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One-month Serum Creatinine Level is the Inde- Pendent Predictor of Long Term Graft Func- tion Following Renal Transplan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One-month Serum Creatinine Level is the Inde- Pendent Predictor of Long Term Graft Func- tion Following Renal Transplant"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J Korean Soc Transplant

2007;21:94-97 □ 원 저 □

94

to creatinine level at 1 month. Conclusion: We can predict long-term graft survival and early renal function through serum creatinine levels after transplantation. Therefore, serum creatinine level at first month of transplantation was prognostic factor in predicting long-term graft survival. (J

Korean Soc Transplant 2007;21:94-97)

󰠏󰠏󰠏󰠏󰠏󰠏󰠏󰠏󰠏󰠏󰠏󰠏󰠏󰠏󰠏󰠏󰠏󰠏󰠏󰠏󰠏󰠏󰠏󰠏󰠏󰠏󰠏󰠏󰠏󰠏󰠏󰠏󰠏󰠏󰠏󰠏󰠏󰠏󰠏󰠏󰠏󰠏󰠏󰠏󰠏󰠏󰠏󰠏󰠏󰠏󰠏󰠏󰠏

Key Words: Serum creatinine, Graft survival, Renal trans-

plant

중심 단어: 혈청 크레아티닌, 이식신 생존율, 신장이식

One-month Serum Creatinine Level is the Inde- Pendent Predictor of Long Term Graft Func- tion Following Renal Transplant

Tae-Ho Cho, M.D., Oh-Jung Kwon, M.D. and Jong- Myoung Kang, M.D.

1

Departments of Surgery and 1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 dicin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Purpose: The current organ shortage in renal transplan-

tation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optimizing long- term graft survival. Despite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esults of renal transplanta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cyclosporine, graft loss after fist year of transplantation remains a significant and unresolved problem. This study showed renal function at 1 month after transplantation as a prognostic factor influencing long-term renal graft survival.

Methods: The results of 683 cases of renal transplantations

performed from 1978 to 2001 in our center were analysed.

W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serum creatinine level (group 1: <1.5, group 2: 1.5~2.0, group 3: 2.0<) at first month of transplantation. And risk factors such as donor age (<60 or >60), donor sex, donor type (related, unrelated, cadevaric), recipient age (<60, or >60), re- cipient sex, HLA matching, acute rejection, delayed graft function were also analysed. Results: The acute rejection rates in each group were 17.1%, 40.6%, 71.7% retro- spectively (P=0.000). The frequencies of delayed graft func- tion were 3.9%, 9.0%, 36.2% retrospectively (P=0.000).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graft survival between each group (P=0.000). In addition, graft survival in group with acute reje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책임저자:권오정, 서울시 성동구 행당동 17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133-731 Tel: 02-2290-8454, Fax: 02-2281-0224 E-mail: ojkwon@hanyang.ac.kr

이 논문의 요지는 2006년 대한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포스 터 전시되었음.

이식신의 장기 생존을 예측하는 독립 인자로서 이식 후 1개월의 혈청 Creatinine 수치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1내과학교실

조 태 호․권 오 정․강 종 명1

서 론

근래 cyclosporine의 도입과 더불어 이식신의 단기 생존율 은 의미 있는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나 이식신의 장기 생존 율의 향상은 여전히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으 며, 특히 이식 1년 후의 이식신의 소실은 cyclosporine 도입 이전과 비교하여 의미 있는 향상을 얻지 못하고 있다.(1) 이 와 같은 사실은 근래의 이식신의 부족과 맞물려, 이식신의 장기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규명과 이식신 의 장기 생존 여부에 대한 예측에 대한 필요성을 높여 주고 있다. 이식 수혜자의 나이, 당뇨의 유무, DGF (delayed graft function)의 발생 유무, HLA (human leucocyte antigen) 불일 치, 급성 거부 반응 발생 여부 등의 인자들이 이식신의 장기 예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2) 이식신의 장 기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 아직 밝혀지지 않은 변수에 대 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최근 이식 1년 이내의 신장 기능이 1년 이후의 장기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 라는 것이 알려져 이식 1년의 creatinine 수치, GFR (glo- merular filtration rate), 이식 6개월과 1년의 creatinine 수치 차이가 이식신의 장기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보 고되고 있다.(2,5-9) 이번 연구에서는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여러 지표 중 이식 후 1개월째의 creatinine 수치에 따른 이 식신의 생존율을 조사하여 이식신의 장기 예후에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서 이식 후 1개월째의 creatinine 수치의 의미

