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획특집: 생활화학 시장동향] 미용기능식품 시장동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기획특집: 생활화학 시장동향] 미용기능식품 시장동향"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서 론

1)

최근에 전 세계를 비롯한 국내에서는 이너뷰티 (Inner Beauty) 열풍이 불고 있다. 이너뷰티는 “건 강한 아름다움은 곧 몸속에서부터 시작된다”의 뜻 을 가지고 있는 이른바 “내면(Inner)의 아름다움 (Beauty)을 위한 식품”, “먹는 화장품”으로, 기존 의 바르는 화장품처럼 피부 겉만 일시적으로 좋게 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습관 및 식습관을 개선하 여 근본적인 피부 문제, 비만을 해결하는 것을 의 미한다. 대표적인 제품군으로는 히알루론산(피부 속 수준을 유지시켜 주는 성분), 콜라겐(피부 탄력 과 노화방지에 효과적인 성분) 및 비타민을 포함 하는 제품, 디톡스 주스 등이 있다.

저자(E-mail: ph7@abnc.co.kr)

이너뷰티는 미용기능식품(Nutricosmetics)으로 불리며, 외부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는 아우터 뉴트 리션(Outer Nutrition)에 반대되는 이너 뉴트리션 (Inner Nutri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화장품 과 식품의 중간 형태로 이너뷰티 개념이 등장하였 다. 유사한 개념으로 의약 화장품(Cosmeceuticals) 은 화장품과 의약품의 중간 개념인 바르는 화장 품, 즉 의약품의 치료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주 로 피부재생 기능 화장품 등이 있다. 피부건강식 품(Nutraceuticals)은 식품과 의약품의 교차영역으 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의학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식품이나 음료를 말한다.

따라서 본 기획에선 건강기능식품의 제한된 시 장이 아닌 이른바 미용음료 등을 포함하는 이너뷰 티 시장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겠다. 최근 이너뷰 티 시장에서 정제, 캡슐, 음료, 워터젤리 등과 같이

미용기능식품 시장동향

심 봉 섭1⋅이 봉 진2,†

1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2(주)ABNC

Market Trends for Nutricosmetics

Bong Sup Shim1 and Bongjin Lee2,†

1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100 Inha-ro, Michuhol-gu, Incheon 22212, Republic of Korea

2ABNC Inc, 8, Teheran-ro 21-gil, Gangnam-gu, Seoul 06132, Republic of Korea

Abstract: 미용기능식품은 최근 이너뷰티식품으로도 일컬어지며, 일시적이고 인위적인 방법이 아닌 음식 섭취를 통해 건강과 아름다움을 가꿀 수 있는 식품이다. 기존에 이너뷰티식품은 건강기능식품 중 하나로 인식되었으나 천연재료의 미용효과를 강조한 다양한 식품들이 출시되면서 점차 이너뷰티 식품군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자생식 물과 약용식물을 함유한 건강즙, 디톡스음료, 착즙 주스 등의 제품이 항산화 및 피부건강과 같은 마케팅 진행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너뷰티식품 기업 대부분이 안정적인 매출과 인지도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 대체적으로 중견기업 이상의 기업들이 점유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인지도가 낮은 브랜드들은 적극적인 수출활동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이너뷰티식품의 카테고리가 다양화되고 타깃 소비층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제품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을 통해 시장을 확대해가는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기고에서는 이러한 이너뷰티제품의 소재 및 연구방향, 시장동향들을 소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이너뷰티식품이 향후 발전해 나아갈 방 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inner beauty, nutricosmetic, healthy, food, functional food

(2)

다양한 형태의 식품이 선보이고 있지만, 세부 카 테고리별 시장을 세분화하지 않고 제형 차이에 따 른 미용음료를 중심으로 이너뷰티 시장을 검토하 고자 한다.

식품공전에 따르면 음료류는 다류, 커피, 과일

⋅채소류, 탄산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홍삼⋅

인삼음료, 기타음료로 분류하는데 일부 품목은 소 비시장에서 보는 음료류 범위와 식품공전 상의 음 료류 범위가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이렇듯 최근에 기능성을 지닌 식품 및 제품들이 다양화되면서 그 범위가 모호해지고 공통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므로, 미래 기능성 식품의 연구 및 시장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2. 시장동향

2.1. 국내외 시장 동향 2.1.1. 해외 시장 동향

세계 시장에서 볼 때 이너뷰티제품의 지역별 시

구분 내용

토우큐피

∙ 건강식품 및 화장품 생산기업으로 통신판매를 위주로 함.

∙ 화장품과 이너뷰티식품을 연계하여 마케팅 효과를 높임.

∙ 미용부문 기능성표시식품의 경우 주 고객층이 60대 전후이나, 향후 젊은 층 여성을 겨냥한 제품 출시 및 마케팅 고려

DHC ∙ 천연화장품 통신판매 전문업체로 시작해 건강기능식품 분야에도 진출

‘같은 품질의 저렴한 제품, 같은 가격의 고품질 제품’이라는 컨셉으로 제품 판매 시세이도 ∙ 일본의 주요 화장품기업으로 이너뷰티 식품부문에도 진출해 다양한 제품을 출시

‘베네피크’브랜드로 이너뷰티식품을 런칭

판클 ∙ 화장품 및 건강식품 전문기업, 고품질 저가격 컨셉으로 제공

∙ 자사 쇼핑몰, 직영매장, 드럭스토어, 편의점 등에서 판매 오르비스 ∙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기업

∙ 전국 각지에 자체매장을 오픈해 오프라인 판매 확대 아이시토토 ∙ 화장품, 건강식품, 속옷 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통신판매기업

∙ 피부미용식품 ‘수분선언’은 7년 연속 일본 최고 매출

메이지 ∙ 일본의 대표적 식품기업으로 ‘아미노콜라겐’브랜드 하에 다양한 콜라겐 제품 출시

∙ 먹는 콜라겐을 도입한 선두업체로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뷰티 콜라겐으로 선정 이토엔 ∙ 일본 최대 녹차 유통업체로, 차 생산 및 유통 전문 음료기업

2014년 블루베리&아사이 믹스 등 음료 출시 카고메 ∙ 조미료를 포함한 식품 및 과채 판매기업

2015년 보존료, 착색료 등 인공물질을 무첨가한 100% 과채 스무디 미용음료 브랜드 ‘GREENS’ 출시 출처: “주요국 이너뷰티제품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7) 재구성.

Table 1. 일본 주요 이너뷰티식품 제조기업

출처: 김교남, 먹는 화장품 ‘이너뷰티’, 전력전자학회지 (2018).

Figure 1. 이너뷰티식품의 범위.

출처: “주요국 이너뷰티제품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한국농수산식 품유통공사 (2017).

Figure 2. 일본 주요 이너뷰티제품 라인별 구성.

