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읽기장애 아동의 단어 재인 설명 변인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읽기장애 아동의 단어 재인 설명 변인 연구"

Copied!
1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읽기장애 아동의 단어 재인 설명 변인 연구

A Study of Contributing Factors in Phonological Awareness to Word Recognition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김 미 경*․서 경 희**

Kim, Mi-KyongSeo, Gyeong-Hee․

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erimently examine phonological awareness,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accuracy in school age reading disability child(N= 23) and chronological age(CA) controls(N= 28), and examine contributing factors to word recognition The results confirmed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of a deficit in phoneme awareness in reading disability children. At both age levels, reading disability children performed more poorly than their CA controls. In general, definite evidence of a deficit in word recognition existed However, at younger age level, phonological awareness is highly related to word recognition. Furthermore, deficit in phoneme awareness contributed independent variation to word recognition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In other words, the literacy skill relied more heavily on phonological coding skills. This study suggested that variation in phoneme awareness is also important for word recognition. Therefore, we need to train phoneme awareness skill to school aged children intensively, systematically to improve their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Key words : reading dis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word recognition 읽기장애 음운인식 단어재인, ,

I 서 론 .

연구의 필요성 1.

춘해대학교 유아특수치료교육과 겸임교수

*

Department of Special Therapeutic Education for Children, Choon Hae College 대구대학교 특수교육학부 치료특수교육전공 교수

**

Department of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Science

Vol. 42, No. 2, pp. 93 109, 2003.

(2)

읽기 장애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들은 읽기 장애의 원인을 설명하려는 원인 연구 혹은 요인 연구와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읽기 장애의 원인과 관련하여 초기의 연구들은 읽기 장애의 원인을 시각적 결함으로 설명하려고 했다 박인숙( , 1986; Orton, 1937; Vellutino, Steger, 그러나 읽기장애 아동들 중 대부분은 시각적 DeSetto, & Phillips, 1975).

문제를 겪고 있지 않았으며(Vellutino, 1975) 시각적 결함을 보완하는 프로 그램에 노출되어도 읽기의 문제가 개선되지 않았다.

최근에는 읽기 장애의 원인을 언어적 결함으로 설명하려는 주장이 제안되었 고 특히 음운 인식(phonological awareness)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제안하 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Abbott, Walton, & Greenwood, 2002;

Brady, Shankweiler, & Mann, 1983; Chard & Dickson, 1999; Wolf &

Bowers, 2000).

음운 인식이란 구어를 구성하고 있는 소리 단위들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문장 은 단어로 단어는 음절로 음절은 음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과 이러한 소리, , 단위들이 조작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운 인식을 바탕. 으로 하여 아동들은 소리와 문자를 대응시키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게 되고 이 능력들이 모두 습득이 되었을 때 비로소 글을 읽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읽기장애 아동들은 일반 아동들에 비해 이러한 음운인식 능력이 현저하게 뒤 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이차숙.( , 1999; 이혜숙, 1997; Blachman, 특히 음운인식 능력 중에서 1994; Siegel, 1993; Wolf & Bowers, 2000).

음소 인식 능력이 현저하게 뒤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Mann &

즉 단어의 음소를 구분하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이 일반 Liberman, 1984).

아동들에 비해 현저하게 뒤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음소 분절과. 음소 결합 등의 음운 인식이 학령기 아동들의 읽기 성취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음운 인식 결손이 읽기 장애의 원인이라는 설득력 있는 증거로는 음운. 인식 기술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를 들 수 있다.

읽기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음운 인식 훈련을 시킨 결과 읽기 능력이 향상된 다는 보고들이 많이 제시되었다(Ackerman & Dykman, 1993; Ball, &

Blachman, 1988; Bradley, & Bryant, 1983; Bryne, & Shotte, 1993;

Cunningham, 1989 Lovett, Steinbeck, & Frijters, 2000; Siegel, 1993;

우리나라에서도 읽기 장애아동들에게 음운 인 Wagner & Torgesen, 1987).

식 훈련을 시킨 결과 읽기의 문제가 개선되었음을 보고하는 다수의 연구들이 있다 김영우( , 2002; 김정애, 2003: 송지연 & 박현숙, 2003; 이원령, 2003).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단어재인과 관련된 음운인식능력의 하위영역을 조사

(3)

하지 않았거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학년에 따른 음운인식 능력과 단어 재인 능력을 알아보 고 음운인식 능력의 하위영역과 단어재인과의 상관관계 음운인식 하위영역, 과 관련한 단어재인의 설명 변인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의 목적 2.

