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기표출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주장 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자기표출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주장 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자기표출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주장 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Training on Self-Assertions and Personal Relation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여 광 응**박 현 옥***강 옥 화****1) Yeo, Kwang Eung Park, Hyeon Ok Kang, Ok Hw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degree of self-assertions and the change of the personal relation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self-expression training.

In this study, after appling the program for self-expression training to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 took three weeks of pre-test with te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degree of their self-assertions and the level of their personal relations would improve. And then we produced the average score and the standard deviation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applying the program for self-expression training for three months, and utilized t-testing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conclusion attained through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for self-expression training had not the effect on improving the self-asser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the program for self-expression training had the effect on the positive change of personal relation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 이 연구는 두뇌한국21 특수교육 교육연구단의 차년도 연구과제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5 . 연구참여학생 함윤주

( :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Brain Korea 21 Project.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학부 중등특수교육전공 교수

Department of Middle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BK21특수교육 교육연구단 박사과정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제주 표선초등학교 교사 Jeju Phosun Primary School.

(2)

The conclusion like this provides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with the grounds for self-growth, and has the large significance in the guiding method for forming valuable personal relations.

Key words:self-expression training,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self-assertion, personal relation

자기표출훈련 학습부진아 자기주장 대인관계, , ,

서 론 .

연구의 의의 1.

학습의 성공과 실패는 학습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학업, 성취에 대한 반응은 개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이제까지는 학습의 성공과 실. 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습자가 지닌 인지능력의 격차 즉 학습자의 지능, , 적성 선행학습의 정도 등의 결손으로 귀속시켰으나 최근에는 학습자의 정의적, , 행동 특성에 관심을 기울여 학습자의 자아개념이나 성취동기 인성 태도 흥미, , , , 불안 정서 등의 정의적 변인 또한 학습의 중요한 변수, (Heward, 2000)라는 인 식이 확산되고 있다.

학생의 개별성과 독특성을 존중하면서 그들의 잠재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 활동이 다양하게 시도되면서 교육의 기회균등이라는 차원에서도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적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이다 학습부진아는 학습할 수 있는 잠재능력. 이 있으면서도 그 능력을 개발하지 못하였거나 어떤 계기로 인해 발생한 학습, 결손이 그 이후의 학습에도 영향을 미쳐 결손의 누적현상을 가져온 학생을 말한 다 여광응( , 2003).

지금까지 학습부진아의 학습에 대한 연구는 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그들이 학습 속도가 느리다는 점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건강한 정신을 가진 전인. 적인 인간으로 사회화시키는 것을 교육 목표로 두고 있다는 점에서 학습부진아 의 교육목표와 일반아동의 교육목표는 본질적으로 같다 즉 학습부진아 개개인. , 의 가능성을 존중하고 각자의 특수성에 맞는 학습능력을 계발 신장시킨다면 성, 공적인 학습도 가능하다.

자기표출은 한 개인이 자신의 경험이나 느낌 등 자신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람 에게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는 일련

(3)

의 시도이다 자기표출활동을 통해 개인은 자기실현과 자기성장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대인관계가 원만해지고, 적극적이고 생산적인 생활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자기표출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적

(Johnson, 1993). , ,

절하게 자신의 생각을 주장함으로써 정신건강과 대인관계를 효과적으로 발전시 킬 수 있다 학습부진아들은 개인적 능력의 부족과 정서적인 부적응으로 인해. 무기력 불쾌 불안 등의 심리적 압박감과 내적 갈등의 누적을 경험해 왔다 이, , . 들은 사회 가정 학교가 요구하는 능력이 결핍되어 있어 열등감과 좌절감에 빠, , 져 있으며 교사와 급우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적절하게 표출하지 못하여 자신을, 은폐하는 경우가 많고 대인관계도 위축되어 있어 원만한 인간관계를 영위하지, 못하고 있다.

학습부진아들이 부정적 자아개념과 결핍된 내적 정서를 밖으로 표출함으로써 자 신의 목표 욕구 관심 활동 가치 등에 대해 확신하게 되고 학교 환경에서 자, , , , 기주장 행동을 이끌어 냄으로써 대인관계의 회복도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완식과 변창진(1980), 박천교(1999), 강윤정(1999) 등이 자기 표출훈련을 일반 초등학생에게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한 사례가 있으나 학습부, 진아를 대상으로 한 자기표출훈련 프로그램 적용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자기표출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주장 행동과 대인관계에 어 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연구의 문제 2.

이 연구는 자기표출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주장 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 과를 밝히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자기표출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주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 둘째 자기표출훈련이 학습부진아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

용어의 정의 3.