(3)

장점유율은 아시아태평양 국가가 특히 높은 데, 이는 미용에 대한 관심과 이너뷰티제품 안전도 및 효과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북미 지역은 제품 및 마케팅 규제가 엄격하고 소 비자의 제품 인식이 낮아 시장성장세가 크지 않 고, 태국 등 동남아시아 시장이 최근 급부상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17년 이너뷰티 관련 시장규모가 1,000억 엔(약 1조원)으로 추정되는데, 건강관리 에 민감한 중장년 사이에서 음식을 토대로 미용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관련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주로 40대 이상의 여성이 구매하며, 해외 브

랜드보단 자국 기업 제품이 일본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 업체들이 이너뷰티 식품을 많이 생산하였으나, 2000년 이후에는 화장 품기업들이 미용의 컨셉으로 이너뷰티제품을 출 시하였고, 이후 일반 식품기업과 제약회사가 관련 제품을 런칭하여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야노경제연구소에서 2017년 발표한 “건강식품 시장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제형은 정제, 음료, 스틱형 젤리, 파우더 등 다양화되고, 콜라겐, 히알 루론산, 세라마이드 등 원료가 사용되고, 태반, 아 사이베리 등 안티에이징 제품이 증가하고 있다.

이너뷰티식품은 일반식품(기능성표시 불가능)과

구분 내용

∙ 제조사 : 후쿠미츠야

∙ 제품명 : 아미노리세폴리세 발효 미용음료

∙ 특징

- 일본의 대표적인 주조기업으로 직접 개발한 쌀발효추출물(FRE-01)을 주성분으로 함.

- 일본산 쌀만을 사용

∙ 제조사 : 시세이도

∙ 제품명 : 퓨어화이트 음료

∙ 특징

- 구기자 열매와 야자, 율무, 국화 베이스

- 자외선 노출이 많고 비타민 C가 부족한 사람을 타깃으로 함.

∙ 제조사 : 오르비스

∙ 제품명 : 쌀의 세라마이드

∙ 특징

- 세라마이드 함유 쌀 추출물, 전분, 배아추출물, 술지게미발효추출물 함유 - 곡물 베이스의 제품이라 맛과 향에 거부감이 없다는 평

∙ 제조사 : 시세이도

∙ 제품명 : 장수풀음료

∙ 특징

- 장수풀을 주원료 클로로겐산, 루틴 등의 폴리페놀과 식이섬유, 정제꿀, 비타민 C 포함 - 녹즙보다 우수한 ‘완벽한 녹즙의 대체재’로 마케팅

- 자연식품을 원료로 사용한다는 증거로 제품마다 색상과 맛에 편차가 있다는 점을 강조

∙ 제조사 : 판클

∙ 제품명 : 뷰티 그린

∙ 특징

- 에히메, 나가노 등 계약농가에서 미네랄농법으로 재배된 자국산 케일 사용

- 콜라겐, 세라마이드, 감귤에서 추출한 헤스페리딘 성분을 포함해 이너뷰티 기능을 높임.

∙ 제조사 : DHC

∙ 제품명 : 콜라겐뷰티 7000 플러스

∙ 특징

- 저분자 피쉬콜라겐 7,000 mg에 콜라겐 합성을 돕는 비타민 C 배합 - 히알루론산, 시트롤린 등 성분 포함

-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

출처: 주요국 이너뷰티식품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농림축산식품부 (2017) 재구성.

Table 2. 일본 주요 미용음료 현황

(4)

보건기능식품(기능성표시 가능)으로 구분하는데, 기능성식품을 엄격히 관리하는 일본 규제에 따라 간접적으로 기능성을 표현하는 일반식품이 주류 이다. 일본의 일반식품은 유통할 때 식품의 기능 성을 표기할 수 없어 ‘아름다움을 위한 성분이 꽉 차 있다.’, ‘미용을 위한 스페셜 케어’ 등 문구로 간접적으로 기능을 표현한다.

동일한 브랜드나 제품라인으로 음료, 정제, 파 우더, 젤리 등 다양한 유형의 상품을 구성하여 소 비자가 원하는 제형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2000년대 후반에는 콜라겐, 히알루론산 성분 제 품이 주류였으나 최근에는 태반, 레스베타트롤 등 노화방지 성분이 함유된 제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Table 2에서 일본 주요 미용음료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이너뷰티식품의 강국인 일본에 이 어 최근 급부상하는 동남아시장인 태국을 살펴보 도록 하자.

태국의 이너뷰티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

는 미용보충제와 일반음료품목에 포함되는 미용 기능성 음료로 나누어진다. 2016년 기준으로 태국 의 미용보충제 시장은 약 142억 바트(한화 약 4,677억 원)이고, 미용기능성음료는 약 5억 바트 (한화 약 168억 원) 규모이다. 미용기능성 음료가 성장하고 있는 데 동남아 기후 특성상 음료 수요 가 많고,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기왕 이면 다양한 음료 중에서도 미용성분을 함유하는 음료를 구매하는 패턴이 많고, 젊은 층을 타깃으 로 적극적인 마케팅이 진행되고 있다. 건강기능식 품업체들은 정제형태의 제품을 주로 생산하고, 식 품업체들은 음료 품목을 집중적으로 생산하면서 업계 구분이 뚜렷한 편이다.

태국에서는 이너뷰티식품을 건강보조제의 일종 으로 생각하여 주로 정제, 캡슐 형태로 섭취하는 경향이 많다. 미용음료는 콜라겐 위주로 제품이 출시되고, 파우더/과립형태도 등장하면서 다양한 제형의 제품이 휴대성과 복용편의성에 따라 소비 되고 있다.

구분 내용

콜리콜라겐

2013년 태국 농카이에 설립된 화장품, 보충제 제조업체로 온라인 판매를 통해 성장하여 오프라인 유통채널 확보

SNS 마케팅을 적극 활용하여 성장하였으며, 이후 온/오프라인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사용전후 후기 인 증과 품평회 등을 진행

TC 유니온글로벌 1991년 설립된 회사로 기능성 음료 및 보조식품 연구 제조

∙ 일본, 스위스, 노르웨이 등에서 고급 원료를 조달하여 사용

베르나 ∙ 태국 내 드럭스토어, 뷰티숍, 슈퍼마켓 등 5,500개 이상의 매장에 제품 유통

블랙모어스

1930년 설립된 호주의 자연주의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로 태국 내에서 가장 인기있는 보충제 브랜드로 꼽힘

∙ 태국시장에서 판매되는 이너뷰티제품은 정제형태가 대부분이며, 다소 비싼 편이나 효과가 확실하고 안전한 브랜드로 인정받아 선호도가 높음.