본 연구에서는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의 음운인식 능력과 단어 재인 능력을 비교하고 학령기의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의 단어 재인 능력 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음운인식 능력의 하위영역이 무엇인지를 조사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의 음운인식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1. ?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의 단어 재인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2. ?

음운인식 능력과 단어 재인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가

3. ?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운 인식 검사의 하위 영역이 무엇인가

4. ?

Ⅱ 연구 방법 .

연구 대상 1.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은 부산 지역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2학년, 4학년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이다 일반 아동들은 부산 지역의 초등학교 중에서. 개 학교를 선정한 후 이들 학교의 학년 학년 아동들 중에서 학년 아동

2 2 4 2

명과 학년 아동 명을 무선 표집 하여 선정하였다 이들 일반 아동들은

17 4 11 .

가 이상이며 읽기 성취검사에서 학년 수준에 해당하는 읽기 능력을 보 IQ 85

이는 아동들이다.

읽기장애 아동들은 부산 지역에 소재하는 임의로 선정된 12개의 초등학교 명의 특수 교사들로부터 읽기에 심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의심이 되어 12

추천된 30명의 아동들이다 이들 아동들을 대상으로. K-WISC-III 지능 검사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와 기초 학습 기능 검사 박경숙 윤점룡 박효

( , , , 2001) ( , ,

정, 1989)의 읽기 을 실시하였다 개별 지능 검사 결과I . , 85이상의 지능 지

(4)

수를 보이고 실제 학년과 읽기 의 읽기 성취도 간에I 2학년의 경우 1년 이 상, 4학년의 경우 1.5년 이상 차이가 나는 아동 25명을 1차로 선정하였고 이들 아동들 중에서 그림자음검사 김영태( , 1994)를 통해 조음 문제나 구어에 문제가 있는 2명을 제외하고 23명의 아동들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피험자로 참여한 읽기장애 아동들은 읽기 발달의 초기 단 계인 단어 재인 단계에 문제를 보이는 아동들이다 또한 이들 아동들은 학습. 장애 정의의 제외 준거에 따라 교육 문화적 결손 아동들 정서 장애로 인한, 학습 부진 및 지진 신체 감각적 손상을 보이지 않는 아동들이다, .

장애유무별로 보면 일반 아동들이 2학년이 17 , 4명 학년이 11명으로 총 28명 이고 읽기장애 아동들이 2학년이 14 , 4명 학년이 9명으로 총 23명이다 이를. 학년별로 보면 2학년이 31 , 4명 학년이 20명으로 총 51명이다.

검사 도구 2.

음운인식 능력 검사 1)

이차숙(1999)과 서경희(2001)가 지적한 것처럼 아직까지 우리나라에는 아동 의 음운인식 능력을 사정하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는 관련 문헌 김영우( , 2002; 서경희, 2001; 이차숙, 1999)에서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로 제안된 과제들과 김영우(2002)의 검사 문항을 참고하여 검사 문항을 선정하였다 음운 인식 검사는 그림이나. 글자를 제시한 김영우의 검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음운 인식 검사를 위 해 청각적 정보만 제공하도록 계획되었다 검사의 타당도를 위해 언어 관련. 전문가들에게 음운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 도구의 내용으로서 타당한 지 를 검토를 받았다 음운 인식 검사 내용은 두운 및 각운 이해하기 음절 수. , 세기 음절 및 음소 생략 음소 첨가 음소 대치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총, , , .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 범위는 점이다 하위 과제에 대한 구

70 0-70 .

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두운 및 각운 이해하기 과제 (1)

이 과제는 첫소리 혹은 끝소리가 같은 소리가 나는 단어 찾기 과제로 음소 변별 능력을 알게 해주고 운율에 대한 이해 능력을 조사하는 과제이다 본. 검사를 위해 연구자는 초성과 종성이 같은 단어들을 선정한 후 이들 단어들 을 검사어로 사용하였다 두운이 같은 단어 찾기. 2개 문항과 각운이 같은 단

(5)

어 찾기 2개 문항으로 총 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인 지시사항은 다음과 같다. “지금부터 내가 들려주는 단어와 첫 소리 가 같은 다른 단어가 어느 것인 지 말하면 돼요 먼저 연습해볼까요. ? ‘나비’ 와 첫소리가 같은 단어는 사슴 양말 나무 중 어느 것이지요 끝소리도 이‘ , , ’ . 와 같은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채점은 한 문항당 맞으면. 1점을 주고 틀리면

점을 주었다 점수 범위는 점이다

0 . 0-4 .

음절 수 세기 검사 (2)

검사자가 들려준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음절의 수를 말하게 하는 과제이다.

