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1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工學碩士 學位請求論文

해안지역 산업단지조성 단계에 따른 해양 부유물질 거동에 관한 연구

Behavior of Suspended Solids for the Development Stage of

Coastal Industrial Complex

(3)
(4)

Behavior of Suspended Solids for the Development Stage of Coastal Industrial Complex

Ki-Dam Kim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Abstract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 site to support the local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clusters is so active by reengineering and expanding

the existing sites or reclaiming the coastal z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coastal reclamation work in terms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dealing with the impact of coastal

reclamation work in terms of working phase. The change of sedimentation and

diffusion system under the action of winds, waves and current are discussed and

the analysis of the field measurement and comparison with the numerical

simulation are followed. The site for application in this study is at the coastal

boundary near On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Ulsan metro city. In order to

verify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 it is compared to the collected data for tide,

current, and sediments of the existing measurement and field observation at the

selected stations for this study. The verified numerical models were applied to the

actual field by construction step and the future change was analyzed.

(5)

목 차

ABSTRACT ⅰ

LIST OF TABLES ⅳ

LIST OF FIGURES ⅳ

NOMENCLATURE ⅷ

제 장 서 론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국내 외 연구 동향

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제 장 수치모델의 기초이론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해수유동의 지배방정식

2.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와동점성계수

2.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저면응력 성분

2.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바람응력 성분

2.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바람자료의 보정

2.1.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해수유동 안정조건

2.1.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풍파의 지배방정식

2.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파랑밀도 방정식

2.2.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파랑보존 방정식

2.2.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퇴적물 거동의 지배방정식

2.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부유사 확산

2.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퇴적물의 이동

2.3.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제 장 현장 환경 조사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조석 관측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관측개요

3.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6)

관측 방법

3.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조석 통계 분석

3.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조화분석

3.1.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연속조류 관측

3.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관측개요

3.2.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조류 통계

3.2.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조류 및 잔차류의 시계열

3.2.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제 장 모형의 적용 및 검증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해수유동

4.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모델의 수립

4.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검증

4.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실험결과

4.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부유사 확산

4.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모델의 수립

4.2.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오염 부하량

4.1.2 (SS 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실험결과

4.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퇴적물 이동

4.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7 모델의 수립

4.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7 실험결과

4.3.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9

제 장 결 론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참고문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7)

LIST OF TABLES

Table 3.1 Tidal observation abstract ···25

Table 3.2 Index of tidal observation device ···25

Table 3.3 Installation of tidal observation device ···25

Table 3.4 Harmonic and non-harmonic constant at Onsan port ···29

Table 3.5 Harmonic analysis at Onsan and Ulsan port ···30

Table 3.6 Abstract of serial tide observation ···33

Table 3.7 Dimension of current meter ···34

Table 3.8 Installation of current meter ···34

Table 3.9 Appearance rate by direction·velocity of flow ···38

Table 3.10 Harmonic constant of serial tide ···42

Table 3.11 Tide form number ···42

Table 4.1 Summary of model simulation set up ···43

Table 4.2 Four major constituents used open boundary conditions ···48

Table 4.3 Observed value at temporary tidal station ···50

Table 4.4 Comparing observed with calculated at P1,P2,P3 and T-1 ···51

Table 4.5 Comparing observed with calculated at PC-1 ···54

Table 4.6 Comparison analysis of flow speed before/after reclamation․ ···80

Table 4.7 Abstract of suspended load spread model ···81

Table 4.8 Construction schedule plan per each stage ···84

Table 4.9 Estimated volume of materials per hour for reclamation work ···84

Table 4.10 Pollution loading by shore protection work ···85

Table 4.11 Pollution loading by reclamation work ···85

Table 4.12 Suspended load occurrence amount by cases ···86

Table 4.13 Outlook of current at Ulsan coastal sea ···87

Table 4.14 Average direction and speed of surface flow by section for ocean current crossing observation line ···87

Table 4.15 Suspended load maximum concentration by construction step at each point(mg/l) ···95

Table 4.16 Abstract of deposit transfer model ···97

Table 4.17 List of rivers for model area and volume flow and appeared SS source···99

(8)

LIST OF FIGURES

Fig. 2.1 Definition of wind direction ···12

Fig. 2.2 Idealized Atmospheric Boundary Layer over Water ···12

Fig. 3.1 Tidal observation site ···24

Fig. 3.2 Tidal curved line of temporary tidal station at Onsan area ···26

Fig. 3.3 Tidal observation data computing processing flow chart ···27

Fig. 3.4 Tidal chart at Onsan area ···31

Fig. 3.5 Serial tidal current observation position ···35

Fig. 3.6 Computing processing flowchart of serial tidal current observation ···36

Fig. 3.7 Time change of velocity of flow ···39

Fig. 3.8 Scatter plot of direction and speed of flow and vector plot of serial tidal current ···40