비스트라

∙ 헬스케어 제품 유통회사인 디에스씨신디게이트에서 운영하는 연구센터 브랜드

∙ 블랙모어스와 차별화를 두기 위해 연구개발된 제품의 의학적인 이미지를 내세우며,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 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폭넓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

싱하 ∙ 분로드브루어리의 자회사로, 2001년 대대적인 그룹 재편성 이후 무알콜음료사업에 새롭게 진출

∙ 미용음료 브랜드 ‘B-ING Collagen’ 출시

세페 1973년 설립된 식품기업으로 태국 기능성 음료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음료 생산 및 수출기업

∙ 다수 제품에 할랄인증, 코셔 인증 획득 스코치 1982년 설립된 건강음료 회사

2005년 미인대회 입상자를 CF모델로 내세워 건강한 콜라겐음료의 이미지 확립

팁코 1976년 설립되어 파인애플 통조림 관련 사업에 집중하다가 농축과즙, 음료 생산 및 유통 사업으로 확장 출처: “주요국 이너뷰티제품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7) 재구성.

Table 3. 태국 주요 이너뷰티식품 제조기업

(5)

태국의 이너뷰티제품의 주된 특성 중에 하나가 화이트닝, 안티에이징 기능성에 집중하고 있다. 일 례로 Verena社의 L-Gluta Berry Plus 제품은 원래 흑인이었던 하얗고 예쁜 여자가 백곰이 되고 싶은 흑곰에게 제품을 권하는 스토리로 제품의 화이트 닝 효과를 강조하는 TV 광고를 하는데 하얀 피부 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 커지면서 관련 제품 마케 팅이 활발하다.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태국과 더불어 떠오르는 시장인 말레이시아를 살펴보도록 하자.

말레이시아 기능성 음료시장은 2016년 기준 31 억 링깃(한화 약 8,308억 원) 규모이며, 영양성분 을 강화하는 추세로 미용음료가 계속 출시되고 있 다. 주된 소비자층이 말레이계 여성으로 일부다처 제 이슬람 국가인 말레이시아에서 남편의 애정을 받기 위한 제품으로 마케팅하는 경우가 많다.

자국에서 생산하는 기반이 취약하여 인기가 높 은 이너뷰티식품의 대부분은 해외 브랜드이며, 일

본 키노히미츠 제품이 시장에서 선두 제품으로 평 가된다.

현재 말레이시아 이너뷰티시장에서 주로 판매 되는 제품 형태는 작은 사이즈의 음료 형태이다.

이슬람 국가로서 종교적인 특성으로 원료 사용 에 제한이 많아 주로 피쉬 콜라겐이 소비되고, 할 랄 인증도 제조/유통기업이 고려해야 할 항목이다.

남성 소비자를 고객으로 한 제품이 많이 선보이는 데 말레이시아 남성도 미백, 안티에이징 등에 관 심이 많은 소비자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다.

미국, 유럽 등은 일본 및 동남아 시장과 달리 엄 격한 제품 관리 및 마케팅 규제로 상대적으로 시 장이 활성화되지 못한 편이다. 프랑스 음료회사 SBED社의 미용음료 ‘아무르 보떼 아르모니’

(Amour Beaute Harmonie)는 구기자, 아세로라, 파인애플, 당근, 체리, 키위 등의 추출물과 콜라겐 을 주성분으로 함유해 피부의 보습도 및 탄력을 높이고 주름을 개선해 주는 제품이며, 영국 프로

구분 내용

아우라화이트글로벌

∙ 아우라화이트뷰티로 더 알려져 있음

2013년 설립된 말레이시아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제조업체

∙ 콜라겐 제품 말레이시아 할랄인증 획득

토탈이미지 1984년 설립된 회사로 동남아시아시장에서 뷰티, 슬리밍 기능식품을 개척한 회사 중 하나로 꼽힘.

∙ 드럭스토어를 통해서 제품 판매

아우라 원 리소시스 2011년 설립된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

∙ 천연재료를 기반으로 제조하여 할랄 인증 획득 허벌슈티컬 1995년 설립된 종합 건강기능식품 제조 판매회사

‘BEAUXLIM’은 100% 천연 재료 사용하고 방부제 무첨가

프로짐스 파마슈티컬 1991년 설립된 회사로 프로짐스로 더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식품 보충제를 생산 케이콜리 ∙ 국내외 유명 화장품이나 기능식품을 저가에 판매

∙ 제품명과 포장에 ‘Korean Beauty Secret’문구를 삽입하거나 한국 연예인 사진을 넣어 마케팅에 활용

키노히미츠

1988년 설립된 일본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 제조공장 운영

∙ 콜라겐 제품이 가장 대표적이며, 음료와 파우더 유형으로 출시

∙ 모든 제품에 말레이시아 공식 할랄인증 취득

하이뷰

∙ 건강기능식품, 화장품을 제조하는 싱가포르계 기업으로, 소비자 군이나 제품 특성별로 4개의 브랜드 운영

∙ 말레이시아 주요 드럭스토어 Watsons, Zenith 등 제품 유통

바이란스 ∙ 일본 산토리의 자회사인 영국계 보충제업체 세레보스 보충제 브랜드로 말레이시아에 진출해 미용보 충제 업계에서 인기를 얻음.

블랙모어스 1962년 설립된 호주의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업체로, 말레이시아에는 1976년 진출

∙ 말레이시아에서 판매하는 제품 전부 말레이시아 할랄인증 획득 출처: “주요국 이너뷰티제품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7) 재구성.

Table 4. 말레이시아 주요 이너뷰티식품 제조기업

(6)

틴 드링크社는 유단백, 비타민, 콜라겐 등이 함유 된 미용음료를 출시하였고, 프랑스 Fauchon社는 피부에 보습과 콜라겐을 보호하고 주름과 노화를 방지하는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미국 Inneov社는 자외선 차단과 주름예방, 미백에 효과가 있는

“Collagen Booster Drink”를 판매하고 있다. 브라 질 Beautyin社는 100% 코코넛 오일, 비타민과 콜 라겐이 함유된 제품을 선보이며 남미 시장을 주로 공략하고 있다.

2.1.2. 국내 시장 동향

아모레퍼시픽에서 2002년 국내 처음 이너뷰티 시장을 개척한 뒤 놀라운 성장률을 보이며 초기 화장품기업 중심에서 식품회사, 제약회사 등 다양 한 업종에서 참여하여 기업 및 제품군이 다양해지 고 있다.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제품의 기능성을

부각하는 식품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하다.

