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elf-Expandabl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covered Nitinol Stent for the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Self-Expandabl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covered Nitinol Stent for the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수술할 수 없는 악성 담도 협착의 고식적 치료로 사용되는 방사선 투시유도 하 담관 내 금속 스텐트 삽입술은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터벤션(intervention) 치료 방법으로 보고되 어 있다(1-5). 이 시술은 스텐트를 담도 내에 삽입하여 담즙 을 장관으로 배액시킴으로써 체외 배액관이 필요 하지 않으며, 경피적 담도배액술(percutaneous biliary drainage)의 여러 가 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인터벤션 치료방법으로서 다양한 형 태와 재질의 금속 스텐트가 이러한 목적에 이용된다(4, 6, 7).

스텐트 삽입술이 악성 담도 협착의 효과적인 보존적 치료방법 으로 사용되려면 환자가 사망할 때까지 스텐트의 개통성 (patency)이 유지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종양의 스텐 트 내부 증식(ingrowth)이나 과증식(overgrowth), 스텐트 전 위(migration), 그리고 담즙 찌꺼기의 정체 등의 이유로 스텐 트 기능부전이 발생하며, 그 빈도는 19%-22%로 보고되어 있

다(4, 8, 9).

최근에는 종양의 내부증식에 의한 스텐트 협착을 방지하기 위 해 폴 리 우 레 탄 (polyurethane) 혹 은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PTFE-FEP) 등의 피막(covering)을 씌운 스텐트를 담도협 착에 사용하여 금속스텐트의 개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10-18). 이 중 폴리우레탄으로 덮인 스텐트는 폴리우레탄 피 막의 변쇠(degrade)로 인한 종양의 스텐트 내부증식이 발생하 였으나, ePTFE-FEP 피복 스텐트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재협 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보고하여 피막의 재질로서 PTFE가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생각된다(10, 17). 또한, 동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PTFE가 총담관의 재건에 유용함을 보고 하였다(19).

이에 저자들은 악성담도협착의 보존적 치료로서 자가 팽창성 PTFE-피복 나이티놀(nitinol)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적 용이성 과 안정성 그리고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가 팽창성 Polytetrafluoroethylene (PTFE)-피복 나이티놀 스텐트를 이용한 악성담도협착의 보존적 치료

1

유 웅・정규식・고지호2・한병훈3・신동훈4

목적: 근치적 수술이 불가능한 악성 담도 협착의 치료로 사용된 자가 팽창성 PTFE(poly- tetrafluoroethylene)-피복 나이티놀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적 용이성과 임상효과를 알아보았 다.

대상과 방법: 악성담도협착으로 진단된 36명의 환자에 대해 자가 팽창성 PTFE-피복 나이티놀

스텐트(S&G Biotech Corporation, Seongnam, Korea)를 삽입하였다. 혈중 bilirubin수치와 alkaline phosphatase(ALP) 수치를 스텐트 시술 전과 시술 후 1주 이내, 1개월 및 3개월에 측 정하여 임상증상을 평가하였다. Kaplan-Meier method를 이용하여 환자의 생존율과 스텐트의 개통률을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 없이 스텐트 설치에 성공하였다. 조기 합병증으로 췌장염이 2예에서 발생하였다. 시술 후 혈중 빌리루빈과 ALP 수치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추적 기간에 6예에서 담도의 재협착이 발생하였는데, 이중 스텐트 전위가 4예 발생하였고 병 변의 과성장 때문인 담도의 재협착이 2예 발생하였다. 생존율은 스텐트 삽입 1개월, 3개월, 6 개월 그리고 9개월 후 각각 97%, 80%, 67% 와 59%로 측정되었고, 스텐트 개통률은 스텐트 삽입 1개월, 3개월, 6개월 그리고 9개월 후 각각 96%, 92%, 86% 와 86%로 측정되었다.

