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910년대 국외 ‘애국창가’에 대한 음악학적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910년대 국외 ‘애국창가’에 대한 음악학적 연구–"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국문초록❙

본 논문에서는 1916년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를 중심으로 북간도 광성중학교 󰡔최신창가집󰡕(1914), 1910년 초에 필사본으로 기록된 손봉호 편 필사본 󰡔창가󰡕(1910), 안수산 소장본 󰡔구한말 애국창가집󰡕, 손승 용 편 필사본 󰡔창가집󰡕와 명동학교 󰡔신찬창가집󰡕(1913) 등이 1910년대 ‘애국창가’를 싣고 있는 창가와 󰡔신한 민보󰡕에 수록된 창가를 연구하였다.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와 광성학교 󰡔최신창가집󰡕(1914)의 수록된 곡을 비교하고 위에서 열거한 6개의

‘창가집’과 󰡔신한민보󰡕에 수록된 독립운동가요 레퍼토리를 분석하여 1910년대에 가장 많이 부른 대표적인 ‘애 국창가’에 나타나는 음악 장르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애국창가󰡕 가사의 주제적 특성은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독립정신을 요구하는 애국적인 내용이 가장

많다는 것이다. <애국가>, <정신가>, <국민가>, <보국가>, <국기가>, <단군가>, <한반도가>, <경축가>, <국 민회가> 등 󰡔애국창가󰡕의 주제는 애국, 자주, 독립 등 한인의 정체성을 강조한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둘 째, 애국·계몽·교육적인 주제가 많다. <부모 은덕가>, <사의 은가>, <수신가>, <산보가>, <운동가>, <전 진가>, <소년남자가>, 등의 애국·계몽·교육을 위한 노래의 특징은 창가 풍의 노래로 작곡된 곡들이 많다. 셋째, 서양음악인 기독교음악의 영향을 받아 내용이 종교적이다. 그러나 주제는 독립, 자유와 해방을 기원하 고, 빼앗긴 나라를 구원해 달라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본 연구에서 하와이판 󰡔애국창가󰡕에 실린 77곡 곡조의 저본을 고찰하기 위해 광성학교 󰡔최신창가집󰡕을 음 악적으로 분석한 결과 󰡔애국창가󰡕 77곡 중 42곡이 가사와 곡조가 같은 곡이며 그 외 광성학교 󰡔최신창가집󰡕

(1914)의 같은 곡조를 사용하고 유사한 노래 제목을 부친 곡이 13곡이다. 그러므로, 총 77곡 중 55곡이 같은 선율을 사용한 곡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성학교 󰡔최신창가집󰡕(1914)보다 2년 후에 편찬된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는 광성학교 󰡔최신창가집󰡕을 저본으로 편찬되었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

개화기 창가는 서양 찬송가의 영향과 더불어 일본창가의 영향을 받었다. 애국창가 중에서 많은 곡이 오오노

우메와카 작곡 <철도창가>는 <학도가>와 <성경목록가>, <중국의 학당악가> 등 이 시기의 창작된 독립운동가 요 중 가장 많은 곡에 영향을 주었다. 타나카 호즈미(田中穂積) 작곡 <아름다운 천연>은 한인들에게 <망향 곡>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에서는 찬송가로 <구쥬셩탄가>, <구쥬젼쟁가> 선율에

<망향가> 선율을 차용해서 노래했다. 결과적으로 󰡔애국창가󰡕(1916)의 대부분의 곡조가 새로 창작된 창가가

1910년대 국외 ‘애국창가’에 대한 음악학적 연구

–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를 중심으로 –

76)

김 보 희*

* 작곡가, 연세대학교 객원교수 / bohigim@gmail.com

(2)

아니라 대부분 기존의 찬송가와 일본창가, 그리고 외국의 민요선율을 차용하여 독립운동과 계몽운동에 필요한 새로운 가사를 지어 노래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음악학적 분류(민요풍의 노래, 창가풍의 노래, 찬송가풍의 노래)에 관한 연구로 앞으로 한국의

전통음악이 서양음악을 수용하면서 나타나는 음악적 변용을 살펴보았다.

[주제어] 애국창가, 최신창가집, 찬송가, 애국가, 유행가

❘목 차❘

Ⅰ. 머리말

Ⅱ. 1910년대 국외 ‘애국창가’의 양상

Ⅲ. 하와이판 󰡔애국창가󰡕의 수록곡 분석

Ⅳ. 하와이판 󰡔애국창가󰡕의 음악장르적 특성

Ⅴ. 맺는 글

Ⅰ. 머리말

독립운동가요는 우리 민족이 독립운동 과정에서 불렀던 노래이며

,

귀중한 독립운동사적인 기록이기도 하 다

.

특히

1916

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발간한 󰡔애국창가󰡕는 대한제국에서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는

1910

년 이전에 나라를 빼앗기는 과정에서 조국의 독립과 해방을 기원하는 외침을 노래로 기록한 책이기도 하다

.

또한

,

해외로 이주한 동포들의

2

세대에게 독립정신과 국권 회복 그리고 애국과 동포애를 가르치는 노 래책이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

이 하와이판 󰡔애국창가󰡕는 국내와 해외에서 불리고 있는 애국 창 가를 수집하여 등사본으로 기록한 책이며 등록문화재

475

호로 지정되었다

.

이 책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이유기의 「

1910

년대 하와이판 󰡔애국가󰡕에 대한 연구」가 있다

.

1) 이 논문에서 는 하와이판 󰡔애국가󰡕의 서지사항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국어학적인 검토를 하였다

.