Fig. 4.1 Calculation area seawater flow model ···44

Fig. 4.2 Mesh for model area ···45

Fig. 4.3 Bathymetric chart ···46

Fig. 4.4 Observation point of tidal water level and serial tidal current ···49

Fig. 4.5 Comparison of tides at P1,P2,P3 tidal stations ···52

Fig. 4.6 Comparison of tides at T1 tidal station ···52

Fig. 4.7 Comparison of U direction current speed between observed and calculated ····54

Fig. 4.8 Comparison of V direction current speed between observed and calculated ····54

Fig. 4.9 Scatter plot of direction and speed of flow between observed and calculated ··55 Fig. 4.10 Maximum flood tide current vector (Wide area) ···58

Fig. 4.11 Maximum ebb tide current vector (Wide area) ···59

Fig. 4.12 High tide level at Spring tidal periods (Wide area) ···60

Fig. 4.13 Low tide level at Spring tidal periods (Wide area) ···61

Fig. 4.14 Maximum flood (NORI 2001.8 publication) ···62

Fig. 4.15 Maximum ebb (NORI 2001.8 publication) ···63

Fig. 4.16 Mesh for model area (Transition area) ···65

Fig. 4.17 Maximum flood tide current vector (Transition area) ···66

Fig. 4.18 Maximum ebb tide current vector (Transition area) ···67

Fig. 4.19 High tide level at Spring tidal periods (Transition area) ···68

Fig. 4.20 Low tide level at Spring tidal periods (Transition area) ···69

(9)

Fig. 4.21 Mesh for model area (Detailed area) ···71

Fig. 4.22 Position of detailed sea area (Before development) ···72

Fig. 4.23 Position of detailed sea area (After development) ···72

Fig. 4.24 Maximum flood tidal current vector(Before reclamation) ···73

Fig. 4.25 Maximum flood tidal current vector(After reclamation) ···74

Fig. 4.26 Maximum ebb tidal current vector(Before reclamation) ···75

Fig. 4.27 Maximum ebb tidal current vector (After reclamation) ···76

Fig. 4.28 Velocity of flow comparison point ···77

Fig. 4.29 Comparison of current speed at S1 S7 point before/after reclamation~ ···80

Fig. 4.30 Previous progress schedule ···83

Fig. 4.31 Korean littoral current(2005.2.21~3.31) ···88

Fig. 4.32 Korean littoral current(2006.2.1~3.2) ···89

Fig. 4.33 Korean littoral current(2007.1.30~3.5) ···90

Fig. 4.34 Line of SS occurrence & Point of SS concentration measurement ···91

Fig. 4.35 Distribution of maximum SS concentration(Stage 1) ···92

Fig. 4.36 Distribution of maximum SS concentration(Stage 2) ···93

Fig. 4.37 Distribution of maximum SS concentration(Stage 3) ···94

Fig. 4.38 Distribution of maximum SS concentration(Stage 4) ···95

Fig. 4.39 Predicted sedimentation before reclamation work ···100

Fig. 4.40 Predicted sedimentation after reclamation work ···101

(10)

NOMENCLATURE

Mean wave celerity

Average group celerity of the spectrum

 Derivative

 Wave energy density divided by (ρ ), where ρ is density of water

 Total energy in the spectrum divided by (ρ )

 Gravitational acceleration

 Water depth

 Zero-moment wave height

 Wave number

Energy flux

Wave number associated with the peak of the spectrum

 Coordinate normal to the wave orthogonal

 Coordinate in the direction of the wave ray

 Energy source and sink terms

∆ Equivalent travel time

Friction velocity

,  Depth-averaged velocities in the x, y directions

 Wave orthogonal direction(normal to the wave crest)

Mean wave direction, relative to the grid

 Factor equal to 0.9 for wind seas

 Direction of the current relative to a reference frame (the x-axis)

 Coefficient equal to 30

(11)

 Partitioning coefficient

 Direction of wave ray

Density of air

Density of water

 Angular frequency

 Phase velocity σ

 Group velocity σ with   

    



 Wave number (= π ), related to the local depth through the linear dispersion relation:

Reflection coefficient

 Friction factor

 Wave breaking parameter

 Complex surface elevation function, from which the wave height can be estimated

 Hankel functions of the first kind

,  Dispersive Boussinesq type terms

,  Dispersive terms due to bottom friction (, ) Wave/roller celerities

 Surf similarity parameter

Wave height at the break point

Deepwater wavelength

Friction factor

 Roller thickness

 Breaker angle

(12)

제 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우리나라는 60년대 초부터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바탕으로 단기간에 고도 의 경제성장을 하였으나 그 결과 지역 간 불균형이 심화되고 불규칙적인 산, , 업구조가 자리매김하였다 이에 참여정부 출범 초기부터 국가균형발전정책을. 핵심 국정과제로 설정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덕연구개발특구와, 7 개의 산업클러스터 반월( ·시화 원주 구미 울산 창원 광주 군산 를 통하여, , , , , , ) 그 지역의 신 성장기점을 마련하여 지역균형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산. 업클러스터 중 반월·시화 울산 군산 등은 육지와 바다가 공존하여 풍부한, , 자원이 존재하는 영역으로써 육상의 부족한 공간자원의 확보 및 쾌적한 환경 을 위하여 연안의 매립과 임해공업단지 조성을 통하여 개발 중에 있다.

