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emporal Bone CT Findings of Tuberculous Otitis Media: Comparison with Chronic Otitis Media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emporal Bone CT Findings of Tuberculous Otitis Media: Comparison with Chronic Otitis Media"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결핵성 중이염은 중이와 유양돌기내에 만성 육아종성 염증 을 일으키는 드문 질환으로, 공중위생의 발달과 효과적인 치 료약제의 개발로 감소 추세에 있다고 하나, 아직도 저개발국 가를 중심으로 드물지 않게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선진 국에 는 AIDS 환자와 빈곤층에서 오히려 보고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1-5). 결핵성 중이염은 유병율이 매우 낮고 특징적 임상 소견이 드물며 균동정이 어렵기 때문에 초기진단이 어렵고 (5), 대개 만성중이염 진단하에 실시된 수술적 시술 후 얻어 진 조직편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 우연히 이루어진다.

결핵성 중이염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중심으로한 보고는

있었지만 방사선학적 소견을 중심으로 한 보고는 극히 드물 었고(6), CT상 비결핵성 중이염과 결핵성 중이염과의 감별점 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결핵성중이염 1 4예와 만성 화농성 중이염 3 0 예, 그리고 진주종성 중이염 3 0예의 고해상 C T소견을 비교하 여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9 9 3년 1월부터 1 9 9 7년 1월까지 본원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된 결핵성 중이염 3 2명 중 고해상 측두골 C T를 실시한 1 4예의 환자와 만성중이염으로 진단된 2 0 0명의 환자중 무작위 로 추출한 3 0예의 진주종성이 아닌 만성중이염 환자와 3 0예의

목적 : 측두골 고해상 C T에서 결핵성 중이염과 다른 만성 화농성 중이염과의 감별점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병리조직학적으로 결핵성 중이염 진단을 받은 1 4예와 만성중이염으로 진단받

은 3 0예, 진주종이 동반된 중이염으로 진단받은 3 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C T상 유돌봉소 기포화 상태의 유지와 경화성 변성의 유무, 연조직의 존재와 위치, 연조직의 외이도로의 연장, 이소골과 고실개(tegmen tympani), 스큐툼(scutum), 골미로와 안면신경관 등의 골성 구조물 침식 여부 및 S상 정맥동 침식, 두개내 합병증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 유양돌기동에 연조직이 있는 경우는 결핵성 중이염의 전예( 1 0 0 % )와 만성 화농성 중

이염의 2 9예(96.7%), 진주종성 중이염의 2 6예( 8 6 . 7 % )에서 보였다. 대조적으로 전체 중이강에 연조직이 있는 경우는 결핵성 중이염의 1 3예( 9 2 . 8 % )와 화농성 중이염의 7예(23.3%), 진주종 성 중이염의 1 2예( 4 0 % )에서 관찰되었다.

상부 외이도로의 연조직의 확장은 결핵성 중이염의 4예(28.5%), 진주종성 중이염의 5예 ( 1 6 . 7 % )에서 보였고, 경화성 변성없이 유돌봉소가 유지되는 소견은 결핵성 중이염의 9예 ( 6 5 % )와 화농성 중이염의 4예(13.3%), 진주종성 중이염의 3예( 1 0 % )에서 관찰되었다. 이소골 의 침식은 결핵성 중이염의 6예( 4 2 . 8 % )와 화농성 중이염의 1 2예(40%), 진주종성 중이염의 2 6예( 8 6 . 7 % )에서, 스큐툼의 침식은 결핵성 중이염의 1예(7.1%), 화농성 중이염의 5예( 1 6 . 7 % ) , 진주종성 중이염의 1 5예( 5 0 % )에서 관찰되었다. 결핵성 중이염의 1예에서는 수술적 치료없이 항결핵제의 투여만으로 9개월후의 추적 C T상 이전의 중이강내 연조직음영은 완전 소실되었 다.

결론 : 측두골 CT 소견상 비록 결핵성 중이염의 특이적 소견은 없었으나 연조직이 전체 중

이강에 존재하면서 상부 외이도로 연장하는 소견 및, 유돌봉소의 기포화가 비교적 잘 유지 되며 스큐툼 침식이 적은 소견을 보일 경우 만성 중이염에 추가하여 결핵성 중이염을 감별 진단에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성균관 대학교 의과대학 마산삼성병원 방사선과

2포항 선린병원 방사선과

이 논문은 1 9 9 8년 4월 2 7일 접수하여 1 9 9 9년 3월 1 2일에 채택되었음.