위 논문에서 󰡔애국가󰡕

라고 한 데 반해

,

필자가 굳이 󰡔애국창가󰡕라고 명명한 것은 필자가 확인한 독립기념관 소장 하와이판 󰡔애국

창가󰡕

(1916)

는 첫 표지가

애국창가

로 되어 있고

,

이어 다음 면에

애국가

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

어떤 표제

가 정확한 제목인지는 알 수 없으나

,

필자는 제일 첫 면에 나오는

애국창가

를 제목으로 선택하였다

.

2)

󰡔애국창가󰡕에 실린 노래선율과 가사에 대한 검토는

1914

년 북간도의 민족학교인 광성중학교에서 출판한 광성학교 󰡔최신창가집󰡕3)을 중심으로 하되

,

노동은의 󰡔항일가요

330

곡집󰡕4)를 폭넓게 참고하였다

.

최근에 발

1) 이유기,「1910년대 하와이판 󰡔애국가󰡕에 대한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51, 2008, 139~173쪽. 2) 독립기념관 전적류에 소개된 자료명에도 “애국창가 악보집[등록문화재 제475호]”으로 되어 있다.

3) 󰡔最新唱歌集 附樂典󰡕(광성학교, 1914, 등사판). 북간도 광성학교에서 발간한 최신창가집은 일본외무성 외교사료관에 소장된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4권 중 ‘公信 제107호(1915. 8. 9), 「最新唱歌集 發賣禁止에 관한 건」’에 수록되 어 있다. 이 자료를 국가보훈처가 1997년에 영인본으로 출간하였다. 이 자료는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서도 확인할 수 있다.

(3)

표된 하와이판 󰡔애국창가󰡕에 관한 음악학적 연구논문으로 반혜성의 「

1916

년 하와이 호놀룰루 󰡔애국창가󰡕

연구」가 있다

.

5) 이 논문에서 하와이판 󰡔애국창가󰡕의 편찬배경과 수록곡

77

편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1916

년 하와이판 󰡔애국창가󰡕를 중심으로

1910

년대에 가장 많이 불렸던

애국창가

계통의 음악적 양상을 살펴보고

<

황실가

>, <

정신가

>

국가

애국창가

등의 주제를 가진 곡들과 동일한 음악에 다른 노래 제목으로 표기된 곡들에 대한 음악적 연관성도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 1910

년대 국외

애 국창가

를 수록한 저본들의 레퍼토리를 비교 연구하여

1910

년대에 실제로 불렀던 독립운동가요의 음악적 특 징을 연구하고자 한다

.

또한

, 1910

년대 국외

애국창가

를 수록한 저본들의 레퍼토리를 비교 연구하여

1910

년대에 실제로 불렀던 독립운동가요의 음악적 특징을 연구하고자 한다

.

Ⅱ. 1910년대 국외 ‘애국창가’의 양상

1909

재한 복음주의 선교부 연합공의회

’(The General Council of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in Korea)

에서 󰡔찬숑가󰡕가 출간되었다

.

이 󰡔찬숑가󰡕는 장로교와 감리교가함께 참여하여 만든 연합찬송가로

1910

년까지 모두

22

5

천여 부가 발행되었다

.

6) 이 찬송가 책이 발간된 이후 이 책에 수록된 곡조는

애 국창가

의 곡조에 큰 영향을 주었다

.

1910

년 해외에서 독립을 위해 학교와 교회를 설립하여 서구적 근대문명

,

교육의 확대 근대적 정치의식의 고양을 목표로 한 민족교육이 널리 확대되었다

.

이러한 목표는 신문과 잡지 발간을 통한 계몽운동을 통해서 실현되었다

.

신문으로는 미주의 󰡔신한민보󰡕

(1909

년 창간

),

하와이의 󰡔신한국보󰡕

(1909

년 창간

),

잡지로는 샌 프란시스코에서 간행된 󰡔대도󰡕

(1908

년 창간

),

북간도의 󰡔청년󰡕

(1921

년 창간

)

서간도에서 간행된 󰡔신흥학우 보󰡕

(1913

년 창간

)

등이 있다

.

7) 이 또한 많은

애국창가

류 가사가 실릴 수 있는 계기가 된다

.

1916

년 하와이판 󰡔애국창가󰡕가 등사본으로 간행되었을 즈음에서 일본의 압제를 피해 비밀리에 유행하였 던 항일가요들을 기록해 놓은 개인 소장의 창가집이 널리 이용되었다

.

국내에서는 대부분 압수되었고

,

국외 지역인 북만주와 미국에서조차 압수되었기 때문에

애국창가

의 존재가 밝혀지지 못하였다

.

이보다 앞서

1914

년 북간도 광성학교 음악교재로 쓰인 󰡔최신창가집󰡕이 발간되었다

.

이 창가집은

1915

8

월경 일제에 의해 압수되어 보고된 문서에 수록되었으나

,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다가

1997

년 국가보훈처가 발굴하여 영인 본으로 출판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

그 외에도 손봉호 편 필사본 󰡔창가󰡕

(1910),

안수산 소장본 󰡔구 한말 애국창가집󰡕

,

손승용 편 필사본 󰡔창가집󰡕

,

명동학교 󰡔신찬창가집󰡕

(1913)

등이

1910

년대

애국창가

4) 노동은, 󰡔항일가요 330곡집󰡕, 민족문제연구소, 2017.