(2)

조태호 외:이식신의 장기 생존을 예측하는 독립 인자로서 이식 후 1개월의 혈청 Creatinine 수치에 대한 연구

95

󰠏󰠏󰠏󰠏󰠏󰠏󰠏󰠏󰠏󰠏󰠏󰠏󰠏󰠏󰠏󰠏󰠏󰠏󰠏󰠏󰠏󰠏󰠏󰠏󰠏󰠏󰠏󰠏󰠏󰠏󰠏󰠏󰠏󰠏󰠏󰠏󰠏󰠏󰠏󰠏󰠏󰠏󰠏󰠏󰠏󰠏󰠏󰠏󰠏󰠏󰠏󰠏󰠏󰠏󰠏󰠏󰠏󰠏󰠏󰠏󰠏󰠏󰠏󰠏󰠏󰠏󰠏󰠏󰠏󰠏󰠏󰠏󰠏󰠏󰠏󰠏󰠏󰠏󰠏󰠏󰠏󰠏󰠏󰠏󰠏󰠏󰠏󰠏󰠏󰠏󰠏󰠏󰠏󰠏󰠏󰠏󰠏󰠏󰠏󰠏󰠏󰠏󰠏󰠏󰠏󰠏󰠏󰠏󰠏󰠏󰠏󰠏󰠏󰠏󰠏

Table 1. Details of study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

Characteristic Patients number

󰠏󰠏󰠏󰠏󰠏󰠏󰠏󰠏󰠏󰠏󰠏󰠏󰠏󰠏󰠏󰠏󰠏󰠏󰠏󰠏󰠏󰠏󰠏󰠏󰠏󰠏󰠏󰠏󰠏󰠏󰠏󰠏󰠏󰠏󰠏󰠏󰠏󰠏󰠏󰠏󰠏󰠏󰠏󰠏󰠏󰠏󰠏󰠏󰠏󰠏󰠏󰠏󰠏󰠏󰠏

Recipient sex

Male 484 (71%)

Female 198 (29%)

Recipient age

<50 607 (88%)

≥50 82 (12%)

Donor sex

Male 386 (56%)

Female 297 (44%)

Donor age

<50 498 (73%)

≥50 185 (27%)

HLA matching

AB 1.79

DR 1.07

Relation

LRD 306 (44.8%)

LURD 346 (50.7%)

Cadever 31 (4.5%)

Acute rejection 221/683 (32%)

DGF 80/683 (12%)

󰠏󰠏󰠏󰠏󰠏󰠏󰠏󰠏󰠏󰠏󰠏󰠏󰠏󰠏󰠏󰠏󰠏󰠏󰠏󰠏󰠏󰠏󰠏󰠏󰠏󰠏󰠏󰠏󰠏󰠏󰠏󰠏󰠏󰠏󰠏󰠏󰠏󰠏󰠏󰠏󰠏󰠏󰠏󰠏󰠏󰠏󰠏󰠏󰠏󰠏󰠏󰠏󰠏󰠏󰠏

LRD = living related donor; LURD = living unrealated donor;

DGF = delayed graft function.

