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9년 주요 업무계획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019년 주요 업무계획"

Copied!
5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9년 주요 업무계획

2018. 12.

[보건복지국]

(2)

순 서

Ⅰ. 일반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Ⅱ. 2018년 성과와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Ⅲ. 2019년 정책 여건과 목표 · · · · · · · · · · · · · · · · · · · · · · ·9

Ⅳ. 2019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 · · · · · · · · · · · · · · · · ·20

(3)

Ⅰ 일반현황

기 구 : 6과 25담당

조직표 월 현재

보 건 복 지 국

공 감 복 지 과 장애인복지과 보훈다문화과 보 건 정 책 과 건 강 증 진 과 위 생 안 전 과 복 지 정 책 담 당

공 감 복 지 담 당 생 활 보 장 담 당 자 활 지 원 담 당 사회서비스담당

장애인정책담당 장애인권익지원담당 장애인자립기반담당 장애인서비스담당

보 훈 지 원 담 당 다문화가족담당 외국인생활지원담당

보 건 정 책 담 당 의 약 관 리 담 당 감염병예방담당 감염병대응담당 국 제 의 료 담 당

건 강 증 진 담 당 정 신 건 강 담 당 만성병관리담당

위 생 정 책 담 당 식생활안전담당 유통식품관리담당 가 공 식 품 담 당 공 중 위 생 담 당

인력(정/현원) : 122/121명 예 산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9년

본예산 2018년

본예산 증감액 증감율

1,373,366 1,222,470 150,896 12.3%

일반회계

848,264 776,526 71,738 9.2%

공 감 복 지 과 387,094 372,788 14,306 3.8%

장 애 인 복 지 과 213,116 184,813 28,303 15.3%

보 훈 다 문 화 과 28,923 28,977 △54 △0.19%

보 건 정 책 과 168,699 142,255 26,444 18.6%

건 강 증 진 과 45,834 43,451 2,383 5.5%

위 생 안 전 과 4,598 4,242 356 8.4%

(4)

주요현황 및 통계

기초생활 수급자

총 계 일반수급자 시설보호자

가 구 인 원 가 구 인 원 인 원 79,537 107,976 69,715 103,154 4,822

(2018년 11월말, 단위 : 명)

사회복지시설

구 분 이 용 시 설 생 활 시 설

총 계 사 회

복지관 광역‧지역자활센터 쪽방 상담소

노숙인 시설

재활 요양 자활

40 33 19 12 1 7 1 3 3

(2018년 11월말, 단위 : 개소)

장애인 현황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정신 신장 심장 호흡기 간 안면 장루요루 뇌전 141,514 70,188 13,230 13,733 18,702 1,305 10,086 1,409 4,701 5,294 237 649 616 141 828 395

(2018년 11월말, 단위 : 명)

※ 2017년말 138,304명 대비 3,210명(2.32%) 증가

장애인 복지시설

총계

장 애 인 거 주 시 설 장 애 인 이 용 시 설 직 업 재 활 시 설 생산품 판 매 시 설

거주 (생활)

시설 개인 운영 시설

단기 거주 시설

공동 생활 가정

지 역 사 회 재 활 시 설 의료 재활 시설

소계 복지관 주간보호 기타

(2018년 11월말, 단위 : 개소)

(5)

보훈대상자 현황

구 분 총 계 국가유공자 보훈보상대상자 특수임무유공자 민주유공자

계 37,057 36,365 222 379 91

본인 26,986 26,472 184 253 77

유족 10,071 9,893 38 126 14

(2018. 11월말, 단위 : 명)

외국인 및 결혼이민자 현황

( 단위 : 명 )

구분 주민등록 인 구

외국인주민 총 계

(비율)

국 적 미 취 득

국적 취득

외국인 자 녀 소계 외국인 (출생)

근로자

결 혼 이민자

외국인 유학생

기 타 외국인

외국국적 동포

전국 51,422,507 1,861,084(3.6%) 1,479,247 495,792 160,653 117,127 428,925 276,750 169,535 212,302

인천 2,925,967 104,441(3.6%) 79,170 23,783 10,143 3,268 27,147 14,829 12,483 12,788

※ 다문화가족정책대상(22,626명) : 결혼이민자 10,143명, 국적취득자 12,483명

※ 외국인주민 현황조사(행정안전부, 2017.11.1.기준)

의료기관 현황

병‧의원 치 과

병‧의원 한 방

병·의원 요 양 병 원 종합병원 병 원 의 원

3,254 19 60 1,522 907 673 73

(2018. 11월말, 단위 : 개소)

의약품 판매업소 현황

약 국 의약품

도매상 한약업사 의료기기 판매업

안전상비 의 약 품 (2018년 11월말, 단위 : 개소)

(6)

정신건강증진시설

(2018년 11월말, 단위 : 개소)

광 역 정신건강 복지센터

기 초 정신건강 복지센터

광역자살 예방센터

중독통합 관리센터

정신요양 시 설

정신재활시설

생활 이용

29 1 10 1 5 2 6 4

치매관련시설

(2018년 11월말, 단위 : 개소)

광역치매

센 터 치매안심

센 터 치매안심

돌봄터 치매전담형

주야간보호시설 치매안심 학 교

25 1 10 11 2 1

식품·공중 위생업소 현황

식품접객업소 집단급식소 식품제조․

가공업소 식품판매업소 공중위생업소 63,998 40,024 2,804 4,303 4,892 11,975

(2018년 11월말, 단위 : 개소)

(7)

Ⅱ 2018년 성과와 평가

주요성과

◦ 복지정책 연구개발을 위한 인천복지재단 설립과 희망잡(job)아! 프로젝트 추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및 SOS안전벨트 지원 등 다양한 복지사업을 추진하여「복지특별도시」구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고, 상시 돌봄이 필요한 최중증 장애인의 24시간 활동지원 시범실시와 시각 장애인복지관 증축을 위한 특별교부세 확보 등 장애인복지 인프라 확충 및 장애인복지 발전에 노력하였음. 아울러 다양한 호국보훈 시책 및 선양

사업을 비롯하여 우리시가 갖고 있는 역사성을 반영한「호국보훈의 평화 도시, 인천」을 조성하기 위해 기반을 다지는 한해였음.

또한, 의료취약계층에게 검사부터 치료, 호스피스, 장례 등 원스톱서비스 제공과 무료 건강검진 및 암환자 진료비를 10,544명에게 지원하여 인천형 의료복지 구현을 실현하였고, 메르스 확산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과 빈틈없는 방역체계로 메르스 청정도시를 유지하였으며, 인천의료 관광안내센터 해외거점을 개소 호점 하는 등 외국인환자 유치증대 활동을 효과적으로 추진하였음.

◦ 아울러, 금연 지원(23천명), 비만 예방 등 건강생활 지원과 정신·자살 및 치매, 암·심뇌·희귀질환 등 중증질환 및 만성질환3에 대해 체계적으로 예방·관리하여 보건복지부로부터 우수기관상을 수상하였음

◦ 식중독 발생에 대한 선제적 예방과 어린이 급식관리 지원센터 운영 내실화를 통한 소규모 급식시설 관리체계 확립으로 식생활 위생안전을 강화하여 국정시책 합동평가에서“가”등급을 받았으며, 도서별 특화음식 개발․

(8)

평가 및 개선방향

◦ 인천복지재단의 출범을 위해 연말까지 인적구성을 완료함으로써 시민이 필요로 하는 복지정책 연구가 활발히 수행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우리시 특성을 반영하여 인천시민 누구나 어디서나 인간다운 적정수준의 삶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는 복지기준선 설정, 복지사각 지대 해소를 위해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제공, 혹서기·동절기 대비 쪽방촌 등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대책 추진과 신속한 긴급 복지지원 등 맞춤형 복지정책을 개발하여 추진할 계획임.

◦ 장애인과 비장애인 단체가 함께 모여 준비한‘행복 & 화합 문화 한마당’과

‘2018 장애인 행복나눔 페스티벌’을 통해 장애인들의 능력이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식시켰으며, 향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문화예술 활동 지원이 확대 추진되어야 할 것임.