화장품업체, 식품업체, 제약업체 등 사실상 업 종간의 벽을 넘어 다양한 이너뷰티제품이 출시되 고 있다. 여러 제형 중 미용음료 형태의 제품을 중 심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이너뷰티 식품의 원료가 대부분 수입산이 많으 나 최근에는 국내산 특산자원을 활용한 제품의 출 시가 늘고 있다. KGC인삼공사 정관장 굿베이스

“홍삼 담은 흑마늘”, 두모드림 B&F “마토초” 등 국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현지 지역 내 농업회사법 인 등을 통해 고객들에게 신토불이 안전 먹거리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국내에서 대표적인 이너뷰티 식품인 CJ제일제 당의 “이너비”의 경우 2015년 중국 최대 전자상거 래 알리바바社 B2C 쇼핑몰 “텐마오”에 런칭하고, 중국 미용용품 사이트 등에 입점하여 수출을 확대

구분 내용

아모레퍼시픽

2002년 비비프로그램 출시(국내 최초 이너뷰티제품 런칭)

2016년 바이탈뷰티로 리뉴얼

∙ 국내 최초 먹는 콜라겐 음료 생산

2018년 갱년기 특화 앰플 ‘자음보액’ 출시

CJ제일제당 2009년 ‘이너비’(히알루론산 주성분 수분보충캡슐) 히트

2016년 국내 최초 중국 시장 진출

LG생활건강 2018년 건강식품기능 브랜드 ‘생활정원’ 리브랜딩(20~30대 타깃으로 다이어트 제품 등 라인업) 종근당건강 2015년 이너뷰티 브랜드 ‘걸크러시’ 런칭

‘락토핏’ 브랜드 유산균 제품군 판매

롯데제과 ‘헬스원’ 통합 건강 브랜드에서 파우치 타입 곤약 젤리 출시

∙ 일반 과자류에도 건강요소를 부각한 건강 지향성 제품 개발

웅진식품 2017년 이너뷰티 쥬스 브랜드 ‘자연은 데일리톡’(자몽/망고 등 젊은 여성 대상으로 다이어트 시장 진출) 한국야쿠르트 2018년 발효유 ‘뷰티플러스’ 출시(특허유산균 상용화)

∙ 어린이 대상 ‘키즈플러스’ 시판 등 타깃별 세분화 전략 푸르밀 2018년 “비피더스 2.0” 출시(마테추출물 함유, 유산균 활용)

KGC 인삼공사 ‘정관장 굿베이스’ 브랜드로 기존 정관장 인삼제품의 고급화 이미지를 활용하여 100% 계약재배로 엄격 한 재료 관리

내츄럴엔도텍 ∙ 여성 갱년기 개선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로 홈쇼핑에서 인기

2018년 ‘오버나잇 마이크로 패치’ 미국 시장 출시 비타민하우스 2017년 이너뷰티 전문 브랜드 ‘뷰티푸드’ 런칭

‘태반가득 콜라겐 젤리’로 태반 제품 시장 주도

휴온스 ∙ 허니부쉬 제품 출시하여 깔라만시 등 다이어트 음료 시장 공략 출처: 1) 먹어서 관리한다... ‘이너뷰티’ 시장 급성장, 식품산업경제뉴스, 2018.6.4. 기사.

2) ‘먹는 화장품’ 여심 홀리다... 식품업체들 앞다퉈 이너뷰티 출시, 여성경제신문, 2018.5.9. 기사.

3) 성장하는 글로벌 이너뷰티 시장, 이너셋 허니부쉬 등 먹는 화장품 주목, 디지털타임스, 2018.5.8. 기사.

Table 5. 국내 주요 이너뷰티식품 제조기업

(7)

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대기업 브랜드만 해외 시 장에 진출하고, 동남아 시장에선 한글로 된 현지 짝퉁제품이 판매되는 등 해외에서의 국내산 이너 뷰티 식품의 위상은 아직 높은 편이 아니다.

2.2. 동업계 현황

기능성 식품의 주요 수요처는 20~30대 여성뿐 만 아니라 피부 노화를 염려하는 50~60대에 이르 는 다양한 연령의 여성이 주요 고객으로 판단된 다. 전통적인 프리미엄 화장품의 주된 고객인 중 년 여성들은 피부노화에 대한 관심으로 심리적/경 제적 저항 없이 이너뷰티제품 구매가 예상된다.

아모레퍼시픽이 2002년 비비프로그램을 런칭하여 국내에서 이너뷰티 시장을 시작한 것으로 업계에 서는 보고 있다. 이후 2016년 바이탈뷰티로 리뉴 얼하면서 먹는 콜라겐 제품을 출시하였다. 2009년 CJ제일제당에서 히알루론산을 주성분으로 수분보 충캡슐제품인 “이너비”로 큰 인기를 끌면서 본격 적으로 국내 시장이 확장되었고, 중국 시장에 진 출하는 등 해외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전통적인 태블릿 형태의 제품 이외에도 음료 형태의 경우 20~30대 여성들이 즐겨 찾을 수 있 다. 앞서 언급한 소확행 등 소비패턴은 적은 돈을 들여서 행복을 찾는 젊은 여성들의 니즈를 충족시

구분 내용

∙ 제조사 : 아모레퍼시픽

∙ 제품명 : 바이탈뷰티 슈퍼콜라겐

∙ 특징

- 흡수가 빠른 저분자 피쉬 콜라겐 3,000 mg 함유 - 유산균녹차발효추출분말 함유

∙ 제조사 : 한국야쿠르트

∙ 제품명 : 뷰티플러스

∙ 특징

- 콜라겐, 히알루론산, 400억 프로바이오틱스 함유 - 자몽 과즙을 넣어 상큼하게 마실 수 있음

∙ 제조사 : 웅진식품

∙ 제품명 : 자연은 데일리톡

∙ 특징

- 젊은 여성소비자들을 겨냥해 이너뷰티 컨셉 브랜드로 매일매일 예뻐지는 뷰티음료 마케팅 - 자몽과 망고 함유 제품은 ‘촉촉한 생기’ 컨셉으로 피부미용 및 항산화 기능을 강조

∙ 제조사 : 두모드림 B&F

∙ 제품명 : 마토초

∙ 특징

- 국내산 남해마늘과 토마토를 전통방식으로 발효

- 마늘의 알리신과 토마토 라이코펜 성분이 피부미용효과를 높임

∙ 제조사 : 롯데마트

∙ 제품명 : 클렌즈 주스

∙ 특징

- 100% 채소와 과일로만 즙을 낸 것 - 몸속 독소 배출에 효과

- 풍부한 비타민, 미네랄 함유로 피부 미용과 다이어트에 도움

∙ 제조사 : 엔큐라젠

∙ 제품명 : 오! 마이 뷰티

∙ 특징

- 피부수분 보충에 좋은 ‘N-아세틸글로코사민’을 주원료로 ‘2-나노 콜라겐’과 피부미백에 좋은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

출처: “건조한 날씨에 기능성 ‘이너뷰티 음료’ 각광”, 식품음료신문, 2017.02.02. 기사 재구성.