결론: 악성 담도 협착의 보존적 치료로서 자가 팽창성 PTFE-피복 나이티놀 스텐트 삽입술은 시술이 비교적 쉬우며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1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영상의학과

2성균관대학교 의학대학 마산삼성병원 영상의학과

3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내과

4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외과

이 논문은 2008년 3월 18일 접수하여 2008년 4월 21일에 채택되었음.

(2)

대상과 방법

2004년 9월부터 2006년 7월까지 본원에서 악성 담도 협착 의 보존적 치료목적으로 자가 팽창성 PTFE-피복 나이티놀 스 텐트(S&G Biotech Corporation, Seongnam, Korea)를 삽입한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스텐트 삽입의 적응증은 조 직학적 또는 영상의학적 소견으로 악성 담도 협착으로 진단된 환자 중 병변의 진행으로 수술할 수 없는 환자에서 병변의 위 치가 간문부 이하 부위 즉 총간관(IHD)과 총담관(CBD)인 경 우였다. 간문부 협착이 있었던 2예에서는 간의 일측엽 전체가 종양에 의해 침범되어 있어 건측에 시술을 시행하였다. 담도 내 급성 염증이 존재하거나 혈액응고 장애 또는 근치적 수술

의 적응증이 될 때에는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지 않았다. 대 상 환자는 남자가 22명, 여자가 14명이었고 연령분포는 40- 82세(평균 63.7세)였다. 담도 협착의 원인 질환의 진단은 시 험적개복술 또는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또는 PTBD 경 로를 이용한 침생검 또는 브러시 생검(brush biopsy)에 의한 조직학적 분석과 영상의학적 소견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원 인 질환은 담관암(12명), 췌장암(8명), 팽대부 주위암(6명), 위 암의 전이(4명), 간세포암(3명), 담낭암(3명)등이었고, 경피 담 도조영 소견상 폐쇄 부위가 총담관에 있는 경우가 34예, 간문 부 협착이 2예였다.

나이티놀 스텐트는 의료용 니켈-티타늄합금(nitinol)의 세선 을 이용하여 서로 엮어주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우수한 생체

A B

Fig. 1. The PTFE-covered self-expandible nitinol stent.

A. Non-flared type.

B. Flared type.

A B C

Fig. 2. A 56-year-old woman with GB cancer.

A. Cholangiogram shows obstruction of proximal CBD.

B. Radiograph obtained immediately after stent placement.

C. Cholangiogram obtained 5 days after the procedure shows optimal contrast flow through the stent into the duodenum.

(3)

적합성과 자가 팽창성을 보인다. 스텐트 내로 종양의 증식이나 점막의 과증식을 막기 위해 스텐트 외부를 PTFE로 덮어 씌웠 다. 스텐트 전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위부에 1cm 그리고 근 위부에 0.5 cm내지 1 cm의 PTFE로 덮지 않은 부위(bare portion)을 두었고, 22예에서는 스텐트 전위를 더욱 방지하려 고 원위부와 근위부에 플레어(flared)부위를 두었다(Fig. 1). 사 용된 스텐트의 직경은 10 mm 그리고 길이는 50-90 mm로 다양하게 제작되었고, 8 Fr의 유도기구(introducing system) 가 사용되었다. 스텐트 유도관과 밀대, 그리고 스텐트가 일체

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방사선 투시유도 하에 시술에 용이하도 록 스텐트 양단에 방사선표식자가 부착되어있다. 스텐트는 양 단이 협착부위의 위아래에 각각 놓일 수 있도록 협착부위의 길 이보다 적어도 20 mm 이상 긴 것을 선택하였다.

환자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PTBD를 시행한 후 3-7일째에 유도철선으로 협착부위를 통과시키고 나서, 이 유도 철선을 따 라 스텐트가 장착된 유도기구를 협착부위까지 전진시킨 다음 밀대는 고정한 채 도입관을 서서히 빼는 방법으로 설치하였다.

병변의 과성장에 의한 스텐트의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협

A B

Fig. 3. A 55-year-old woman with cholangiocarcinoma.

A. CT scan obtained at portal venous phase shows a huge mass involving entire left hepatic lobe. Notice dilation of right intrahepatic duct.