◦ 또한, 일반주택을 이용하여 장애인 스스로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자립생활을 지원한 사업은 수혜자들로 부터 높은 만족도를 얻는 만큼 지속적으로 확대가 필요함.

◦ 결혼이민자의 국내 거주 장기화에 따라 경제·사회적 욕구가 점차 증가되고 있으므로 결혼이민자의 다양한 요구에 만족할 수 있는 실용 적인 한국어 심화교육, 학력신장(검정고시) 등 개인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

◦ 응급의료 서비스의 체계를 보다 공고히 구축하여 재난발생시 응급의료 기관 후송까지 응급의료 지원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체계화된 의료 재난 대처훈련을 보강해야 함.

◦ 건강한 도시 인천을 조성하고 시민이 체감하는 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해 흡연, 비만, 우울감 등 체감지표를 중점적으로 개선하고 치매전담시설

확충 및 인프라 구축을 강화할 계획임.

(9)

Ⅲ 2019년 정책 여건과 목표

정책 여건

(복지) 시민들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다양한 복지욕구가 표출되고 있어, 이에 상응하는 복지정책의 요구가 고조되는 시기에 인천복지 재단의 출범으로 우리시 실정에 적합한 복지정책의 연구·개발이 가능 하게 되었음.

보훈 다문화 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주년을 맞는 년에는 안보와 역사정체성을 뒷받침하고 균형 있는 보훈정책 발굴이 요구되며 결혼이민자의 국내 정착기간 장기화로 일자리 사업 및 건강하게 자녀를 성장시킬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하게 되었음 최근 이슈 되었던 다문화 학생에 대한 학교폭력 문제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인식개선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차별 없이 열린 마음으로 다문화가족을 이해 하자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음

보건 건강 지역 계층 간 의료서비스 격차해소 및 공공보건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재난대비 체계적 응급 재난의료 대응 체계가 필요함 또한 의료관광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한 국가 및 도시간 외국인 환자유치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추세임.

인구고령화 및 만성질환자 증가로 건강 수명 연장에 대한 수요증가에 따라 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건강관리 지원체계 강화 및 흡연율, 비만율 등 시민체감 건강지표 개선이 필요함.

인 가구 맞벌이 가구증가에 따라 배달음식 등 외식문화가 확산되고

(10)

정책목표

비전 건강하게 살고 싶은 복지 특별도시 구현

목표 누구나 누리는 복지서비스로 행복한 인천

인천시민과 함께 만드는 복지특별도시

인천복지기준선 설정으로 적정한 삶의 질 보장 복지사각지대 방지를 위한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구축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과 지위 향상 지원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행복한 도시

인간다운 삶을 위한 생활안정 지원

지역사회 재활시설 서비스 지원과 권익증진 거주시설 지원을 통한 자립기반 강화 및 사회참여 확대

4 장애인가족이 행복한 맞춤형 복지사업 추진

호국·보훈 평화도시 및 함께하는 다문화 사회구현

국가보훈대상자 헌신에 대한 합당한 예우와 선양 참여와 공존의 열린 다문화사회 구현

외국인주민 지역사회 적응 지원

공공보건의료 책임성 강화를 통한

시민의 필수의료 보장

인천의료원 기능보강

농어촌(강화·옹진) 의료서비스 지원

시민 중심의 체계적인 응급의료시스템 관리 강화 감염병 발생 예방 활동 및 대응 체계 강화

국·내외 타켓마케팅을 통한 외국인환자 유치 증대

모두가 누리는 건강 행복도시 인천

건강생활실천으로 시민체감 건강도시 구현 통합적 정신건강관리로 행복도시 인천 구현 맞춤형 만성질환 관리로 시민건강수준 향상

먹거리 및 생활 속

시민과 소통하는 위생행정 구현 안전한 식생활 위생환경 조성

(11)

주요사업별 지표

□ 총괄표

단위 백만원 시정

방침

주요

전략 추진사업명(주요과제) 신규/

계속 사업기간 총사업비

(국비포함)

국가 지원

풍 요 로 운 시 민 의 삶

소외 없이 누리는 맞춤형

복지

- 사회복지시설종사자 처우개선 계속 2016-2020 14,600

-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강화로

맞춤형 복지실현 계속 2016-2020 13,905 보 건 복지부 - 맞춤형 복지서비스 강화 및

근로빈곤층 자활지원 계속 지속 282,309 보 건

복지부

3개 시 책 사업비 계

장애인과 비장애인

이 함께 행복한

도시

- 인간다운 삶을 위한 생활안정 지원 계속 지속 72,535 보 건 복지부 - 거주시설 지원을 통한 자립기반

강화 및 사회참여 확대 계속 지속 34,871 보 건 복지부 - 장애인가족이 행복한 맞춤형

복지사업 추진 계속 지속 73,881 보 건

복지부

3개 시 책 사업비 계 181,287

호국·보훈 도시 및 함께하는

다문화 사회 구현

- 국가보훈대상자 헌신에 대한

합당한 예우와 선양 계속 지속 25,066

- 참여와 공존의 열린 다문화사회 구현 계속 지속 3,516 여 성 가족부

- 외국인주민 지역사회 적응지원 계속 지속 313

(12)

시정

방침 주요

전략 추진 사업명(주요과제) 신규

/계속 사업기간 총사업비

(국비포함) 국가 지원

풍 요 로 운

시 민 의 삶

공공보건 의료 책임성 강화를 통한 시민의 필수의료

보장

- 인천의료원 기능보강 신규 2019-2021 11,610 보건 복지부 - 농어촌(강화·옹진) 의료서비스 지원 계속 지속 5,639 보건

복지부 - 시민 중심의 체계적인

응급의료시스템 관리 강화 계속 지속 8,530 보건

복지부 - 감염병 발생 예방 활동 및 대응

체계 강화 계속 지속 2,556 관리본부질병

- 국내·외 타겟마케팅을 통한

외국인 환자 유치 증대 계속 지속 883 -

5개 시책 사업비 계 29,218

모두가 누리는 건강 행복도시

인천

건강생활 실천으로 시민체감

건강도시 구현 계속 지속 7,066 보 건

복지부 통합적 정신건강관리로 행복

도시 인천 구현 계속 지속 25,456 보 건

복지부 맞춤형 만성질환 관리로 시민

건강수준 향상 계속 지속 12,773 보 건

복지부

3개 시책 사업비 계 45,295

특별시민이 공감하는 선진 음식 문화 조성

- 시민과 소통하는 인천음식문화 조성 계속 지속 77 식약처

- 안전한 식생활 환경조성 계속 지속 303 식약처

- 건강급식관리 공공성 제고 계속 지속 4,138 식약처

- 공중위생서비스 체계 구축 계속 지속 80 보 건

복지부

4개 시책 사업비 계 4,598

(13)

□ 사업별 세부지표

❍ 공감복지과

추진사업

(주요과제) 지 표 단위 2018 2019 2020

인천복지기준선 설정 및 복지시설 종사자

처 우 개 선

ㅇ 추진위원회, 시민평가단 구성

ㅇ 사회적 합의(워크숍, 시민대토론회) % 10 80 100

ㅇ 종사자 처우개선 종합계획 수립 ㅇ 대체인력지원센터 운영 활성화

% 백만원

50 2.0

100 2.6

정상운영

2.8

저 소 득 층 생 활 안 정

ㅇ 저소득층 생활안정 지원 (백만원)가구 75,806

(272,954) 77,193

(278,091) 78,351 (282,262)