5) 반혜성, 「1916년 하와이 호놀룰루 발행 「애국창가」연구」, 󰡔이화음악논집󰡕 23: 1,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6) 민경찬,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양악편]󰡕, 두리미디어, 2006, 34쪽.

7)반병률, 「해외독립운동의 시기적 특징」, 󰡔일제강점기 한국인의 삶과 민족운동󰡕,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편, 경인문화 사, 2005.

(4)

싣고 있는 창가집이다

.

그 외 󰡔신한민보󰡕에 게재된

애국창가

는 미주지역의 한인들에게

애국창가

를 보급하 는 기사를 게재했다

.

1. 󰡔신한민보󰡕에 게재된 ‘애국창가’

1910

년대 󰡔신한민보󰡕에 소개된

애국창가

1910

년대 하와이판에 수록된

애국창가

의 실체를 검증하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 1910

년대 평양 숭실학교를 다닌 이성식은 선교사로부터 성악과 트럼펫을 배 웠다

.

일본 도쿄에서 동양음악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했다

.

이성식

(1890

년대 후반에 출생 추정

)

은 󰡔신한민보󰡕

1910

6

29

일자 신문에

애국가를 지은 죄

라는 제목으로

이성식은 애국가를 지어 각 학교에서 학도들을 가르친 죄로 감옥에 갔다

고 보도되었다

. 1910

10

12

일 󰡔신한민보󰡕에

슬프도다 우리민족아 사천년 역 사국으로 자자손손 복락하더니 오늘날 이 지경 웬일인가

라는

10

절로 구성된

<

애국가

>

가 소개되었다

.

이는 하와이판 󰡔애국창가󰡕

3

<

정신가

>

의 가사와 곡조가 같다

.

오년 후

, 1915

년 󰡔신한민보󰡕

10

12

일자에는

󰡔애국창가󰡕 수록곡 중

<

병식행보가

>, <

부모은덕가

>, <

대한혼

>

의 가사가 실려 있다

.

이에 앞서

1915

6

17

일자에는

<

격검가

>

, 1915

8

19

일자에는

<

부모를 생각하는 노래

>

, 1915

7

22

일 자에는

<

학 도가

>

, 1915

9

16

일자에는

<

독립가

>

, 1919

7

10

일자에는

<

무궁화가

>, <

격행가

>, <

혈성대

>

등 의 노래가 게재되었다

.

노동은에 의하면 󰡔항일음악

330

곡집󰡕은 항일음악 중에

<

격검가

>, <

학도가

>, <

독립 가

>

의 가사

, <

복수회포

>(

이성식 작곡

,

안창호 작사

), <

소년건국가

>(

단군자손 우리소년 국치민욕 네아느냐 부모 장사 할곳 없고 자식까지 종되엇다

), <

체육

>, <

창검가

>, <

격검가

>(

괘하다 장검을 빅겨들었네

)

등의 노 래가 이성식이 작곡했다고 말한다

. 1910

년 이성식의 󰡔중등창가󰡕

(

中等唱歌

)

는 내부 고시에 의해 발매

·

반포 가 금지 및 압수되었다

.

8) 흥미로운 사실은 완도군 소안면 월항리에서 불렀던

<

감동가

>(

슬프도다 우리민족 아

)

도 하와이판 󰡔애국창가󰡕

(1916)

<

정신가

>

가 같은 곡조와 가사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

그래서 필자는

<

정신가

>

의 작곡가가 아마도 이성식일 가능성을 연구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

󰡔신한민보󰡕에 이성식이

<

격검가

>(

안창호 작사

)

<

부모은덕가

>, <

대한혼

>

애국창가

로 소개하였으나 자신이 작곡했다고 밝힌 곡

<

학도가

>

뿐이다

.

노동은은 이성식이

1914

년 미국 캘리포니아 포모나로 이주하여 대한민군인회에서 관

리하는 클래어몬트 한인학생 양성소에서 음악을 가르쳤다고 했다

.

9) 그러나

,

이성식은

1913

년에 미국으로 이 주하여 샌프란시스코에서 애국창가를 불렀다고 󰡔신한민보󰡕

1913

12

5

일자에 보도되었다

. 1919

7

10

일자 󰡔신한민보󰡕에서 이성식이 필라델피아 독립관에서

<

독립가

>

를 불렀다고 보도하였다

.

그후

1943

년 이 성식은 팬실바니아 피츠버그에서 국수가게를 경영하면서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했던 독립운동가이기도 하다

. 1910

년대 해외로 이주한 한인들이 부른

애국창가

중에

<

애국가

>

와 같은 노래는

<

정신가

>,

또는

, <

감동가

>

8)류덕희·고성휘 공저, 󰡔한국동요발달사󰡕(서울: 한성음악출판사) 1996년, 109~110쪽, 내부 고시 32호.

1. 중등창가 전 1책 李聖植 저작. 우 출판물은 허가를 受하지 아니하고 출판한 자이기 출판법 제13조 의하여 그 未發賣 頒布를 禁止하고 此를 押收함. 隆熙4년 4월 15일 內務代身 朴齊純.

9) 노동은, 앞의 책, 178~179쪽.

(5)

로 불린 곡이다

.

이 곡의 작곡가와 작사가들의 이름이 무엇인지를 후속연구를 통해 밝혀야 한다

.

하와이판 󰡔애국창가󰡕

(1916)

의 저자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

.

후속연구를 통해 항일가요의 작곡가와 작사 자들의 이름이 밝혀지길 기대한다

.

2. 손봉호 편 필사본 󰡔창가󰡕(1910년)

손봉호 편 필사본 󰡔창가󰡕

(1910

)

는 가

2012

년에 연합신문에 처음 소개되었다

.

