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양성인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에서 항암 화학요법 후 간 기능 악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양성인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에서 항암 화학요법 후 간 기능 악화"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2000;35:64 - 72

9)

접수: 1999년 6월 21일, 승인: 1999년 8월 9일

연락처: 정숙향, 139-706,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215-4, 원자력병원 내과 Tel: (02) 974-2501, Fax: (02) 972-3093

※ 본 논문의 요지는 1998년 춘계 간학회에서 발표되었음.

HBsAg 양성인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에서 항암 화학요법 후 간 기능 악화

원자력병원 내과, 임상의학연구실*,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곽진영・정숙향・강윤구・한철주・김유철・이진오・류백렬 김봉석・홍현주・이영우・이상원・조진아*・이군희†・김창민

Ac u t e E x a c e rb a t i o n o f H e p a t i t i s i n H e p a t i t i s B Vi r u s Ca r r i e r s w i t h N o n -H o d g k i n 's Ly m p h o m a a ft e r Ch e m o t h e r a p y

J i n You n g Kw a g , M.D., S o o k H y a n g J u n g , M.D., Yoo n Ko o Ka n g , M.D., C h u l J u H a n , M .D ., Yo u C h e o u l Ki m , M .D ., J h i n O h L e e , M .D .,

B ae k Ye ol Ryoo , M.D., Bon g Se og Ki m , M.D., Hyu n J u Hon g, M.D., S a n g Wo n Le e , M.D., Yo u n g Wo o Le e , M.D., J i n A Ch o, P h .D.*,

Gu n H e e Le e , P h .D.†a n d Ch a n g Min Ki m ,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aboratory of Clinical Research*,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and Sogang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eoul, Korea

Background/Aims: Immunosuppressive therapy such as anti-cancer chemotherapy is often compli-

cated with reactivation of hepatitis B. We tri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in patients with non-Hodgkin' s lymphoma (NHL). Furthermore, we evaluated the frequency of hepatic complications, the clinical outcome, an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hepatic complications in HBsAg-positive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for NHL.

Methods: One hundred eighty-fiv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NHL and treated with chemo

therapy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The prevalence of HBV infection was 14.1% of the patients. The frequency of hepatic complications in HBsAg-positive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for NH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BsAg-negative patients. (50% vs. 10.1%), and the complete response (CR)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42.3% vs. 67.9%).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risk factor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hepatic complications in HBsAg-positive NHL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Conclusions: For HBsAg-positive NHL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special concern and close follow-up is needed because of high frequency of hepatic complication and low CR rate caused by chemotherapy. (Kor J Gastroenterol 2000;35:64 - 72)

Key Words: Hepatitis B, Non-Hodgkin' s lymphoma, Anti-cancer chemotherapy

(2)

곽진영 외 13인. HBsAg 양성인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에서 항암 화학요법 후 간 기능 악화 65

서 론

우리 나라 사람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HBsAg) 양성률은 1994년 건강 공혈자에서 남자는 3.9%, 여자는 2.7%로 이는 B형 간염 예방접종이 도 입되기 전 1980년 초반의 7.3%에 비해 감소 추세에 있다.1 혈액종양 환자에서 HBsAg 양성률은 건강 공 혈자 집단보다 높아서 국가마다 차이가 있지만 3-27%로 보고되고 있고,2-5 우리 나라의 경우 소규모 백혈병 환자군에서 7.1%로 보고된 바 있다.6

일반적으로 악성 림프종과 같은 혈액종양은 항암 제의 치료반응률 및 완전관해율이 높으므로 항암 화 학요법이 중요한 치료 수단이지만, B형 간염 바이러 스 보유자의 경우 항암 화학요법 후 B형 간염 바이 러스의 재활성화에 의한 심각한 간 기능 장애 및 간 부전에 의한 사망 예들이 보고되어 왔다.2-5,7-9 그러 나 대부분이 산발적인 증례보고이고 홍콩과 일본에 서의 연구 외에는 많은 수의 림프종 환자들을 대상 으로 시행된 체계적인 연구가 많지 않으며,2,3,5,8 더 구나 국내에서의 연구 결과도 미흡한 실정이다.6,7

