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in Infratentorial Infarction Patien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in Infratentorial Infarction Patients"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매우 큰 소리가 전정기관을 자극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으며, 이 자극을 통하여 유발되는 반응을 근육에서 기록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1 - 3이 반응을 전정유 발근육전위(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

V E M P )라고 부르며 비교적 쉽게 일관된 파형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의 각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V E M P의 신경전달회로 구성은 소리자극이 전정주머니 를 자극하면 전정신경 및 신경절을 통하여 뇌줄기의 전정 신경핵으로 전달되며 내측전정척수통로 ( m e d i a l vestibulospinal tract)을 통하여 경부근육에 전달되고 외측전정척수신경통로(lateral vestibulospinal tract) 을 통하여 하지의 근육으로 전달된다.4 - 5목빗근에서 기록

한 VEMP 정상적인 파형은 이중모양( b i p h a s i c )을 취하며 처음 13 ms 근처에서 기록되는 양성( p o s i t i v e )파형과 2 3 m s근처에서 기록되는 음성파형( p 1 3 n 2 3 )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형은 음성자극의 동측 근육에서 기록된다.6

위와 같이 V E M P의 신경전달경로는 뇌줄기의 여러 신 경핵 및 통로를 거치나 임상적으로 VEMP 파형의 이상은 주로 전정신경염, 양측성 전정신경 손상, Meniere씨 병, 전정 신경 종양 등의 여러 가지 전정신경계의 질환 환자 에서 주로 보고되었으며,7 - 9 다발성 경화증, 뇌줄기 경색 등의 뇌줄기, 소뇌 경색 환자에서는 보고가 드물다. 저자 들은 급성기 천막하 뇌경색 환자들을 대상으로 VEMP 검 사를 시행하여 VEMP 파형에 이상이 있는지를 밝히고, 그 전기생리학적인 의미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 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1. 대상

2 0 0 5년 1월부터 9월까지 강원대학병원 신경과에 입원 한 뇌경색 환자 중에 발병으로부터 2주 이내의 급성기 환 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공명영상 및 확산자기공명영

천막아래 뇌경색 환자에서 전정유발근육전위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이빈이후과학교실 , 신경외과학교실

김광기・이승환・원준연 ・설호준 ・김성훈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in Infratentorial Infarction Patients

Kwang-Ki Kim, M.D., Seung Hwan Lee, M.D., Jun Yeon Won, M.D.*, Ho Jun Seol, M.D.**, Sung Hun Kim, M.D.

Department of Neurology, Otolaryngology*, Neurosurgery** College of Medicin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VEMP) have been known to useful in documenting abnormality in patients with various vestibular disorders but the studies of VEMP in stroke patients are rare. We recorded VEMP in 17 consec- utive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in the brainstem lesions. All patients underw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we compare VEMP results with the lesion documented by brain imaging. VEMP were defined to be abnormal when they were very asymmetrical (one is 2 times of more as large as the other), or absent in one side. VEMP abnormalities were found in 71%(12/17) of acute infarction patients with brainstem lesions. Most abnormalities found in the ipsilater- al side of the lesion(9/12) but abnormalities in contralateral side of lesion were found in 25%(3/12) of patients.VEMP would be considered a useful complementary neurophysiological tool for the evaluation of brainstem dys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Key Words: VEMP, Infartentrial, Cerebral infarction

Address for correspondence Sung Hun Kim, M.D.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hunchon, Kangwondo, 200-947

Tel: +82-33-258-2413 Fax: +82-33-257-4636 E-mail : marinen@kangwon.ac.kr

(2)

상(Philips 1.5T)을 통하여 천막하 급성기 병변이 확인된 청력이 정상인 환자만 포함시켰다.

2. VEMP 유발 방법

표면 근전도 전극을 환자의 경부 앞쪽의 양측 목빗근 (sternocleidomastoid) 중앙부위에 위치시킨 후, 자세는 앙와위( s u p i n e )로 유지시키고 목을 앞쪽으로 굴곡 시켜 목빗근의 긴장상태로 유지하게 하였다. 피검자는 소리자 극이 들어가는 동안에는 자세를 유지하게 하며 중간에는 휴식을 하였다.