음절수는 1음절, 2음절, 3음절, 4음절로 구성되어 있는 단어로 총 4개의 항 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정된 항목들은 김영우. (2002)의 연구에서 음절 수세 기 검사 항목으로 사용된 단어들이다 구체적인 지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지금부터 내가 말하는 단어를 잘 듣고 음절이 몇 개인 지 말하면 돼요 먼

“ .

저 연습을 해볼까요. 피카츄 가 몇 음절로 되어 있지요 맞았어요. . 3음절 이지요.” 배점은 한 문항당 맞으면 1 ,점 틀리면 0점을 주어 점수 범위는 0-4 점이다.

음절 및 음소생략 검사 (3)

음절 및 음소생략 과제는 단어에서 특정 음절 및 음소를 생략했을 때 남은 소리를 소리 내어 발음하는 과제이다 음절 생략 검사는. 2음절 이상의 단어 를 들려준 다음 특정 음절을 생략하고 말하게 하는 과제이다 예를 들면 아. , 동으로 하여금 개나리 라고 검사자를 따라 말하게 한 후 끝음절인 리 자를/ / / / 빼고 말하게 요구하거나 첫음절인 개 자를 빼고 말하게 요구하였다 음소 생/ / . 략 검사는 1음절 혹은 2음절 단어를 들려준 후 특정 음소를 생략하고 말하 게 하였다 음소 생략 과제는 아동으로 하여금 거울 의 끝음절의 종성 음소. / / 인 /ㄹ/ 소리를 빼고 말하게 요구하였다 서경희. (2001)는 음소 생략의 경우 한글에서는 초성을 빼고 읽는 것은 다소 어려우므로 주로 종성 생략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하였으나 본 과제에서는 초성 생략도 포함시 켰다 이 과제는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음절 생략 과제가 4문항, 중간 음절 생략 과제가 4문항 끝 음절 생략 과제가, 4문항으로 음절 생략 과 제 문항이 12문항이고 초성 음소 생략 과제가 10문항 종성 음소 생략 과제, 가 10문항이다 음절 수준의 생략을 검사할 때 지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지금부터 소리맞추기 놀이를 할거야 내가 말하는 낱말을 잘 듣고 빼라고

“ .

하는 음절을 빼고 말해보는거야 먼저 나를 따라 해봐. . ‘사탕’. 잘 했어요 이.

(6)

번엔 사 소리를 빼고 남는 소리만 말해보세요‘ ’ . (아동이 맞추면 다음 연습 문제로 넘어가고 틀리면 답을 가르쳐 주고 따라 하게 한다 두 번째 연습 문. 제부터는 두 번째 음절 세 번째 음절을 빼라고만 지시한다, .) 음소 수준의 생 략 과제 검사시 지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지금부터는 음소를 빼는 거야 먼. 저 처음 소리를 빼는 것부터 하는 데 내가 들려주는 낱말을 잘 듣고 처음에 나는 소리를 빼고 말하는 거야 내가 나비 라고 말하고 나서 처음 소리. ‘ ’ ‘ ’ㄴ 을 빼고 말해라고 말하면 아비 라고 말하면 돼 자 연습을 해볼까‘ ’ . ? ‘파도 의’ 를 빼고 말해볼래 아동이 아도 라고 말하면 잘 했다고 칭찬해준다 초성

‘ ’ㅍ . / / .

생략은 어려우므로 처음에 먼저 종성 생략 과제를 수행하여 아동들이 과제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게 한 후 초성 생략 검사를 실시하는 순서로 검사를 실시 하였다 배점은 한 문항당 맞으면. 1 ,점 틀리면 0점을 주어 점수 범위는 0-

점이다 32 .

음소 첨가 검사 (4)

음소 첨가 과제는 받침 없는 단어에 받침을 첨가해서 소리 내어 발음하는 과 제이다 즉 종성이 없는. , 1, 2, 3형의 단어에 종성 받침자 을 첨가해서 발음( ) 하도록 하는 과제이다 예를 들면. , /아 에다가/ “ ”ㅇ 을 붙여서 앙 을 말해보도/ / 록 요구하였다 이 과제는.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지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지금부터 소리 붙이기 놀이를 할거야 내가 말하는 말소리를. 잘 듣고 내가 제시하는 음소를 받침에 붙여서 말해보아요 먼저 나를 따라해. . 가 에 이응 을 붙이면 뭐예요 강 잘 했어요 아동이 맞추면 다음 문제로

‘ ’ ‘ ’ . ‘ ’. .

넘어가고 틀리면 답을 가르쳐 주고 따라 하게 하였다 아동이 바르게 반응한. 문항은 1 ,점 틀리면 0점을 주어 점수 범위는 0-6점이다.