항만과 해안을 포함하는 연안개발은 필연적으로 수행되지만 이로 인하여, 해양환경에 해저지형 해류 수질 및 저질 등의 물리 화학적인 변화를 발생시, , · 켜 예상치 못한 해양환경 오염으로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해안 하구 해양공간의 개발을 위한 계획단계에서부터 완공까지 예, , 상되는 환경변화를 철저히 조사하도록 제도적 기틀이 마련되어야 하며 효율, 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기준도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해양환경 변화는. 바람 파랑 해저지형 변화 등의 불규칙적인 요소들로 인해 정확한 예측이 어, , 려우며 특히 하구나 연안해역은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지역으로서 해수의 유, 동현상이 보다 복잡하며 예측 또한 힘들다, .

본 논문에서는 수치모형을 통해 해양매립에 따른 주변해역의 해수유동 변화 및 점착성 Sediment 이동양상을 예측하고 해중공사 시 발생하는 부유사 확, 산을 공정단계에 따른 시·공간적으로 나타내어 공사순서 및 방법에 따라 다 른 형태로 발생되는 오염 확산범위를 미연에 예측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3)

국내 외 연구 동향 1.2 ·

부유사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Parameter로는 광대한 해양의 저질 입자 특성 부유사의 확산 작용 해수의 물리 화학적 작용이 복합된 대단히 복잡한, , · 현상이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이에 대한 정확한 이론적인 정립이나 해석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잡한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들이 계속되. 어 왔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부유사의 운동, . 에 관한 연구의 흐름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표사에 관한 실험적 연구는 DuBoys(1879)의 하천 소류력에 관한 실험식 발표를 시작으로 여러 학자들에 의한 다양한 실험식이 소개되었다(Graf, 는 난류이론을 공기 중의 먼지 입자에 적용하여 표사 1971). Schmidt(1946)

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여 입자의 부유에 관한 미분방정식을 세웠다.

이방정식은 O'Brien(1933)에 의하여 난류흐름과 표사 이송과의 일반적인 정 의로부터 유도되었으며, Von Karman(1934)은 운동량 확산계수가 연직속도 에 관계된다고 하였다.

부유사에 대한 연구로는 난류의 변동속도 성분을 도입하고 부유사 확산계수 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부유사의 연직농도 분포식을 유도한 Rouse(1938)의 연구가 있다. Hunt(1938)는 부유사의 농도가 큰 경우에 대한 수정분포식을 발표하였고, Mctigue(1981)가 운동량 방정식을 이용한 혼합류 이론을 발표 하였으나 아직 널리 이용되지 않고 있으며 현재까지 이류확산이론이 지배적, 으로 사용되고 있다 부유사 문제를 취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고려. 되어야 할 것은 확산계수와 기준점 농도라고 할 수 있다 기준점 농도에 대해. 서 Einstein(1950)은 기준점 높이로 바닥 입경의 2배 높이를 제안하고 있으 며 기준점 농도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으나 아직 미해결, , 의 문제로 남아 있다.

(14)

부유사확산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경험적인 방법 수리모형 실험법 수치, , 모의 실험에 의한 방법 등이 있으나 부유사확산에 관한 메커니즘과 경계조건, 을 정확히 알고 있으면 수치모의 실험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경 제적인 방법이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에 들어와서 하구나 해안에서의 표사 이동에 영향을 주는 부유사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안 등. (1980)은 미소진폭파에 의한 부유사농도 분포에 대해서 유한차분법으로 수치해를 얻었고 강, (1987)과 염 은 수심 평균된 이차원 천수방정식과 이류 확산방정식을 적용하여 한

(1988) -

계전단응력 범위 내에서 일어나는 퇴적 침식을 고려하여 각각 낙동강하구와, 광양만의 부유사농도 분포를 추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MIKE21 HD, AD, MT 모듈은 이전에 강과 문 이 해수유통시설에 따른 대흑산도항 오염확산양상 변화 에 대한 연구

(2004) " "

에 적용시킨 바가 있으며, 조석 및 파랑, 바람 인자를 고려한 방식은 유 가 파와 해류에 의한 소류사 이동 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가 있다

(1995) " " .

(15)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3

본 연구는 온산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의 일환인 강양·우봉 1,2지구 매립지 조성에 따른 부근 해역의 해양물리적 특성 퇴적체계 변화 해양환경 변화 등, , 의 수리현상변화를 해양관측조사 및 해양수치모델링을 통하여 분석하고 주변 해역의 침식·퇴적 현상 부유사, (SS) 확산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사 전에 예측함으로써 최적의 공사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상지역 기상 및 해상자료 사전조사 해양관측조사에 이어서, , 해수유동 수치모형 부유사, (SS)확산 수치모형 퇴적물이동 수치모형을 구축하, 였다 조석 파랑 바람 및 그 외의 인자를 고려하여 수차례 해수유동 수치모. , , 형실험 후 해양관측자료를 통해 검증하고 실제 해양환경과 유사한 모형으로, , 재현하여 부유사(SS)확산 및 퇴적물이동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도출된.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결론에 이르렀다.

