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ssociation of Knee Osteoarthritis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s Aged 50-Years or Olde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ssociation of Knee Osteoarthritis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s Aged 50-Years or Older"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무릎 골관절염은 노인 인구에 있어서 가장 흔한 무릎 관절 관련 질환이며, 통증 등으로 인해 관절의 기능을 제한하게 되어 환자의 신체적 기능과 삶의 질 저하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전세계적으로 무릎 골관절염의 유병률이 높은 것과 마찬가지 로, 한국에서도 50세 혹은 65세 이상 연령층에서 방사선학적인 무릎 골관절염의 유병률은 약 38% 정도로 나타났다.2,3)

대사증후군은 여러 대사적 요인의 집합체로서, 전세계적으로 그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1998년 24.9%에서 2007년 31.3%로 연령을 보정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 였다.4)

무릎 골관절염은 비만에 의해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 다.5,6) 또한 이상지질혈증, 고혈당, 고혈압과 같은 다른 대사적 위험인 자들이 골관절염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7-9) 최근 골관 절염이 대사증후군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요소로서 제안되기도 하

Received July 23, 2018 Revised October 1, 2018 Accepted November 2, 2018

Corresponding author Yun-Mi Song Tel: +82-2-3410-2442, Fax: +82-2-3410-0388 E-mail: yunmisong@skku.edu

ORCID: http://orcid.org/0000-0001-9232-5563

Copyright © 2019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https://doi.org/10.21215/kjfp.2019.9.2.178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9;9(2):178-184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50세 이상 한국인에서의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최송화

1

, 심민섭

2

, 송형곤

3

, 송윤미

1,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1가정의학교실, 2응급의학교실, 3㈜젬백스앤카엘

Association of Knee Osteoarthritis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s Aged 50-Years or Older

Songhwa Choi1, Min Seob Sim2, Hyoung Gon Song3, Yun-Mi Song1,*

Departments of 1Family Medicine, 2Emergency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3GemVax & KAEL Co., Ltd, Daejeon, Korea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e association of knee osteoarthritis (KOA) with metabolic risk fact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KOA and metabolic syndrome (Me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966 Korean adults aged ≥50 years who participated in a free-of-charge health examination provided to residents of a non-urban area. We ascertained KOA and MetS on the basis of the clinical diagnostic criteria of the American Rheumatism Association and the modifi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s Adult Treatment Panel III, respectively. The association between KOA and MetS was evaluated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rates of KOA and MetS were 34.9% and 48.7%, respectively, with higher prevalence rates in the women than in the men (P<0.001). The risk of Me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bjects with KOA than in those without KOA (odds ratio [OR], 1.3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1.77). Among the components of MetS, only abdominal obesity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KOA (OR, 1.48; 95% CI, 1.12–1.95). When the analyses were repeated to determine sex-specific relationships, the associations of KOA with MetS (P=0.069) and abdominal obesity (P=0.022) were evident in the women, but not in the me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men with KOA must be evaluated and managed for MetS, with special attention to abdominal obesity.

Keywords: Osteoarthritis, knee; Metabolic Syndrome; Obesity; Korea

(2)

최송화 외.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였다.10,11)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지금 까지 여러 인구집단에 대해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인구 집단 특 성이나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등의 보정요인에 따라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3,9,12-19) 한국인에서는 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 료를 바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3,13,15) 이 연구들 간에도 보정변 수, 대상군 등의 변이에 따라 일부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다. 게다가 도시지역보다 농촌지역 거주자에서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의 유병 률이 더 높게 관찰되었음을 고려하면,20) 비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 구집단에서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의 관계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비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 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국내의 한 의료기관이 대한민국 충청남도 태안군의 일 부 면 지역에서 2009년 7월부터 2010년 7월 사이에 만 40세 이상의 성 인에게 제공한 무료건강검진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총 1,009명이 건강검진을 받았으나 이들 중 생년월일과 혈액검사 결과 에 대한 자료가 없거나(5명), 만 50세 미만인(38명) 사람을 제외하고, 최종 966명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삼성서울병원 기관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IRB no. 2008-12-031), 연구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로부터 충분한 정 보에 근거한 서면 동의서를 취득하였다.