음소 대치 검사 (5)

음소 대치 과제는 단어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을 다른 음소로 바꾸어서 발음, , 하는 과제이다 예를 들면. , “아기 에서” “ ”ㄱ 을 “ ”ㅅ 으로 대치하여 /아시 로/ 발음하도록 요구한다 선정된 문항들은 김영우. (2002)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 항들이다 총. 2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성 대치는. 1, 2, 3, 4, 5, 6 형의 단어의 초성을 바꾸어 발음하는 것으로 12문항으로 되어 있고 중성 대 치는 4, 5, 6형의 단어의 중성을 바꾸어서 발음하는 것으로 6 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종성 대치는. 4, 5, 6형의 단어의 종성을 바꾸어 발음하는 것으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지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지금부터 소

6 . . “

리 바꾸어 말하기 놀이를 할 거야 내가 말한 부분에 제시한 음소를 바꿔 말. 하는 거야 자 먼저 연습을 해볼까요. . ‘바람 의 첫음절 초성’ ‘ ’ㅂ을 ‘ ’ㅁ으로

(7)

바꾸어 발음해 볼래 그래 잘했다. .” 배점은 한 문항당 아동이 바르게 반응한 문항은 1 ,점 틀리면 0점을 주어 점수 범위는 0-24점이다.

단어 재인 검사 2)

단어 재인 검사는 4, 5, 6 형의 1음절로 된 의사 단어를 바르게 읽은 수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의사 단어란 음운론적으로는 실제 의미 단어와 같지만. 실제 사용되는 단어가 아닌 단어이다 문항의 예를 들면. , ‘ ’ ‘ ’ ‘ ’착 록 굼 등이 다 총. 30개의 1음절 의사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절차는 아동에게 의사. 단어 목록을 제시하면서 “여기에 단어들이 적혀 있는 데 이 단어들을 정확히 읽어 볼래 하고 지시하였다 배점은 한 단어 당 아동이 바르게 읽은 단어는” .

점 틀리게 읽으면 점을 주어 점수 범위는 점이다

1 , 0 0-30 .

실험 절차 3.

모든 검사는 학교 도서실에서 개별적으로 실시되었다 피험자가 피곤을 느끼. 지 않도록 2회에 걸쳐 검사가 실시되었다. 첫 회기에는 개인 지능 검사 와 기초 학습 기능 검사 중 읽기 검사가 실시되었다 회기

(K-WISC-III) I . 2

동안에는 피험자로 선발된 아동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능력 검사와 단어 재인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참여하여 아동을 직접 검사한 검사자들은 웍샾을 통해 읽기 능력 검 사와 K-WISC-III 지능 검사 사용에 대한 훈련을 받은 바 있고 또 실제로 아 동을 대상으로 지능 검사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대학원생들이다 본 검사 실. 시 기간은 2002년 5월부터 7월까지였다.

자료 수집 및 처리 4.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각 검사의 채점 기준에 근거하여 점수화한 후 설 정된 연구의 문제별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 문제. 1,2는 학년에 따라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 간에 음운인식 능력과 단어 재인에 차이를 검증하 기 위하여 장애 유무와 학년을 독립 변인으로 하는 2 x 2 이원 변량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3은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 4는 음운 인식 하위 요소 중 단어 재인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설명

(8)

변인을 조사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자료는. SPSS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Ⅲ 연구 결과 .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의 음운인식 능력 비교 1.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의 음운인식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 기 위해 장애 유무와 학년을 독립 변인으로 두 집단의 음운 인식 검사 총점, 을 종속 변인으로 하는 이원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3-1>은 음운인식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이다.

(9)

표 음운 인식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

< 3-1>

장애 유무 학년/ 2학년 4학년 합계

평균 표준편차( ) 평균 표준편차( ) 평균 표준편차( ) 일반 아동 62.06(6085) 68.18(1.94) 64.46(6.20) 읽기 장애 47.14(9.99) 52.33(5.66) 49.17(8.79) 합계 55.32(11.19) 61.05(8.99) 57.57(10.67)

표 음운 인식 검사에 대한 이원 변량 분석 결과표

< 3-2>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장애 유무 2848.421 1 2848.421 1088.387*

학년 385.210 1 385.210 7.730

장애 유무 학년* 2.617 1 2.617 .053

오차 2342.292 47 49.836

*p<.05

표 에서와 같이 장애 유무에 따라 음운 인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

< 3-2>

한 차이가 있었다(F(1, 47)=1088.387, p<.05). 일반 아동 집단의 평균은 총 점은 64.46점인 반면에 읽기장애 아동 집단의 평균은, 49.17점으로 일반 아 동 집단의 음운 인식 점수가 읽기장애 아동 집단보다 높았다 그러나 학년에. 따른 음운인식 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1, 47)=7.730, 학년의 평균과 학년의 평균이 차이가 없었다 또 장애 유무와 학

p>.05). 2 4 .