(16)

제 장 수치모델의 기초이론 2

해수유동의 지배방정식 2.1

본 연구에서는 해수의 유동현상을 재현하기 위하여 해수를 비압축성 유체로 가정하여 연직 적분된 2차원의 질량 및 운동량 보존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하였다.

연속방정식 : 

 



 



  (2.1)

운동량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여기서,    : 총 수심(m) : 정수면(m)

: 수면변동(m) , : x, y 방향의 속도성분

     : 코리올리 매개변수  : 바람응역 성분

 : 위도  : 중력가속도

: 대기압     : 해수의 단위중량

(17)

 : 측면응력  : 저면 응력 성분

 : 지구자전의 각속도로  ×  

    : 잉여응력의 텐서성분

 : 물 순환에 의해 주변으로 이동되는 속도 생성 소멸되는 양으로 일반적으로

S : · 0

  : x, y 방향의 수심 적분된 속도성분

  

 

   

 

 (2.4)

조석과 같은 장파 해석을 수행하게 되면 계산영역이 넓어지는 경우가 많아지므로 반드시 지구의 자전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자전효과를 나타내는. 코리올리 매개변수는     과 같이 나타내며, 는 지구자전의 각속도로

 ×   이고, 는 위도로써 북반구에서는 양수이고 남반구에서는 음의 값을 가진다. 는 중력가속도,    는 해수의 단위중량으로 온도

와 염도 에 의해서 결정된다(UNESCO, 1981). 는 대기압이며, 저면 응력 성분은 

 

표시되며,  은 바람응역 성분이다.

측면응력 는 점성마찰 난류마찰과 부등이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와동점성, , 방정식은 수심평균된 속도의 경사에 의해 변하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   



 

 

(2.5)

(18)

와동점성계수 2.1.1

수치모델 적용시 수평와동점성 계수로 상수 값을 사용하기도 하나 여기서 사용된 와동점성계수는 Smagorinsky(1963)에 의해서 제안된 것으로 특정 매쉬 길이와 유속장을 수평와동 점성계수에 관련시킨 계수가 더욱 발전적이다

한국해양연구소

( , 1993).

  

 (2.6)

여기서 는 Smagorinsky 계수로서 0.25~1.00의 값이 제안되고 있다. 은 특정 매쉬 길이 그리고 모양에 따른 비율은 다음과 같다.

 





 



(2.7)

위 식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Lilly(1967), Leonard(1974) 의 논문에 수록되어 있다

Aupoix(1894), Horiutie .

저면응력 성분 2.1.2

저면 응력   는 수심평균된 유속으로 방향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 이 정의된다.

 



(2.8)

여기서,  : 항력 계수 

 

: 수심 평균된 유속

(19)

마찰속도와 결합된 저면 응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2.9)

항력계수는 각각 저면 저항을 무시하거나 Chezy 수 ( 30~50) 또는 수

Manning (20~40)으로 설정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다.

 

 (2.10)

 

 (2.11)

바람응력 성분 2.1.3

표면응력 

  

는 자유수면 위의 바람에 의해 결정되며 경험식에 의 하면 다음과 같다.

 (2.12)

여기서,  : 공기의 밀도  : 공기의 항력계수

  : 수면위로 10m 지점의 풍속

마찰속도에 의한 표면응력은 다음과 같다.





(2.13)

(20)

항력계수는 상수값을 이용하거나 또는 바람 속도에 의해 결정 할 수 있다.

의 경험식에 의해서 항력계수를 매개변수화 시켜서 다음과 Wu (1980, 1994)

같이 사용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2.14)

여기서,     :경험인수

 : 해수면 위 10m지점의 풍속

일반적인 경험인수는  · ,  · ,  ,  

으로 개방 해역에 적용 시 일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낸다 호수위에서 수집된. 항력계수는 좀 더 높은 값을 사용해야 한다. Geernaert and Plant(1990)의 논문에 항력계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바람자료의 보정 2.1.4

기상청 비행장 등에서 관측된 자료는 관심영역과 상당한 이격거리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고 해상에서 관측된 결과 데이터를 구하기는 더욱 어렵다 그. 래서 인근 지역에서 수집된 바람자료를 보정해서 사용해야 하며 본 연구에서 는 미공병단의 ACES(Automated Coastal Engineering System) 모형 중 풍속 보정과 파랑 발달 모형(Wind Adjustment and Wave Growth)을 이용 하여 풍속관측높이 관측최대풍속 기온과 수온의 차이 관측풍의 지속시간, , , , 최종풍속의 지속시간 풍향, (Fig. 2.1), 위도에 의해서 기상연보의 관측 풍속을 보정하였다.