10) 표지에 융희

4

년이라고 적혀 있어

1910

년에 제작되었음을 분명히 알 수 있으며 가사만 적혀 있는 필사본 창가집이다

.

11) 이를 통해

, 2008

년 처음 국내에 소개된 하와이판 󰡔애국창가󰡕에 수록된 곡은 손봉호 편 필사본 󰡔창가󰡕에도 이미 수록되어 있어 󰡔애국창가󰡕의 저본을 밝히는 중요한 근거를 제공해 준다

.

이 책에는

27

곡의 노래 제목이 수록되었다

. 1

<

정신가

(

精神歌

)>(

슬프도다 우리민족아

), 2

<

애국가

,

愛國歌

>(

아주동방 작은반도난

), 3

<

병식행보가

,

兵 式行步歌

>(

묘하도다 우리학도 병식행보가

), 4

<

애국가

,

愛國歌

>(

묘하고 묘하다 우리대한은

), 5

<

학도석시가

,

學徒惜時歌

>(

학도야 학도야 청년학도야

), 6

<

권학가

,

勸學

{

>(

이 때를 아느냐 소년학도야

), 7

<

학도애국가

,

{

徒愛國歌

>(

만왕의 왕 우리하나님께옵서

), 8

<

학도예비가

,

{

徒豫備歌

>(

학도야 학도야 저기 청산을 바라보 게

), 9

<

대한국혼가

,

大韓國魂歌

>(

화려한 강산 우리대한은

), 10

<

학도진보가

,

{

徒進步歌

>(

학도들아 우리 열심히 힘써

), 11

<

건원절경축가乾元節慶祝歌

>(

만유의 주제 상제께옵서

), 12

<

애국가

,

愛國歌

>(

화려강산 동 반도 우리제국이요

), 13

<

운동가

,

運動家

>(

대한국 만세에 부강기업은

), 14

<

건원절경축가

,

乾元節慶祝歌

>, 15

<

권학가

,

勸學

{

>, 16

<

국권회복가

,

國權囬復歌

>, 17

<

여학도용진가

,

女學

{

徒勇進歌

>, 18

<

책임가

,

責任歌

> 19

<

국기가

,

國旗歌

>, 20

<

격양가

,

擊壤歌

>, 21

<

건원절경축가

,

乾元節慶祝歌

>, 22

<

국자가

,

國 字歌

>, 23

<

앙위기념경축가

,

昻位紀念慶祝歌

>, 24

<

경진가

,

競進歌

>, 25

<

소년맹진가

,

少年猛進歌

>, 26

<

운동가

,

運動家

>, 27

<

시유변천가

,

時有變遷歌

>

등 총

27

곡 중 제

14

장까지 가사만 기록되었다

.

3. 안수산 소장본 󰡔구한말 애국창가집󰡕

12)

1985

년 도산 안창호의 딸 안수산 여사가 독립기념관에 기증한 󰡔구한말 애국창가집󰡕을

1987

년 신용하가

10) 연합뉴스, 2012년 10월 25일자. 이 창가집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이메리(한국명 윤조향[尹朝香], 당시 73세) 여사가 연합뉴스를 통해 공개한 것이다. 이 책에는 연호인 ‘융희(隆熙) 4년(1910년) 7월 15일 손봉호(孫鳳鎬)’라는 간행기록과 ‘윤 백령 장서(尹白嶺 藏書)’라는 붉은색 고무도장 글씨가 선명한 한지 필사본이다. 연합뉴스에 의하면 “102년 전 ‘애국창가집’ 의 목록”이라는 제목으로 그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현존 창가집 가운데 가장 앞선 것으로 보이는 1910년 필사본 애국창가 집(唱歌·單/17×22㎝/韓裝本)의 목록. 3쪽 분량으로 ‘정신가(精神歌)’부터 ‘건원절(乾元節·순종 탄신일) 경축가’까지 총14 편을 담고 있다. 총14편 중 2장, 4장, 12장(이상 ‘애국가’)과 7장(‘학도애국가’) 등 ‘애국가’ 이름의 창가가 4편에 달한다. 1907년에 작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현행 애국가는 실려 있지 않다. 이는 1908년 이후 보급되기 시작한 ‘애국가’가 기독교계 학교 등 사립학교 학생들에게서만 제한적으로 불렸으며 널리 일반 백성에게는 전파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11) 장유정, 「옛날 노래책에 빠지다 애국창가집, 󰡔창가󰡕(손봉호孫鳳鎬, 1910년 발행)의 해제, 󰡔근대서지󰡕 7, 근대서지학회,

2013, 117~126쪽.

12) 신용하, 「島山 유품 󰡔구한말 愛國唱歌集󰡕 해제」, 󰡔한국학보󰡕49, 1987, 200~211쪽.

(6)

해제하였다

.

신용하는 이 책이

1905~1910

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

이 책은 활자본으로 제

1-8

장과 제

31

장 이후가 누락 되었다

.

완벽한 상태는 아니지만 이 창가 책은

1910

년대 이전의 노래를 추정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

이 책에는

<

정신가

>, <

무궁화가

>, <

권학가

>, <

국가

>, <

학도가

>, <

용병가

>, <

대 한제국 애국가

>, <

국민가

>, <

독립전쟁의 노래

>

등 애국계몽가사를 주제로 하는 애국 창가가 수록되었다

.