B. Cholangiogram shows tight stricture of hilar confluence of the CBD with vanished left hepatic ducts.

C. Cholangiogram obtained immedi- ately after the procedure shows ade- quate expansion of the stent and con- trast flow through the stent.

D. Cholangiogram obtained 5 days af- ter, the procedure shows good stent function.

C D

(4)

착부의 양단에 각각 1 cm 정도 거리를 더 두어서 스텐트를 삽 입하였다. 근위부 총담관 협착은 스텐트의 원위부가 췌관 직상 방에 위치하도록 삽입하고 원위부 총담관 협착은 가능한 한 스 텐트의 원위부가 십이지장 내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였다. 스텐 트 삽입 후 8.5 Fr 또는 10 Fr의 경피적 담도 배액관을 거치 하여 5-7일 후 담도 조영술을 시행하여 스텐트의 기능을 평 가하였고, 스텐트를 통해 조영제의 원활한 흐름이 확인되면 배 액관을 제거하였다. 시술을 받은 모든 환자에게서 시술 전 응 고평가(coagulation test)를 시행하였고, 시술 12시간 전부터 시술 후 36시간 동안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각각의 환자에 대한 추적검사는 매달 외래를 통해 빌리루빈 과 alkaline phosphatase(ALP)를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추적기간에 황달이나 담관염이 다시 발생하였으면 초음파나 CT, 혹은 경피 담도조영술 등의 방법으로 폐색성 황달 여부를 확인하였다. 외래를 통한 임상적 인 검사가 되지 않는 경우는 환자 혹은 환자 가족에게 매달 전 화를 걸어 환자의 생존 여부 또는 황달 등의 증상에 대한 정 보를 수집하였다.

일차개통기간은 최초 삽입시기로부터 다시 협착에 의한 증 상이 나타났을 때까지로 하고 사망시점까지 협착증상이 없었 으면 사망시점을 끝점으로 개통기간을 간주하였고 (이러한 경 우의 자료는“censoring”함 ), 환자마다 추적조사기간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분석을 위해 환자의 생존율과 스텐트의 개통률은 Kaplan-Meier method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성공적으로 스텐트를 삽입하여 기술적인 성 공률은 100%였다. 시술 중 스텐트 전위 또는 스텐트 위치 이 상(mal-positioning) 등의 결함은 발생하지 않았고, 시술 후 7 일 이내 시행한 추적 담도 조영에서 모든 환자에게서 적절한 스텐트의 위치, 팽창 정도 그리고 스텐트를 통한 십이지장으로 의 효과적인 조영제의 배액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2, 3).

2예에서 시술 후 복통을 호소하고 혈중 아밀라아제(amylase) 와 지질분해효소(lipase) 수치가 증가하는 췌장염(pancreatitis) 소견이 발생하였고, 보존적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었다. 그 외 담관염, 담즙유출 또는 간내혈종 등의 시술과 관련된 조기 합 병증은 생기지 않았다.

평균 혈중 빌리루빈 수치는 시술 전 10.8 mg/dL ± 7.4 SD(standard deviation)에서 시술 후 1주 내 6.4 mg/dL ± 7.0 SD로 감소하였고 (p < 0.001), 혈중 ALP 수치는 360 U/L ± 183 SD에서 시술 후 1주 내 231 U/L ± 121 SD로 감소하 여 (p < 0.001) 시술 후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담도 내 감 압을 얻었음을 평가할 수 있었다 (Table 1).

스텐트를 설치한 36명의 환자 중 2명은 추적이 되지 않았고 이 경우는 개통율의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나머지 34명은 연 구의 종료시점까지 추적관찰 되었고 이 기간에 사망한 경우는 사망시점을 추적종료시점으로 간주하여, 평균 202일(20일- 686일)동안 경과 관찰하였다. 관찰 기간에 14명이 사망하였 고, 이중 2명은 시술 후 5주 이내에 사망하였는데 한 명은 간 부전과 신부전으로 사망하였고 다른 한 명은 뇌출혈로 사망하 였다. 3명은 장출혈로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9명은 말기 암 환 자로 원발 병변의 진행으로 사망하였다. Kaplan-Meier method 를 이용한 삽입후 1개월, 3개월, 6개월 및 9개월째 평균 생존 율은 각각 97%, 80%, 67% 와 59%였고 평균생존기간(mean survival time)은 13.3개월이었다(Fig. 4).

