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ULSAN Before Reclamation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2-117)

Fig 4.48 Predicted sedimentation before reclamation work

Onsan ULSAN After Reclamation

Fig 4.49 Predicted sedimentation before reclamation work

결 론 5.

본 연구에는 매립공사에 따른 주변해역의 특성파악을 위한 해수유동 부유, 사 확산 침식 퇴적 체계변화 등의 예측을 위한 수치모형 실험을 실시하여 주, ․ 변해역의 변화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적용대상으로 울산 온산 국가산. 업단지 해양매립이며 수치모형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수치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관측지점에서 측정된 조화상 (1)

수를 이용하여 수치계산 결과와 비교해 본 결과 총, 4개 지점에서의 관측결과 와 수치계산 결과가 대체적으로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수. 치모델에 의한 계산결과는 울산일대 주변해역의 유동구조를 잘 재현하였다고 판단된다.

해수유동 수치모형실험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개 검조소 방어진

(2) , 3 ( ,

온산 고리 에서 관측, ) ·보정된 조위값은 모형 관측치와 90%이상 일치하였으 나 온산 현장관측지점 조위 데이터는 잔차류를 포함하고 있는 측류벡터이므, 로 유사한 패턴의 조위값과 조류속을 도출하였다 또한 수치모형 내의 조류는. , 창조시 남남서류하고 낙조시 북북동류 또는 북동류하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발행한 조류도 분포와 일치한다 최강창 낙 조시 강양 우봉. ( ) · 1,2지구 해양매 립지 내의 유속은 0.2m/s 이내이며 매립전후로 조류속 비교 시 큰 차이는, 없었다.

각 단계에 따른 부유사 최대확산 범위와 형태의 변화는 분포도 및 정 (3)

점별 최대농도 표를 통하여 알 수 있다 그리고. 1, 2, 3 단계의 최대확산 범 위가 4단계보다 작은 것은 외해로 뻗어나갈 부유사가 매립지 내측에 유입되 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사료된다.

매립전후로 퇴적물이동 수치모형실험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전 영역

(4) ,

에서 -0.012m ~ 0.042m 내외로 거의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나 태풍, 이나 다른 조건에서 발생되는 유사는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퇴적물 이동 양상 에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증명된 바 해양매립의 조성단계에 따라 부유사, 확산범위와 강도가 다르게 나타남으로 그 지역의 해양환경 및 공사강도에 따 라 공정순서를 달리하면 그로 인해 환경적인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해양환경을 변화시키는 해양매립 및 해양공사 시 사전에 충분한 환경조사와 다방면의 수치모형을 통하여 피해지역을 예측하여 최소화 하는 시스템을 갖출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계기가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주환(1996),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목포해역의 환경변화” 대한 토목학회논문집 제, 16 ,권 제Ⅱ-6호, pp.611-619

강주환 문승록 안성모, , (2002), “천해조 및 조간대가 발달된 하구에서의 부 유사이동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 14 ,권 제 호3 , pp.201-208

강주환 임병선, (1998), “방조제 건설로 인한 목포해역에서의 오염 확산양상 변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 18 ,권 제Ⅱ-6호, pp.613-622

박석순 박재우, (1996), “해안 매립에 따른 항내 조류변화 예측”, 환경영향 평가학회 제, 5권 제 1호 , pp31~45

백승우(2003), “해상공사로 인한 해양환경변화 예측수법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

이상화(1990), “하구의 부유사 이동에 관한 수치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조현경(1999) “점성토수송모델에 의한 부유사농도 및 수심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해양산업공학 협동과정 공학석사학위 논문

최병호(1984), “영산강하구의 방조제 건설에 따른 조위변화”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 권 제 호4 , 2 , pp.113-124

Johnson, B.H., and Pachure, T.M.(1999), "Estimating dredging sediment suspension sources." DOER Technical Note Collection(TNDOER-E6). U.S. Army Engineer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Vicksburg, MS.

Allen, G.P, Salomon, J.C., Bassoulet, P., Du Penhoat, Y. and DeGrandpre, C.(1980), "Effects of tides on mixing s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macrotidal estuaries" Sedimentologic al Geology, 26, pp.69-90

Dyer, K.R.(1988), "Fine sediment particle transport in estuaries, in Physical Processes in Estuaries" J, Dronkers and W, van Leussen ed., Springer-Verlag, pp.295-310

Engelund, F. and Hansen. E.(1967), "A monograph on sediment transport in alluvial streams", Teknisk Forlag, Danish Technological University, Copenhagen, Denmark.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2-11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