4. 손승용 편 필사본 󰡔창가집󰡕

13)

2006

년 국내에서 손승용

(

孫承鏞

, 1855~1928)

의 창가집이 손자 손동욱에 의해 세상에 소개되었다

.

손승용 목사는

1896

년에 서재필과 함께 독립신문 기자로 활동했으며

, 1900

년 인천 제물포 내리교회의 존스

(George

Herber Jones)

목사의 초청으로 영화학교 교사가 되었다

. 1903

년부터

1905

년 사이에

7

천여 명이 하와이로

이민을 시작하였는데

,

이 시기에 많은 사람이 인천 내리교회 교인이었다

.

그는 북간도 광성학교와 강화도에 보창학교를 세웠으며 임시정부의 국무총리를 지낸 이동휘와 함께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

이동휘의 연설문 을 실은 광성학교 󰡔최신창가집󰡕

(1914

)

또한 손승용의

58

곡을 중에서 제

4

<

정신가

1>(

󰡔애국창가󰡕 제

2

장 정신가

,

5

<

정신가

2>(

󰡔애국창가󰡕 제

2

장 애국가

>,

7

<

소년가

>(

󰡔애국창가󰡕 제

11

장 소년남자가

/

󰡔애국 창가󰡕 제

62

장 찬미무

), 8

<

소년모험맹진가

>(

󰡔애국창가󰡕 제

14

장 모험맹진가

),

9

<

대한혼가

>(

󰡔애국창가󰡕

37

장 대한혼

),

10

<

국기가

>(

󰡔애국창가󰡕 제

10

장 국기가

),

12

<

부모은덕가

>(

󰡔애국창가󰡕 제

17

장 부 모은덕가

), 16

<

수절가

>(

󰡔애국창가󰡕 제

16

장 수절가

), 21

<

용진가

>(

󰡔애국창가󰡕

19

장 애국가

), <

행보 가

>(

󰡔애국창가󰡕

35

장 애국가

), 29

<

희망가

>(

󰡔애국창가󰡕

24

장 희망가

), 32

장 자유가

(

󰡔애국창가󰡕

43

장 자유 가

), 34

<

작별가

>(

󰡔애국창가󰡕

20

장 작별가

), 56

<

성경기억

>(

󰡔애국창가󰡕

65

장 성경책명 기억가

)

14

곡이 같은 곡조와 가사를 사용하였다

.

손승용본 󰡔창가집󰡕에 수록된

<

용진가

>

<

행보가

>

는 하와이판 󰡔애국 창가󰡕에서는

<

애국가

>

로 노래제목을 바꿨다

.

5. 명동학교 󰡔신찬창가집󰡕(1913)

해외에서 보급된 가장 오래된

애국창가

로는 북만주 명동학교

(1908

년 설립

)

에서 우시욱 선생이 편찬한

󰡔신찬창가집󰡕이 있다

.

이 책은 국내 여러 학교에서 발췌 편찬하거나 필사본으로 일반 민중에게 널리 전파되 었다

.

󰡔신찬창가집󰡕의 목차를 소개하자면

<

애국가

>, <

조선독립창

(

)>, <

불온창가

>, <

모험맹진가

>, <

복구설 치가

>, <

운동가

>, <

대한귀가

>(

대한혼가

), <

혈성대가

>, <

감동가

>, <

살수 대첩가

>, <

해가

>, <

부모은덕가

>,

<

단군가

>, <

단심가

>, <

학생전진가

>, <

국귀

(

)

>,<

본국가

(

한반도가

)>, <

군인가

>, <

거국가

>, <

충덕정가

>(

우 덕순가

)

등이다

.

이 창가책은 국내까지 배포되었으나

1913

년에 치안과 출판법 위반으로 금서 처분되었다

.

14)

13) 송승용(1856~1928)본 󰡔창가집󰡕, 구한말에서 1910년대에 부르던 애국창가 58곡이 수록되었다.

손승용은 정동제일교회의 담임목사였던 아펜젤러의 인도로 감리교회에 나가기 시작했다고 한다. 김창훈 chkim@kyeongin.

com / 2006년 12월 14일(목) 김창훈, [인천인물 100人·61] 인터뷰/ 손승용 목사 손자 손동옥씨 http://blog.daum.net/

leeeunyong/18267139

(7)

6. 광성학교 󰡔최신창가집󰡕(1914)

15)

현존하는 창가집 중

1910

년대에 편찬된 대표적인 창가집으로는

1914

년 북간도 광성학교에서 필사본으로 출간한 󰡔최신창가집󰡕을 들 수 있다

.

광성학교 󰡔최신창가집󰡕

(1914)

에 실린

152

곡을 분석해 보면 무려

39

곡 이 각각 같은 곡조에 제목과 가사만 다르게 수록되었다

. 152

곡 중

36

곡의 중복된 곡을 제외하면

116

곡 중 에는 민요풍의 노래는 약

10

여 곡이며 찬송가를 직접 차용한 곡은 약

34

곡이며

,

찬송가 풍의 창가는

19

여 곡이 된다

.

그러므로 이 책에서 찬송가에서 파생되었거나 영향을 받은 곡이

53

곡으로

40%

이상의 곡이 찬 송가에서 파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

16) 󰡔최신창가집󰡕의 악보내용에서 악보 사보를 정확하게 했고

,

가사 내 용과 편집의 오류가 거의 없다

.

또한 부악전

(

附樂典

),

즉 음악이론까지 가르치는 음악 교과서와 같은 수준의 책이다

.

7.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

1916

년 󰡔애국창가󰡕에는 위의 구한말 애국창가 곡 가운데

77

곡이 수록되었다

.

