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과 호주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지표 비교 : 건강과 안전 영역을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과 호주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지표 비교 : 건강과 안전 영역을 중심으로"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요약_유아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점점 높아지면서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에서도 건강과 안전 영역의 중요성을 더 강조하는 추세다. 국가마다 건강과 안전에 대한 초점이 상이하여 평가지표가 다르고, 사회문화적 배경이나 시대에 따라 지표가 변 하고 있어 지표에 대한 국제비교를 통해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관 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에 적용하는 ‘건강과 안전’

5개 지표 및 평가내용과 호주의 국가수준 질적 기준에 제시된 ‘건강과 안전’ 2개 개념과 5개의 하위개념에 포함된 평가자의 관찰, 논의, 확인 내용이다. 비교·분석 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은 유아 권리와 웰빙 측면에서 건강과 안전 영역의 목적을 명확하게 기술, 아동권리 보장 측면 부각, 휴식시간 및 공간 배치, 유아 사생할 보장, 급·간식에서 음식 에 대한 관점 변화, 유아가 건강하고 안전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아가 건강과 안전 이 슈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주요어_ 건강, 안전,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 평가지표, 국제비교연구

한국과 호주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지표 비교 : 건강과 안전 영역을 중심으로

장혜진*

1. 서론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19(COVID-19)의 출현에 따른 일상의 변화를 겪 으며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져 있다. 유아교육·보육기 관에서도 감염을 막기 위해 손 씻기와 소독, 사회적 거리 유지가 필수가 되었고

본 논문은 2017년도 대구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 대구대, 유아교육, 조교수, hjjang@daegu.ac.kr

(2)

교육과정 실행의 모습까지 바꾸어 놓았다. 특히 유아는 감염이나 면역 측면에서 취약하기 때문에 기관에서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기관에 서 중요한 과업이 되었다(최예린 2020).

인간의 삶에서 어느 시기라도 건강과 안전이 중요하지 않은 때가 없지만 성장 과 발달의 바탕이 되는 유아기에 그 중요성은 최우선 순위를 지닌다고 볼 수 있 다. 유아기는 건강과 안전에 대한 평생의 기초가 되는 생활습관이나 행동을 형성 하는 시기로 중요하지만(Marotz 2014)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에 가장 취약한 시 기이기도 하다(오가실 외 2008).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고자 하는 사회적,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유아 안전에 대한 연구도 2000년대 이후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학문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안현아·곽승주 2017).

유아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고 유아 웰빙, 권리에 대 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기관에서 지원하는 유아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도 예 전보다 높아졌다(정효은 2014). 이에 유치원과 어린이집 대상 평가지표도 이러 한 추세를 반영하였다. 2017년부터 적용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대상 통합평가지 표는 이전에 비해 건강과 안전 영역이 강조되어 개발되었다. 건강과 안전에 대 한 평가지표가 6개로 늘어났으며 평가요소도 79개로 더 구체적으로 개발되어 기 관에서 유아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책무성을 높이고자 하였다(육아정책연구소 2015). 유아교육·보육기관에서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지원하는 것은 이후 시기 에 비해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습관을 배워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에서도(최혜윤 2016) 사회의 책무성이 중요하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공통인 통합지표를 적용한 후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평가는 기본방향, 지표, 평가방법 등에 약간의 변화가 생겼다. 유치원에서는 평 가의 주체가 각 시·도 교육감이 되면서(국가법령정보센터 2012) 유치원 평가의 운영방식이 지역의 자율에 맡겨지게 되었다. 유치원 평가가 지역 수준에서 이루 어지면서 운영방식이나 평가문항이 융통적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유치원 (자체) 평가는 여전히 통합평가지표를 활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역에 따라 유치원 평가의 모습이 현장평가 참여 여부 등에 따라 자율적인 형태로 이루어짐

(3)

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건강·안전 관리 강화를 통한 유치원의 책무성과 공공성 강화는 여전히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다.

한편 어린이집에서는 통합지표를 적용한 제3차 평가인증을 거친 후 2019년 6 월 12일부터 어린이집 평가제가 시행되고 있다. 어린이집은 평가인증을 거치면 서 영유아가 생활하기에 청결하고 안전한 환경이 확보되는 등 먼저 물리적 환경 이 가장 개선되었고 교사들도 다른 영역에 비해 건강, 영양, 안전 영역에 대한 인 식이 높아졌음을 이미 보고한 바 있다(김동례 2007; 보건복지부·한국보육진흥 원 2020a; 정선영·홍순옥 2013; 하은경 외 2008). 최근 2019년 어린이집 의무평 가제를 시행함에 따라 기존 통합평가지표를 기반으로 어린이집 고유의 특성을 반영하여 평가항목을 일부 수정하였다. 이 과정에서도 영유아의 권리, 안전, 놀 이 가치를 강조하였으며 급·간식 위생 및 안전 항목 중 반드시 필요한 8개 항목 을 필수요소로 지정할 만큼(보건복지부·한국보육진흥원 2020b) 건강과 안전에 대한 기관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 운영방식이 완전 동일하지는 않지만 평가의 기본방 향에서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고 사회적으로는 유아교육·보 육 기관에 대한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요구가 계속 높아지고 있다. 현재 기관별로 적용 중인 평가에서 ‘건강과 안전’ 영역의 평가지표는 거의 동일하며1 급·간식과 안전 교육 및 사고 대책(예방) 2항목에서 차이가 있다. 어린이집 평가가 시행되 면서 급·간식에서 충분한 양의 급·간식을 제공하는 항목을 삭제하는 대신에 영 양사가 작성한 식단에 따라 제공하는 부분을 추가하였고 안전교육과 사고 대책 (예방)에서는 평가요소 수준이었던 안전설비를 비상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 도록 관리하는 내용이 독립적인 평가내용으로 추가하였다. 이러한 차이점이 있 지만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적용하는 평가의 ‘건강과 안전’ 영역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유아교육·보육기관에서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요구는 국외에서도 중요한 이 슈로 모니터링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 유아교육·보육기관에서 외부평가를 통

1 유치원 평가지표는 3-5. 안전교육 및 사고 대책, 어린이집 평가지표는 3-5. 안전교육과 사고 예방임.

(4)

해 모니터링하는 영역을 국가별로 조사한 결과, 조사에 참여한 22개의 국가 중 모든 국가가 안전 규정을 모니터링하고 스웨덴을 제외한 21개 국가가 건강 및 위 생 규정을 모니터링하고 있었다(OECD 2015). 하지만 국가나 문화권에 따라 건 강과 안전에 대한 관점이 상이할 수 있어 어떤 측면에서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어떻게 지원하는지에 대해서 더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한 예로 필자는 핀란드 유 치원에서 청결과 정돈상태 수준이 우리나라와는 다른 교실을 보면서 위생을 걱 정하였으나 한국을 방문한 핀란드 교수는 감기에 걸려 콧물을 흘리는 유아가 교 실에 있는 것을 보고 한국의 교실 내 감염을 염려하였다. 건강과 안전을 염두에 두고 유아를 지원하고자 함에도 불구하고 국가나 문화에 따라 초점을 두거나 접 근하는 방법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건강과 안전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동의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다루는 관점이나 접근방법은 국가마다 다를 수 있고 사회적 요구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기관 에서 건강과 안전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시각을 알아보고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육·보육기관 대상 평가의 지표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관 대상 평가가 이 루어지는 나라는 대표적으로 호주, 영국, 뉴질랜드, 아일랜드, 미국 등이 있다. 호 주, 영국, 뉴질랜드의 전반적인 평가체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장혜진·