Table 1. Laboratory-tes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Values During Follow-up

Time of testing Bilirubin Alkaline Phosphatase

No. of Patient Mean Value (mg/dL)* No. of Patient Mean Value (U/L)*

At baseline 36 10.8±7.4 36 360±183

At follow-up within

1 week 36 06.4±7.0 36 231±121

1 month 29 02.6±3.5 29 187±133

3 months 19 04.9±8.8 19 213±178

Note.─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in laboratory values at within 1-week follow-up and 1-month follow-up as compared with baseline values (p < .001).

* Numbers are mean ± standard deviation.

Fig. 4. Graph shows cumulative results of Kaplan-Meier analy- sis of survival after implantation of biliary endoprostheses.

Survival Rate

Months

(5)

36명의 환자 중 30명에서는 관찰기간 동안 적절한 스텐트 의 개통을 관찰할 수 있었다. 4예에서 스텐트 전위가 평균 21.3 주(12.4주-42주)에 발생하였는데, 모두 플레어 부위가 없는 (non-flared type) 스텐트를 사용한 예에서 발생하였다. 이 환 자들은 모두 PTBD를 시행하여 치료하였다(Fig. 5). 2예에서 각각 12주와 13.4주 후부터 추적이 되지 않았고, 이중 13.4주 에 스텐트 전위가 발생한 환자는 개통율의 분석에서 제외하였 다. 2예에서 병변의 과증식에 의한 재협착이 삽입 후 각각 11 주와 68주에 발생하였고 스텐트 재삽입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치료 하였다(Fig. 6). Kaplan-Meier method를 이용한 스텐트 삽입 후 1개월, 3개월, 6개월 및 9개월째 평균 스텐트 개통률 은 각각 96%, 92%, 86% 와 86%로 평균개통기간(mean patency time)은 13.4개월 이였다. 환자의 평균생존기간인 13.3개월의 개통률은 74%였다(Fig. 7).

근치적 수술이 불가능한 악성 담도 협착의 보존적 치료로서 자가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은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 졌다(6). 이 시술은 스텐트를 담도 내에 삽입하여 담즙을 장관 으로 배액시켜 경피적 배액관을 거치할 필요가 없어 배액관의 폐쇄나 이동, 복수 유출, 담즙성 복막염 등의 경피적 담도 배 액술이 가진 여러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그러나 혈담즙증, 담 즙 찌꺼기나 스텐트 양단에 발생한 병변의 과성장 또는 스텐 트 그물(mesh)을 통한 병변의 스텐트 내부로의 성장 (ingrowth) 등의 원인 때문에 스텐트의 재협착이 발생하는 단 점이 있다(3, 4, 20).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여러 가

지 피복 물질을 씌운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피 복 물질로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PTFE 등이 사용되고 있다 (17, 21). Yasumori 등(21)은 여러 플라스틱 물질로 씌운 스 텐트를 비교한 동물실험에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과 실 리콘(silicone)이 낮은 마찰계수를 보여 유용한 피복물질이라 고 보고하였다. 폴리우레탄 피복 스텐트를 이용한 연구 중 Thurnher 등(13)과 Miyayama 등(15)은 폴리우레탄이 좋은 생체 적합성을 보이고 담즙과 위액에 저항성이 우수하여 스텐 트 내성장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피복물질이라고 보고하였다.