ㅇ 복지사각지대 발굴 25,000 26,000 27,000

민 ·관 협 력 을 통 한 맞 춤 형

복 지 서 비 스 강 화

ㅇ 복지포털 ‘행복나눔 인천’ 운영

(나눔연계) 건수 7,500 8,000 8,500

ㅇ 사회복지관 운영 개소 20 21 22

ㅇ 기부식품 제공사업 운영 개소 27 27 27

ㅇ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운영 만명 10.7 11 11.5

저 소 득 층 맞 춤 형 복 지 ‧고 용 , 탈 빈 곤 지 원

ㅇ 자립‧자활 지원대상 확대 및 관리 강화 2,500 2,500 2,550

ㅇ 일하는 저소득층의 자산형성 지원 가구 3,700 3,700 3,800

ㅇ 노숙인 등 복지시설 지원 개소 7 7 7

(14)

❍ 장애인복지과

추진사업

(주요과제) 지 표 단위 2018 2019 2020

인간다운 삶을 위한 생활안정

지원

ㅇ 장애인연금 수급자 지원 명 18,605 19,414 19,802 ㅇ 장애수당(기초) 지원 명 13,752 13,827 14,074 ㅇ 장애수당(차상위) 및 장애아동수당 지원 명 5,804 6,180 6,297 ㅇ 생계보조수당 지원 명 7,450 7,553 7,749 ㅇ 장애인 일자리 지원 명 1,489 1,609 1,676

지역사회 재활 서비스 지원과

권익증진

ㅇ 지역사회재활시설 인프라 확충 개소 64 64 64 ㅇ 인권침해 예방 및 인식개선 교육

활동 강화 명 2,100 2,300 2,500

ㅇ 장애인자세유지기구 보급사업 명 358 360 360 ㅇ 장애인보조기구 A/S센터 운영 명 1,000 1,050 1,100

거주시설 지원을 통한 자립기반 강화 및 사회참여

확대

ㅇ 장애인 거주시설 지원 개 72 71 71 ㅇ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역량 강화 개 23 25 27 ㅇ 장애인단체 활성화 지원사업 백만원 1,268 1,389 1,400

장애인 가족이 행복한 맞춤형 복지사업 추진

ㅇ 중증 장애인 활동지원 명 4,500 4,600 4,700 ㅇ 장애인가족지원 명 2,000 2,500 2,500

(15)

❍ 보훈다문화과

추진사업

(주요과제) 지 표 단위 2018 2019 2020

국가보훈대상자 헌신에 합당한

예 우 와 선 양

ㅇ 국가보훈대상자 수당 등 지원 명 25,190 25,630 25,020

(위문금, 참전수당, 사망위로금 등 지원액) 백만원 (20,516) (20,343) (19,164)

ㅇ 보훈단체 운영 및 사업 지원 백만원 527 532 537

ㅇ 보훈 및 현충시설 관리운영 지원 백만원 490 443 443

참여와 공존의 열린 다문화 사회

구현

ㅇ 학력신장(검정고시) 사업 명 65 80 80

ㅇ 위기가정 가족치료 지원 가정 40 40 40

ㅇ 다문화가족 아동 발달장애

정밀검사 지원 사업 명 77 92 95

외국인주민지역 사회적응지원

ㅇ 외국인종합지원센터 이용 연인원 명 6,535 6,700 6,800

ㅇ 외국인주민 정착지원 우수사업 공모 건 16 16 16

ㅇ 세계인의 날 행사 개최 명 3,000 3,000 3,000

(16)

❍ 보건정책과

추진사업

(주요과제) 지 표 단위 2018 2019 2020

인 천 의 료 원 기 능 보 강

ㅇ공공의료 호스피스 병동 증축 병상 - 착공 완공

(운영개시) ㅇ수술실 및 진료지원 장비 지원 대 - 15 20

농어촌(강화·옹진) 의료서비스 지원

ㅇ농어촌 보건소등 신축 및 개·보수 개소 1 5 5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해당)

시민 중심의 체계적인 응급의료시스템

관리 강화

ㅇ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

(교육의무 대상자) 명 2,500 3,000 3,500 ㅇ응급의료 전용헬기 인계점 확대 개소 58 65 68

ㅇ공공 심야약국 운영 개소 0 3 5

감염병 발생 예방 활동 및 대응

체계 강화

ㅇ결핵 발생률 (10만명당) 명 50.5 48 45

ㅇ영유아 완전접종률 % 90.9 91.0 91.2

ㅇ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 상시 가동 개소 3개소 3개소 3개소 ㅇ해외유입 감염병 추적관리 % 100% 100% 100%

국·내외 타겟 마케팅을 통한

외국인 환자 유치 증대

ㅇ 외국인환자 유치 실적 명 18,000

(추정) 20,000 23,000

(17)

❍ 건강증진과

추진사업

(주요과제) 지 표 단위 2018 2019 2022

건 강 생 활 실 천 으로 시민체감 건 강 도 시 구 현

ㅇ 비만율 % 29.8 30.8 30.8

ㅇ 걷기 실천율 % 47.3 47.8 48.5

ㅇ 흡연율 % 22.5 22.3 21.5

통합적 정신건강 관리로 행복도시 인천 구현

ㅇ 정신건강 인프라 확대 개소 29 29 30

ㅇ 자살률 (인구 십만명당) 명 23.5 23 22

ㅇ 치매 등록관리율 % 52 55 60

맞춤형 만성질환 관리로 시민건강 수준 향상

ㅇ고혈압 · 당뇨병 등록관리 명 296,798 300,000 310,000

ㅇ방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가구 36,513 37,000 40,000

ㅇ취약계층 건강검진 명 479,567 527,840 558,000

ㅇ암환자 및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 명 4,459 4,900 5,300

(18)

❍ 위생안전과

추진사업

(주요과제) 지 표 단위 2018 2019 2020

소통하는 위생행정 구현

ㅇ 해노랑 판매 업소 수 개소 10 20 40

ㅇ 맛 집 발굴 구역 선정 구역 4 8 12

ㅇ 위생민원 실태 조사 명 500 - -

안전한 식생활 위생환경 조성

ㅇ 식중독 발생 저감화 명 262 300 300 ㅇ 식중독 발생 우려업소 집중관리 개소 10,642 10,000 10,000 ㅇ 국내 · 국제행사 식음료 안전 검식 지원 명 29,242 25,000 25,000 ㅇ 유관기관 합동점검 및 기획단속 개소 650 770 800 ㅇ 식품제조업소 지원 및 현장코칭 개소 90 180 200 ㅇ 국내·외 식품업체 판로개척 개소 160 165 170

건강급식관리 공공성제고

ㅇ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 관리수 명 70,600 72,000 73,000 ㅇ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활동 내실화 회 10,813 11,057 11,300 ㅇ 다소비 유통식품 수거 검사 부적합률 % 0.73 0.70 0.67

공중위생서비스 체계 구축

ㅇ 우수 공중위생업소 발굴 육성 개소 353 353 363

ㅇ 공중위생업소 위생서비스 수준 평가 개소 2,957

(숙박,목욕,세탁) 8,382

(이용,미용) 2,957

(숙박,,목욕,,세탁)

ㅇ 토탈미용 아카데미 운영 명 40 40 43

(19)

주요 관리지표 (2022년 인천의 변화)

연번 지표명 단위 2017 2018 2019 2020 2022 특광역시 비교 1 기초생활보장수급자수

* 근거 : 사회보장정보시스템 명 98,789 107,976 109,596 111,240 114,603 17년 4위 2 장애인고용률

* 근거 : 통계청 % 3.14 3.15 3.16 3.17 3.18 17년 5위 3 국가보훈대상자 기본현황

* 근거 : 국가보훈처통계 명 37,440 37,057 36,700 36,350 35,650 17개시도중 7번째 4 참전유공자 현황

* 근거 : 국가보훈처통계 명 17,706 17,020 16,340 15,660 14,300 17개시도중 6번째 5 외국인주민 현황

* 근거 : 행정안전부 현황 공표 명 94,670 104,441 113,840 124,085 147,424 17개시도중 5번째

6 비만율

* 근거 : 지역사회 건강조사 % 29.8 30.8 30.8 30.8 30.8 17년 1위 7 EQ5D 지표

* 근거 : 지역사회 건강조사 점 0.953 0.955 0.957 0.960 0.961 17년 8위 8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율