이에 저자들은 우리 나라의 비호즈킨 림프종 환 자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빈도를 알아보 고,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 자들에 비해 항암 화학요법 후 발생하는 간 합병증 의 빈도와 생존율 및 항암 화학요법의 완전관해율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간 합병증 발생에 관련되는 임상적인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1994년 1월부터 1997년 9월까지 원자력 병원에 내원하여 병리학적으로 비호즈킨 림프종으로 진단 받고 항암 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208명 중, HBsAg 상태가 확인되고 2회 이상의 항암제 치료와 2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이 가능했던 185명의 환자를 대상 으로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에서 제외된 23명 중 11명은 진단 당시 비

호즈킨 림프종이 간을 침범했고, 8명은 치료 전 혈 청 총 빌리루빈치나 혈청 ALT치가 정상의 1.5배 이 상으로 간 기능 이상이 있었고, 4명은 HBsAg 상태 가 확인되지 않았다. 환자들은 조직학적 분류나 질 환의 병기 및 예후지표(International prognostic in- dex, IPI; 나이, 혈청 LDH치, 신체 활동도, 병기, 및 림프절 외 침범 여부의 5가지 인자를 포함하는 지표 임)10에 따라 다양한 복합 항암요법이 사용되었고, 질병의 경과에 따라 약제가 바뀌어 사용되는 등 한 환자에서 여러 가지 항암제 조합이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2. 연구 방법

대상 환자는 치료 개시 전에 병력 조사와 이학적 검사를 하였고, 종양에 대한 조직생검술을 시행하여 Working formulation 및 REAL classification에 의해 비호즈킨 림프종의 진단 및 조직학적 아형을 분류하 였다. 병기 판정을 위한 검사로 혈청 LDH, β2- microglobulin 등을 포함한 화학검사와 혈액 및 요검 사, 심전도검사를 시행하였고, 복부 및 골반부 전산 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흉부 X-선촬영에서 종 격동 침범이 의심되면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 하였다. 양측 골수천자 및 생검을 시행하였다.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해 HBsAg, HBeAg, anti-HBe 등 의 검사가 RIA (AB-AUK-3, DiaSorin, Italy) 또는 EIA (HBsAg, HBeAg, 및 anti-HBe, Abbott labora- tories, USA)에 의해 치료 전에 시행되었다.

간 합병증 발생의 기준은 혈청 총 빌리루빈치가 3.0 mg/dL 이상이거나 혈청 ALT 치가 100 IU/L 이 상인 경우로 정의하였고, 치료 경과 중 림프종의 진 행에 의한 간 침범이나 패혈증 등의 감염에 의한 간 합병증으로 확인된 경우는 간 합병증 발생군으로 산 정하지 않았다.

치료반응의 평가는 치료 후 신체검사, 혈액검사, 흉부 X-선 촬영, 병변 부위의 전산화단층촬영을 시 행하였고, 골수 침범이 있었던 경우에는 골수천자 및 생검을 시행하여 측정 가능한 병소의 변화를 관 찰하여 결정하였다. WHO 기준에 의거하여 완전 반 응(complete response)은 임상적으로 종양이 완전히 소실되고 B 증상10이 없어진 상태로 4주 이상 지속

(3)

6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5, No. 1, 2000

된 경우로 하였다. 생존 기간은 사인에 관계없이 치 료 시작한 날로부터 사망 혹은 마지막 추적일까지로 산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윈도우용 통계 프로그램인 SPSS (version 8.0)를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p값 0.05이 하로 정하였다. 단변수 분석으로 chi-square test와 t-test를 이용하였고, 단변수 분석에서 의미 있는 지 표들에 대해 다변수 분석으로 forward stepwise mul- 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생존 분석에는 Kaplan- Meier 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1.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에서 H B s A g 양성률 및 H B s Ag 양성 여부에 따른 임상 특성의 차이

185명의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 중 HBsAg 양성률 은 14.1%였고, HBsAg 양성 여부에 따른 평균 나이 나 성비, 림프종의 조직학적 분류나 면역학적 세포 형, 병기, 예후지표, B 증상의 존재 유무 등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1).

