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 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요 약"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 ․ U ․ M ․ M ․ A ․ R ․ Y

요 약

제1장 서론

이 장에서는 u-City 구현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체계의 틀을 정립하기 위한 연 구의 배경과 목적을 기술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u-City 계획 과 관련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u-City 계획체계의 개념, 특성, 구성요소를 정립한다. 둘째, u-City 계획대상을 u-인프라, u-서비스, u-공간, u-시민으로 설 정하고 각각의 개념정의와 구현방향 및 구현전략을 제시한다. 셋째, u-City 계 획구조로 주체, 범위, 목표, 수립주기, 내용, 집행 등을 새롭게 정비하고 계획위 계별로 중앙정부 차원의 종합계획과 지방정부 차원의 도시계획 및 사업계획의 위상구조를 정립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하여 도시공간의 효율성, 편리성, 자 립성, 쾌적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이 장에서는 연구의 시공간 범위, 내용적 범위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문헌 연구 및 전문가 활용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또한 u-City 관련 선행연구를 검 토하여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본연구와의 차별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제2장 새로운 계획패러다임의 방향

이 장에서는 u-City 계획의 이론적 근거를 찾기 위해 계획패러다임의 변천, 계

(2)

vi

획분야에 정보기술활용 변천, 계획패러다임 변화의 움직임 그리고 계획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등의 내용을 기술하였다. 시대별 계획패러다임의 변천과정은 분 석기준과 시대적 가치관의 적용에 따라 다양하게 정리될 수 있다. 계획패러다임 은 계획 자체를 보는 관점과 계획가의 역할 설정에 따라 달라진다. 도시계획을 단순히 물리적 계획으로 본 1960년대 초반부터 인간의 정주공간 회복을 중시하 기 시작한 1990년대 신 도시주의(New Urbanism)까지의 전체 계획패러다임 변천 과정을 정리하였다.

한편, 20세기 중반 들어 급속도로 발달하기 시작한 정보통신기술은 우리 사회 의 전반적인 활동양식을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변화시켜가고 있다. 정보 화 사회의 도래로 정보기술은 민간의 다양한 사회·경제적 활동분야로까지 그 활 용범위가 넓어져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행정, 정책 및 도시계획 등의 공공부문 에도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196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각 십년 단위로 정보기 술이 도시계획분야에 미친 영향과 역할을 정리해보면, 첫째, 1960년대 - 데이터 구축, 둘째, 1970년대 - 정보화에 의한 정보시스템 구축, 셋째, 1980년대 - 계획가 와 이해당사자간 의사소통의 수단, 넷째, 1990년대 - 지역적 합의도출을 위한 협 의수단, 다섯째, 2000년대 - 정보기술에 의한 생활양식 변화에 대처 등으로 나눠 진다.

현대도시들의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난해하게 얽혀있어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상호 복합적 현대도시문제를 풀기 위해 다양한 해 결방안이 있어 왔다. 첫째, 도시 첨단정보화, 둘째, 시민참여 확대, 셋째, 지속가 능한 도시개발 노력, 넷째, 도시성장관리의 강화, 마지막으로 입체적·통합적 토지 이용관리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해결방안 모색의 기저에는 현대도시문제의 심 각성, 현대 첨단정보기술의 사회 전반적 활용 확대 그리고 20세기 이후 신 도시 주의(New Urbainsm)로 지칭되는 계획패러다임의 흐름에 의한 영향 등이 관련되 어 있다.