* 근거 : 지역사회 건강조사 % 43.3 43.4 43.5 43.6 43.7 17년 6위

9 흡연율

* 근거 : 지역사회 건강조사 % 22.7 22.5 22.3 22.0 21.5 17년 1위 10 스트레스 인지율

* 근거 : 지역사회 건강조사 % 28.6 28.3 28 27.7 27.5 17년 2위 11 월간음주율

* 근거 : 지역사회 건강조사 % 64.0 63.5 63 62.5 62 17년 1위 12 고위험음주율

* 근거 : 지역사회 건강조사 % 20.4 20.2 20 19.8 18.5 17년 1위 13 혈압 수치 인지율

* 근거 : 지역사회건강조사 % 62.2 62.5 63.0 63.5 64.5 17년 1위 14 혈당 수치 인지율

* 근거 : 지역사회건강조사 % 20.6 21.0 21.5 22.0 23.0 17년 2위

(20)

Ⅳ 2019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핵심(현안)과제> ··· 21

1. 인천복지기준선 설정 (신규) ··· 22

2. 장애인 복지향상을 위한 복지관 기능강화 (신규) ··· 23

3. 공공보건의료 확충을 통한 보편적 의료이용 보장 ··· 24

<공감복지과> ··· 25

1.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과 지위향상 지원 ··· 26

2.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강화로 맞춤형 복지실현 ··· 27

3. 맞춤형 복지서비스 강화 및 근로빈곤층 자활지원··· 28

<장애인복지과> ··· 29

1. 장애인 경제자립기반 강화 일자리 창출 ··· 30

2.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맞춤형 지원 확대 (신규) ··· 31

3. 일자리 복지를 통한 자립생활 지원 및 이동환경 개선 (신규) ··· 32

<보훈다문화과> ··· 33

1. 국가보훈대상자 헌신에 대한 합당한 예우와 선양··· 34

2. 참여와 공존의 열린 다문화 사회 구현 ··· 35

3. 외국인주민 지역사회 적응지원 ··· 36

<보건정책과> ··· 37

1. 시민 중심의 체계적인 응급의료시스템 관리 강화 ··· 38

2. 감염병 발생 예방 활동 및 대응 체계 강화 ··· 39

3. 국내·외 타켓마겟팅을 통한 외국인 환자 유치 증대··· 40

<건강증진과> ··· 41

1. 건강생활실천으로 「시민체감 건강도시」 구현 ··· 42

2. 통합적 정신건강 관리로 행복도시 인천 구현 ··· 43

3. 맞춤형 만성질환 관리로 시민건강 수준 향상 ··· 44

4. 아동 치과주치의 제도 및 저소득 어르신 틀니 지원 추진··· 45

<위생안전과> ··· 46

1. 시민과 소통하는 위생행정 구현 ··· 47

2. 안전한 식생활 위생환경 조성 ··· 48

3. 아이부터 노인까지 건강식생활 환경 조성 ··· 49

4. 깨끗하고 쾌적한 공중위생서비스 체계 구축 ··· 50

(21)

핵심(현안)과제

인천복지기준선 설정 [신규]

장애인 복지향상을 위한 복지관 기능강화 (신규) 공공보건의료 확충을 통한 보편적 의료이용 보장

(22)

1 인천 복지기준선 설정 [신규]

◇ 시민 누구나, 인천 어디서나, 인간다운 적정수준의 삶의 질 보장

◇ 복지 특별시 구현을 위한 민선7기 복지분야 핵심공약

□ 사업개요

◦ 설정분야 : 6개 분야 (소득, 주거, 돌봄, 건강, 교육, 사회적 경제) ◦ 설정기준 : 최저기준 및 적정기준

◦ 사 업 비 : 240백만원 [출연금(연구용역) 200, 시민평가단 운영 40]

□ 추진방향

◦ 추진위원회 구성·운영 : 2019. 1~12월 - 분과위원회 : 7개 분과 80명 내외 - 지원TF : 7개 분과 30명 내외 - 분과별 토론회, 포럼 등 운영 ◦ 연구용역 (복지재단) : 2019. 1~12월

- 6개 분야에 대한 복지욕구 조사 및 분석

- 군·구별 복지재정 현황과 격차 원인분석, 격차 완화 방안 - 핵심적인 복지사업 및 성과지표 결정 등

◦ 시민공감대 형성 : 2019. 2~12월

- 대 토론회, 세미나 : 타 지자체 연구진 초청 - 정책워크숍, 설명회 : 분과별, 권역별

- 시민 평가단 운영 : 시민, 군구공무원, 시설종사자 등 30명내외 - 온라인 의견수렴 : 홈페이지 배너 설치

◦ 분야별 기준선 설정 : 2019. 9~12월 - 현실진단 ⇨ 최저기준 ⇨ 적정기준

- 성과지표 ⇨ 중점사업 ⇨ 연차별 시행계획(5개년도) ◦ 확정 발표 : 2020. 7월

□ 향후계획

◦ 기준선 확정 후 계획 : 실행사업비 추계

(23)

2 장애인 복지향상을 위한 복지관 기능강화(신규)

◇ 시각장애로 불편을 겪고 있는 시각복지관의 교육환경 개선과 장애인 복지관 내진 보강을 통한 안전성 확보로 장애인 복지향상에 기여

□ 사업개요

추진방향

- 내진설계가 미적용된 장애인복지관에 대한 안전성 확보 - 시각복지관 환경개선으로 복지수요의 능동적 대처

사업개요

- 복지관 환경개선(내진보강) - 시각장애인복지관 강당 증축

□ 추진현황

장애인복지관 내진보강

- 2018. 9. : 내진성능평가 용역비 예산 확보(39백만원) - 2018. 10. : 내진성능평가 용역 시행(2개소)

시각장애인복지관 증축

- 2018. 9. : 지역현안 특별교부세 교부(7억원) - 2018. 12. : 증축 사업비 재배정(종합건설본부)

□ 향후계획

공유재산심의 설계 및 공사 준공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교부 신청

(24)

3 공공보건의료 확충을 통한 보편적 의료이용 보장

◇ 공공보건 의료기관 기능강화로 공공보건의료서비스 기반 확충

◇ 의료취약지역 및 취약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 격차 해소

□ 공공보건의료기관 기능 및 역할 강화

인천의료원 기능 보강

- 인천의료원 시설 보강 및 장비 현대화

(중앙공급실 현대화, 호스피스 병동 증축, 의료장비 29종 교체) - 사 업 비 : 11,610백만원(국 5,805 시 5,805)

제 의료원 건립 타당성 연구 용역

- 현 의료원 기능전환 및 제2의료원 건립 타당성 조사 및 연구 - 사 업 비 : 80백만원(시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운영

- 인천광역시 공공보건의료 정책 및 기술지원 - 사 업 비 : 400백만원(시비)

□ 의료취약계층 의료지원

의료급여사업 의료급여 수급권자 명 - 사 업 비 : 백만원 국 시

취약계층 암 및 중증질환자 치료지원

- 저소득층(건강보험하위 50%) 암확진 환자 본인 부담금 지원 및 중증 질환자 무료 수술

- 사 업 비 : 1,000백만원(시비) 보호자 없는 병원 운영

- 국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외 대상자인 보훈대상자, 노숙자, 외국인등 중심으로 「간병서비스」 지원

- 사 업 비 : 604백만원(시비)

□ 의료취약지역 건강격차 해소 및 지원

◦ 농어촌 의료서비스지원 사업

- 보건기관 신축(보건소1,보건지소2,진료소1), 개보수(보건지소1)장비구입 8종 - 사 업 비 : 5,639백만원 (국 4,485 시 1,154)

도서지역 순회 진료(옹진군)

(25)

공감복지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과 지위 향상 지원

복지사각지대 방지를 위한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구축

맞춤형 복지서비스 강화 및 근로빈곤층 자활지원

(26)