Table 2. Incidence of AR and DGF according to 1-month creatinine level

󰠚󰠚󰠚󰠚󰠚󰠚󰠚󰠚󰠚󰠚󰠚󰠚󰠚󰠚󰠚󰠚󰠚󰠚󰠚󰠚󰠚󰠚󰠚󰠚󰠚󰠚󰠚󰠚󰠚󰠚󰠚󰠚󰠚󰠚󰠚󰠚󰠚󰠚󰠚󰠚󰠚󰠚󰠚󰠚󰠚󰠚󰠚󰠚󰠚󰠚󰠚󰠚󰠚󰠚󰠚

Creatinine lever Patient number AR* DGF

󰠏󰠏󰠏󰠏󰠏󰠏󰠏󰠏󰠏󰠏󰠏󰠏󰠏󰠏󰠏󰠏󰠏󰠏󰠏󰠏󰠏󰠏󰠏󰠏󰠏󰠏󰠏󰠏󰠏󰠏󰠏󰠏󰠏󰠏󰠏󰠏󰠏󰠏󰠏󰠏󰠏󰠏󰠏󰠏󰠏󰠏󰠏󰠏󰠏󰠏󰠏󰠏󰠏󰠏󰠏

387/669 66/387 15/387 Group 1 (<1.5)

(56.7%) (17.1%) (3.9%) 155/669 63/155 14/155 Group 2 (1.5~2.5)

(22.7%) (40.6%) (9.0%) 127/669 91/127 46/127 Group 3 (2.5<)

(18.6%) (71.7%) (36.2%)

P-value 0.000 0.000

󰠏󰠏󰠏󰠏󰠏󰠏󰠏󰠏󰠏󰠏󰠏󰠏󰠏󰠏󰠏󰠏󰠏󰠏󰠏󰠏󰠏󰠏󰠏󰠏󰠏󰠏󰠏󰠏󰠏󰠏󰠏󰠏󰠏󰠏󰠏󰠏󰠏󰠏󰠏󰠏󰠏󰠏󰠏󰠏󰠏󰠏󰠏󰠏󰠏󰠏󰠏󰠏󰠏󰠏󰠏

*AR = acute rejection.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78년부터 2001년까지 한양대학교 의료원에서 신 이식 을 받은 683명의 환자 중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669명의 이식 수혜자를 조사하였다. 의무기록 검토를 통한 후향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006년 6월까지의 추적 관찰 하였다. 면역 억제제는 cyclosporine 또는 tacrolimus 중 하나 와 immuran 또는 MMF 중 하나, 그리고 steroid를 사용하였 다. 수혜자의 나이(<50, ≥50)와 성별, 공여자의 나이(<50,

≥50)와 성별, 공여자의 유형, HLA 일치도(AB and DR), DGF 발생(이식 후 첫 주에 투석이 필요한 경우) 유무, 급성 거부 반응의 발생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수혜자의 이식 후 1개월째의 creatinine 수치에 따라 전체 대상을 3개의 군(<1.5 mg%, 1.5~2.0 mg%, 2.0 mg%<)으로 나눈 후 각 군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환자를 급성 거부 반응이 있었던 군과 없었던 군으로 나누어 두 군 모두 creatinine 수치에 따른 분류를 시행하여 전체 대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생존율을 구하였다. Kaplan-meier 방법이 생 존율을 구하는 데 사용되었다.

Pearson-Chi square 방법을 사용하여 이식 후 1개월째의 creatinine 수치에 따라 나누어진 세 군의 1년, 3년, 5년 생존 율을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고, 이를 이식신의 장기 예후를 결정하는 독립 인자로 알려진 급성 거부 반응 발생, DGF 발생에 따른 생존율의 변화와 비교하였다.

