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함수해석학(위상 벡터 공간을 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함수해석학(위상 벡터 공간을 주로)"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擊 析 解 數 빼

空間울 主로- -位相 빽타

P

L

!%'+1- x.;즉

2

!%'+i-x.J~2 k’+i-ll%2-x11~!%2-Xll

c。

:S k'+'-' =lx

2

-%11 2 k" <IX , -X1Ie

=1 .늑”

이와같이 하여 점 렬

{x.}

Ca uchy

收數條件 올 械足하요로 한 點 x. 어I 收歡하겠다. 야 點

X.

가 빼數 f 의 固定點0/ 됨응 f 가 連續〔事實上 隆 件〔※〕는

f

가 zr;等運훌암 울 뭇한다〕업을 it慧하

I(x.)=lim/(x.)=lim %'+1 =%•

•-’ co

o~o。

에서 공 알수 있어 파연 f 의 固定點운 存在한 다. 지금

y 7t

f 의 또 하나의 固定點.

llP f(y )=y

이라하연

!%.-yj=lf(%.)-j(v)!즉k!x.-y)

이요. k 는 <1인 正數야므로

x.=y

휠 수 밖에 없어 固定鄭이 存在하되 오직 하냐밖에 없음이 完全히 밝혀졌다.

定理l 뼈散 f 가 實數題 R 위에서 定義판 빼數혹 條件 G혔)률 驚足하연

f

의 固定點OJ 칙 하냐存在한다.

3.

톨훌훌뼈

위외 定理I의 證明윤 實數體 R 이 寶數의 銀 對f홉에 關하여 흩E離뿔閒(.IlP 두 賣數 x 와 y 사。l 의 題홉훌 d(%.y)로 ;.%-..1/훌 擇한마〕임과 賣歡짧의 完懶性(completeness)에 依存하였£으로 그 定理­

의 훌훌윷올 팩할 수 있겠마.

치급 한 集合 E 의 任意의 두 元의 雙

(x, y)

(gEE,

yeE)에 對하여 한 實數

d(X.y)7r

對應하되

任훌의 元 xε:E, yεB. zeE어l 對하예

1)

d(x;y)늘0이고 尊觀는 x=y얼빼, 그려고 야 해에 限하여 威立하고

2) d( x. y)=d (Y, x)

(對稱性〕

3)

d(x. z)~d(x.j1)+d(y.z) (三角不等式)률 빼 足할 혜 E 률 “d 률 距離로 하는 距離호間’이라 한다.

d 률 뚫離혹 하는 距緣호間 E 內의 점혈 {ι10J

- 2 0 -

1.

無限딩;元의 e훌數호間의 解析을 主題로 하는 빼 數解析學은

Volterra

의 變分學의 핍究에 그 始初 를 둔 것 A로 그後 積分方程式의 解률 求하는 問 題가 그의 發展올 크게 刺觀하였다. 公理的이고 抽象的언 方法올 取하.!!.로서 個{뽑의 問題를 別逢 혹 取됐하는 것보다 統一的이고 -般的안 結꿇올 엠게 되는 이 빼數解析學의 廣範圍한 全般에 걸 치어 그 解짧융 껴한다는 것윤 現在의 筆者로서 能히 到達하~l 웃하는 領城에 훌하는 것이 分明 하므로 主로 位相 Vector 호間議의 解說올 試圖 하되 本휘홉의 材料는 거의 Goffman 의 鷹짧的안 論文

Preliminaries to Functional Anal ysi s. Studies

in Modern

a없lysis(4)와

Bourbaki

Espaces V e- etoriels

t야l야ogiq없s(3)에 서 取한 것 야 마.

2.

固훌훨훌훌

f 가 實數뽑 R 위에서 定義뭔 實S협활로 條件

〔줬) 한 常數

k,

O<k<l.가 存在하되 엽의의

J&ER,

y£R 어l 훨하여

l{(%)-

/(y)I~KIx-yl

롤 織足한마고 하자. 01 혜 우려는 園數 f 에 固 定點, 용P

/(x)=%

되는 짧아 오척 한個 存在합용 다옵과 같이 말활 수 았다.

그 固뚫짧율 찾기 훌훌하여 우려늪 所謂漸췄 近 1!:J,옳용 使用한다. 용P 任훌훌의 한 點 X 훌 홉하얘

。l 짧융 %J=x 로 놓~h 다융에

X2=/(X1).···.