1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과 지위 향상 지원

종사자 처우개선을 통해 시민에게 양질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인건비 국 시비 지원시설 개소 명

□ 2019년 달라지는 사업 (신규)

복지점수 지원 : 인건비(국·시비)지원시설 정규직 (573개소 3,697명) - 10호봉 미만 : 연 15만원, 10호봉 이상 : 연 20만원

유급병가 확대 : 시비 인건비 지원시설 정규직(연10일→연 60일 범위) 특수지 근무수당 지원 : 교통·교육·문화시설이 열악한 지역 근무자 - 강화·옹진지역 중 일부 → 갑지 월5만원, 서해5도 → 월20만원

사회복지사 보수교육비 지원 명 천원 인천사회복지사협회 종사자 처우개선 실태조사 연구 및 종합계획 수립 (매 3년마다 실시) - 수행기관 : 인천복지재단

- 일시 및 예산 : ‘19. 3월, 20,000천원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사처우개선 위원회 운영을 통한 민관협의 -‘18년 제1차 사회복지사 처우개선 위원회 개최 : ‘18.11.22.(목)

□ 지속 추진사업

2019년 지방이양시설 보건복지부 인건비 가이드라인 100% 준수

장기근속 휴가제도 운영: 인천시소재 사회복지시설 등 10년이상 장기근속자 - 유급휴가 일수 : 10년 이상부터 기간별 5 ~ 20일

사회복지종사자 해외 선진지 견학 : 60명, 인천사회복지협의회

□ 대체인력지원센터 운영 활성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연차, 보수교육, 경·조사, 대체휴무 등에 따른 업무공백 발생시 대체인력지원센터의 인력 파견 : 연중

(27)

2 복지사각지대 방지를 위한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구축

◇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강화로 위기가구 발굴 등 복지사각지대 해소

◇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맞춤형 급여지원 및 관리

□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추진 (신규)

읍면동별 특화된 맞춤형 복지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 수행기관 : 인천복지재단

- 주요내용 : 읍면동별 복지환경, 복지수요 및 서비스 실태파악 등 - 활용방안 : 읍면동별 복지행정 체계구축 기초자료로 제공

복지 플랫폼 운영

- 복지재단 홈페이지 구축시 인천복지 플랫폼 기능 반영 - 구성메뉴 :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 맞춤형 급여 지급기준 완화

부양의무자 기준완화로 비수급 취약계층 해소

기초수급자 증가에 따른 지원 확대 천명 천명

- 수급자수는 9% 증가, 기초생활수급비 2,781억원 (전년대비 114억원 증) - 잠재적 취약계층의 적극 발굴로 안정적․체계적 지원

□ 취약계층 복지사각지대 발굴·지원 확대

제도권 긴급복지 지원

- 갑작스러운 위기사유 발생으로 생계유지 등이 곤란한 가구 지원 : 소득, 재산 등 지원조건 충족자 (10,784백만원)

- 일반재산 합계액 기준 완화 대도시 만원 만원 인천형 복지안전벨트 사업

- 제도내에서 지원받기 어려운 위기가구에 대한 인천만의 특화된 신속지원 제도 : 2,500가구 (1,500백만원)

긴급복지 재산기준 완화에 따라 복지안전벨트도 재산기준 완화 추진

신 규 명예 사회복지공무원 구성 운영

(28)

3 맞춤형 복지서비스 강화 및 근로 빈곤층 자활 지원

◇ 민간-공공 협력 네트워크 구축과 지역특성을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복지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주민 체감 만족도 향상

◇ 근로능력 있는 저소득층의 근로능력 배양 및 근로기회 제공을 통해 복지-고용을 연계한 통합적 자활․자립기반 조성

□ 민․관 협력을 통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강화

지역복지서비스 플랫폼으로서의 사회복지관 운영 백만원 결식아동 등 소외계층을 위한 기부식품등제공사업의 활성화 백만원 사회복지 기관협력 및 자원연계를 위한 사회복지협의회 운영지원 백만원 맞춤형 지역사회서비스 및 청년사업단 운영 백만원

□ 근로빈곤층의 고용·복지지원을 통한 자활촉진

저소득층의 근로능력 배양 및 자활근로사업 추진 26,415백만원 - 조건부수급자, 일반수급자, 자활특례, 차상위계층 등 2,500명

자활근로사업 활성화를 위한 자활장려금 지원(신규) 4,017백만원 개인별 맞춤형 자활상담을 위한 사례관리지원(6명) 118백만원 자활사업 활성화를 위한 광역·지역자활센터 운영(12개) 3,606백만원 노후시설 보수 등 지역자활센터 환경개선(신규) 218백만원 자활성공 촉진“희망잡(Job)아 프로젝트”운영(94명) 141백만원 근로능력 있는 수급자의 탈수급을 위한 자산형성지원 6,358백만원 쪽방 거주자, 노숙인 등 취약계층 보호 강화 3,165백만원 - 쪽방촌 건물 전체 전기․가스시설물 안점점검 실시(신규) 10백만원 - 민간자원연계 쪽방·노숙인 등 주거 취약계층 주거지원(신규/비예산) 35백만원

(29)

장애인복지과

장애인 경제자립기반 강화 일자리 창출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맞춤형 지원 확대 (신규)

일자리 복지를 통한 자립생활 지원 및 이동

환경 개선 (신규)

(30)

1 장애인 경제자립기반 강화 일자리 창출

◇ 장애인 일자리 제공을 통한 사회 참여 확대 및 자립생활안정 도모

□ 장애인 공공일자리 : 683명(전년도 586명, 97명 증)

사업비 : 10,031백만원(국비 5,254 시비 2,468 군·구비 2,309) - 복지일자리 도서관 사서도우미 주차단속보조 환경정비 케어 등 - 일반형일자리 행정도우미(전일제, 시간제)

- 특화형일자리 시각장애인안마사파견 발달장애인요양보호사보조

동료지원 동료상담 자조모임 활동을 통한 중증장애인 취업지원서비스 제공 동료지원가 명 양성 중증장애인 명 지원 백만원 국 시비 )

□ 민간기업 장애인 일자리 창출 : 150명

민간기업과 장애인의 일자리 연계

- 장애인단체 상담센터 운영 : 구인·구직 취업상담 - 민간기업 맞춤형 전문교육 실시 및 취업매니저 양성

- 장애인 단체 협력 구인·구직 DB구축

민간기업 방문 및 컨설팅 추진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 926명

시설현황 개소

- 년 추가 설치 예정 은광원 보호작업장 개소 명 사업내용 직업적응 훈련 작업활동 직업상담 등

(31)

2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지원을 위한 맞춤형 지원 확대(신규)

◇ 장애인복지정책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시설보호가 아닌 당사자 의사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에 정착하여 생활할 수 있는 기반 조성

◇ 상시 돌봄이 필요한 최중증장애인에게 24시간 활동지원서비스 확대로 지역사회 보호체계 강화

□ 탈시설 자립생활 지원 추진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변화로 시설거주 장애인의 인권과 복지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지역사회에서 더불어 함께 살기 위한 자립생활 보장에 대한 요구 증대

사업추진

- 탈시설 단기체험홈 설치 운영 개소 남녀 각 개소 백만원

- 지역사회 정착 초기 생계비 지원 백만원

- 탈시설 및 지역사회통합지원 개년 계획 수립

□ 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 서비스 확대

활동지원이 필요한 최중증 급 장애인에 대한 국고보조지원이 장애인의 기본욕구를 충족하기에는 부족

사업개요

- 대 상 자 : 10명(계양구, 서구) - 사 업 비 : 650백만원

(32)

3 일자리 복지를 통한 자립생활 지원 및 이동 환경 개선 (신규)

◇ 장애인 직업재활 관련 직업상담 직업능력평가 직업적응훈련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장애인의 취업기회 제공 및 자립도모

◇ 장애인 등이 개별시설로 접근 이동 이용함에 불편함이 없도록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건물 확충을 통한 이동환경 개선

