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모유수유 기간에 따른 수유부의 체중 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모유수유 기간에 따른 수유부의 체중 변화"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pISSN 1226-4407 eISSN 2234-7631

서  론

모유수유는 영아의 건강한 성장과 균형적인 발달에 도움을 줄 뿐 만 아니라 출산 후 모체의 자궁수축에 도움이 되고, 자연피임, 산후우 울증 완화, 체중 회복, 유방암 예방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1-5

임신 중에 증가된 체중은 출산 후 자연스럽게 감소하여 임신 전 체 중이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6,7

, 한편으로 이러한 체중 증가는 오랫동안 출산 후 여성의 과체중과 비만의 위험 요인으로 제기되어 왔 다.

8-12

특히 산후 1년 동안의 체중 감소 정도가 이후 과체중과 비만을

모유수유 기간에 따른 수유부의 체중 변화

연미영, 이행신, 김도희, 이지연, 남지운, 문귀임

1

, 홍진환

1

, 이윤나

2

, 오대규

3,

*, 김초일

4,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위해평가과

1

, 신구대학교 식품영양과

2

,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과

3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지원본부

4

Postpartum Weight Change in Lactating Women by Breast-feeding Duration

Miyong Yon, Haeng-Shin Lee, Dohee Kim, Jeeyeon Lee, Jiwoon Nam, Gui-Im Moon

1

, Jinhwan Hong

1

, Yoonna Lee

2

, Daekyu Oh

3,

*, Cho-il Kim

4,

*

Nutrition Policy & Promotion Team,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Cheongju; Safety Evaluation Department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Cheongju;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2, Shingu College, Seongnam;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3, Gach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cheon;

Bureau of Health Industry Promotion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Cheongju, Korea

Background: Breast-feeding is known to help balanced growth and healthy development of infants as well as positively affect mother’s health by restoring pre-gestational weight, among other numerous benefits. Methods: Food intake and anthropometry data of breast-feeding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pecial Food Intake Survey for Vulnerable Populations from 2011 through 2013 were used. Out of 1,044 women nurs- ing infants younger than 12 months, 138 obese women (body mass index ≥25.0 based on pre-gestational weight & height) were excluded and data from 906 women with normal body mass index were used for the analysis. Feeding mode, frequency & duration of breast-feeding, height

& weight (pre-gestational weight and current weight at the time of survey), and energy intake were analyzed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body weight and progression of breast-feeding. Results: Mean difference between pre-gestational and current body weight of nursing women decreased as breast-feeding progressed (from 6.6±4.2 kg at 0 months to 1.6±2.5 kg at 11 months) with a negative correla- tion (r=-0.2363, P<0.0001) where the slope of the regression line was -0.4038 (P<0.0001). Conclusion: Breast-feeding may be expected to reduce approximately 0.4 kg of weight per month in nursing mother without any intentional weight control.

Key words: Nursing women, Breast-feeding, Pre-gestational weight, Weight loss

Corresponding authors Cho-il Kim

Bureau of Health Industry Promoti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Osong Health Technology Administration Complex, 187 Osongsaengmyeong 2-ro,

Cheongju 363-700, Korea

Tel +82-43-713-8611 Fax +82-43-713-8905 E-mail kimci@khidi.or.kr Daekyu Oh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Gach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1 Hambangmoe-ro, Yeonsu-gu, Incheon 406-799, Korea

Tel: +82-32-820-4711, Fax: +82-32-468-2154 E-mail: jsodk@hanmail.ne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11162유해영732) from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2011-2013.

Received Mar. 7, 2014 Reviewed Apr. 17, 2014 Accepted May 22, 2014

Copyright © 2014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예견하는 인자로 보고되기도 하였다.

7,8

따라서 출산 후 체중 감소는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의 건강 및 비만 예방을 위해 중요한데, 이는 식 습관, 에너지 섭취량, 규칙적인 운동, 육아, 모유수유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13-16

, 특히 출산 후 모유수유를 일정 기간 이상 지속하는 수유부에서 임신 전 체중으로의 회복이 촉진될 수 있다는 것이 다양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보고되어 왔다.

17-24

그러나 아직 모유수유와 출산 후 체중 회복과의 관계에 대하여 보 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으로서