자기표출훈련 1)

자기표출훈련은 한 개인이 자신의 경험이나 느낌 등 자신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는 일련의 시도이다.

(4)

2) 자기주장

자기주장은 의사소통과정에서 상대방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상대방을 불쾌하게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신의 권리 욕구 의견 생각 느낌 등 자신이 나타내, , , , 고자 하는 바를 마음에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상대방에게 직접 표현하는 기술이 다.

3) 대인관계

대인관계는 두 사람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상호작용으로 두 사람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서 조성되는 심리적 조화를 의미하며 자신의 감, 정이나 사고를 타인에게 연결시켜 공동의 협력으로 목표를 달성시키는 능력을 뜻한다.

. 연

Ⅱ 구 방 법

연구 대상 1.

이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중인 아동 중 IQ가 평균 범위(IQ 90~

에 속하면서 성적이 년 동안 계속해서 하위 이내에 속하는 아동으로

110) , 3 10%

국어와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도 평가 성적이 60점 미만인 아동 20 (명 실험집단 명 통제집단 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 아동의 특성은 다음

10 , 10 ) . < .1>

과 같다.

연구 대상 아동의 실태

< .1>

집단 N CA IQ 국어성적 수학성적

M SD M SD M SD M SD

실험집단 10 11.57 0.37 98.70 4.16 52.00 3.77 51.60 3.50 통제집단 10 11.65 0.38 97.50 5.85 53.20 1.93 50.80 1.93

측정 도구

2.

(5)

자기주장척도 1)

이 연구에 사용된 자기주장척도(Assertiveness Scale : AS)는 김성희가 1990 년에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4가지 하위영역에 따라 25개의 각 장 면에 대해 진술해 놓은 10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별 구성 내용은, <

와 같다 2-2> .

자기주장척도의 구성

< .2>

영역 측정 내용 문항 문항수

(100문항) 행동적

주장척도

주장행동의 방법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 1 5, 11 20,

31 35, 71 75 25 인지적

주장척도

주장행동을 방해하는 비합리적인

사고의 정도 26 30, 41 45, 56 60, 86 90, 96 100 25 정서적

주장척도 주장행동을 방해하는 불안의 정도 21 25, 36 40, 51 56, 66 70, 81 85 25 전반적

주장척도 실제로 주장행동을 하는 정도 6 10, 46 50, 61 65, 76 80, 91 95 25 대인관계척도

2)

이 연구에 사용된 대인관계척도는 Guerney(1977)의 대인간계 변화척도를 문선 (1980)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한 대인관계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대인관계. 척도는 7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체 25개 문항을 5단계로 평정하게 되어있다 구체적인 문항별 구성내용은 다음. < .3>에 제시하였다.

대인관계척도의 구성

< .3>

(6)

영역 문항 문항수(25문항)

만 족 감 1, 2, 3, 4 4

의 사 소 통 9, 14, 18, 19 4

신 뢰 감 15, 23, 24 3

친 근 감 5, 11, 16 3

민 감 성 6, 10 2

개 방 성 12, 17, 20, 21, 22 5

이 해 성 7, 8, 13, 25 4

3. 연구설계

이 연구의 독립변인은 자기표출훈련이며 종속변인은 자기주장 행동 및 대인관, 계이다 자기표출훈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사전 사후검사 통제. 집단 설계 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설계

< .4>

구 분 사전 검사 처 치 사후 검사

실험집단 O1 X O2

통제집단 O1 O2

* X : 자기표출훈련 프로그램 적용

* O1 : 사전검사 자기주장척도 검사 대인관계척도 검사( , )

* O2사후검사 자기주장척도 검사 대인관계척도 검사( , )

연구 절차 4.

자기표출훈련 프로그램 1)

자기표출훈련 프로그램의 내용은 준비 단계 자기이해 단계 소극적 표출단계, , , 적극적 표출단계 종결 단계의, 5단계로 마음열기 나를 알기 나의 장점 알기, , , 합리적으로 생각하기 사실적 정적인 내 경험 꺼내기 사실적 부정적인 내 경험, , 꺼내기 정의적 긍정적인 내 느낌 꺼내기 정의적 부정적 내 느낌 꺼내기 빈 의, , , 자와 이야기하기 마음 여미기 등 열 가지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에 대, . 한 예시는 <예시 1> ,에 구체적인 활동내용은 <예시 2>에 각각 제시하였다.

(7)

2) 절 차

이 연구는 2002 8 19일부터 2002 12 17일까지 약 4개월에 걸쳐 수행 되었다 연구 실시 이전인. 7 2일부터 7 28일까지 본 연구의 연구자 3인이 자기표출 훈련 중재절차와 사전검사에 대한 사전 협의를 거쳤으며 연구 진행과, 정과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비디오로 중재과정을 녹화하고 이를 연구자 3인이 함께 분석하기로 하였다.