이는 미주지역에서 발간된

애국창가집

으로 하와이판 󰡔애국창가󰡕를 등사본으로 베낄 때에 기존의

애국창가

책들을 참고하여 필사한 것이라고 본다

.

이유기는 선행연구에서 이 책의 서문이 한영서원에서 발간 책자와 거의 동일하다는 점에서 한영서원 창가집을 필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

17)그러나 현재 한영서원 발간 책자가 남아 있지 않아 동일한 내용이 수록되었는지 비교할 수 없는 아쉬움이 있다

.

그리하여 부득이 광성학교 󰡔최신창가집󰡕

(1914)

의 곡들 과 비교 연구하였다

.

1909

2

월 미주 한인사회는 북미와 하와이 한인단체가 통합하여 통일기관인 국민회를 창설하였다

.

국민 회는

1910

5

월 대한인국민회로 개칭하면서 사실상 미주 한인의 정부 기능을 수행한 조직이다

.

18) 하와이에 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박용만은 일본과 싸우기 위해 줄곧 무장투쟁을 주장하였다

. 1914

년 그는 대조선국민 군단과 군단 산하에 사관학교를 설립하였으나

1917

년경 문을 닫게 되었다

.

19) 호놀룰루 주재 일본 총영사관 의 조사보고에 의하면

,

이 학교의 학생들은 중국의 상하이와 간도에서 온 것으로 되어 있다

. 1914

12

218

명의 학생이 있었으며

,

그 가운데

75

명은 광무군인이었다고 한다

.

20) 이러한 정황을 살펴보았을 때

, 1914

년에 등사본으로 발행된 광성학교 󰡔최신창가집󰡕은 애국지사들을 통해 북간도에서 상하이를 거쳐 하와이로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

14) 서굉일·김재홍, 󰡔규암 김약연 선생󰡕, 고려글방, 1997; 김보희, 「북만주지역의 독립운동가요 –1910년대 민족주의 독립운동 가요를 중심으로 –」, 󰡔한국음악연구󰡕 41, 2011, 28~30쪽.

15) 󰡔最新唱歌集 附樂典󰡕(광성학교, 1914, 등사판)(국가보훈처, 1997, 영인본).

16) 김보희, 앞의 글, 28~30쪽.

17) 이유기, 「1910년대 하와이판 󰡔애국가󰡕에 대한 연구」, 󰡔한국어문학연구󰡕51, 2008, 148~150쪽. 18) 김도훈, 「1910년 전후 미주지역 공립협회 대한인국민회의 민족운동연구」, 국민대 박사학위논문, 2003.

19) 김도훈, 󰡔미 대륙의 항일무장투쟁론자 박용만󰡕,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0, 81~91쪽.

20) 최영호, 「박용만:문무를 겸비한 비운의 민족주의자」, 󰡔특집:대표적 독립운동가 12인󰡕, 일조각, 2010, 114쪽.

(8)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 광성학교 󰡔최신창가집󰡕(1914) 23장<감은가>(부모님이 나으샤) <감은>(부모님이 나으샤) 41쪽

45장<거국가>(간다간다 나는간다) <거국행>(간다간다 나는간다) 21쪽 42장<관동팔경가>(萬古東方造化神功) <관동팔경>(만고동방 조화신공) 93족 8장<국긔가> (아세아 동대한국은) <국긔>(아세아 동대한국은) 3쪽 4장<국민가>( 4장-다른노래 1914 <국민>(우리님군폐하 하나님도우샤) 54쪽 25장<권학가>(셰월이 유슈같햐셔) <권학>(셰월이 류수같아야) 9쪽 52장<귀안가>(월색은 우운에가리우고) <귀안>(월색은 우운에 가리우고) 47쪽 46장<깊이생각>(슲으도다 우리민족들아) <깊이생각>(슲으도다 우리민족들아) 59쪽 26장<단군가>(우리시조 단군께서) <단군>(우리시조 단군께서) 62쪽

<표 1>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과 광성학교 󰡔최신창가집󰡕(1914)과 수록곡 분석표

󰡔애국창가󰡕의 서문을 살펴보면

, “

국가의 흥망성쇠는 국민의 정신에 재하고 국민의 정신을 감발함에는 노 래가 으뜸이라

라며

애국창가

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그런고로 태서각국에는 웅수의 시인과 악가의 아름다운 시조와 가곡으로 국민의 정신을 수양하며 국상을 함양케 한 것 만은 오호라 오직 우리 해동일방엔 자래로 노래가 없지 아니하나 그 뜻이 음탕 방일함에 지나 지 못하니 이 어찌 우리 대한지인지사의 큰 유감점이 아니리오

” “

그런데 현시 유지 대가의 저작한 노래를 저 무도 무법한 이등

(

伊藤

)

과 사내

(

寺內

)

무리의 압수한 바를 이에 수집

·

편찬하야 후일까지 없어지지 않기에 기약하고 칠십 여장을 이 아름답지 못한 등사판으로 인출하야 우리 청년 애국동지에게 소개하오니 독자제군 은 심량심량 하시옵소서

(

– 기원 사이사구년오월 –

)

그런데 무도

,

무법한 이등 박문이 애국창가를 압수하였던 것을 모아 등사판으로 수집편찬 하였으니 깊이 깊이 새기어 읽으라고 소개하고 있다

.”

1916

5

17

일로 간행시기를 밝혔다

.

