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목 : 아프리카 신흥시장 네트워크 회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목 : 아프리카 신흥시장 네트워크 회의"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목 : 아프리카 신흥시장 네트워크 회의

◇ OECD 개발센터는 2017.10.5. 아프리카 신흥시장 네트워크(EMnet*) 회의를 개최하여 아프리카의 △산업화 전략, △생산성 제고, △녹색 산업화, △성장 엔진으로서 기업가 정신, △인프라 투자, △디지털 시대의 시장 접근 등 산업화 주제와 관련 다양한 이슈를 논의

* 신흥시장 네트워크(Emerging Markets Network, EMnet)는 민간부문과 신흥시장에 초점을 맞춘 OECD 개발센터의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정책 과제, 경제 동향 및 비즈니스 전략을 위 한 대화와 분석을 촉진

◇ 아프리카 국가의 절반 이상이 산업화 전략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 프리카연합(AU) 어젠다 2063에서도 산업화가 강조되고 있어 향후 아프리카 국가들이 글로벌 가치 사슬(Global Value Chain)에 편입하기 위해 민간 부문과의 협력을 통한 산업화를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

◇ 아프리카 산업화 전략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민간 부문과의 협력을 통해 △기업 및 투자 환경 개선, △인프라 확충,

△다양한 금융 수단 마련, △아프리카 비교우위 분야의 산업화 촉 진, △높은 기업가정신 잠재력 활용, △기술인력 양성 등을 강조

1. 환영사(Pierre Duquesne 개발센터 운영이사회 의장)

ㅇ 2017년 아프리카의 경제는 GDP 3.6% 성장이 예상되는 등 견 고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많은 도전과제가 남아 있음.

특히, 아프리카 지역 54% 이상이 빈곤층으로 포용적 성장

(2)

(inclusive growth)이 요구되고 있음.

ㅇ 아프리카에서 많은 국가가 산업화 전략을 수립하여 민간 부 문과 협력 확대를 통한 글로벌 가치 사슬 편입 및 미래지향적 인 고부가가치산업 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 울이고 있음.

ㅇ 이러한 맥락에서 산업화는 아프리카연합(AU)의 어젠다 2063 에서도 강조되고 있는 바, OECD는 아프리카의 효과적인 산업 화 추진을 위한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예정임.

2. 기조연설(Daniel Kablan Dunca 코트디부아르 부통령)

ㅇ 코트디부아르 경제는 고성장을 지속하며 섹터 및 인프라 개 혁을 가속화하고 있음. 특히 민간부문이 산업화 촉진에 견인 자(driver)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업 친화적 환경(business friendly environment)을 조성하고 있음.

ㅇ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코트디부아르는 세계은행이 선정한 세 계 10대 우수 개혁국가로 선정되었으며 미국의 해외원조 기금 인 밀레니엄 챌린지 코퍼레이션(Millennium Challenge Corporation)의 지원을 받고 있음.

ㅇ 또한 2016-2020 국가발전계획을 통해 포용적인 성장을 위한 좋은 거버넌스, 산업화를 위한 구조 개혁, 국민 삶의 질 향상 및 세계화의 혜택 확산 등을 추진하고 있음.

3. Session 1 : 산업화의 새로운 물결, 아프리카를 위한 게임 체인져 ?

(3)

ㅇ 아프리카의 경제성장은 2016년 2.2%에서 2017년 3.6%로 높아 짐. 아프리카 정부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업과 투자 환경 개선을 추진하고 있음. 또한 외부 충격에 대한 복원력 (resilience) 향상 및 낮은 상품가격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의 재발 방지를 위해 경제적 다양화(economic diversification)를 촉진하고 천연자원 의존도를 낮추려고 노력하고 있음.

ㅇ 아프리카 정부의 절반 이상 개발 정책에 산업화 전략을 반영 하고 있음. 자원기반 경제에서 소비재, 섬유 등보다 생산적인 제조업으로 전환해 나가고 있음.

ㅇ 특히 산업화는 아프리카 연합(AU)의 어젠다 2063의 핵심요소 로 아프리카 지역에 가속화되고 있음. 중요한 것은 아프리카 의 산업화가 전통적인 제조업에만 의존하지 않고 서비스 산업 및 녹색 기술 등 고부가가치(higher value-added) 산업을 목표 로 나아가야 함.

4. Session 2 : 아프리카 산업화를 위한 생산성 문제 해결

ㅇ 아프리카 산업화 전략은 아프리카가 비교우위(comparative advantage)를 가지고 있는 분야를 식별해 나갈 필요가 있음.

이러한 맥락에서 경쟁력과 민간부문 개발을 저해하는 생산성 문제를 해결해야 함.

ㅇ 경쟁력 있는 산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아프리카 지역 전체 의 인프라 개발을 촉진해야 함. 통계에 따르면 아프리카 인프 라 부족만으로도 기업의 생산성을 40%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 타남.