자기표출 훈련 중재는 피험 아동의 부모에게 사전에 양해를 구하여 오후 수업이 없는 수요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2시간 동안 연구자가 근무하는 초등학교의 상담실에서 연구자 1인이 단독으로 실시하였으며 이 과정을 녹화하였다 아동, . 의 주의집중 시간을 고려하여 45분간 자기표출훈련 중재를 실시하고, 15분간 휴식시간을 갖도록 시간을 안배했다.

피험 아동에 대한 사전검사는 2002 8 19일부터 2002 8 23일까지 이 루어졌으며 자기표출훈련 중재는, 2002 9 4일부터 2002 11 27일까지 30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사후검사는 중재가 종료된 시점에서. 2주일이 경 과한 후인 2002 12 16일부터 17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 처리 5.

자기표출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주장 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에게 자기주장척도와 대인관계척도 검사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각각의 .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두 집단 간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검증하여, t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및 논의 .

자기표출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주장 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주장 행동에 미치는 효과

1.

(8)

자기표출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자기주장 정도 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본 결과는 < .1>과 같다.

자기주장 행동의 집단간 비교

< .1>

구 분 통제집단 실험집단

M SD M SD t

사전검사 268.20 15.26 279.80 14.23 1.01 사후검사 275.60 14.42 296.00 16.35 1.38

t .95 .125

에서와 같이 자기표출훈련을 실시한 사전검사 실험집단

< .1> (M=279.80)

사전검사 통제집단(M=268.20)보다 평균 11.6점이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1.01, p>.05)는 없었다 따라서 두 집단은 동질집단으로 볼 수 있. 다.

, 자기표출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M=296.00)가 사전검사(M=

보다 평균 점이 높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275.60) 16.20

타났다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M=275.60)가 사전검사(M=268.20)보다 평균 7.40 점 높지만 실험집단과 같이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집단의, . 사후검사(M=296.00)가 통제집단 사후검사(M=275.60)보다 평균 20.40점이 높 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t=1.38, p>.05)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자기주장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와 같다

< .2> .

자기주장 행동에 미치는 효과의 하위영역별 비교

< .2>

구 분 통제집단 실험집단

t

M SD M SD

행동적 주장 63.90 11.53 71.10 11.51 1.40 인지적 주장 77.20 9.96 82.80 12.43 1.11 정서적 주장 68.50 8.52 60.70 7.55 .812 전반적 주장 70.20 11.78 81.40 11.91 2.11*

* P < .05

(9)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자기표출훈련을 실시한 이후에 실험집단과 통

< .2>

제집단의 하위영역 중 전반적 주장(t=2.11, P<.05)에서 유일하게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서적 주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특, . 히 정서적 주장에서는 실험집단, (M=60.70)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M=68.50) 평균점수에 비해 7.80점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학습부진아에게 자기표출훈련을 적용했을 때 자기주장행, 동의 하위 영역 중 전반적 주장 측면의 증가를 나타내었지만 전체적인 자기주, 장 행동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2.

자기표출훈련이 학습부진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 단과 통제집단의 대인관계 변화에 대해 검증한 결과는 다음 < .3>과 같다.

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자기표출훈련을 실시한 사전검사 실험집단

< .3> (M=

이 사전검사 통제집단 보다 이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75.90) (M=77.20) M=1.30 ,

으로 유의한 차이(t=2.32, P>.05)는 없었다 따라서 두 집단은 동질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대인관계의 집단간 비교

< .3>

구 분 통제집단 실험집단

M SD M SD t

사전검사 77.20 8.98 75.90 9.79 2.32 사후검사 82.92 9.02 97.20 7.77 4.52***

t 1.28 5.39***

p < .001

사후검사 실험집단(M=97.20)은 사후검사 통제집단(M=82.92)보다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t=4.52, 가 나타났다 그리고 통제집단에서는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

p<.001) . , (M=77.20)

에서 평균 점이 증가한 반면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M=82.92) 5.72 , (M=75.90)

다 사후검사(M= 97.20)가 평균 21.30점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t=5.39, p<.001) .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10)

와 같다

< .4> .