결핵성 중이염의 측두골 CT 소견 : 만성 중이염과의 비교

1

장정아・노명호・김영민・이호승・최필엽・정건식2・성영순・권재수・이상욱

(2)

진주종성 중이염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의 조직학적 진단방법으로는 결핵성 중이염의 3예에서 고막천공을 통한 중이 점막의 생검, 11예에서 고실 유양돌기절제술, 단순 유양 돌기절제술, 개방공동 유양돌기절제술 등의 수술적인 방법을 사용했고 만성 화농성 중이염과 진주종성 중이염은 전예 모 두에서 수술로 진단되었다. 수술한 환자의 경우 C T후 수술까 지의 평균기간은 결핵성 중이염은 5 9 . 1일, 만성 중이염은 6 2일, 진주종성 중이염의 경우는 5 5 . 6일이었다. 14예의 결핵성 중이 염의 경우 1 0세부터 4 4세로 평균 3 1 . 7세였고, 남자가 4명, 여자 가 1 0명이었다. 비결핵성 만성 화농성 중이염 3 0예에서는 1 7 세부터 5 8세로 평균 3 6 . 5세였고 남자가 1 4명, 여자가 1 6명이었 고 진주종성 중이염 3 0예에서는 2 4세부터 5 8세로 평균 3 7 . 5세 였고 남자가 1 3명, 여자가 1 7명이었다. 수술이나 중이 점막의 생검으로 확진된 결핵성 중이염 1 4예중 수술한 1 1예와 중이 점막 생검을 시행한 3예에서 6 - 9개월간의 항결핵제의 투여와 임상적 추적을 하였으며 중이 점막 생검으로 확진된 1예에서 는 치료완료후 추적 C T를 실시하였다.

측두골 고해상 C T는 안와하연과 외이도 상연을 가로지르 는 선(anthropologic base line)을 기준으로 3 0°, 120°회전하여 각각 축단면과 관상단면을 얻었고, 1mm 또는 1.5mm 두께로 촬영하였으며, 측두골 C T에 사용한 기종은 GE Hispeed ad- vantage 또는 GE 9800 (General electric medical system, Milwaukee, USA)이었다.

각 환자의 임상기록을 참조하여 주요 증상과 고막소견을 알아 보았으며, 타 장기의 결핵유무를 알아 보기 위해 단순 흉부 X -선촬영과 임상기록을 참고로 하였다.

고해상 C T의 평가는 임상소견과 수술결과에 대한 정보없 이 2명의 방사선과 의사의 합의하에 연조직의 위치를 유양돌 기동(mastoid antrum)과 중이(중이는 다시 상고실, 중고실 및 하고실로 나눔)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유돌봉소(mastoid air

cell) 기포화의 감소와 경화성 변성, 연조직의 외이도로의 연 장(tympanic eminence보다 더 바깥으로 연조직이 침범하거나 확실한 외이점막의 비후), 이소골, 고실개(tegmen tympani),스 큐툼(scutum), 골미로, 안면신경관 및 S상 정맥동의 침식, 두 개내 합병증 발병여부 등의 소견을 비교하였다.

각 대상군의 통계학적 분석방법은 결핵성 중이염과 만성 화 농성 중이염 및 진주종성 중이염을 C h i - s q u a r e - t e s t와 F i s h e 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결핵성 중이염의 경우 1 4예 전부에서 단순 흉부 X -선촬영 소견과 타 장기의 결핵성 감염의 병력이 없었고, 임상적 증상 은 이루 1 3예, 현훈 3예, 청력감소 1 0예, 안면마비 1예, 이명 3 예, 이통 1예였고, 고막소견상으로는 천공 1 2예, 이루 8예, 괴 사성 백색 점막이 7예에서 있었다.

