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군구 주요고용지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시군구 주요고용지표"

Copied!
7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지역별고용조사

보도자료

보도일시 2021. 8. 24.(화) 12:00 배포일시 2021. 8. 24.(화) 08:30 담당부서 사회통계국 고용통계과

담 당 자 과 장: 김경희(042-481-2264) 사 무 관: 강동환(042-481-2271)

2021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구 주요고용지표

동 자료는 ‘출처 표시’ 및 ‘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일 러 두 기

□ 자료 이용시 유의사항

○ 이 조사 결과는 228개 시군구에 대한 주요 고용지표를 분석한 자료입니다.

* 구지역이 없는 세종특별자치시, 직업군인이 많은 계룡시는 제외 ** 특광역시 구지역에는 기장군, 달성군, 강화군, 옹진군, 울주군이 포함

○ 228개 시군구 고용지표작성을 위해 2019년부터 표본을 확대하였고, 2021년 상반기부터 특광역시 구지역을 포함하여 공표합니다.

○ 본 조사의 표본은 228개 시군구 취업자, 실업자 등을 추정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므로 7개 특광역시 및 9개 도별 집계 결과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2017년 하반기 자료부터 등록센서스에 기반한 인구추계 결과를 바탕으로 집계하고 있으며, 과거 2008년 ~ 2017년 상반기 자료에 대해서도 소급보정을 실시하였습니다.

○ 통계표에 수록된 자료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전체 수치와 표내의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고용률, 실업률 등은 반올림되지 않은 원자료에서 산출하였습니다.

- 통계표 중「-」표시는 해당숫자 없음,「0」은 단위 미만을 나타냅니다.

○ 통계청 공표범위 및 형태와 다르게 이용하거나 분석하면 통계적 신뢰성(예, 표본오차)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 통계자료 제공 안내

○ 세부 통계는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 및 국가통계

포털(KOSIS, http://kosis.kr)을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목 차

□ 시군구 주요고용지표 요약 ··· 1

Ⅰ. 시지역 및 군지역 고용현황

1. 15세이상인구 ··· 4

2.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참가율 ··· 5

3. 취업자 및 고용률 ··· 6

4. 실업자 및 실업률 ··· 11

5. 비경제활동인구 ··· 12

Ⅱ. 특광역시 구지역 고용현황

1.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 15

2. 취업자 및 고용률 ··· 15

3. 실업자 및 실업률 ··· 17

4. 비경제활동인구 ··· 18

Ⅲ. 시군구별 고용특성

1. 취업자 및 고용률 ··· 19

2. 실업률 ··· 28

3. 비경제활동인구 ··· 29

4. 근무지기준 고용 현황 ··· 30

□ 통계표 ··· 38

◇ [부록] 2021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개요 ··· 71

(4)
(5)
(6)

2021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 군 구 주 요 고 용 지 표 요 약

‰

취업자 및 고용률

9개 도 시지역의 취업자는 1,312만 8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45만 9천명 (3.6%)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59.7%로 1.4%p 상승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71.6%), 충청남도 당진시(68.7%), 전라북도 남원시(67.2%) 등에서 높았음

9개 도 군지역의 취업자는 206만 8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만 9천명 (1.4%)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7.3%로 1.4%p 상승

- 경상북도 울릉군(83.7%), 전라북도 장수군(78.8%), 충청남도 청양군 (77.9%) 등에서 높았음

7개 특광역시 구지역의 취업자는 1,089만 8천명, 고용률은 55.4%로 나타났음

- 인천광역시 옹진군(77.7%), 부산광역시 강서구(62.8%), 대전광역시 유성구(60.8%) 등에서 높았음

‰

실업자 및 실업률

9개 도 시지역의 실업자는 48만 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8천명 (1.6%) 증가하였고, 실업률은 3.5%로 전년동기대비 0.1%p 하락

- 경기도 시흥시(5.2%), 경상북도 구미시(4.9%), 경상남도 통영시(4.6%) 등에서 높았음

9개 도 군지역의 실업자는 3만 2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천명(2.2%) 증가하였고, 실업률은 1.5%로 전년동기와 동일

- 경상남도 고성군(3.3%), 경상북도 칠곡군(3.3%), 충청북도 증평군 (3.2%) 등에서 높았음

7개 특광역시 구지역의 실업자는 55만 3천명, 실업률은 4.8%로 나타났음 - 인천광역시 남동구(6.3%), 서울특별시 관악구(6.2%), 부산광역시

동래구(5.8%) 등에서 높았음

(7)

‰

산업 및 직업별 취업자

9개 도 시지역의 산업별 취업자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486만 7천명), 광‧제조업(254만 2천명), 도소매‧음식숙박업(245만 1천명) 순으로 많았음 - 직업별로 보면, 기능·기계조작·조립종사자(289만 1천명),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82만명), 서비스·판매종사자(263만 3천명) 순으로 많았음

9개 도 군지역의 산업별 취업자는 농림어업(75만 1천명), 사업·개인·공공 서비스업(58만 3천명), 도소매‧음식숙박업(29만 3천명) 순으로 많았음 - 직업별로 보면, 농림어업숙련종사자(73만명), 서비스·판매종사자(35만

8천명), 기능·기계조작·조립종사자(30만 9천명) 순으로 많았음

7개 특광역시 구지역의 산업별 취업자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 (451만명), 도소매·음식숙박업(237만 4천명), 전기·운수·통신·금융업 (156만 3천명) 순으로 많았음

- 직업별로 보면,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83만 3천명), 서비스·

판매종사자(239만 7천명), 사무종사자(225만 1천명) 순으로 많았음

‰

근무지기준 고용 현황

9개 도 시지역의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1,250만 6천명, 거주지 15세이상 인구대비 비중은 56.8%로 나타났음

- 경기도 포천시(85.6%), 전라북도 김제시(80.4%), 전라남도 나주시 (80.0%) 등에서 높았음

9개 도 군지역의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236만 8천명, 거주지 15세이상 인구대비 비중은 77.0%로 나타났음

- 경상북도 성주군(102.6%), 전라남도 영암군(99.8%), 경상남도 함안군 (97.3%) 등에서 높았음

7개 특광역시 구지역의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1,122만 9천명, 거주지 15세이상 인구대비 비중은 57.1%로 나타났음

- 서울시 중구(303.9%), 부산시 중구(146.6%), 대구시 중구(137.9%)

등에서 높았음

(8)

【 지역별 경제활동인구 구성】

【9개 도 시지역(77개)】

15세이상인구 2,200만 4천명

경제활동인구 1,361만명

비경제활동인구 839만 3천명

취업자 1,312만 8천명

실업자

48만 3천명

(단위: 천명, %, %p)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증감

15세이상

인 구 21,735 22,004 269 취 업 자 12,668 13,128 459 고용률 58.3 59.7 1.4 실 업 자 475 483 8 실업률 3.6 3.5 -0.1

【9개 도 군지역(77개)】

15세이상인구

307만 3천명

경제활동인구

210만명

비경제활동인구

97만 3천명

취업자

206만 8천명

실업자

3만 2천명

(단위: 천명, %, %p)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증감

15세이상

인 구 3,093 3,073 -20 취 업 자 2,039 2,068 29 고용률 65.9 67.3 1.4

실 업 자 32 32 1

실업률 1.5 1.5 0.0

【7개 특광역시 구지역(74개)】

15세이상인구

1,965만 7천명

경제활동인구

1,145만 1천명

비경제활동인구

820만 6천명

취업자

1,089만 8천명

실업자

55만 3천명

(단위: 천명, %)

2021년 상반기

15세이상인구 19,657

취 업 자 10,898

고용률 55.4

실 업 자 553

실업률 4.8

(9)

2021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 군 구 주 요 고 용 지 표

Ⅰ. 시지역 및 군지역 고용현황

1. 15세이상인구

‰

2021년 상반기 9개 도 시지역의 15세이상인구는 2,200만 4천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26만 9천명(1.2%) 증가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1,099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5만 7천명 (1.5%), 여자는 1,100만 8천명으로 11만 1천명(1.0%) 증가하였음

‰

군지역의 15세이상인구는 307만 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만명(-0.6%) 감소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153만 5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5천명(-0.3%), 여자는 153만 8천명으로 1만 5천명(-1.0%) 감소하였음

< 15세이상인구 >

(단위: 천명, %, %p)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증 감 증감률

시지역 (77개)