음자극은 95DB nHL의 음조터짐음(tone burst)을 사 용하였으며 사용되며, 한쪽 귀에 0 . 2초의 간격으로 자극 하였다. 음자극의 빈도는 500 Hz로 하였다. 흉골부위에 기준전극을 붙이고 이마부위에 접지전극을 위치시켰다.

얻어진 전위는 증폭 과정을 거쳐 통과거르개(band fil- ter, 30~3000 Hz)를 통과하고 3 0 0번의 평균화( a v e r- a g i n g )를 거쳤다.1 0위의 과정을 반대쪽 귀에서 되풀이 하 였다. 분석 시간은 80 ms로 하였으며 모든 과정은 4회 반복하여 파형이 일관되게 형성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근 전도 기계는 Viking IV D (Nicolet)를 사용하였다.

3. VEMP 이상의 판단기준

V E M P의 파형이 형성되지 않거나 p13-n23 진폭이 양 측에서 2배 이상의 차이가 날 때 이상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모두 1 7명의 환자가 연구 대상으로 포함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6 8세( 4 9 ~ 9 0세)였고, 남자가 1 0명에 여자가 7명 이었다. 발병으로부터 VEMP 검사에 걸린 시간은 평균 5 . 3일( 1일~ 1 2일)이었으며 확산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확 인한 뇌경색의 위치는 중간뇌( m i d b r a i n )가 2례, 교뇌 ( p o n s )가 9례, 연수( m e d u l l a )가 3례, 소뇌가 3례였다.

VEMP 파형의 이상은 총 1 2례에서 관찰되었다. 중간뇌 경색 2례 중 1례, 교뇌 경색 9례 중 7례, 연수 경색 3례 중 2례, 소뇌경색 3례 중 2례에서 이상 소견을 보여 1 7명 중 1 2명의 환자에서(71%) 이상이 관찰되었다. 이상 소견 중 병변의 동측(ipsilateral) 부위에서 이상을 보인 경우가 중간뇌 경색 1례, 교뇌 경색 5례, 연수경색 1례, 소뇌경색 2례였서 1 2명 중에 9명에서 동측에 이상이 관찰되었으며 (75%), 병변의 반대쪽(contralateral) 부위에서 이상 소 견을 보인 경우는 교뇌경색 2례, 연수경색 1례로서 총 3 명이었다(25%). 이상 유형별로 살펴보면 파형 자체가 형 성되지 않은 경우가 중간뇌 경색에서 1례, 뇌교경색에서 6례, 소뇌경색에서 2례, 연수경색에서 1례였으며 반대측 에 비해 파형의 진폭이 저하된 경우가 뇌교경색에서 1례, 연수경색에서 1례였다.(Table 1).

Fig. 1은 교뇌 경색 환자에서 반대측 VEMP 파형에 이 상을 보인 환자의 자기공명영상 및 VEMP 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Fig. 2, 3, 4는 각각 병변의 동측에 VEMP 이상

Figure 1. Example of VEMP abnormality in infratentorial stroke patients. The Diffusion weighted image shows acute ischemic infarction in left pons (left) and no potentials was observed in right side of VEMP recording (right).

Table 1. Number of patients with VEMP abnormalities according to the lesion

midbrain pons cerebellum medulla

total patients 2 9 3 3

VEMP abnormalities 1 7 2 2

ipsilateral 1 5 2 1

contralateral 0 2 0 1

absent 1 6 2 1

asymmetry 0 1 0 1

(3)

을 보인 환자, 병변의 반대측에 이상을 보인 환자, VEMP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던 환자의 자기 공명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고 찰

뇌줄기 병변에서 V E M P의 유용성을 밝힌 연구는 드물

다. Itoh 등의 보고에 의하면1 11 3명의 뇌줄기병변 환자에 서(다발성 경화증 5명, 뇌줄기 출혈 3명, 뇌경색 5명) V E M P를 시행한 결과 9명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다. 7명 의 뇌줄기 뇌졸중 환자(출혈 2명, 경색 5명)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검사한 귀 1 4개 중 1 1개에서 이상 소견을 발견하였다고 보고하였다.1 2본 연구에서도 1 7명 중 1 2명 에서 이상 소견을 보여 과거의 보고와 비슷한 수치를 보

Figure 3. Diffusion weighted MR images of patients who showed contralateral VEMP abnormalities according to the lesion(2 pons, 1 medulla lesion).