년 간의 상호 작용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F(1, 47)= .053, 학년과 학년 모두 일반 아동이 읽기장애 아동들보다 음운 인식 점 p>.05). 4 2

수가 높았다.

일반 아동과 읽기장애 아동의 단어 재인 능력 비교 2.

일반 아동과 읽기장애 아동의 단어 재인 능력의 차이를 알기 위해 장애 유무 와 학년을 독립 변인으로, 1음절로 된 의사 단어 읽기 검사 점수를 종속 변 인으로 하는 이원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3-3>는 단어재인검사의 평

(10)

균과 표준편차이다.

표 단어 재인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

< 3-3>

.

장애 유무 학년/ 2학년 4학년 합계

평균 표준편차( ) 평균 표준편차( ) 평균 표준편차( ) 일반 아동 26.47(3.32) 28.45(1.15) 27.25(2.89) 읽기 장애 14.07(8.31) 20.00(6.48) 16.39(8.05) 합계 20.87(8.67) 24.65(6.12) 22.35(7.92)

표 단어 재인 검사에 대한 이원 변량 분석 결과표

< 3-4>

변인 제곱합 자유도 평균 제곱 F

장애 유무 1308.797 1 1308.797 42.960***

학년 188.424 1 188.424 6.185*

장애 유무 학년* 46.829 1 46.829 1.537

오차 1431.891 47 30.466

*p<.05 ; ***p<.001

표 에서와 같이 장애 유무에 따라 단어 재인 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 3-4>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 47)= 42.960, p<.001). 일반 아동 집단의 평균은 점인 반면 읽기장애 아동 집단의 평균은 점으로 일반 아동 집단

27.25 , 16.39

의 단어 재인 점수가 읽기장애 아동 집단보다 높았다 학년에 따른 단어 재. 인 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 47)= 6.185, p<.05). 4학 년이 2학년보다 단어 재인 점수가 더 높았다 그러나 장애 유무와 학년 상호. 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1, 47)= 1.537, p>.05). 4 학년과 2학년 모두 일반 아동이 읽기장애 아동들보다 단어 재인 점수가 더 높았다.

음운인식 능력과 단어 재인 상관관계 분석 결과

3.

(11)

음운인식 능력과 단어 재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단순 적률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간 상관관계는 <표 3-5>,<표 3-6>,<표

과 같다 3-7> .

표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과 단어재인과의 상관관계 분석표

< 3-5>

음운인식 능력 단어 재인

음운인식 능력 .837**

단어 재인

**p<.01

음운인식 능력과 단어 재인 간에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음운인식 능력이 좋은 아동들이 단어를 정확히 더 많이 읽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학년별 장애 유무별 음운 인식 단어 재인 상관관계

< 3-6> , ,

음운인식 대 단어재인

일반아동 2학년 r = .843***

일반아동 4학년 r = .097

읽기장애아동 2학년 r = .655*

읽기장애아동 4학년 r = .641

학년

2 r = .836***

학년

4 r = .804***

일반아동 r = .781**

장애아동 r = .683***

*p<.05 ; **p<.01 ; ***p<.001

표 은 음운 인식과 단어 재인과의 관계를 학년별 장애 유무별 어떤

< 3-6> ,

(12)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음운 인식과 단어 재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학년 학년 일반 아동 읽기장애 아동을 집단 별로 분석한 경우 음운 인식

2 , 4 , ,

과 단어 재인이 모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학년의 경우에는 단어 재인이 음운 인식과 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3)

표 음운인식 하위영역들과 단어재인 상관관계 결과분석

< 3-7>

단어 재인

두운 각운 이해하기/ .104

음절수 세기 .313*

음절 생략 .379**

음소 생략 .732***

음소 첨가 .636***

음소 대치 .806***

*p<.05 ; **p<.01 ; ***p<.001 .

표 에서와 같이 음운 인식 하위 영역과 단어 재인간의 상관 계수는 음

< 3-7>

절 수준에서는 낮았지만 음소 수준에서는 아주 높았다 특히 음운 인식 하위. 영역 중 음소 생략 음소 첨가 음소 대치가 단어 재인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 , 였다.

단어 재인을 설명하는 음운인식의 하위영역 변인 4.