반면, Rossi 등(14)은 폴리우레탄 피복 Wallstent를 이용한 연 구에서, 재협착이 발생한 환자에게서 담도조영상 폴리우레탄막 의 균열(fissure)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는 담즘과 위액에 의 한 막의 변쇄(degrade)로 인하여 병변의 내성장이 발생한 것 으로 보고 하였다. Hausegger 등(10)도 Rossi 등(14)이 사용 한 폴리우레탄 피복 Wallstent를 이용한 연구에서, 6개월 이상 의 장기 스텐트 개통률에서 피복하지 않은 Wallstent와 비교시 더 나은 결과를 보이지 않았고, 폴리우레탄이 병변의 스텐트 내성장을 방지 하는데 장점을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 하여 저 자들에 따라 피복물질의 적합성에 대한 이론의 여지가 있다.

이에 반해 PTFE는 산과 염기 등의 화학물질과 열에 대한 저 항이 우수하며, 재질이 매끄럽고 모양의 변성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마찰계수가 낮아 담즙 등의 다른 물질이 쉽게 착 상하지 못하는 장점이 있다(22). 저자들의 경우 PTFE피복 나 이티놀 스텐트를 삽입한 36예에서 추적기간에 병변의 내성장 은 관찰되지 않았다.

저자들의 연구에서 PTFE-피복 나이티놀 스텐트 삽입 후 1 개월, 3개월, 6개월 및 9개월의 스텐트 개통률이 각각 96%,

A B C

Fig. 5. A-78-year-old man with cholangiocarcinoma.

A. Cholangiogram shows obstruction in the middle CBD.

B. Radiograph obtained during deployment of a PTFE-covered nitinol stent(arrow).

C. At 3 months later, recurrent jaundice developed. Cholangiogram shows migration of previously inserted stent(arrow).

(6)

92%, 86% 와 86%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폴리우레탄 피복 Wallstent를 사용한 Rossi 등(14)은 스텐트 삽입 3개월, 6개 월 그리고 9개월째 스텐트 개통률이 각각 92%, 46% 그리고 46%로 보고하였고, Hausegger 등(10)은 스텐트 삽입 후 1개

월, 3개월, 6개월 그리고 12개월째 각각 96%, 69%, 47% 그 리고 31%로 보고하여 비피복 스텐트의 개통율과 큰 차이가 없 었다. 그러나 ePTFE/FEP 피복 스텐트를 사용한 Bezzi 등(16) 은 3개월, 6개월 및 12개월째 스텐트 개통률이 각각 91%, 77%,

A B

Fig. 6. A 63-year-old man with cholan- giocarcinoma.

A. Cholangiogram shows tight stric- ture in the proximal and distal CBD.

B. Cholangiogram obtained 6days after the procedure shows good stent paten- cy.

C. The 6-months follow-up cholan- giogram shows stent stenosis by tumor overgrowth, through the bare portion of the stent(arrows).

D. Cholangiogram obtained after coax- ial placement of second covered stent(arrow) shows good stent paten- cy.

C D

(7)

와 77%로 보고하였고, Schoder 등(17)은 3개월, 6개월 및 12 개월째 스텐트 개통률이 각각 90%, 76% 와 76%로 보고하여 저자들과 비교되는 결과를 보였다. 각각의 연구에서 포함한 환 자의 조직학적특성, 병기, 병변의 성장속도 등이 다르므로, 직 접적인 비교는 제한이 있으나 피복 스텐트의 스텐트 개통률이 비피복 스텐트에 비해 우수하다고 생각 된다.

스텐트 전위는 피복 스텐트의 담도 재협착의 잠재적 원인으 로, 스텐트 외부 피복 물질은 마찰이 거의 없어 스텐트의 탈위 (dislocation)시 저항을 줄 수 없으므로 비피복 스텐트에 비하 여 전위의 발생빈도가 높으며, 0-6.1%로 보고되어 있다(10, 11, 14, 16-18, 23). Park 등(23)은 악성 담도 협착에 사용 된 비피복 스텐트와 피복 스텐트를 비교한 연구에서, 비피복 Wallstent에서는 스텐트 전위가 발생하지 않았으나(0/108) 피 복 Wallstent를 사용한 경우에 6.1%(6/98)에서 전위가 발생하 였다고 보고하였다. 피복 스텐트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 하여 스텐트 양단에 bare부위나 플레어 부위를 두거나 스텐트 표면에 닻(anchoring)을 두어서 전위를 방지하고자 하는 연구 가 보고되었다(16-18).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스텐트 전위율 이 11%(4/36)로 다른 연구와 비교해 높았다. 그러나 스텐트 전위는 모두 플레어 부위가 없는 스텐트를 사용한 예(4/14, 28.6%)에서 발생하였으며, 플레어 형태의 스텐트를 사용한 예 (0/22)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플레어 형태가 피복 스 텐트의 전위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 각된다.