Figure 2. Diffusion weighted MR images of patients who showed ipsilateral VEMP abnormalities according to the lesion(1 mid- brain, 2 cerebellum, 5 pons, 1 medulla lesion).

(4)

였으나 본 연구의 경우 환자군의 질환이 뇌경색으로 균일 하고 대상 환자수도 과거 연구보다 많아 뇌줄기 병변 환 자에서 VEMP 검사의 유용성을 밝히는 데 의의가 클 것 으로 사료된다.

V E M P의 신경 전달로는 주로 전정신경핵, 연수등의 뇌 줄기 아래쪽에 있어 교뇌 하부, 연수등의 병변이 있는 환 자에서 주로 이상이 나올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5청각유 발전위(auditory evoked potential)의 경우 주로 뇌줄 기 위쪽(교뇌 상부, 중간뇌)에 신경전달통로가 위치하기 때문에1 3V E M P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환자가 청각유발전 위에서는 정상이 나올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검사를 조합한다면 검사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Itoh 등의 보고는 환자 숫 자가 적어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되며 보 다 많은 환자군에서 정확한 병변 위치를 파악하여 두 검 사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제까지 VEMP 신경전달경로와 무관하 다고 알려진 중간뇌 경색, 소뇌 경색 환자에서도 V E M P의 이상이 발견 되었다. 소뇌 자체는 전정 신경계와 매우 밀 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1 4 소뇌의 이상이 전정신경핵에 영향을 미치고 VEMP 전달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되나 아직 많은 환자 수에서 확인한 결과가 아니라 서 이의 분석에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더 많 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VEMP 경로에 있어 핵상조절(supranuclear control) 기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1 5본 연구의 대상 환 자 중 중간뇌 경색 환자 2례 중 1례에서 이상 소견을 보여 VEMP 파형의 핵상조절 부위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시사 하는 소견을 보였다. 본 연구의 증례가 많지 않아 향후 이

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경우 양측성으로 파형 형성이 되지 않는 경우 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는데 이는 뇌경색 환자의 경우 대부분 고령인 환자가 많고 운동 조절 기능이 떨어진 경 우가 많아 목빗근의 긴장도 유지가 힘든 경우가 많기 때 문이다. 즉 파형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진짜로 형성이 되 지 않는지, 아니면 기술적인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과거의 보고에서 양측성 파형형성 불량 을 이상으로 판단한 것에 대해서는 좀 더 주의 깊은 해석 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결과에서 대부분의 경우는 병변 동측에 이상을 보였 으나 일부에서는 병변과 반대측에 이상 소견을 보였다.

이는 VEMP 신경전달 경로가 동측으로 전달된다는 것에

4 , 1 5반하는 결과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고려할 점은 대

상 환자가 뇌경색이라는 점이다. 연구 환자의 균질성을 위하여 뇌출혈, 종양, 다발성 경화증 등의 변변이 양측성 이고 다발성인 질환을 제외시켰으나 뇌경색 자체에서도 경색이 온 혈관 영역과 손상되는 신경통로가 반듯이 일치 하는 것은 아니다.1 6뇌자기공명영상에 병변이 한 측에 국 한 되도 반듯이 반대측이 정상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간에서 VEMP 전달경로에 대 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양측으로 VEMP 전달 경로 가 존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01. Elidan J, Leibner E, Freeman S, Sela M, Nitzan M, Sohmer H. Short and middle latency vestibular evoked responses to acceleration in man. Electroencephalogr Clin Figure 4. Diffusion weighted MR images of patients who showed no VEMP abnormalities(1 midbrain, 1 cerebellum, 2 pons, 1 medulla lesion).