2. 연구 자료의 수집

본 연구의 자료는 설문조사, 신체 계측, 생체징후 측정, 그리고 혈 액검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설문조사는 자기기입식으로 시행되었고, 임상적 무릎 골관절염 진단을 위한 증상(무릎 통증, 무릎 뻣뻣함, 움직이면 무릎에서 소리 가 남), 흡연, 음주, 운동, 교육 수준 그리고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 증에 대한 과거력을 조사하였다. 흡연에 대해서는 현재 흡연자, 과거 흡연자 혹은 비흡연자로 분류하였고, 음주력은 주 1회 미만 음주하 는 경우와 주 1회 이상 음주하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운동은 규칙적 인 운동을 주 1회 미만, 주 1–2회 혹은 주 3회 이상 하는 경우의 세 가 지로 분류하였다. 교육 수준은 초등학교 졸업 미만(<6년), 중학교 졸 업 미만(6–8년), 고등학교 졸업 미만(9–11년), 대학교 진학 이상(≥12

년)으로 구분하였다.

신체계측 및 생체징후 측정은 모든 연구 대상자에서 동일한 순서, 동일한 조건,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사전에 결정된 표준 적인 방법에 따라 진료보조인력을 교육한 후 시행하였다. 신장과 체 중은 가벼운 옷차림 상태에서 디지털 신장계와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체중(kg)을 신장의 제곱(m2)으로 나누어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를 계산하였다. 허리둘레는 최하위 늑골하부 와 골반 장골능 사이의 가장 둘레가 짧은 위치에서 측정하였다. 혈 압은 안정을 취하게 한 후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표준 수은 혈 압계를 이용하여 5분 이상 간격을 두고 오른팔에서 2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12시간 이상의 공복 상태에서 정맥 채혈을 시행하였으며, 중성지 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igh-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 테롤), 혈당 수치는 의료용 원심분리방식 임상화학 자동분석장치 (Piccolo expres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연구변수

본 연구의 주요변수는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이다.

무릎 골관절염 여부는 American Rheumatism Association (ACR)에 서 제안한 환자의 자가보고에 의한 임상적 진단기준에 근거하여 판 단하였다. ACR 진단기준에 따르면 무릎 통증이 있으면서, 연령기준 (50세 이상), 증상(30분 이내로 지속되는 무릎 뻣뻣함, 움직이면 무릎 에서 소리가 남), 무릎 진찰소견(골압통, 골비대, 윤활막의 온기가 촉 진되지 않음) 등의 여섯 가지 항목 중 세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임상적 무릎 골관절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21)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무릎 진찰을 수행하지 않았고 만 50세 이상 성인에서만 연구가 진행 되었으므로, 양측 무릎 중 한군데라도 통증이 일주일 이상 지속된 적이 있다고 대답한 대상자에서, ACR에서 제안한 두가지 증상(무릎 의 뻣뻣함, 움직이면 소리가 남) 중 한 가지 이상이 일주일 이상 지속 된 경우 ‘무릎 골관절염’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대사증후군은 modifi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s Adult Treatment Panel III 기준을 근거로 판단하였으며,22) 복부 비만 항목에 대해서는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안한 한국인에 대한 허리둘 레 기준을 따랐다.23)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다섯 가지 항목 중 세 가 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대사증후군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허리둘레 ≥90 cm (남성)/85 cm (여성); 중성지방 ≥150 mg/dL;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40 mg/dL (남성)/50 mg/dL (여성); 혈압 ≥130/85 mmHg 또는 혈압강하제 복용 중; 공복혈당 ≥100 mg/dL 또는 혈당강 하제 복용 중.