2,25,26

, 모유수유 기간과 체중 감소 와의 관계는 아직 불명확하고

23

출산 후 1년까지 감소되었던 체중이 그 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6

더욱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세 이상 인 구에 대하여 전국단위로 검진 및 영양조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1세 미 만 영아는 제외되어 있고 수유부는 매우 적은 대상자만 조사되고 있 어 모유수유와 수유부의 체중변화의 관련성을 살펴본 경우는 소수 의 소규모 연구에 제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규모로 수 행된 국가조사의 결과를 촬영했다. 여러 가지 식품 관련 위해요인의 취약 집단으로 여겨지는 임신부, 수유부 및 영아에 대해 전국에서 표 본으로 추출된 각 1,000명을 대상으로 ‘위해평가를 위한 민감군의 식 품섭취량 조사’가 2011-2013년에 식품의약품안전처 지원 연구과제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중 수유부의 체중과 모유수유 실태에 대한 자 료를 활용해 우리나라 수유부에서 모유수유 기간과 출산 후 체중 상 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1. 조사기간 및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1-2013년에 걸쳐 실시된 ‘민감군의 위해평 가를 위한 식품섭취량 조사’에 참여한 수유부이다. 이 조사에서는 영 양플러스 사업 참여 대기자 중, 현재 1세 미만 영아에게 모유수유 중 인 수유부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계절별로 전국 253개 보건소를 4 개권역 12개 층으로 나누어 비례배분하여 50개 조사구를 선정하였 고, 조사구 내 대상자 선정은 출산 후 개월 수, 영아 성별을 고려하여 5 명씩 계통추출하였다. 임신 전에 과체중 혹은 비만이었던 여성의 경 우에는 임신기에 체중이 증가하지 않거나 출산 후 체중 감량의 정도 가 일반 산모와 차이가 있다는 보고에 의해

8

, 본 연구에서는 조사에 응한 수유부 총 1,044명 중에서 임신 전에 비만(임신 전 체중과 신장 에 근거; 체질량지수 ≥ 25, 138명)이었던 대상자를 제외한 906명을 분 석대상으로 하였다.

2. 조사내용 및 방법

조사는 각 대상자 가구를 조사원이 직접 방문하여 수유부에 대한

개별 면접조사로 수행되었다. 영양사 면허소지자로 영양사 혹은 식품 섭취량 조사 경력이 있는 자를 조사원으로 선발하여 24시간 회상법 에 의한 식품섭취량 조사 교육과 현장실습 후 각 지역별로 배치하였 으며 조사팀은 2인 1조로 구성되었다. 설문조사는 일반사항, 생활습 관 및 건강, 식습관 및 식이보충제 복용, 수유 및 이유실태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조사원의 질문에 대상자가 응답하도록 하였 다. 식품섭취량조사에서는 비연속 2일간의 식품섭취량을 국민건강영 양조사 영양조사부문

27

과 동일한 방법으로 24시간 회상법에 의해 조 사하였다. 조사결과의 일관성 및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부문 자 료와의 호환성 확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와 동일한 식품섭취량 조사 보조도구인 「음식과 식품 및 그 용기의 실제크기 2차원 모델 집」, 계량컵, 계량스푼, 두께자, 줄자 등을 활용하였다.

3. 자료분석

1) 수유 유형 및 모유수유기간

수유부의 수유 유형은 모유 수유 여부(예/아니오)와 조제유 수유 여부(예/아니오)에 대한 응답에 의해, 완전 모유 수유군은 ‘모유 수유 여부에 ‘예’로 응답하고 조제유 수유 여부에 ‘아니오’로 응답한 대상’, 혼합 수유군은 ‘모유와 조제유 수유 여부에 모두 ‘예’로 응답한 대상’

으로 구분하였다. 수유부의 총 모유 수유 기간 산출은 국민건강영양 조사의 영양조사 부문

27

의 방법에 근거하였는데 모유수유 시작 시점 부터 주 단위로 조사한 수유 기간을 월 단위로 환산하여 총 수유기간 으로 하였고, 1일 모유수유 횟수는 아기가 최근 1주일간 평균적으로 하루에 모유를 섭취한 횟수로 하였다.

2) 체중변화

본 연구의 대상자는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수유부로서 각 대상자 별 임신 전 체중과 현재 시점의 체중 정보에 의해 모유수유 기간별 체 중 차이로 체중변화를 관찰하였다.

3) 식품섭취량조사

식품섭취량조사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부문의 자료 처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딩되었고 부피중량환산 DB, 음식별 레시 피 DB, 영양성분 DB를 활용하여 식품 및 영양소 단위로 섭취량을 산 출해 분석하였다. 또한 수유부의 에너지 섭취 수준을 알기 위하여 한 국인영양섭취기준

28

에 제시된 수유부의 연령층별 에너지 필요추정량 (Estimated Energy Requirement)에 대한 에너지 섭취 비율을 산출하 였다.

4. 통계처리

모유수유 기간과 체중 변화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유 기간에

(3)

따라 체중 차이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유유형 간 체중 변화의 차이에 대해 χ

2

-test와 t-test를 활용하여 유의성을 검증 하였고 수유기간과 체중 변화의 상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처리에는 SAS Ver. 9.2 (NC, USA)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  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 906명 중 완전모유수유군은 658명, 혼합수유군은 248 명이었고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1.2±4.3세였다. 본 조사대상 수 유부의 키는 평균 160.6±5.3 cm였고 수유부의 임신 전 체중과 체질 량지수는 53.4±6.1 kg과 20.7±2.0 kg/m

2

였다. 수유부의 평균 연령, 키, 임신 전 체중, 임신 전 체질량지수에 수유유형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교육 수준은 고졸 이하가 305명(33.7%), 초대졸 이상이 601명(66.3%)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중 직업이 있 는 경우는 134명으로 14.8%였는데, 완전모유수유군은 91명(13.8%), 혼합수유군은 43명(17.3%)으로 혼합수유군에서 약간 높은 편이었다.