‣ 15세이상인구 21,735 22,004 269 1.2

(비 중) (100.0) (100.0) (-)

󰋯 남 자 10,839 10,996 157 1.5 (비 중) (49.9) (50.0) (0.1)

󰋯 여 자 10,896 11,008 111 1.0 (비 중) (50.1) (50.0) (-0.1)

군지역 (77개)

‣ 15세이상인구 3,093 3,073 -20 -0.6

(비 중) (100.0) (100.0) (-)

󰋯 남 자 1,540 1,535 -5 -0.3

(비 중) (49.8) (49.9) (0.1)

󰋯 여 자 1,553 1,538 -15 -1.0 (비 중) (50.2) (50.1) (-0.1)

(10)

2.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참가율

‰

시지역의 경제활동인구는 1,361만명으로 전년동기대비 46만 7천명 (3.6%) 증가하였고, 경제활동참가율은 61.9%로 1.4%p 상승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798만 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9만 3천명 (2.5%), 여자는 562만 7천명으로 27만 4천명(5.1%) 증가하였음

‰

군지역의 경제활동인구는 210만명으로 전년동기대비 3만명(1.4%) 증가하였고, 경제활동참가율은 68.4%로 1.4%p 상승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117만명으로 전년동기대비 9천명(0.8%), 여자는 93만 1천명으로 2만 1천명(2.3%) 증가하였음

<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참가율 >

(단위: 천명, %, %p)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증 감 증감률

시지역 (77개)

‣ 경제활동인구 13,143 13,610 467 3.6

(참 가 율) (60.5) (61.9) (1.4)

󰋯 남 자 7,790 7,983 193 2.5

(참 가 율) (71.9) (72.6) (0.7)

󰋯 여 자 5,353 5,627 274 5.1

(참 가 율) (49.1) (51.1) (2.0)

군지역 (77개)

‣ 경제활동인구 2,071 2,100 30 1.4

(참 가 율) (67.0) (68.4) (1.4)

󰋯 남 자 1,161 1,170 9 0.8

(참 가 율) (75.4) (76.2) (0.8)

󰋯 여 자 910 931 21 2.3

(참 가 율) (58.6) (60.5) (1.9)

(11)

3. 취업자 및 고용률

‰

시지역의 취업자는 1,312만 8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45만 9천명(3.6%)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59.7%로 1.4%p 상승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770만 2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9만 2천명 (2.6%), 여자는 542만 6천명으로 26만 8천명(5.2%) 증가하였음

‰

군지역의 취업자는 206만 8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만 9천명(1.4%)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7.3%로 1.4%p 상승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남자는 115만 1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9천명 (0.8%), 여자는 91만 7천명으로 2만명(2.2%) 증가하였음

< 취업자 및 고용률 >

(단위: 천명, %, %p)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증 감 증감률

시지역 (77개)

‣ 취 업 자 12,668 13,128 459 3.6

(고 용 률) (58.3) (59.7) (1.4)

󰋯 남 자 7,511 7,702 192 2.6

(고 용 률) (69.3) (70.0) (0.7)

󰋯 여 자 5,158 5,426 268 5.2

(고 용 률) (47.3) (49.3) (2.0)

군지역 (77개)

‣ 취 업 자 2,039 2,068 29 1.4

(고 용 률) (65.9) (67.3) (1.4)

󰋯 남 자 1,142 1,151 9 0.8

(고 용 률) (74.2) (75.0) (0.8)

󰋯 여 자 898 917 20 2.2

(고 용 률) (57.8) (59.6) (1.8)

(12)

가. 연령계층별 취업자

‰

시지역의 청년층 취업자는 171만 7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7만 4천명 (4.5%), 고령층 취업자는 388만 7천명으로 30만 2천명(8.4%) 증가하였음

청년층 고용률은 39.5%로 전년동기대비 2.0%p, 고령층 고용률은 50.2%로 1.9%p 상승하였음

‰

군지역의 청년층 취업자는 15만 1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천명(-0.6%) 감소한 반면, 고령층 취업자는 111만 9천명으로 5만 3천명(4.9%) 증가 하였음

청년층 고용률은 38.0%로 전년동기대비 1.8%p, 고령층 고용률은 66.1%로 1.8%p 상승하였음

< 연령계층별 취업자

1)

>

(단위: 천명, %, %p)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증 감 증감률

시지역 (77개)

‣ 취 업 자 12,668 13,128 459 3.6

(고 용 률) (58.3) (59.7) (1.4)

󰋯 청 년 층 1,643 1,717 74 4.5

(고 용 률) (37.5) (39.5) (2.0)

󰋯 고 령 층 3,585 3,887 302 8.4

(고 용 률) (48.3) (50.2) (1.9)

󰋯 15 ~ 64세2) 11,552 11,839 287 2.5

(고 용 률) (63.7) (65.1) (1.4)

군지역 (77개)

‣ 취 업 자 2,039 2,068 29 1.4

(고 용 률) (65.9) (67.3) (1.4)

󰋯 청 년 층 152 151 -1 -0.6

(고 용 률) (36.2) (38.0) (1.8)

󰋯 고 령 층 1,067 1,119 53 4.9

(고 용 률) (64.3) (66.1) (1.8)

󰋯 15 ~ 64세2) 1,492 1,477 -16 -1.1

(고 용 률) (71.5) (72.5) (1.0)

1) 청년층은 15~29세, 고령층은 55세 이상을 기준으로 집계하였음 2) 15∼64세는 OECD 국가간 비교 목적으로 작성

(13)

나.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

시지역의 임금근로자는 991만명으로 전년동기대비 44만 9천명(4.8%), 비임금근로자는 321만 8천명으로 1만명(0.3%) 증가하였음

임금근로자 비중은 75.5%로 전년동기대비 0.8%p 증가하였음

‰

군지역의 임금근로자는 97만 7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4만 7천명(5.1%) 증가한 반면, 비임금근로자는 109만 2천명으로 1만 8천명(-1.6%) 감소 하였음

임금근로자 비중은 47.2%로 전년동기대비 1.6%p 증가하였음

<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

(단위: 천명, %, %p)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증 감 증감률

시지역 (77개)

‣ 취 업 자 12,668 13,128 459 3.6

(비 중) (100.0) (100.0) (-)

󰋯임금근로자 9,460 9,910 449 4.8

(비 중) (74.7) (75.5) (0.8)

󰋯비임금근로자 3,208 3,218 10 0.3

(비 중) (25.3) (24.5) (-0.8)

군지역 (77개)

‣ 취 업 자 2,039 2,068 29 1.4

(비 중) (100.0) (100.0) (-)

󰋯임금근로자 929 977 47 5.1

(비 중) (45.6) (47.2) (1.6)

󰋯비임금근로자 1,110 1,092 -18 -1.6

(비 중) (54.4) (52.8) (-1.6)

(14)

다. 산업별 취업자

‰

시지역의 산업별 취업자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486만 7천명), 광‧제조업(254만 2천명), 도소매‧음식숙박업(245만 1천명) 순으로 많았으며,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전기·운수·통신·금융에서 전년동기대비 각각 28만명(6.1%), 5만 9천명(4.2%) 증가하였음

‰

군지역의 산업별 취업자는 농림어업(75만 1천명),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58만 3천명), 도소매‧음식숙박업(29만 3천명) 순으로 많았으며,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서 전년동기대비 4만 7천명(8.8%) 증가한 반면, 농림어업에서는 1만 5천명(-1.9%) 감소하였음

< 산업별 취업자 >

(단위: 천명, %)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비중) (비중) 증 감 증감률

시지역 (77개)

‣ 전체 12,668 (100.0) 13,128 (100.0) 459 3.6

󰋯농림어업 825 (6.5) 822 (6.3) -3 -0.3

󰋯광·제조업 2,491 (19.7) 2,542 (19.4) 52 2.1

󰋯건설업 927 (7.3) 975 (7.4) 48 5.1

󰋯도소매·음식 숙박업 2,427 (19.2) 2,451 (18.7) 23 1.0 󰋯전기·운수·통신·금융업 1,412 (11.1) 1,471 (11.2) 59 4.2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4,587 (36.2) 4,867 (37.1) 280 6.1

군지역 (77개)