측두골 C T소견상 연조직 음영이 유양돌기동내에 있는 경 우는 1 4예 전부에서 보였고, 더불어 전체 중이강에 존재하는 경우는 1 3예(92.8%), 상고실과 하고실에만 존재하는 경우가 1 예( 7 . 1 % )에서 보였고, 외이도로의 연조직의 확장 소견이 보인 경우는 4예( 2 8 . 5 % )로 모두 상부벽을 따라 존재하였다. 이소골 의 침식은 모두 6예( 4 2 . 8 % )에서 보였으며 각각은 전 이소골 (total ossicle) 침식 1예, 침골 침식 3예[장각(long process) 침 식 1예, 두상돌기(lenticular process) 침식 2예], 침등관절( i n c u- dostapedial joint)의 침식이 2예에서 관찰되었다. 그외 유돌봉 소의 기포화 감소와 경화형 변성은 5예( 3 5 % )에서 관찰되었 고, 스큐툼 침식은 1예, 외측 반고리관의 초점상 침식이 C T상 1예에서 보였으나(Fig. 1), 2예의 안면신경관의 침식이나 1예 의 골미로의 침식, 1예의 고실개 침식은 CT 상에서는 보이지 않았다(Table 1). 조직 생검으로 진단된 3예중 1예에서는 수

Fig. 1. Tuberculous otitis media in a 26-year-old woman

A x i a l (A) and coronal(B) CT scans demonstrate focal erosion of lateral semicircular canal (arrow) and soft tissue density in the en- tire middle ear cavity. The mastoid air cells are preserved with little sclerotic change of the mastoid bone. The soft tissue thicken- ing of superor wall of external auditory canal is also noted(arrowhead).

A B

(3)

술없이 9개월간의 항결핵제의 투여만으로 추적 C T상 유양돌 기동과 내이의 연조직양 병소는 완전 소실되었다(Fig. 2).

만성 화농성 중이염에서는 측두골 C T상 연조직 음영이 유 양돌기동내에 있는 경우가 2 9예(96.7%), 전 중이강에 다 존재 하는 경우는 7예(23.3%), 상고실에만 존재하는 경우가 1 4예 (46.7%)(Fig. 3), 중고실에만 존재하는 경우가 2예(6.7%), 상 고실과 중고실에 존재하는 경우는 1예(3.3%), 상고실과 하고 실에 존재하는 경우는 4예( 1 3 . 3 % )에서 보였다. 이소골의 침식

은 모두 1 2예(40%, 민감도:83.3%, 특이도: 9 3 . 3 % )에서 보였으 며 각각은 추골(malleus) 침식 4예와 침등관절의 침식 1 1예, 등골 침식 5예에서 관찰되었다. 그외 유돌봉소의 기포화 감소 와 경화형 변성은 2 6예( 8 6 . 7 % )에서 관찰되었고, 스큐툼 침식 은 5예(16.7%), 고실개 침식은 2예( 6 . 7 % )에서 보였다( T a b l e 1 ) .

진주종성 중이염의 경우 연조직 음영이 유양돌기동내에 있 는 경우가 2 6예(86.7%), 전 중이강에 다 존재하는 경우는 1 2예

Table 1. CT Finding of Tuberculous Otitis Media versus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Tuberculous COM COM with

CT findings Otitis Media(n=14) only(n=30) Cholesteatoma(n=30)

Soft tissue location

Mastoid antrum 1 4(100%) 2 9(96.7%) 2 6(86.7%)

Middle ear cavity*

entire middle ear cavity* 1 3 (92.8%) 7 (23.3%) 1 2( 4 0 % )

epitympanium 1 4(100%) 2 8 (93.3%) 2 5(83.3%)

mesotympanium* 13 (92.8%) 1 1 (36.7%) 1 2( 4 0 % )

hypotympanium* 1 4(100%) 1 1 (36.7%) 1 2( 4 0 % )

Soft tissue extension to external auditory canal* 4 (28.5%) 0 (0%) 5( 1 6 . 7 % ) Preservation of mastoid air cell with little sclerotic change* 9 ( 6 5 % ) 4 (13.3%) 3 ( 1 0 % )

Erosion of ossicle 6 (42.8%) 1 2(40%) 2 6( 8 6 . 7 % )

malleus 1 (7%) 4 (13.3%) 2 6( 8 6 . 7 % )

incus 6 (42.8%) 1 1 (36.7%) 2 5( 8 3 . 3 % )

stapes 4 (28.5%) 5 (16.7%) 1 4( 4 6 . 7 % )

Erosion of scutum 1 (7.1%) 5 (16.7%) 1 5( 5 0 % )

Erosion of bony labyrinth 1 (7.1%) 0 (0%) 2 ( 6 . 7 % )

Erosion of facial nerve canal 0 (0%) § 0 (0%) 3 ( 1 0 % )

Erosion of tegmen tympani 0 (0%) 2 (6.7%) 2 ( 6 . 7 % )

* : Comparison between tuberculous otitis media and chronic otitis media without cholesteatoma(P < 0.05 ) : Comparison between tuberculous otitis media and chronic otitis media with cholesteatoma(P < 0.05 ) : Two cases were seen on operative field.