%0+1 =/(:x.,)•...

01 와 갚야 하여 우려는 한 청혈

〔수옐) (짜}용 얻는데 그 動薦훌 Jl.기 篇하여 그 距훌훌 생 각하얘 보연 條件 〔※〕에 依하여

IXo+1-셔 =tr(Xo)-책 =!f(x.)-j(x,‘1)1책x.-x_1i

=파{ex,←1)-j(X,ι2)I~kZjX-1-μzJ~'"

~k"-Jlxz-x11윷 얻는다. k는 O<k<1안 常數이 었 으묘로任훌의 e>O에 對하여 N올 定활 수 있되

2k’ <e

o

:::,.N

그려 면 X늘N 야.:il. P가 任훌훌의 되게 할수 있다.

自然數얼 a셰

(2)

iε(X.-%;)2)τ .,;;;; (E(x‘ _y;)2) 2

+(E(Y .-z ‘)') ,

올 얻으으로

.!!P

d(x.z) .,;;;; d(x.y)+d (y .z)

를 뼈足하기 혜문이다.

d.에 對해서는 우리 가 알고있는 不等式

p>O, 1 . 1

q>O이고

---=- p +-=- . q = 1

이연 任意의 추 寶數

a. b

에 對하여

!a

,

P • :hi"

때h 즉-교 +국「

《이 不等式은 위의 不等式 2ao..,;;;; a'+b' 의 續張압 을 注意〕

율 利用하여 證明할 수 있는 HδIder 의 不等式

(Ca uchy-Schwarz

의 不等-式의 據張)

:

‘츠E했써빠때밟i써싸b 샤‘ i

써서 얻는 Mi따mwski 의 不等式

(Dai+b.IP)T .,;;;;(Ei a; ’ )7 +(Eib.!P)'

윷 利用하연 완다. 뿐만 아니라 E. 內의 두 元

x=(x ‘’ XZ' .... ,

Xn)과

y= (Y"Yz··· , Y.)

사이의 合을

X+y=(x\十YIt

x , +Yz, X.+Y.)

j응 定義하고 또 한·元

x= (XI' %2' .u ,

X'n)과 한 實 數 A 와의 곱을

i.x=( J.x

I •

Ax,• .... Ax.)

로 定義하연

E.

은 하냐으1 백 !'1~ 間을 이 푼마. 섹 터호휩j E‘위에 거려

d

l t

d" d

3 그려고 d

‘률

어 생 각하였을 혜 호間올 各各 l(n).

ll(n).

l , (n).

lp(n)_으로 表示한다.

定理

3

호間 l∞ (n).ll(η).

l , (n).

{pen)은다 完備안 꺼려공간이다.

本 定理는 本質的으로 實數으} 完備{生에 첼盤을 둔것으로그證明운위에서 얄한諸不等파올쓰 연 판마.

5.

노홈훨間

앞철에서 얄한 結果는 곧 無限컸元으로 擬張할 수 있다. 郞

lα‘로셔 모든 寶數列

X=(Xb X2 , ...

)으로서 supjx;J<∞인 것들의 棄合

t ,= {a=(xltx

Z

, ...) :

Ejι<∞}, 즉 요둔 絡對收 歡하는數列들의 호聞

1 ,= {x=(X

It

X2 , ) : E.'x;j2

<∞},

μ =

{X=Xh X2' ) :

끽x;1’<∞}

위의 호間들은 그 호間內의 두 元의 合올 “自 然的"~£ 定義하고〔좌JE끼 리) 또 한 元파 한)寶

d 3 (ιy)=C~\(x;-y;)2 )+

d2(x.y)=

ε

Jx ‘ -Y;i

(Elo;b;/)2길〔εo;')(Eb‘2) 을 利用하얘 證明할 수 있는 不等式

(E(a,+써')

2

길띠a‘2JT+(Eb,'f강 에서 α;=x;-y,.

b;=y-Zi

로 놓아

d.(x. y )=( ;~,1Xi-Y'서÷ [ P> l ]

d3 事實上의 거려됨은 任훨、의 寶數 a와&에 對하여 잘 알려진 不等式

히";;;;02+02

l 基鍵률 둔 所謂

Ca uchy-Schwarz

의 不等式,

.l1P

任意의 實數

a J , O 2''', a.; 0lt 02"', b.