송신영 2014) 평가지표 영역별로도 국제비교 연구가 수행되어 국가별 평가지표 를 비교하였다(이순례 외 2009; 조해연 외 2014; 김인애 2019). 부성숙(2013)은 한국, 미국, 호주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지표 중에서 ‘건강·안전’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한국 유치원 평가지표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평가지표에 질병 관리, 교직원의 건강평가, 유아에게 물 제공, 음식 알러지 고려, 아동학대 방 지 내용이 없다고 밝혔는데 현재 유아교육기관 평가내용에는 포함되어 있다. 우 리의 평가지표가 국외 사례를 따를 필요는 없으나 다른 국가가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나 유아의 웰빙을 위해 건강과 안전 측면에서 유아를 지원하는 방법을 확인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과 안전’ 영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 가에 적용되고 있는 평가지표와 호주의 평가지표를 살펴보고자 한다. OECD

(5)

Starting Strong Ⅳ 보고서에 의하면 연구에 참여한 95%의 국가가 외부평가 방 식을 활용하여 평가하고 있지만(OECD 2015) 평가지표를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국가는 많지 않다. 예를 들면 뉴질랜드의 기관평가는 기관의 다양성을 존중 하며 평가결과에 따라 다음 평가주기를 결정하는 등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시 사점을 주었지만(장혜진·송신영 2016) 건강과 안전 관련 내용은 관련 법을 준수 한다는 수준으로 기술되어 있어 구체적인 시사점을 주기에 부적절하며 영국의 경우에도 리더십과 관리, 교수·학습·평가의 질, 유아의 발달·행동·복지, 유아 의 성과 측면에서 건강과 안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평가지 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와 달리 호주의 기관 평가는 호주유아교육·보육질관리국(The Australian Children’s Education and Care Quality Authority, ACECQA)에서 담당하고 있는데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국가수준 질체계(National Quality Framework, NQF)에 따라 평가지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지표는 7개 영역으로 구성 되어 교육 프로그램과 실제, 아동의 건강과 안전, 물리적 환경, 교직원 배치, 아동 과의 관계, 가정과 지역사회와 협력적인 파트너쉽, 행정과 리더쉽으로 구분되어 있다(ACECQA 2020b). 각 영역별로 개념, 설명, 평가자의 관찰내용이 구체적으 로 기술되어 있어 평가지표에서 다루는 개념이나 초점을 알 수 있으며 기술 형식 이 우리나라와 유사하여 평가지표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얻는데 유용 하다.

또한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인식할 때 유아가 자신의 웰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유아의 소속감, 존재감과 성장(belonging, being and becoming) 에 토대가 됨을 강조하고 있다(ACECQA 2020c). 이는 건강과 안전이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있고, 유아 웰빙의 통합적 관점에서 지원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는 데서 의미가 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에서 평가지표는 평가 자체를 준비하기 위해서 교사가 알아야 할 자료이기도 하지만 교사가 기관의 질을 스스로 제고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일종의 자료(resource)나 이정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기관에서 자체평가 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평가가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이 기관 스스로 성장하도록

(6)

도와주는 것임을 고려하면 평가지표의 역할은 단순히 평가준비를 위한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아교 육·보육기관과 호주의 건강과 안전 영역 지표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앞으로 더 발전된 평가지표 개발이나 현장에서 스스로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지원 할 수 있는 기관의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유치원과 어린이집과 호주 평가지표의 ‘건강과 안전’ 영역에 대한 구조와 목적은 어떠한가?

둘째, ‘건강과 안전’ 영역에서 한국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하위지표별 내용에 따 라 호주 평가지표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2. 분석 대상 및 방법

1) 분석 대상

(1) 한국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지표

유치원 평가지표는 4주기 유치원 평가 통합지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유 보통합 추진 단계별 과제로서 국무조정실 유보통합추진단에서 마련한 관계부처 합동 「유치원·어린이집 평가체계 통합방안」을 반영하여 통합지표를 마련한 다 음 2017년부터 통합평가를 시행하였다. 제4주기 유치원 평가 지표의 영역은 3주 기와 비교하면 4개(교육과정, 교육환경 및 운영 관리, 건강·안전, 교직원)로 개 수는 동일하나 교육환경과 운영관리 영역이 통합되고, 교직원 영역이 추가되었 다(교육부 2017). 2020년 현재 제5주기 유치원 평가가 계획되어 있다. 유치원 평 가의 운영방식이 지역별 자율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평가의 획일성을 벗어나 기 관이 자체평가보고서를 제출하는 형식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자체평가보 고서의 평가내용으로 통합평가영역 및 평가지표가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유치 원평가지표로 통합지료를 대상으로 한다.

(7)

어린이집 평가는 2018년 12월 영유아보육법 제30조에 법적 근거가 마련된 이 후 2019. 6. 12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어린이집 평가에서 적용하고 있는 어린이집 평가지표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어린이집 평가가 시행되기 전까지는 유치원과 통합평가체제 안에서 동일한 지표를 활용하였으나 현재는 어린이집의 특성을 반영하여 약간 수정하였다. 교육과정과 교육환경 및 운영관리 영역의 평가지표 수가 줄어들면서 내용에도 변화가 있고 교직원 영역은 지표수는 2개 줄어들었지 만 내용면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 건강·안전 영역이 이전과 비교하여 가장 수 정되지 않은 영역이다. 건강·안전 영역의 평가지표는 3.5의 안전교육 및 사고 대 책이 안전교육 및 사고 예방으로 수정되었다. 두 평가지표를 비교한 내용은 아래

표 1. 한국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지표 비교

평가영역 유치원 평가지표 평가영역 어린이집 평가지표

Ⅰ.

교육과정

1-1. 교육 계획 수립 및 실행 1-2. 균형적·통합적 일과 운영 1-3. 교수·학습방법 1-4. 교사-유아 상호작용 1-5. 유아 간 상호작용시 교사 역할 1-6. 평가

Ⅰ.

보육과정 및 상호작용

1-1. 영유아 권리 존중 1-2. 보육계획 수립 및 실행 1-3. 놀이 및 활동 지원 1-4. 영유아 간 상호작용 지원 1-5. 보육과정 평가

Ⅱ.

교육환경 운영관리

2-1. 실내 공간 구성 2-2. 실외 공간 구성 2-3. 기관 운영

2-4.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2-5. 방과후 과정

Ⅱ.

보육환경 및 운영관리

2-1. 실내공간 구성 및 운영 2-2. 실외공간 구성 및 운영 2-3. 기관 운영

2.4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Ⅲ.

건강·

안전

3-1. 실내외 공간의 청결 및 안전 3-2. 급·간식

3-3.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관리 3-4. 등하원의 안전

3-5. 안전교육 및 사고 대책

Ⅲ.

건강·

안전

3-1. 실내외 공간의 청결 및 안전 3-2. 급·간식

3-3.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관리 3-4. 등하원의 안전

3-5. 안전교육 및 사고예방

Ⅳ.

교직원

4-1. 원장의 리더십 4-2. 교직원의 근무환경 4-3. 교직원의 처우와 복지 4-4. 교직원의 전문성 제고

Ⅳ.

교직원

4-1. 원장의 리더십 4-2. 보육교직원의 근무환경 4-3. 보육교직원의 처우와 복지 4-4.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제고 자료: 교육부. 2017. 『유치원평가중앙연수자료』, 보건복지부·보육진흥원. 2020. 『2020 어린이집 평가 매

뉴얼』의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8)

<표 1>과 같다.

