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적공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적공간"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적공간

적위상

Definition 0.1. {Xα : α ∈ I}를 임의의 집합족이라 하자. Xα들의 적(product) 을 X라 하자. 즉,

X =Y

α∈I

Xα. X의 원소 p는 aα ∈ Xα라 할 때

p =< aα : α ∈ I >

으로 표기한다. 각 α0 ∈ I에 대해 X에서 Xα0로의 사영(projection) πα0은 πα0(< aα: α ∈ I >) := aα0

으로 정의된다.

Definition 0.2. {(Xα, Tα) | α ∈ I}를 위상공간족이라 하고 X를 Xα들의 적이라 하자. X상에서 모든 사영 πα : X → Xα이 연속이 되게 하는 가장 거친 위상 T 을 (치호노프)적위상 (Tychonoff product topology)이라 한다. 적위상 T 를 가지는 적집합 X를 적위상공간(product topological space) 또는 적공간(prouct space)라고 한다.

Example 0.3. 데카르트 평면 R2 = R×R을 생각하자. 역사영 π−11 (a, b)와 π2−1(a, b) 는 R2상의 보통위상의 기저를 이루는 무한히 긴 열린띠 모양의 면분이 된다. 따 라서 R2상의 보통위상은 R2에서 R로의 사영 전체에 의해 생성된 위상이다. 즉, 적위상으로 볼 수 있다.

Theorem 0.4. R2 = R × R상의 보통위상은 적위상이다.

Example 0.5. {Xα : α ∈ I}를 하우스도르프 공간족이라 하고 X를 적공간이라 하자. 점 p =< aα : α ∈ I >와 점 q =< bα : α ∈ I >를 X상의 서로 다른 두 점이라 하자. 그러면 aα0 6= bα0을 만족하는 α0가 존재한다. 가정에 의해 Xα0는 하우스도르프이므로

∃ 열린집합 G, H such that aα0 ∈ G, bα0 ∈ H, G ∩ H = φ 이다. 적공간의 정의에 의해 사영 πα0 : X → Xα0는 연속이다. 따라서 π−1α

0(G)와 πα−10(H)는 각각 p와 q를 포함하는 X의 서로소인 열린부분집합이다. 그러므로 X 가 하우스도르프 공간임을 알 수 있다.

(2)

적위상의 정의부분기저와 정의기저

Theorem 0.6. X1, · · · , Xm을 유한개의 위상공간이라 하고 X를 이들의 적공간 이라 하자. 여기서 X를 집합으로 생각하고 Xi의 열린부분집합 Gi에 대해 X의 부분집합

G1× G2 × · · · × Gm

을 생각하면 이 부분집합들은 X상의 적위상에 대한 기저를 이룬다.

위 정리는 무한적공간의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한적공간에도 적용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기저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Xα : α ∈ I}를 위상공간족이라 하고 X를 적공간이라 하자. Gα0가 Xα0의 열린 부분집합이면

πα−1

0(Gα0) = {p ∈ X | πα0(p) ∈ Gα0} 이다. 따라서

πα−10(Gα0) = Y

α∈I α6=α0

Xα× Gα0

이다. 여기서 위상공간족이 가산이라 하자. 즉,

{Xα : α ∈ I} = {X1, X2, X3, · · · } 이라 하자. 그러면 적공간 X는

X =

Y

n=1

Xn 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X의 원소 p는

p = (a1, a2, a3, · · · ), an∈ Xn 으로 표현된다. 또한

π−1k (Gk) = Y

n∈Nn6=k

Xn× Gk

으로 표현된다.

Theorem 0.7. {Xα : α ∈ I}를 위상공간족이라 하고 X를 적공간이라 하자.

그리고 Gα0가 Xα0의 열린부분집합이라 하자. 이 때 πα−10(Gα0) = Y

α∈I α6=α0

Xα× Gα0

으로 이루어진 X의 부분집합족은 적위상의 부분기저가 된다. 이것을 적위상에 대한 정의부분기저(defining subbase)라 한다.

(3)

Proof. 정의에 의해 X상의 적위상은 모든 사영이 연속이 되게 하는 가장 거친 위 상이다. 따라서 각 좌표공간의 열린부분집합의 역상 전체는 적위상의 부분기저를 이룬다.

Theorem 0.8. {Xα : α ∈ I}를 위상공간족이라 하고 X를 적공간이라 하자.