에 對하여 成 立하는

한 點

X ,

에 j않없한다는 것은 ff:意의 c:>o어l 對하­

여 한 自然、數 N 올 찾을 수 있되 n ;:,N이 1건

d(x,

X.)<ε 되 거l 할 수 있융을 듯한다. 만일 任意、의 e>O에 對하여 한 自 然、數 N올 찾을 수 있되 m늑N.

’늘N 이연 d(x",• •x.)<s 되게 할수있을째 정렬

Ix.J

Ca uchy

정 렬이 라 부른다. 收歡하는 點찌

Ca uchy

점 혈 이 냐

Ca uchy

점 렬 이 반드λ1 1&歡 한다고 할 수는 없다. 모든 Cauchy 점렬야 收敏 하는 距離 호f려은 하~~짧아 다 라고 말한다. 그러 면 우리는 마음 固定點 :Q:理들 얻는다.

훌理

2. E

을 完備안 距離초間。l 라 하자.

E 위헤 定義환 E 로 가는 빼數 f 에 對하여 한I-E

k. O<k<l.

가 f{(f.하되 엽의의 xεE, y(E 어l 對하여

dU(x). J (y ))£.kd(x.y)

이 연

j

는 오직 하냐의 I휠定點윷 갖는아.

이 힘理의 證明응 定웰l의 그것파 거의 같~

으로 했略하고 精 j)的이고 探究心이 행한 讀者의 힘i習rrfj짧j료 남긴다.

4.

距離벡터뿔間

E.

n

켰元으J

Euclid

호間,

.l1 n

모든

n

個의 實 數의 排쩨

{(xJ.X,.···.X.) : X;( R, i=1, 2.

, ··n) 의 集 깜야라 하자.

E.

의 if意、의 두 元

X=(Xb X,. '··X.).

y= (Yb."2. ' ..y.)

사야 익 거 리 릎 다음과 같이 定義 할 수 있다.

d.(x.y)= sup jX'-Yil

I£. ’";;;;'

(3)

數와의 곱융 “自然、的"~로 定養하면 벡 터 훨間됨 은 협거1 볼 수 았으나 다만 앞절에셔 본 諸不等 式의 x→∞안 혈遇(이 는 事實上 모든 有限의 경 우의 優限이므로 萬- 그不等式률이 모든 有限의 境遇에 成호한다연 自動的(?)으로 無限의 境遇 에도 成立항이 期待판다! )를 앞철에서 본 距離

d" d

2

, d ,

그라고 d,를 定義한 式에서 ε 記號의 上端언

n

을 各各 ∞로 아꾸어 놓오연 對應하는 호間 l∞ •

I •• ',.

그리고

I

~에서의 距離를 주는 定 義式을 얻는다.

엑 더 호間의 距離는 그 호間위 에 定훌훌판 “노릉’

\..nonn)로 因하얘 定해질 예가 있다. 한 벡터호間 E위의 노릎은 E 위얘셔 定義원 寶數ft훌 빼數로

(x

의 노릎을 펴냄表示)

1)

零벡터 6의 노릎 삐1=0 이요,

x추001 연

IlxU>o

2)

任意의 寶數 A에 對하여

llAxl1 = ilmx Jl 3)

Iix+yli같뼈1+페}

을 {補먼하는 것。l 다. 벡더호間 E 위에 한 노틈이 定義되어 았을 빼 E 률 노름벡터훗間(nonned

linear spacd)

또는 簡單허 노릎훈間이라 부릎마.

E 가 노름호間얼 혜 두 元 %€E 와 yfE 샤이의 距 鍵를

d(x , Y)=iJx- y\!

로 定義하연 E 는 하냐의 距離호間이 판다.

위에서 말한 호間둘 l∞•

I •• 1

2 그려고 Ip 의 X1 對하여 各各 11껴|∞ =supjx;1 ijxlj,=I:따 !써12=

(I:lx;12)2 ,

IIx!jp=(I:jx.1’)T.로 定義하면 이들윤 各 各 對應하는 호間위의 노릎이 되고 이 노륨률에 依하여 定훌훌되는 距離는 우리가 처융 出發한 距 離와 같마.