(21)

수면위의 대기는 Fig. 2.2와 같이 일반적으로 3개의 층으로 나뉘어져있으 며, 관측된 풍속으로부터 우선 지상 높은 곳 (1Km이상 의) 지균풍

의 풍속

(geostrophic wind) 를 다음의 식으로부터 구한다.(cgs units)

 

 

(2.15)

여기서,  : 마찰속도 = 







 : von Karman 상수 (≅ 0.4)

 : 풍속 관측 높이  : 표면조도 (≅ 30cm로 가정)

  : 육지에서의 저항계수 (drag coefficient)≅

Wind Direction

North

Fig. 2.1 Definition of wind direction

(22)

Fig. 2.2 Idealized Atmospheric Boundary Layer over Water

의 아래의 경계층 영역으로 부터 해수면에서의 마찰속도

Fig. 2.2 (10~60m)

를 구한다.

 



 

′

(2.16)

여기서,  특정 높이 z에서의 풍속,  

  는 표면조도로서 각각 의 상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는 풍 속 관측 높이, ∆는 대기와 해수의 온도차, 는 KEYPS 식(Lumley and Panofsky, 1964), ′은 Obukov 안정 길이로 다음과 같다.

(23)

′   



 

′

(2.17)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8)

 ′

    (2.19)

추가적으로 일정 응력 지역 이외의 지역은 해수면에서 지균풍 지역까지 영 역을 포함하는 다음 식을 이용한다.

 

∣

    ∣

∣   (2.20)

    ∣



(2.21)

여기서,  : 지균풍  : Coriolis 가속도

  : 무차원 안정함수

    

    

  ≤  (2.22)

(24)

       

   

    (2.23)

여기서,   



무차원 안정변수

:    : 상수

:

θ 와 표면응력 사이의 각

풍속 보정 및 파랑발달 모형에서는 앞의 식들을 연립하여 U*, L, A 가 수 렴 할 때까지 시산법으로 해를 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과정에서 요구되. 는 자료에는 관측풍속() 및 관측높이(), 대기와 해수의 온도차(ΔT), 위도 등이 있다 여기서 대기와 해수의 온도차의 영향을 살펴보면. , ΔT가 음 의 값을 갖는 경우 즉 대기의 온도가 해수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경계층, , 이 불안정하여 파랑발달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ΔT=0인 경우는 경계층이 중립안정(neutral stability)의 상태에 있다 고 하고 ΔT>0인 경우는 ΔT=0인 경우에 비해 파랑발달을 억제시키는 효과 가 있다.

등가중립풍속 (equivalent neutral wind speed)으로 변환

등가중립풍속, 는 대기와 해수의 온도차가 없을 때 ( T=0),Δ 해수면 위 에서의 풍속을 의미한다 위의 과정에서 해수면에서의 마찰속도

10m . 가 구

해지면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2.24)

짧은 취송거리에 대한 보정.

취송거리가 16km보다 짧을 경우에는 는 다음과 같이 보정된다.

(25)

  (2.25)

지속시간에 대한 보정

사용된 풍속자료는 10분 평균 최대풍속으로 이를 파랑발달 공식에 사용하, 기 위해서는 일정한 지속시간의 평균풍속으로 변환해야 한다 다음의 식을 이. 용해 원하는 지속시간의 평균풍속을 구하게 된다.



   

 



     (2.26)



    (2.27)

여기서, 는 초로 나타낸 지속시간이다 구하는 과정은 우선 자료의 풍속과. 지속시간을 사용해 1시간의 지속시간을 갖는 풍속 을 산정하고 산정된, 값을 이용해 원하는 지속시간의 평균풍속을 구하게 된다.

바람 전단응력(wind stress)의 비선형효과에 대한 보정.

에 의하면 바람에 의한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Garratt(1977) .

   (2.28)

여기서,  : 공기의 밀도     

그런데 파랑발달모형에서 사용되는 풍속은,   에 대한 것이므로 등, 가중립풍속 는 다음과 같이 보정되어야 한다.

 



(2.29)

(26)

해수유동 안정조건 2.1.5

수는 천해역에서 주로 안정조건을 벗어 Courant-Friedrich-Levy (CFL)́

나는 경우가 많으며 가변 매쉬를 만들어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실행후, CFL 안정조건이 위배되는 요소망 또는 육지인근의 요소망에서 주로 에러가 발생, 하며 에러가 발생된 요소 인근지역에 유한요소법칙이 위배되는 영역을 수정, 해야 한다 양적. scheme이 안정하기 위해서는 다음 식을 만족해야 하고 일, 반적으로 CFL 수는 1미만이어야 안정성이 확보 될 수 있다 매 계산 시간 스. 템사이에 어떠한 변수를 운반한거리 ∆ ∆가 이산폭인 ∆ ∆를 초과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  

   

 (2.30)

 

 

 (2.31)

이와 같은 지배방정식을 기초로 하여 2차원 자유표면 흐름에 대한 포괄적인 Model 로 이미 많은 전문가들에 의해 Modeling의 정확성이 입증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MIKE21 모형을 본 연구에서는 적용하기로 한다.