(2)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National Quality Standard)은 국가수준 질체계 (National Quality Framework)에 따라 유아교육·보육기관을 평가하기 위해 구 성한 평가지표이다. 이는 국가교육보육법(Education and Care Services Law Act 2010)과 국가교육보육규정(Education and Care Services Law Regulation 2011)을 바탕으로 기관의 질 관리를 위해 구성된 국가수준의 체계이다. 호주에 서 유아교육·보육기관 대상 평가는 호주유아교육·보육질관리국에서 담당한다.

이 기관은 부처와 독립적인 기구로 만 13세 이하가 이용하는 영아기관, 유치원, 보육기관, 방과 후 기관 등의 질을 평가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ACECQA 2020a).

표 2.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 내용

영역 기준

영역 1:교육프로그램 및 실제

기준 1.1 프로그램 기준 1.2 실천 기준 1.3 평가와 계획

영역 2: 유아의 건강 및 안전 기준 2.1 건강 기준 2.2 안전

영역 3: 물리적 환경 기준 3.1 디자인

기준 3.2 사용

영역 4: 교직원 배치 기준 4.1 교직원 배치

기준 4.2 전문성

영역 5: 유아와의 관계 기준 5.1 교사와 유아 간 관계 기준 5.2 유아 간 관계

영역 6: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적인 파트너쉽 기준 6.1 가정과의 지원적 관계 기준 6.2 협력적인 파트너쉽

영역 7: 운영 및 리더쉽 기준 7.1 운영 기준 7.2 리더쉽

자료: ACECQA, 2020a, Guild to the National Quality Framework를 바탕으로 재구성.

(9)

2) 분석 방법

한국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지표 중 건강과 안전 영역에 해당하는 평가지표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건강과 안전 영역의 마지막 지표인 「3.5 안전교육 및 사고 대책(예방)」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국의 유치원과 어린이 집 평가지표 중 건강과 안전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과 유사한 내용을 다루는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을 찾아 내용을 비교·분석하면서 지표의 차이뿐만 아니라 각 개념에 대한 이해나 접근방식을 분석하였다.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에서 물리 적 환경에 대한 청결, 위생 관련 부분은 물리적 환경 영역의 하위수준인 「3.1 디 자인」에서 다루고 있었다. 한국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평가지표 「3.1 실내·외 공 간의 청결 및 안전」에 해당하는 지표의 평가내용과 관찰항목은 「3.1 디자인」에 서 찾아 비교·분석하였다.

5개의 하위지표별로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에서 해당되는 내용을 연결하여 구체적인 평가내용, 평가자가 평가 시 관찰하는 항목, 논의하는 항목, 확인하는 자료를 살펴보고 건강과 안전 영역의 구조 및 목적,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3. 한국과 호주의 ‘건강과 안전’ 영역 비교

1) ‘건강과 안전’ 영역의 구조와 목적 비교

한국의 유치원·어린이집 평가에서 건강과 안전 영역은 전체 영역 4개 중 세 번째 영역으로 5개의 하위지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하위지표의 명칭 은 모두 같으며 평가항목 수가 약간 다르긴 하나 거의 내용이 일치한다. 한국의

‘건강과 안전’ 하위지표는 실내·외 공간, 급·간식, 건강증진 교육, 등·하원, 안전 교육·사고로 나누어진다. 호주의 영역 명칭은 한국과 거의 동일하며 개념, 하위 개념으로 나누어진다. 유아의 건강과 안전 영역은 두 개념인 2.1 건강과 2.2 안전 으로 구성되었고 각 개념별 하위개념은 아래 <표 3>과 같이 제시하였다. 두 국가

(10)

의 영역에서 급·간식과 건강한 삶, 안전교육 및 사고관리에 대한 내용이 공통이 며 한국에 있는 실내·외 공간의 청결 및 안전에 대한 내용은 다른 영역인 ‘물리 적 환경’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두 국가의 ‘건강과 안전’ 평가지표의 목적을 비교한 결과, 우선 한국의 유치원 과 어린이집 평가에서 ‘건강과 안전’ 영역의 목적을 다루는 부분에서부터 차이가 있었다.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과 달리 유치원 평가 매뉴얼에서는 목적이 잘 드러 나지 않았다. 유치원 평가에서는 각 하위지표에 대한 설명이 간략하게 되어 있으 나 ‘건강과 안전’ 영역의 목적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에 나 타난 영역의 목적을 살펴보면 기관에서 유아가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지원하여 영유아의 기본적인 권리와 삶의 질을 보장하고자 하며 영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인적환경을 포함한 보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호주의 ‘유아 건강과 안전’ 영역의 목적에서도 가장 먼저 유아가 건강과 안전 이 보장되는 기관에서 양질의 교육·보육을 받을 권리를 제시하고 있다. 기관에 서 각 유아의 웰빙과 건강한 삶의 모습을 증진시키고 각 유아의 역량, 자신감, 독 립심을 길러주는 것으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눈에 띄는 점은 각 영역의 목적을 호주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인 유아기학습체제(Early Years Learning Frame work-belonging, being and becoming)의 내용과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유아 자신의 건강, 위생, 개인 관리에 대한 책임감을 더 크게 가지고 자 표 3. 한국과 호주의 ‘건강과 안전’ 영역 구조 비교

한국 3. 건강과 안전 호주 2. 유아의 건강과 안전

하위지표 평가항목 개념 하위개념

3-1 실내·외 공간의 청결 및 안전 4개

2.1 건강

2.1.1 웰빙과 편안 2.1.2 건강의 실천과 절차 2.1.3 건강한 삶의 모습

3-2 급·간식 3개

2.2 안전

2.2.1 감독

2.2.2 사고 및 응급관리 2.2.3 유아 보호 3-3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관리 3개

3-4 등·하원의 안전 2개

호주 3. 물리적 환경

3.1 디자인 2. 실내·외 공간의 청결 및 안전 3-5 안전교육 및 사고 대책 3개

(11)

신이나 타인의 안전과 웰빙을 잘 인식하게 되면서 유아가 더욱 독립적으로 성장 해나갈 수 있다는 것을 유아교육과정과 연결하여 ‘건강과 안전’ 영역의 목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한국과 호주의 ‘건강과 안전’ 영역의 목적에서 차별적인 특징은 한국에서는 영 역의 목적이 대체적으로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기술된 경향이 있고 호주의 목적은 유아에게 그러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유아가 건강과 안전을 ‘경험’하는 것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 평가의 목적이 기관의 역 량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것이지만 최종적으로는 유아의 경험으로 연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 ‘건강과 안전’ 영역 내용 비교

(1) 실내·외 공간의 청결 및 안전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의 실내·외 공간의 청결 및 안전 지표는 실내·외 공간 을 청결하고 쾌적하게 관리하는 내용과 위험요인 없이 실내·외 공간, 놀잇감, 안 전시설 및 설비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내용이다. 유아에게 제공하는 환경을 청결 과 안전 측면에서 갖추어야 하는 항목을 평가하고 있다. 호주의 지표 내용 중 한 국의 내용과 유사한 부분은 실내·외 공간이 주기적으로 청소가 되고, 물리적 환 경 자체가 안전한 상태인지를 관찰하는 부분이다. 한국의 평가요소 및 설명에는 기관의 실내·외 공간이 안전하게 위험요인이 없도록 관리해야 하는 부분을 자세 하게 설명하고 있어 교사가 작은 것도 놓치지 않고 청결 및 안전 상태를 확인하 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밝히고 있다.

