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업용 섬유, 섬유의 미래를 그리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산업용 섬유, 섬유의 미래를 그리다"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산업용 섬유, 섬유의 미래를 그리다

제1편 : 소재 -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섬유

2019. 12. 13.

(2)

목 차

1. 고성능 산업용 섬유의 개요 1

2. 탄소섬유 3

3. 아라미드 섬유 8

(3)

1. 고성능 산업용 섬유의 개요

□ 정의

ㅇ 산업용 섬유는 의류패션용과 생활인테리어용 섬유를 제외한 산업의 제품, 공정 및 업무에 사용되도록 디자인되고 설계된 섬유 집합체임

- 의류패션은 디자인 및 트렌드, 산업용은 기술력이 중요시되며, 생활인테리 어용 섬유는 두 그룹의 중간에 위치

* 산업용 섬유는 영문으로 표기할 때, 기술적이고 기능적인 섬유소재의 의미를 가장 폭넓게 표현하고 있는 “Technical Textiles”을 주로 사용

ㅇ 산업용 섬유 중에서 강도, 탄성률, 내열성, 난연성, 내화학성, 내후성 등이 범용 섬유(폴리에스터, 나일론 등)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고성능 산업용 섬유”를

“슈퍼섬유”라 함(본고에서는 슈퍼섬유로 표기)

* 대표적인 슈퍼섬유에는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가 있으며, 초고분자량PE, PBO 등도 있으나, 생산성 및 경제성 면에서 탄소섬유나 아라미드섬유만큼 보편적으로 사용 되지 못하고 있음

□ 분류

ㅇ 슈퍼섬유는 특성별, 소재별, 제조방식별, 화학구조별로 분류가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특성별로 구분

- (고강도ㆍ고탄성 섬유)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이 각각 20g/d 및 500g/d 이상의 기계적 물성을 갖는 섬유

- (고내열성ㆍ난연성 섬유) 연속사용온도와 한계산소지수(LOI1))가 각각 170℃

및 28 이상의 물성을 갖는 섬유

1) Limiting Oxygen Index(한계산소지수)는 연소를 유지시킬 수 있는 산소의 최저농도로, 값이 높을수록 난연성이 높음 (공기 중의 산소농도는 21임)

(4)

< 슈퍼섬유의 특성별 분류 >

1

구 분 종 류 우수 특성

고강도․고탄성계

PAN2)계 탄소섬유 내부식성, 불연성, 열․전기전도성, 치수안정성, 내피로성, 진동감쇄성 pitch계 탄소섬유

para-아라미드 내마모성, 내절창성, 전기절연성 초고분자량PE3) 저비중, 내마모성, 내절창성

PBT4) 치수안전성, 염색성

Polyketone 열, 마찰, 충격 등에 견디는 능력

고내열․난연성계

meta-아라미드 전기절연성, 염색성

PI 내열성, 전기특성이 뛰어남

PBI5) 500도까지 견딤

PPS6) 전기절연성, 보온성

(다특성계) PBO7) 내열성이 가장 우수

Polyarylate 내충격성, 치수안정성,

내약품성계 PTFE8) 전기절연성, 마찰성, 비접착성

* 자료: 2012 신섬유기술로드맵(섬산련)을 재구성

< 슈퍼섬유의 소재별 물성 >

종 류 주요상표 강도

(g/d) 탄성률(g/d)

신도(%) LOI

(%) 연속사용

온도(℃) 내화학성 PAN계 탄소섬유 Torayca 20∼62 2,600∼7,900

신도 : 0.5∼2.4 55 - Excellent pitch계 탄소섬유 Dialead 17∼33 2,100∼9,600

신도 : 0.5∼1.1 - - Excellent para-아라미드 Kevlar 등 22∼26 460∼1,100

신도: 2.4∼4.4 25∼28 190 Mild-Good 초고분자량PE Dyneema 30∼35 1,400∼2,000/

신도: 3 - 120 Good

meta-아라미드 Nomex 3.8∼7.2 신도: 25∼40 28∼32 204 Mild-Good

PI P84 4.2 신도: 30 36∼38 260 Good

PBI Logo 2.4∼2.7 32신도: 29 41 250 Excellent

PPS Procon 3.5∼4.5 34 190 Very-Good

PBO Zylon 42 1,300∼2,000

신도: 3.5 68 285∼315 Mild-Good Polyarylate Vectran 25 700 28 - Very-Good

PTFE Teflon 2.0 95 260 Excellent

2) Polyacrylonitrile

3)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초고분자량 PE), UHMWPE라고도 표기함 4) Polybutylene terephthalate