完備안 노릎호間올 Banach 호間이라 부릎다.

f휠理

4

위에서 본 諸홍間윤

Bana ch

호間이 다.

讀者에게 이 定理룰 證明해 보시기률 권한다.

6.

꿇naeh 뿔閒

童要한 노름호間은 위에셔 말한 數列훈間에서 보다 빼數호間, ~p-定한 棄合위에서 定훌훌펀 빼 數률올 元으로 하는 호間에서 찾아폴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것으로 單位區間

1=(0 ,

IJ 위에서 定義원 모둔 連績훌휩數들의 集合올 C(I)로 나타내 연 이것야 액터호間용 이룹운 밝고 또 임의의 元 fεC(l)어l 對하여

jifll=sup Cf(t)!: t El)

로 定義하연 C( l)가 노름호間됨 도 보기 쉽 다. 또 한 C(η 가 完備, 따라서

Ban ach

호間됨 은 “連緣

훌쩍數갖 Ij의 zp:等極限은 하나의 連續힘휩數이 다”의 定 理에 依하여 알 수 있냐..'E 하냐의 古典的, 그 러 냐 大端히 重要한 훌間으로

L

p껄間들이 었다.

任意의 正數 P늘1에 對하여 그 P제꼽이 總對 可積分 (Lebesgue) 안 뼈數들의 컬間이 다. 따라서

f(-L~는

f ~lf(t)IPdt<∞

블 뜻한다

(*). Holder.

Mi퍼wwski 不等式의 積 分}없이 또한 成효하여

L

p호間이 펙 터 호間을 l 루고 또헌 任意의

ffLp

에 對하여

t"

rt ., 1/

;

fli~=

I I If(t):Pdt I'

로 定훌훌하면

L p

이 노릎에 對하여

Ba nach

間이 됨이 證明원다.

7.

다시 固뭘點定훌어| 關하여

固定點 問題의 한 應用~로 다음 問題률 생 각 하여 보자. 지금 k(x, y)는

O ,.;;;; x .s; l , O .s; y ,h

1에서 連績언 빼澈, g(x)는 Oζx.s; l에서 連續인 흩월數 라 할 예

Fredholm

形의 積分方程式

C**) g(X)+A f ~k(x, Y)f(y)앙=f(x)

올 輔足하는 連續빼數〔區間 O즉X즉 1 위에서 定훌훌 판) f 가 存在하느냐?

任意、의 빼數 ufC(l)에 對하여 한 點 .%f (0,1J어l

셔의 廳{直가 g(X)+A f :k(x써(y)양 로 決定

되는 빼數를 Ku 로 나타내면, 郞

(Ku)(성 =g(x)十AI :k(x,y).u(Y)ψ

이 연

g

의 連續性파

k

의 쭈等連續性용 利用하여 Ku 도

I

위에서 fiE훌옳된 連緣뼈數엽이 밝혀져,

1! P

KufC(l)야 되어 K:u→Ku 는

Ce l)

위에 定義왼 Cel)에로 가는 흩휩數〔線型〕됨올 알 수 있 다. 그리 하여 빼數 f 가 績分方程式 c**)의 解됨은

H

=f , .ll P f 7}

變換 K 의 I웹定點됨과 같은뜻이다.

지 금 任意의 두 元

UfC (l),

vfC(l)어l 對하여

Ku

와 Ku 의 距離를 求해보연

!IKu- Kvll=su해Ku(x)-Kv(x)!

xd

(*)

正確하게 말하연 거의 도처에셔 O되는 뼈 數의 積分은 0이므로 L~ 호펌j은 그 P 제곱이 組對 可積分인 빼數들의 거의 도처에셔 O되는 뼈數들 에 對한 商초間오로 定義훤다.

- 2 2 -

(4)

=폈(g(상+짜k(x,yψ폐

- [g(x)+ A: I :k(x써어)dy]1

=폈iI:k(x,y)(Uω-v(y) )d yl

,G;I씨펼J :lk(x , y) l! u (Y )-V (Y )\dy

,G; lljM 폈!u(y)-vω=!쳐 .Mau-vll 여 71 서

M=sup {/k (x , y)l: xd , yd}

그러으로 만일 깨M<l 則 씨<끓언 쳐I 對하여

는 定理2률 適用한 수 있어 積分方程式(**) 는 오직 하냐의 解를 가짐을- 알 수 있다.