□ 인천 장애인 종합직업적응훈련센터 건립(공약)

장애인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장애인의 취업욕구는 증대하나 전문성을 갖춘 교육시설이 전무한 실정임

사업개요

- 기 간 : 2019. 1. ∼ 2022. 3.까지 - 규 모 : 연면적 1,000㎡내외, 지상2층 - 이용인원 : 60인 시설

- 사 업 비 : 5,087백만원(국비 361백만원, 시비 4,726백만원) - 기 능 : 직업훈련교육, 현장 직무훈련, 취업지도 등

□ 장애인 이동환경 개선을 위한 배리어프리(BF) 건물 확충(공약)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이 년부터 공공 건축물은 의무화되었 으나 민간부문 실적은 저조하여 민간 건축물의 수수료 지원으로

인증 확대

사업개요

- 기 간 : 2019. 1. ∼ 2022. 12.까지

- 대 상 : 135개소(공공건축물 113, 민간건축물 22) - 총사업비 백만원

-‘19년 사업예산 : 25백만원(1.5백만원×16개소)

(33)

보훈다문화과

국가보훈대상자 헌신에 대한 합당한 예우와 선양

참여와 공존의 열린 다문화 사회 구현

외국인주민 지역사회 적응지원

(34)

1 국가보훈대상자 헌신에 대한 합당한 예우와 선양

◇ 나라를 위해 헌신 ․ 공헌하신 분들에 대해 합당한 예우로 보답

◇ 국가유공자의 자긍심 고취를 위한 선양사업 지속 추진

□ 헌신과 공헌에 합당한 예우 및 지원

◦ 국가보훈대상자 수당 및 위문금 지원 : 30,780명 / 23,422백만원 - 참전명예수당 (8만원/월), 사망위로금 (1회, 20만원)

- 유족수당 (5만원/월, 65세이상), 보훈예우수당 (3만원/월, 65세이상) - 보훈대상자 위문금 지원 (10만원/1회)

◦ 보훈단체 지원 (광복회지부 등 13개 단체) : 726백만원 - 단체운영비 : 285백만원,

- 사업비(18개 사업) : 436백만원

- 범우용사촌 상이군경회체육대회 참가 지원 : 5백만원

◦ 보훈시설 및 현충시설 관리운영 지원 : 443백만원

- 보훈회관, 상이군경복지회관, 광복회관(3개소) 운영비 지원(242백만원) - 보훈회관 노후시설 보수공사 : 191백만원

- 인천시 현충시설 관리(44개소) : 10백만원

□ 보훈가족의 명예와 자긍심 고취를 위한 선양사업 추진

◦「국가 유공자의 집 명패」달아주기 사업(10,000명) : 170백만원 - 인천시 거주 국가유공자 본인 및 유족, 2016 ~ 2019년까지

◦ 보훈가족 백령도 안보현장 견학(900명) : 150백만원

- 해병 제6여단, 천안함 위령제 참배, 주민대피소 등 견학(1박 2일)

◦ 참전유공자 등 장례지원을 위한 선양단 운영(200명) : 97백만원 - 국가유공자 사망시 근조기, 태극기 관포식, 단체조문 등 지원

(35)

2 참여와 공존의 열린 다문화 사회 구현

◇ 다문화가족의 맞춤형 서비스 지원 강화로 사회·경제적 참여 확대 및 차별 없는 다문화사회 구현

※ 외국인주민 : 104,441명 / 다문화가족 22,626명 [2017.11.1.기준]

□ 다문화가족의 생활정착형 적응 프로그램 운영

다문화가족 맞춤형 지원사업 : 2,804백만원 - 군·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 9개 센터

- 다문화가족지원 종사자 처우개선비 확대 : 복지점수(45명) 추가 지원 유관기관 협업을 통한 다문화가족 정책 추진 내실화

- 다문화가족 지원협의회(연2회), 유관기관협의회(연2회), 실무단회의(매월) 정례화 - 언어별교육지원단 운영 및 다문화자녀 멘토링사업 (교육청, 대학 등) 업무협약 체결

□ 결혼이민자 사회·경제적 참여 확대

결혼이민자 학력신장(검정고시) 사업(3개 과정 80명) : 30백만원

결혼이민자 특성을 살린 맞춤형 일자리지원 연계사업(신규) : 221백만원

결혼이민자 인력풀 DB조사 및 사회참여(자원봉사 등) 연계 활성화

□ 다문화가족 자녀의 안정적 성장 지속 지원과 역량강화

◦ 사춘기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캠프 지원(90가정) : 52백만원

◦ 다문화가족 아동 발달장애 정밀검사비·치료 지원 92명 (확대) : 47백만원 ◦ 다문화자녀 멘토링 사업 추진 340명(신규) : 89백만원

◦ 다문화청소년 스포츠 체험교실 운영 40명(신규) : 11백만원

□ 건강한 가족기능 회복 및 다문화 사회통합 서비스 지원

◦ 위기가정 가족 치료 지원(40가정) : 35백만원

(36)

3 외국인주민 지역사회 적응 지원

◇ 외국인주민 친화적 정주환경 조성 및 내‧외국인 교류를 통해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국제도시 이미지 제고

□ 열린「인천외국인종합지원센터」운영

주요기능 외국인주민의 생활편익 증진 및 네트워크 활성화 예 산 액 백만원

운영방법 시 직영 업무개시

운영인력 명 일반직 기간제 상담 통역 자원봉사자 명 주요업무 한국어교육 상담 생활법률 노무 통역 유관기관 연계 등

운영시간 주 야간 주말 토 일 운영

-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 교육 운영 : 8개반(주중 4개반, 주말 4개반)

□ 외국인주민 안정적 정착 및 지역사회 적응 지원

외국인주민 정착지원 우수사업 공모 개 사업 백만원 - 대상사업 외국인주민 인식개선 중도입국청소년 고려인주민 지원 사업 등

외국인주민 안정적 정착지원 및 교류 활성화 백만원 - 외국인 유학생 행정인턴 운영 월 - 외국인주민 정착지원 행사 운영 상 하반기 각 회 - 외국인주민 시정모니터링단 운영 분기별 간담회 개최

외국인주민 인식개선 사업 공무원 시민 학생 등

- 초 중학생 대상 인식개선 연극공연 관내 외국인 다중 학교 - 공직자 인식개선 교육 시 군 구 직원 집합교육

- 일반시민 대상 찾아가는 인식개선 교육 신규 수시

□ 세계인의 날 기념행사 개최 및 외국인주민 화합한마당 참가

(37)

보건정책과

시민 중심의 체계적인 응급의료시스템 구축 운영

감염병 발생 예방 활동 및 대응 체계 강화

국·내외 타겟마케팅을 통한 외국인환자 유치 증대

(38)

1 시민 중심의 체계적인 응급의료시스템 구축 운영

◇ 재난 시 다수환자 발생에 대비한 재난응급의료 대응시스템 구축·운영

◇ 응급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 구축 및 응급의료서비스 질 수준 향상

□ 다수 사상자 발생대비 재난응급의료 대응체계 구축

재난거점병원 시설확충 및 전담인력 배치 운영 개소

시설 장비 확충 및 무선통신망 개소 보건소 신속대응반 개팀 운영 공공 심야약국 운영 신규 공약 개소

연차별 확대 운영 년 개소 년 개소 사업비 백만원 국 시

□ 현장중심의‘찾아가는’응급의료체계 프로젝트

전문 의료진 탑승 찾아가는 닥터 카 운영 지원 신규 회 개월 분의 기적 현장중심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 강화

자동심장충격기 보급 대 및 응급의료 서포터즈 위촉 명 사업비 백만원 국 시

□ 응급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 관리강화 및 질 수준 향상

응급의료기관 지원발전프로그램 운영지원(소아전용 포함) 중증응급질환 지역네트워크(순환 당직제) 운영·확대

인천권역 응급의료 선진화 협력체계 구축·운영, 교육 및 워크숍 사업비 : 2,316백만원(국비)