‣ 전체 2,039 (100.0) 2,068 (100.0) 29 1.4 󰋯농림어업 766 (37.5) 751 (36.3) -15 -1.9

󰋯광·제조업 220 (10.8) 222 (10.7) 2 0.7

󰋯건설업 107 (5.3) 111 (5.4) 4 3.8

󰋯도소매·음식 숙박업 299 (14.7) 293 (14.2) -6 -2.0 󰋯전기·운수·통신·금융업 112 (5.5) 109 (5.3) -3 -2.9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535 (26.2) 583 (28.2) 47 8.8

(15)

라. 직업별 취업자

‰

시지역의 직업별 취업자는 기능·기계조작·조립종사자(289만 1천명),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82만명), 서비스·판매종사자(263만 3천명) 순으로 많았으며,

단순노무종사자, 사무종사자에서 전년동기대비 각각 21만 3천명(14.3%), 8만 3천명(3.7%) 증가하였음

‰

군지역의 직업별 취업자는 농림어업숙련종사자(73만명), 서비스·판매 종사자(35만 8천명), 기능·기계조작·조립종사자(30만 9천명) 순으로 많았으며,

농림어업숙련종사자는 전년동기대비 1만 5천명(-2.0%) 감소한 반면, 단순노무종사자는 4만 1천명(16.7%) 증가하였음

< 직업별 취업자 >

(단위: 천명, %)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비중) (비중) 증 감 증감률

시지역 (77개)

‣전체 12,668 (100.0) 13,128 (100.0) 459 3.6 󰋯관리자·전문가및관련종사자 2,772 (21.9) 2,820 (21.5) 48 1.7 󰋯사무종사자 2,219 (17.5) 2,302 (17.5) 83 3.7 󰋯서비스·판매종사자 2,577 (20.3) 2,633 (20.1) 56 2.2 󰋯농림어업숙련종사자 785 (6.2) 787 (6.0) 1 0.2 󰋯기능·기계조작·조립종사자 2,833 (22.4) 2,891 (22.0) 58 2.1 󰋯단순노무종사자 1,483 (11.7) 1,695 (12.9) 213 14.3

군지역 (77개)

‣전체 2,039 (100.0) 2,068 (100.0) 29 1.4 󰋯관리자·전문가및관련종사자 169 (8.3) 172 (8.3) 3 1.9 󰋯사무종사자 214 (10.5) 212 (10.2) -2 -1.0 󰋯서비스·판매종사자 358 (17.5) 358 (17.3) 0 0.0 󰋯농림어업숙련종사자 745 (36.6) 730 (35.3) -15 -2.0 󰋯기능·기계조작·조립종사자 307 (15.0) 309 (14.9) 2 0.7 󰋯단순노무종사자 247 (12.1) 288 (13.9) 41 16.7

(16)

4. 실업자 및 실업률

‰

시지역의 실업자는 48만 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8천명(1.6%) 증가하였고, 실업률은 3.5%로 전년동기대비 0.1%p 하락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28만 1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천명(0.6%), 여자는 20만 2천명으로 6천명(3.1%) 증가하였음

‰

군지역의 실업자는 3만 2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천명(2.2%) 증가 하였고, 실업률은 1.5%로 전년동기와 동일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1만 9천명으로 전년동기와 동일한 반면, 여자는 1만 3천명으로 1천명(6.4%) 증가하였음

< 실업자 및 실업률 >

(단위: 천명, %, %p)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증 감 증감률

시지역 (77개)

‣ 실 업 자 475 483 8 1.6

(실 업 률) (3.6) (3.5) (-0.1)

󰋯 남 자 279 281 2 0.6

(실 업 률) (3.6) (3.5) (-0.1)

󰋯 여 자 196 202 6 3.1

(실 업 률) (3.7) (3.6) (-0.1)

군지역 (77개)

‣ 실 업 자 32 32 1 2.2

(실 업 률) (1.5) (1.5) (0.0)

󰋯 남 자 19 19 0 -0.5

(실 업 률) (1.6) (1.6) (0.0)

󰋯 여 자 13 13 1 6.4

(실 업 률) (1.4) (1.4) (0.0)

(17)

5. 비경제활동인구

‰

시지역의 비경제활동인구는 839만 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9만 9천명 (-2.3%) 감소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301만 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3만 6천명, 여자는 538만명으로 16만 2천명 감소하였음

‰

군지역의 비경제활동인구는 97만 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5만명 감소 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36만 5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4천명, 여자는 60만 8천명으로 3만 5천명 감소하였음

< 비경제활동인구 >

(단위: 천명, %)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증 감 증감률

(비중) (비중)

시지역 (77개)

‣ 전 체 8,592 (100.0) 8,393 (100.0) -199 -2.3 󰋯남 자 3,049 (35.5) 3,013 (35.9) -36 -1.2 󰋯여 자 5,543 (64.5) 5,380 (64.1) -162 -2.9

군지역 (77개)

‣ 전 체 1,022 (100.0) 973 (100.0) -50 -4.9 󰋯남 자 379 (37.1) 365 (37.5) -14 -3.7 󰋯여 자 643 (62.9) 608 (62.5) -35 -5.5

가. 연령계층별 비경제활동인구

‰

시지역의 연령계층별 비경제활동인구는 60세이상(323만 6천명), 15~29세 (246만 4천명) 순으로 많았으며,

60세이상은 전년동기대비 5만 7천명(1.8%) 증가한 반면, 15~29세는

11만 2천명(-4.3%) 감소하였음

(18)

‰

군지역의 연령계층별 비경제활동인구는 60세이상(51만 8천명), 15~29세 (23만 5천명) 순으로 많았으며,

15~29세, 60세이상에서 전년동기대비 각각 2만 1천명(-8.3%), 1만 5천명 (-2.8%) 감소하였음

< 연령계층별 비경제활동인구 >

(단위: 천명, %, %p)

전체 15~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이상

시지역 (77개)

2020년 상반기 8,592 2,575 862 928 1,048 3,179 (비중) (100.0) (30.0) (10.0) (10.8) (12.2) (37.0) 2021년 상반기 8,393 2,464 801 900 993 3,236 (비중) (100.0) (29.4) (9.5) (10.7) (11.8) (38.5)

증 감 -199 -112 -61 -28 -55 57

(비중) (-) (-0.6) (-0.5) (-0.1) (-0.4) (1.5)

증감률 -2.3 -4.3 -7.1 -3.0 -5.3 1.8

군지역 (77개)

2020년 상반기 1,022 257 72 69 93 532

(비중) (100.0) (25.1) (7.0) (6.7) (9.1) (52.1)

2021년 상반기 973 235 63 67 89 518

(비중) (100.0) (24.2) (6.5) (6.9) (9.1) (53.2)

증 감 -50 -21 -9 -1 -4 -15

(비중) (-) (-0.9) (-0.5) (0.2) (0.0) (1.1) 증감률 -4.9 -8.3 -11.8 -2.0 -4.3 -2.8

(19)

나.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

‰

시지역의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가사(358만 1천명), 재학·진학준비(178만 9천명) 순으로 많았으며,

재학·진학준비, 육아·가사에서 전년동기대비 각각 7만 3천명(-3.9%), 5만 4천명(-1.5%) 감소하였음

‰

군지역의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가사(38만 7천명), 연로 (17만명) 순으로 많았으며,

연로에서 전년동기대비 5천명(2.8%) 증가한 반면, 육아·가사에서 3만 5천명(-8.3%) 감소하였음

<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 >

(단위: 천명, %, %p)

전체 재학·진학준비 연로 육아·가사 기타1)

시지역 (77개)

2020년 상반기 8,592 1,862 915 3,636 2,179 (비중) (100.0) (21.7) (10.6) (42.3) (25.4) 2021년 상반기 8,393 1,789 933 3,581 2,089 (비중) (100.0) (21.3) (11.1) (42.7) (24.9)

증 감 -199 -73 18 -54 -89

(비중) (-) (-0.4) (0.5) (0.4) (-0.5)

증감률 -2.3 -3.9 2.0 -1.5 -4.1

군지역 (77개)

2020년 상반기 1,022 178 166 422 257

(비중) (100.0) (17.4) (16.2) (41.3) (25.1)

2021년 상반기 973 163 170 387 252

(비중) (100.0) (16.8) (17.5) (39.8) (25.9)

증 감 -50 -15 5 -35 -5

(비중) (-) (-0.6) (1.3) (-1.5) (0.8)