8. Hilbert

뿔間

4節에 서 본 휠問 12는 Hilbeπ 카 積、分方程式

[J (x)+ f:k(x,y).u(Y)ψ =f(x)

의 解률 IJfJ'E함에 있어서

(1 906)

얻은 ?찬間.E..로

←오늘날의 Hilbert 헬間의 起因이 원 것이었다.

Hilbeπ 호間의 公理的안 1&짧은

]. von Neumann

어,1 {k하여 1929年에 發表되 었요며 그는 그의 量 子力學의 基짧에 關한 맑究와 關聯하여 有界가 아닌 線맺變換을 取폈하였‘고 한便 거의 같은 우 형 에

Stone

Wintner

도 같은 事業에 從事하였 다.

Hilbeπ 호間은

Ba nach

초間의 3待珠한 것.E..로 그 노름이 內積(Inner

produc t. scalar

pre녕uet)‘으 호 定義된다.

I,의 두 元

x=(x" %2' •••

)과 y= (y,.

Y2'

…〕의 內짧 (x, y)률

co Cx , y)=

ε

x;y,

로 定義하연 우려는 곧 다음 事寶들이 成교함을 알 수 있다-

1)

임의의 두 元

xE/

2• Yε12에 對하여

(%,Y)=0 , x)

2)

엽의의 두 元

xd"

yEl, 와 엽의의 寶數 A어}

짧하여

(lx.

y)=λ(x, y)

3)

임의의

x ,y, fIlEt

2에 對하여

(x , y+Z)=(X , y)+Cx , z)

4)

임 의 의 xε12l 對하여 (X, x)늑0이 고 야, x)=o 융 x=O와 同等

1: , 2) ,

3)에 依하여 內뚫은 ..':t한

(x , ly)=l(x , y) , 0+z , x)= (y, x)+(z , x)

도 輪JE 함융 알 수 있다. 이와같야 하여 內짧윤 對稱的안 雙-*.形이 되 고 또

Ixii=(x.X)'/' ,

,벼|늘0이 며 lixiJ=().은 x=O와 同等 업을 알 수 있아-

-폈£로 實數릎 係數域」즈로 하는 벡 터호間

H

위 에

(n , (2) , (3),

(4)블 漸足하는 內積이 定議되 어 있고 H 에 노릎을

;x‘'=(x.x)'/ι

로 導入하였을 혜

H

가 이 노릎에 關하썩 完備。l

H

Hilbert

호間야 라 부른다.

호間 L,의 任意의 두 元 f 와 g 에 對하예

α,g)= f :J(t) .g(t)dt

를 定義하연 야 것 이 위 의

(n. (2).

(3)을 滿足함 용 밝£냐 (4)는

(4) ’

임의의 jEL2에 對하얘 (tJ)늘0이고, αJ)

=0은 j=O( 거 의 도처 〕와 同淳

.E..로 f l;;置띈다. 그러냐 벤져 말한 빼註에 {衣하면 거의 도처에서 0되는 함수 f 는 L2호間의 9벡터 로 볼 수 있으므로

(4) ’

대신 (4)를 그대로 쓸수 있고 6節에 서 定義한

L 2

홍間의 노름은 llf~h=

(f JYI2

으로 表示되 어 L2가 이 노릎에 關하얘 完 備이므르 L2 하냐의 Hilbert 호間됨을 알 수 있다.

Euc 1Jd

호間에 서 와 그f갚 7}지 로 內積.E..로 因하여

Hilbert

초間內의 두

'j :-,

二; i달交性융 말할 수 있 다.

li! P

두 벡터〔元) x.YfH 가

(X.y)=o

을 滿Ii할 혜 X 와 y 는 셔혹 直交한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업의의 Hilbeπ 호間 H 內에 全直쪼系 {x,α},

liP

X

a-o

X5、_x~)=

(0

α추g 이면

1 a= f3

올 滿足하는 部分集合융 所謂 Schmidt 외 正規直 交法어1 1tc하여 定할 수 았 다. 이 같야 하냐의 完 全直交系

{x a }

틀 擇하연

f흔理

5

任意의

xfH

X=L(X.Xa)Xa

로表示되며

, x;:'=E(x.xa)'

으로 表示원다. 도한

定훌

6

둔 Hilbeπ 호間 H,과 H2 원의

Cardinality

가 같으연

HI

위 에 서 定義된

Hz

위 j응.