2. H B s A g 양성 여부에 따른 항암 화학요법 후 발생한 간 합병증 빈도 및 양상 HBsAg 양성군에서는 50%에서 간 합병증이 발생 하여 HBsAg 음성군의 10.1%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HBsAg 양성군의 1예(3.8%)는 전격성 간염으로 사 망하였다(Table 2).

3. 완전관해율 및 생존율

완전관해율은 HBsAg 양성군이 42.3%로 HBsAg 음성군의 67.9%보다 유의하게 낮았는데(Table 3), 완전관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예후지표, HBsAg, B 증상의 존재가 유의 한 독립 변수로 나타났다(Table 4). 항암 화학요법에 의해 비호즈킨 림프종이 부분관해(partial response)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간염 악화로 더 이상의 항암제 투여가 중지되거나 지연된 빈도는 HBsAg 음성군 (3.1%)에 비해 HBsAg 양성군(19.2%)에서 유의하게 높았다(Table 3). 재발률은 HBsAg 유무와 유의한 관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Based on the HBsAg Status

HBsAg-positive HBsAg-negative Number (%)

Age, years, mean±SE Male/female (ratio) Histologic type

Indolent/aggressive/unknown Immunophenotype

B-cell/T-cell/unknown Clinical stage

I/II

III/IV/recurrence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Low/low-intermediate risk group High-intermediate/high risk group Presence of B symptom (%)

26 (14.1%) 46.8±2.2 15/11 (1.4:1)

1/19/6

16/4/6

4/4 9/6/3

11/8 3/4 8 (30.8%)

159 (85.9%) 49.1±1.2 95/64 (1.5:1)

6/126/27

93/43/23

35/51 22/37/14

86/33 27/13 26 (16.4%)

* Four risk groups based on the number of risk factors: low risk with no or one factor; low-intermediate wit two factors; high-intermediate with three factors; and high with four or five factors. 5 prognostic factors: ag (≤60 vs. 60); serum LDH (normal vs. 1×normal); performance status (0 or 1 vs. 2 to 4); stage (I or I vs. III or VI); and extranodal involvement (≤1 site vs. 1 site).

(4)

Kwag, et al. Acute Exacerbation of Hepatitis in HBV Carriers with Non-Hodgkin' s Lymphoma after Chemotherapy 67

련을 보이지 않았다. 2년 생존율은 HBsAg 양성군에 서 40.8%, 음성군에서 54.9%였다. 1.5-47.6개월(중앙 값; 16.0개월)의 추적 기간 동안 중앙생존기간은 HBsAg 양성군에서는 19.6개월, 음성군에서는 아직 도달치 않았는데, HBsAg 양성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19)(Table 3, Fig. 1).

4. H B s A g 양성군에서 간 합병증 발생에 관계되는 위험인자

남자에서 간 합병증 발생이 많은 경향을 보였지 만(9/15명 vs. 4/11명),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HBeAg 음성률, 조직학적 분류나 면역학적 세포형, 질환의 병기, 예후지표, B 증상의 유무, 스테로이드

용량 등에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위험인자는 찾지 못했다(Table 5). HBsAg 양성군에서 항암요법의 스 테로이드 함량이 높을수록 간 합병증이 증가하는 추 세를 보였고, HBsAg 음성군과 비교해 볼 때 CHOP (cytoxan, adriamycin, vincristine, and prednisone)과 EPOCH (etoposide, vincristine, adriamycin, cytoxan, and prednisone)요법의 경우 간 합병증 발생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CHOP과 EPOCH요법의 치료 빈도가 많았고, HBsAg 음성군 에서도 스테로이드 용량이 높을수록 간 합병증 발생 이 증가하였다(Table 6).