§: Two cases were seen on operative field.

: Seven cases were seen on operative field.

COM : Chronic Otitis Media

Fig. 2. Tuberculous otitis media in a 43-year-old woman

A. Initial coronal CT scan shows soft tissue materials filled in the entire middle ear cavity and left mastoid antrum(visualized at other section).

B. After antituberculous medication for 9 months, a follow up CT scan shows complete clearing of the previously noted soft tissue materials in the entire middle ear cavity and mastoid antrum(visualized at other section).

A B

(4)

(40%)(Fig. 4), 상고실에만 존재하는 경우가 1 5예(50%) (Fig.

5), 상고실과 하고실에 같이 존재하는 경우는 3예(10%), 하고 실에만 존재하는 경우가 1예( 3 . 3 % )에서 보였고 연조직 음영 이 외이도로 확장하는 소견은 5예( 1 6 . 7 % )에서 관찰되었다 (Fig. 5). 이소골의 침식이 모두 2 6예(86.7%, 민감도:85.7%, 특 이도: 8 0 % )에서 보였으며, 고실개 침식은 2예(6.7%)(Fig. 5), S 자 정맥동(sigmoid sinus plate) 침식이 1예에서 관찰되었고, 유 돌봉소의 기포화 감소와 경화형 변성은 2 7예( 9 0 % )에서 관찰 되었다. 안면신경관 침식의 경우 수술상 7예( 2 3 . 3 % )에서 확인 되었으나 CT 소견상에서는 단지 3예에서만 확인되어 안면신 경관 침식의 정확한 진단이 어려웠다(Table 1).

결핵성 중이염과 만성 화농성 중이염의 비교에서 전체 중 이강에 연조직 음영이 보이고 상부 외이도로의 연조직 음영

의 연장과 유돌봉소의 기포화 유지와 적은 경화형 변성는 만 성 화농성 중이염과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 P < 0 . 0 5 )를 보였지만, 이소골 및 골미로등의 침식은 통계적 의 의가 없었다(Table 1). 진주종성 중이염과의 비교에서 결핵성 중이염은 연조직 음영이 전체 중이강에 보이고, 유양돌기동의 경화형 변성이 적고 유돌봉소가 유지되며 이소골 및 스큐툼 의 침식이 적은 소견은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P<0.05).

고 찰

결핵성 중이염의 발병율은 대개 전체 만성 중이염의 0 . 0 4 - 0 . 9 %이고 지역에 따른 차이가 상당히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5). 감염경로는 혈행성 전파, 외이도나 천공된 고막을 Fig. 3. Chronic otitis media in a 26-year-old woman

A x i a l (A) and coronal(B) CT scans reveal soft tissue density at the epitympanium and mastoid antrum. The long process and lentic- ular process of the incus are eroded. The mastoid air cell are relatively well preserved.

A B

A B

Fig. 4. Chronic otitis media with cholesteatoma in a 35-year-old woman

A x i a l (A) and coronal(B) CT scans reveal soft tissue mass-like lesion at the left middle ear cleft and mastoid antrum with expansion 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Focal defect of left tegmen tympani(arrowhead) and erosion of scutum(arrow) are also noted. The ossicles are totally destroied.

(5)

통한 전파, 림프행성 전파, 이관을 통한 전파, 두개내 감염소 로부터 측두골을 통한 전파, 모체 난관염 또는 자궁내막염에 서 신생아로 감염등의 경로를 가진다(3,4). 결핵성 중이염은 대개 신체 다른 부위에서 이차적으로 감염되며 폐결핵이 가 장 흔히 동반된다고 하나(2,3), 가끔 원발성으로 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흉부 X -선 촬영이나 임상소견상 신체의 다른 부위에 결핵이 발견된 경우는 한 예도 없었지만, 일차성 감염 이라고 단정할 증거가 불충분하였으며, 기존의 만성 화농성 중이염과 동반되거나 이차적으로 발병했는지의 판별도 어려 웠다. 다만 만성중이염에 있어서 유돌봉소의 감소와 유양돌기 의 경화가 동반된다는 점에서, 14예의 결핵성 중이염중 5예 ( 3 6 % )에서만 유돌봉소 기포화의 감소 및 경화형 변성이 관찰 되었으므로 기존의 만성 중이염과 동반되거나 이차감염의 가 능성이 있다고 미루어 짐작할 뿐이다.