가는 힘댐歡 φ를 fiE힐 수 있 51 (f찮으 I

a.{k R. ;.gfH ,

- 2 3 -

(5)

에 對하여

φ(af+{3g)=aφ(J)+빼(g). (,φcη. f/J(g))=α'.g) 되게 할 수 있마

• .!!P

基의

Cardinality

가 서로 같 은 두 Hilbeπ 空間은 本質的£로 같다는 結꿇을 얻는다. 特허

/2

L 2

各各 조일깐 可附홉集 合올 가지므로 그들은 本質的으로 같다고 홀 수 있다.

9.

位相빽터뿔間, 局홉IS~ 뿔뼈 노흥호間의 -般的인 定義는 l애92때0-’-’-’.

s. Banach. H. Ha hn

그리 고

E. Helly

等에 依 하여 주어 졌고 1934年에

A. N.

Kolm앵orv 는

-

般的언 位相벡 터 호間(linεar

topological

space)용 훌想하되 그 홍間이 노릎을 갖기옳한必要充分條 껴:올 짧見했 다. 그 다음해 1935年

von Neumann

은 局部며벡 터 쫓間(locally

convex

space)에 對한 公웰훌 세우고 그 理論융 展開하였다.

지금 E 를 하나의 핵허호間이라 하고 E 위에 位 相 이 定義되되

1) EXE

에 서

E

호 가는 빼數 (x.y)

x+y

2)

RXE 에서 E 로 가는 빼數 (a.x)→ax 가 連 緣얼 혜 E 플 位相벡터홍間이라 부른다. 지금까 지 말한 노릎호間,

Banach

훗間 〈짜라서

Hilbert

호間도〕들은 位相벡 터호間의 特珠한 껴l들 이 다.

特히 位相벡 터호間~로 그 原點이 려集合〔한 集 合 V 가 엄이라 함은 입의의 ".yεV, O즉t~1에 對

하여

tx+ (l-t)yf. V

됨 훌 풋한다)~호 된 近f총系

를 가질 쩌 이것올 局部암호間야라 한다.

지금 E 와 F 차 位相빽터 홍間이라활혜 한 變 複〔뺑數, 作用素Xtransformation,

functio n. ope- rator. map) T

E

해 에 定養되 고

F

를- 그 f直域 으로 갖되 모든 a.~R, x.yεE 어l 對하여

T(ax+ I3Y

)=aT,,+얘Ty

를 澈足할 빼 T 률 線型變換이라 한다.

T7t

型일뿐 아니 라 連績얼 혜

T

툴 連績線型뿔換(Con­

tinuous

lin않r map)야 라 하고

E

위 에 서 定義원

F

로 가는 모든 連續線型變換의 全部를 L(E.F).로 나타내변 L(E, F)는 그 元사이의 合짜 寶數와 그 元사이의 풍올 ‘自然的’으로 定義하연 ."f.하냐의 벡터훌間이 원다.

特허

F

가 寶數體

R

와 -줬할 혜 寶數로 가는

E

위에 定훌훌뭘 連寶線型흉훌換을 連續線型〔素)라 부르고 오듣 連績線멤률의 集合

j! P

팩 려홍間

L( E.R) =E

E

의 位相的 짝〔共輕홍圖)(topolo·

gicaI

d'따1)이 라 부른다.

한 位相빽터호問 E 를 주었올 예 그 位相的 짝 E’륭 決定하는 問題는 1909年에

F.

Ri않Z 가

C( l)

의 位相的 쩍은 모든 않ielt.ies 積分 f f 늘'tlgC*l

들의 棄合이 됨을 發見한 것을 처옴으로 하며 그 後 그는 다시 L,(l ~p< ∞)의 位相的 짝은

L.

1 , 1

〔고-+고-)에 同型힘을 本質的으로 究明하였다.

X 를 位相벡터홍間 E 의 한 元 X’률 그 位相的 싹 E’의 한 元야 라 할 예

EXE

위 에 定義판 實 國數(".x’〕→x’(,,)= <", x'> 률 생각하연 야는 第 一變數, 第二變數의 各各에 對하여 線型야 되 어 예 71 서 E 의 性質올 究明하는데 그 位相的 쩍

E'

。l 重要한 흉짧을 하게 됨울 짐작할 수 였겠다.