시술과 관련된 초기 합병증 중에서 피복물질이 담낭관 또는 췌관을 막아서 급성 담낭염과 췌장염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17).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2예에서 각각 시술 후 2일과 3일 에 췌장염 소견이 발생하였고, 보존적 치료 후 각각 4일과 6 일 후에 증상이 호전되었다. Bezzi 등(16)과 Schoder 등(17)

은 담낭관과 담도의 분지에 담즙 배설의 저항을 최소화하고자 근위부 피막에 여러 개의 구멍(side hole)을 두었으나 일부의 예에서 급성 담낭염과 담관염의 발생하였고, 구멍 자체가 담즙 찌꺼기 형성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의 부착을 증가시킬 수 있 다고 보고하였다. Kanasaki 등(11)은 피복물질에 의해 담낭관 과 췌관이 막혔음에도 담낭염이나 췌장염의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고, 병변에 의한 만성적인 협착 때문에 이러 한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 추측하였다. 따라서, 담낭 관과 췌관의 협착에 의한 합병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텐트 형 태나 시술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 된다.

나이티놀 세선은 매우 우수한 유연성과 탄성 그리고 팽창력 가지고 있어 피복 스텐트의 골격으로 적합하다(11). 그러나 나 이티놀은 방사선 비투과도가 좋지 않아 방사선 투시유도 하 시 술시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저자들이 사용한 스텐트는 방사선 투시유도 하에 시술이 쉽도록 스텐트 양단에 방사선표 식자가 부착되어 있어서, 모든 환자에게서 병변에 의한 협착부 의 양단에 2 cm 정도 거리를 더 두어서 스텐트를 정확하게 삽 입할 수 있었다.

저자들이 사용한 유도기구의 직경은 8Fr로써, 유연성이 뛰 어나 급격한 각도변화를 보이는 담도 내에서도 담도에 손상 없 이 시술이 쉬웠다고 보고한 Bezzi 등(16)이 사용한 10 Fr의 유도기구 보다 직경이 작다. 작은 직경의 유도기구와 유연성이 우수한 나이티놀의 장점 덕분에, 저자들은 시술시 혈담즙증 또 는 담도 외 담즙유출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종양의 과증식으로 인한 스텐트 재폐쇄를 방지하고자 충분한 길이의 스텐트를 선택하여 사용하였으나(overstenting) 병변의 상부로의 과증식이 2예에서 관찰되었다. 과증식이 발생한 1예 에서는 스텐트를 한 개 더 삽입하였고, 다른 1예에서는 경피적 담도 배액술을 시행하여 치료하였다.

결론적으로 악성 담도 협착 환자에서 자가 팽창성 PTFE- 피복 나이티놀 스텐트 설치술은 시술이 쉬우며 심각한 합병증 이 없는 안전한 시술이다. 또한 PTFE-피복이 종양의 내성장 을 방지하여 기존의 비피복스텐트에 비해 스텐트 개통률이 높 은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 된다. 그러나 기존의 스텐트에 비해 스텐트 전위의 빈도가 높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플레어 형태의 스텐트 구조가 스텐트 전위의 방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Lammer J, Klein GE, Kleinert R, Hausegger K, Einspieler R.