그리고 Gα0가 Xα0의 열린부분집합이라 하자. 이 때 πα−1

1(Gα1) ∩ · · · ∩ πα−1

m(Gαm) = Y

α6=αα∈I1,··· ,αm

Xα× Gα1 × · · · × Gαm

으로 이루어진 X의 부분집합족은 적위상의 기저가 된다. 이것을 적위상에 대한 정의기저(defining base)라 한다.

Proof. 부분기저에 있는 유한개 원소들의 교집합은 그 위상에 대한 기저를 이룬 다.

Theorem 0.9. 위상공간 Y 에서 적공간 Q

α∈IXα로의 함수 f 가 연속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사영 πα에 대해서 합성사상 πα◦ f :→ Xα가 연속인 것이다.

Proof. 위의 두 정리를 적용하면 자명하다.

Theorem 0.10. 적공간 X = Q

α∈IXα상의 모든 사영 πα : X → Xα는 연속이고 열린사상이다. 즉, 쌍연속이다.

Proof. 적공간의 정의에 의하여 모든 사영은 연속함수이다. 이제 사영이 열린사 상임을 보이면 된다. G가 X의 열린부분집합이라 하자. 임의의 점 p ∈ G에 대해 p ∈ B ⊂ G을 만족하는 정의기저의 원소 B가 존재한다. 따라서 임의의 사영 πα : X → Xα에 대해

πα(p) ∈ πα(B) ⊂ πα(G)

가 성립한다. 그리고 πα(B)는 열린집합이다. 그러므로 πα(G)의 임의의 점 πα(p) 는 πα(G)에 포함되는 열린집합 πα(B)에 속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πα(G)는 열린 집합이다.

Theorem 0.11. 적공간 X = Q

α∈IXα의 점렬 < pn >이 X의 점 q로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사영 πα : X → Xα에 대해서 점렬 < πα(pn) >이 Xα의 점 πα(q)로 수렴하는 것이다.

(4)

Proof. pn→ q라고 가정하자. 사영은 연속함수이므로 πα(pn) → πα(q)이다. 역으로 모든 사영 πα에 대해 πα(pn) → πα(q)라고 가정하자. pn→ q임을 보이기 위해서는 B가 q를 포함하는 X의 정의기저 원소이면

∃ n0 ∈ N such that n > n0 ⇐⇒ pn ∈ B 이 됨을 보이면 된다. 정의기저의 정의에 의해

B = πα−11(Gα1) ∩ · · · ∩ πα−1m(Gαm) 가 되는 Xαk의 열린부분집합 Gαk가 존재한다. q ∈ B이므로

πα1(q) ∈ πα1(B) = Gα1, · · · , παm(q) ∈ παm(B) = Gαm 이다. παk(pn) → παk(q)이므로

∃ nk ∈ N such that n > nk⇐⇒ παk(pn) ∈ Gαk ⇐⇒ pn∈ πα−1

k(Gαk) 이 된다. 이제

n0 := max{n1, n2, · · · , nm} 이라 두면

n > n0 ⇐⇒ pn∈ πα−11(Gα1) ∩ · · · ∩ πα−1m(Gαm) = B 가 된다. 따라서 pn→ q임을 알 수 있다.

Example 0.12. Rα는 보통위상을 가지는 실수집합R을 나타내다고 하자. 첨자집 합을 닫힌구간 I = [0, 1]이라 하고 적공간

X =Y

α∈I

Rα

을 생각하자. 이제 X의 원소 p =< aα : α ∈ I >를 생각하자. 그러면 p는 각 실수 α에 실수 aα을 대응함을 알 수 있다. 즉, p는 첨자집합 I에서 정의된 실함수로 볼 수 있다. 따라서 X는 I에서 정의된 모든 실함수족이 된다. 즉,

X = {p | p : I → R}

이다. X상의 적위상에 대한 정의부분기저를 S라 하자. Gα0를 Rα0의 열린부분집 합이라 하면 S는

π−1α0(Gα0) = Y

α6=α0

Rα× Gα0

형식으로 이루어진 X의 모든 부분집합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Gα0 = (1, 2)라 하면

π−1α

0(Gα0) = {p =< aα : α ∈ I >∈ X | aα ∈ (1, 2)}

(5)

이다. 즉, πα−10(Gα0)는 1 < p(α0) < 2을 만족하는 모든 함수 p : I → R로 이루 어진다. 이제 X상의 적위상의 정의기저를 B라 하자. B의 원소는 S의 유한개의 원소들의 교집합이므로 B ∈ B 에 대해

B = π−1α1(Gα1) ∩ · · · ∩ π−1αm(Gαm)

= Y

α6=α1,··· ,αm

Rα× Gα1 × · · · Gαm

으로 표현된다. 결국 B는 좌표공간 Rαk를 나타내는 수직선상에 있는 열린집합 Gαk를 지나는 모든 실함수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참고) 위상공간들릐 적상에서 우리가 정의한 적위상과 다른 위상을 위상을 정의 할 수 있다. 다음 정리는 이것을 말해 준다.