대인관계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하위영역별 비교

< .4>

구 분 통제집단 실험집단

t

M SD M SD

만 족 감 13.60 2.123 17.90 1.97 4.70***

의사소통 12.10 2.08 16.30 1.64 5.02***

신 뢰 감 7.50 .85 8.30 1.89 1.22

친 근 감 8.80 2.62 11.70 1.70 2.94*

민감성 5.70 1.16 8.30 .95 5.49***

개방성 15.30 2.75 19.00 3.33 2.71*

이해성 12.90 1.79 15.70 2.67 2.75*

* P < .05, ***P < .001

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위 영역 중 만족감 의사소통

< .4> , (t=4.70, p<.001),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t=5.02, p<.001), (t-=2.94, p<.05), (t=5.49, p=p<.001),

이해성 의 여섯 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t=.275, P<.05), (t=2.75, P<.05)

차이를 보였으며 신뢰감의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학습부진아에게 자기표출훈련을 적용했을 때 전반적으로, 대인관계가 증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만족감과 의사소통 영역은 다. 른 영역에 비해 자기표출훈련의 효과가 더 컸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표출훈련이 아동의 자기표출 능력을 향상시키고, 자기주장 행동 및 대인관계의 증진을 꾀할 수 있다는 박천교

이규학 한혜수 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1999), (1996), (1993) .

결 론 .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중인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자기표출훈련 프로그램을 적 용하여 자기주장 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출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은 자기주장 행동의 향상에 크게 영향을 미, 치지 않았다.

(11)

둘째 자기표출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은 학습부진아의 대인관계를 긍정적으로 변, 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아동 개개인의 자기주장 행동과 대인관계는 앞으로의 청소년 성인생활을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따라서 단기간의 중재와 단편적인 프로그램 훈련으로 그. 칠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발달과정에 맞춘 계속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더욱이, . 학습부진아의 경우에는 실패경험의 누적과 무기력 불안감 등을 나타낼 가능성, 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한 자기주장 행동과 대인관계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동의 수준에 맞게 계획되고 조직적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의 구안과 적용이 반, 드시 있어야 할 것이다.

또 단순히 학업기술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자기성장의 터전을 마련하고 의미, , 있는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와 수준에 적합한 자기주장 척도와 대인관계 척도의 개발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12)

참 고 문 헌

강윤정(1999).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자기표출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

김기태(1991). 학습부진아의 정의적 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교육. , 대학원.

김영복(1983). 자기표출훈련이 중학생의 자기표출과 대인 매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인자(1997). 인간관계와 자기표현 서울. : 한국심리상담연구소.

김재동(2000). 자기표현훈련이 소극적인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형성 및 자기표출 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

김진식(2000). 내적 구인훈련이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 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 .

박천교(1999). 자기표출훈련이 자기표출능력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 위논문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송인섭(1998).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서울. : 학지사. 여광응(2003). 특수아동의 심리학적 이해 서울. : 학지사

이규학(1996). 주장성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장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대기(1994). 학습우수아와 학습부진아의 자아개념과 실패귀인 성향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옥수(1996). 자기노출 및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간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

한혜수(1993). 자기노출 훈련이 자기주장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Adler, R. B. (1976). Confidence in communication. N. Y.: Holt, Reihart &

Winston.

Bandura, A. (1969). Principles of Behavior Modification. N. Y.: Holt, Reihart & Winston.

Cozby, P. C. (1973). Self-disclosure : A literatur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79(2)

.

Doster, Z. A. (1972). Effects of instructions, modeling, and role rehearsal on interview verbal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13)

Psychology, 39(2).

Dustin, R., & Geouge, R. (1973). Action counseling for behavior change.

N. Y.: In text Educational Publishers.

Gelman, R., & Mcginley, H. (1978). Interpersonal liking and self-disclosure.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46(6).

Halverson, C. G. Jr. & Shore, R. E. (1969). self-disclosure and interperson al function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3(2).

Heward, W. L. (2000).

Exceptional children :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 N. J.: Nerrill Prentice-Hall, Inc.

Johnson, D. W. (1993).

Reaching out : Interpersonal effectiveness and self-actualization

. N. J.: Nerrill Prentice-Hall, Inc.

Lickona, T. A. (1974). Cognitive-developmental approach to interpersonal attraction. In T. L. Huston(ed.).

Foundation of interpersonal attraction

. N. Y.: Academic Press.

Rogers, C. R. (1975). Empathy :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

Counseling Psychologist, 5.

Vitalo, R. L. (1974). A course in life skills.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15.