결핵성 중이염의 특징적인 임상소견은 초기에는 무통성 이 루, 고도의 청력 손실, 고막의 다발성 천공, 안면신경마비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최근 보고자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이런 고전적 임상소견은 거의 관찰되지 않고 귀에 둔통, 회백 색 중이 점막, 심한 전도성 청력소실, 과다한 창백성 육아 (abundant pale granulations), 추골 손잡이(malleus handle)의 침식이 관찰된다고 하였다(1,2,7). 또한 폐결핵과 같은 타 장 기 결핵이 있거나 결핵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일반 항생제 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이루와 중이수술후 수술창 및 중이의 치료경과가 지연되고 누공이 형성된 경우나 잠행 성이루와 이학적 소견보다 심한 난청이 있는 경우 등이다 (2,3,8). 저자들의 경우에서 1 4예중 7예( 5 0 % )에서 천공된 고막 을 통한 괴사성 백색점막이 관찰되었으며 4예에서는 결핵성 중이염을 의심하여 중이점막 생검으로 확진되었다.

방사선학적으로는 이소골 침식, 유양돌기동의 경화형 변성, 중이와 유돌봉소의 혼탁화 등의 소견을 보이고 이러한 소견은 다른 원인으로 인한 만성 중이염과 비슷해 보이나 결핵성 중이 염의 경우가 좀 더 광범위하고 심한 골성 구조물의 침식과 중

이강과 유돌봉소의 혼탁화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지만(4), 결핵 성 중이염의 경우가 오히려 유돌봉소의 기포화가 잘 유지되고 혼탁화나 경화형 변성이 작게 나타난다는 보고도 있다( 8 - 1 0 ) .

또한 H o s i n o등( 6 )은 진행된 결핵성 중이염에서 골성미로, 와 우관, 다른 골성 구조물과의 누공형성 같은 합병증을 잘 동반 하며 이러한 소견이 진행된 결핵성 중이염의 특징이라고 하였 다. 저자들의 경우에서 이소골의 미란은 비결핵성 만성 중이염 ( 4 0 % )과의 비교에서 차이점은 없었으며 진주종성 중이염에서 는 결핵성 중이염보다 더 많은 빈도( 8 6 . 7 % )로 관찰되었다. 만 성 중이염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외측 반고리관의 초점상 침식 2예와 안면신경관 침식 2예가 있었지만, 외측 반고리관의 초점 상 침식 1예를 제외하고 골성 미로의 침범과 안면신경관의 초 점상 침식은 고해상 측두골 C T상에서 관찰되지 않고 수술로서 만 확인되어 초점상 침식같은 미세한 소견은 고해상 C T상에서 도 탐지가 어려웠다. 또한 진주종성 중이염에서도 골성 미로의 침식이 2예(6.7%), 그리고 안면신경관의 침식이 7예( 2 3 . 3 % )로 관찰되어 타 보고와는 달리 결핵성 중이염보다 진주종성 중이 염이 더 심한 골파괴의 경향을 보였다. 이는 본 증례들이 골파 괴전의 초기 결핵성 중이염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고막 이완부(pars flaccida) 근처의 종괴 형성으로 인해 주위 골파괴 를 흔히 동반하는 진주종성 중이염과는 달리, 정확히 규명된 바는 없으나 결핵성 감염이 상대적으로 주위 구조물의 파괴가 적고 주로 육아종성 종괴를 형성하기 때문에 결핵성 중이염 또 한 주위골의 파괴와 경화형 변성이 적은 것으로 추측된다. 그 리고 결핵성 중이염의 1 4예중 9예( 6 5 % )에서 유돌봉소가 유지 되고 골경화가 보이지 않아 유돌봉소의 유지가 결핵성 중이염 의 특징이라는 타 보고( 8 - 1 0 )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유돌봉 소의 기포화 감소와 골경화는 결핵성 중이염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나 기존의 만성 중이염에 중복 감염된 경우에서 보인다고 짐작된다. 또한 유양돌기동이나 중이강내에 연조직 병소가 결 핵성 중이염과 만성 중이염 및 진주종성 중이염에서 모두 관찰 되었지만, 결핵성 중이염의 경우에서 중이강내에 상대적으로

A B

Fig. 5. Chronic otitis media with cholesteatoma in a 33-year-old woman

A x i a l (A) and coronal(B) CT scans show focal defect of lateral semicircular canal(arrowhead) and soft tissue density at the epitymp- nium anf mastoid antrum. Destruction of total ossicles and blunting of scutum(white arrow) are also noted.