한편 호주의 관찰지표 내용을 보면 실내·외 공간 자체를 청결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는 것 외에도 유아의 사생활을 존중하는 공간, 휴식할 수 있는 공간, 조용 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의 활용에 대해서도 관찰하고 있다. 또한, 교실공간의 조직을 통해 유아의 상해나 갈등을 줄일 수 있다고 보는 관점도 흥미롭다. 기관 에서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안전한 공간을 만드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공간의 배 치나 유아 집단을 구성하는 방법에 따라 공간의 안전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

(12)

준다.

표 4. 한국의 실내·외 공간의 청결 및 안전 지표에 해당하는 호주 관찰지표 내용

한국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

유치원 통합지표

하위-세부

영역 관찰 지표 내용

실내·외 공간의

청결, 실내·외

시설·

설비의 안전

건강 -웰빙과

편안

•교사는 유아의 휴식 시간을 알고 혼잡해지지 않도록 조치한다.

•화장실을 사용하거나 옷을 갈아입을 때 유아의 사생활이 존중되도록 한다.

•휴식과 조용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활동 공간이 있어 유아가 이용할 수 있다.

•연령이나 능력이 다른 유아 집단을 위해서 안전한 신체적 놀이와 활동을 지원 하는 실내, 실외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안전 -감독

•교직원은 일상적 안전을 체크하고 빌딩, 설비, 일반적 환경을 관리한다.

•위험한 물건에 대한 사용과 보관에 대한 기관의 방침과 절차를 시행한다.

•위험한 물건은 바로 제거하거나 유아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영역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유아는 위험할 수 있는 물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다.

•뜨거운 음식이나 물을 마실 때 적절한 감독이 이루어진다.

•위험할 수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에는 간단한 경고 사인이 있다.

•독이나 해로운 식물이 발견된 경우, 유아에게 설명하고 바로 제기되어야 하며 유아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다.

•사용하지 않는 전기단자에 안전한 보호캡이 항상 부착되어야 한다.

물리적 환경 -디자인

•부지, 가구, 시설이 안전한지, 청결한지, 잘 유지되는지를 본다.

•교육자가 시설, 가구, 경험을 마련할 때 교육자가 관련당국과 제조업자의 안 전수칙을 따른다.

•아동이 사용하는 장소가 주기적으로 청소되고 있다.

•태양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는 것과 관련된 기관의 규정에 부합하는 그늘이 있는 실외공간이 있다.

•상처나 갈등의 위험을 줄이고, 심한 소음에 오래 지속되는 것을 줄이고, 아동 의 학습과 발달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아동의 그룹을 만든다.

•자연 및 인공광의 균형, 충분한 통풍과 신선한 공기를 고려한다.

•수면과 휴식을 위한 조용한, 편안한, 잘 환기되는 공간이 있다.

•행정적 업무, 가정과 교사와의 개인적 대화나 상담, 교직원 휴식을 위한 공간 이 있다.

•아동을 안전하게 하는 울타리가 있다.

•교육자가 주기적으로 안전 체크를 하고 건물과 시설의 유지를 모니터링한다.

자료: 교육부, 2017, 보건복지부·보육진흥원. 2020, ACECQA. 2020a의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13)

(2) 급·간식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의 급·간식 지표는 영양의 균형을 고려한 급·간식, 식 자재, 조리공간, 조리과정, 배식의 위생적 관리 정도를 관찰한다. 자연식품 위주 로 충분한 양의 급·간식을 제공하도록 하며 식품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여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급·간식에 대한 호주의 관찰지표도 영 양, 조리, 배식과정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유아의 음식 알러지 관리 측면을 살펴보는 점에서 유사하다. 한국의 경우 식자재 구입에 대한 내용이 명시 적으로 드러나 있는데 인스턴트 식품보다 자연식품 위주로 제공하고 모든 식자

표 5. 한국의 급·간식 지표에 해당하는 호주 관찰지표 내용

한국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

유치원 통합지표

하위-세부

영역 관찰 지표 내용

연령과 영 양을 고려 한 충분한

급·간식 제공

건강 - 건강한 삶

의 모습

•교사는 쉴 수 있고 즐거운 식사시간과 건강하고 균형잡힌 삶의 스타일을 증 진하는 경험, 대화, 일과에 아동을 참여시킨다.

•교사는 건강한 음식과 영양에 대해 아동이 더 잘 이해하도록 요리 경험을 활 용한다.

•교사는 절대로 음식을 아동에게 보상이나 처벌로 사용하지 않는다.

•교사는 아동이 좋아하지 않는 음식을 먹도록 강요하는 일이나 필요한 것보 다 더 많이 먹는 일 없이 건강한 음식을 먹도록 격려한다(유아가 배고프거나 배부른 때가 언제일지를 인식하도록 도와주는 것 포함)

•교사는 식사시간에 아동과 함께 앉아서 건강한 식사와 영양의 실제를 실행 하고 강화함으로써 모델링한다.

•교사는 아동의 일과와 식사시간에 대해 아동과 논의한다.

•건강한 음식을 선택하고 준비하는 데 유아가 참여한다.

•유아는 호주 영양 지침에 맞게 충분한 음식을 제공받고 더 요구하면 충분히 공급받는다.

•교사는 음식을 바르게 보관하고 음식이나 음료수를 가열할 때 기관의 절 차를 따른다.

건강 - 건강의 실

천과 절차

•가정에서 가져온 음식을 포함하여 아동이 먹는 모든 음식과 음료수의 안전 하고 위생적인 용기, 취급, 조리 및 배식이 이루어진다.

•아동이 위생적으로 음식과 음료수를 섭취한다.

안전 - 감독

•기관 내 특이건강요구, 알러지 등 의료적 상황에 있는 유아를 위해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계획을 실행한다.

자료: 교육부. 2017, 보건복지부·보육진흥원. 2020, ACECQA. 2020a의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14)

재는 신선한 것으로 구입해야 함을 밝히고 있다. 전체적으로 한국의 급·간식 지 표는 음식의 영양과 위생에 초점을 두고 있다.

호주의 급·간식 지표는 음식에 대한 상이한 문화적 시각을 엿보게 해준다. 건 강한 식사 외에도 즐거운 식사에 대한 시각이 담겨져 있다. 기관에서의 음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도 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교사가 절대로 음식을 아동에게 보 상이나 처벌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나 좋아하지 않는 음식을 먹도록 강요하지 않 는 것, 유아가 배고프거나 배부른 때가 언제인지를 인식하도록 도와주는 것 등이 다. 또한, 건강한 급·간식을 선택하고 준비하는 과정에 유아가 참여해야 하는 것 도 보여준다.

(3)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관리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관리 지표는 다른 지표보다 한국과 호주 간에 유사 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한국에서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관리를 위해 관찰하는 지표에는 손 씻기와 양치질 같은 개인위생습관, 건강교육, 유아의 건강상태 인 식 및 지원, 유아와 교직원의 예방관리와 교육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유 아뿐만 아니라 교직원을 대상으로 건강 및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것, 교직원 대상 정기적인 건강검진, 정신건강 관리에 대한 내용까지 있어 유아에게만 한정되어 있지 않고 교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지원 정도를 관찰한다. 감염병 관리수칙을 수 립하여 감염병 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한 기록도 확인자료로 보관해야 함을 밝 히고 있다. 두 국가 간에 유아에게 약을 투약할 때 지켜야 하는 유의점이 비슷하 며 유아의 건강상태를 교사가 주의 깊게 살펴야 하는 내용은 유사하다. 호주의 평가에서 볼 수 있는 문화적 차이는 아픈 교사는 쉬어야 한다는 기관의 입장, 유 아의 건강상태 관련 정보의 민감성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한다.