5) Polybenzimidazole 6) Polyphenylene sulfide

7) Polyphenylene benzobisoxazole

8) Polytetrafluoro ethylene. 불소섬유라고 함

(5)

□ 시장 및 기술개발 동향

ㅇ 슈퍼섬유는 전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로 최근 에너지․환경과 안전․

행복 관점에서 산업혁신이 진행됨에 따라 신규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

- 일본 후지경제 그룹에 따르면 `15년 슈퍼섬유 시장은 7조 6400억원이나,

`22년엔 11조 5300억원으로 1.5배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

ㅇ 슈퍼섬유 원사 부분은 기술집약적인 성격이 강하여 후발국인 우리나라 입장에서 추격하고 있는 상황임

- 미국, 일본, EU의 세계적인 섬유회사들이 수십년간 꾸준한 기술개발과 전략적 투자를 통해 슈퍼섬유 시장의 진입장벽을 강화하였고, 분야별 Top3 기업이 시장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한국의 경우, 아라미드, 탄소, 초고분자량 PE 섬유는 시장진입 단계, PPS, 폴리케톤, PBO 섬유 등은 연구개발 단계

ㅇ 슈퍼섬유의 기술트렌드는 ‘고강도․고탄성 섬유 및 고내열․난연 섬유의 개발’,

‘범용섬유의 고성능화’, ‘섬유강화 복합재료 개발’ 및 ‘저비용 생산기술’임 - 시장규모는 고강도․고탄성섬유 20%, 고내열․난연섬유 20%, 범용섬유의 고

성능화 30%, 섬유강화 복합재료 30%로 추정 2. 탄소섬유

□ 개요

ㅇ 유기섬유를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하여 탄소성분이 90% 이상인 섬유를 말하며, 고강도, 경량 소재로서 자동차, 항공, 풍력발전, 건축·토목, 스포츠용품 등의 핵심소재로 사용

- 탄소섬유는 비중이 1.8g/cm3 내외로 철의 7.8g/cm3에 비해 약 1/4 수준 으로 가볍고, 인장강도를 비중으로 나눈 비강도는 철의 10배, 비탄성률은 철의 7배 수준

ㅇ 출발원료인 프리커서9)를 기준으로 PAN계, pitch계, rayon계로 분류되며, PAN계는 acrylic 섬유, pitch계는 coal-tar나 석유를 원료로 생산

9) precursur(전구체) : 어떤 물질대사나 화학반응 등에서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특정물질이 되기 전 단계의 물질

(6)

< 탄소섬유의 종류 >

(원료)종 류 분 류 등 급 특 성 사용량

(최초개발)

PAN(Polyacrylonitile)

Regular Tow

(1-24k 필라멘트) 고성능 높은 역학적 특성,

취급성 우수 90%이상

(‘62년 일본) Large Tow

(40k이상 필라멘트) 범용 코스트가 낮으나, 소 성공정을 거쳐야 함 pitch

(pitch or tar)

등방성 저성능 10%이내

(‘70년 일본) 이방성(Mesophase) 고성능 고탄성률 섬유

Rayon

(cellulose) 범용,

저성능 탄소섬유 개발 당시

생산 1-2%

(‘59년 미국)

ㅇ PAN계 탄소섬유 제조공정은 프리커서인 PAN섬유를 만드는 공정과 이후 열을 가하여 탄화하는 공정으로 크게 나뉨

- PAN 프리커서를 제조하는 공정이 60%, 탄화하는 후공정이 40% 정도의 기술적 비중 및 중요도를 가짐

- 탄소섬유 기술의 핵심은 PAN 프리커서의 제조기술에 있으나, 각 제조사 별로 중합 및 방사방식이 같지 않고, 많은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 객관적인 기술수준 비교가 어려움