또한 출산 후 체중감량 노력 여부에 대한 문항에서는 ‘노력한 적 있 다’ 307명(33.9%), ‘노력한 적 없다’ 599명(66.1%)으로 조사되었다. 조 사대상자의 연령, 교육수준, 직업 유무, 체중감량 노력 여부에서 수유

유형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Table 1).

2. 조사대상자의 모유수유 횟수와 에너지 섭취

조사대상자의 수유유형별 모유수유기간에 따른 모유수유 횟수와 에너지 섭취량 및 에너지 필요추정량에 대한 섭취비율은 Table 2와 같다. 전체 조사 대상자의 모유수유 횟수는 평균 7.9±3.0 (6.3-8.9)회/

일이었으며, 완전모유수유군의 경우 8.6±2.7 (6.7-10.5)회/일이었고 혼합수유군의 경우 5.8±2.7 (3.0-7.0)회/일로 수유유형 간에 유의적 인 차이가 있었으며 혼합수유군에서 조제유 수유 횟수는 3.4±2.1회/

일이었다. 전체 수유부의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2,085.9±690.2 kcal/

day였고, 에너지 필요추정량 대비 평균 91.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 다. 수유유형별로 보면 완전모유수유군은 2,111.6±705.3 kcal/day, 92.5%였고, 혼합수유군은 2,017.3 ±644.5 kcal/day, 88.8%로서, 완전 모유수유군이 1인 1일 약 100 kcal 정도를 더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수유 유형 간의 이러한 에너지 섭취량 차이는 출산 후 14일 미만의 대상자인 수유기간 0개월군을 제외하고 비교한 결과, 유의적(P = 0.042)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모유수유 기간별로 수유부의 1일 에너지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0개월 2,129.8±804.9 kcal, 1개월 2,043.7±691.7 kcal, 2개월 2,139.7±689.1 kcal, 3개월 2,127.2±722.3 kcal, 4개월 2,027.4 ±652.4 kcal, 5개월 2,198.7±817.2 kcal, 6개월 2,053.6±702.4 kcal, 7개월 2,042.3±702.1 kcal, 8개월 2,089.0±562.2 kcal, 9개월 2,010.6 ±560.9 kcal, 10개월 2,053.7±575.2 kcal, 11개월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haracteristic

Total

(N= 906) Exclusive breast-feeding

(N= 658) Partial breast-feeding

(N= 248) P value

Mean SD Mean SD Mean SD

Age (yr) 31.2 4.3 31.1 4.3 31.3 4.3 0.4676

Height (cm) 160.6 5.3 160.5 5.2 160.8 5.5 0.2940

Pre-pregnancy weight (kg) 53.4 6.1 53.2 5.9 53.7 6.5 0.2744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kg/m2) 20.7 2.0 20.6 2.0 20.7 2.0 0.4730

Age (yr) 31.2 4.3 31.1 4.3 31.3 4.3 0.2431

≤ 18 3 (0.3) 3 (0.5)

19-29 287 (31.7) 219 (33.3) 68 (27.4)

30-39 590 (65.1) 418 (63.5) 172 (69.4)

≥ 40 26 (2.9) 18 (2.7) 8 (3.2)

Education level 0.3045

≤ High scool diploma 305 (33.7) 215 (32.7) 90 (36.3)

≥ College graduate or higher 601 (66.3) 443 (67.3) 158 (63.7)

Employment 0.1847

Yes 134 (14.8) 91 (13.8) 43 (17.3)

No 772 (85.2) 567 (86.2) 205 (82.7)

Effort for weight loss during breast-feeding 0.4345

Yes 307 (33.9) 218 (33.1) 89 (35.9)

No 599 (66.1) 440 (66.9) 159 (64.1)

P value for t-test or χ2-test.

(4)

2,127.1±725.0 kcal였다. 수유 유형별로 보면, 완전모유수유군의 1일 에너지 섭취량은, 대상자가 매우 적은 0개월은 제외하고 1개월 2,119.6 ±749.3 kcal, 2개월 2,171.4±671.6 kcal, 3개월 2,181.4±741.8 kcal, 4개월 2,044.2 ±681.7 kcal, 5개월 2,216.6±820.1 kcal, 6개월 2,074.1 ±752.5 kcal, 7개월 2,126.7±717.2 kcal, 8개월 2,110.2±579.6 kcal, 9개월 1,991.7 ±534.4 kcal, 10개월 1,988.3±597.1 kcal, 11개월 2,169.1 ±779.4 kcal로 나타났고 이것은 에너지필요추정량의 86.9- 96.8% 수준이었다. 상대적으로 수가 적은 혼합수유군의 경우에 대상 자가 20명 이상인 모유수유 기간만 살펴보면, 1개월 1,948.5±606.3 kcal, 2개월 2,070.7±729.6 kcal, 3개월 1,999.2±666.3 kcal, 4개월 1,952.6 ±506.5 kcal, 5개월 2,165.6±823.2 kcal, 6개월 1,983.9±503.5 kcal로 에너지필요추정량의 84.2-96.2%수준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3. 모유수유 기간에 따른 체중 변화

Table 3에는 수유부의 수유유형별 모유수유기간에 따른 체중변화 를 나타내었다. 조사대상자의 임신 전 체중은 수유기간별로 52.2±

6.0 kg에서 55.0 ±7.9 kg이었던 것으로 나타나 유의적으로 다르지 않 았다.