음운 인식 하위 영역들이 단어 재인을 설명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단어 재인 검사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표

< 3-8>

모형 제곱합 자유도 제곱평균 R² F

선형회귀분석 2037.669 1 2037.669 .649 90.606***

잔차 1101.978 49 22.489

합계 3139.647 50

***p<.001

표 단어 재인에 대한 설명력

< 3-9> (N=51)

모형 B Beta F R-square

상수

( ) 177.04

음소 첨가 -25.95 -.599 90.606*** .358

(14)

***p<.001.

표 에서와 같이 음운 인식 하위 영역들이 단어 재인에 유의미한 설명

< 3-8>

력(65%)을 갖고 있었다(F(1, 49)= 90.606 p<.001). 이들 음운 인식 하위 영 역들의 단어 재인에 대한 유의한 설명 변인을 구분하기 위해 단계별 중다회 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표 3-9>와 같이 음소 첨가가 가장 유의한 설명 변인으로 나타났다.

Ⅳ 논 의 .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의 음운인식 능력 비교 1.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의 음운인식 능력 을 논의하면 일반 아동들보다 읽기장애 아동들의 음운인식 능력이 떨어진다.

이는 선행 연구들 백경래( , 1999; 이혜숙, 1998)의 결과와도 일치하며 읽기장 애 아동들의 경우 음운 인식에 문제가 있음이 밝혀졌다.

특기할 만한 사실은 한글과 같이 규칙적인 철자법을 가진 표층 표기 체계의 언어를 사용하는 그리스어 스페인어 독일어권의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 , 동들을 비교한 결과 초등학교, 1학년에서 조차도 음운인식 능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Porpodas, 1999)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까, 지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 간에 음운인식 능력에 차이가 난다는 사 실이다 이러한 결과는 한글의 경우 일반 아동들은. 2학년이 되면 이미 음운 인식 능력이 완성 단계에 이르지만 읽기장애 아동의 경우는, 4학년이 되어도 음운인식 능력 결손이 지속됨을 보여준다.

일반 아동들과 읽기장애 아동들의 단어 재인 능력 비교 2.

단어 재인에서는 4학년 일반 아동 집단이 가장 많이 정확히 읽었고 다음이 학년

2 일반 아동 집단, 4학년 읽기장애 아동 집단, 2학년 읽기장애 아동 집단 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ckerman과 Dykman(1993),

Badian(1996), Felton Wood(1992), Watson과 Willow(1995)가 읽기장애 아동들은 생활 연령이 낮은 아동들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 수준을 보인다고 한 주장과 일치하지만 어린 아동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주장 한 Snowling (1996)외 와 이혜숙(1997)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다.

(15)

단어 재인 검사에서 읽기장애 아동 집단이 더 많은 읽기 오류를 보이는 것은 자소 음소 대응 규칙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가정할 수 있다- (Vellutino, 이렇게 읽기장애 아동들이 자소 음소 대응 규칙 지식이 부족

et al., 1995). -

한 이유는 음소 수준에서의 음운인식 능력이 일반 아동들보다 부족하기 때문 이다(Bruck, 1992). 이것은 읽기장애 아동들이 일반 아동들과 비교했을 때 음운인식 능력이 일반 아동들보다 더 서서히 향상되기 때문이고 부족하기 때 문이다(Mauer & Kamhi, 1996).

음운 인식과 단어 재인과의 상관관계 3.

음운 인식과 단어 재인은 높은 정적 상관이 있다 이것은 음운 인식의 점수. 가 높으면 읽기 검사의 점수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이차숙( , 2000). 이 연구를 통해 음운인식 능력이 읽 기 장애의 원인이라고는 밝힐 수 없지만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과 읽기 능력 사이에는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힐 수 있다.

이러한 상관관계가 학년과 장애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 면 음운 인식이 저학년의 경우에 단어 재인과 높은 상관이 있다 이러한 결. 과는 읽기장애 아동의 단어 재인 능력이 음운인식 능력 결손을 설명하는 데 본 연구의 결과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읽기장애 아동들이 단어 재인. 에서 곤란을 겪는 이유는 그들의 음운인식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초등학교 아동들의 경우에는 음절 단위 보다는 음소 단위의 음운인식 능력이 단어 재인과 관계가 더 높다는 것을 본 연구의 결과는 보여주고 있 다 음운 인식 하위 요인과 읽기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단어 재인은 음. 소 첨가가 가장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에는 읽기에 단어를 음절보다는 음소 단위로 분석하는 능력이 더욱더 요구되 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는 음. 소 분석 능력이 읽기와 상관이 있다고 주장한 Alegia(1982), Foorman(1996), Gathercole (1991), Rosner &

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피험자 Simon(1971), Wagner(1994) .