증감률 -4.9 -8.2 2.8 -8.3 -1.9

1) 기타는 취업준비, 심신장애, 군입대대기, 쉬었음 등이 포함됨

(20)

Ⅱ. 특광역시 구지역 고용 현황

1.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

특광역시 구지역의 15세이상인구는 1,965만 7천명, 경제활동참가율은 58.3%로 나타났음

성별로 보면, 남자의 경제활동인구는 646만 4천명, 경제활동참가율은 68.1%이며, 여자의 경제활동인구는 498만 7천명, 경제활동참가율은 49.1%으로 나타났음

<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

(단위: 천명, %)

15세이상인구 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비중) (비중)

‣ 전 체 19,657 (100.0) 11,451 (100.0) 58.3 󰋯남 자 9,498 (48.3) 6,464 (56.4) 68.1 󰋯여 자 10,160 (51.7) 4,987 (43.6) 49.1

2. 취업자 및 고용률

‰

특광역시의 취업자는 1,089만 8천명, 성별로 보면 남자 615만 9천명, 여자 473만 9천명으로 나타났음

특광역시의 고용률은 55.4%이며, 성별로 보면 남자 64.8%, 여자 46.7%로 나타났음

< 취업자 및 고용률 >

(단위: 천명, %)

전체 남자 여자

‣ 취 업 자 10,898 6,159 4,739

(고 용 률) (55.4) (64.8) (46.7)

(21)

가. 연령계층별 취업자

‰

특광역시의 청년층 취업자는 162만 2천명이며, 고령층 취업자는 298만 7천명으로 나타났음

특광역시의 청년층 고용률은 40.5%이며, 고령층 고용률은 41.9%로 나타났음

< 연령계층별 취업자 >

(단위: 천명, %)

전체

청년층1) 고령층1) 15∼64세2)

‣ 취 업 자 10,898 1,622 2,987 10,028

(고 용 률) (55.4) (40.5) (41.9) (62.4)

1) 청년층은 15~29세, 고령층은 55세 이상을 기준으로 집계하였음 2) 15∼64세는 OECD 국가간 비교 목적으로 작성

나.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를 보면, 임금근로자는 860만 8천명, 비임금근로자는 229만 1천명으로 나타났음

전체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은 79.0%를 차지하였음

<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

(단위: 천명, %)

전체

취업자 임금

근로자

비임금

(비중) 근로자 (비중)

‣취업자 10,898 8,608 (79.0) 2,291 (21.0)

(22)

다. 산업 및 직업별 취업자

‰

산업별 취업자를 살펴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 451만명(41.4%), ‘도소매·음식숙박업’ 237만 4천명 (21.8%), ‘전기·운수·통신·금융업’ 156만 3천명(14.3%) 순으로 많았음

‰

직업별 취업자를 살펴보면,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283만 3천명(26.0%), ‘서비스·판매종사자’

239만 7천명(22.0%), ‘사무종사자’ 225만 1천명(20.7%) 순으로 많았음

< 산업 및 직업별 취업자 >

(단위: 천명, %)

산업분류 취업자 직업분류 취업자

(비중) (비중)

‣취업자 10,898 (100.0) ‣취업자 10,898 (100.0)

󰋯농림어업 87 (0.8) 󰋯관리자·전문가및관련종사자 2,833 (26.0) 󰋯광·제조업 1,542 (14.1) 󰋯사무종사자 2,251 (20.7)

󰋯건설업 822 (7.5) 󰋯서비스·판매종사자 2,397 (22.0)

󰋯도소매·음식숙박업 2,374 (21.8) 󰋯농림어업숙련종사자 84 (0.8) 󰋯전기·운수·통신·금융업 1,563 (14.3) 󰋯기능·기계조작·조립종사자 2,045 (18.8)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4,510 (41.4) 󰋯단순노무종사자 1,288 (11.8)

3. 실업자 및 실업률

‰

특광역시 구지역의 실업자는 55만 3천명으로, 성별로 보면 남자 30만 5천명, 여자 24만 8천명으로 나타났음

‰

특광역시 구지역의 실업률은 4.8%로, 성별로 보면 남자 4.7%, 여자 5.0%로 나타났음

< 실업자 및 실업률 >

(단위: 천명, %)

전체 남자 (비중) 여자 (비중)

‣실 업 자 553 305 (55.2) 248 (44.8)

(실 업 률) (4.8) (4.7) - (5.0) -

(23)

4. 비경제활동인구

‰

특광역시 구지역의 비경제활동인구는 820만 6천명으로 나타났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303만 4천명, 여자는 517만 2천명으로 나타났음

< 성별 비경제활동인구 >

(단위: 천명, %)

전체 남자 여자

(비중) (비중)

‣비경제활동인구 8,206 3,034 (37.0) 5,172 (63.0)

연령계층별로 보면 60세이상(349만 2천명), 15~29세(219만 6천명), 50~59세(100만 9천명) 순으로 많았음

< 연령계층별 비경제활동인구 >

(단위: 천명, %)

전체

15~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이상

‣비경제활동인구 8,206 2,196 714 795 1,009 3,492

(비 중) (100.0) (26.8) (8.7) (9.7) (12.3) (42.6)

활동상태별로 보면 육아·가사(343만 7천명), 재학·진학준비(160만 4천명), 연로(102만 4천명) 순으로 많았음

<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 >

(단위: 천명, %)

전체

재학·진학준비 연로 육아·가사 기타1)

‣비경제활동인구 8,206 1,604 1,024 3,437 2,140

(비 중) (100.0) (19.6) (12.5) (41.9) (26.1)

1) 기타는 취업준비, 심신장애, 군입대대기, 쉬었음 등이 포함됨

(24)

Ⅲ. 시군구별 고용특성

1. 취업자 및 고용률

가. 고용률 상·하위 지역

‰

도별 고용률 상·하위 지역간 차이를 살펴보면,

경상북도에서 26.5%p로 크게 나타났으며(울릉군: 83.7%, 경산시: 57.2%), 제주특별자치도에서 6.1%p로 작게 나타났음(서귀포시: 71.6%, 제주시: 65.5%)

< 도별 고용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고용률 하위 지역 고용률 차 이

경기 (31) 이 천 시 65.8 동두천시 52.1 13.7

강원 (18) 인 제 군 72.2 춘 천 시 57.1 15.1

충북 (11) 진 천 군 70.2 제 천 시 59.7 10.5

충남 (15) 청 양 군 77.9 공 주 시 61.5 16.4

전북 (14) 장 수 군 78.8 군 산 시 55.4 23.4

전남 (22) 신 안 군 77.8 목 포 시 56.3 21.5

경북 (23) 울 릉 군 83.7 경 산 시 57.2 26.5

경남 (18) 산 청 군 72.8 통 영 시 55.8 17.0

제주 (2) 서귀포시 71.6 제 주 시 65.5 6.1

‰

특광역시별 고용률 상·하위 지역간 차이를 살펴보면,

인천광역시에서 21.0%p로 크게 나타났으며(옹진군: 77.7%, 남동구: 56.7%), 울산광역시에서 4.7%p로 작게 나타났음(북구: 58.4%, 동구: 53.7%)

< 특광역시별 고용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구 수) 상위 지역 고용률 하위 지역 고용률 차 이

서울 (25) 마 포 구 59.5 강 북 구 51.5 8.0

부산 (16) 강 서 구 62.8 영 도 구 45.2 17.6

대구 (8) 달 성 군 60.3 남 구 48.5 11.8

인천 (10) 옹 진 군 77.7 남 동 구 56.7 21.0

광주 (5) 광 산 구 60.2 북 구 54.8 5.4

대전 (5) 유 성 구 60.8 동 구 51.5 9.3

울산 (5) 북 구 58.4 동 구 53.7 4.7

(25)

나. 고용률 상승 및 하락 지역

‰

도별 고용률 하락 지역을 살펴보면,

경상남도 거제시(-1.9%p), 충청북도 옥천군(-1.5%p), 충청남도 공주시 (-1.5%p) 등에서 하락폭이 크게 나타났음

< 고용률 하락 지역 >

(단위: %, %p)