Ⅲ.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의 수록곡 분석

하와이판 󰡔애국창가󰡕

(1916)

과 광성학교 󰡔최신창가집󰡕

(1914)

과 수록곡 비교하기 위하여 위에서 소개한

6

개의

창가집

의 독립운동가요 레퍼토리를 분석하여 가장 많이 부른 대표적인

애국창가

를 소개하고

애국창 가

에 나타나는 음악 장르적 특징을 연구하고자 한다

.

또한 하와이판 󰡔애국창가󰡕를 중심으로 광성학교 󰡔최신 창가집󰡕의 레퍼토리를 비교

·

분석하여 하와이판 󰡔애국창가󰡕의 음악적 편찬 배경과 저본이 되었을

1910

년대 의

창가집

을 고찰하고자 한다

.

(9)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 광성학교 󰡔최신창가집󰡕(1914) 38장<대한혼가>(화려한 강산 우리대한은) <대한혼>(화려한 강산 우리대한은) 17쪽 29장 <독립가>(아주동방 화려반도는) <독립>(아주동방 화려반도는) 45쪽 49장<동지가>(상뎨난 우리를 도우샤) <동지>(상뎨난 우리를 도우샤) 11쪽 47장<망향가>(부모형데 리별하고) <망향>(부모형데 리별하고) 46쪽 14장<모험행진가>(눈을드러 삼천리) <모험행진>(눈을 드러 삼천리) 83쪽 58장<복수가>(단군자손 우리소년) <복수회포>(단군자손 우리소년) 139쪽 17장<부모은덕가>(산아산아 높은산아) <부모은덕>(산아산아 높은 산아) 58쪽 41장<불여귀가>(공산명월 야삼경에) <블여귀>(공산명월 야삼경에) 79쪽 55장<사시가>(東園에 花族친고) <사시경>(동원에 화발하고) 111쪽 32장<사은가)(철없고 어린) <사의 은>(철없고 어린) 150쪽 16<수졀가>(뒷동산 저 송죽) <수졀> (뒷동산 저 송죽)7~8쪽 51장 <영웅모범가>(게림나라 즘생중에) <영웅모범>(계림나라 즘생즁에) 98쪽 12장<영웅추도가>(빗날세라 영웅렬사) <영웅추도>(빗날세라 영웅렬사) 117쪽 61장<운동가(백두산하 넓고넓은) <운동>(백두산하 넓고넓은) 53쪽 50장<운동가<(만위근본 이내몸은) <운동>(만위근본 이내몸은) 114쪽 52장<운동>(대한국 만세에 부강) <운동>(대한국 만세부강) 51쪽 21장 <자유가>(대한의 국민들아) <자유>(대한의 국민들아) 130쪽 10장<작대가>(동무들아 떼를지어) <작대>(동무들아 떼를지어) 39쪽 20장<작별가>(광음이여쥬마로다) <작별>(광음이여쥬마로다) 58쪽 44장<전진가>(뒤의일을 생각말고) <전진>(뒤의일을 생각말고) 109쪽 2장<정신가>(슲으도다 우리민족아) <졍신>(슲으도다 우리민족아) 82쪽 60장<졸업식가>(바위아래 소난새음) <졸업>(바위아래 소난새음) 74쪽 50장<죽어도 못노아>(아세아 동편에) <죽어도 못노아>(아세아 동편에) 19쪽 13장<세계지리가>(창망한우쥬간에) <세계디리>(창망한 우주간에) 119쪽 40장 <청년득심가>(쳥년의 백일이) <청년득심>(쳥년의 백일이) 131쪽 49장<츈유가>(春風三月 好時節에) <춘유>(춘풍삼월 호시절에) 62장 <컬넘버쓰가>(원양에 대원수요) <컬넘버쓰>(원양에 대원수요) 134쪽 9장<학교긔념식가>(단군긔자 건국하야) <학교긔렴>(단군셩조 건국하신) 57쪽 27장<한반도가>(동해에 돌출한) <한반도>(동해에 돌출한) 22쪽 48장<혈성가(신대한에 애국청년) <혈성대>(신대한에 애국청년) 93쪽

(10)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 광성학교 󰡔최신창가집󰡕(1914) 49장<혈성가>(장하도다 애국청년) <혈성대>(장하도다 애국청년) 50쪽 24장<희망가>(독립하올 죠흔희망) <희망>(독립하올 죠흔희망) 33쪽 27<한반도가>(동해에 돌출한) <한반도>(동해에 돌출한) 22쪽

(총 42곡) (총 42곡)

<표 2> 곡조는 같으나 제목이 다른 곡

하와이판 󰡔애국창가󰡕(1916) 광성학교 󰡔최신창가집󰡕(1914) 29-2<황실가>(상뎨는 우리 황뎨) <국가> (상제난 우리대한을) 164쪽 22<유시변천>(슲은 일을 본후) <時有變遷>(슲은 일을 본후) 81쪽 2장 <국가 1>(동반구 아주에) <운동>(동반구 아주에) 118쪽

11장<소년남자가>(무쇠골결 돌근육) <야구:소년남자가>(무쇠골결 돌근육) 28쪽 33장<슈신가>(입은 하나요) <입은 하나>(입은 하나요) 56족

55장<동포가>(대한민국 동포들아) <애국>(대한민국 동포들아) 84쪽 51-1<군병가>(우리대군 예수님은) <운동>(대한국 만세부강) 51쪽 같은곡 57-02<십자전가>(우리쥬 예수가) <귀안> 147쪽 같은 곡조

62-02<찬미가>(활발하고 남혈스런) <야구> 28쪽 같은 곡조 5장<보국가>(사천여년 우리나라) <작대> 83쪽 같은 곡조 37장<애국가>(동해물과 백두산이) <국가> 1쪽 같은 곡 제목만 다름 55-2<죠선혼가>(늘희망 앗참) <애국> 15쪽과 같은 곡 가사제목 다름 43<자유가>(한반도 강산 우리나라는) <신년>(일년에 쳐음 날)같은 곡조

*가사와 곡조가 다른 경우 *가사와 곡조가 다른 경우

36장 <상사가>(나의 친구000) <相思>(나의 친구 리별한후)

<

1>

의 분석표에서 나타난 곡들을 가사와 악보를 일일이 대조해 본 결과

42

곡의 곡조와 가사가 일치한

.