향후 도시계획의 방향은 도시의 기본요소를 이해하고 그것들이 얽혀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도시문제들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통합적인 도시문제 해결방

(3)

ⅶ 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도시의 계획부터 건설 그리고 마 지막 운영·관리까지의 전 과정에 첨단정보통신기술의 접목을 통한 책임 있는 계 획체계의 근거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제3장 u-City 구현을 위한 계획체계 개념 정립

이 장에서는 u-City와 u-City 계획체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u-City 계획체 계에 대한 특성과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u-City란 기존 도시공간의 구성요소인 시민, 활동, 시설, 토지에 유비쿼터스 기 술을 적용하여, 지능화, 사이버화, 네트워크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u-City계획은 이와 같은 u-City를 구현하기 위한 실천적 수단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는 개념과 범위가 불분명한 각종 u-City 사업 또는 계획이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u-City 계획을 보다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방향으로 발전시키 기 위한 틀로 u-City 계획체계를 제안하였으며, 개념적인 차원에서는 u-City 계획 체계를 유비쿼터스 공간을 효율적으로 구현, 운영, 관리하기 위한 위상구조, 계획 대상, 비전 및 목표, 내용, 추진주체, 계획수립 및 집행절차 등을 정의한 법제도적 틀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인 차원에서는 u-City 계획체계를 크게 계획대상, 계획구조, 계획위계의 3가지 요소로 정의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u-City 계획체계의 계획대상은 기존 도시공간의 구성요소인 시민, 토지, 시설, 활동을 u- 기술을 이용하여 유비쿼터스화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u-City 계획체 계의 계획구조는 계획이 그 자체로서 완전성을 지니기 위해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적 내용요소를 의미하며 이는 계획주체(who), 계획범 위(where), 계획목표(why), 수립주기(when), 계획내용(what), 계획집행(how) 등과 같은 6가지 요소로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u-City계획이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비전 및 지원책을 제시하고 지방정부 차원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앙 차원의 계획과 지방 차원의 계획이 별도로 존재하는 수직적 위상구조를 가져야 한다. u-City계획의 위상구조는 중앙-지방-사업으로 구성되는 3단구조로 정의하 였다.

(4)

<그림> u-City 계획체계의 구성요소

제4장 u-City 관련계획 및 사례분석

이 장에서는 u-City와 관련된 계획과 법제도를 분석하고,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실제 사례를 살펴보았다. 먼저 u-City 관련계획 및 법제도는 u-City의 계획대 상 영역인 물리적‧비물리적‧정보기술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들 계획 및 법제도의 특정부분이 u-City 구현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는 있으나, 이들 계획 및 법제도는 별도의 고유한 목적과 기능을 가지는 만큼 u-City 구현을 전담하기는 한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u-City 관련계획 및 법제도

(5)

ⅸ 다음으로 u-City 관련사례는 u-부산, u-광교, u-파주‧운정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관련계획 및 사례를 분석한 결과 앞장에서 제시한 u-City 계획체계와 같이 u-City 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틀을 갖추고 접근하는 경우는 없었다. 각 지자체에서 공통 적인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u-City 계획체계의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하여 보면, 현재 각 지자체에서 추진중인 u-City 구현사업은 체계적인 기 준 및 근거 없이 사업이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서는 u-City와 관련된 개별법의 부분적 보완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여 u-City 계획체계 정비방안 마련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5장 u-City 구현을 위한 계획체계 정비방안

이 장에서는 u-City 구현을 위한 계획체계 정비의 기본방향, 4대 계획대상별 구현방안, 계획구조 및 위계별 정비방안과 법제도적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u-City 계획체계의 정비를 위해서는 먼저 정비를 위한 기본방향 설정이 우선되어 야 한다. 본 연구는 첫째, 물리적·비물리적·정보기술계획의 통합, 둘째, 4대 계획 대상의 확대 설정, 셋째, 계획목표, 계획주체, 계획내용, 장소, 기간, 절차 및 재원 등 계획구조의 계획위계별 정립, 마지막으로 2007년 말 현재 국무회의에 의결된

「유비쿼터스도시건설등에관한법률안」과의 조화 등을 계획체계 정비를 위한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였다.

u-City 계획대상별 구현방안에 관하여는, 3장에서 선정한 u-시민, u-공간, u-인 프라 및 u-서비스를 대상으로 개념, 구현방향 및 구현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는 u-City에 대한 4대 계획대상을 그 현실적 실현가능성과 제반 여건 등을 고려하 여 u-인프라, u-서비스, u-공간, u-사람 순으로 제안하였다.