Obstructive jaundice: use of expandable metal endoprosthesis for biliary drainage. Radiology 1990;177:789-792

2. Salomonowitz EK, Adam A, Antonucci F, Stuckmann G, Zollikofer CL.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treatment with self expandable stainless steel endoprosthesis. Cardiovas Intervent Radiol 1992;15:

351-355

3. Gordon RL, Ring EJ, LaBerge JM, Doherty MM.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treatment with expandable metallic stents- follow-up of 50 consecutive patients. Radiology 1992;182:697-701

4. Rossi P, Bezzi M, Rossi M, Adam A, Chetty N, Roddie ME, et al.

Fig. 7. Graph shows cumulative results of Kaplan-Meier analy- sis of primary stent patency rates.

Patency Rate

Months

(8)

Metallic stents in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results of a multi- center European study of 240 patients. J Vasc Interv Radiol 1994;5:279-285

5. Pinol V, Castells A, Bordas JM, Real MI, Llach J, Montana X, et al.

Percutaneous self-expanding metal stents versus endoscopic poly- ethylene endoprostheses for treating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randomized clinical trial. Radiology 2002;225:27-34

6. Dick BW, Gordon RL, LaBerge JM, Doherty MM, Ring EJ.

Percutaneous transhepatic placement of biliary endoprostheses:

results in 100 consecutive patients. J Vasc Interv Radiol 1990;1:97- 100

7. Lameris JS, Stoker J, Nijs HG, Zonderland HM, Terpstra OT, van Blankenstein M, et al.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percutaneous use of self-expandable stents. Radiology 1991;179:703-707 8. Lammer J, Hausegger KA, Fluckiger F, Winkelbauer FW, Wilding

R, Klein GE, et al. Common bile duct obstruction due to malignan- cy: treatment with plastic versus metal stents. Radiology 1996;201:167-172

9. Boguth L, Tatalovic S, Antonucci F, Heer M, Sulser H, Zollikofer CL.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cor- relation after treatment with self expanding metal prostheses.

Radiology 1994;192:669-674

10. Hausegger KA, Thurnher S, Bodendorfer G, Zollikofer CL, Uggowitzer M, Kugler C, et al. Treatment of malignant biliary ob- struction with polyurethane-covered Wallstents. AJR Am J Roentgenol 1998;170:403-408

11. Kanasaki S, Furukawa A, Kane T, Murata K. Polyurethane-cov- ered Nitinol Strecker stents as primary palliative treatment of ma- lignant biliary obstruction. Cardiovasc Intervent Radiol 2000;23:114- 120

12. Han YM, Hwang SB, Lee ST, Lee JM, Chung GH. Polyurethane- covered self-expandable nitinol stent for malignant biliary obstruc- tion: preliminary results. Cadiovasc Intervent Radiol 2002;25:381- 387

13. Thurnher SA, Lammer J, Thurnher MM, Winkelbauer F, Graf O, Wildling R. Covered self-expanding transhepatic biliary stents:

clinical pilot study.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6;19:10-14 14. Rossi P, Bezzi M, Salvatori FM, Panzetti C, Rossi M, Pavia G.

Clinical experience with covered Wallstents for biliary malignan- cies: 23-mont follow-up.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7;20:441- 447

15. Miyayama S, Matsui O, Terayama N, Tatsu H, Yamamoto T, Takashima T. Covered Gianturco stents for malignant biliary ob- struction: preliminary clinical evaluation. J Vasc Interv Radiol 1997;8:641-648

16. Bezzi M, Zolovkins A, Cantisani V, Salvatori FM, Rossi M, Fanelli F, et al. New ePTFE/FEP-covered stent in the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J Vasc Interv Radiol 2002;13:581- 589

17. Schoder M, Rossi P, Uflacker R, Bezzi M, Stadler A, Funovics Ma, et al.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treatment with ePTFE-FEP- covered endoprosthese initial technical and clinical experiences in a multicenter trial. Radiology 2002;225:35-42

18. Han YM, Jin GY, Lee SO, Kwak HS, Chung GH. Flayered polyurethane-covered self-expandable nitinol stent for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J Vasc Interv Radiol 2003;14:1291-1301 19. Zografakis JG, Jones BT, Ravichardran P, Evancho-Chapman MM,