Original Articl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3)

Songhwa Choi, et al. Knee Osteoarthritis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4. 통계 분석

연구 대상자의 기본 특성은 무릎 골관절염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 로 나누어, 독립표본 t-검정과 카이 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두 군 간의 변수 분포를 비교하였다.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 을 평가하기 위해 무릎 골관절염 유병 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대사증후군에 대한 교차비(odds ra- 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구하였다. 분석은 2단계로 수행되었으며 먼저 나이와 성별을 보정하여 분석하고, 두 번째 모델에서는 흡연, 음주, 규칙적 운동, 교육 수준을 추가적으로 보정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1.0 (IBM Co.,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연구 대상자 전체의 무릎 골관절염 유병률은 34.9%였고, 남성에서 는 24.9% (374명 중 93명), 여성에서는 41.2% (592명 중 244명)로 여성의 무릎 골관절염 유병률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01) (Figure 1). 연 구대상자 전체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48.7%였고, 남성과 여성에서 각각 41.4% (374명 중 155명), 53.2% (592명 중 315명)로, 대사증후군 유 병률도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Figure 1).

Table 1에서는 무릎 골관절염이 있는 군과 무릎 골관절염이 없는 비교군 사이의 기본 특성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대 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무릎 골관절염군에서 54.6%로 비교군의 유병 률(45.5%)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 분석 시, 여성에서만 무릎

골관절염군에서 비교군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은 경향 을 보였으나 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경계적(borderline) 수준이었 다(P=0.062).

평균 체질량지수와 평균 허리둘레는 무릎 골관절염군에서 유의 하게 더 높았으나, 연령 분포와 규칙적 운동 횟수는 두 군 간에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 연구 대상자에서 현재 흡연자의 비율 과 주 1회 이상 음주자의 비율, 대학교 진학 이상의 고학력자 비율은 비교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 분석 시 남성에서는 교육 수준에 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여성에서는 세가지 항목 모두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중성지방치, HDL 콜레스테롤치, 공복 혈당 치, 당뇨병 유병률,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무릎 골관절염군과 비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혈압 유병률은 무릎 골관 절염군과 비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평균 이완기 혈압은 전체 대상자에 대한, 그리고 남성에 국한된 분석 시 무릎 골관절염 이 있는 군에서 비교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Table 2는 무릎 골관절염의 대사증후군에 대한 교차비와 95% 신 뢰구간을 보여준다. 나이와 성별만을 보정했을 때, 무릎 골관절염 있 는 대상자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 위험도는 유의하게 높았다(age and sex adjusted OR, 1.35; 95% CI, 1.03–1.76). 흡연, 음주, 규칙적 운동, 그리고 교육 수준으로 추가적으로 보정하였을 때에도 무릎 골관절 염이 있는 경우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는 1.35배 높게 나타났다(multi- variable adjusted OR, 1.35; 95% CI, 1.03–1.77). 성별 분석 결과, 여성에 서는 무릎 골관절염이 있는 경우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경계적으로 유의한(borderline significant) 증가를 보였으나(multivariable adjusted OR, 1.36; 95% CI, 0.98–1.89), 남성에서는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대 사증후군의 개별 구성요인과 무릎 골관절염 간의 연관성을 평가한 결과, 복부 비만만이 무릎 골관절염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요인으 로 확인되었고(multivariable adjusted OR, 1.48; 95% CI, 1.12–1.95), 성별 분석 시 여성에서만 복부비만과 무릎 골관절염 간에 유의한 연관성 이 관찰되었다(multivariable adjusted OR, 1.48; 95% CI, 1.06–2.07).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비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50세 이상 한국인에 서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관 찰하였다. 무릎 골관절염이 있는 경우 무릎 골관절염이 없는 경우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유병 위험도가 약 1.35배 더 높았고, 대사증후군 의 개별 구성요인 중에서는 복부비만만이 무릎 골관절염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이러한 연관성은 여성에서만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무릎 골관절염 유병률이 유의

Total 100

60

50

40

30

20

10

Prevalence(%)

Knee osteoarthritis 0

M F Total M F

Metabolic syndrome P<0.001*

P<0.001*

Figure 1. Sex-specific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and metabolic syndrome.

M, male; F, female. *Sexual differences of prevalence of knee osteoar- thritis or metabolic syndrome were compared using chi-square test.