(6)

더 많은 양의 연조직이 있었으며 외이도로의 연조직 확장이 많 은 빈도에서 보였다. 이는 만성 육아종성 염증이 중이강을 채 우고 난 후 외이도로 연장했거나 근처 외이도 점막의 염증으로 인한 비후로 설명될 수 있고, 다른 비결핵성 중이염의 경우에 서 상대적으로 그 빈도가 적게 나타나는 것은 비결핵성 중이염 의 외이도 점막의 비후는 항생제 치료에 잘 반응하기 때문이라 고 생각된다. 또한 진주종성 중이염에서는 진주종 형성으로 인 한 종괴효과와 함께 연조직이 중이강이나 유양돌기, 외이도로 확장되는 양상이 보였고 스큐툼 침식이 유의하게 많은 빈도로 관찰되어 감별에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된다.

결핵성 중이염의 치료로는 여러 가지 상반된 의견( 3 , 4 , 8 , 1 1 , 1 2 )이 있지만 항결핵제 투여와 수술적인 치료가 함께 시행되 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본원의 경우 중이점막의 생검으로 병 리조직학적인 확진을 받은 환자의 경우에서는 일정기간 동안 의 항결핵제 투여후 C T나 임상증상의 추적관찰 후 수술여부 를 결정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결핵성 중이염의 CT 소견상 이소골의 침식과 골 성미로 및 안면신경관의 침식의 측면에서는 만성 화농성 중이 염이나 진주종성 중이염과 감별될 만한 특징적인 소견은 없었 다. 하지만 연조직이 전체 중이강에 존재하면서 상부 외이도로 연장하는 소견과 함께 비교적 유돌봉소가 잘 유지되면서 주위 골의 경화나 스큐툼의 침식이 드문 경향을 보이는 경우에 결핵 성 중이염의 가능성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참 고 문 헌

1. Yaniv E. Tuberculous otitis:an underdiagnosed disease. Am J O t o l a r y n g o l 1 9 8 7 ; 8 : 3 5 6 - 3 6 0

2. Odetoyinbo O. Early diagnosis of tuberculous otitis media. J Laryngol Otol 1 9 8 8 ; 1 0 2 : 1 3 3 - 1 3 5

3. Grewal DS, Brajendra B, Shahani RN, et al. Tuberculosis otitis me- dia presenting as complications:report of 18 cases. Auris Nasus L a r y n x 1 9 9 1 ; 1 8 : 1 9 9 - 2 0 8

4. Greenfield BJ, Selesnick SH, Fisher L, et al. Aural tuberculosis. A m J Otol 1 9 9 5 ; 1 6 ( 2 ) : 1 7 4 - 1 7 8

5. Kirsch CM, Wehner JH, Jensen WA, et al. Tuberculous otitis me- dia. South Med J 1995;88(3):363-366

6. Hoshino T, Miyashita H, Asai Y. Computed tomography of the temporal bone in tub erculosis. J Laryngol Otol 1 9 9 4 ; 1 0 8 : 7 0 2 - 7 0 5 7. Plester D, Pusalkar. A, Steinbach E. Clinical records;Middle ear tu-

berculosis. J Laryngol Otol 1 9 8 0 ; 9 4 : 1 4 1 5 - 1 4 2 1

8. Ma KH, Tang PSO, Chan KW. Aural tuberculosis. Am J Otol 1 9 9 0 ; 1 1 ( 3 ) : 1 7 4 - 1 7 8

9. Windle-Taylor PC, Bailey CM. Tuberculous otitis media:a series of 22 patients. L a r y n g o s c o p e 1 9 8 0 ; 9 0 : 1 0 3 9 - 1 0 4 4

1 0 . Lucente FE, Tobias GW, Parisier SC, et al. Tuberculous otitis me- dia. L a r y n g o s c o p e 1 9 7 8 ; 8 8 : 1 1 0 7 - 1 1 1 6

1 1 . Farrugia EJ, Raza A, Phillips JJ. Tuberculous otitis media:a case re- port. J Laryngol Otol 1 9 9 7 ; 1 1 1 : 5 8 - 5 9

1 2 . Weiner GM, Connell JEO, Pahor AL. The role of surgery in tuber- culous mastoidi-tis:appropriate chemotherapy is not always e- nough. J Laryngol Otol 1997;3:752-753

(7)

J Korean Radiol Soc 1999;40:1 0 63-1 0 6 9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Jeong A Chang, M.D., Department of Radiology, Masan Samsung Hospital,

#50, Hapsung-dong, Hoeiwon-ku, Masan, Kyeongsangnam-do, 630-522, Korea.