□ 취약지역 응급의료시스템 관리 강화

백령 대청 등 도서 내륙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영 회 인계점 확대 개소 개소 및 출동 요청자 교육 등 활성화 분만 응급의료 취약지역 응급의료기관 인건비 및 시설비 등 지원 개소 취약지역 원격협진 네트워크 구축 운영 확대 개소 개소

(39)

2 감염병 발생 예방 활동 및 대응체계 강화

◇ 철저한 환자관리와 조기발견으로 감염병의 발생·확산 예방

◇ 감염병 유행을 조기에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하여, 감염병으로 인한 인명손실과 사회경제적 피해 최소화

□ 신종․재출현 감염병 위기관리체계 및 대응역량 지속 강화

◦ 감염병 위기 대응체계 및 현장 대응역량 강화

- 감염병 발생 대비 비상대책반 편성․운영 및 24시간 대응체계 유지

-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 상시 가동체계 유지

- 감염병 관리지원단 및 수도권 감염병 공동 협의회 운영

- 신종․재출현 감염병 위기대응 훈련 실시로 대응기관 역량 강화 ◦ 사 업 비 : 1,220백만원 (국 765 시 455)

□ 국가예방접종으로 감염병 사전 차단

◦ 국가예방접종(21종) 실시 : 어린이, 노인, 고위험군 등 720,000명 - 임신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신규) : 9,400명

◦ 예방접종 등록 및 미접종자 관리로 접종률 향상 ◦ 사 업 비 : 28,734백만원 (국 19,145 시 9,589)

□ 결핵 퇴치를 위한 예방 및 관리 강화

◦ 결핵검진을 통한 환자 조기발견

- 65세 이상 노인 결핵검진(신규) : 5,500명

- 결핵 고위험군 검진 : 노숙인, 결핵 고위험국가 외국인 등 ◦ 철저한 결핵환자 관리 및 지원

- 다제내성 결핵환자 및 치료 비순응자 관리 강화

(40)

3 국·내외 타겟마케팅을 통한 외국인 환자 유치 증대

특화의료기술 육성 및 수용태세 강화로 글로벌 헬스케어 경쟁력 확보

외국인환자 유치 증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 유치수(’18)18,000명 ⇒ (’19) 20,000명 (’23) 30,000명 전국3위

□ 의료관광 해외 네트워크 구축 및 마케팅 홍보 강화

해외 주요도시와의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한 의료관광객 유치 확대 - 주요 타겟 도시, 자매우호도시 보건국과 보건의료분야 교류 확대

전략 시장별 인천의료관광 거점 활용 마케팅 활성화

- 해외거점 개소(3개소)⇒7개로 확대(동남아시아, 중국 등 신규 거점 확보) 사업비 백만원

□ 의료·관광 융복합화를 통한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 인천 대표 웰니스 관광상품 개발 및 판매

- 템플스테이, 미네랄 온천, 섬 트레킹 등과 건강검진 상품 연계 ◦ 인천 전담 에이전시 발굴 및 지원

- 해외 에이전시 인천 거점화, 국내 우수 에이전시 발굴 해외 마케팅 지원 ◦ 외국인 환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및 수용태세 강화

- 의료코디네이터 양성 및 지원, 공항영접 및 수송, 사후관리, 1-day관광지원 등 사업비 백만원

□ 인천 의료관광 브랜드 위상 제고

인천의료관광 홍보관 공항 항만 운영 및 환승 의료관광 소개

◦ 의료관광 정보시스템(MTIS) 활성화

- 공동마케팅 플랫폼 기능 마련, 환자 예약관리 시스템, 상품관리 프로 그램 활성화

◦ 인천의료관광 이미지 홍보

- 나눔의료, 유학생 서포터즈(19명 ⇒ 30명) 운영, 글로벌 포럼 진행,

(41)

건강증진과

건강생활실천으로「시민체감 건강도시」구현

통합적 정신건강 관리로 행복도시 인천 구현

맞춤형 만성질환 관리로 시민건강수준 향상

아동 치과주치의 제도 및 저소득 어르신 틀니 지원 추진

(42)

1 건강생활실천으로「시민체감 건강도시」구현

◇ 흡연예방, 신체활동 실천, 비만율 감소 등 건강지표 개선을 위한 건강생활실천 환경조성으로 시민이 체감하는 건강도시 구현

□ 흡연자 맞춤형 금연지원 및 흡연 규제 강화를 통한 흡연율 감소

◦ 흡연자 흡연행태에 따른 맞춤형 금연지원

- 보건소 금연클리닉 운영, 병·의원 금연치료

◦ 금연시설관리 및 금연구역 흡연행위 지도점검 및 홍보

◦ 금연사업 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시민인식개선 및 금연실천 환경 조성 - 지하철, 버스, 라디오, 지역케이블방송 등 매체 금연홍보

- 세계 금연의 날 연계 행사 개최 및 시민참여행사 금연 건강부스 운영 - 기관별 금연사업 협력 및 공유를 위한 유관기관 협의체 운영

◦ 사 업 비 : 2,955백만원

□ 만성질환 및 비만 예방을 위한 시민 건강행태개선

◦ 저소득층 임산부, 영유아 영양개선을 위한 보충식품 제공

◦ 만성질환 위험군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모바일 헬스 케어

◦ 어린이 신체활동 활성화 및 식습관 개선을 위한 돌봄 놀이터 운영

◦ 사 업 비 : 3,907백만원

□ 움직임이 생활화 되는 신체활동 활성화 환경 조성

◦ 걷기 실천율 제고를 위한 모바일 앱 플랫폼(워크온) 구축

◦ 신체활동 생활화 붐 조성『Let’s move !!』캠페인 전개

◦ 사 업 비 : 204백만원

(43)

2 통합적 정신건강 관리로 행복도시 인천 구현

◇ 정신질환·자살의 조기발견과 사전예방적 관리강화로 삶의 질 향상

◇ 치매 조기발견 및 단계별 적정서비스 제공으로 치매안심도시 조성

□ 정신건강증진 인프라 확대를 통한 관리지원체계 강화

◦ 정신건강증진 인프라 확대

- 정신건강 실태조사 및 마음건강 취약계층 서비스제공 12,600명 - 정신건강서비스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정신건강 전문인력 확충 127명/10개소

◦ 시민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및 접근성 강화

-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한 언론인 대상 세미나 개최 5월 - 공공기관 활용 정신건강관리 중요성 시민 인식개선 홍보 57개소

◦ 건전한 음주문화 환경조성을 위한 음주청정지역 지정운영

◦ 사 업 비 : 8,540백만원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

◦ 범사회적 자살예방 환경조성

- 시민 대상(청소년, 군인, 공무원, 일반시민 등) 자살예방교육 10만명 - 생명사랑 택시 운영으로 자살예방 안전망 구축 600대

◦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 24시간 365일 정신건강, 자살 상담 및 응급출동 (1577-0199-032#) 16,000건 - 자살고위험군 등록 관리 1,000명

◦ 사 업 비 : 831백만원

□ 종합적 치매 지원체계 구축으로 치매안심도시 조성

◦ 치매안심센터 중심 지역사회 치매 친화적 환경 구축

- 치매안심센터 등록관리 19,000명(등록관리율 55%) - 치매안심센터 중심 치매안심마을 조성 10개 권역(군구별 1권역)

◦ 치매전문 종합돌봄센터 건립

(44)

3 맞춤형 만성질환 관리로 시민 건강수준 향상

◇ 체계적 건강관리와 지원으로 암 등 중증 질환 및 만성질환 유병률 감소를 통한 사망‧장애 최소화

□ 심뇌혈관질환, 암, 구강 등 국민병 관리 강화

◦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로 심뇌혈관질환 중증화 예방 300,000명

◦ 지역특성에 따른 암관리사업 추진을 위한 지역암센터 운영 1개소

◦ 아동 치과주치의제도 및 저소득 어르신 틀니 지원사업 추진 8,500명

◦ 중증장애인 등 구강진료를 위한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운영 1,972명

◦ 사 업 비 : 474백만원

□ 찾아가는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으로 취약계층 건강상태 개선

◦ 생애주기별 의료서비스 및 자원 연계를 통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37,000가구(저소득 만성질환자, 임산부, 다문화가정 등 취약계층) - 건강문제 스크리닝을 통한 체계적 건강관리