(4)

최송화 외.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by the presence of knee osteoarthritis Variable

TotalMenWomen No knee OA (n=629)Knee OA (n=337)P-valueNo knee OA (n=281)Knee OA (n=93)P-valueNo knee OA (n=348)Knee OA (n=244)P-value Age (y)65.94±8.0466.29±7.710.51766.10±7.7466.32±7.510.80565.82±8.2966.28±7.800.499 Body mass index (kg/m2)23.91±3.1824.96±3.440.00023.84±3.1724.75±3.610.03223.97±3.1925.03±3.370.000 Waist circumference (cm)83.45±8.3085.50±8.310.00085.32±8.4387.97±9.310.01181.95±7.8984.55±7.700.000 Smoking status*0.0000.2350.179 Never smoker428 (68.0)277 (82.2)88 (31.3)35 (37.6)340 (97.7)242 (99.2) Past smoker111 (17.6)40 (11.9)110 (39.1)40 (43.0)1 (0.3)0 (0.0) Current smoker87 (13.8)18 (5.3)82 (29.2)18 (19.4)5 (1.4)0 (0.0) Alcohol intake0.0080.5920.126 <1/wk493 (78.4)288 (85.5)166 (59.1)52 (55.9)327 (94.0)236 (96.7) ≥1/wk136 (21.6)49 (14.5)115 (40.9)41 (44.1)21 (6.0)8 (3.3) Physical exercise0.1290.2910.717 <1/wk546 (86.8)307 (91.1)235 (83.6)84 (90.3)311 (89.4)223 (91.4) 1–2/wk11 (1.7)5 (1.5)4 (1.4)1 (1.1)7 (2.0)4 (1.6) ≥ 3/wk72 (11.4)25 (7.4)42 (14.9)8 (8.6)30 (8.6)17 (7.0) Education (y)0.0000.0140.186 <6170 (27.0)134 (39.8)25 (8.9)15 (16.1)145 (41.7)119 (48.8) 6–8315 (50.1)159 (47.2)154 (54.8)53 (57.0)161 (46.3)106 (43.4) 9–1177 (12.2)30 (8.9)49 (17.4)19 (20.4)28 (8.0)11 (4.5) ≥1267 (10.7)14 (4.2)53 (18.9)6 (6.5)14 (4.0)8 (3.3) Triglyceride (mg/dL)131.75±73.99131.64±71.440.984132.34±77.23128.84±75.350.703131.26±71.38132.71±70.020.807 HDL-cholesterol (mg/dL)50.91±11.5652.08±12.270.14249.24±11.4250.20±12.130.48852.25±11.5252.80±12.270.583 Fasting blood glucose (mg/dL)108.74±23.97108.09±19.020.670111.60±29.65110.71±18.810.786106.43±17.86107.09±19.040.663 Systolic blood pressure (mmHg)136.17±20.38138.63±18.640.066134.35±19.48137.28±17.500.197137.64±20.99139.14±19.070.374 Diastolic blood pressure (mmHg)80.66±12.3883.28±12.640.00280.20±12.6084.56±11.370.00381.03±12.2082.79±13.090.094 Hypertension232 (36.9)134 (39.8)0.37995 (33.8)24 (25.8)0.151137 (39.4)110 (45.1)0.165 Diabetes mellitus69 (11.0)49 (14.5)0.10635 (12.5)11 (11.8)0.87334 (9.8)38 (15.6)0.033 Dyslipidemia44 (7.0)28 (8.3)0.45919 (6.8)5 (5.4)0.63725 (7.2)23 (9.4)0.325 Metabolic syndrome286 (45.5)184 (54.6)0.007112 (39.9)43 (46.2)0.279174 (50.0)141 (57.8)0.062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number (%). OA, Osteoarthritis; HDL, high-density lipoprotein. *For some study participants, information was not available for smoking status (n=5). Difference between subjects with OA and subjects without OA was evaluated by student’s t-test for numerical variables and by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5)

Songhwa Choi, et al. Knee Osteoarthritis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하게 높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했던 이전 연구 들에서도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2,13,14,16) 무릎 골관절염 유병률이 남 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은 팔다리의 정렬, 근력을 비롯한 근골격계 의 구조적 차이나 호르몬과 같은 내부적인 요인의 차이에서 기인하 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4-26)