또한, creatinine 수치에 따라 나눈 세 군에서 급성 거부 반응과 DGF가 일어난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1978년부터 2001년까지 한양대학교 의료원에서 신이식 을 받은 683명의 환자 중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669명에 대 한 조사가 시행되었다. 전체 연구 대상에 대해 수혜자의 나 이(<50, ≥50)와 성별, 공여자의 나이(<50, ≥50)와 성별, 공여자의 유형, HLA 일치도(AB and DR), DGF 발생(이식 후 첫 주에 투석이 필요한 경우) 유무, 급성 거부 반응의 발생 유무를 조사하였다(Table 1). 연구 대상을 이식 후 1개 월 creatinine 수치에 의해 3개의 군으로 분류하여(group 1:

<1.5, group 2: 1.5~2.0, group 3: 2.0<) 상기 세부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수혜자의 성별, 공여자의 나이, HLA 일 치도, DGF 발생 여부, 급성 거부 반응의 발생 여부는 세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각 군의 연구 대상에서 급성 거부 반응 발생, DGF 발생률 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이식 1개월의 creatinine 수치가 높 은 군일수록 급성 거부 반응과 DGF 발생이 의미 있게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0)(Table 2).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여 이식신의 생존율을 비교하 여, 이식 1개월 creatinine 수치가 높은 군에서 이식신의 장 기 예후가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0)(Fig.

1). 이는 급성 거부 반응이나 DGF 발생이 있었던 환자가 creatinine 수치가 높은 군에 많이 포함되어서인지 여부를 알기 위해 연구 대상을 급성 거부 반응이 있었던 대상과

(3)

96

대한이식학회지:제 21 권 제 1 호 2007

󰠏󰠏󰠏󰠏󰠏󰠏󰠏󰠏󰠏󰠏󰠏󰠏󰠏󰠏󰠏󰠏󰠏󰠏󰠏󰠏󰠏󰠏󰠏󰠏󰠏󰠏󰠏󰠏󰠏󰠏󰠏󰠏󰠏󰠏󰠏󰠏󰠏󰠏󰠏󰠏󰠏󰠏󰠏󰠏󰠏󰠏󰠏󰠏󰠏󰠏󰠏󰠏󰠏󰠏󰠏󰠏󰠏󰠏󰠏󰠏󰠏󰠏󰠏󰠏󰠏󰠏󰠏󰠏󰠏󰠏󰠏󰠏󰠏󰠏󰠏󰠏󰠏󰠏󰠏󰠏󰠏󰠏󰠏󰠏󰠏󰠏󰠏󰠏󰠏󰠏󰠏󰠏󰠏󰠏󰠏󰠏󰠏󰠏󰠏󰠏󰠏󰠏󰠏󰠏󰠏󰠏󰠏󰠏󰠏󰠏󰠏󰠏󰠏󰠏󰠏

Fig. 1. Graft survival rate according to 1-month creatinine level.

Fig. 2. Graft survival rate according to 1-month creatinine level on case of acute rejection or not.

Table 3. Graft survival rate according to 1-month creatinine, AR and DGF

󰠚󰠚󰠚󰠚󰠚󰠚󰠚󰠚󰠚󰠚󰠚󰠚󰠚󰠚󰠚󰠚󰠚󰠚󰠚󰠚󰠚󰠚󰠚󰠚󰠚󰠚󰠚󰠚󰠚󰠚󰠚󰠚󰠚󰠚󰠚󰠚󰠚󰠚󰠚󰠚󰠚󰠚󰠚󰠚󰠚󰠚󰠚󰠚󰠚󰠚󰠚󰠚󰠚󰠚󰠚󰠚󰠚󰠚󰠚󰠚󰠚󰠚󰠚󰠚󰠚󰠚󰠚󰠚󰠚󰠚󰠚󰠚󰠚󰠚󰠚󰠚󰠚󰠚󰠚󰠚󰠚󰠚󰠚󰠚󰠚󰠚󰠚󰠚󰠚󰠚󰠚󰠚󰠚󰠚󰠚󰠚󰠚󰠚󰠚󰠚󰠚󰠚󰠚󰠚󰠚󰠚󰠚󰠚󰠚󰠚󰠚󰠚󰠚󰠚󰠚