한편, u-City 계획구조의 위계별 정비방안으로서, 본 연구는 계획구조를 계획 주체(who), 계획범위(where), 계획목표(why), 수립주기(when), 계획내용(what), 계 획집행(how)로 설정하고 u-City 종합계획, u-City 기본계획 및 u-City 사업계획 등

(6)

의 계획위계별로 각 위계상 유사 관련계획과의 비교검토 및 u-City계획체계 구현 의 기본방향에 비춰 개별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u-City와 관련된 법제도를 정비하는 방안은 크게 두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첫째, u-City 계획대상 영역과 연관된 개별 법제도를 수정 및 보완하는 방안 둘째, 「유비쿼터스도시의건설등에관한법률안」을 수정 및 보완하는 것이다. 먼 저 u-City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기존의 물리적 계획, 비물리적 계획, 정보기술계 획들의 역할 및 범위를 명확히 하고 이와 관련된 기존 법제도를 정비할 필요성이 있다. u-City의 개념 및 필요성을 반영하여 수정‧보완하되, u-City 구현의 종합적 이고 세부적인 사항은 별도의 u-City 법률을 독립적으로 추가 제정하여 향후 참 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 때 u-City의 구현을 위한 법제도의 역 할은 실질적으로 「유비쿼터스도시의건설등에관한법률안」이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법률안이 내용상 미비되거나 온전한 효력 발휘를 위한 법령으로서의 위상 에 부적절한 내용에 관해 일부 수정 및 개선을 위한 중장기적 권고사항을 제안하 였으며, 이를 단기, 중기, 장기에 걸친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림> u-City 구현을 위한 단계별 법제도 정비방안

(7)

xi 제6장 결론 및 정책건의

이 장에서는 연구의 기대효과, 연구의 특징과 한계, 향후 연구과제와 정책건의 를 정리하였다. 2007년 말 현재 국무회의에 의결된 「유비쿼터스도시건설등에관 한법률안」이 최종 확정되면 이 법률을 근거로 향후 u-City 관련 계획적 수요가 증대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계획체계의 틀을 활용하면 u-City 관련 계획 수립에 대한 불명확함과 혼란을 줄이는데 일조할 것이다.

또한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이 연구는 「유비쿼터스도시건설등에관한법률 안」의 위상, 기본방향과 큰 틀을 공유하면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이에 대한 정 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향후 본 법률안의 단계별 발전방향을 마련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u-City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에는 제반 여건이 성숙되지 못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초연구들을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우선적으로 「유비쿼터스도시건설등에관한법률안」에 명시되어 있는 u-City 관 련 계획 수립을 위한 구체적인 수립전략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 법률(안)이 효과 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u-City 관련 건설지원법제를 전반적으로 정비할 필요 가 있다. 또한, u-City 구현을 위한 수직 수평적 기관간 역할정립, 전담기구 및 조 직체계 개발, 운영지침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u-City 사업이 성 공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 인센티드, 재정․금융지원 등 지원모델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색인어 _ 유비쿼터스, u-City 계획체계, u-City 계획대상, u-City 계획구조

참조

관련 문서

- The Growth Pattern of Taizhou City Based on Ecological Infrastructure, Taizhou City, Zhejiang Province, China.  2002 General Design

물류 RFID 기술을 이용하여 물류의 이동사항, 물류의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예: 생산이력 추적관리, u-물류센터, u-운송,

디지털화된 작업장, 전자해도 및 선박의 통합운항시스템, U-Safety, 지능형

 &gt;MN d#  d#t f fT ;u FFFFFFFFFFFFFFFF .  &gt;MN d#  d#t f fT ;u B*A

Final Energy Consumption by Source Final Energy Consumption by Sector Final Energy Consumption by year Seoul City.. Busan City Daegu City Incheon City Gwangju

컴팩

How can Smart City Technology make our city more favorable.. 12/6,

the Smart City Platform The City Integrated Operation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