조사대상 모든 수유부의 조사 당시 체중은 모유수유 기간별로 0개 월 61.6±6.0 kg, 1개월 59.5±7.7 kg, 2개월 59.4±7.5 kg, 3개월 57.4±

7.5 kg, 4개월 57.4±7.0 kg, 5개월 58.5±8.5 kg, 6개월 56.6±7.5 kg, 7개 월 56.3±8.4 kg, 8개월 57.1±7.8 kg, 9개월 55.4±8.0 kg, 10개월 54.9±

7.4 kg, 11개월 53.8 ±6.7 kg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유유형별로 비교 해도 수유기간 전 구간에서 수유유형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조사대상자의 임신 전과 수유 중 조사 당시 체중의 차이는 모유수 유 기간별로 0개월 6.6±4.2 kg, 1개월 6.0±4.0 kg, 2개월 5.7±4.8 kg, 3개월 4.9 ±4.2 kg, 4개월 3.9±4.3 kg, 5개월 3.8±4.9 kg, 6개월 3.7±

4.7 kg, 7개월 3.5 ±4.4 kg, 8개월 3.4±5.2 kg, 9개월 2.8±3.9 kg, 10개 월 2.3±4.3 kg, 11개월 1.6±2.5 kg로 나타나 12개월 정도의 모유수유 후에는 임신 전 체중과의 차이가 근소해졌고, 수유유형별로 보아도 유사한 감소 패턴을 보였으며 수유기간 전 구간에서 수유유형 간에 유의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한편, 대상자를 완전모유수유군과 혼합수유군으로 나누어 모유 수유기간과 체중 차이 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Fig. 1), 두 군 모 두에서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완전모유수유군(r = -0.2315, P<0.0001)과 혼합수유군(r=-0.2202, P= 0.0005)에서의 상 관계수가 유사하였으며, 두 군을 구분하지 않으면 상관계수는 -0.2363으로 약간 높아졌다(P<0.0001).

또한 체중 차이 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상되는 연령, 수유 유형, 체중조절노력 여부, 직업 유무, 학력수준 등 일반적 특성과 체중

Table 2. Breast-feeding frequency and energy intake in nursing women during breast-feeding

Feeding duration (mo)

Breast-feeding frequency (times/day)Energy intake (kcal/day)% of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Total (N=906)

Exclusive breast-feeding (N=658)

Partial breast-feeding (N=248)P valueTotal (N=906)

Exclusive breast-feeding (N=658)

Partial breast-feeding (N=248)P valueTotal (N=906)

Exclusive breast-feeding (N=658)

Partial breast-feeding (N=248)P value NMeanSDNMeanSDNMeanSDMeanSDMeanSDMeanSDMeanSDMeanSDMeanSD 057.4 2.8 210.0 0.0 35.7 2.1 0.06912,129.8 804.9 1,499.0 943.6 2,550.4 432.8 0.1742 95.936.367.542.5114.919.50.1742 11068.9 3.6 5910.5 3.5 477.0 2.7 <0.00012,043.7 691.7 2,119.6 749.3 1,948.5 606.3 0.2073 89.230.393.133.584.225.10.1196 21278.7 2.9 879.8 2.3 406.4 2.9 <0.00012,139.7 689.1 2,171.4 671.6 2,070.7 729.6 0.4465 93.929.894.728.892.132.20.6595 31218.1 2.7 859.0 2.0 365.9 2.8 <0.00012,127.2 722.3 2,181.4 741.8 1,999.2 666.3 0.2059 93.232.295.333.088.430.20.2860 41367.9 2.5 1118.6 2.0 254.5 2.0 <0.00012,027.4 652.4 2,044.2 681.7 1,952.6 506.5 0.5280 88.828.689.429.786.022.90.5875 5977.4 2.7 638.4 2.3 345.6 2.6 <0.00012,198.7 817.2 2,216.6 820.1 2,165.6 823.2 0.7710 96.635.896.835.396.237.20.9405 6977.8 3.0 758.6 2.7 225.3 2.7 <0.00012,053.6 702.4 2,074.1 752.5 1,983.9 503.5 0.5990 90.131.791.234.086.321.90.4296 7697.3 2.8 527.9 2.6 175.6 2.8 0.00322,042.3 702.1 2,126.7 717.2 1,784.4 601.6 0.0890 89.230.792.931.377.926.40.0814 8567.4 3.2 467.8 3.3 105.4 1.7 0.00232,089.0 562.2 2,110.2 579.6 1,991.5 489.4 0.5501 92.024.592.825.288.221.70.5930 9456.3 2.3 396.7 2.2 63.7 1.0 0.00172,010.6 560.9 1,991.7 534.4 2,133.2 760.0 0.5713 88.725.487.624.196.134.20.4525 10237.0 2.8 197.1 3.0 46.8 2.2 0.82392,053.7 575.2 1,988.3 597.1 2,364.3 362.1 0.2435 90.024.686.924.9104.719.30.1962 11246.3 2.7 206.9 2.3 43.0 1.8 0.00492,127.1 725.0 2,169.1 779.4 1,916.9 333.7 0.5373 93.332.095.034.584.514.70.5593 Total9067.9 3.0 6588.6 2.7 2485.8 2.7 <0.00012,085.9 690.2 2,111.6 705.3 2,017.3 644.5 0.0420*91.530.492.531.088.828.6 0.9286* P value for t-test. *Analysis excluding data from month 0.