- 후공정인 탄화기술 또한 제조사의 PAN 프리커서에 최적화된 탄화조건을 설 정하여 운전하며, 필요에 따라 자사에 맞는 특수 공정 및 설비를 추가하여 운전하는 상황임

ㅇ 탄소섬유의 70% 이상은 수지와 혼합된 프리프레그 형태로 판매되며, 최종 제품도 90%이상이 섬유강화 복합재료로 사용

- 탄소섬유는 토우(탄소섬유의 다발), 직물, 프리프레그, 3~24mm 길이의 Cut Fiber(Chopping), 30~150㎛의 Milled Fiber, 단섬유와 수지를 복합한 Mat, Braiding 직물 등의 형태로 판매되고 있음

□ 국내시장 현황

ㅇ `12년까지 탄소섬유 생산기반 부재 및 사업성 문제로 수입에 의존해왔으 며, 그 후 효성첨단소재에서 탄소섬유를 생산하고 있으나 여전히 일본 등 해외업체 점유율이 높음

(7)

- 국내 최초로 태광산업이 `12년에 1,500톤 생산규모로 탄소섬유 사업에 진출 하였으나 사업 저조로 `15년 사업 중단

- 효성첨단소재는 2013년 하반기에 2,000톤의 규모로 상업 생산을 시작하였고

`20년부터 증설공장에서 2,000톤 추가생산 예정

* 효성첨단소재에서 생산하고 있는 2,000톤은 대부분 수출하고 있으며, `20년부터 추가 증설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국내에 공급할 예정

- 일본 도레이 자회사인 도레이첨단소재(구 도레이새한)는 `13년 2,200톤 규모로 생산을 시작하였고, `14년 2,500톤 생산규모의 시설 증설

ㅇ 국내에서는 연간 약 3,460톤을 소비(`17년)하고, 이중 2,700톤을 해외에서 수입하며, 일본으로부터 전체 수입량의 33%인 900톤을 수입

* 760톤은 국내 생산업체(도레이첨단소재 710톤, 효성 50톤)에서 공급

<국내 탄소섬유의 시장규모 현황(‘17년 기준)>

ㅇ `17년 기준, 국내 프리프레그 생산능력은 1,458만㎡으로 생산량 900만㎡, 국내 수요량은 1,028만㎡에 이르고 있음

- 프리프레그의 생산능력은 SK케미칼이 600만㎡으로 가장 크며, 한국카본 378만㎡, TB카본 360만㎡, 기타 120만㎡ 등의 순임

- ‘17년 기준으로 프리프레그 수입량은 941만㎡, 수출량은 813만㎡임

(8)

< 탄소섬유 국내생태계 >

□ 세계시장 현황

ㅇ `18년 세계 탄소섬유 시장규모는 77,000톤이며, 일본 3社(도레이, 미쓰비시 레이온, 도호)가 전체 시장의 약 60% 점유

* 시장규모(만톤) : (’17년) 7 → (’18년) 7.7 → (’19년e) 8.5

* 점유율(’18년) : 1위 도레이(31%), 2위 미쯔비시(18%), 3위 도호(8%)

- 탄소섬유 시장은 `16년 28.7억달러이며, `26년까지 연평균 10.8% 성장률, 80억달러로 확대 전망

-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시장은 `15년 38.6억달러이며 `16년부터 `21년까지 연평균 11% 성장하여 `21년 72억달러로 확대 예상

* 자료 : 화섬정보(원자료 : MarketsandMarkets 2016)

ㅇ `16년 탄소섬유 복합재료 수요량은 126,700톤이며, 응용제품별로 우주항공 30%, 자동차 22%, 풍력 13%, 스포츠 레저 12%, 건설 5% 차지(중량기준)