Table 2. The Frequency and Patterns of Hepatic Complications Following Chemotherapy

HBsAg-positive (N=26) HBsAg-negative (N=159) Fulminant, fatal

Icteric Anicteric Total

1 ( 3.8%) 7 (26.9%) 5 (19.2%) 13 (50.0%)*

0

8 ( 5.0%) 8 ( 5.0%) 16 (10.1%)

* p<0.001.

Table 4. Multivariate Analysis for the Possible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ete Remission

Variables p value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low vs. high) HBsAg

B symptom Sex

0.0002 0.0214 0.0389 0.3 Table 3. Clinical Outcomes

HBsAg-positive (N=26) HBsAg-negative (N=159) Complete remission (rate)

Relapse (rate)

Incomplete treatment†

Survival rate, actual 2 yr.

Median survival, month

11 (42.3%)*

3/11 (27.3%) 5 (19.2%)*

40.8%

19.6

108 (67.9%) 34/108 (31.5%)

5 (3.1%) 54.9%

not reached

* p<0.05.

†stop or delay of chemotherapy due to hepatic complications.

(5)

68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5 권 제 1 호 2000

고 찰

B형 간염 바이러스(HBV)의 증식은 숙주의 면역 기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B형 간염의 재활성화는

저증식기(HBeAg 음성, HBV-DNA 음성)에서 고증 식기(HBeAg 양성, HBV-DNA 양성)로 전환되는 것 을 말하며, 항상 HBeAg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므로 혈청 HBV-DNA의 재출현으로 가장 잘 정의된다.11 최근 precore 부위의 변형이 있는 B형 간염 바이러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HBsAg Status in NHL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able 5. Comparison of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epatic Complication in HBsAg-positive patients

Hepatic dysfunction (+) (N=13)

Hepatic dysfunction (-)

(N=13) p-value Age, years, mean±S.E

Male/female (ratio) HbeAg

+/-/unknown Histologic type

Indolent/aggressive/unknown Immunophenotype

B-cell/T-cell/unknown Clinical stage

I/II

III/IV/recurrence IPI

Low/low-intermediate risk group High-intermediate/high risk group Presence of B symptom (%)

Cumulative dose of steroid, median (mg/1.6 m2)

45.8±3.2 9/4 (2.3:1)

6/7/0

0/10/3

10/0/3

1/2 7/2/1

6/2 3/2 3/13 (23.1%)

3144

47.9±3.0 6/7 (0.9:1)

2/5/6

1/9/3

6/4/3

3/2 2/4/2

5/6 0/2 5/13 (38.5%)

2400

NS NS

NS

NS

NS

NS

NS NS NS NS, not significant (p>0.05).

(6)

곽진영 외 13인. HBsAg 양성인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에서 항암 화학요법 후 간 기능 악화 69

스의 재활성화의 경우 HBeAg의 발현 없이 심각한 간염 발생이 종종 보고되고 있다.9,12 B형 간염의 재 활성화는 드물게 자연적으로도 발생되지만,13,14 항암 화학요법이나 면역 억제 치료시 자주 관찰되고 있 다.2-5,7-9 이는 면역억제제로 말미암아 B형 간염 바이 러스의 증식이 증가하여 감염된 간세포가 많아진 상 황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회복된 면역체계에 의해 감염된 간세포가 급속히 파괴될 수 있는데, 그 면역 반응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간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1

본 연구의 결과에서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에서의 HBsAg 양성률은 14.1%로 건강 공혈자의 양성률보 다 월등히 높았다. 이전의 연구에서 건강 공혈자보 다 혈액종양 환자에서 높은 HBsAg 양성률이 보고 되고 있는데,2-6 그 이유로 빈번한 혈액성 분제재 사 용으로 인한 감염 기회의 증가, 면역체계에 이상이 있는 병이므로 간염의 만성률이 높아질 가능성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아직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다.