지역(시군 수)1) 하락 지역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증 감

경기 (31) 가 평 군 62.5 61.1 -1.4

강원 (18) 정 선 군 69.1 68.3 -0.8

충북 (11) 옥 천 군 64.7 63.2 -1.5

충남 (15) 공 주 시 63.0 61.5 -1.5

전북 (14) 장 수 군 79.6 78.8 -0.8

전남 (22) 무 안 군 60.7 59.9 -0.8

경북 (23) 의 성 군 72.3 71.5 -0.8

경남 (18) 거 제 시 59.6 57.7 -1.9

1) 제주특별자치도는 하락 지역 없음

‰

도별 고용률 상승 지역을 살펴보면,

충청북도 증평군(5.9%p), 충청남도 금산군(5.8%p), 강원도 양구군 (4.5%p) 등에서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음

< 고용률 상승 지역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승 지역 2020년 상반기 2021년 상반기 증 감

경기 (31) 여 주 시 59.3 63.2 3.9

강원 (18) 양 구 군 66.5 71.0 4.5

충북 (11) 증 평 군 58.7 64.6 5.9

충남 (15) 금 산 군 60.3 66.1 5.8

전북 (14) 남 원 시 62.8 67.2 4.4

전남 (22) 장 흥 군 67.9 71.9 4.0

경북 (23) 고 령 군 64.7 68.4 3.7

경남 (18) 창 원 시 56.1 59.2 3.1

제주 (2) 제 주 시 62.7 65.5 2.8

※ 특광역시 지역은 2021년부터 자료를 공표하여 고용률 상승/하락 지역 미작성

(26)

다. 취업자 상·하위 지역

‰

도별 취업자 상·하위 지역간 차이를 살펴보면,

경기도에서 58만 6천명으로 크게 나타났으며(수원시 60만 9천명, 연천군 2만 2천명), 제주특별자치도에서 16만 4천명으로 작게 나타났음 (제주시 27만 2천명, 서귀포시 10만 8천명)

< 도별 취업자 상·하위 지역 >

(단위: 천명)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취업자 하위 지역 취업자 차이

경기 (31) 수 원 시 609 연 천 군 22 586

강원 (18) 원 주 시 183 양 구 군 12 171

충북 (11) 청 주 시 443 단 양 군 16 428

충남 (15) 천 안 시 371 청 양 군 22 350

전북 (14) 전 주 시 332 진 안 군 14 317

전남 (22) 여 수 시 145 구 례 군 14 130

경북 (23) 포 항 시 250 울 릉 군 6 244

경남 (18) 창 원 시 522 의 령 군 16 506

제주 (2) 제 주 시 272 서귀포시 108 164

‰

특광역시별 취업자 상·하위 지역간 차이를 살펴보면,

인천광역시에서 26만 8천명으로 크게 나타났으며(서구: 28만명, 옹진군 1만 2천명), 울산광역시에서 8만 1천명으로 작게 나타났음(남구 15만 3천명, 동구 7만 1천명)

< 특광역시별 취업자 상·하위 지역 >

(단위: 천명)

지역(구 수) 상위 지역 취업자 하위 지역 취업자 차이

서울 (25) 송 파 구 321 중 구 65 256

부산 (16) 해운대구 173 중 구 19 154

대구 (8) 달 서 구 268 중 구 37 231

인천 (10) 서 구 280 옹 진 군 12 268

광주 (5) 광 산 구 213 동 구 54 159

대전 (5) 서 구 242 대 덕 구 87 155

울산 (5) 남 구 153 동 구 71 81

(27)

라. 청년층 취업자 비중

‰

도별 취업자의 청년층 비중을 살펴보면,

충청북도 청주시(16.8%), 경기도 수원시(16.7%)가 높았고, 경상북도 봉화군(3.1%), 전라남도 보성군(3.9%)이 낮았음

< 도별 청년층(15~29세) 취업자 비중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비중 비중

경기 (31) 수 원 시 16.7 양 평 군 7.4 9.3

강원 (18) 춘 천 시 14.0 정 선 군 4.2 9.8

충북 (11) 청 주 시 16.8 단 양 군 5.8 11.0

충남 (15) 천 안 시 16.4 서 천 군 4.9 11.5

전북 (14) 전 주 시 12.5 순 창 군 4.5 8.0

전남 (22) 광 양 시 11.3 보 성 군 3.9 7.4

경북 (23) 경 산 시 14.7 봉 화 군 3.1 11.6

경남 (18) 김 해 시 12.3 하 동 군 4.0 8.3

제주 (2) 제 주 시 13.1 서귀포시 8.1 5.0

‰

특광역시별 취업자의 청년층 비중을 살펴보면,

서울특별시 관악구(25.5%), 대전광역시 유성구(18.7%)가 높았고, 인천 광역시 강화군(5.7%), 부산광역시 기장군(9.2%)이 낮았음

< 특광역시별 청년층(15~29세) 취업자 비중 >

(단위: %, %p)

지역(구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비중 비중

서울 (25) 관 악 구 25.5 양 천 구 12.5 13.0

부산 (16) 중 구 16.7 기 장 군 9.2 7.5

대구 (8) 중 구 17.3 수 성 구 9.9 7.4

인천 (10) 미추홀구 16.4 강 화 군 5.7 10.7

광주 (5) 광 산 구 14.4 남 구 11.5 2.9

대전 (5) 유 성 구 18.7 중 구 12.7 6.0

울산 (5) 남 구 12.7 동 구 9.8 2.9

(28)

마. 고령층 취업자 비중

‰

도별 취업자의 고령층 비중을 살펴보면,

경상북도 군위군(69.7%), 전라남도 고흥군(66.7%)이 높았고, 경기도 화성시(20.6%), 충청남도 천안시(23.5%)가 낮았음

< 도별 고령층(55세이상) 취업자 비중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비중 비중

경기 (31) 연 천 군 48.9 화 성 시 20.6 28.3

강원 (18) 횡 성 군 59.1 춘 천 시 31.2 27.9

충북 (11) 보 은 군 62.4 청 주 시 25.6 36.8

충남 (15) 청 양 군 62.2 천 안 시 23.5 38.7

전북 (14) 임 실 군 66.5 전 주 시 30.8 35.7

전남 (22) 고 흥 군 66.7 목 포 시 31.4 35.3

경북 (23) 군 위 군 69.7 구 미 시 25.3 44.4

경남 (18) 산 청 군 64.5 거 제 시 23.9 40.6

제주 (2) 서 귀 포 시 41.5 제 주 시 29.8 11.7

‰

특광역시별 취업자의 고령층 비중을 살펴보면,

인천광역시 강화군(59.8%), 부산광역시 영도구(39.3%)가 높았고, 서울 특별시 관악구(19.9%), 대전광역시 유성구(21.8%)가 낮았음

< 특광역시별 고령층(55세이상) 취업자 비중 >

(단위: %, %p)

지역(구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비중 비중

서울 (25) 도 봉 구 30.8 관 악 구 19.9 10.9

부산 (16) 영 도 구 39.3 강 서 구 23.3 16.0

대구 (8) 서 구 38.7 북 구 27.8 10.9

인천 (10) 강 화 군 59.8 연 수 구 23.4 36.4

광주 (5) 동 구 36.1 광 산 구 23.1 13.0

대전 (5) 동 구 33.0 유 성 구 21.8 11.2

울산 (5) 울 주 군 32.0 북 구 24.0 8.0

(29)

바. 산업별 취업자 비중

‰

도별 취업자의 산업별 비중을 살펴보면,

농림어업 취업자 비중은 전라남도 신안군(66.5%), 광‧제조업은 경상남도 거제시(45.7%), 건설업은 경기도 평택시(13.6%)에서 높았음

도소매‧음식숙박업 취업자 비중은 강원도 속초시(35.1%), 전기‧운수‧통신

‧금융업은 경기도 용인시(18.0%),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은 강원도 태백시 (56.1%)에서 높았음

< 도별 산업별 취업자 비중

1)

>

(단위: %)