Theorem 0.13. {(Xα, Tα) | α ∈ I}를 위상공간족이라 하고 X를 Xα들의 적이라 하자. Gα를 Xα의 열린부분집합이라 할 때

Y

α∈I

Gα

으로 이루어진 X의 부분집합 전체는 적집합 X상의 위상의 기저를 이룬다. 이 위상을 box 위상(box topology)이라 한다.

<연습1> X = {a, b, c}상의 위상 T = {X, φ, {a}, {b, c}}와 Y = {u, v}상의 위상 T = {Y, φ, {u}}를 생각하자.

(1) X × Y 상의 적위상에 대한 정의부분기저 S를 결정하여라.

(2) X × Y 상의 적위상에 대한 정의기저 B를 결정하여라.

((1)번 풀이)

X × Y = {(a, u), (a, v), (b, u), (b, v), (c, u), (c, v)}

임을 알수 있다. S는 X의 열린부분집합 G와 Y 의 열린부분집합 H에 대해 π−1X (G) 와 π−1Y (H)로 주어지는 집합족이다. 따라서

πX−1(X) = πY−1(Y ) = X × Y πX−1(φ) = πY−1(φ) = φ πX−1({a}) = {(a, u), (a, v)}

πX−1({b, c}) = {(b, u), (b, v), (c, u), (c, v)}

πY−1({u}) = {(a, u), (b, u), (c, u)}

들이 S의 원소들임을 알 수있다.

((2)번 풀이) B는 S의 유한개의 원소들의 교집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B = {X × Y, φ, {(a, u)}, {(b, u), (c, u)}, {(a, u), (a, v)},

(6)

{(b, u), (b, v), (c, u), (c, v)}, {(a, u), (b, u), (c, u)}}

이다.

<연습2> 적공간 X = Q

α∈IXα의 정의기저의 원소를 B라 하자. 그러면 임의의 사영 πα에 대해 πal(B)는 열린집합임을 보여라.

(풀이) B는 정의기저의 원소이므로 B = Y

α6=α1,··· ,αm

Xα× Gα1 × · · · Gαm

을 만족하는 Xαk의 열린집합 Gαk가 존재한다. 따라서 임의의 사영 πα에 대해

πα(B) =

Xα, α 6= α1, · · · , αm, Gα, α ∈ {α1, · · · , αm} 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πα(B)는 항상 열린집합이다.

치호노프(Tychonoff )의 정리

위상공간 Xα가 어떤 성질 P 를 가지고 있을 때 적공간 X = Q

α∈IXα도 성질 P 를 가지면 그 위상공간의 성질 P 는 적불변(product invariant)라고 한다. 예를 들면 하우스도르프는 적불변이다. 치호노프 (Tychonoff)는 적공간에서 콤팩트성이 적 불변임을 증명하였다.

Theorem 0.14. 콤팩트 공간의 적은 적위상에 대해 콤팩트이다.

Proof. 이 정리의 증명은 소른의 보조정리(Zorn’s Lemma)를 이용하는 우리의 수 준을 넘어서는 내용이므로 생략한다.

(참고) 치호노프의 적정리는 소론의 보조정리와 동치임이 알려져 있다.

Theorem 0.15. (X1, d1), · · · (Xm, dm)을 거리공간이라 하고 p = (a1, · · · , am), q = (b1, · · · , bm)을 적집합

X =

m

Y

k=1

Xk

의 임의의 두 점이라 하자. 그러면 다음의 각 함수는 X상의 거리가 된다.

d(p, q) =p

d1(a1, b1)2+ · · · + dm(am, bm)2

(7)

d(p, q) = max{d1(a1, b1), · · · , dm(am, bm)}

d(p, q) = d1(a1, b1) + · · · , dm(am, bm)

그리고 각 거리에 의해 유도된 X상의 위상은 모두 적위상이 된다.