1935年 以後

01

觀顧에 서 서

E

와 E’를 짝으로 同時에 훌다究률 進行시켜 큰 훌훌t올 셰 운 學者 가 운데

Di eudonne

Mackey

가 있 마.

f껴l컨례 位相벡 터 쫓間

E

어l 꿇位相, ~옳位相,

E'

內의 適當한 部分葉合族 위 에서의 zfi等收數의 位 相 等의 導入(E’ 에 對하여도 마찬가지) 또 그들 사이의 關係 等等의 問題율야 마루어 졌다. 그러 나 局部8홍間의 理論이 애 당초 純公理的으로 出 爽하였었기 혜운에 그後 흔 應用올 發見치 뭇하 였 먼훗 1950年에 L.Schw없tz 가 그 超빼數論(-般 的 빼數論)(

distribution

theory)을 發刊함에 이 르 려 局部~호間論이 妙上樓關이 아닝 이 證明되 었 고 이 超屬數짧은 아직도 그 完成段階에 이르려 면 먼 時 日 이 要하려 라고 보겠 다. 局部82칠間論 에 는 特히 Bour뼈ki 와 Grothendieck의 頁敵。l 컸 으t9 Bour밟ki 의 觀點윤 호間의 特珠한 性質에 훌眼하얘 그 性質을 輔足하는 홍間의 特徵化률 企團한 것이라 하겠다.

6험數는 그 取하는 빼數i直률 생 각하여 願序 擬

;웅:율 導入활 수 있고 또 適當한 線型흉흉흉&에도 順 rt;擺;옳올 導入향 수7t 았는례 빽터쫓間.2-1료 同時 에 束(lattice)올 이 루는 액 터 束의 擬;웅‘은 1928年

F.

Riesz 에 依하여 주어졌고 그後

Banach

쩔間 으로 束올 이 루는 Banach束에 對하여는 Fro.펴.en­

lhal. Kantorovitch, Kapransky,

中野秀五l짧, 吉田

fJtf' F

等의 責敵야 않였다• Ti훌部~間에 願If 廳;융:

윷 導入한 것 은 N없nioka 와

Sc haefer

이 었A며

C*) F. Riesz

의 이 理꿇。1

Bo urbaki

의 積分論 의 III發點이 되겼다.

j! p

I 위의 뼈l度 μ 는 單純히 CCl)위 에 서 의 連寶線型.

'!:!P

f.κC(l)'~로 보는 것 야다.

- 24-

(6)

이 들은 局部러초 Ii최 內어1 Ii:깅 rt:에 1:t~한 1ft相파 처 음 位相과익 諸 !M.l 係를 폐하였다.

Bi bliography I (Boo ks)

1. Achicscr. N. J.. Glasmann. J, M. Theorie der

iiχeareπ

O jJe ratioren im Hiibert-Raum.

Akademle Verlag. Berlin. 1958

2. Babach. S. TM

f/1"

ie des

op깅rations

lineaires.

Warsaw.

"'1'0ηografie

Matema t. vezne. 1932 3. Bo urbaki. N. Espaees vectoriel topologique.

Chap. I - V• Hermann. Paris. 1953. 1955 4-. Buc k. R. C.. Studies in

J.foderη

Analysis.

The Math. Ass. oj Amer. 1962

5. Du nford. N.. Sc hwarz. ].. Lhz('ar operators.

Part 1, Interscie11ee Publishers. Inc. N. Y.

1958

6. Grothendieck. A.. Espace vectoriels topologi-

qμe.

Sao

Paμ10.

1958

7. Hilbert. D.. Grundzuge einer allgemeine The- orie der linearen Integralgleich1zgen

Leipzig. B.G. Teubiter. 1912

8. K

l.\

che. G

ToPo!ogische lineare Raume.

Springer. 1960

9. Li ghthill. M. J.. Introductlon to

Foμη'er

In- tegra!s an t! Generalized Functions. Cam-

lγidge、

Cambridge Unhersity Press. 1958 10. Ljusrernik. L. A.. So bolew. W.I

‘ •

Elemente der

F1μnktz"onalana‘ysis.