Table 6. 국내 주요 미용음료 현황

(8)

킬 수 있다. 미세먼지 등 환경 이슈로 피부건강이 부각되고,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미용음료는 이너 뷰티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최근에 다이어트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이너뷰티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 국의 뜨거운 태양을 견디는 허니부쉬를 이용한 제 품은 탄닌 성분이 적고 카페인이 없어 건강음료로 인기를 끌면서 20~30대 젊은 여성들의 선호아이 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3. 시장규모 및 특성

3.1. 국내외 시장규모

세계 이너뷰티 시장 규모에 대해 시장전문기관 인 Transparency Market Research에서 2017년 발 표한 “Nutricosmetics Market Global Industry Analysis, Size, Share, Growth, Trends and Forecast 2017-2025”에 의하면 2015년 48.9억 달 러에서 2018년 56.5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 4.93%로 성장하고, 이너뷰티의 세부 품목인 미용 음료에 대해선 또 다른 시장전문기관인 Technavio Research에서 2015년에 발표한 “Global Beauty

Drinks Market 2015-2019”를 보게 되면 2015년 6.9억 달러에서 2018년 9.5억 달러로 연평균성장 률 11.35%로 성장함을 알 수 있다. 이너뷰티 전체 시장과 미용음료 시장 간의 점유율에 대해 공식적 으로 나온 통계자료 확인이 어려운 관계로 두 보 고서를 토대로 전체 이너뷰티에서 미용음료가 차 지하는 비율을 계산하면 2015년~2018년 평균치 를 기준으로 약 15.5%임을 알 수 있다.

국내 이너뷰티 및 미용음료 시장 규모에 대한 자료는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이 없어 제한된 정보 를 토대로 추정하였다. 이너뷰티 시장 규모에 대 한 사실상 유일한 통계자료인 신한금융투자에서 2015년 발표한 “리서치센터 보고서”에 의하면 2015년 4,000억 원에서 2018년 6,101억 원으로 연 평균성장률 15.11%로 시장규모가 확대되는 것으 로 보인다. 이너뷰티제품이 통계청 한국표준산업 분류(KSIC)의 특정 산업군에 속하지 않아 공식적 인 통계가 없는 상황이며, 미용음료 시장은 이너 뷰티 전체 시장과 연결된다고 가정하면 연평균 성 장률 15.11%를 동일하게 반영 시 2015년 620억 원에서 2018년 946억 원으로 파악된다. 앞서 설명 한 세계시장 규모의 경우는 이너뷰티 시장을

출처: CJ제일제당 홈페이지(www.cj.co.kr).

Figure 3. CJ제일제당 이너비.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성장률

이너뷰티(A)1) 48.9 51.3 53.8 56.5 4.93

미용음료(B)2) 6.9 7.7 8.6 9.5 11.35

출처: 1)“Nutricosmetics Market Global Industry Analysis, Size, Share, Growth, Trends and Forecast 2017-2025”, Transparency Market Research (2017) 재구성.

2) “Global Beauty Drinks Market 2015-2019”, Technavio Research (2015) 재구성.

Table 7. 세계 이너뷰티 및 미용음료 시장 규모

(단위 : 억 달러, %)

출처: (주)휴온스 홈페이지(http://huons.com).

Figure 4. 허니부쉬 미용음료.

(9)

Transparency Market Research 자료를 인용하고, 미용음료 시장을 Technavio Research 자료를 참고 하여 이원화하였지만 국내시장 규모는 신한금융 투자 보고서를 토대로 이너뷰티와 하위시장인 미 용음료의 연평균 성장률을 동일하게 보고 있다.

또한 국내 이너뷰티제품(미용음료 포함)에 대한 관심이 세계 어느 나라보다 높은 상황으로 세계시 장 연평균성장률 보다 큰 점을 고려할 수 있다.

국내 시장은 2002년 아모레퍼시픽이 이너뷰티 제품을 첫 출시한 후 최근에는 대부분의 화장품 업체와 건강기능식품 업체, 음료업체들이 너도나 도 이너뷰티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 K-Beauty, K-Food가 선두적인 상황이라 세

계 시장에서 선진국에 비해 늦게 시작했지만 연평 균성장률이 높고, 미용음료의 경우 일본 등 외국 에서 관련 제품을 즐긴 국내 소비자가 증가하고, 소확행의 라이프 스타일이 보편화되면서 고가의 태블릿 형태의 제품보단 액상의 미용음료 소비가 더 크게 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한국농 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 2017년 발간한 “2017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음료류 시장)”을 보면 2015년 기준으로 음료 전체 생산액은 39,108억 원 으로 2015년 미용음료 추정치 565억 원은 1.4%

수준으로 공식적인 음료 카테고리로 구분되지 않 지만, 전체 음료 시장에서 기타음료 25.6%, 과채 음료류 15.0%, 발효음료류 2.4%와 비교하더라도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평균성장률

이너뷰티(A)1) 4,000 4,604 5,300 6,101 15.11

미용음료(B)2) 620 714 822 946 15.11

출처: 1) “리서치센터보고서”, 신한금융투자 (2015) 재구성.

2) 국내 이너뷰티 시장 × 15.5% (2015~2018년 세계 미용음료/이너뷰티 점유율 평균치).

Table 8. 국내 이너뷰티 및 미용음료 시장 규모

(단위 : 억 원, %)

구분 탄산음료 기타음료1) 과채음료 액상차 액상커피 두유 발효음료 인삼홍삼 합계

비중 34.9 25.6 15.0 8.5 7.1 5.7 2.4 0.8 100.0

출처: “2017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음료류 시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7) 재구성.

1) 탄산음료나 과채음료, 커피, 액상차 이외에 품목이 명확히 분류되지 않는 혼합음료 및 음료베이스.

Table 9. 국내 음료류 종류별 차지 비중(2015년 기준)

(단위 : %)

구분 내용

기능성 식품으로 인식 피부미용, 디톡스, 슬리밍(다이어트), 항산화 등의 기능성을 가진 식품으로 소비자 인식 건강기능식품과 일반식품으로 구분 제품에 포함된 원료와 함유량에 따라 건강기능식품과 일반 식품으로 구분(관련 업계에선

이너뷰티제품 중 약 20%만 건강기능식품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

기존 영역을 넘은 융합 마케팅 진행 식품회사, 화장품회사 등 기존 사업영역을 넘어 건강과 미용효과를 강조하는 마케팅 진행 다양한 식재료 활용 인삼, 녹차, 마늘 등 다양한 천연재료를 활용하여 일반식품으로 확대

기능성 세분화 최초에는 항산화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 상태를 전반적으로 개선하였으나 최근에는 미백, 노화억제 등 기능성이 세분화되고 있음.

For Me族, YOLO族 구매 증가 For Me族(자신을 위한 가치 소비를 즐김), YOLO族(You Only Live Once; 지금 이 순간 행복을 지향하는 생활방식)의 자신을 위한 투자 증가

음료, 정제, 젤리 등으로 섭취 주로 미용효과가 있는 원료를 가미한 기능성 음료를 중심으로 정제, 젤리 등으로 제품 출시 출처: 1) 주요국 이너뷰티식품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농림축산식품부 (2017) 재구성.

2) 김교남, 먹는 화장품 ‘이너뷰티’, 전력전자학회지 (2018) 재구성.

Table 10. 이너뷰티 산업의 특징

(10)

무리한 시장규모라 생각되지 않는다.