- `16년 시장규모는 19.3 Bil.$(21조6000억원)이며, 분야별로 우주항공 60%(11.66 Bil.$), 자동차 13%(2.42Bil.$), 풍력 8%(1.59Bil.$), 스포츠&레저 7%(1.36 Bil.$), 건설 2%(0.44Bil.$) 순임

(9)

ㅇ 중국은 최근 연간 200톤 이상 양산하는 업체가 10여개로 증가했으며, 상위 3~4개 업체는 해외 수출도 진행

- Zhongfu shenying carbon fiber, Zhong An Xin은 국내 기술력에 근접 - 상위 5개 기업은 생산량 확대를 위해 최근 생산능력을 1,000~2,000톤으로 증설 ㅇ Toray, Toho Tenax, Mitsubishi Rayon, SGL, Hexel 등 선두 기업들은

프리프레그, 장섬유 또는 단섬유 펠렛, 복합재료 성형 등 전방산업으로 사업을 확장

- BMW는 탄소섬유 복합재료 부품 성형분야에 진출하는 등 자동차 업계는 후방산업으로 사업을 확장

* 탄소섬유는 대부분 수요업체에 직접 공급하는 형태로 중간에 유통 상사, 대리점이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아 단순한 유통구조임

□ 기술개발 동향

ㅇ 고성능 탄소섬유의 강도와 탄성률은 프리커서 섬유의 조성, 구조, 순도, 형태 균일성에 크게 의존하며, 안정화, 탄화, 흑연화 공정의 클린화, 사도관리, 연신배율, 온도관리, 표면처리 등 공정요소에 따라 변화

ㅇ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탄소섬유는 T300과 T700급이며, 일본 Toray와 미국 Hexcel사는 인장강도 6GPa 이상, 인장탄성률 600GPa 이상의 우주항공․

국방용으로 초고강도 탄소섬유를 개발하여 출시함

ㅇ 최근 가격 민감도가 높은 자동차, 스포츠레저, 전자전기 제품, 에너지 분야의 대량 수요시장을 타깃으로 저가 탄소섬유 개발에 주력

- 특히, 자동차 연비규제에 따른 탄소섬유 신규 수요가 현재의 생산능력 만 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국, 일본, EU 등은 기술개발에 적극적 으로 투자

ㅇ 탄소섬유의 원가 구성은 프리커서 섬유 45~50%, 제조공정 40%, 기타 10~15%를 차지

- 탄소수율이 높고 저렴한 프리커서 섬유, 제조 라인 당 생산량과 수율, 설비 투자비가 원가 혁신을 위한 기술개발 대상

(10)

□ 국내 탄소섬유산업의 주요 현안

ㅇ 국내 탄소섬유 부품 업체들의 해외 이전으로 인한 수요업체 감소, 자동차 부품용 시장의 수요 부진, 항공우주·에너지 분야의 시장 진 출 부재 등 으로 시장이 정체상태임

- `90년 이후 중국의 탄소섬유 시장의 수요 확대로 국내 부품업체의 중국 이전으로 국내 스포츠·레져용 탄소섬유 수요업체는 20~30여 개로 감소 - 탄소섬유는 우수한 물성에도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자동차 산업에서는

양산형 자동차 부품에 적용하기 어려움

- 국내 항공우주·풍력에너지 산업의 미활성화로 탄소섬유 소재 및 연관 업체들의 수가 적고, 규모도 작아 산업의 생태계가 열악함

ㅇ 탄소섬유 기술수준은 일본의 70% 수준으로 매우 열악하고, 중국과의 기술 격차도 2~3년에 불과해 추격당할 위기

- 일본과의 기술격차는 약 10년 이상으로 분석되고, 탄소섬유 및 프리프레그 등에 대한 독자적인 기술개발 및 노하우 축적 부족

* 효성과 태광산업에서 ‘탄소밸리구축사업’을 통해 T700급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일본 도레이사는 T1100급 개발 성공

- 탄소 복합재료 설계, 성형, 가공 등의 전 분야에서 기술수준이 취약하고, 다양한 공정기술력 확보도 미흡하여 공정 시간단축 등 생산성 향상에 애로