지역 농림어업 광·제조업 건설업

도소매·

음식숙박업 전기·운수·

통신·금융업 사업·개인

·공공서비스업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경기 연천군 24.7 시흥시 37.7 평택시 13.6 가평군 32.9 용인시 18.0 과천시 50.7 강원 횡성군 34.4 횡성군 11.6 강릉시 11.1 속초시 35.1 원주시 11.8 태백시 56.1 충북 괴산군 44.1 진천군 39.3 청주시 8.2 충주시 17.9 제천시 11.0 청주시 39.9 충남 청양군 54.4 아산시 33.8 당진시 9.9 보령시 19.7 천안시 9.3 천안시 34.6 전북 고창군 59.1 익산시 19.8 전주시 11.6 전주시 20.8 전주시 10.9 전주시 43.3 전남 신안군 66.5 영암군 22.3 여수시 13.6 목포시 24.0 순천시 10.6 화순군 45.4 경북 성주군 59.6 구미시 36.9 영주시 8.1 영덕군 22.1 울릉군 10.7 울릉군 42.9 경남 산청군 49.5 거제시 45.7 양산시 7.8 통영시 21.3 양산시 11.1 진주시 41.3 제주 서귀포시 30.5 제주시 3.3 제주시 10.3 제주시 23.6 제주시 9.4 제주시 43.2

1) 산업별 비중은 해당 시군의 전체 취업자 기준

‰

특광역시별 취업자의 산업별 비중을 살펴보면,

농림어업 취업자 비중은 인천광역시 강화군(32.6%), 광‧제조업은 울산 광역시 동구(44.6%), 건설업은 서울특별시 금천구(11.5%)에서 높았음

도소매‧음식숙박업 취업자 비중은 부산광역시 중구(32.3%), 전기‧운수‧

통신‧금융업은 서울특별시 마포구(23.1%),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은 서울

특별시 노원구(51.2%)에서 높았음

(30)

< 특광역시별 산업별 취업자 비중

1)

>

(단위: %)

지역 농림어업 광·제조업 건설업

도소매·

음식숙박업 전기·운수·

통신·금융업 사업·개인

·공공서비스업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서울 송파구 0.3 금천구 17.4 금천구 11.5 중 구 30.6 마포구 23.1 노원구 51.2 부산 강서구 5.3 강서구 32.8 금정구 9.3 중 구 32.3 남 구 17.6 연제구 45.4 대구 달성군 7.5 달성군 32.0 서 구 10.2 중 구 27.4 수성구 11.4 수성구 49.4 인천 강화군 32.6 서 구 22.9 미추홀구 10.1 동 구 23.2 중 구 18.8 옹진군 47.9 광주 광산구 3.9 광산구 24.4 북 구 10.7 동 구 22.6 서 구 11.6 동 구 50.4 대전 중 구 2.4 대덕구 18.0 동 구 10.6 동 구 22.7 동 구 13.7 유성구 50.9 울산 울주군 4.1 동 구 44.6 남 구 8.8 남 구 19.5 울주군 11.2 남 구 34.0

1) 산업별 비중은 해당 구의 전체 취업자 기준

사. 직업별 취업자 비중

‰

도별 취업자의 직업별 비중을 보면,

관리자‧전문가 취업자 비중은 경기도 과천시(45.3%), 사무종사자는 경기도 의왕시(24.9%), 서비스‧판매종사자는 강원도 속초시(33.4%)에서 높았음

농림어업숙련종사자 취업자 비중은 전라남도 신안군(66.1%), 기능‧기계 조작‧조립종사자는 경상남도 거제시(37.5%), 단순노무종사자는 전라북도 장수군(27.6%)에서 높았음

< 도별 직업별 취업자 비중

1)

>

(단위: %)

지역 관리자·전문가 사무종사자

서 비 스 ·판 매

종 사 자 농 림 어 업 숙 련

종 사 자 기 능 ·기 계 조 작

·조 립 종 사 자 단순노무 종사자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경기 과천시 45.3 의왕시 24.9 가평군 33.2 연천군 24.2 시흥시 34.8 안성시 17.5 강원 춘천시 22.2 원주시 17.6 속초시 33.4 횡성군 34.0 동해시 21.4 화천군 26.4 충북 청주시 20.3 진천군 19.9 충주시 21.3 괴산군 43.7 진천군 28.7 증평군 17.9 충남 천안시 19.3 천안시 18.6 보령시 22.5 청양군 52.1 아산시 32.4 금산군 16.4 전북 전주시 23.2 전주시 17.5 전주시 24.1 고창군 56.8 군산시 28.2 장수군 27.6 전남 순천시 20.5 무안군 15.3 목포시 27.8 신안군 66.1 광양시 33.3 화순군 23.0 경북 포항시 18.1 울릉군 16.1 울릉군 26.8 성주군 58.4 구미시 34.3 영양군 23.3 경남 진주시 24.6 창원시 16.9 통영시 25.3 산청군 49.1 거제시 37.5 함양군 16.2 제주 제주시 20.7 제주시 16.2 제주시 25.2 서귀포시 28.3 제주시 14.5 서귀포시 15.3

1) 직업별 비중은 해당 시군의 전체 취업자 기준

(31)

‰

특광역시별 취업자의 직업별 비중을 보면,

관리자‧전문가 취업자 비중은 서울특별시 강남구(46.2%), 사무종사자는 서울 특별시 서초구(28.7%), 서비스‧판매종사자는 부산광역시 중구(32.3%)에서 높았음

농림어업숙련종사자 취업자 비중은 인천광역시 강화군(32.1%), 기능‧

기계조작‧조립종사자는 울산광역시 북구(43.4%), 단순노무종사자는 인천광역시 옹진군(33.6%)에서 높았음

< 특광역시별 직업별 취업자 비중

1)

>

(단위: %)

지역 관리자·전문가 사무종사자

서 비 스 ·판 매

종 사 자 농 림 어 업 숙 련

종 사 자 기능·기계조작

·조 립 종 사 자 단순노무 종사자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서울 강남구 46.2 서초구 28.7 중 구 26.8 송파구 0.4 금천구 25.4 강북구 15.1 부산 수영구 25.9 강서구 24.2 중 구 32.3 강서구 4.9 사상구 31.3 동 구 19.0 대구 수성구 31.8 수성구 21.1 중 구 32.3 달성군 7.4 달성군 30.0 서 구 19.6 인천 연수구 28.7 연수구 23.5 부평구 25.4 강화군 32.1 동 구 28.6 옹진군 33.6 광주 남 구 25.2 서 구 21.2 동 구 26.3 광산구 3.4 광산구 28.8 동 구 17.2 대전 유성구 38.0 서 구 21.7 동 구 25.5 중 구 2.2 대덕구 27.9 동 구 18.1 울산 남 구 19.8 남 구 19.3 중 구 22.4 울주군 3.8 북 구 43.4 울주군 14.0

1) 직업별 비중은 해당 구의 전체 취업자 기준

(32)

아. 임금근로자 비중 상·하위 지역

‰

도별 취업자의 임금근로자 비중을 살펴보면,

경기도 수원시(87.9%), 경상남도 거제시(80.5%)가 높았고, 전라남도 신안군(21.6%), 경상북도 의성군(27.2%)이 낮았음

- 임금근로자 비중 상·하위 지역 차이는 전라남도(51.4%p), 경상북도 (46.4%p) 순으로 크게 나타났음

< 도별 임금근로자 비중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비중 하위 지역 비중 차이

경기 (31) 수 원 시 87.9 가 평 군 52.7 35.2

강원 (18) 태 백 시 76.9 철 원 군 44.5 32.4

충북 (11) 청 주 시 80.3 괴 산 군 38.0 42.3

충남 (15) 아 산 시 79.0 청 양 군 33.2 45.8

전북 (14) 전 주 시 76.0 고 창 군 32.8 43.2

전남 (22) 광 양 시 73.0 신 안 군 21.6 51.4

경북 (23) 구 미 시 73.6 의 성 군 27.2 46.4

경남 (18) 거 제 시 80.5 산 청 군 35.9 44.6

제주 (2) 제 주 시 70.9 서 귀 포 시 50.9 20.0

‰

특광역시별 취업자의 임금근로자 비중을 살펴보면,

울산광역시 동구(88.4%), 서울특별시 관악구(85.4%)가 높았고, 인천 광역시 강화군(51.2%)이 낮았음

- 임금근로자 비중 상·하위 지역 차이는 인천광역시(32.2%p), 울산 광역시(14.7%p) 순으로 크게 나타났음

< 특광역시별 임금근로자 비중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구 수) 상위 지역 비중 하위 지역 비중 차이