일부 Burkitt' s lymphoma와 adult T-cell leukemia/

lymphoma의 발생에 Epstein-Barr virus나 human T-cell leukemia/lymphoma virus가 각각 연관이 있다 고 알려져 있지만,10 B형 간염 바이러스가 비호즈킨

림프종의 원인적 인자로 기여한다는 증거는 아직 없 다. 그러나 B형 간염 바이러스가 림프구나 단핵구에 장기간 감염되고, 증식할 수 있는 바이러스이며, 실 제 간에 발생한 원발성 림프종의 경우 간조직검사에 서 B형 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증례15 등을 고려 할 때 B형 간염 바이러스가 림프종 발생에 어떤 역할 을 할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비호즈킨 림프종은 항암 화학요법으로 치료 성적 이 좋은 암의 일종이지만, HBsAg 양성인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에서는 항암 화학요법시 간염의 재활성 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외국의 여러 보고에서 HBsAg 양성인 악성 림프종 환자에 항암 화학요법 이나 골수 이식을 시행한 경우 높은 간 합병증 (21-75%)의 빈도를 보고하고 있고,2,3,5,8,16 본 연구에 서도 HBsAg 양성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항암 화학 요법 후 높은 간 합병증 발생을 확인하였다(50% vs.

10.1%, p<0.001). 물론 이들이 모두 B형 간염 바이 러스의 재활성화에 의한 것인지 혈청학적 검사를 통 해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림프종에 의한 간 침범, 패 혈증 등의 감염에 의한 간 합병증 등은 제외하였으 므로 그 합병증 빈도의 상당 부분이 바이러스의 재 활성화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HBV- Table 6. Hepatic Complications according to Chemotherapy Regimen

Chemotherapy (Pd; mg/cycle/1.6 m2)

Frequency of hepatic complication HBsAg-positive HBsAg-negative*

CMOPP (Pd; 840) CVP (Pd; 800) COPBLAM (Pd; 320) EPOCH (Pd; 480) CHOP (Pd; 600) Vandervilt HD (Pd; 672) DHAP (Pd; 1072)

- - 0/6 5/77 ( 6.5%)†

5/46 (10.9%)†

2/13 (15.4%) 1/5 (20.0%)

0/9 0/18 1/3 (33.3%) 4/338 ( 1.2%) 5/272 ( 1.8%) 8/72 (11.1%) 2/31 ( 6.5%)

Pd, prednisone; CMOPP, cytoxan, vincristine, procarbazine, and prednisone; CVP, cytoxan, vincristine, and prednisone; COPBLAM, vincristine, bleomycin, cytoxan, adriamycin, procarbazine, and prednisone; CHOP, cytoxan, adriamycin, vincristine, and prednisone; EPOCH, etoposide, vincristine, adriamycin, cytoxan, and prednisone; Vandervilt HD, cytoxan, etoposide, adriamycin, vincristine, bleomycin, methotrexate, and prednisone; DHAP, cisplatin, Ara-C, and dexamethasone.

* A few of HBsAg-negative NHL patients had recurrent attacks of hepatic complication during chemotherapy

† p<0.05.

(7)

7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5, No. 1, 2000

DNA 양전율에 따르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재활성 화가 HBsAg 양성인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의 항암 화학요법 후 발생한 간 합병증 발생의 72%를 차지 하였다는 연구 보고가 있기 때문이다.3

악성 림프종 환자에서 HBsAg 보유 여부에 따른 항암 화학요법의 치료반응률에는 차이가 없음을 보 고한 연구가 있었는데,2 본 연구에서는 HBsAg 양성 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유의하게 항암제에 대한 낮은 완전관해율을 보였다(42.3% vs. 67.9%, p=0.01).