본 연구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분석 시 무릎 골관절 염 군에서 비교군에 비해 현재 흡연자, 주 1회 이상 음주자 비율이 낮 게 나타나, 흡연, 음주 요인과 무릎 골관절염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이는 남녀간 흡연율, 음주율, 무릎 골관절염 유병률의 차이에 의해 관찰된 결과로 판단된 다(Table 1).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의 관계에 대해 지금까지 한국인을 포함하여 여러 나라의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에서 두 질환 간의 유의한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3,12,17-19) 본 연구에서 도 유사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Wang 등18)은 대사증후군-무릎 골관 절염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스웨덴, 한국, 일본, 미국을 비롯한 여 러 나라에서 수행한 8개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메타분석을 시행 하였는데, 교란요인들을 보정한 이후에도 대사증후군이 무릎 골관 절염의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남녀를 나누어서 분석했을 때에는, 여러 연구에서 여성에서만 무 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에 연관성이 있음을 보고하였고,13,14,16) 본 연구에서도 여성에서만 두 질환 간에 경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 이 관찰되었다.

대사증후군의 개별 구성요인 중에서 복부 비만은 본 연구 결과에 서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여러 연구들에서도 무릎 골관절염의 유병 률 증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3,13,17) 또한 Yasuda 등27)에 의 한 연구와 Shin3)에 의한 연구에서 무릎 통증의 평균 점수는 대사증 후군의 세부 항목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3,27) 본 연구와 비슷한 주제로 이루어진 2010년 한국 국민건강영양조 사 자료를 이용한 Shin3)에 의한 연구에서는 무릎 X-ray 촬영 결과에 따라 방사선학적 무릎 골관절염을 진단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임상 적인 무릎 골관절염 진단 기준에 맞춰 무릎 골관절염 이환 여부를 판단하여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Shin3)의 연구에서도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 증후군 사이에 본 연구에서와 유 사한 정도의 연관성을 보였으나(adjusted OR, 1.49; 95% CI, 1.23–1.79), 보정 요인 중 체질량지수와 체중의 포함 여부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대사증후군과 골관절염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병태생리학적 기 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비만, 인슐린 저항성, 지질대 사 이상, 고혈압으로 인한 과도한 사이토카인(cytokine) 형성과 동맥 경화 현상 등이 두 질환 간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기전으로 제안되었 Table 2. Odds ratios for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associated with knee osteoarthritis Variable

TotalMenWomen Age and sex adjusted OR (95% CI)P-valueMultivariable adjusted OR* (95% CI)P-valueAge adjusted OR (95% CI)P-valueMultivariable adjusted OR* (95% CI)P-valueAge adjusted OR (95% CI)P-valueMultivariable adjusted OR* (95% CI)P-value Metabolic syndrome1.35 (1.03–1.77)0.0321.35 (1.03–1.77)0.0301.30 (0.81–2.09)0.2731.32 (0.80–2.15)0.2761.36 (0.98–1.89)0.0691.36 (0.98–1.89)0.069 MetS components Abdominal obesity1.46 (1.11–1.93)0.0071.48 (1.12–1.95)0.0061.47 (0.90–2.39)0.1271.50 (0.90–2.51)0.1221.46 (1.05–2.05)0.0251.48 (1.06–2.07)0.022 Hypertriglyceridemia§0.97 (0.72–1.30)0.8170.95 (0.71–1.28)0.7290.98 (0.59–1.65)0.9450.91 (0.53–1.55)0.7220.96 (0.67–1.37)0.8020.94 (0.66–1.35)0.734 Low HDL-cholesterol1.00 (0.75–1.33)0.9891.04 (0.77–1.39)0.8181.08 (0.60–1.94)0.7931.22 (0.66–2.23)0.5280.97 (0.70–1.36)0.8581.00 (0.71–1.40)0.988 High blood pressure1.31 (0.94–1.83)0.1101.31 (0.94–1.83)0.1171.28 (0.74–2.21)0.3761.26 (0.71–2.23)0.4301.33 (0.87–2.02)0.1851.35 (0.89–2.07)0.159 Hyperglycemia**1.08 (0.81–1.45)0.6001.07 (0.80–1.45)0.6470.99 (0.57–1.71)0.9701.00 (0.57–1.76)1.0001.12 (0.79–1.59)0.5201.12 (0.79–1.60)0.533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MetS, metabolic syndrome; HDL, high-density lipoprotein. OR and 95% CI were estimat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or without adjustment. *In multivariable adjusted model, smoking status, alcohol intake, physical exercise and educational years were additionally adjusted to age and sex adjusted model (for total subjects) or age adjusted model (for men or female groups). Defined according to the modifi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s Adult Treatment Panel III. Defined as waist circumference ≥90 cm in men and ≥85 cm in women, according to the crite- ria suggested b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Defined as serum triglyceride ≥150 mg/dL.Defined as serum HDL-cholesterol <40 mg/dL in men and <50 mg/dL in women.Defined as blood pressure 130/85 mmHg or taking anti-hypertensive medication.**Defined as fasting blood glucose ≥100 mg/dL or taking anti-diabetic medication.