* RTM 공정의 경우 현재 성형시간이 5분이나, 최소 2분 이내로 단축하여야 자동차 부품용 양산 등에 활용 가능

3. 아라미드 섬유

□ 개요

ㅇ 아라미드 섬유는 미국연방통상위원회가 지방족 폴리아미드인 일반 나일론과 구별하기 위해 `74년 방향족 폴리아미드에 명명한 것에서부터 시작됨

* Aromatic Polyamide(방향족 폴리아미드)를 Aramid(아라미드)로 명명

ㅇ 아라미드 섬유는 고강력, 고탄성률을 특성으로 하는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와 내열성, 난연성을 특성으로 하는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로 구분

(11)

- 파라계는 로프, 네트, 성토보강, 소방복, 방호복 등에 사용되며, 메타계는 소방복, 방호복, 백필터, 전기절연재 등에 활용

ㅇ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제조는 액정방사법, 고온 고배율 연신법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Dupont과 AKZO는 액정방사, Teijin은 고온 고배율 연신법임 - 액정방사법은 방사원액에 온도를 가하면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성질인

액정성을 지닌 상태에서 방사를 진행하는 방식임

- 고온 고배율 연신법은 범용 폴리에스터 섬유와 동일한 방사공정을 거친 후, 500℃ 전후에서 고배율 연신하여 강도 28g/de의 고성능 아라미드를 생산

* 고온 고배율 연신 전의 강도는 최고 2g/de 수준임

ㅇ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는 액중합 건식방사의 조합, 계면중합 습식방사의 조합의 두 방식으로 제조되며, 연신배율, 열처리조건을 변경함으로써 각종 용도에 대응한 섬유를 만들 수 있음

- Dupont의 “Nomex®”는 용액중합 건식방사, Teijin의 “Conex®”는 계면중합 습식방사로 각각 제조되며, 분자구조는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이지만 제법에 따라 약간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음

□ 주요 제조사별 개발 현황 (1) 파라계 아라미드

ㅇ DuPont은 `65년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를 개발하여 `72년 상표명 “Kevlar®”

를 생산판매함

-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의 세계 최대기업인 DuPont은 `93년 스페인에 신공장을 건설하는 등 향후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를 확대

ㅇ `86년에는 네덜란드 AKZO사가 “Twaron®”을, `87년에는 Teijin이 공중합형 아라미드 섬유인 “Technora®”의 생산판매를 시작함

- 이후 Teijin은 AKZO사를 인수하여 자회사인 Teijin Aramid에서는 “Twaron®”, 일본에서는 “Technora®”, 2종류의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를 생산판매하고 있음

(12)

ㅇ 그 외에 독일의 Hoechst, 한국의 Kolon 등도 자체기술을 개발하여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세계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의 생산능력은 연간 7만3,500톤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ㅇ 미국의 DuPont, 일본의 Teijin 양사는 설비능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고, 한국과 중국 기업이 신규 참여하고 있으나 규모 및 기술개발 면에서 선두 업체와는 상당한 격차가 있음

(2) 메타계 아라미드

ㅇ `67년 미국 DuPont이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인 “NomexⓇ”를 시장에 출시하면서 아라미드 섬유가 시장에 처음 등장