Tel. 82-551-290-6092 Fax. 82-551-290-6087 E-mail. okcja@medikorea.net

Te m p o ral Bone CT Findings of Tu b e rculous Otitis Media :

Comparison with Chronic Otitis Me d i a

1

Jeong A Chang, M.D., Myung Ho Rho, M.D., Young Min Kim, M.D., Ho Seung Lee, M.D., Pil Yeob Choi, M.D., Keon Sik Jung, M.D.2, Young Soon Seong, M.D.,

Jae Soo Kwon, M.D., Sang Wook Lee, M.D.

1Department of Radiology, Masan Samsung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2Department of Radiology, Pohang SunRin Hospital

Purpose : To compare the differential findings of tuberculous otitis media(TOM) with those of chronic sup pu- rative otitis media with or without cholesteatoma, as seen on high resolution temporal bone CT.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4 cases of TOM, 30 cases of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CSOM), and 30 cases of chronic otitis media with cholesteatoma(Chole). All had been pathologically confirmed. We evaluated the preservation of mastoid cells without sclerotic change, the location and extension of soft tissue to the external auditary canal, the erosion of ossicles, the tegmen tympani, scutum, bony labyr inth, facial nerve canal and sigmoid sinus, and the presence of intracranial co mplications.

Results : Soft tissue in the mastoid antrum was seen in all cases of TOM(100%), 29 cases of CSOM(96.7%), and 26 cases of Chole(86.7%). In contrast, the soft tissue in the entire middle ear cavity was noted in 13 cases of TOM(92.8%), 7 cases of CSOM(23.3%), and 12 cases of Chole(40%). Soft tissue extended to the superior aspect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n 4 cases of TOM (28.6%) and 5 cases of Chole (16.7%). Mastoid air cells were seen in 9 cases of TOM (64.3%), 4 cases of CSOM (13.3%), and 3 cases of Chole(10%). Ossicular erosion was noted in 6 cases of TOM (42.9%), 12 cases of CSOM (40%), and 26 cases of Chole(86.7%), while in one case of TOM (7.1%), 5 cases of CSOM (16.7%), and 15 cases of Chole(50%) there was erosion of the scutum. In one case of TOM, follow-up CT study after 9 months of antituberculous medication without surgery revealed com- plete clearing of previously noted soft tissue in the middle ear cavity.

Conclusion : Specific CT findings of TOM were not seen, but if there were findings of soft tissue in the entire middle ear cavity, soft tissue extension 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preservation of mastoid air cells without sclerotic change, and intact scutum, TOM may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chronic otitis media.

Index words :T u b e r c u l o s i s Temporal bone, CT

Ear, inflammation and infection Ear, CT

수치

Fig. 1. Tuberculous otitis media in a 26-year-old woman
Table 1. CT Finding of Tuberculous Otitis Media versus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Fig. 4. Chronic otitis media with cholesteatoma in a 35-year-old woman
Fig. 5. Chronic otitis media with cholesteatoma in a 33-year-old woman

참조

관련 문서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children with normal weight fared better with others and were more confident of their own physical ability

Students in Group C thought that the biology content of learning from outdoor activities was limited, and said the findings from outdoor activitie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 practices of special classes at middle school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with a variety of

After the implants were inserted, the Periotest Ⓡ value (PTV, MEDIZINTECHNIK GULDEN, GERMANY) to measure the primary stability and the histologic findings to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Internet media allowed netizens to participate in Internet journalism, which is limited through media convergence, but can

Sex,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state of employment of mother were investigated as demographical variables to determine if there were

Histopathologic findings of control group at 4 weeks show little bone- implant contact (BIC) around the implant (asterisks) and new-bone formation in the defect

Purpose: Giant cell tumor of the tendon sheath are the most common tumors after ganglionic cysts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which could be recurred after surg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