(15)

(4) 등·하원의 안전

한국의 등·하원의 안전 지표에는 성인의 보호와 통학버스의 안전요건 등에 대 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차량 운행 시 성인이 동승하여 유의해야 할 점을 구 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통학버스의 안전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 호주에는 한국 과 같이 등·하원 시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없어 현장견학 시에 부모에게 미리 알려야 하는 정보로써 현장견학 위치, 사용하는 교통수단, 유아 대 교사의 비율, 동행하는 성인의 수 등을 알리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현장견학 시 위치 외에도 유아 대 교사의 비율이나 성인의 수를 알려주는 것은 현장견학에서 안전을 더 담 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성인이 유아를 보호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가정과 연계하여 부모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을 한 항목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표 6. 한국의 건강증진 교육 및 관리 지표에 해당하는 호주 관찰지표 내용

한국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

유치원 통합지표

하위-세부

영역 관찰 지표 내용

위생습관 실천 및

유아 건강 지원

건강 - 웰빙과

편안

•건강 관련 기관으로부터 최근 연구와 조언을 반영한 위생 절차가 마련되어 있다.

건강 - 건강의

실천과 절차

•아동이 적극적으로 위생의 실제를 배우도록 지원한다.

•아동에게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한다.

•교사는 유아 질병이나 상해의 징후를 관찰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한다.

•교사는 유아 질병과 상해의 징후를 관찰하고 체계적으로 관찰하며 가정에 관 련 정보를 알린다.

•교사는 유아와 함께 건강 및 안전 이슈에 대해 논의한다.

•교사는 기관의 환경을 모두에게 건강하고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지침 마련 시 유아를 참여시킨다.

•교사는 유아에게 약을 복용할 때 적절한 절차를 따른다. 부모나 보호자로부 터 받은 서면동의서, 약의 유효기간 및 상태, 유아의 이름이 표시된 약, 적절 한 약 보관, 약을 복용한 시기를 기록 등이 포함되어 있다.

•교사는 유아 질병과 상해의 징후를 관찰하고 체계적으로 관찰하며 가정에 관 련 정보를 알린다.

자료: 교육부. 2017; 보건복지부·보육진흥원, 2020; ACECQA. 2020a의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16)

(5) 안전교육 및 사고 대책

유치원, 어린이집의 안전교육 및 사고 대책에 대한 지표는 지속적인 안전교육 실시, 정기소방대피 훈련 참여, 놀이기구나 놀잇감의 안전한 사용에 대한 지도, 유아학대예방 지침 준수, 비상 시 대처방안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안전교육 의 시간 및 횟수까지도 아동복지법 제31조 및 동법 시행령 제28조, 학교안전교 육실시 기준 등에 관한 고시(교육부 고시 제2016-90호)에 따라 설명하고 있다.

놀잇감을 사용할 때 안전사고를 초래하지 않도록 긍정적인 방법으로 지도하도 록 하고 있다. 기관에서 시행해야 할 안전교육에 대해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두 나라에서 아동학대에 대한 시각이 상이함을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유아 학대 예방 지침(체벌 금지 포함)을 교사가 준수하는지를 살펴보는데 여기에는 학 표 7. 한국의 등·하원의 안전 지표에 해당하는 호주 관찰지표 내용

한국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

유치원 통합지표

하위-세부

영역 관찰 지표 내용

성인의 보호 를 받는 안전한 등·

하원 및 통학버스 점

안전 - 감독

•유아는 기관에서 관리되지 않는 곳 혹은 안전하지 않은 영역에 접근할 수 없다.

•유아는 오로지 교사, 코디네이터, 위임받은 관리자, 부모 혹은 위임받은 이 에 의해서만 기관 밖으로 나간다.

•아동은 화장실가거나 수면, 휴식, 전이의 일과를 포함하여 항상 교사의 눈 안에서 교사의 말을 듣는 등 기관의 모든 영역에서 보호받는다.

•교사는 위험의 정도가 더 큰 상황에서 아동을 더 세심하게 지도한다-예를 들면, 물놀이나 목공작업, 여행 시.

•감독의 수준을 교사가 감독하는 유아의 역동성과 집단크기와 기관이나 능 력의 영역, 연령 통합에 따라 조절한다.

•적절한 경우, 아동을 안전 규칙세우기에 참여하게 하는 가운데 안전 이슈와 기구 및 환경의 정확한 활용에 대해서 아동과 이야기를 나눈다.

•유아가 개인적이고 조용한 공간에 접근하도록 하는 동시에 효과적인 감독 이 이루어지도록 기구, 가구를 배치하고 활동을 계획한다.

안전 - 유아보호

•교사는 아동에 대한 매일의 관찰과 아동의 삶에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가정 의 의견을 듣거나 반응한다.

자료: 교육부, 2017; 보건복지부·보육진흥원, 2020; ACECQA, 2020a의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17)

대 신고의무자의 역할을 비롯한 학대 예방 지침이 수립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호주의 관찰지표에서는 교사가 잘 관찰하여 학대나 방임의 사인을 인식하고 어 떤 조치를 취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한 확인자료로 학대나 방임의 위험에 처 한 아동, 가정, 기관을 지원하거나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역사회 정 보가 필요하다. 계절 및 날씨에 대한 내용 중에서는 특히 자외선으로부터의 과다 노출이 이슈가 되고 있다. ‘물리적 환경’ 영역에서 실외공간에서도 그늘막이 필요 하고 쉬고 싶은 유아에게 쾌적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지를 관찰지표로 활용하 고 있는 것과 연결하면 안전에 대한 관찰지표 중 자외선으로부터의 보호에 관심 이 많음을 알 수 있다.

(6) 기타 지표

호주의 관찰 지표 내용 중에서 한국 유치원, 어린이집 평가 지표와 연관이 부 족하거나 일반적인 내용으로 기술되어 있어 하나의 지표와 연결하기 어려운 지 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건강과 안전이라는 영역의 평가를 통해서 유아에게 소 속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과 건강과 안전 활동에 유아의 참여와 가정과의 연 표 8. 한국의 안전교육 및 사고 대책 지표에 해당하는 호주 관찰지표 내용

한국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

유치원 통합지표

하위-세부

영역 관찰 지표 내용

유아와 교 직원 대상 안전교육

안전사고

예방

안전 - 감독

•아동과 햇빛 노출에 대해서 논의하고, 화상과 같은 자외선 과다 노출에서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실행한다.

안전 - 유아보호

•아동학대 혹은 방임의 사인이나 지표를 관찰하는 데 있어 전혀 방심하지 않고 이들에 반응한다.

안전 - 사고와 응급상황 관리

•기관 전체에 응급절차가 잘 보이게 드러나야 한다.

•위임받은 관리자, 코디네이터, 교사는 전화나 다른 유사한 연락 방법에 대 한 준비를 가지고 있다.

•전화기 근처에 응급전화번호가 적혀져 있다.

•직원이 소화기나 화재담요와 같은 응급시설에 접근할 수 있는 준비가 되 어있다.