(5)

차이값 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적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 며 이에 따라 모유수유 기간이 체중 차이 값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계수가 -0.4038 (P<

0.0001)로 나타났다(Table 4).

고  찰

본 연구 대상 수유부의 평균연령은 31.2세로서, 2012년 출생통계에 서의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 31.6세와 유사하였다.

29

조사대상자를 수

Table 3. Body weight change in nursing women during breast-feeding

Breast- feeding duration (mo)

Pre-gestational weight (kg) Current weight (kg) Difference (kg)*

Total (N= 906)

Exclusive breast-feeding

(N= 658)

Partial breast-feeding

(N= 248) P value Total (N= 906)

Exclusive breast-feeding

(N= 658)

Partial breast-feeding

(N= 248) P value Total (N= 906)

Exclusive breast-feeding

(N= 658)

Partia breast-feeding

(N= 248) P value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0 55.0 7.9 54.5 14.8 55.3 3.8 0.9265 61.6 6.0 61.5 7.8 61.7 6.5 0.9807 6.6 4.2 7.0 7.1 6.3 3.2 0.8899 1 53.5 6.4 53.5 5.8 53.4 7.2 0.9210 59.5 7.7 59.7 7.7 59.1 7.9 0.7036 6.0 4.0 6.2 4.2 5.8 3.8 0.5647 2 53.7 5.9 53.5 6.0 54.2 5.7 0.5389 59.4 7.5 59.0 7.7 60.5 7.1 0.2991 5.7 4.8 5.5 5.1 6.3 4.1 0.3844 3 52.5 6.1 52.5 6.1 52.4 6.0 0.8935 57.4 7.5 57.4 7.4 57.3 7.7 0.9224 4.9 4.2 4.9 4.3 4.9 4.0 0.9841 4 53.5 5.6 53.2 5.4 54.8 6.3 0.2087 57.4 7.0 57.1 6.9 59.0 7.5 0.2330 3.9 4.3 3.9 4.3 4.2 4.3 0.7608 5 54.7 6.4 55.0 6.6 54.1 6.0 0.5083 58.5 8.5 58.4 8.6 58.8 8.4 0.8074 3.8 4.9 3.3 4.8 4.7 5.3 0.2011 6 52.9 5.5 53.1 5.6 52.1 5.0 0.4362 56.6 7.5 56.7 7.6 56.1 7.4 0.7246 3.7 4.7 3.6 4.8 4.0 4.5 0.7303 7 52.8 6.8 52.3 6.3 54.4 8.0 0.2707 56.3 8.4 55.4 7.6 59.0 10.2 0.1262 3.5 4.4 3.1 4.3 4.6 4.8 0.2318 8 53.7 6.5 53.5 5.7 54.5 9.5 0.6611 57.1 7.8 57.2 7.1 57.0 10.8 0.9558 3.4 5.2 3.7 4.7 2.5 7.1 0.5273 9 52.5 6.6 51.8 5.7 57.0 10.7 0.0759 55.4 8.0 54.7 7.1 59.7 12.5 0.3824 2.8 3.9 2.9 3.8 2.7 4.7 0.9055 10 52.6 5.6 52.0 5.6 55.5 5.4 0.2646 54.9 7.4 54.6 7.2 56.3 8.9 0.6959 2.3 4.3 2.6 3.8 0.8 6.8 0.4456 11 52.2 6.0 52.8 5.9 49.3 6.3 0.2944 53.8 6.7 54.1 6.6 52.3 7.8 0.6341 1.6 2.5 1.3 2.3 3.0 3.5 0.2254 P value for t-test.

*Difference (kg)= Current weight (kg) - Pre-gestational weight (kg).

0 1 2 3 4 5 6 7 8 9 10 11 Mixed feeding

Breastfeeding duration (mo)

Difference (kg)

r = -0.2202, P = 0.0005 30

25 20 15 10 5 0 -5 -10 -15

0 1 2 3 4 5 6 7 8 9 10 11 Total

Breastfeeding duration (mo)

Difference (kg)

r = -0.2363, P < 0.0001 30

25 20 15 10 5 0 -5 -10 -15

0 1 2 3 4 5 6 7 8 9 10 11 Exclusively breastfeeding

Breastfeeding duration (mo)

Difference (kg)

r = -0.2315, P < 0.0001 30

25 20 15 10 5 0 -5 -10 -15

Fig. 1. Correlation between difference in weight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in nursing women.

(6)

유유형에 따라 완전모유수유군과 혼합수유군으로 나누어 신체적 특 성을 비교한 결과, 두 군의 신장과 임신 전 체중에는 차이가 없었다.