Risk factor 1 yrs 3 yrs 5 yrs P-value

󰠏󰠏󰠏󰠏󰠏󰠏󰠏󰠏󰠏󰠏󰠏󰠏󰠏󰠏󰠏󰠏󰠏󰠏󰠏󰠏󰠏󰠏󰠏󰠏󰠏󰠏󰠏󰠏󰠏󰠏󰠏󰠏󰠏󰠏󰠏󰠏󰠏󰠏󰠏󰠏󰠏󰠏󰠏󰠏󰠏󰠏󰠏󰠏󰠏󰠏󰠏󰠏󰠏󰠏󰠏󰠏󰠏󰠏󰠏󰠏󰠏󰠏󰠏󰠏󰠏󰠏󰠏󰠏󰠏󰠏󰠏󰠏󰠏󰠏󰠏󰠏󰠏󰠏󰠏󰠏󰠏󰠏󰠏󰠏󰠏󰠏󰠏󰠏󰠏󰠏󰠏󰠏󰠏󰠏󰠏󰠏󰠏󰠏󰠏󰠏󰠏󰠏󰠏󰠏󰠏󰠏󰠏󰠏󰠏󰠏󰠏󰠏󰠏󰠏󰠏

1-month Cr level 0.000/0.000/0.000

Group 1 374/669 (55.9%) 345/669 (51.5%) 311/669 (46.4%) 0.050/0.024/0.009*

Group 2 144/669 (21.5%) 127/669 (18.9%) 108/669 (16.1%) 0.000/0.000/0.002

Group 3 87/669 (12.1%) 71/669 (10.6%) 65/669 (9.7%) 0.000/0.000/0.000

Acute rejection (-) 429/683 (62.8%) 395/683 (57.8%) 364/683 (53.3%) 0.000

Acute rejection (+) 185/683 (27.1%) 157/683 (23.0%) 129/683 (18.9%)

DGF (-) 561/683 (82.1%) 508/683 (74.4%) 457/683 (66.9%) 0.000

DGF (+) 53/683 (7.8%) 44/683 (6.4%) 36/683 (5.3%)

󰠏󰠏󰠏󰠏󰠏󰠏󰠏󰠏󰠏󰠏󰠏󰠏󰠏󰠏󰠏󰠏󰠏󰠏󰠏󰠏󰠏󰠏󰠏󰠏󰠏󰠏󰠏󰠏󰠏󰠏󰠏󰠏󰠏󰠏󰠏󰠏󰠏󰠏󰠏󰠏󰠏󰠏󰠏󰠏󰠏󰠏󰠏󰠏󰠏󰠏󰠏󰠏󰠏󰠏󰠏󰠏󰠏󰠏󰠏󰠏󰠏󰠏󰠏󰠏󰠏󰠏󰠏󰠏󰠏󰠏󰠏󰠏󰠏󰠏󰠏󰠏󰠏󰠏󰠏󰠏󰠏󰠏󰠏󰠏󰠏󰠏󰠏󰠏󰠏󰠏󰠏󰠏󰠏󰠏󰠏󰠏󰠏󰠏󰠏󰠏󰠏󰠏󰠏󰠏󰠏󰠏󰠏󰠏󰠏󰠏󰠏󰠏󰠏󰠏󰠏

* = P-value between group 1 and group 2; = P-value between group 2 and group 3; = P-value between group 1 and group 3. Cr

= creatinine; DGF = delayed graft function.

있지 않았던 대상으로 나누어 각각에 대해 Kaplan-meier 방 법을 이용한 이식신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Fig. 2). 급성 거부 반응이 있었던 군과 없었던 군 모두 이식 1개월 creatinine 수치가 높은 군에서 이식신의 장기 예후가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0).

추가적으로 이식 1개월 creatinine 수치, 급성 거부 반응 발생, DGF 발생, 이식 수혜자의 나이(<50, ≥50)에 따른 1 년, 3년 5년 생존율을 Table 3에 비교하였다.