3.2. 시장특성

이너뷰티 산업이 단일 산업의 특성보단 식품과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간의 접점에 위치하여 관 련 산업전반에 대해 입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너뷰티 산업은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KSIC)에 따른 공식적인 산업분류에 속하지 않지 만, 종합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으로 보게 되면 특 징을 정리할 수 있다.

세부 관련 산업인 식품소재 산업의 특징을 살펴 보면,

첫째, 글로벌 경제로 개방화가 진행되면서 국내 식품관련 산업의 시장침체에서 벗어나 고부가가 치 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BT, NT 등 유관산업 과의 융합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식품소재 산업은 국민의 건강을 챙겨주는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농식품 산업을 주도할 주력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셋째, 의료비 절감, 삶의 질을 중시하는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어 고부가가치 소비재 산업 으로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또 다른 관련 산업인 화장품 산업의 특징은 다 음과 같다.

첫째, 식약처는 기존 기능성화장품에 아토피성 피부 건조함 개선, 탈모 증상 완화, 여드름성 피부 완화 등을 추가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자신에게 적합한 제품의 선택의 폭을 확대하였다.

둘째, 의약 화장품(Cosmeceuticals)과 같이 제약 업체뿐만 아니라 LG생활건강, 네이처리퍼블릭 등 화장품 업체에서도 관련 브랜드를 경쟁적으로 출 시하여 新융합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셋째, 전형적인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으로 유행 에 민감한 대표적인 패션상품으로, 가성비를 중심 하는 합리적인 소비 트렌드로 올리브영 등 멀티 브랜드샵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넷째, 화장품은 소비자가 손쉽게 구매할 수 있 는 명품으로 인식하면서, 상향구매에 의해 프리미 엄 고가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화장품은 클레오파

트라, 양귀비 등 역사 속에서 미인이 소개되듯 오 래전부터 미적욕구를 충족시키는 신체적, 정신적 활력으로 인류의 역사와 함께 성장하여 왔고, 앞으 로도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끝으로, 최종 제품인 미용음료를 제조, 판매하 는 음료산업의 특성을 살펴보도록 하자.

첫째, 음료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경기변동에 의한 영향이 적은 산업이지만, 원부자재의 수입의 존도가 높아 환율, 국제 원자재 가격의 변화에 민 감한 특성을 보인다.

둘째, 국내 음료시장이 성숙기에 이르러 전반적 인 시장 성장률을 정체되고 있으며, 소비자 트렌 드가 저렴한 제품 혹은 가격 대비 대용량 제품 소 비가 확대되고 있다.

셋째, 하절기보다 동절기의 매출이 감소하는 등 주로 계절적 요인에 따라 매출 변동성이 큰 특성 이 있다.

넷째, 산업 진입장벽이 낮아 신규 사업자의 진 입이 용이하고 다양한 업체에서 제품을 출시하여 경쟁이 심화되고 대형 유통업체의 자체브랜드 (PB)제품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관련 산업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 면 소비자의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활용하여 맞춤 형 기능성 제품을 출시한다면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3.3. 경쟁상황 등

이너뷰티제품의 시장구조를 Michael Porter 산 업구조분석 모형(5 forces model)을 통해 분석해 보면 이너뷰티제품의 특성상, 이것은 특정 산업군 에 속하는 제품이 아니라 기존 화장품업체, 음료 업체들이 자체 브랜드 및 ODM/OEM 방식으로 제조 및 판매를 진행하는 산업이라 할 수 있다. 화 장품 산업과 음료산업이 전반적인 성장이 정체되 는 추세라서 신규 사업 아이템으로 기존 설비와 유통망을 활용하여 이너뷰티제품 개발 및 출시가 이어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CJ제일제당 등 국 내 이너뷰티제품의 선두기업을 비롯하여 최근에 는 휴온스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업체, 지역 특산물

(11)

을 활용한 농업회사법인 등 중소기업들이 틈새시 장을 공략하면서 다양한 제품군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원료(콜라겐, 히알 루론산, 유산균 등)가 상이하여 연령별, 소득수준 별 시장이 세분화되어 전반적으로 시장 내 업체들 의 경쟁은 보통 수준이라 볼 수 있다.

기존 경쟁기업 간의 경쟁으로 가격 경쟁, 광고 경쟁, 신제품 개발, 소비자 서비스 및 제품 보증 등의 형태로 나타나고 상호의존적인 관계로 어느 한 기업의 경쟁적인 조치를 할 경우 다른 경쟁기 업에서 대응조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너뷰티제품 소재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 고 있으나, 최근 친환경제품에 대한 관심 증대와 국내 연구역량이 강화되어 국내 원료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기능적 우수성이 입증되고,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들 중심으로 시장에서의 점 유율을 높여가고 있기에 공급자 협상력은 높아지 고 있다.

한편 이너뷰티제품이 특정 산업군에서만 제조 하기 보단 기존 음료/화장품 업체들이 종래의 연

구원, 설비, 유통망을 활용하여 진출할 수 있으나 제품의 차별화가 쉽지 않아서 신규 참여자의 위협 가능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규모의 경제, 제품의 차별화, 투자 시 필요한 소요자본의 크기, 구매자 가 기존 제품에서 공급자의 제품으로 바꿀때 발생 하는 교체비용(switching costs), 유통경로에의 접 근성, 제품의 안정성 및 효능에 대한 정부 규제 등 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진입장벽을 고려해야 한다.

4. 수요 전망

4.1. 국내외 시장 전망 및 시장점유율 확보 가능성 세계 이너뷰티 시장 향후 전망에 대해 2018년 8월 에 시장전문기관인 Technavio에서 발표한 “Global Nutricosmetics Market 2018-2022”에 따라 연평균 성장률 5.3%를 적용하여 성장을 예상하였다. 현재 시장규모 보단 향후 시장성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 여 기존 4.93%보다 높은 5.30% 성장률을 반영하 였다.

이너뷰티의 세부 품목인 미용음료에 대해선

신규 참여자(Low)

- 연구원, 설비, 유통망을 확보한 음료업체, 화장품업체들이 해당 시장에 진입할 수 있 으나 제품의 차별화가 쉽지 않아서 신규 참 여자의 위협 가능성이 낮음.

공급자(High) 시장 내 업체 간 경쟁(Moderate) 수요자(Low)

- 기능적 우수성이 입증되고, 인체 에 대한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들 중심으로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기에 공급자 협상력 높음.

- 아모레퍼시픽, CJ제일제당, 하이트진로음 료, 웅진식품 등 음료업체와 화장품업체들 이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임.

- 중소 건강기능식품업체 및 농업회사법인들 이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음.

-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시장이 세분화되어 전반적으로 시장 내 업체 간 경쟁은 보통수 준임.

- 아직까지 이너뷰티제품 원료의 선택 폭이 제한적이어서 사실상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구매하 기가 용이하지 않아 수요자 협상 력이 낮음.