자료: 교육부. 2017; 보건복지부·보육진흥원, 2020; ACECQA, 2020a의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18)

계가 중요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지침으로 깔려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건강과 안전’ 영역에 유아 신체적 활동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신체활동을 격려하는 모습,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등 관찰자의 관찰 내용이 다양하게 제시되 어 있다. 이는 유아의 건강과 안전에서 신체적 활동이 차지하고 있는 중요성을

표 9. 한국의 안전교육 및 사고 대책 지표에 해당하는 호주 관찰지표 내용

호주 (국가수준 질적 기준) 하위-세부

영역 관찰 지표 내용

건강 - 웰빙과

편안

•유아는 신체적 필요를 인식하고 의사소통하거나 필요한 경우 교사로부터 위로와 도움을 받음으로써 환경 안에서 소속감과 편안함을 보인다.

•유아는 필요한 경우 깨끗하고, 적절한 여분의 옷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유아가 독립적으 로 의복을 찾을 수 있는 장소를 안다.

•유아가 잠자거나 휴식을 취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조용한 놀이 경험을 위한 선택이나 기 회를 받는다.

•교사는 일과 안에서 다양한 활동과 휴식을 제공하고 활동 참여하도록 유아를 지원한다.

건강 - 건강의

실천과 절차

•위임받은 관리자, 교사, 코디네이터와 가정보육보조원은 기관의 건강과 위생 정책 및 절 차를 실행한다.

•교사는 유아 건강을 위한 요구사항에 대해 가정과 소통할 때 문화를 존중한다.

•교사는 유아와 함께 건강 및 안전 이슈에 대해 논의한다.

•교사는 기관의 환경을 모두에게 건강하고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지침 마련 시 유아를 참 여시킨다.

건강 - 건강한

삶의 모습

•교사는 프로그램의 한 부분으로 신체적 게임과 활동을 하고 유아의 참여를 격려한다.

•교사는 각 유아의 능력이나 안정감을 느끼는 수준에 따라 새롭고 익숙하지 않은 신체적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하거나 지원한다.

•교사가 유아의 신체적 활동에 참여하거나 즐거움을 느낀다.

•교사는 유아가 놀이하면서 위험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유아는 복잡한 감각운동기능과 운동패턴을 더 많이 사용하도록 격려 받고 지원받는다.

•유아는 활동적인 놀이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빈번하게 가진다.

•유아는 신체적 놀이에 참여하는 것에 열정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의 안전과 웰빙을 보장하 기 위해서 놀이 공간에 대해 협상한다.

•유아와 교사는 자신의 신체가 움직이는 것이나 건강과 웰빙 측면에서 신체활동의 중요성 에 말한다.

•교사는 아동이 춤, 창의적 움직임, 드라마에 참여하거나 전통적, 현대적 음악과 스토리텔 링에 반응할 수 있는 기회를 계획하거나 실행한다.

자료: 교육부, 2017; 보건복지부·보육진흥원, 2020; ACECQA, 2020a의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19)

보여준다. 우리나라 지표 중 교육과정의 일과운영에서 바깥놀이 시간을 매일 1 시간 이상 충분히 배정하여 운영하는지를 관찰하지만 건강과 안전 영역에는 신 체적 활동에 대한 내용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4. 논의 및 정책적 제언

1) ‘건강과 안전’ 영역 구조와 목적 비교·분석

먼저 ‘건강과 안전’ 영역의 구조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지표는 건강과 안전에 대한 내용을 주제별로 묶어 제시하였고 호주는 건강과 안전 개념으로 분류하여 각 3개의 하위개념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지표에 비해 호주 평가지표상의 건강 과 안전 개념과 하위개념이 포괄하는 범위가 더 넓었다. 이에 비해 한국의 평가 지표는 건강과 안전의 대상이 되는 부분을 기술하여 어떤 내용에서 건강과 안전 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더 명확하게 전달한다고 볼 수 있다.

호주의 ‘건강과 안전’ 영역에서 한국과 차별적인 부분은 건강의 첫 번째 하위개 념이 웰빙과 안위라는 것이다. 신체적, 정서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질병이 없 는 상태를 말하는 소극적인 건강이라는 개념을 벗어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도 건강이란 병이나 허약함이 없는 것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도 완 전히 양호한 상태라고 정의하였다(성미영 외 2015). 유아의 웰빙과 편안이라는 하위개념은 건강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과 건강이 웰빙과 편안함으로 이어지는 총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한다.

한국와 호주의 ‘건강과 안전’ 영역 목적을 살펴보면 유치원 평가에서는 각 영 역의 배경이나 목적이 기술되어 있지 않다. 유치원 평가가 점차 자율적인 형태로 운영되는 가운데 평가영역이나 지표에 대한 설명은 더 중요할 것이다. 왜냐하면 외부로부터의 평가가 아니라 기관이 스스로 체크하고 개선해나갈 수 있는 역량 을 키우기 위해서는 평가영역에 대한 배경이나 목적을 이해하는 것이 출발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어린이집 평가에서는 ‘건강과 안전’ 영역을 유아의 기

(20)

본적인 권리와 삶의 질 문제로 연결하여 영역의 배경 및 목적을 설명하고 있다.

호주에서도 건강과 안전 영역 측면에서 경험하는 것들이 유아의 권리로 인식하 고 있어 평가의 목적을 유아의 권리와 연결하는 것은 어린이집 평가와 호주의 평 가가 공통되는 부분이다. De Winter, Baerveldt, and Kooistra(1999)는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하기 위해서 유아의 참여가 중요한 토대가 됨을 보여주었다.

건강과 안전 영역의 목적이 유아의 권리를 실현시키는 것이라는 것을 볼 때 유아 에게 수동적으로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유아가 참여하도록 하고 유아가 자신의 권리를 보장받도록 도와주는 교사의 지원이 필 요하다.

한국과 호주의 평가목적을 비교하였을 때 흥미로운 점은 한국에서는 평가의 목적이 기관이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호주에서 는 평가의 목적이 그러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아가 경험하는 것으 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과정에서도 유아의 자율성이 존중되고 유아의 관점 에 초점을 두고 있는 시점에서 평가목적이 유아의 경험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기 술되는 것은 교육과정과 평가 간의 철학적 접근이 연계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건강과 안전’ 영역의 지표내용 비교·분석

실내·외 공간의 청결 및 안전에서 청결, 위생에 대한 부분은 두 국가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내용이다. 한국의 지표에서는 실내외 공간 외 놀잇감의 청 결과 안전에 대해서도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호주에서는 유아의 사생활, 휴식하는 공간, 조용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의 배치에 대해서도 평가하고 있 다.

휴식은 유아교육·보육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충분한 휴식을 통해 건강한 발달과 웰빙을 도모할 수 있다(김희진·정혜영 2019). 아동권리협약 제 31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아는 여가와 휴식을 즐길 권리가 있기 때문에 건강·

안전 측면에서도 휴식할 수 있는 적절한 공간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매우 의 미 있다(이순희·서영숙 2013). 201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신체운동·건강 영역

(21)

에서 ‘하루일과에서 적당한 휴식을 취한다’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유아가 아프거나 피로하거나 쉬고 싶을 때 적절한 휴식을 취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부 2019). 지금까지 주로 흥미영역별로 실내를 구성해오면서 유아의 휴식 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였다고 볼 수 있다. 교실 내 휴식영역은 물론 교실 외 별도 의 공간에서 유아가 성인의 보호 아래 휴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이순희·서 영숙 2013). 유아가 휴식할 시간을 갖는지나 휴식할 적절한 장소가 있는지는 유 아 건강과 안전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앞으로 기관에서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조용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나 화장실 등과 같은 사적인 공간에 서 유아의 사생활이 잘 존중되고 있는지도 새롭게 살펴볼 부분이다.