에서 은 호수나 조수간만의 차가 있는

MIKE21 Hydrodynamic Model(HD)

강, 연근해 지역의 다양한 힘의 작용에 반응하는 수위변위와 흐름을 모의 시뮬레이션하는 Module이다.

(27)

개의 4

주요 응용분야

partⅠ partⅡ partⅢ partⅣ

Environmental hydraulics

Coastal hydraulic &

oceanography

Sediment

processes Waves

개의 13 계산모듈

Water quality Tidal hydraulics

Cohesive and non-cohesive

sediments

Wave agitation in

harbours Oxygen

depletion

Wind and wave generated

currents

Effect of waves and currents

Non-linear transformations Eutrophication Storm surges Littoral

transport Ship motions Heavy metals Hindcast and

forecast

Impact due to dredging/reclam

ation

Harbour resonance Cooling water Tsunamis - Hindcast and

forecast

Sewer outfalls - - Design wave

parameters

풍파의 지배방정식 2.2

파랑밀도 방정식 2.2.1

파랑밀도(Wave action density)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2.32)

여기서,   : 에너지 밀도  : 파향

 : 상대 각주파수 (  )

(28)

선형 분산관계식(linear dispersion relation)은 다음과 같다.

      ∙  (2.33)

여기서,  : 중력가속도  : 수심

 : 유속벡터  : 절대 각주파수 (  )

조류에 관한 파랑에너지의 군속도 의 양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

 (2.34)

조류에 관한 파랑의 위상속도 는 다음과 같다.

  

 (2.35)

파랑보존 방정식 2.2.2

지배 방정식으로 사용된 직교좌표계의 파랑작용의 보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2.37)

여기서,     : 중력가속도  : 수심

 : 유속벡터  : 절대 각주파수 (  )

(29)

         (2.38)

여기서,  : 중력가속도  : 수심

 : 유속벡터  : 절대 각주파수 (  )

퇴적물 거동의 지배방정식 2.3

부유사 확산 2.3.1

부유사의 확산에서는 다음과 같이 수심 적분된 확산방정식이 적용된다.

확산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2.39)

여기서,   수심    수심평균농도

  확산계수    퇴적침식항  

  퇴적침식항    방출 농도

    방향에 대한 수심평균유속  

 단위수평면적당 방출량

이류분산을 다루는 MIKE21의 AD(Advection- Dispersion)모듈에 사용된 수평 분산 설계는 부유 침전물의 운반과 분산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AD 모 듈은 대상지역의 모의영역 내에 용해되어 있거나 부유되어 있는 물질을 이류 분산방정식을 이용해 2차원으로 해를 구한다 이것은 사실상 질량보존방정식.

(30)

이며 용출, (Source)과 흡입(Sink)에서의 유량과 혼합농도를 포함하고 있다. 이 모델은 항구 석호나 해안지역에 있는 응집력이 있는 물질의 침전을 측, 정하거나 준설된 흙의 처리를 측정하는데 쓰일 수 있다.

퇴적물의 이동 2.3.2

본 연구에서는 Engelund 와 Hansen(1967) 의 공식으로 총 표사량을 산정 하였으며 부유사량과 소류사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총 표사량을 알아야한다, . 총 표사량 공식은 와  인자에 의해서 결정되며 각각 소류사 및 부유사량 을 결정지어 준다 두 가지 수송모드에서 분명히 구분하여 사용해야한다 소류. . 사 인자   그리고 부유사 인자  이다 인자의 값이 의미하는 것은. 총 표사량에서 10%는 소류사가 취하고 90%는 부유사가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류사의 경우 소류사 측정 인자, 를 수송 방정식에 적용할 수 있다 기본. 값은 1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값은 0.5~2.0 사이의 값을 가변적으로 사 용할 수 있다 값을 적용함에 있어서 충분한 수리실험 등을 통하여 수치값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부유사의 경우 부유사 측정 인자, 를 수송방정식에 적용할 수 있다 소류. 사와 마찬가지로 기본 값으로 1을 사용하고 있으며, 값은 05~2.0 사이의 값을 사용하고 있다.  역시 충분한 사전검토가 필요하다.

 ·  (2.34)

  ·  (2.35)

여기서 은 소류사(), 은 부유사(),  ()은 총 표사량으로

(31)

상사 원리를 적용하여 유사 이송 함수를 유도 하였다 엄밀히 말하자면 상사. , 원리에 따라 사구 하상의 흐름에 적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Engelund 와 은 이론으로부터 심각하게 이탈하지 않고도 사구 하상과 보

Hansen 0.15mm

다 큰 입경의 고수류 영역(upper flow regime)에 적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 였다(Yang 등, 2007). 입도가 작은 경우는 사용하지 말도록 권고 하였고,

실험수로의 자료이며 실험당시 사용한 유사직경은

8ft , 0.19, 0.27, 0.45,

이며 입도는 이었다 와 의 공식

0.93mm 1.30, 1.56, 1.60 . Engelund Hansen

은 무차원량의 함수로 나타나 있으므로 사용된 단위의 일관성이 있으면 어느 단위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박.( , 2004)

  

  

(2.36)

    

 (2.37)

여기서,    : 흐름의 전단응력 (는 국부 Chezy 수)

 : 해수의 밀도  : 퇴적물의 밀도 2650

 : 밀도비()

평형 농도는 부유사를 물의 흐름으로 나누어 체적 농도를 질량 농도로 변환 한다.