ㅇ `71년 일본 Teijin이 독자 기술로 "Conex®", 그 뒤를 이어 Unitika도

“Appiel®”란 상표명으로 생산판매함

ㅇ 구소련에서도 “페니론”이란 이름으로 출시되었고, 최근에는 중국, 한국 등에서도 생산되고 있음

□ 국내시장 현황 및 기술수준

ㅇ (파라계 아라미드) 생산규모는 7,500톤으로 세계생산량인 57,000톤의 13%

수준이며, 연간 1,700톤의 국내 수요가 있음

- 코오롱, 효성, 듀퐁, 데이진 등이 공급경쟁 중이며, 코오롱(40%), 효성

(10%), 듀퐁(25%), 데이진(20%), 기타(5%)가 시장을 점유

- 자동차부품, 안전복 산업 등에서 수요가 있으며, 주요 수요기업은 화승 알앤에이㈜, 보우㈜ 등임

ㅇ (메타계 아라미드) 생산규모는 3,600톤으로 세계생산량인 28,000톤의 13%

수준이며, 연간 1,000톤의 국내 수요가 있음

- 휴비스, 도레이, 듀퐁, 얀타이 등이 공급경쟁 중이며, 휴비스(35%), 도레이

(25%), 듀퐁(25%), 얀타이(10%), 기타(5%)가 시장을 점유

- 집진필터 제조, 안전용품 산업 등에서 수요가 있으며, 주요 수요기업은 크린앤사이언스㈜, 진양에스엔피㈜ 등임

(13)

ㅇ `18년 기준으로 국내 아라미드 섬유 수입규모는 파라계와 메타계를 합쳐 약 21백만불임

ㅇ 미국ㆍ일본 대비 국내 아라미드 섬유 기술력은 약 75% 수준임

*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관련 해양융복합섬유산업육성사업 (‘15~’21, 국비 421억원),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관련으로 안전보호융복합섬유산업육성사업 (‘19~’23, 국비 295억원) 추진중

□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ㅇ (파라계 아라미드) 세계 시장규모는 `06년 4.2만톤에서 `18년에는 5.7만톤 으로 확대되어 급성장 중임

- `15년 기준 생산능력은 Dupont(48.5%), Teijin(39.5%)이 점유율 88%를 차지하며, 한국의 코오롱, 효성, 휴비스 및 중국의 얀타이는 시장진입 단계임

ㅇ (메타계 아라미드) 세계 시장규모는 `15년 2.8만톤 규모이며, 생산능력은

`13년 기준 3만4,000톤 이상임

ㅇ 에너지·자원 절약, 안전, 환경 등에 대한 의식이 세계적으로 고조됨에 따라 아라미드 섬유의 수요는 확대 추세

-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는 리먼사태 이후인 `09년에는 일시적으로 수요가 주춤했으나, `10년부터 연평균 성장률 7∼9%의 성장을 지속

-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는 매년 8% 이상 성장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제품군 으로 국내 업체도 점차 Global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기대됨

< 아라미드 섬유의 국내외 시장현황 >

구분 주요 제조기업 시장규모(천톤)

국외 국내 세계생산 국내수요 국내생산

파라계 듀퐁(미), 데이진(일) 코오롱, 효성,

태광산업 57 1.7 7.5

메타계 듀퐁(미), 데이진(일) 휴비스, 도레이첨단소재 28 1.0 3.6

(14)

□ 활용 분야

(1) 파라계 아라미드

ㅇ (섬유 자체) 로프·네트, 공사용 로프, 성토보강의 토목 건축용 등 산업자재 및 방탄조끼, 방검의류, 내절창장갑, 소방복 등 방호의류에 활용

- 권축가공을 실시하여 Stretch性· Wooly性을 부여하여 촉감과 착용감을 양호하게 한 방호의류 제품이 출시

- 프린트기판용으로도 사용되어 휴대전화의 소형·경량화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알루미늄 압출성형용 등에 사용되는 내열 필터에도 활용되고 있음

ㅇ (보강용 섬유) 광섬유의 보강재, 브레이크패드 마찰재, 가스킷, 타이어코드, 벨트, 호스 등의 고무 보강재에 이어 플라스틱 보강재(Fiber reinforced plastics), 콘크리트 보강재(Fiber reinforced composite) 등으로 활용

- 광섬유의 고무 보강재(Tension Member) 용도는 IT化의 진전으로 급속히 확대 - 브레이크 패드와 같은 마찰재나 개스킷은 기존의 석면대체용으로 펄프

상태의 아라미드가 사용됨

- 내진 시트 등은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활용

* 안전의식이 높아지고, 비자성을 띄고 있다는 점, 복잡한 성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수요확대가 기대되는 분야

(2) 메타계 아라미드

ㅇ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의 용도는 크게 산업자재와 의류·침장·인테리어 분야로 나눌 수 있음