고 찰

근래의 이식 장기 부족은 이식 장기의 장기 생존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Cyclosporine의 도입 이후 이식신의 이 식 후 1년까지의 단기 생존율은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지만, 이식 1년 이후의 지연성 신기능 소실의 방지에 대 해서는 여전히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1). 이 에 여러 문헌에서 이식신의 장기 생존에 대해 예측하고, 이

를 향상시키는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식 후 이식 신기능이 이식신의 장기 예후를 결정하는 요소로 알려지면 서 이식 후 퇴원 시 creatinine 수치, 이식 3개월, 6개월, 1년

(4)

조태호 외:이식신의 장기 생존을 예측하는 독립 인자로서 이식 후 1개월의 혈청 Creatinine 수치에 대한 연구

97

󰠏󰠏󰠏󰠏󰠏󰠏󰠏󰠏󰠏󰠏󰠏󰠏󰠏󰠏󰠏󰠏󰠏󰠏󰠏󰠏󰠏󰠏󰠏󰠏󰠏󰠏󰠏󰠏󰠏󰠏󰠏󰠏󰠏󰠏󰠏󰠏󰠏󰠏󰠏󰠏󰠏󰠏󰠏󰠏󰠏󰠏󰠏󰠏󰠏󰠏󰠏󰠏󰠏󰠏󰠏󰠏󰠏󰠏󰠏󰠏󰠏󰠏󰠏󰠏󰠏󰠏󰠏󰠏󰠏󰠏󰠏󰠏󰠏󰠏󰠏󰠏󰠏󰠏󰠏󰠏󰠏󰠏󰠏󰠏󰠏󰠏󰠏󰠏󰠏󰠏󰠏󰠏󰠏󰠏󰠏󰠏󰠏󰠏󰠏󰠏󰠏󰠏󰠏󰠏󰠏󰠏󰠏󰠏󰠏󰠏󰠏󰠏󰠏󰠏󰠏

의 creatinine 수치 또는 GFR, 이식 6개월에서 1년 사이의 creatinine 수치 변화 등이 이식신의 장기 예후를 예측하는 인자로 연구되어 보고되고 있다.(2,5-9) 이 중 이식 후 1개월 의 creatinine 수치는 이식 후 DGF, 급성 거부 반응, 면역 억 제제의 독성으로 인한 creatinine 수치의 이상 상승을 배제 할 수 있는 가장 초기의 신기능 예측 인자라 생각된다. 이식 후 퇴원 시 creatinine 수치가 이식신의 장기 생존의 예측 인 자라는 것은 이미 알려진 바 있지만,(3) 그러나 이식 후 퇴 원 시기가 앞당겨지면서 이식 후 신기능이 안정화되기 전 에 이미 환자가 퇴원하여 임상적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식 후 1개월 creatinine이 낮은 군일수록 이식신이 장기 생존율이 높고, 이는 급성 거부반응이 있었 던 환자와 없었던 환자 모두에서 적용된다는 결과를 얻었 다. 따라서, 이식 1개월 creatinine 수치는 이식신의 장기 예 후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인자로 생각되어질 수 있고, 이는 이식 후 1개월 내의 조기 신기능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이식 후 이식신의 장기 예후에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 된다. 또한, 1개월 creatinine 수치가 높은 환자에 대한 더욱 엄격한 추적 관찰과 관리를 통해 장기 생존을 높이려는 노 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HLA 일치도, DGF 발생 여부, 급성 거부 반응 발생 여부 등의 인자들이 이식신의 장기 예후에 영향을 가지지 만,(2,3,5) 이와 같은 요소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기 시작한 이후에도, 이식신의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2,4,5) 이식신의 예후 향상에 상기 요소외의 다른 요소 들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급성 신부전의 발생한 군과 급성 신부전의 발생이 없었던 군 모두 1개월 creatinine 수치가 낮을수록 더 낳은 생존율을 나타낸 것은 이를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즉, HLA 일치도, DGF, 급성 거부 반응과 같은 요소와 독립적으로 이식신의 신기능을 조기에 안정화시키려는 노력들이 의미를 가질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결 론