◦ 사 업 비 : 2,194백만원

□ 사각지대 없는 건강검진 및 의료비 지원체계 구축

◦ 질환 조기발견을 위한 저소득층 건강검진사업 추진 527,840명 - 암 검진(위암 등 5대 암), 일반건강검진,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 암환자 등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한 의료비 지원 4,900명 - 성인암환자(5대 암 및 폐암), 소아암환자(만 18세미만) 등 : 3,200명 - 희귀질환자(만성신부전증 등 133종) : 1,700명

◦ 사 업 비 : 10,105백만원

(45)

4 아동 치과주치의 제도 및 저소득 어르신 틀니 지원 추진

◇ 예방적 구강 건강관리 및 구강 기능회복을 위한 평생 구강건강 기반 조성

□ 사업개요

기 간 : 2018 ~ 2022년 대 상

- (아동 치과주치의) 관내 초등학생 5학년 7,900명

- (저소득 어르신 틀니 지원) 만65세 이상 의료급여수급권자 600명 주요내용

- 아동 치과주치의 : 예방적 구강건강 관리비 지원(40천원/1인)

- 저소득 어르신 틀니 시술 본인부담금 지원

□ 현 실태 및 문제점

학교보건법 에 의거 초등학생 구강검진이 필수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단순 선별검사 시행으로 사후관리 미흡

만 세 이상 의료급여수급권자 틀니 급여화로 보건소 의치 틀니 사업 종료에 따라 본인부담금 발생

- 1종 수급권자 5%(63천원), 2종 수급권자 15%(189천원)

□ 향후계획

◦ 2018. 12. :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 요청 (시↔보건복지부)

(46)

위생안전과

시민과 소통하는 위생행정 구현

안전한 식생활 위생환경 조성

아이부터 노인까지 건강식생활 환경 조성

깨끗하고 쾌적한 공중위생서비스 체계 구축

(47)

1 시민과 소통하는 위생행정 구현

◇ 음식문화 가치 개발로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 영업하기 좋은 위생행정 환경 조성으로 소통하는 외식산업 구축

□ 인천 개발 대표음식 대중화로 외식산업 활성화 추진

우리시 개발 식품 해노랑 동네빵집 살리기 공동브랜드화 추진 - 지역별 골목빵집 경연대회를 통한 우수제품 발굴 및 레시피 교육 · 보급 - 공동 제조·판매로 해노랑 판매망 확대 및 동네빵집 경쟁력 강화

섬 특색 개발음식 가지 품목 섬 관광 상품 으로 정착

- 개발 특색음식에 대한 홍보․마케팅․기술 등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원으로 도서별 음식관광 경쟁력 강화

- 도서지역 외식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제고 사 업 비 백만원

□“가치 있는 맛 골목 만들기”추진 (신규)

원도심 맛집 발굴을 통한 골목 음식문화 투어 조성

- 대규모 프렌차이즈 음식점과 차별화 되는 원도심 맛집 스토리 개발 - 군·구 추천(시 자체 발굴) 4개 구역 시범 선정

사 업 비 백만원

□ 영업하기 좋은 위생행정 지원 및 위생민원 만족도 조사 (신규)

식품위생법에 허용된 규제완화 추진

- 식품접객업 옥외영업, 옥외시설물 관리 공통 가이드라인 마련 - 군·구 조례(규칙) 제정 유도로 일관성 있는 위생행정 적용

위생민원 실태 조사 월 중 명

(48)

2 안전한 식생활 위생환경 조성

◇ 식중독 발생 사전예방으로 시민 식생활 안전 최우선 추진

◇ 식품 생산현장 위생관리 강화로 안전한 먹거리 환경 조성

□ 식생활 안전을 위한 식중독 예방관리

◦ 식중독 발생 환자 수 저감화 (300명 이하) ※ 2018년 식중독 발생 환자 수 : 33건 262명

- 식중독 대책반 및 상황처리반 (11개반 57명), 민·관 협의회 운영 (40개 기관/2회) - 학교급식소 및 대형음식점 등 기획 점검 4,190개소

◦ 사회적 취약계층 및 위생 우려업소 집중관리

- 위생취약 사회복지시설 급식소 위생관리 282개소 - 3대 배달앱 등록 배달음식점 민·관 합동위생 점검 4,103개소 ◦ 대규모 국내, 국제행사 대비 식음료 안전관리 강화

- 식음료 검식관 교육 및 모의훈련, 위생업소 점검, 식재료 검사·검식 ◦ 지하철 모니터 광고, 위생 영업자 위생교육 등 식중독 예방 홍보

사 업 비 44백만원

□ 식품제조업소 맞춤형 지원으로 소비자 안심 환경 구축

◦소규모(취약) 식품제조업소 맞춤형 지원(확대)

- 생산관리 프로그램 개발·배부(100개소) 및 취약업소 안심멘토링 실시(2회 80개소) ◦ 사회적 이슈 반영 위생 안전관리 및 시민소통 강화

- 계절별, 특정시기별, 사회적 이슈 등 합동·기획단속 실시 6회/770개소 -「식품안전의 날」행사(5.14) 및 식품안전정보센터 운영(170백만원) ◦ 국내·외 식품 판로개척 등 식품산업 진흥 지원

- 식품산업단지 (I-FOOD PARK) 조성 지원, 국내·외 시장개척 지원(20백만원)

(49)

3 아이부터 노인까지 건강 식생활 환경 조성

◇ 어린이 먹거리 위생·안전·영양 수준 향상으로 급식관리 공공성 제고

◇ 식품 소비트렌드를 반영한 유통식품 관리 강화로 위해요인 사전 차단

□ 공공급식관리지원센터 시범 운영 (신규)

설치근거 : 공공급식관리및지원에관한법률

운영방법 : 기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프라 활용 사업대상 : 노인급식소 45개소(서구)

사업내용 : 영양사가 없는 노인급식소에 대한 위생·영양 급식 지원 프로그램 (식단 및 레시피 지원, 교육, 정보제공 등) 제공

사 업 비 백만원

□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급식문화 형성

◦ 어린이 급식관리 지원센터 설치·운영 / 10개 기관

- 어린이 급식소(어린이집, 유치원 등) 관리 2,259개소 / 74,213명 ◦ 어린이 기호식품 전담관리원 운영

- 학교주변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지도점검 1,670개소 - 어린이 급식관리 지원센터 어린이 등록·관리 제고 95%이상/71,000명 ◦ 사 업 비 : 5,277백만원

□ 유통식품 사전예방, 건강한 식생활 실천 강화

급성장 신제품 및 수입식품 등 다소비 유통식품 수거검사 11,000건 ◦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식품안전관리 활동 전개 420명 - 식품위생업소, 전통시장, 소규모 판매업소 등 지도점검 ◦ 건강한 식생활 환경조성을 위한 위해식품 ZERO 프로젝트

참조

관련 문서

이를 위해 자관 실정에 맞는 도서관자동화시스템을 선정·개발 하기 위한 전략 및 계획 수립, 도서관 업무 분석, 기능 설정 등 내부적인 조정, 타기관도서관자동화시스템

건강의 회복 및 유지를 목적으로

◦영연방 국가뿐만 아니라 전체 FTA 체결국에 대한 농축산물 수급 및 가격 등의 시장정보 수집 강화, 국내 농업부문 경쟁력 강화 및 차별화 지원 사업, 농축산물 수출

:

국내 ․제안하는 기술에 대한 국내 연구개발 현황, 기존의 선행연구, 어디까지 성취되었고, 남아 있는 이슈/문제점 및 향후전망 등을 기술하되 시장 동향 및 규모를

[r]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