ㅇ (산업자재) 직물 또는 Felt로 Bag Filter, Dryer Canvas, Laundry Cloth, OA機 Cleaner, 전기절연재, Speaker Cone 등과 단섬유는 V벨트, Hose, 마찰재, Seal材, 플라스틱보강 등의 보강재 용도 등이 주류를 이룸

- Bag Filter는 아스팔트 플랜트, 고로(高爐), 시멘트공장, 쓰레기소각로 등 에서 열풍을 처리하는 고도의 내열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음

* 다이옥신 배출감소 대책의 일환으로 고온 소각이 필요해짐에 따라, 내열성이 높은 Filter 수요가 증가해 쓰레기 소각로용 아라미드 섬유의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

(15)

ㅇ (의류·침장) 내열성·방염성·차열성의 특징을 살려 소방, 경찰, 방위관계의 구조복, 항공복, 집무복 또는 자치체 등의 방염복에 채용되고 있음

- 고온에서 뿐만 아니라 저온에서도 섬유의 특징을 유지하여 방한복, 속옷 등의 소재로도 사용되고 있음

- 상대적으로 고가이지만 안전성이 중시되는 항공기에 사용하는 담요 등 에도 사용

< 아라미드 섬유의 응용분야 >

분 야 용 도

플라스틱 보강재 열경화성 항공기 부품, 스포츠 용품, 산업기기 부품, 압력 용기 열가소성 윤활 부품, 사무기 부품

시멘트 보강재 건축재 커튼 윌, 바닥재, 천정재 토목재 파이프, 철근 대체재

고무 보강재

타이어 승용차 타이어, 트럭 타이어, 레이싱 타이어 벨트 무단변속벨트, 타이밍벨트, V벨트, 컨베이어벨트 호스 고압 호스, 스팀 호스

일반 산업자재

로프, 케이블 석유 리그 계류색(繫留索), 행커 로프, 안테나 스테이 코드 재봉사, 낚시 줄, 테니스 줄, 히터선 코드

직(織)벨트 내열 벨트, 슬링 벨트 범포(帆布) 막 구조체, 요트 셀 필터 내열 필터, 내산 필터

방호복

방탄복 방탄조끼, 헬멧

내절창의 안전 장갑, 앞치마, 바지, 등산화 방융복 내 스퍼터옷, 라이더 suit

석면 대체

마찰재 브레이크 패드, 클러치, 페이싱

개스킷 엔진 개스킷

패킹 글랜드 패킹

동 보고서와 관련하여 정보공유, 의견제안 또는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산업지원본부 성장지원실 김유창 ✉

yckim@kofoti.or.kr

☏ 02) 528-4025

참조

관련 문서

피브로인 미세구에서 β-sheet 구조가 형성되어 실크섬유같 은 결정성이 회복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동결건조된 피 브로인 수용액과 피브로인 미세구 그리고 실크 섬유 분말의

Keywords: basalt fiber,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fibers array direction, basalt fibers-reinforced

본 연구에서는 천연고분자인 실크 피브로인을 이용한 조직 공학용 3차원 다공성 나노 섬유 지지체를 전기방사법을 통하 여 제조하였으며,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사

안정화 섬유 및 탄소섬유의 기계적 특성 분석을 위해 mechanical tester for a single fiber (FAVIMAT+, Textechno, Germany) 를 통해 인장강도, 탄성률 및 신율 등을

PAN 용액 으로부터 제조된 활성나노탄소섬유는 KOH 활성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섬유 직경이 감소하였으며, 표면의 산소 관능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질소 흡착에

- 일본은 산지 중소 섬유제조업자들의 자립화 등을 위한 산업경쟁력 강화정책 추진과 함께 고성능·고기능성 섬유, 나노섬유 등 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 개발을 더욱

처리 단계에서는 폴리에스터와 같이 단일 섬유로 제작된 제품을 섬유 원료로 재사용 및 재활용 하여 환류시키거나 이 외에 섬유 특성에 맞게 매립하거나 소각 하는

산업용 산업용 이더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