들이 초등학교 아동들이기 때문에 음절 단위 보다는 음소 단위에서 음운 인 식에 더 곤란을 겪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수준에서는 음소 단위의 음운인식. 능력이 읽기 능력과 상관이 더 높다 따라서 음운인식 능력을 지도할 때 초. 등학생의 경우엔 음절 단위의 음운 인식 지도 보다는 음소 단위의 음운 인식 기술 즉 음소 첨가 대치 생략과 같은 기술들을 지도해야 가장 효과적인 음, , ,

(16)

운 인식 지도가 될 수 있다.

단어 재인 설명하는 음운인식 하위영역 연구 4.

음소 인식이 단어 재인의 중요 설명 변인이다 읽기 장애 학생들이 읽기에서. 곤란을 겪는 이유는 음소 단위에서의 인식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음소 생략 음소 첨가 음소 대치 등 음소 단위에서의 인식. , , 능력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는 단어 재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음. 소 인식 향상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 론적으로 음운인식 능력은 읽기장애 아동들의 단어 재인 능력에 영향을 미치 는 지속적 장애 요인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음운인식 능력이 향상된 만큼 단. 어 재인 능력이 향상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V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읽기장애 아동들의 음운인식 능력은 일반 아동들에 비해 현저하게 뒤떨어 1.

진다 읽기장애 아동들의 음운 인식에서의 결손이 읽기 장애의 기저의 원인. 이라는 가설을 본 연구 결과는 뒷받침한다 읽기장애 아동들의 경우에는. 2 학년과 고학년인 4학년 간에 음운인식 능력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적어도 2 학년까지는 음운인식 능력이 완전하지 않으며 계속해서 발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읽기장애 아동들은 단어 재인에서도 일반 아동에 비해 현저하게 뒤떨어진 2.

다 이는 음운인식 능력과 자소 음소 대응 규칙 지식의 결여로 인한 것으로. - 생각된다.

음운인식 능력은 초등 저학년에서는 단어 재인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다

3. .

음운 인식 하위 영역 중 음절 단위에서의 인식 능력 보다 음소 인식 능력 4.

이 초등학생들의 단어 재인을 더 잘 설명한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 로 하는 음운 인식 향상 프로그램은 음소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17)

참 고 문 헌

강위영 정대영, (2001). 학습 장애아동 교육 서울 형설출판사. :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 (2001). WISC- ,Ⅲ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김미경(2003). 읽기장애아동의 음운처리 능력과 읽기 능력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김영우(2002). 음운인식능력 발달 양상과 단어해독 능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김정애(2003). 음운 인식 훈련이 음운인식 능력과 단어 읽기에 미치는 연구 부산. 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박경숙 윤점룡 박효정, , (1989). 기초학습기능검사 한국교육개발원.

박인숙(1986). 읽기 장애아의 읽기 해독에 있어서 시각적 처리와 음운적 처리에 관 한 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 청구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서경희(2001). 읽기 장애아의 음운 처리 고찰 정서 학습장애 연구. , 17(2), 43-70.

송종용(1999). 한글 읽기장애 아동의 작업 기억 특성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 . 대학교 대학원.

송종용 원호택, (1998). 한글독해장애 아동의 작업 기억 단기 기억 읽기 속도 통사, , , 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 , 17(2), 105-121.

송지연 박현숙, (2003). 음운 인식 과제 훈련이 초등 저학년 읽기 장애 학생의 단어 인지 능력 및 오류 유형에 미치는 효과 언어 청각 임상 연구. , 8(2), 56-77.

윤혜경(1997). 아동의 한글 읽기 발달에 관한 연구 자소 음소 대응 규칙의 터득을. -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

이상로 서봉연 송명자 송영혜, , , (1989). 학습장애 치료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 초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 21, 1-59.

이원령(2003). 음운 인식 훈련이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 인식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

이차숙(1999). 유아의 음운 인식과 읽기 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학 연구. , 37(1), 389-406.

이혜숙(1997).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운처리과정 및 읽기 재인간 비교 연 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Aaron, P. G., Joshi, R. M., & Williams, K. (1999). Not all reading disabilities are alike.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ading, 7, 14-30.

(18)

Abott, M., Walton, C., & Greenwood, C. (2002). Phonemic awareness in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4(4), 20-26.

Ball, E. W., & Blachman, B. A.(1991). Does phonemic awareness training in Kindergarten make a difference in early word recognition and development spelling? Reading Research Quarterly, 26, 49-66.

Blachman, B. A., (1991).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s reading problems:

Clinical applications fo the research in phonological awareness.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12, 51-65.

Bradley, L., & Bryant, P.(1983). Categorizing sounds and learning to read: a causal connection. Nature, 30, 419-421.