Schmidt SP, Arends D, et al. Endoluminal reconstruction of the ca- nine common biliary duct. Curr Surg 2003;60:437-441

20. Lee BH, Choe DH, Lee JH, Kim KH, Chin SY. Metallic stents in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prospective long-term clinical re- sults. AJR Am J Roentgenol 1997;168:741-745

21. Yasumori K, Mahmoudi N, Wright KC, Wallace S, Gianurco C.

Placement of covered self expanding metallic stents in the com- mon bile duct: a feasibility study. J Vasc Interv Radiol 1993;4:773- 778

22. Vanderburgh L, Ho CS. Nonvascular stents. Pro Cardiovas Dis 1996;39:187-200

23. Park DH, Kim MH, Choi JS, Lee SS, Seo DW, Kim JH, et al.

Covered versus uncovered Wallstent for malignant extrahepatic biliary obstruction.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6;4:790-796

(9)

J Korean Radiol Soc 2008;58:561-569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Gyoo Sik Jung, M.D., Department of Radiology, Gospe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34 Amnam-dong, Seo-gu, Busan 602-702, South Korea.

Tel. 82-51-990-6341 Fax. 82-51-255-2767 E-mail: gsjung@medimail.co.kr

Self-Expandabl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covered Nitinol Stent for the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1

Oong Yoo, M.D., Gyoo Sik Jung, M.D., Ji Ho Ko, M.D.2, Byung Hoon Han, M.D.3, Dong Hoon Shin, M.D.4

1Department of Radiology, Gospe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2Department of Radiology, Masan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3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ospe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4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Gospe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Purpose: We wanted to determine the technical and clinical efficacy of placing a self-expandable PTFE-cov- ered nitinol stent for the management of inoperable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six patients with inoperable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s were treated by placement of self-expandable PTFE-covered nitinol stents (S & G Biotech Corporation, Seongnam, Korea).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with assessment of the serum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levels, whic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stent placement within 1 week, at 1 month and at 3 months. The patient sur- vival rate and stent patency rate were calculated with performing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Results: Successful stent placement was achieved in all the patients without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

Pancreatitis as an early complication occurred in two cases. The serum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lev- 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procedure. During the follow-up, recurrent obstructive jaundice oc- curred in six cases; stent migration occurred in four cases and tumor overgrowth occurred in two cases. The survival rates were 97%, 80%, 67% and 59% at 1, 3, 6 and 9 months, respectively. The stent patency rates were 96%, 92%, 86% and 86% at 1, 3, 6 and 9 months, respectively.

Conclusion: Self-expandable PTFE-covered nitinol stent placement seems to be technically feasible and effec- tive for the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Index words :Bile duct neoplasms Stents

Radiology, interventional Polytetrafluoroethylene Cholestasis

수치

Fig. 2. A 56-year-old woman with GB cancer.
Fig. 3. A 55-year-old woman with cholangiocarcinoma.
Table 1. Laboratory-tes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Values During Follow-up
Fig. 5. A-78-year-old man with cholangiocarcinoma.
+3

참조

관련 문서

Christians at self-acceptance, sense of self and ego-identity, and the non-Christi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perior to the non- Christian high

52 Sheet resistance and carrier mobility of the spin-coated Al substrates by using PTFE or PTFE/CNT powder with a different CNT contents · ·

These results suggest that 0.45㎛ hydrophilic PTFE syringe filter(Advantec Toyo, Tokyo, Japan) could be suitable in the dissolution tests. The drug cont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n bone regeneration relative to maintenance period of PTFE membrane in rabbit calcarial defects.. Eight ad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educational processes, 'expansion of self-leading instructional ability', th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for the method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aromatherapy pimple treatment program with the pimple skin care and treatment by testing the actual

‘embodied’ cognitive tools for searching for self: for Avvakum, searching for inner self through different semantic domains, which is a metaphor, and for Epifanij sear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search the technology for treatment and restoration of abandoned wells through survey of cont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