HBsAg 유무가 완전관해율에 독립적인 변수로 영향 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관해율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에 대한 다변수 분석을 시도한 결과 예후지표(p=0.0002), HBsAg 양성률(p=0.02), B 증상의 존재(p=0.0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예 후지표는 본래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의 예후를 결정 짓는 인자이고,10 B 증상의 존재 유무는 우리 나라에 서 비호즈킨 림프종의 예후에 관련됨이 이미 보고된 바 있다.17 그런데 HBsAg 양성률이 관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로 나타난 연구는 본 연구가 처 음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에서 림프종의 관해율이 낮은 이유가 간의 합 병증으로 인한 치료의 지연이나 중지 때문일 가능성 을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HBsAg 유무에 따라 치료 중단 빈도에 차이가 나는지를 비교해 본 결과, HBsAg 양성군에서는 간 합병증 발생에 의한 치료 의 지연이나 중지된 예가 유의하게 많았고(19.2%

vs. 3.1%, p=0.025), 항암 치료 중 병의 상태는 임상 적으로 완전관해에 이르렀지만 간염의 재활성화에 의해 지속요법 및 공고요법이 시행되지 못하여 암의 재발로 인해 사망한 경우(1예)와 항암 치료로 완전 관해 후 간염의 재활성화에 의한 전격성 간염으로 사망한 경우(1예)가 있었다.

몇 몇의 연구에서 HBsAg 양성인 환자에서 항암 화학요법 시행 후 간 합병증 발생에 관계되는 위험 인자로 남자, 젊은 나이, HBeAg의 재출현, 그리고 높은 스테로이드 용량 및 고용량 항암제 투여 등이 보고되고 있지만,2-5,8,18 본 연구에서는 간 합병증 발 생에 관련된 유의한 위험인자를 찾지 못하였다. 나 이와 성비 등 환자 특성상에서 차이가 없었고, HBeAg은 확인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HBeAg

이 확인되지 않은 6명을 제외한 통계 분석상에서도 의의는 없었다(7/13명 vs. 5/7명, p=0.64). HBsAg 양 성군에서 항암요법의 스테로이드 함량이 높을수록 간 합병증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HBsAg 음성군과 비교해 볼 때 CHOP과 EPOCH 요법의 경 우 간 합병증 발생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CHOP과 EPOCH 요법의 치료 빈도가 많았고, HBsAg 음성군에서도 스테로이드 용량이 높 을수록 간 합병증이 증가하였으므로 스테로이드 용 량과의 명확한 관련성은 찾을 수는 없었다. 또한 HBsAg 양성군만을 환자별로 분석해 보았을 때, 간 합병증 발생군에서 간 합병증 발생 전까지 사용된 총 스테로이드 용량과 간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군의 총 스테로이드 용량의 중앙값에는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3144 mg vs. 2400 mg/1.6 m2, p=0.14). 그 리고 간 합병증 발생군에서 간 합병증이 발생 직전 항암요법의 스테로이드 용량과 간 합병증이 발생하 지 않은 군의 요법당 평균 스테로이드 용량 사이에 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600 mg vs. 600 mg/1.6 m2, p=0.59). 실제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26명이 었고, 이들 중 합병증 발생 예와 발생하지 않은 예가 각각 13예로 위험인자를 찾기에는 대상 환자 수가 너무 적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간염의 재활성화시 인터페론 투여나 스테로이드 지속요법, ganciclovir, famciclovir, lamivudine 등의 치료가 시도되고 있으나7,19-23 그 효과는 아직 불확실 한 상황이고, 최근 lamivudine을 위시한 강력한 항바 이러스제의 개발 및 임상효과를 고려할 때 향후 적 극적인 항바이러스제의 투여를 시도해 볼 만하다.

본 연구의 대상 환자 중 간염 악화시 항바이러스제 를 투여한 예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에서는 HBsAg 양성률이 높고,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들에서는 항암 화학요법 후 간 합병증 발생의 빈도 가 높으며 완전관해율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 서 HBsAg 양성인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에서는 항 암 화학요법에 따르는 간염 악화의 위험을 숙지하고 간 상태에 대한 면밀한 관찰을 요하며, 향후 보다 많 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다기관 연구를 통하여 간 염 악화와 관련된 위험인자 및 적극적인 항바이러스

(8)

Kwag, et al. Acute Exacerbation of Hepatitis in HBV Carriers with Non-Hodgkin' s Lymphoma after Chemotherapy 71

제 투여를 비롯한 치료 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생각된다.