(6)

최송화 외.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다.11,28,29) 최근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11,28,29) 고혈압은 연골하 관절 부

위의 허혈을 유발하여 연골을 통한 영양 공급과 뼈 재형성을 저하시 키게 되고, 이상지질혈증으로 인해 연골세포에 비정상적으로 지방 이 축적되면서 골관절염의 발생이 시작되는 것으로 보인다. 고혈당 의 경우 국소적으로 산화 스트레스와 당화반응 산물이 쌓여 연골 손상을 일으키며, 당이 축적되면서 전신적으로 경한 염증반응을 일 으켜 골관절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 비만과 골관절염의 관계에서는, 아디포카인(adipokine)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변하면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요소들의 발현이 유도되어 연골의 형성과 뼈 재형성을 억 제함과 동시에 미세혈관의 손상을 유발하고 이것이 골관절염의 발 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염증반응을 통한 기전 이외에도, 비만으로 인해 무릎에 하중이 실리면서 기계적인 압박이 가해져 무릎 통증이 악화될 수 있고,30) 반대로 무릎 골관절염 증상으로 인한 신체 움직임의 장애로 비활동적인 생활을 영위하게 되면서 비만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대 사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가능성도 있겠다.14) 본 연구 에서는 신체활동이 골관절염-대사증후군 간 연관성에 미치는 교란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 여부를 보정하였으며 보정에 따른 골관절염-대사증후군 연관성의 유의한 변화를 관찰하지 못했 다. 하지만 연구대상자가 비도시지역 거주자로 규칙적 운동 외에도 업무수행과 관련된 신체활동이 많은 군임을 고려할 때 신체활동의 영향을 충분히 평가하지는 못했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대사증후군과 골관절염 간의 연관성 평가에서 체질량지수나 체 중을 교란변수로서 보정하여 분석해야하는 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겠다. 몇몇 연구에서는 체질량지수나 체중을 보정하였고, 이 경우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이 더 이상 관찰 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3,12,17) 본 연구에서도 체질량지수로 추가적으로 보정하여 분석하면 두 질환 사이의 연관성이 사라지는 것을 관찰하였다(결과를 표로 보여주지 않음). 그러나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에 포함되어 있는 허리둘레는 대표적인 비만지표 중의 하 나로 체질량지수나 체중과 같은 다른 비만지표들과 상관도가 매우 높은 변수임을 감안할 때, 본 논문의 저자들은 과보정에 의한 비뚤 림을 피하기 위해서 체질량지수나 체중을 보정하지 않은 결과를 제 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단면 연구로 진행되어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파악하는 데 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원인적 연관성 평가에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무릎의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무릎 질환들 – 류 마티스 관절염, 무릎의 외상 등 –의 유병 여부,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무릎 진찰소견에 대한 정보가 부재하여, 무릎 골관절염을 판단함에

있어 오류가 있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무릎 골관절염 유병률이 과 소 혹은 과대평가되었을 수 있겠다. 그러나 다른 무릎 통증 질환들 의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본 연구에서 관찰된 무릎 골관절염 유병률이 50세 이상 한국인에서 무릎 골관절염의 유병률을 확인한 이전 연구들에서와 비슷하였음을 고려하면, 연구 결과에 유의한 비 뚤림을 초래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는 일개 비도시지역에서 진행된 연구로 결과를 한국인 전체로 일반화하여 해석하기는 어렵겠다. 마지막으로, 무릎 통증의 강도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통증의 강도와 대사증후군 간의 관계는 평가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50세 이상 성인, 특히 여성에 서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대사증후군의 구성 요인 중에서는 특히 복부비만이 골관절 염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이는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서 복부비 만에 대한 평가 및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요 약