급·간식 부분에 대한 지표에서는 영양, 조리, 배식과정이 위생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지, 유아의 음식 알러지 관리 측면을 살펴보는 점이 유사하였다. 한국 에서는 연령에 따른 충분한 양의 급식 제공, 식자재 자체의 신선도나 자연식품 이어야 함을 강조하여 유아 대상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엿볼 수 있다. 충 분한 양의 급식이 제공받지 못하는 유아가 더 자주 감기에 걸리는 등 건강에 부 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볼 때(Alaim, Olson, Frongillo, and Briefel 2001) 충분 한 양의 급식도 중요한 부분이다. Gibbs, Staiger, Johnson, Block, Macfarlane, Gold, and Ukoumunne 2013)은 농장 프로그램을 통해서 유아가 더 신선한 음 식을 섭취하고 새로운 음식에 대한 저항이 낮아졌으며 더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 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교육과정과 기관 평가 항목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

급·간식에서는 상대적으로 다른 지표에서보다 음식에 대한 문화적 차이가 잘 드러났다. 한국의 지표를 보면 건강한 급·간식을 위해 신선한 식자재와 위생적 인 조리, 배식과정을 거치는지를 살펴보는데 호주는 교사가 음식을 강화나 벌의 도구로 사용하는지, 좋아하지 않는 음식을 먹도록 강요하지는 않는지, 스스로 배 고프거나 배부른 것에 표현하도록 하는지도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에 서 유아교사는 급식지도에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박아영, 2014) 교사의 건강지도에 대한 책임감과도 관련이 깊을 것이다. 하지만 급·간 식 시간에 유아가 무조건 음식을 충분히 골고루 먹어야 하는 것보다는 먼저 급·

(22)

간식 시간이 즐겁고 싫어하는 음식을 먹지 않을 기호도 인정받을 수 있는 인격체 로 존중할 수도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강효정·최윤정 2018). 또한 건강한 식사 지도는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진행될 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므로 (Thomas et al. 2003) 교사가 혼자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하지 않고 가정과 소통하고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더 확장되어야 한다.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관리 지표는 상대적으로 한국과 호주의 관점이 유사 하였다. 손 씻기와 양치질 같은 개인위생습관, 건강교육, 유아의 건강상태 인식 및 지원, 유아와 교직원의 건강 관리와 교육에 대한 내용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두 국가 간에 달랐던 점은 아픈 교사는 쉬어야 한다는 내용과 유아의 건강에 대 한 정보도 중요한 개인정보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코로나 19가 우리 사회에 가르쳐 준 것 중의 하나가 감염염에 대한 민감성일 것이다. 앞으로 유아와 함께 교사가 질병에 걸렸을 때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교육·보육기관에서 대체할 수 있는 인력풀이 있어야하며 지역교육청이나 관련 기관과 연계하여 인력풀을 필 요한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제반 준비가 마련되어야 한다.

등·하원의 안전에 대해서는 호주에서 등·하원 차량을 이용하지 않아 차량에 대한 내용보다는 유아가 항상 성인의 관리 하에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는 한국의 지표에서도 성인의 보호를 강조하고 있어 유사하다. 한국에서는 통학 버스 이용 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매우 구체적인 수준에서 지 켜야 할 항목을 제시하고 있어 이 부분에 대한 중요성을 엿볼 수 있다. 한편 호주 에서는 현장견학시 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이동하는 문제에 대해서 보다 안전 을 고려하고 있다. 이는 현장견학 시 부모에게 알리거나 기록해야 하는 자료에 성인 대 유아 비율이나 참여하는 총 성인의 수를 기록하도록 한다는 점이다.

안전교육 및 사고 대책(예방)에서는 지속적인 안전교육 실시, 정기소방대피 훈 련 참여, 놀이기구나 놀잇감의 안전한 사용에 대한 지도, 아동학대예방 지침 준 수, 비상 시 대처방안에 대한 내용을 공통으로 담고 있다. 하지만 호주에서는 교 사가 아동학대를 해서는 안된다는 규정준수보다는 학대나 방임의 사인을 인식 하여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를 아는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물론 교사의

(23)

아동학대는 호주에서도 엄격히 금지되고 있으나 학대 가해자의 대부분이 친부 모라는 것을 고려하면 교사가 학대의 사인이나 징후를 알고 적극적으로 아동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인다. 하지만 실제 아동학대의 징후를 포착한 교사 나 직원들이 아동학대를 신고하는 과정이 쉽지 않고 부정적인 경험을 많이 하고 있어(Flaherty, Sege, Bnns, Mattson, and Christoffel 2000) 교사가 아동학대신 고의무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이나 교사를 보호하는 정책방안 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의 유치원, 어린이집 평가지표에 해당되지 않았던 호주의 관찰지표 내용 을 보면 대부분 건강과 안전에 대한 포괄적인 시선을 담고 있다. 이는 앞서 건강 과 안전 영역의 목적에서도 나타났듯이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구체적인 한 대상 에 국한하지 않고 여러 면에 걸쳐 있는 개념으로 인식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한 다. 유아의 다양한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건강과 안전에 대한 이슈에 대해 유아 가 참여하도록 권하는 것도 인상적이다. 유아의 신체적 참여를 중요하게 여겨 유 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신체적 활동에 유아가 참여하도록 하고 즐거움을 느끼 는 것을 주요 관찰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3) 정책적 제언

한국과 호주의 유아교육·보육기관 대상 ‘건강과 안전’ 영역을 비교·분석한 결 과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과 안전’ 영역의 목적을 유치원 평가에도 제시하고 유아의 권리나 웰빙으로 확대하여 유아 행복까지 연계할 수 있다. 한국의 유치원 매뉴얼에서 이 러한 목적이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영역의 목적을 명확히 문서상에 기술할 필 요가 있다. 교사가 각 영역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해야 지표에 적절한 상호작용이 나 환경을 유아가 경험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아교 사가 ‘건강과 안전’ 영역의 고유한 특성이나 배경,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을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다. 지표의 역할은 충족여부를 예/아니오로 체크하는 수단이 아니라 교사가 자발적으로 기관의 질을 평가하고, 제고에 기여하도록 돕

(24)

는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

둘째, ‘건강과 안전’ 영역의 목적을 유아 권리의 관점에서 보다 강조할 필요가 있다. 현재 어린이집 매뉴얼에서는 유아 권리의 관점에서 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지원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건강과 안전이라는 이슈가 유아의 성장에 얼마나 기본적인 토대가 될 수 있는지, 건강과 안전에 대한 내용이 유아의 권리와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명시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셋째. 유아 휴식할 시간 및 공간 배치, 화장실이나 탈의실 같은 곳에서의 사생 활 존중, 유아의 건강 정보와 같은 개인적인 정보 보호에 대한 교사의 새로운 시 각을 반영해야 한다. 특히 휴식 시간 및 공간에 대한 이슈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에서도 중요하게 간주하는 부분으로 유아의 휴식할 권리가 보장되는지를 현장 에서 눈여겨보고 유아의 휴식 관련 연구도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유아 급·간식 관련 음식 섭취에 대한 관점을 달리 할 필요가 있다. 지금 까지 유치원, 어린이집 평가에서 최소한의 질적 수준을 담보하기 위하여 충분한 음식 제공이나 청결한 위생, 배식 과정을 중요시해왔는데 이런 지표의 충족과 함 께 유아의 음식에 대한 선택권을 존중하고, 음식을 보상이나 벌의 도구로 사용하 지 않는 등 음식의 섭취라는 관점에서 음식을 즐기고 선택하도록 하면서 건강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쪽으로 옮겨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유아의 건강과 안전한 생활을 위해 기관에서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을 수동적으로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유아가 건강하고 안전환 생활을 경험하도 록 하는 데도 관심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건강과 안전에 대한 이슈를 유 아와 교사가 함께 나누고 유아가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하도록 격려 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교신: 장혜진(대구대학교 유아교육 조교수)(hjjang@daegu.ac.kr)

Correspondence: Jang, Hyejin (Daegu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ssistant professor) (hjjang@daegu.ac.kr)

2020.04.30 접수, 2020.05.08 심사, 2020.07.17 게재확정

(25)

참고문헌

강효정·최윤정, 2018, 색동유치원 급식시간에 나타나는 3세 유아의 편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1), 133-161.