조사대상자의 1일 평균 모유수유 횟수는 완전모유수유군 8.6회, 혼 합수유군 5.8회로 조사되었는데, 1991년에 보고된 수유기간별 모유 분비량과 수유양식에 대한 연구

30

에서 0.5-5개월간 완전모유수유를 하는 수유부 대상으로 모유수유 횟수를 조사한 결과는 9.3-7.7회였 고, 1988년에 Neville 등

31

은 출산 후 0-5개월의 완전모유수유부를 대 상으로 한 연구에서 7.3-8.2회 모유수유 횟수를 보고하여 본 연구에 서의 결과는 이들과 유사하였다.

조사 대상 수유부의 에너지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1인 1일 평균 2,085.9±690.2 kcal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에너지필요 추정량의 91.5±30.4%에 해당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수유부의 영양섭취 실태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으나, 2005년 분만일로부 터 12주까지 수유부의 무기질 섭취를 조사한 Kim 등

32

의 연구에서는 수유부의 1인 1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이 1,944.3 kcal인 것으로 나타났 고, 1997년 저소득층 수유부를 대상으로 섭식을 조사한 Ahn 등

33

의 연구에서는 출산 후 1-6개월간 모유수유 한 수유부가 1인 1일 평균 2,325 kcal을 섭취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1993년에 출산 후 1주 에서 12주의 수유부를 대상으로 식이섭취를 조사한 Ahn 등

34

의 연구 에서는 12주 동안 5회에 걸쳐 수유부의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1인 1 일 평균 에너지섭취량이 1,859 kcal로 나타났다. 한편 Lee 등

26

의 연구 에서는 모유수유부의 수유 유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완전모유수유군이 1인 1일 평균 1,941 kcal, 혼합수유군이 1인 1일 평 균 1,871 kcal을 섭취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본 연구 에서는 출산 후 14일 미만 대상자(0개월)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완 전모유수유군은 1인 1일 평균 2,111.6 kcal, 혼합수유군은 1인 1일 평 균 2,017.3 kcal를 섭취한 것으로 나타나 완전모유수유군이 혼합수유 부에 비해 하루에 약 100 kcal/day 정도 더 섭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는 완전모유수유군과 혼합수유군 모두에서 모유수유 기간 경과에 따라 조사 당시 체중과 임신 전 체중의 차이가 감소되어 수유유형에 관계없이 임신 전 원래 체중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 났는데, 모유수유를 시작하는 0개월 대상자에서는 임신 전 체중과의 차이가 6.6±4.2 kg이었다가 모유수유 기간이 늘어날수록 점차 감소 하여 1년간 모유수유를 계속한 대상자에서는 1.6±2.5 kg 정도가 되 는 것으로 나타났다. Dewey 등

23

의 연구에서는 12개월 수유 시 체중

감소 정도가 완전모유수유군에서는 -4.4 kg, 혼합수유군에서는 -2.4 kg으로 크게 달랐다. 또한 Krause 등

21

의 연구에서도 6개월간 모유수 유 시 완전모유수유군에서는 매월 1.38 kg, 혼합수유군에서는 매월 0.84 kg 체중이 감소할 것으로 나타나 수유유형 간 차이를 보였으며, Sámano 등

19

의 연구에서는 출산 후 4개월에 완전모유수유군은 2.9 kg, 혼합수유군은 1.8 kg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 대체로 완전모유수유군과 혼합수유군 간에 체중 감소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서는 수유부의 에너지 섭취 량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섭취량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혼합수유군의 에너지 섭취량이 완전모유수유군에 비하여 1일 100 kcal 정도 낮은 것을 보임으로서, 모유수유로 인한 에너지 소비량 의 차이와 에너지 섭취량의 차이가 상쇄되어 두 군 간 체중 변화에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수유유형과 관계없이 완전모유수유군과 혼합수유 군 모두에서 모유수유기간과 체중 차이 간에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 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모유수유기간에 대한 회귀계수 가 -0.4038로 나타나, 수유부에서는 매월 약 0.4 kg 정도의 체중 감소 가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모유수유의 체 중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로는 분만 후 12주간 열량섭취와 체중변화 를 살펴본 Lee 등

26

의 연구가 있는데 완전모유수유군, 혼합수유군, 조 제유군 모두에서 12주 동안 체중과 체지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모유수유 여부나 수유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고 한 바 있다. 그러나 Lim 등

35

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8

에서 수유여성의 경우 수유를 위해 체내 저장 지방조직으로부터 동 원되는 에너지를 1일 170 kcal로 적용한 것이나, Lee 등

26

의 연구에서 수유부의 경우 체지방 손실로부터 1일 126 kcal를 얻어 유즙생성에 필요한 열량을 충당하는 것으로 추산한 것에 근거해 유추하면, 모유 수유를 통해 매월 약 0.5-0.7 kg의 체중감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Kac 등