Proof. 증명은 크게 의미가 없고 정리의 내용이 중요함

Theorem 0.16. {(X1, d1), (X2, d2), · · · }를 거리공간의 가산족이라 하고 p = (a1, a2, · · · ), q = (b1, b2, · · · )을 적집합

X =

Y

k=1

Xk

의 임의의 두 점이라 하자. 함수 d(p, q) =

X

n=1

1 2n

dn(an, bn) 1 + dn(an, bn)

는 X상의 거리가 되고 d에 의해 유도된 위상은 적위상이 된다.

Proof. 증명은 크게 의미가 없고 정리의 내용이 중요함

<연습1> 칸토르집합을 T 라 하자. 이산위상을 가지는 Ai = {0, 2}의 적공간을 Y

i∈N

Ai

생각하자. 그러면 X는 T 와 위상동형임을 보여라.

(풀이) 함수 f : X → T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f ((a1, a2, · · · )) :=

X

i=1

ai

 1 3

i

p = (a1, a2, · · · ) ∈ X이고  > 0이라 하자. 무한급수

X

i=1

 2 3

i

가 수렴하므로

∃ n0 ∈ N such that

X

i=n0+1

 2 3

i

<  이다. X의 부분집합 B를

B = {a1} × {a2} × · · · {an0} × An0+1× An0+2× · · ·

(8)

이라 하자. B는 X상의 적위상의 정의기저의 원소가 되므로 열린집합이다. 그리고 p ∈ B이다. 만일

x = (a1, · · · , an0, bn0+1, bn0+2, · · · ) ∈ B 이면

|f (x) − f (p)| =

X

i=n0+1

(bi− ai) 1 3

i

X

i=n0+1

 2 3

i

< 

이다. 따라서 f 는 연속함수이다. Ai는 유한집합이므로 콤팩트이다. 그러면 치호노 프 정리에 의해 X는 콤팩트 공간이다. 따라서 f 는 콤팩트 공간 X에서 거리공간 T 로의 전단사함수이다. 그러므로 f 는 위상동형이다.

문제 풀이

1. 모든 n ∈ N에 대해 Rn := R 이고 Rw는 Rn의 적이라 하자. 즉, Rw =

Y

n=1

함수 f : R → Rw

f (t) := (t, t, t, · · · )

으로 정의하자. 이 때 Rw이 적위상을가지면 f 는 연속이고 Rw이 box 위상을 가지 면 f 는 연속이 아님을 설명하여라.

(풀이) Rw의 부분집합 B를 B = (−1, 1) ×



−1 2, 1



× · · ·



−1 n, 1



× · · ·

으로 정의하면 B는 box 위상을 가지는 Rw에서 열린집합이다. 그러나 f−1(B) = [0, 1)은 R에서 열린집합이 아니다.

2. (학생들 풀이) X와 Y 가 콤팩트 공간이면 X × Y 도 콤팩트임을 보여라.

3. (학생들 풀이) Xn이 제1가산공간(제2가산공간)이면 적공간 Q

n=1도 제1가산공 간(제2가산공간) 이 됨을 보여라.

4. (학생들 풀이) 위상공간 Xα에 대해 Aα ⊂ Xα이면 Q

α∈IAα ⊂ Q

α∈IXα이다. 이 때

Y

α∈I

Aα =Y

α∈I

Aα, Y

α∈I

int(Aα) ⊃ int(Y

α∈I

Aα) 임을 보여라.

참조

관련 문서

Clustering tall buildings as an urban design strategy preserves open spaces since the development uses “ver- tical” space rather than lateral space.. Further, clustering

The smart home technology connects real space and virtual space, and converts situations in reality into information in a virtual space, and

With regard to the United Nations Register on Objects launched into Outer Space, maintained by the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 under the 1976 Convention

Korean space food development: Ready-to-eat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vegetable, sterilized with high-dose gamma irradiation. Advances

KASI (Korea Astronomy &amp; Space Science Research Institute) Space Geodesy Research Division has developed several GNSS data processing softwares like the quasi

Finally, my dream has come true. After hard training, I am now in space with my crew. Soon after arriving in space, we had dinner. not easy meals in space. First, we tied the

특허무효심판절차 또는 특허이의신청절차에서 정정청구가 있는 경우 정정의 인정 여 부는 무효심판절차 또는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절차에서 함께 심리되는 것이므로, 독립

Space Viewer API를 통해 실제 공간의 사진 정보를 통해 분석된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Space Viewer’는 인테리어 디자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