- 천연 소재로 만든 기능성 화장품과 미용/운 동기구 등 대체기술 제품들이 시장에 일부 유통되고 있으나 현재로는 대체재로서의 위협은 보통 수준임.

대체재(Moderate)

Figure 5. 이너뷰티제품의 시장구조.

(12)

Technavio에서 2018년 8월에 발표한 “Global Beauty Drinks Market 2018-2022”를 보게 되면 2019년 10.6억 달러에서 2025년 20.2억 달러로 연평 균성장률 11.35%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Global Beauty Drinks Market 2015-2019”의 연평균성장률 11.35%를 그대로 적 용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 이너뷰티(미용음 료 포함) 시장은 최근 미용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특히 동남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되고 있어 현재 시장의 연평균성장률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너뷰티와 미용음료 시장 전체 규모는 늘고 미용음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 지만, 이너뷰티의 한 제품분야인 미용음료 이외의 다른 제형에 대한 선호가 생길 수 있어 대체재에 의한 자기잠식효과(canibalization)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현재의 성장률을 그대로 유지할 것으 로 보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국내 이너뷰티 및 미용음료 시장 규모에 대해 공 식적으로 발표된 자료가 없어 제한된 정보를 토대 로 추정하였다. 이너뷰티 시장 규모에 대한 사실상 유일한 통계자료인 신한금융투자에서 2015년 발표 “리서치센터 보고서”와 Transparency Market Research에서 2017년 발표한 “Nutricosmetics Market Global Industry Analysis, Size, Share, Growth, Trends and Forecast 2017-2025”와 Technavio에서 2018년 발표한 “Global Nutricosmetics Market 2018-2022”를 살펴보면, 최근 이너뷰티 세 계시장 성장률이 4.9%에서 5.3%로 성장률 자체가 약 20% 증가하였으므로 최근 이너뷰티 국내시장 성장률 15.11%도 세계시장과 연결되어 가고 있으 므로 국내시장 성장률 자체가 약 20% 증가할 경

우 최종 이너뷰티 국내시장 성장률도 약 18.3%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너뷰티 관련 국내시장규모는 2019년 7,216억 원에서 2025년 19,763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너뷰티제품이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KSIC)의 특정 산업군에 속하지 않아 공식적인 통 계가 없는 상황이며, 이너뷰티 시장과 연결된다는 전제로 연평균성장률 18.3%를 동일하게 적용해서 2019년 1,530억 원에서 2025년 4,190억 원으로 증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정부기관인 한국식품 연구원에서 2017년 발표한 언론보도 자료에 따르 면 최근 5년간 이너뷰티 시장이 연평균 68.2% 성 장을 하였다고 하는데 이는 이너뷰티(미용음료 포 함)에 대한 관심 증가로 성장기의 높은 성장으로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도 68.2% 수준의 비약적인 성장세가 유지될 것이라 보기엔 무리가 있다.

성장단계를 고려한 시계열분석을 토대로 미용 음료의 절대적인 성장과 다른 제형 대체재의 자기 잠식효과를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합리적인 성장 률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수 있다. 국내산 이너뷰티 및 미용음료 시장이 성장기 또는 성숙기 초기단계라서 국내 기업들의 생산량 증대와 외국 브랜드 수입 확대 등 국내 시장 파이가 확대될 것 이라 보인다.

이러한 시장 전망은 기존 식품산업, 제약산업, 화장품산업의 성장세가 정체되는 상황에서 소비 자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등 사회 전반의 트렌드 방향과 맞물려 다양한 제품 출시와 소비자 인지도 상승으로 충분히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것으로 예 측된다.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연평균성장률 이너뷰티(A)1) 59.5 62.6 65.9 69.4 73.1 77.0 81.1 5.30 미용음료(B)2)

(백만 원)

10.6 (1,184,423)

11.8 (1,318,855)

13.2 (1,468,546)

14.7 (1,635,226)

16.3 (1,820,824)

18.2 (2,027,487)

20.2

(2,257,607) 11.35 출처: 1) “Global Nutricosmetics Market 2018-2022”, Technavio (2018) 재구성.

2) “Global Beauty Drinks Market 2018-2022”, Technavio (2018) 재구성.

* 1$ = 1,116 (180927 매매기준) KEB하나은행(www.kebhana.com).

Table 11. 세계 이너뷰티 및 미용음료 시장 전망

(단위 : 억 달러, 백만 원 %)

(13)

4.2. 시장의 기회/위협 요인과 발전 전망 이너뷰티 시장으로 진입시 발생하는 시장진입 가능성의 경우 체계적인 마케팅전략 수립이 선행 되어야 하는데, 이 마케팅전략 수립을 위하여 SWOT 분석이 필요하다. SWOT 분석은 기업의 내부 환경을 분석하여 강점과 약점을 찾고, 기업 의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을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자사의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보완 하며, 기회는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하는 환경분석 기법이다.

SWOT 분석 결과, 중소기업들은 최근 얇은 지 갑 속에서도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이른바

‘소확행’ 라이프 스타일을 즐기는 20~30대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잠재고객을 확보하여 마케팅 진 행과 미용음료 연구를 통한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 으로 국내제품 유통을 확대하고 수입 대체하는 등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강점을 기회로 살리는 전략 이 필요하다.

또한 선도기업에 대한 선행특허분석으로 지재 권 피소를 미연에 방지하고 다국적 시장 과점기업

과의 기술제휴를 통한 전 세계 유통망, 판매망 확 보 및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최대한 확보하여 기 존 이너뷰티 미용음료와 차별화된 틈새시장을 공 략하여 단시간 내에 시장지배력 강화전략으로 경 쟁력을 보유해야 한다.

5. 결 론

이너뷰티제품은 일반 식품과 달리 인체 안전성 과 기능성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이너뷰티제품은 건강기능식품과 동일시할 만큼 소비자의 선택에 있어 주요 원료에 대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이너뷰티제품은 소재의 안 전성과 기능성이 중요한 선택의 척도가 되고 있으 며, 이너뷰티제품이 건강기능식품의 규제를 직접 받는 것은 아니지만 소비자의 눈높이를 감안할 때 정부의 건강기능식품 품질관리 규정을 고려하여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일섭취량 안 전성 여부, 독성 여부, 섭취 시 주의사항 등 건강 기능식품의 고도화된 안전지침을 반영하여 건강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연평균성장률 이너뷰티(A)1) 7,216 8,536 10,096 11,942 14,126 16,708 19,763 18.30 미용음료(B)2) 1,530 1,810 2,140 2,532 2,995 3,542 4,190 18.30 출처: 1) “리서치센터보고서”, 신한금융투자 (2015) 재구성.

“Nutricosmetics Market Global Industry Analysis, Size, Share, Growth, Trends and Forecast 2017-2025”, Transparency Market Research (2017).

“Global Nutricosmetics Market 2018-2022”, Technavio (2018) 재구성.