요 약

목적: 비호즈킨 림프종은 진행된 병기라 하더라도 적극적인 항암 화학요법으로 완치를 도모해야 한다.

그러나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인 비호즈킨 림프 종 환자에서 항암 화학요법을 받은 후 발생하는 급 격한 간부전은 치명적인 합병증의 하나로 알려져 있 다. 이에 저자 등은 HBsAg 양성인 비호즈킨 림프종 환자에서 항암 화학요법 후에 발생한 간염 악화의 빈도, 생존율 및 완전관해율, 간 합병증 발생과 관련 된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1997년 9월까지 원자력병원에서 비 호즈킨 림프종으로 진단받고 항암 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185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고찰에 의한 후향 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185명의 환자들 중에서 HBsAg 양성인 환자는 26명(14.1%)이었다. HBsAg 양성인 환자들에서 간염 악화의 빈도는 50%로 HBsAg 음성인 환자들에서의 발생 빈도인 10.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완전관해율은 각각 42.3%, 67.9%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2년 생존율은 차이가 없었다. HBsAg 양성인 환자들 중에서 간염의 악화 를 보인 군과 그렇지 않은 군 사이에 나이, 성별, 병 기 조직학적 분류 및 예후지표에 있어서 유의한 차 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HBsAg 양성인 비호즈 킨 림프종 환자에서는 항암 화학요법에 따르는 간염 악화의 위험을 숙지하고 간 상태에 대한 면밀한 관찰 을 요하며, 향후 간염 악화와 관련된 위험인자 및 치 료 방안을 찾기 위한 좀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색인단어: B형 간염, 비호즈킨 림프종, 항암 화학요법

참 고 문 헌

1. 이효석. 우리 나라에서 간염 바이러스 감염 실태 및 혈청학적 진단. 대한임상병리학회지 1995;15:197- 204.

2. Liang RHS, Lok ASF, Lai CL, Chan TK, Todd D

Chiu EKW. Hepatitis B infection in patients with lymphoma. Hematol Oncol 1990;8:261-270.

3. Lok ASF, Liang RHS, Chiu EKW, Wong KL, Chan TK, Todd D. Reactivation of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in patients receiving cytotoxic therapy Gastroenterology 1991;100:182-188.

4. Ohtsu T, Sai T, Oka M, Sugai Y, Tobinai K Activation of hepatitis B virus carriers with hema tologic malignancies. Jpn J Clin Oncol 1991;21:360 365.

5. Kumagai K, Takagi T, Nakamura S, et al. Hepatiti B virus carriers in the treatment of malignan lymphoma: an epidemiological study in Japan. Ann Oncol 1997;8:107-109.

6. 조세현, 박수헌, 한준열 등. 백혈병 환자에서 발생한 간질환의 조직학적 소견 및 바이러스 표식자와의 관 계. 대한내과학회잡지 1994;46(suppl 1):25.

7. 구본권, 한지숙, 한광협 등. 복합 항암 화학요법 후 HBsAg 양성 악성 림프종 환자의 임상경과. 대한내과 학회잡지 1997;52:542-549.

8. Nakamura Y, Motokura T, Fujita A, Yamashita T Ogata E. Severe hepatitis related to chemotherapy in hepatitis B virus carriers with hematologic mali gnancies: survey in Japan, 1987-1991. Cancer 1996 78:2210-2215.

9. Yoshiba M, Sekiyama K, Sugata F, Okamoto H Yamamoto K, Yotsumoto S. Reactivation of precore mutant hepatitis B virus leading to fulminant hepatic failure following cytotoxic treatment. Dig Dis Sc 1992;37:1253-1259.

10. Freedman AS, Nadler LM. Malignancies of lym phoid cells. In: Fauci AS, Braunwald E, Isselbache KJ, et al. eds. Harrison' s principles of interna medicine. Volume 1. 14th ed. New York: McGraw Hill, 1998:695-711.