서울 (25) 관 악 구 85.4 중 구 71.6 13.8

부산 (16) 금 정 구 78.4 해 운 대 구 71.4 7.0

대구 (8) 달 서 구 78.2 북 구 71.8 6.4

인천 (10) 연 수 구 83.4 강 화 군 51.2 32.2

광주 (5) 광 산 구 79.4 동 구 72.6 6.8

대전 (5) 유 성 구 82.0 동 구 77.4 4.6

울산 (5) 동 구 88.4 울 주 군 73.7 14.7

(33)

2. 실업률

‰

도별 실업률 상·하위 지역 간 차이를 살펴보면,

경상북도에서 4.8%p로 크게 나타났으며(구미시: 4.9%, 울릉군: 0.1%), 제주특별자치도에서 1.7%p로 작게 나타났음(제주시: 3.0%, 서귀포시: 1.3%)

< 도별 실업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실업률 하위 지역 실업률 차 이

경기 (31) 시 흥 시 5.2 연 천 군 1.2 * 4.0

강원 (18) 춘 천 시 3.9 평 창 군 0.8 * 3.1

충북 (11) 청 주 시 3.4 보 은 군 0.4 * 3.0

충남 (15) 공 주 시 2.9 태 안 군 0.5 * 2.4

전북 (14) 전 주 시 2.9 진 안 군 0.4 * 2.5

전남 (22) 순 천 시 3.3 진 도 군 0.0 * 3.3

경북 (23) 구 미 시 4.9 울 릉 군 0.1 * 4.8

경남 (18) 통 영 시 4.6 의 령 군 0.8 * 3.8

제주 (2) 제 주 시 3.0 서귀포시 1.3 * 1.7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하여야 함

‰

특광역시별 실업률 상·하위 지역간 차이를 살펴보면,

인천광역시에서 4.3%p로 크게 나타났으며(남동구: 6.3%, 강화군: 2.0%), 대전광역시에서 1.0%p로 작게 나타났음(중구: 3.5%, 유성구: 2.5%)

< 특광역시별 실업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구 수) 상위 지역 실업률 하위 지역 실업률 차 이

서울 (25) 관 악 구 6.2 마 포 구 3.7 2.5

부산 (16) 동 래 구 5.8 영 도 구 4.3 1.5

대구 (8) 동 구 4.9 중 구 2.4 * 2.5

인천 (10) 남 동 구 6.3 강 화 군 2.0 * 4.3

광주 (5) 동 구 3.8 * 서 구 2.6 1.2

대전 (5) 중 구 3.5 유 성 구 2.5 1.0

울산 (5) 동 구 4.9 울 주 군 3.6 1.3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하여야 함

(34)

3. 비경제활동인구

‰

도별 비경제활동인구 비중을 살펴보면,

경기도 동두천시(45.4%), 전라북도 군산시(42.9%)가 높았고, 경상북도 울릉군(16.4%), 전라북도 장수군(20.1%)이 낮았음

< 도별 비경제활동인구 비중 상위 지역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 이

비중 비중

경기 (31) 동두천시 45.4 이 천 시 32.0 13.4

강원 (18) 춘 천 시 40.6 인 제 군 27.0 13.6

충북 (11) 제 천 시 39.1 진 천 군 27.6 11.5

충남 (15) 공 주 시 36.6 청 양 군 20.9 15.7

전북 (14) 군 산 시 42.9 장 수 군 20.1 22.8

전남 (22) 목 포 시 41.8 신 안 군 21.9 19.9

경북 (23) 영 주 시 40.8 울 릉 군 16.4 24.4

경남 (18) 통 영 시 41.5 산 청 군 26.5 15.0

제주 (2) 제 주 시 32.5 서귀포시 27.4 5.1

‰

특광역시별 비경제활동인구 비중을 살펴보면,

부산광역시 영도구(52.8%), 대구광역시 남구(49.5%)가 높았고, 인천 광역시 강화군(33.2%), 부산광역시 강서구(34.1%)가 낮았음

< 특광역시별 비경제활동인구 비중 상위 지역 >

(단위: %, %p)

지역(구 수) 상위 지역 비중 하위 지역 비중 차 이

서울 (25) 강 북 구 45.5 용 산 구 37.3 8.2

부산 (16) 영 도 구 52.8 강 서 구 34.1 18.7

대구 (8) 남 구 49.5 달 성 군 38.1 11.4

인천 (10) 미추홀구 39.6 강 화 군 33.2 6.4

광주 (5) 북 구 43.4 광 산 구 37.4 6.0

대전 (5) 동 구 46.8 유 성 구 37.6 9.2

울산 (5) 중 구 43.6 북 구 38.7 4.9

(35)

4. 근무지기준 고용 현황

가. 근무지 및 거주지기준 지역별 현황

‰

시지역의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1,250만 6천명, 거주지 15세이상 인구대비 비중은 56.8%로 나타남

시지역의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거주지기준 취업자에 비해 62만 1천명 적었음

‰

군지역의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236만 8천명, 거주지 15세이상 인구대비 비중은 77.0%로 나타남

군지역의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거주지기준 취업자에 비해 29만 9천명 많았음

‰

특광역시 구지역의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1,122만 9천명으로, 거주지기준 15세이상 인구 대비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은 57.1%로 나타났음

< 근무지 및 거주지기준 지역별 현황 >

(단위: 천명, %, %p)

근무지기준 취업자1)(A) 거주지기준 취업자(B) 차이(A-B)

(비중)2) (비중)2) (비중)

시 지 역 12,506 (56.8) 13,128 (59.7) -621 (-2.9) 군 지 역 2,368 (77.0) 2,068 (67.3) 299 (9.7) 구 지 역 11,229 (57.1) 10,898 (55.4) 331 (1.7)

1)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근무지(사업체 소재지)를 기준으로 집계한 것임 2) {근무지(또는 거주지)기준 취업자 ÷ 거주지기준 15세이상 인구} × 100

< 참고 > 근무지 및 거주지 동일 취업자 비중

특광역시와 9개 도 단위 근무지 및 거주지가 동일한 취업자 비중은 큰 차이가 없으나, 시군구 단위의 비중은 구지역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남

(단위: %)

시지역 군지역 구지역

7개 특광역시

및 9개 도 87.1 97.7 85.8

228개 시군구 71.1 91.1 42.6

(36)

나. 근무지기준과 거주지기준 취업자

‰

시지역의 근무지기준과 거주지기준의 취업자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거주지기준보다 많은 지역은 경기도 화성시 (8만 4천명), 경상북도 구미시(2만 2천명) 등으로 나타났음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거주지기준보다 적은 지역은 경기도 고양시 (-13만 8천명), 전라북도 전주시(-4만 4천명) 등으로 나타났음

< 시지역 근무지기준

1)

과 거주지기준 취업자 >

(단위: 천명)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많은 지역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적은 지역 근무지기준

(A) 거주지기준

(B) 차이

(A-B) 근무지기준

(A) 거주지기준

(B) 차이

(A-B)

경기 화 성 시 557 473 84 고 양 시 385 523 -138

강원 삼 척 시 36 34 2 춘 천 시 137 143 -6

충북2) - - - - 청 주 시 425 443 -18

충남 아 산 시 204 184 19 천 안 시 353 371 -18

전북 김 제 시 56 44 12 전 주 시 287 332 -44

전남 여 수 시 159 145 14 순 천 시 119 141 -22

경북 구 미 시 234 212 22 포 항 시 248 250 -2

경남 거 제 시 125 116 9 진 주 시 155 176 -21

제주 서귀포시 117 108 9 제 주 시 263 272 -9

1)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근무지(사업체 소재지)를 기준으로 집계한 것임 2) 충북에서는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거주지기준보다 더 많은 시지역이 없음

<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많은 지역 > <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적은 지역 >

(37)

‰

군지역의 근무지기준과 거주지기준의 취업자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거주지기준보다 많은 지역은 충청북도 음성군 (2만 2천명), 경상남도 함안군(1만 9천명) 등으로 나타났음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거주지기준보다 적은 지역은 충청북도 증평군 (-2천명)으로 나타났음

<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많은 지역 >

< 군지역 근무지기준

1)

과 거주지기준 취업자 >

(단위: 천명) 근무지기 준

(A)

거주지기 준 (B)

차이 (A-B)

근무지기 준 (A)

거주지기 준 (B)

차이 (A-B)

경기 가평군 35 32 3 전북 완주군 70 51 19

강원 횡성군 29 26 4 전남 영암군 50 34 16

충북 음성군 84 62 22 경북 성주군 37 25 12

충남 금산군 43 32 10 경남 함안군 54 35 19

1)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근무지(사업체 소재지)를 기준으로 집계한 것임

(38)