20

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체지방 률이 22%인 여성의 경우에 6개월 동안 모유수유를 하면 수유유형에 관계없이 매 개월당 0.44 kg의 체중감소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여 보 고한 바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우리나라 수유부에서는 적극적인 식사 조절 없이도 모유수유에 의해 매월 0.4 kg 정도의 체중 감소가 나타나 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모유수유가 분만 후 산모에게 있어 임 신 전 체중으로의 단계적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 료된다. 단,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의 경우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수유부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모유수유를 하지 않은 산 모의 체중 변화를 비교할 수 없었고, 수유기간 중 수유유형에 따른 체 중변화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아, 이러한 체중 감소를 모두 모유수유 의 효과로 단정하기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앞으로 출산 후 체

Table 4. The effect of variables on weight difference in nursing women during

breastfeeding

Variable β SE t value P value

Intercept 6.1643 0.2935 21.0 < 0.0001

Breastfeeding duration -0.4038 0.0552 -7.361 < 0.0001 R2= 0.0559, F value= 53.48, P < 0.0001

(7)

중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특성과 함께 이에 대한 심층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  약

배경: 모유수유는 영아의 건강한 성장과 균형적인 발달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산모의 건강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또한 출산 후 모유수유가 임신 전 체중으로의 회복을 돕는다 는 보고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유부의 모유수유 기 간에 따른 출산 후 체중 변화를 분석하여 모유수유와 체중 변화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1-2013년에 임신부, 수유부 및 영아를 대상으로 수행된 식 품섭취량 조사결과 중 수유부의 수유유형과 신장, 체중(임신 전 체중 및 조사 당시 체중)에 대한 설문자료와 에너지섭취량조사 자료를 활 용하여 모유수유기간에 따른 에너지 섭취량과 체중 변화(조사 당시 체중과 임신 전 체중의 차이)를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1 세 미만 영아에게 모유 수유 중인 조사대상 1,044명 중에서 임신 전 체중과 신장에 근거해 비만(체질량지수 ≥ 25)이었던 대상자 138명을 제외한 9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유부의 모유수유 기간별 현재 체중과 임신 전 체중과의 체중 차이는 0개월에서 6.6±4.2 kg이었던 것이 모유수유기간 경과에 따라 임신 전 체중과의 차이가 줄어들어 11개월에는 1.6±2.5 kg이었다. 또 한 대상자의 모유수유 기간과 임신 전 체중과의 차이를 상관분석한 결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r=-0.2363, P<0.0001),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유수유 기간의 회귀계수는 -0.4038 (P<

0.0001)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할 때 모유수유는 수유부의 체중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모유수유부에서 모유수유에 의해 매월 약 0.4 kg 정도의 체중 감소가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중심단어 : 수유부, 모유수유, 임신 전 체중, 체중 변화

REFERENCES

1. Ip S, Chung M, Raman G, Chew P, Magula N, DeVine D, et al.

Breastfeeding and maternal and infant health outcomes in devel- oped countries. Evid Rep Technol Assess (Full Rep) 2007;153:1- 186.

2. Heinig MJ, Dewey KG. Health effects of breast feeding for moth- ers: a critical review. Nutr Res Rev 1997;10:35-56.

3. Rea MF. Benefits of breastfeeding and women

s health. J Pediatr (Rio J) 2004;80(Suppl 5):142-6.

4. Labbok MH. Effects of breastfeeding on the mother. Pediatr Clin North Am 2001;48:143-58.

5. Kennedy KI. Effects of breastfeeding on women

s health. Int J Gynaecol Obstet 1994;47 Suppl:11-20.

6. Schmitt NM, Nicholson WK, Schmitt J. The association of preg- nancy and the development of obesity - results of a systematic re- view and meta-analysis on the natural history of postpartum weight retention. Int J Obes (Lond) 2007;31:1642-51.

7. Rooney BL, Schauberger CW. Excess pregnancy weight gain and long-term obesity: one decade later. Obstet Gynecol 2002;100:245- 52.

8. Linné Y, Dye L, Barkeling B, Rössner S. Long-term weight devel- opment in women: a 15-year follow-up of the effects of pregnancy.

Obes Res 2004;12:1166-78.

9. Siega-Riz AM, Evenson KR, Dole N. Pregnancy-related weight gain: a link to obesity? Nutr Rev 2004;62 Suppl 2:105-11.

10. Gore SA, Brown DM, West DS. The role of postpartum weight retention in obesity among women: a review of the evidence. Ann Behav Med 2003;26:149-59.

11. Rössner S, Ohlin A. Pregnancy as a risk factor for obesity: lessons from the Stockholm pregnancy and weight development study.

Obes Res 1995;3 Suppl 2:267-75.

12. Lederman SA. The effect of pregnancy weight gain on later obesi- ty. Obstet Gynecol 1993;82:148-55.

13. Lovelady C. Balancing exercise and food intake with lactation to promote post-partum weight loss. Proc Nutr Soc 2011;70:181-4.

14. Lyu LC, Lo CC, Chen HF, Wang CY, Liu DM. A prospective study of dietary intakes and influential factors from pregnancy to postpartum on maternal weight retention in Taipei, Taiwan. Br J Nutr 2009;102:1828-37.

15. Kulkarni B, Shatrugna V, Nagalla B, Ajeya Kumar P, Usha Rani K, Chandrakala Omkar A. Maternal weight and lean body mass may influence the lactation-related bone changes in young undernour- ished Indian women. Br J Nutr 2009;101:1527-33.