연구배경:

최근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적 위험인자들 사이의 연관성 에 대해 보고되었고, 본 연구는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한국의 비도시지역 거주민을 대상으로 수행된 무료건강검진에 참여한 만 50세 이상의 성인 966명이었다. 무릎 골관 절염은 American Rheumatism Association에서 제안한 환자 자가보고 에 의한 임상적 진단기준에 따라 판단하였고, 대사증후군은 modi- fi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s Adult Treatment Panel III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 을 평가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의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은 각각 34.9%, 48.7% 였고, 여성에서 남성에 비해 두 질환의 유병률 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무릎 골관절염이 있는 군에서 없 는 군에 비해 대사 증후군의 위험도가 높았다(교차비, 1.35; 95% 신뢰 구간, 1.03–1.77). 대사증후군의 구성 요인 중 복부비만 만이 무릎 골 관절염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교차비, 1.48; 95% 신뢰구간, 1.12–

1.95). 성별 분석 결과, 여성에서만 무릎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 간에 경계적으로 유의한(borderline significant) 연관성이 관찰되었다(교 차비, 1.36; 95% 신뢰구간, 0.98–1.89).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무릎 골관절염이 있는 여성 환자에서 특히 복 부비만에 중점을 둔 대사증후군에 대한 평가 및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7)

Songhwa Choi, et al. Knee Osteoarthritis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중심단어:

무릎 골관절염; 대사증후군; 비만; 한국 ORCID

최송화, http://orcid.org/0000-0003-4920-0962 심민섭, http://orcid.org/0000-0003-3595-8473 송형곤, http://orcid.org/0000-0002-1365-5730 송윤미, http://orcid.org/0000-0001-9232-5563

REFERENCES

1. Neogi T. The epidemiology and impact of pain in osteoarthritis. Osteoar- thritis Cartilage 2013; 21: 1145-53.

2. Cho HJ, Morey V, Kang JY, Kim KW, Kim TK.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pine, shoulder, hand, hip, and knee osteoarthritis in community-dwelling Koreans older than age 65 years. Clin Orthop Relat Res 2015; 473: 3307-14.

3. Shin D.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radiographic knee osteo- arthritis, and intensity of knee pain: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J Clin Endo- crinol Metab 2014; 99: 3177-83.

4. Lim S, Shin H, Song JH, Kwak SH, Kang SM, Won Yoon J,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2011; 34:

1323-8.

5. Cooper C, McAlindon T, Coggon D, Egger P, Dieppe P. Occupational activi- ty and osteoarthritis of the knee. Ann Rheum Dis 1994; 53: 90-3.

6. Hart DJ, Doyle DV, Spector TD.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radiographic knee osteoarthritis in middle-aged women: the Chingford Study. Arthritis Rheum 1999; 42: 17-24.

7. Hart DJ, Doyle DV, Spector TD.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factors and knee osteoarthritis in women: the Chingford Study. J Rheumatol 1995; 22:

1118-23.

8. Stürmer T, Brenner H, Brenner RE, Günther KP. Non-insulin dependent di- abetes mellitus (NIDDM) and patterns of osteoarthritis. The Ulm osteoar- thritis study. Scand J Rheumatol 2001; 30: 169-71.

9. Yoshimura N, Muraki S, Oka H, Kawaguchi H, Nakamura K, Akune T. As- sociation of knee osteoarthritis with the accumulation of metabolic risk factors such as overweight,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impaired glu- cose tolerance in Japanese men and women: the ROAD study. J Rheumatol 2011; 38: 921-30.

10. Sellam J, Berenbaum F. Is osteoarthritis a metabolic disease? Joint Bone Spine 2013; 80: 568-73.

11. Zhuo Q, Yang W, Chen J, Wang Y. Metabolic syndrome meets osteoarthritis.

Nat Rev Rheumatol 2012; 8: 729-37.