‰

특광역시 구지역의 근무지기준과 거주지기준 취업자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거주지기준보다 많은 지역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55만 2천명), 부산광역시 강서구(7만 7천명) 등으로 나타났음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거주지기준보다 적은 지역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12만명), 부산광역시 북구(-5만 8천명) 등으로 나타났음

< 특광역시별 근무지기준

1)

과 거주지기준 취업자 >

(단위: 천명)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많은 지역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적은 지역 근무지기준

(A) 거주지기준

(B) 차이

(A-B) 근무지기준

(A) 거주지기준

(B) 차이

(A-B) 서울 강 남 구 802 250 552 관 악 구 129 250 -120

부산 강 서 구 146 70 77 북 구 65 124 -58

대구 중 구 90 37 54 수 성 구 142 186 -44

인천 중 구 134 71 63 계 양 구 96 151 -55

광주 동 구 73 54 19 북 구 169 211 -42

대전 대 덕 구 111 87 24 서 구 205 242 -38

울산 남 구 173 153 20 중 구 60 98 -38

1)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근무지(사업체 소재지)를 기준으로 집계한 것임

<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많은 지역 > <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적은 지역 >

(39)

다. 근무지기준과 거주지기준 취업자 비중

‰

시지역의 근무지기준과 거주지기준의 취업자 비중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거주지기준보다 높은 지역은 경기도 포천시 (23.8%p), 전라북도 김제시(17.2%p) 등으로 나타났음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거주지기준보다 낮은 지역은 경기도 의정부시 (-17.9%p), 전라남도 순천시(-9.7%p) 등으로 나타났음

<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높은 지역 > <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낮은 지역 >

< 시지역 근무지기준과 거주지기준 취업자 비중

1)

>

(단위: %, %p)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높은 지역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낮은 지역 근무지기준

(A) 거주지기준

(B) 차이

(A-B) 근무지기준

(A) 거주지기준

(B) 차이

(A-B) 경기 포 천 시 85.6 61.8 23.8 의정부시 37.1 55.0 -17.9 강원 삼척 시 63.0 59.3 3.7 태 백시 53.8 61.1 -7.3

충북2) - - - - 제 천시 56.6 59.7 -3.1

충남 논산 시 72.7 62.6 10.1 천 안시 59.8 62.9 -3.1 전북 김제 시 80.4 63.2 17.2 전 주시 50.1 57.9 -7.8 전남 나주 시 80.0 66.6 13.4 순 천시 51.9 61.6 -9.7 경북 영천 시 78.3 66.0 12.3 영 주시 56.8 57.7 -0.9 경남 사천 시 69.0 62.1 6.9 진 주시 50.1 57.0 -6.9 제주 서귀포시 77.5 71.6 5.9 제 주시 63.3 65.5 -2.2

1)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 : (근무지기준 취업자 ÷ 거주지기준 15세이상인구)×100 으로, 100%이상이면

‘해당시군의 15세이상인구’보다 ‘해당시군에서 일을 하는 취업자’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 2) 충북에서는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거주지기준보다 더 많은 시지역이 없음

(40)

‰

군지역의 근무지기준과 거주지기준의 취업자 비중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거주지기준보다 높은 지역은 경상남도 함안군 (34.6%p), 경상북도 성주군(33.6%p) 등으로 나타났음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거주지기준보다 낮은 지역은 충청북도 증평군(-5.9%p), 경기도 양평군(-0.2%p)으로 나타났음

<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높은 지역 >

< 군지역 근무지기준과 거주지기준 취업자 비중

1)

>

(단위: %, %p) 근무지기 준

(A)

거주지기 준 (B)

차이 (A-B)

근무지기 준 (A)

거주지기 준 (B)

차이 (A-B)

경기 연천군 68.5 62.7 5.8 전북 완주군 84.2 61.8 22.4

강원 양구군 85.1 71.0 14.1 전남 영암군 99.8 68.7 31.1

충북 음성군 93.4 69.2 24.2 경북 성주군 102.6 69.0 33.6

충남 금산군 87.0 66.1 20.9 경남 함안군 97.3 62.7 34.6

1)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 : (근무지기준 취업자 ÷ 거주지기준 15세이상인구)×100 으로, 100%이상이면

‘해당시군의 15세이상인구’보다 ‘해당시군에서 일을 하는 취업자’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

(41)

‰

특광역시 구지역의 근무지기준과 거주지기준의 취업자 비중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거주지기준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특별시 중구(248.8%p), 부산광역시 중구(97.2%p) 등으로 나타났음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거주지기준보다 낮은 지역은 서울특별시 은평구(-26.9%p), 부산광역시 북구(-23.9%p) 등으로 나타났음

< 특광역시별 근무지기준과 거주지기준 취업자 비중

1)

>

(단위: %, %p)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높은 지역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낮은 지역 근무지기준

(A) 거주지기준

(B) 차이

(A-B) 근무지기준

(A) 거주지기준

(B) 차이

(A-B) 서울 중 구 303.9 55.1 248.8 은 평 구 27.6 54.5 -26.9 부산 중 구 146.6 49.4 97.2 북 구 26.8 50.7 -23.9 대구 중 구 137.9 55.9 82.0 수 성 구 40.5 53.0 -12.5 인천 중 구 111.9 59.7 52.2 계 양 구 37.3 58.9 -21.6 광주 동 구 74.5 55.5 19.0 남 구 35.6 57.3 -21.7 대전 대 덕 구 70.8 55.8 15.0 동 구 41.3 51.5 -10.2 울산 울 주 군 65.3 57.1 8.2 중 구 33.0 53.9 -20.9

1)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 : (근무지기준 취업자 ÷ 거주지기준 15세이상인구)×100 으로, 100%이상이면

‘해당시군의 15세이상인구’보다 ‘해당시군에서 일을 하는 취업자’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

<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높은 지역 > < 근무지기준 취업자 비중이 낮은 지역 >

(42)
(43)

통 계 표

1. 서울특별시(구 25개) ··· 39

2. 부산광역시(구 16개) ··· 41

3. 대구광역시(구 8개) ··· 43

4. 인천광역시(구 10개) ··· 44

5. 광주광역시(구 5개) ··· 45

6. 대전광역시(구 5개) ··· 46

7. 울산광역시(구 5개) ··· 47

8. 경기도(시 28개, 군 3개) ··· 48

9. 강원도(시 7개, 군 11개) ··· 52

10. 충청북도(시 3개, 군 8개) ··· 54

11. 충청남도(시 8개, 군 7개) ··· 56

12. 전라북도(시 6개, 군 8개) ··· 58

13. 전라남도(시 5개, 군 17개) ··· 60

14. 경상북도(시 10개, 군 13개) ··· 64

15. 경상남도(시 8개, 군 10개) ··· 68

16. 제주특별자치도(시 2개) ··· 70

참조

관련 문서

[r]

이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은 에너지 자원의 유한성에 대해 깨닫고 에너지 자립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전기와 관련된 물리개념, 태양 광 발전 시설과 빗물 재활용

Heme에서 H + 가 Fe 2+ -Heme 결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괄적 분석 Heme을 소 혈액으로부터 원심분리-화학적 용혈-단백질 침전의 프로토 콜로 추출한 후, Heme

4방 초음파 센서 부착의 경우 지각 능력을 통해 드론 조종 시의 안전사고들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이며 여러 센서를 이용한 놀이 제작으로 통해 학생들을 포함한

○ 이 연구의 주제는 보관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짐을 배치하는 체계적 방법을 찾아보려는 학생들의 호기심에서 시작되어 , 참여 학생들은 이 문제를 “이차원 공간에서 주어진

학생들이 문제를 인지한 후에 토론 과정을 통하여 학습 동아리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공동 작업의 우수성이 기대됨... 홍보

철근에 해당하는 것은 교원 섬유로 짜여진 바구니이며, 그 그물눈을 채우고 있는 시멘트에 해당하는 것이 골질이다.. 골질은 탄산 칼슘·인산 칼슘

4번의 설문조사 끝에 별빛 예술제는 문화, 예술과 과학을 융합하여 과학의 흥미를 높이는 데 성공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추후 다른 천체 관측 행사에 참여하겠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