Berlin. Berlin Akademie. 1955

1 1. Loomis. L.R.. An Introduction tQ abstract harmonic analysis. New York. Van Nostrand Co.. 1953

12. Riesz. F.. B. Sz-Nagy Lec fYt/. s danalyse fon- ctio r. .elle , 3 rd ed. Budapest. Akademwz Kiado. 1955

13. Stone. M H.. Li

near Transformations in Hi lbert Space and Their Applications to

Aηalysis.

New York

Aηzero

Math. Soc.

1932

14. Taylor , A. E. Introduction to Functional A. nal:ysis.

Nezν

York. john IViley Co.. 1958 15. Sc hwariz , L.

Til낭orie

des distributions , I , II

Herman χ

1950

Bibliography II (papers)

1. Ba nach. S. , Steinhaus. H. Sur Ie principe dela condensation de

singularit 깅s.

Fund Math.. 9(1 927),

ψP·51-57

2. Dieudonne , ].. La

dμalite

dans les espaees l'eetoriels , topolrJgiques.

Anχ scieπ

de l ’ Ecole Normale Sup.. ser. 3 , 59 (1942) , PP· /0 7-13 .9

3. Dicudonne. J., and Sc hwarz. ... La dualitdans les espaces (F) et eLF). Ann. de l'

Istitμt

Fourier. l(I 950) , PP.61-101 4. Freudenthal. H. Teilweise geordnete moduln.

Koηiπklijke

Nederlandse Akademie Van

Wetenschappeη

(Amsterdam). vol. 39 (1.9 36) ,

βP·641-51

5. Ge lfand , I. Normierte

riηge. μath.

Sbornik.

N. S. 9 , (1941). pp. 3-23

6. Ka ntorovitch. L. V. Li near operatiolls in semiordered

SPIαces.

Math. Sbornik. N. S. 2 (1937) , pp. 121--65

7. Kolmogorov. A.N. Zur normierbarkeit eines allgemeinen tOPOlogischen linearen Raum- es. Studia

Mt짜h. ν01.5U935),

PP.29-33 8. KOthe , G.

Neμ:begrundung

der T h. eorie der vollkomenen Raume. lvlatlt

Naeh. 4(195]).

pp. 70-80

9. Mackey. G. W. On convex toPological linear spaces , Trans. Amer.

Ma~h.

Soc. 60 (7 946)

pp. 519-3i

10. Namioka , I. Partially ordered linear topo!o- gical spacesMemoir No.24 , A. M.S.

11. von Neumann. ].

Allgemeiηe

Eigenwertteorie Hermitescher

Fuηrktionalol’cratoren.

Math Ann. 102(1 929) , pp. 49-131

12

complete topological sPaces Trans. Amer

,

Afath. Soc. 37(1935 ),

1깨

1-20

13. Sc haefer , H.H. Tei/weise geordnete Vectorra-

μme

I , Math.

Aηη.

135(1958) , 115-141 14 IT , Math

Anη.

138(1959\ 259

-286

i5 m , Math. Ann. 141 (1960) , 113 -142

(i껴

iT

大 學)

참조

관련 문서

영토조항은 제헌 헌법으로부터 답습하여 규정됨으로써 현재의 통일정책과 영토조항은 조화되지 못하고 있다... 大量脫北事態에

One more important lesson is that the overall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struc - tures and laws and regulations has followed the occurrence of HIV

However, the doctrine of the disregard of the corporate entity has only researched in the viewpoint of technical and practical law rather than being

In this article, the issues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circulations are devided two areas, one is openness and the other is offering of adminis-

우슨 學問的 質問 또는 問題에 대해서 알려고 하는 意志 혹은 생각 즉 問題意識올 맑究者가 똑바로 갖고 있을때, 다시 말해서 自己가 選 定한 맑究主題에 包含된

因此,在解读一个城市的文学形象时,我们必须考虑到作家个体的生活经历、生

왜냐하면 여기선 공고가 관보(독일의 경우 원칙적으로 법률보)에서 규정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규칙이 법률과 법규명령을 55) 이 점에서

제20조는 “장기이식에 동의할 수 없는 국가”(person not able to consent to organ removal)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제 21조는 인간신체 일부로부터 경제적 이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