 ·

 

·· (2.38)

여기서,  : Chezy 수  : 유사의 상대 밀도

: 평형 질량농도()  : 유속( )

(32)

퇴적물 이동에 관해서는 진흙에 적용할 수 있는 MIKE 21 MT(Mud 모듈을 사용하는데 파도와 해류의 작용으로 인한 응집력이 Transportation)

있는 침전물 진흙 침니 모래보다 곱고 진흙보다 거친 침적토 점토 의 침식( , - , ) , 운반 그리고 퇴적작용을 포함한다 이 모델은 또한 하천바닥의 경도까지 포함. 하고 있다 응집력이 있는 침전물에 대한 보편적인 응용의 부족과 물리적인. 공식화가 이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모델이 어느 정도까지는 실험적인 자료의 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침식작용과 퇴적작용의. , 수학적인 설명은 비록 그것이 물리적인 원리에 기초한다 할지라도 본질적으, 로는 실험적이다.

(33)

제 장 현장 환경 조사 3

대상해역인 울산은 한반도의 동남단에 위치한 천혜의 온난한 기후를 가진 항 구도시로 동경 129 15´˚ ∼ 129 27´,˚ 북위 35 27´˚ ∼ 35 36´˚ 에 위치 한다 서고동저형의 지형상 서부는 산맥 동부는 해안으로 형성되어 해양성기후. , 가 공존한다 따라서 겨울의 찬 북서풍을 막아 기온을 따뜻하게 하고 바다에서. , 불어오는 해풍이 기온을 조절하여 기후는 온화한 편이다 또한 계절풍이 많이. , 부는 관계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겨울에는 한, , , , 랭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더운 날씨를 보이고 봄 가을에는 이동성 고기, · 압의 영향으로 맑고 건조한 날이 많고 날이 따뜻해서 쾌적한 날이 많다.

연평균 평균기온은 14.3 ,℃ 최고기온은 38.2 ,℃ 최저기온은 -10.8℃이며, 연평균 상대습도는 67.5%, 연평균 강수량은 1,250.3mm로써 경남지역이

정도인데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낸다

1600∼1800mm . 1996∼2005년도까지

차례의 태풍이 내습하였으며 최저 기압은 에 발생한 으로

25 , 2000.7 Kai-Tak

이며 순간 최대풍속은 에 발생한 태풍 로 방향

1,007.4hpa , 2003.3 Maemi E

의 강풍이 불었다 풍향은

49.2m/s . W∼S 계열의 육풍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 으며 폭풍 시 최대풍속은, SW 20.7m/s, 순간최대풍속은 NNW 36.7m/s이다.

(34)

조석 관측 3.1

관측개요 3.1.1

대상 해역의 조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온산지역에 임시검조소를 설치하 고 30일간 조석 관측을 실시하였으며 울산항의 기준검조소 자료를 수집 분석, ․ 하였다. Table 3.1은 조석관측 개요를 나타낸다.

관측 방법 3.1.2

압력식 검조기를 온산 새한기계 전면 해저에 설치하여 매 10분 간격으로 조위를 자기기록하였다. Table 3.2은 자기검조기의 제원을 나타낸다 관측기. 간중 자기지상의 0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임시검조소 부근에 검조표척을 설치 하고 기준측정을 실시하여 자기기록의 0점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조석 통계 분석 3.1.3 ·

관측된 조석자료는 전산 처리되었으며 온산 및 동기간 울산항의 매 시별, 조위와 고 저조의 시각 및 조위는 제 장 해수유동 수치모형의 수치값과 비․ 4 교·검증할 것이다. 여기서 조위는 각항 기본수준면상으로 환산한 값이며,

는 온산 임시검조소 조석곡선이다

Fig. 3.2 .

(35)

Fig. 3.1 Tidal observation site

(36)

위치 경위도 관측기간 조위 기준 관측기기

온산 (T-1)

35-24-13.31 N 129-21-15.96 E

2008. 3. 01

~ 2008. 3. 30

온산

기본수준면상 압력식 검조시

Table 3.2 Tidal observation abstract

구분 내용

측기명 XR-420-TG

측정범위 0~30m

정도 ±0.1%이내

제작회사 캐나다 RBR

조석 관측기기 준비 조석관측기기 설치

(37)

-30

030

60

90 3/14710131619222528 date

Tid e H eig ht (c m)

(38)

현장 관측자료 압력식 검조의(XR-420-TG)

컴퓨터 접속, 자료 독취 (10분 간격)