교육부, 2017, 유치원평가 중앙 연수자료.

교육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국가법령정보센터, 2012, 유아교육법 제19조 1항.

김동례, 2007,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관리에 관한 연 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인애 외, 2019, 한국과 미국(ECERS-3) 유아교육기관 평가지표 비교연구, 예술인문사회융 합멀티미디어논문지, 9(7), 37-45.

김희진·정혜영, 2019, 유아교육기관 하루일과 속 영유아의 휴식 탐구: 교사의 시선으로 들여 다보기, 교육혁신연구, 29(4), 451-474.

박아영, 2014, 영아반 교사들의 식습관 지도행동 변화를 위한 실행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성숙, 2013, 한국, 미국(NAEYC), 호주(QIAS)의 유아교육 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 ‘건강·

안전 영역’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18(2), 77-105.

보건복지부·한국보육진흥원, 2020a.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보건복지부·한국보육진흥원, 2020b, 2020 어린이집 평가지표.

성미영 외, 2015, 아동건강교육, 파워북.

안현아·곽승주, 2017, 영유아 안전에 대한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동향 탐색: 1995년- 2015년 연구를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16(3), 355-382.

오가실 외, 2008,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 자신감, 실천, 아동간 호학회, 14(2), 155-162.

육아정책연구소, 2015, 유치원·어린이집 통합평가 매뉴얼 등에 관한 연구.

이순례 외, 2009, 한국 ECERS-R, NAEYC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지표 비교: 교육환경영역, 육 아지원연구, 4(2), 69-96.

이순희·서영숙, 2013, 아동 권리 존중 측면에서 본 휴식 및 낮잠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 한국 보육지원학회지, 9(5), 335-355.

장혜진·송신영, 2014, 유아교육·보육 질 관리 국제비교 연구: 기관 평가를 중심으로.

장혜진·송신영, 2016, 유아교육·보육 기관평가 국제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 영국, 노르웨 이,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8(1), 157-180.

정선영·홍순옥, 2013, 제2차 평가인증 지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의 연구, 한국 영유아보육학, 75, 65-91.

정효은, 2014, 평가인증 통과 이후 건강과 영양 및 안전 영역 유지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미

(26)

래유아교육학회지, 21(2), 261-278.

조해연 외, 2014, 유아교육기관 평가 지표 분석: 한국(유치원 평가, 어린이집 평가인증), 미국 (NAEYC), 호주(ACECQA)의 상호작용 영역 평가 지표 비교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 집, 18(6), 139-163.

최예린, 2020, 코로나 19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적 경험과 달라진 어린이집 일상에 관한 연 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2(1), 253-279.

최혜윤, 2016,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안전교육 내용 및 교수방법 비교연구: 한국, 미국, 캐나 다, 뉴질랜드 3-5세 유아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4), 1-31.

하은경 외, 2008,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참여 및 만족도 분석: 평가인증 참여 통과 보 육시설을 대상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153-176.

ACECQA, 2020a, Guild to the National Quality Framework.

ACECQA, 2020b, https://www.acecqa.gov.au/sites/default/files/2020-03/QA2_Introduction.

pdf.

ACECQA, 2020c, https://www.acecqa.gov.au/nqf/national-quality-standard.

Alaimo, K., Olson, C. M., Frongillo Jr, E. A., and Briefel, R. R., 2001, Food insufficiency, fam- ily income, and health in US preschool and school-aged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1(5), 781-786.

De Winter, M., Baerveldt, C., and Kooistra, J., 1999, Enabling children: participation as a new perspective on child-health promotion.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5(1), 15-23.

Education and Care Services Law Act, 2010, http://classic.austlii.edu.au/au/legis/vic/consol_

act/eacsnla2010346/sch1.html.

Education and Care Services Law Regulation, 2011, https://www.legislation.nsw.gov.au/#/view/

regulation/2011/653.

Gibbs, Staiger et al., 2013, Expanding children’s food experiences: the impact of a school-based kitchen garden program.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5(2), 137-146.

Marotz, L. R., 2014, Health, safety, and nutrition for the young child. Cengage Learning.

Flaherty, E. G., Sege, R., Binns, H. J., Mattson, C. L., and Christoffel, K. K., 2000, Health care providers’ experience reporting child abuse in the primary care setting.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4(5), 489-493.

OECD, 2015, Starting strong IV: Monitoring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homas, Sutcliffe et al., 2003, Children and healthy eating: a systematic review of barriers and facilitators in Database of Abstracts of Reviews of Effects (DARE): Quality-assessed Re- views. Centre for Reviews and Dissemination (UK).

(27)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ECEC Evaluation Index and Australian National Quality Standard:

Focusing on Health & Safety

Hye Jin Jang*

Abstract_As the social interest in the health and safety of children increases, the importance of the health and safety area is also emphasized in the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stitutions.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health and safety areas of the evaluation index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stitutions in Korea and Austra- lia.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indicators of ‘health and safety’ applied to kin- dergarten and daycare center assessments, and indicators of ‘health and safety’

suggested in the National Quality Standards according to Australia’s National Quality Framework.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ddressing purpose of the health and safety area in terms of child rights and well-being, arranging time and space for rest, considering for privacy, changing the perspective on food, and consider- ing children’s agency.

Keywords_ Health, Safety,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valuation Index,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 Daegu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ssistant professor, hjjang@daegu.ac.kr

참조

관련 문서

[r]

호주의 사례에서 보듯이 중앙정부, 주정부, 업계 및 축산농가 등 모든 관련 주체 들 간에 질병 위험 관리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의 분담을 질병 유형별로 차별화함

호주의 국내 보리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제 가격이 강세를 유지하고, 봄철 기후조건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보리의 호주 국내가격이 높게

□ 호주의 복지 시스템은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는바, 최근 호주 정부는 포용성 증진을 위한 정책수단에 있어 직접적 복지지출에서 근로 인센티브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우리나라의 직업교육훈련체제와 호주의 국가 수준 직업교육훈련체제를 분석하기 위해 직업교육훈련 정책, 직업교육훈련 체계, 직업교육훈련 유 형, 직업교육훈련 제도,

또 한 소리의 높낮이는 파동의 파장 또는 진동수 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얼마나 빨리 떨리는 지와 관계가 있다.. 또한 이를 활용한 Sound art 작품 을 제작함으로써 소리의

넷째 , 고객지향성은 표면행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낼 “ 것이다 라는 가설에 대해 한국과 중국의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비교 연구 ”

국민과 함께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