12. Engström G, Gerhardsson de Verdier M, Rollof J, Nilsson PM, Lohmander LS. C-reactive protein, metabolic syndrome and incidence of severe hip and knee osteoarthriti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steoarthritis Carti- lage 2009; 17: 168-73.

13. Han CD, Yang IH, Lee WS, Park YJ, Park KK. Cor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knee osteoarthriti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BMC Public Health 2013; 13: 603.

14. Inoue R, Ishibashi Y, Tsuda E, Yamamoto Y, Matsuzaka M, Takahashi I, et al.

Medical problems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radio- graphic knee osteoarthritis patients in the Japanese general population. J Orthop Sci 2011; 16: 704-9.

15. Lee S, Kim TN, Kim SH, Kim YG, Lee CK, Moon HB, et al. Obesity, meta- bolic abnormality, and knee osteoarthritis: a cross-sectional study in Korean women. Mod Rheumatol 2015; 25: 292-7.

16. Maddah S, Mahdizadeh J.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 pon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cta Med Iran 2015; 53: 743-8.

17. Niu J, Clancy M, Aliabadi P, Vasan R, Felson DT. Metabolic syndrome, its components, and knee osteoarthritis: the Framingham Osteoarthritis Study.

Arthritis Rheumatol 2017; 69: 1194-203.

18. Wang H, Cheng Y, Shao D, Chen J, Sang Y, Gui T, et al. Metabolic syndrome increases the risk for knee osteoarthritis: a meta-analysis. Evid Based Com- plement Alternat Med 2016; 2016: 7242478.

19. Xie DX, Wei J, Zeng C, Yang T, Li H, Wang YL, et al.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knee osteoarthritis: a cross-sectional study. BMC Musculoskelet Disord 2017; 18: 533.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2016. Os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21. Altman RD. Classification of disease: osteoarthritis. Semin Arthritis Rheum 1991; 20(6 Suppl 2): 40-7.

22. Grundy S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2005; 112: 2735-52.

23. Lee SY, Park HS, Kim DJ, Han JH, Kim SM, Cho GJ, et al.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2007; 75: 72-80.

24. Huffman KM, Kraus WE. Osteoarthritis and the metabolic syndrome: more evidence that the etiology of OA is different in men and women. Osteoar- thritis Cartilage 2012; 20: 603-4.

25. Jin X, Wang BH, Wang X, Antony B, Zhu Z, Han W, et al. Associations be- tween endogenous sex hormones and MRI structural changes in patients with symptomatic knee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Cartilage 2017; 25:

1100-6.

26. Nicolella DP, O’Connor MI, Enoka RM, Boyan BD, Hart DA, Resnick E, et al. Mechanical contributors to sex differences in idiopathic knee osteoar- thritis. Biol Sex Differ 2012; 3: 28.

27. Yasuda E, Nakamura R, Matsugi R, Goto S, Ikenaga Y, Kuroda K, et al. Asso- ci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symptomatic knee osteoarthritis and cumu- lative metabolic factors. Aging Clin Exp Res 2018; 30: 481-8.

28. Findlay DM. Vascular pathology and osteoarthritis. Rheumatology (Ox- ford) 2007; 46: 1763-8.

29. Messier SP. Obesity and osteoarthritis: disease genesis and nonpharmaco- logic weight management. Med Clin North Am 2009; 93: 145-59, xi-xii.

30. Browning RC, Kram R. Effects of obesity on the biomechanics of walking at different speeds. Med Sci Sports Exerc 2007; 39: 1632-41.

수치

Figure 1. Sex-specific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and metabolic  syndrome.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by the presence of knee osteoarthritis Variable

참조

관련 문서

Injury is a burden on athletes, bu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knee muscle function and knee function

In addition, measurements at 0 and 12 weeks (body composition, α-amylase,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were performed twice. For 12 weeks, th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epidemic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Effect of pain control and improve function of knee joint applied to osteoarthritis by carbon surface-heating... Diagram of

Serum uric acid levels and risk for 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i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Turkish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sex and metabolic syndrome are important for biological factors, and occupation, smoking, and exercise are import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obesity on the core stability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f middle - aged women.. The effect

Reproduction of lesions of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by infection of conventional pigs with porcine circovirus type 2 alone or in comb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