결론적으로 이식 후 1개월 신기능을 나타내는 요소로서 creatnine 수치는 이식신의 장기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인자로서 이식 후 1개월 내에 creatinine 수치를 낮추려는 노

력이 의미 있으리라 예측되며, 조기에 이식신의 예후를 예 측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통한 이식신의 생존율 향상을 얻 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REFERENCES

1) Hariharan S, Johnson CP, Brenahan BA, Taranto SE, Mclntosh MJ, Stablein D. Improved graft survival after renal transplantation in the United States, 1988 to 1996. N Engl J Med 2000;342:605-12.

2) Hariharan S, McBride MA, Cherikh WS, Tolleris CB, Bresnahan BA, Johnson CP. Post-transplant renal function in the first year predicts long-term kidney transplant survival.

Kidney Int 2002;62:311-8.

3) Siddiqi N, McBride M, Hariharan S. Similar risk profiles for post-transplant renal dysfunction and long-term graft failure:

UNOS/OPTN database analysis. Kidney Int 2004;65:1906-13.

4) Shoskes DA, Cecka JM. Deleterious effects of delayed graft function in cadaveric renal transplant recipients independent of acute rejection. Transplantation 66:1697-701.

5) Ponticelli C, Villa M, Cesana B, Montagnino G, Tarantino A.

Risk factors for late kidney allograft failure. Kidney Int 2002;

62:1848-54.

6) Coupel S, Giral-Classe M, Karam G, Morcet JF, Dantal J, Cantarovich D, Blancho G, Bignon JD, Daguin P, Soulillou JP, Hourmant M. Ten-year survival of second kidney transplants: Impact of immunological factors and renal func- tion at 12 months. Kidney Int 2003;64:674-80.

7) First MR. Renal function as a predictor of long term graft survival in renal transplant patients. Nephrol Dial Transplant 2003;18(S1):i3-6.

8) Salvadori M, Rosati A, Bock A, Chapman J, Dussol B, Fritsche L, Jeffery J, Kliem V, Lebranchu Y, Oppenheimer F, Pohanka E, Tufveson G. One-year post-transplant renal function is a strong predictor of long-term kidney function:

results from the Neoral-MOST observational study. Transplant Proc 2003;35:2863-7.

9) Fitzsimmons WE, Thompson D, Hariharan S, Van Veldhuisen P. Serum creatinine as a surrogate endpoint for graft loss in kidney transplantation: validation efforts from multicenter trials. [Abstract]. Am J Transplantation 2002;2(Suppl 3):533.

수치

Table  2.  Incidence  of  AR  and  DGF  according  to  1-month  creatinine  level
Table  3.  Graft  survival  rate  according  to  1-month  creatinine,  AR  and  DGF

참조

관련 문서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knowledge and attitude level towards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nursing home providing care services and

Pathways of global GHG emissions (GtCO 2 eq/yr) in baseline and mitigation scenarios 2 . for different long-term concentration levels (upper panel) and

PCT, serum procalcitonin; ESRD, end-stage renal disease; DMN, diabetic nephropathy; HTN, hypertensive nephropathy; HD, hemodialysis; PD, peritoneal

Austria has set forth certain limits and standards on long-term bud- getary policies through constitutional amendments, on one hand by expanding the exclusive legislative

Hatano N, Shimizu Y, Ooya K:A clinical long-term radiographic evaluation of graft height changes after maxillary sinus floor augmentation with a 2:1

Income security, health and medical care, welfare measures through long-term care and assisted living facilities, social participation by working are the key elements and all

long term memory working memory perception attention. 예 ) “ 숙명여대는

We included patients who met the following criteria: 1) base- line serum uric acid level was measured within 7 days before the initiation of edaravone treatment; 2) follow-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