(4)

ㅇ 또한 산업화에 필요한 기술 부족도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있 음. 아울러 새로운 기술개발이 제조업에서의 저렴한 노동력을 감소시키고 보다 숙련된 노동력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음.

ㅇ 생산성 향상에 필요한 인프라와 기술은 공공 및 민간 투자를 위한 적절한 자금의 조달이 가능할 때 향상될 수 있음. 아프 리카의 금융시장은 과거에 비해 많이 개선되었으나 아직도 작 고 비유동적인 상황임.

5. Session 3 : 녹색 산업화

ㅇ 아프리카의 새로운 산업화는 경제의 방향을 탐색하고 채택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임. 특히 SDG와 파리기후협정은 녹색 산업 화를 추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ㅇ 천연자원과 주요 원자재가 아프리카의 주요 수입이나 최근 원자재의 가격의 하락은 경제적 다양화를 촉진하고 있음. 이 러한 맥락에서 아프리카 정부는 환경을 보전하면서 장기적 성 장과 사회 통합의 관점에서 녹색성장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음.

6. Session 4 : 산업화의 엔진으로서 기업가정신

ㅇ 아프리카 근로연령에 있는 22%가 신규 사업을 시작하고 있는 등 강한 기업가정신을 갖고 있음. 통계에 따르면 근로인구의 11%가 창업을 하였으며 이러한 비율은 중남미(8%), 아시아 (5%) 지역의 개도국 보다 높은 수치임.

ㅇ 하지만, 기업가정신의 잠재력을 저해하는 도전과제가 많음.

(5)

기업가를 위한 금융접근이 제한되어 있고 기업가에 대한 기술 교육이 부족한 상황임.

ㅇ 아프리카 정부는 비즈니스 클러스터(business clusters) 촉진을 통해 기업가정신을 지원할 수 있음. 클러스터를 통해 아이디 어를 교환하고 기술과 혁신을 도모할 수 있음. 클러스터 내 기업가들은 인프라를 공유하고 더 큰 규모의 노동력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더 큰 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는 혜택을 누릴 수 있음.

7. Session 5 : 인프라 투자

ㅇ 아프리카 정부는 기업 운영비용을 낮추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기, 교통, 정보, ICT 분야에서의 인프라 적자를 해 결해야 함. 아프리카의 인프라 격차(gap)는 연간 약 500억 이 상으로 추정되며 인구증가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그 압력이 증가하고 있음.

ㅇ 민간 부문은 인프라 투자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

민간부분을 포함하여 다양한 금융수단을 마련해야 함. 사모펀 드거래(private equity deals) 등을 통해 인프라 프로젝트를 위 한 금융도구(financial instrument)를 제공할 수 있음.

ㅇ 아프리카 정부는 인프라 프로젝트에 민간부문의 참여를 촉진 할 수 있는 제도적 프레임워크(institutional framework)를 제공 해 함. 이를 위해 조세시스템, 금융시장 및 민관파트너십 규제 개선 그리고 투명한 입찰 절차 마련 등이 필요함.

8. Session 6 : 디지털 시대의 시장접근

(6)

ㅇ 디지털 인프라와 모바일 기술은 아프리카 비즈니스를 변화시 키면서 지리적 위치를 넘어 보다 넓은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 록 돕고 있음. 통계에 따르면 아프리카에서 인구와 GDP가 가 장 큰 나이지리아의 경우 인터넷 사용인구의 2/3가 온라인 거 래를 경험하였음. 하지만 아직도 아프리카 지역 인구의 29.3%

만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아시아(42%), 유럽(76%) 보다 매우 낮은 수치임.

ㅇ 아프리카의 온라인 비즈니스 및 모바일 결재 시스템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음. 이러한 디지털 시대에서 아프리카의 성장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인터넷 인프라 확충, 정보 및 커뮤니케이션 기술 개발 및 확산이 필요함.

※ 작성자: 김준모 차장(원소속: KOICA), jmkim@koica.go.kr

참조

관련 문서

전력화는 산업과 깨끗한 물(위생), 농업(식량)을 위한 첫 번째 사다리 남 아프리카 전략시장: 남아공. 남아공의

Pizza 도 중국시장에의 진출을 통해 매장확대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는 추세에 있음(지역별 특수화, 고급화, 철저한 현지화

커피는 아프리카의 많은 농가에서 중요한 환금작물이지만 아프리카 전체의 커피 생 산량은 감소하고 있다. 현재는 아프리카 여러 국가의 경제에서 차지하는 커피 산업의

q 선진국에서는 주로 산발적으로 발생하는데 동물 처리업자나 수의사등에서 발생. q 감염동물이 많은 남아메리카, 아시아, 동유럽,

• 외교국제협력부 장관 (Ministre des Affaires Etrang ères et de la Coopération Internationale). • 아프리카

전력생산 분야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파키스탄 정부는 풍부한 자원을 바탕 으로 한 값싼 수력사업을 선호하고 있으며, 또한 전력 생산분야의 빠른 성장을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 기반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ICT 스타트업 창업생태계 주요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북부 아프리카 지역 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