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흑색변을 주소로 내원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흑색변을 주소로 내원한"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 68

■ S-11 ■

흑색변을 주소로 내원한 Cameron 궤양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이헌남, 정준원, 김윤재, 김의주, 박성근, 오경용, 이영준

서론: Cameron 궤양은 식도틈새탈장 환자에서 탈장의 경부에 위치한 위 궤양 또는 미란을 의미한다. 1986년 Cameron과 Higgins가 Cameron 궤양이 철 결핍성 빈혈 및 위장관 출혈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최초로 보고한 이후로 현재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저자들은 흑색변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철 결핍성 빈혈을 동반한 Cameron 궤양을 진단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73세 여자환자가 1일전부터 시작된 전신 허약감과 흑색변을 주소로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4년전 고혈압 진단후 아스피린을 포함한 항고혈압제를 복용중 이었으며 기타 약물 복용력은 없었다. 내원 당시 활력징후는 혈압 80/50 mmHg, 맥박 85회/분, 호흡수 20회/분, 체온 36.6℃이었다. 신체검사 에서 결막이 창백하였으며 복부의 압통이나 반발통은 관찰되지 않았다. 직장 수지 검사에서 흑색변이 관찰되었다.혈액 검사에서 혈색소 5.5 g/dL, 헤마토크리트 18.5%, 백혈구 6,560/mm3, 혈소판 457,000/mm3, 평균적혈구용적 70.9 fL, 평균적혈구색소 21.1 pg, 혈청 철 31 μg/dL, 혈청 저장철 2.55 μg/dL, 총 철결합능 464 μg/dL으로 철 결핍성 빈혈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입원후 상부 위장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고 커다란 틈새탈장이 관찰되었으며 탈장의 원위부에 치유기의 궤양이 발견되었다. 현성 출혈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궤양은 원형으로 비교 적 변연부의 경계는 명확하였으며 궤양저는 섬유소로 덮여있었다. 하부위장관 출혈을 감별하기 위해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으며 특이소견 은 보이지 않았다. 환자에게 제산제와 양성자 펌프 억제제, 경구 철분제를 처방하며 농축 적혈구를 수혈하였고 이후 빈혈이 교정되며 전신증 상이 호전되어 입원 5일째 퇴원하였다. 약물복용을 지속하며 6주 후 시행한 추적 내시경검사에서 이전에 관찰되던 궤양은 호전되었고 반흔 이 관찰되었다. 현재 환자는 경구 철분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며 특이증상 없이 외래에서 경과관찰 중이다. 고찰: Cameron 궤양은 틈새탈장 과 관련된 질환으로 급성 및 만성 위장관 출혈, 철 결핍성 빈혈과 동반될 수 있어 조기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 내시경적인 진단이 쉽지 않은 관계로 틈새탈장이 있는 환자에서 탈장의 경부 및 주위 점막에 대해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흑색변으로 내원한 철 결핍성 빈혈 환자에서 Cameron 궤양을 내시경적으로 진단하였으며 양성자 펌프 억제제와 철분 제제 처방후 병변의 치유를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 한다.

■ S-12 ■

캡슐 내시경을 이용해 진단한 전 장을 침범한 호산구성 위장관염 환자 1예

대림성모병원 내과

*성미경, 우성용, 이병호, 안성배, 이장욱, 임상수, 오현종, 박석준

호산구성 위장관염은 호산구의 위장관 침윤과 말초 혈액 호산구혈증, 위장관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호산구 증다증을 보인 전 장을 침범한 호산구성 위장관염 1예를 캡슐 내시경을 이용해 진단하였기에 이를 보고한다. 40세 남자가 7일전부터 시작된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천식이나 알레르기 질환, 약물 복용력은 없었다.활력징후는 혈압 110/70 mmHg, 맥박수는 72회/분, 호흡수는 20회/분, 체온은 36.8℃였다. 복부 검사에서 장음은 경도로 감소되어 있었고 상복부에 전반적으로 중등도의 압통이 있었다. 말초혈액검사에서 백혈구 13200/mm3(호중구 23%), 혈색소 15.4 g/dL, 혈소판 169,000/mm3으로 호산구증가증의 소견을 보였다. 분변 검사와 기생충 특이항체검사는 음성이었으며 혈청 내 총 IgE 항체는 정상 범위였다. 복부 CT에서는 전체 소장, 특히 공장의 장벽비후와 소량의 복수가 관찰되었다.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 상 위 전정부 점막의 다수의 충혈된 점막이 관찰되었으며,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도 S결장과 직장에서 다수의 충혈된 점막이 관찰되었다. 위 전정부 생검 검사에서는 만성 염증이 있었으며 호산구 침윤이 경미하였고 대장 내시경 생검 검사에서 만성 염증 소 견을 보였다.캡슐 내시경 상 공장의 점막 부종, 다수의 출혈성 반점과 점막 충혈이 확인되었다. 입원 4일째부터 prednisolone을 투여하였고 투여 1주 후 증세가 호전되었고 말초혈액 호산구도 0.1%로 감소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위내시경, 캡슐 내시경, 대장 내시경 상 점막의 부종 과 발적이 보였으며 점막의 조직 검사 상 호산구 침윤 증가가 관찰되어, 전 장을 침범한 호산구성 위장관염으로 진단하였다.

참조

관련 문서

[r]

[r]

잠시 쉬면서 현재 위치를 지도

내원 당시의 고막은 정상이었으며, 좌측으로 향하 는 안구진탕이 관찰되었다.. 내원 당시 순음청력검사

상기 본인은 위 내용을 확인하였으며, 위 내용에 위반하는 행동을 하거나 보람장학생으로서 부적절한 행동을 할 시 근로활동이 중단될 수 있음을

환자는 동작 지시를 하였을 때 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제대로 할 수 있었으나 제대로 실행을 하지 못하였다.. 검사자가 먼저 해보 이고 따라해보라고

상기 본인은 위 내용을 확인하였으며, 위 내용에 위반하는 행동을 하거나 보람장학생으로서 부적절한 행동을 할 시 근로활동이 중단될 수 있음을

[참고] 유선에 따른 압력분포는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