Brady, S., Shankweiler, D., & Mann, V. (1983). Speech perception and memory coding in relation to reading ab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35, 345-367.

Bruck, M. (1992). Persistence of dyslexics' phonological awareness deficits.

Developmental Psychology, 28, 874-886.

as, J. P (2000). Reading Difficulties & Dyslexia.

Liberman, I. (1982). A language oriented view of reading and its disabilities.

In Myklebust(Eds.), Progress in Learning Disabilities(Vol. 5, 81-101).

NY: Grune & Stratton.

Naslund,J. C., & Schneider, W. (1996). Kindergarten letter knowledge, phonological skills, and memory processes: relative effects of early literatur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62, 30-59.

Orton, S. T. (1937). Reading, writing, and speech problems in children. New York: Norton.

Siegel, L. S.(1993). Phonological processing deficits as the basis of a reading disability. Developmental Review, 13, 246-257.

Stanovich, K. E.(1988). Expla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yslexic and the garden variety poor reader: The phonological-core variance difference model.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1, 590-604, 612.

Vellutino, F. R., Scanlon, D. M., & Spearing, D.(1995). Semantic and phonological coding in poor and normal reader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59, 76-123.

Vellutino, F, R., Pruzek, R., Steger, J., Kaman, M., & Dessetto, L. (1975).

(19)

Visual form perception in deficit and normal readers as a function of age and orthographic linguistic familiarity. Cortex, 11, 22-30.

Wagner, R, K., Torgesen, J. K., & Rashotte, C. A. (1994). Development of reading related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new evidence of bidirectional casualty from a latent variable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30(1), 73-87.

Watson, C., & Willows, D. M.(1995). Information-Processing Patterns in Specific Reading Disability.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8, 216-231.

Wimmer, H. (1996). The nonword reading deficit in developmental dyslexia:

Evidence from children learning to read Germa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61, 80-90.

Wolf, M., & Bowers, P. A. (1999). The double deficit hypothesis for the developmental dyslexia.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1(3), 415-438.

Wolf, M., Bowers, P. G., & Biddle, K. (2000). Naming-speed processes, timing, and reading: A conceptual review.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3, 387-407.

수치

표 음운 인식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 &lt; 3-1&gt; 장애 유무 학년/ 2 학년 4 학년 합계 평균 표준편차( ) 평균 표준편차( ) 평균 표준편차( ) 일반 아동 62.06(6085) 68.18(1.94) 64.46(6.20) 읽기 장애 47.14(9.99) 52.33(5.66) 49.17(8.79) 합계 55.32(11.19) 61.05(8.99) 57.57(10.67) 표 음운 인식 검사에 대한 이원 변량 분석 결과표 &lt; 3-2&gt;
표 음운인식 하위영역들과 단어재인 상관관계 결과분석 &lt; 3-7&gt; 단어 재인 두운 각운 이해하기/ .104 음절수 세기 .313* 음절 생략 .379** 음소 생략 .732*** 음소 첨가 .636*** 음소 대치 .806*** *p&lt;.05 ; **p&lt;.01 ; ***p&lt;.001

참조

관련 문서

– 단어의 시작 문자를 대문자로 : AverageScore, TotalScore – 단어 사이에 _를 붙인다 : average_score,

다음 제시된 단어 가운데 알맞은 것을 골라 빈 칸을 채우세요.. 지금도 중국인들의 차

초점 효과가 영어 화자에게서 강하게 나타난 것은 한국어 화자의 경우 초점 단어 이후 에 비초점 단어를 발화할 때에는 음높이만 낮추는 경향이 있기에, 비초점

그렇기 때문에 본 장에서는 철자오류 단어와 정상 단어의 편집거리에 대한 통계를 분석하여 철자오류 교정을 위해 한글 편집거리 알고리즘의 정확한 사용 방법을 제

이경옥( 1990) 은 정신지체 아동의 읽기 영역 중에서 단어 재인에 초점을 두고 아동들이 인쇄된 단어를 재인할 때 사용하는 재인 단서들 중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어 듣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개괄적으로 살 펴보고 청자요인중의 하나인 선험지식이 EFL 상황의 우리나라 학습자들의 듣기

비속어 판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단어 의 의미와 형태적인 정보를 학습시켜 단어 임베딩(Word Embedding) 할 수 있는 FastText 모델과 문맥의 흐름을 학습 할

본 논문에서는 단어의 의미적 모호성을 해소하고 효율적인 정보 검색을 위해 한국어 뉴스 기사를 이용하여 LDA 기반 토픽 모델링을 통해 문서 내 주제 분포와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