(14)

예시 자기표출훈련 프로그램 예시

< 1>

단계 회기 제목 활동내용 비고

준비

단계 1 마음 열기 * 서약 의식 행하기

* 별명 짓고 별명 외우기 게임,

자기 이해 단계

2 나를 알기 * 나는 이런 사람이에요

* 자기 소개서 작성하기

* 주인공 알아 맞추기 게임 3 나의 장점

알기 * 오늘의 주인공은 나 4 합리적으로

생각하기

* 합리적인 생각과 비합리적인 생각 구분하기

* 합리적인 생각으로 바꾸기

* 합리와 비합리 대결 게임

소극적 표출 단계

5 긍정적인 내

경험 꺼내기 * 나의 아리랑 고개 넘기

* 사실적 긍정적 자기표출 연습-

* 지시* 시범

* 역할연기

* 연습 6 부정적인 내

경험 꺼내기 * 나의 아리랑 고개 넘기

* 사실적 긍정적 자기표출 연습-

* 지시* 시범

* 역할연기

* 연습 7 긍정적인 내

느낌 꺼내기

* 정의적 긍정적 자기표출 연습-

* 느낌을 재빨리 이어받기 게임

* 지시* 시범

* 역할연기

* 연습 8 부정적인 내

느낌 꺼내기 * 정의적 긍정적 자기표출 연습-

* 느낌을 재빨리 이어받기 게임

* 지시* 시범

* 역할연기

* 연습 적극적

표출

단계 9 빈 의자와

이야기하기 * 빈 의자와 이야기하기

* 지시* 시범

* 역할연기

* 연습 종결

단계 10 마음 여미기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적은 비행기를 만들어 외치며 날리기

(15)

예시 구체적인 활동 내용 제 마음 열기

< 2> ( 1 : )

단계 활동 내용 훈련자의 역할 준비물

분위기 조성

* 노래 야광 도깨비 뿔 를 부른다( ) .

* 둥글게 모여 앉아 처음 만나서 현재 떠 오르는 느낌을 이야기한다.

* 자유스럽고 자율적인 분위기에서 긴장감을 해소시키는 데 중점 을 둔다.

마음 열기 활동

<지시>

* 본 프로그램은 자기표출훈련을 통해 적 절하게 자기 자신에 대한 경험이나 느낌 을 다른 사람에게 솔직하게 전달함으로 써 있는 그대로의 자신의 모습을 표현하 는 능력을 기르고 대인관계를 넓히는데, 목적이 있다. 10회분의 프로그램을 주당

회씩 실시할 것이다

2 3 .

서약 의식 행하기

< >

* 촛불을 켜고 서약 의식을 행한다 훈련자. 가 두 마디씩 먼저 말하면 아동들은 따 라한다.

* 엄숙한 분위기가 되 도록 유도한다. *촛불

*서약서 별명 짓기

< >

* 다른 사람으로부터 불리고 싶은 별명을 짓는다 자신의 별명을 소개하고 별명의. , 의미와 별명을 지은 이유를 설명한다.

* 아동들이 별명을 짓 는데 힘들어한다고 해서 별명을 지어주 거나 암시하거나 써, , 주어서는 안 된다.

* 발표는 하고 싶은 사 순서대로 하고, 만약 스스로 하지 않 을 때는 훈련자가 자 신의 것을 먼저 소개 한 뒤 듣고 싶은 사, 람을 가리키는 방식 으로 돌아간다.

*명찰*핀

*사인펜

별명 외우기 게임하기

< >

* 박자 손뼉을 치며 별명 대기를 한다4 , .

분위기 조성

* 노래 야광 도깨비 뿔 를 부른다( ) .

* 둥글게 모여 앉아 처음 만나서 현재 떠 오르는 느낌을 이야기한다.

* 자유스럽고 자율적인 분위기에서 긴장감을 해소시키는 데 중점 을 둔다.

수치

표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자기표출훈련을 실시한 이후에 실험집단과 통&lt;Ⅲ.2&gt; 제집단의 하위영역 중 전반적 주장 (t=2.11, P&lt;.05) 에서 유일하게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서적 주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특,
표 와 같다&lt;Ⅲ.4&gt; . 표 대인관계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하위영역별 비교 &lt; Ⅲ .4&gt; 구 분 통제집단 실험집단 t 값 M SD M SD 만 족 감 13.60 2.123 17.90 1.97 4.70*** 의사소통 12.10 2.08 16.30 1.64 5.02*** 신 뢰 감 7.50 .85 8.30 1.89 1.22 친 근 감 8.80 2.62 11.70 1.70 2.94* 민감성 5.70 1.16 8.30 .95 5.49*** 개

참조

관련 문서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learning sequence of Science(area of matters) and Chemistry conten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ransformationa l leadership of a dance leader on the empowerment of professional dancers and

Purpose: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middle and small sized hospital work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ontrolling effect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on improving the attitudes of regular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hadowing using English movies on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learning interest, and attitud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s of mentoring functions of corporate field teachers on the transfer of training of learning workers through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