기압, 수온, 염분자료

기준측정

표척 관측치와 자기기록치의 회귀분석

조화 분석

1차 조위보정 기압 및 해수밀도 보정

2차 조위보정 배율 및 편차 보정

조위자료 검토 및 확인 조석곡선 작도

• 조화상수 • 비조화상수

통계 분석 • 매시별 조위기록 • 고·저조위 • 고·저조시 • 월평균해면 • 월극조위 • 월평균 고·저조위

(39)

조화분석 3.1.4

임의 시의 조위()는 다음과 같이 여러 분조의 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



      

여기서,  평균해면   분조의 각속도

  시간   분조의 반조차   

  분조의 지각  

   천문상수

위 식에서 각 분조의 반조차(H)와 지각(K)을 조화상수(harmonic constant)라 하며 조화상수를 구하는 계산을 조화분석이라 한다 비조화상수는 조화상수로부터, . 유도되며 조석의 특성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여러 분조 중 주요. 4개 분조의 특성 및 비조화상수 계산식은 Table 3.4와 같다. 온산에서의 관측기간중 매 시별 조위를 최소자승법으로 조화분해한 4개 분조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는 Table

와 같다 3.5 .

(40)

조 화 상 수

기호 분조 각속도

(°/hr)

주기 (hr)

조화상수 기호

반조차 지각

주태음반일주조 주태양반일주조 주태음일주조 일월합성일주조

28.98 30.00 13.94 15.04

13.42 13.00 25.82 23.93

Hm Hs Ho H'

Km Ks Ko K'

비 조 화 상 수

비조화상수 계산식

평균고조간격 M.H.W.I

평균저조간격 M.L.W.I

약최고고조위 Approx. H.H.W 대조평균고조위 H.W.O.S.T

평균고조위 H.W.O.M.T

소조평균고조위 H.W.O.N.T

평균해면 M.S.L

소조평균저조위 L.W.O.N.T

평균저조위 L.W.O.S.T

대조평균저조위 L.W.O.S.T

대조차 Spring Range

평균조차 Mean Range

소조차 Neap Range

조석 형태수 Tide Factor

Km/29

km/29+6h 12m 2(Hm+Hs+Ho+H') 2(Hm+Hs)+Ho+H' 2Hm+Hs+Ho+H' 2Hm+Ho+H' Hm+Hs+Ho+H' 2Hs+Ho+H' Hs+Ho+H' Ho+H' 2(Hm+Hs) 2Hm 2(Hm-Hs)

(Ho+H')/(Hm+Hs)

(41)

측점 온산 임시검조소( ) 울산항 기준검조소( )

관측위치 35-24-13 N

129-21-16 E

35-30-44 N 129-23-13 E 관측기간 2008. 3. 1 ∼ 3. 282008. 3. 1 ∼ 3. 28

조 화 상 수

항목

분조

반조차 (cm)

지각 (°)

반조차 (cm)

지각 (°)

주태음반일주조

주태양반일주조

주태음일주조

일월합성일주조

16.43 7.86 3.21 3.96

214.07 243.81 353.35 33.49

15.42 7.34 3.97 3.76

211.48 243.41 357.01 23.12

비 조 화 상 수

평균고조간격(M.H.W.I) 평균저조간격(M.L.W.I)

7H 23M 1H 35M

7H 18M 1H 30M 고극조위 (Obs. H.H.W)

약최고고조위 (Approx. H.H.W) 대조평균고조위 (H.W.O.S.T)

평균고조위 (H.W.O.M.T) 소조평균고조위 (H.W.O.N.T)

평균해면 (M.S.L) 소조평균저조위 (L.W.O.N.T)

평균저조위 (L.W.O.M.T) 대조평균저조위 (L.W.O.S.T) 약최저저조위 (Approx. L.L.W)

저극조위 (Obs. L.L.W)

- 63.9 55.8 47.9 40.0 31.5 23.9 15.0 7.2 0.0 -

- 59.0 53.3 44.9 37.6 29.5 21.4 14.1 6.7 0.0 - 대조차 (Sp. Range)

평균조차 (Mn. Range) 소조차 (Np. Range)

48.6 33.9 17.1

40.5 30.8 16.2 조석형태수

(Tide Form Number) 0.295 0.296

(42)

온산

(2008. 3. 1 ∼ 3. 30)

동기간 울산항 기준조석 (2008. 3. 1 ∼ 3. 30) (Unit : cm)

참조

관련 문서

Faced on the limits of growth in the late 20th century, some industrial cities performed city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arts and used it for the

This study observes the fictional realism used in The Magus and discusses how it is deployed in the short stories of The Ebony Tower differently.. Through this analysis,

→ Turbulent boundary layer is established near the leading edge of the boundary without a preceding stretch of laminar flow... • Interior of the turbulent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for the flow control of the vane pump to be applied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it is very necessary to analyze the variation in

Taylor Serie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hinese brand image in the current market environment of the world where the influence of China is increasing. Therefore, in this

In order to evaluate an organization from the safety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organizational factors in a systematic fashion.. In this

 In order to handle sequence of random numbers for a certain particle simulation, it is required to set a seed number to a prescribed value. Especially, this adjustment 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