(5)

Neurophysiol 1991;80:140-145.

02. Colebatch JG, Halmagyi GM, Skuse NF. Myogenic poten- tials generated by a click-evoked vestibulocolic reflex.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4;57:190-197.

03. Di Lazzaro V, Quartarone A, Higuchi K, Rothwell JC.

Short-latency trigemino-cervical reflexes in man. E x p Brain Res 1995;102:474-82.

04. Kushiro K, Zakir M, Sato H, et al. Saccular and utricular inputs to single vestibular neurons in cats. Exp Brain Res 2000;131:406-415.

05. Murofushi T, Halmagyi GM, Yavor RA, Colebatch JG.

Absent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in vestibu- lar neurolabyrinthitis. An indicator of inferior vestibular nerve involvement?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6;122:845-849

06. Li MW, Houlden D, Tomlinson RD. Click evoked EMG responses on sternocleidomastoid muscles: characteristics in normal subjects. J Vestib Res 1999; 9:327-334.

07. OCHI K, Ohashi T, Watanabe S. Vestibular-evoked myo- genic potential in patients with unilateral vestibular neuri- tis: abnormal VEMP and its recovery. J Laryngol Otol 2003;117:104-108.27-334.

08. Wang CP, Hsu WC, Young YH. Vestibular evoked myo- genic potentials in neurofibromatosis 2. Ann Otol Rhinol Laryngol 2005;114:69-73.

09. Rauch SD, Zhou G, Kujawa SG, Guinan JJ, Herrmann BS.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show altered tun- ing in patients with Meniere's disease. Otol Neurotol 2004;25:333-338.

10. Murofushi T, Matsuzaki M, Wu CH. Short tone burst- evoked myogenic potentials on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re these potentials also of vestibular origin?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9;125:660-664.

11. Itoh A, Kim YS, Yoshioka K et al. Clinical study of vestibular-evoked myogenic potentials and auditory brain- stem responses in patients with brainstem lesions Otolaryngol Suppl 2001;545:116-119

12. Chen CH, Young YH.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in Brainstem Stroke L a r y n g o s c o p e 2003;113:990-993

13. Moller AR. Neural mechanisms of BAEP E l e c t r o e n - cephalogr Clin Neurophysiol Suppl.1999;49:27-35.

14. Barmack NH. Central vestibular system: vestibular nuclei and posterior cerebellum Brain Res Bull 2003 Jun 15;60:511-41.

15. Zhou G, Cox LC.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history and overview Am J Audio 2004;13:135-153 16. Brandt T, Steinke W, Thie A, Pessin MS, Caplan LR.

Posterior cerebral artery territory infarcts: clinical features, infarct topography, causes and outcome. Multicenter result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Cerebrovasc Dis 2000;10:170-182.

수치

Figure 1. Example of VEMP abnormality in infratentorial stroke patients. The Diffusion weighted image shows acute ischemic infarction in left pons (left) and no potentials was observed in right side of VEMP recording (right).
Figure 3. Diffusion weighted MR images of patients who showed contralateral VEMP abnormalities according to the lesion(2 pons, 1 medulla lesion).

참조

관련 문서

Prevention of coronary and stroke events with atorvastatin in hypertensive patients who have average or lower-than-average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어떤 거센 태풍이 몰아친다 해도 우리는 잘사는 국민, 따뜻한 사회, 강한 나라를 향해 뚜벅뚜벅 우리의 길을 걸어갈

※ 삼성은 16개 기업 중 스마트폰에 대한 PLI의 FY21 목표를 달성한 유일한 기업 이었으나, 이번 변경으로 인해 Dixon, Lava, Micromax 외에도 iPhone 제조업체

Variou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improve properties of material,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ailway train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speed in the

The locations of aneurysms were middle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Typical trace of pacemaker potentials in current clamping mode (A) and spontaneous inward pacemaker currents in voltage clamping mode at a holding potential of -70 mV

(2002) Rapid development of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s after early

The risk of complicated acute appendicitis should be evaluated in terms of medical factors, including psychi- atric disease entity, psychotropic prescription,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