perception varies, depending on each environment in which individuals are located. Recent psychological study has made it clear that babies and children exposed to music and paintings tend to develop their perceptive ability considerably faster.

Perceptive ability is a basic condition for perceiving beauty that appeals to human sensitivity, and making creatures that communicate with human beings in the field of design. Therefore, what is required in planning basic design education is an educational approach to develop perceptive ability. This study explores methods of perception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erceptive ability, and it also attempts to suggest new possible approaches for design education.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makes clear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education that i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perceptive ability in design education.

Second, it examines the elements of perception for design and the relations among environment, perception, and design. Moreover, it attempts to prove by showing case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perceiving an environment and design.

Third, it suggests some directions and methods in approaching design education aimed at the development of perceptive ability.

The directions and methods of perception education that are discussed in this paper, are a suggestion of basic methods for how to approach perception education in design education, but they do not specify their targets. So studies on more detailed methods of perception education aimed at specific targets are required. If more systematic education course and content are developed based on the methods of approaching perception education discussed in this paper, it will lead students to

The directions and methods of perception education that are discussed in this paper, are a suggestion of basic methods for how to approach perception education in design education, but they do not specify their targets. So studies on more detailed methods of perception education aimed at specific targets are required. If more systematic education course and content are developed based on the methods of approaching perception education discussed in this paper, it will lead students to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