11. Davis GL, Hoofnagle JH. Reactivation of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Gastroenterology 1991;

92:2028-2030.

12. Carman WF, Jacyna MR, Hadziyannis S, et al Mutation preventing formation of hepatitis B e antigen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Lancet 1989;2:588-590.

(9)

72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5 권 제 1 호 2000

13. Davis GL, Hoofnagle JH, Waggoner JG. Spon taneous reactivation of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Gastroenterology 1984;86:230-235.

14. Meyer RA, Duffy MC. Spontaneous reactivation of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leading to fulminan hepatic failure. J Clin Gastroenterol 1993;17:231- 234.

15. Matano S, Nakamura S, Annen Y, Hattori N, et al Primary hepatic lymphoma in a patient with chronic hepatitis B. Am J Gastroenterol 1998;93:2301-2302 16. Lau GK, Liang R, Chiu EK, Lee CK, Lam SK Hepatic events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hepatitis B infection: a case controlled study. Bone Marrow Transplant 1997;19:795-799.

17. 강윤구, 김봉석, 김태원 등. REAL 분류에 근거한 한 국인 비호즈킨 림프종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제24회 대한암학회 학술대회 조사연구과제 1998:43.

18. Cheng AL. Steroid-free chemotherapy decreases the risk of hepatitis flare-up in hepatitis B virus carrier with non-Hodgkin' s lymphoma. Blood 1996;87:

1202.

19. Lau JY, Bird GL, Gimson AE, Alexander GJ

Williams R. Treatment of HBV reactivation after withdrawal of immunosuppression. Lancet 1991;337:

802.

20. Mertens T, Kck J, Hampl W, et al. Reactivated fulminant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clinical course and possible treatment with ganciclovir. J Hepatol 1996;25:968- 971.

21. Lau GK, Liang R, Wu PC, Lee CK, Lim WL, AU WY. Use of famciclovir to prevent HBV reactiva tion in HBsAg-positive recipients after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J Hepatol 1998;28:

359-368.

22. Dienstag JL, Perrillo RP, Schiff ER, Bartholomew M, Vicary C, Rubin M. A preliminary trial o lamivudine for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N Eng J Med 1995;333:1657-1661.

23. Clark FL, Drummond MW, Chambers S, Chapman BA, Patton WN. Successful treatment with lamivu dine for fulminant reactivated hepatitis B infection following intensive therapy for high-grade non- Hodgkin' s lymphoma. Ann Oncol 1998;9:385-387.

수치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Based on the HBsAg Status
Table 4. Multivariate Analysis for the Possible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ete Remission
Table 5. Comparison of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epatic Complication in HBsAg-positive patients

참조

관련 문서

에이즈 환자, 항암 화학요법, 장기 이식 후 면역 억제제 복용 환자 정상인.. 뉴모시스티스 카리니는

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cytokine gene therapy는 체외에서 암세포를 조작하는 것을 전제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 개별환자 로부터 각각 암세포주를

여러 종류의 식당을 , 일반식당, 패밀리레스토랑, 고급식당, 계약급식업체로 나누어 보면 일반식당에서는 고객이 남기고 간 음식물쓰레기

SADOU 공공계약부 장관은 행사 후 언론 인터뷰에서 카메룬 전자조달 시스템의 발전을 위해 양국 간 협력이 지속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언급 하였습니다.. 아울러 임대사와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구기종목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우성의 다리에 근전도의 표면전극을 부착한 후 최대하지근력과 WAnT를 이용한 검사를 실시하여 구기 종목 간

통증관리 수행실태와 장애요인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통증관리 수행실태 와 장애요인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통증관리 수행실태가 높을 수 록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역과 다시마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암 , 혈당강하 , 항산화 및 간 기능보호와 숙취해소 등이 용이한 기능성 식품 제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이처럼 단일 낭종 내에 상이한 두 가지 이상의 병리조직학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병변을 혼성낭종 (hybrid cyst) 이라 부르는데 , 표피낭종과 모 낭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