2) 국내 이너뷰티 시장 X 21.2% (2019∼2025년 세계 미용음료/이너뷰티 점유율 평균치).

Table 12. 국내 이너뷰티 및 미용음료 시장 전망

(단위 : 억 원, %)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미용음료 분야 축적된 기술 노하우 보유

∙ 대형 유통매장 판매처 확보

∙ 국내산 원료 수급 용이

∙ 가격 경쟁력

∙ 중소기업의 영세성

R&D 인프라 및 투자 부족

∙ 낮은 브랜드 인지도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국내외 이너뷰티 식품 시장 지속적 성장

∙ 건강, 미용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수요 확대

BT, NT 등 연계산업 발전 가능성

∙ 선진국의 지적재산권 선점

∙ 수입 원료에 대한 제품 선호

∙ 글로벌 기업의 국내시장 점유 출처: 자체작성.

Table 13. 미용기능식품 시장의 SWOT 분석

(14)

기능식품에 준하는 제품 개발에 참고해야 한다. 현재 이너뷰티제품의 소재로 해외 수입 원료가 주로 활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선 1차 농업, 2차 식 품가공업, 3차 관광체험업 등을 한데 아우르는 6 차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어 국가의 주력산업으 로 성장 중이므로 개선여지가 높은 상태이다. 한 편 이너뷰티는 삶의 질을 개선하는 기간산업으로 사회적, 경제적 성장 모멘텀으로 인식되고, 관련 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및 소득 증대 등 궁극적으 로 정부 정책 방향에 부합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천연물 소재의 개발로 고부가가치 식품 산업의 발 전과 이너뷰티제품을 통한 또 다른 K-Beauty, K-Food의 열풍으로 세계 시장에서 국격을 높일 수 있으므로 활발한 R&D개발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프로바이오틱스 기 술동향”, S&T Market Report, 58권 (2018. 4).

2. 류은혜, 윤해훈, 정지혜, “Lactobacillus plantarum GB17 균주를 이용한 복분자 유사발효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31권, 6호 (2015).

3. 최지현, 강동희, 김현수, “발효 전후 구기자열 매 추출물의 ADH 및 ALDH 활성인자 분리 및 특성”, 한국생물공학회지, 31권, 2호, pp.

134-143 (2016).

4. 장성재, “프로바이오틱스 분야의 현주소”, BRIC View 동향리포트, BRIC View (2018. 9).

5. 농림축산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2017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음료류 시장)”, 발간 등록번호 11-1543000-001804-01 (2017).

6. 진태은, 정동수,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연구논 문, 특허, 그리고 시장”, 국가생명연구자원정 보센터, KOBIC Technical Reports, KTR- 20180425.

7. Patel AR, Probiotic fruit and vegetable juices-recent advances and future perpective,

International Food Research Journal, 24(5),

1850-1857 (2017).

8. Randdheera CS, Vidanarachchi JK, Rocha RS, Cruz AG, Ajlouni S, Probiotic delivery through fermentation: dairy vs. non-dairy beverages, Fermentation, 3, 67 (2017).

doi:10.3390/fermentation3040067

9. P. Markowiak and K. Śliżewska, Effects of Probiotics, Prebiotics, and Synbiotics on Human Health, Nutrients, 9(9), 15 (2017).

10. 김교남, 먹는 화장품 ‘이너뷰티’, 전력전자학 회지 (2018).

11.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2018-2020 (바이오)”, 중소벤처기업부 (2018).

12. 주요국 이너뷰티식품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농림축산식품부 (2017).

13. CJ제일제당 홈페이지(www.cj.co.kr).

14. (주)휴온스 홈페이지(http://huons.com).

15. “Nutricosmetics Market Global Industry Analysis, Size, Share, Growth, Trends and Forecast 2017-2025”, Transparency Market Research (2017).

16. “Global Beauty Drinks Market 2015-2019”, Technavio Research (2015).

17. “리서치센터보고서”, 신한금융투자 (2015).

18. 2017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음료류 시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7).

19. “먹어서 관리한다... ‘이너뷰티’ 시장 급성장”, 식품산업경제뉴스, 2018.6.4. 기사.

20. “‘먹는 화장품’ 여심 홀리다... 식품업체들 앞 다퉈 이너뷰티 출시”, 여성경제신문, 2018.5.9.

기사.

21. ‘성장하는 글로벌 이너뷰티 시장, 이너셋 허니 부쉬 등 먹는 화장품 주목’, 디지털타임스, 2018.5.8. 기사.

22. “건조한 날씨에 기능성 ‘이너뷰티 음로’ 각 광”, 식품음료신문, 2017.02.02. 기사.

23. 황인혜, 이너뷰티제의 마케팅 전략과 소비자 인식도,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석사 논문 (2013).

(15)

심 봉 섭

1999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 학사 1999~2001 CJ 제일제당 엔지니어 2004 U of Michigan 화학공학과 석사 2009 U of Michigan 화학공학과 박사 2009~2012 U of Michigan & U of Delaware,

포스닥연구원

2011∼현재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부교수

이 봉 진

2000 제37회 변리사시험 합격 2001 한양대학교 공업화학과 졸업 2001 제38회 변리사시험 검토위원 2001~2003 유미특허법인 화학소재팀 근무 2006~2007 경기테크노파크 지식재산센터 근무 2008~현재 (주)ABNC 대표(www.abnc.co.kr)

기술보증기금 시장조사, 가치평가 자문위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시장조사, 가치평가 자문위원

수치

Table 7. 세계 이너뷰티 및 미용음료 시장 규모 (단위 :  억 달러, %)
Table 10. 이너뷰티 산업의 특징
Table 11. 세계 이너뷰티 및 미용음료 시장 전망 (단위 :  억 달러,  백만 원 %)

참조

관련 문서

기업들은 시장 차별화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대해 대단히 민감한 편 이다.. ② 모든 물품에 대해서는 문서화된 환불 규정을 마련하고 정기적 으로 확인한다. 이러 한

또한 새로운 업체의 시장 진입과 기존 업체들의 신기술 개발 및 신상품 출시 등 다양한 행사를 계기로 교민들 뿐만 아니라 현지소비자들에게도 막걸리에 대한 관심이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교수적 수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이에 대 한 연구가 활발히

구체적으로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한류지각과 한국원산지 이미지로 구분하여 베트남 소비자들의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 및

점들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개인이 가진 고유한 정보인 생 체 정보를 바탕으로 생체인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요...

평소 과학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문제 풀이의 수업과 성적에 대 한 부담감으로 늘 개념 정리와 문제 풀이 수업에 적응되어서 수업 참여도가 낮았던 학생들 도 실생활에서

보안에 문제점들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개인이 가진 고유한 정보인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생체인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요 생체인식... 모둠별로

미술활동에 있어 재료의 확대는,아동에게 어떠한 재료든지 활용하여 미술 표현의 재료가 됨을 인식시킴으로써 주위환경에 대한 관찰력을 높이고,서로 다른 종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