16. Crowell DT. Weight change in the postpartum period.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Nurse Midwifery 1995;40:418-23.

17. Brandhagen M, Lissner L, Brantsaeter AL, Meltzer HM, Häggkvist AP, Haugen M, et al. Breast-feeding in relation to weight retention up to 36 months postpartum in the Norwegian Mother and Child Cohort Study: modification by socio-economic status? Public Health Nutr 2014;17:1514-23.

(8)

18. da Silva MD, Oliveira Assis AM, Pinheiro SM, de Oliveira LP, da Cruz TR. Breastfeeding and maternal weight changes during 24 months post-partum: a cohort study. Matern Child Nutr 2013 [Epub ahead of print].

19. Sámano R, Martínez-Rojano H, Godínez Martínez E, Sánchez Ji- ménez B, Villeda Rodríguez GP, Pérez Zamora J, et al. Effects of breastfeeding on weight loss and recovery of pregestational weight in adolescent and adult mothers. Food Nutr Bull 2013;34:123-30.

20. Kac G, Benício MH, Velásquez-Meléndez G, Valente JG, Struchin- er CJ. Breastfeeding and postpartum weight retention in a cohort of Brazilian women. Am J Clin Nutr 2004;79:487-93.

21. Krause KM, Lovelady CA, Peterson BL, Chowdhury N, Østbye T.

Effect of breast-feeding on weight retention at 3 and 6 months postpartum: data from the North Carolina WIC Programme. Pub- lic Health Nutr 2010;13:2019-26.

22. Lederman SA. Influence of lactation on body weight regulation.

Nutr Rev 2004;62 Suppl 2:112-9.

23. Dewey KG, Heinig MJ, Nommsen LA. Maternal weight-loss pat- terns during prolonged lactation. Am J Clin Nutr 1993;58:162-6.

24. Brewer MM, Bates MR, Vannoy LP. Postpartum changes in ma- ternal weight and body fat depots in lactating vs nonlactating women. Am J Clin Nutr 1989;49:259-65.

25. Neville CE, McKinley MC, Holmes VA, Spence D, Woodside JV.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stfeeding and postpartum weight change-a systematic review and critical evaluation. Int J Obes (Lond) 2014;38:577-90.

26. Lee GJ, Moon SJ, Lee MJ, Ahn HS. Postpartum changes in mater- nal diet, body fat and antropometric measurements in lactating vs nonlactating women. J Nutr Health 1993;26:76-88.

2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 trol and Prevention; 2012.

2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29. Statistics Korea. Birth Statistics in 2012. [accessed 2013 Nov 30];

Available from: URL: http://kostat.go.kr/portal/english/news/1/25/

2/index.board?bmode=read&bSeq=&aSeq=308141&pageNo=1&r 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2012 30. Lee JS, Kim ES. A longitudinal study on human milk volume and

lactational pattern. J Nutr Health 1991;24:48-57.

31. Neville MC, Keller R, Seacat J, Lutes V, Neifert M, Casey C, et al.

Studies in human lactation: milk volumes in lactating women dur- ing the onset of lactation and full lactation. Am J Clin Nutr 1988;

48:1375-86.

32. Kim WJ, Ahn HS, Chung EJ. Mineral intakes and serum mineral concentrations of the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5;10:59-69.

33. Ahn HS, Park YS, Jeong JY, Park SH. Ecological studies of mater- nal-infant nutrition and feeding in urban low income areas -II.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intakes, breast milk com- ponents and serum lipid/fatty acid composition of lactating wom- en. Korean J Community Nutr 1997;2:305-18.

34. Ahn HS, Choi MG. Influence of maternal diet on mineral and trace element contents of human milk and relationships between level of these milk constituents. J Nutr Health 1993;26:772-82.

35. Lim HS, Lee JA, Hur YR, Lee JI. Maternal changes of body com- position and energy balance in Korean lactating women. J Nutr Health 1996;29:899-907.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haracteristic
Table 2. Breast-feeding frequency and energy intake in nursing women during breast-feeding
Fig. 1. Correlation between difference in weight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in  nursing women

참조

관련 문서

: A structural steel bulk weight factor of 47% of total topsides weight (i.e. equipment + bulks + structural) has been used for integrated deck areas, and : 50% of total

The automotive industry has demand for fossil fuel depletion, safety regulations, environmental-regulations and a driver convenience intensify the body

2. No chain length effect.. 2-6 Molecular Weight Control in Linear Polymerization i) Quenching the reaction.. =&gt; Subsequent heat can change the Molecular Weight

Finally the relationship of the weight rate in fiber content of the product and fiber orientation function J and that of the injection molding condition and fiber

Effect of mulberry leaf powder containing the lactic acid bacteria on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 in a constipation mode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for middle-aged obese women in a weight control program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Changes

Bone mineral content (BMC)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lumbar spine, total hip, and proximal femu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Results : 1) Body

Analysis of body characteristics on olive flounder ( Paralichthys oilvaceus ) fed on the extruded and moist pellets (body weight, body length, body height and body width)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