광성학교 󰡔최신창가집󰡕

<

혈성대

>, <

한반도

>, <

춘유

>, <

청년득심

>

은 하와이판 󰡔애국창가󰡕에서

<

혈성 가

>, <

한반도가

>, <

춘유가

>, <

청년득심가

>

등 하와이판 󰡔애국창가󰡕에서는 노래제목 끝에

를 부쳐서 광 성학교 󰡔최신창가집󰡕의 노래제목을 바꾸었다

.

창가집

에서 제목은 같으나 곡조와 가사가 다르게 사용 된 곡으로 󰡔최신창가집󰡕

<

상사

>(

나의친구 리별 한후

, 69

)/

하와이판 󰡔애국창가󰡕

(<

상사가

>(

나의친구 ○○○는

, 36

)

와 󰡔최신창가집󰡕

)<

자유

>(

한반도강산 우리나라는

, 20

) /

하와이판 󰡔애국창가󰡕

<

자유가

>(

대한의 국민들아

, 21

)

이 있다

.

(11)

그러나 대부분 곡들에서 동일한 곡조를 사용했으나

,

하와이판 󰡔애국창가󰡕

<

동포가

>

는 광성학교 󰡔최신창가 집󰡕

<

애국

>, <

십자전가

>

<

입은 하나

>, <

소년남자가

>

<

야구

>, <

유시변천

>

<

시유변천

>

으로 다른 제목 을 사용하였다

.

하와이판 󰡔애국창가󰡕의

<

군병가

>(

우리대군 예수님은

), <

십자전가

>(

우리쥬 예수가

), <

찬미 가

>(

활발하고 남혈스런

), <

보국가

>(

사천여년 우리나라

), <

애국가

>, <

죠션혼가

>, <

자유가

>(

한반도 강산

)

는 같은 곡에 󰡔최신창가집󰡕에서

<

운동

>, <

귀안

>, <

야구

>, <

작대

>, <

국가

>, <

애국

>, <

신년

>

과 같이 다른 제목 과 다른 가사내용을 사용했음을 확인하였다

.

위의 분석표

<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와이판 󰡔애국창가󰡕

(1916)

에 수록된

77

개의 곡목 중에

42

개의 곡목이 광성학교 󰡔최신창가집󰡕에 수록된 곡들과 가사와 제목이 일치하고 곡조가 같으며

,

같은 곡조에 유사한 노래제목을 사용한 곡이

13

곡이며

,

찬송가를 이용하여 노래가사를 바꾼 것을 포함하면 광성학교 󰡔최신창가 집󰡕

(1914)

와 하와이판 󰡔애국창가󰡕

(1916)

70%

이상 중복되고 있다

.

<표 3> 1910년대 ‘애국창가’에 기록된 노래들

󰡔신한민보󰡕 손봉호

󰡔창가󰡕

안수산

󰡔구한말애국창가집󰡕

손승용

󰡔창가집󰡕

명동학교

󰡔신찬창가집󰡕

격검가 무궁화가 독립가 병식행보가 부모를생각하는 노래

애국가 학도가 혈성대

건원절경축가 격양가 경진가 국권회복가 국기가 국자가 권학가 대한국혼가 병식행보가 소년맹진가 시유변천가 애국가 애국가 애국가 여학도용진가 운동가 운동가 정신가 즉위기념경축가 책임가 학도애국가 학도예비가 학교진보가

국가 국민가 권학가 대한제국애국가 독립전쟁의 노래 무궁화가 용병가 정신가 학도가

국기가 대한혼가 부모은덕가 성경기억 소년가 소년모험맹진가 수절가 용진가(애국가) 자유가 작별가 정신가1 정신가2 행보가(애국가) 희망가

*( )는 하와이판 애국창 가와 같은 곡

감동가(정신가) 거국가 국귀(혼)가 군인가 단군가 단심가

대한귀가(대한혼가), 모험맹진가 복구설치가 본국가(한반도가) 부모은덕가 불온창가 살수대첩가 애국가 운동가 조선독립창가 충덕정가>(우덕순가) 학생전진가

해가 혈성대가

(12)

곡제목 악곡 설명 1 06 국문가 방아타령조 중모리장단, 오음음계22)

2 21 자유가 4/4박자, C장조, 민요풍의 창가

3 22 유시변천가 6/8박자, E장조, 통일찬송가 <죄짐 맡은 우리 구주> J. Charles Converse(1832~1918)작곡한 선율을 한국 전통가요 식으로 변형한 곡이다. 5음음계 중심으로 작곡했으나, 반음계도 사용했다. 4 29-2 황실가 3/4박자, 한국전통선율에 기초하여 작곡. <대한제국 애국가>

5 41 불여귀 4/4박자이나 불규칙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 가곡이나 시조를 부르듯 가사에 다른 절박을 4/4박자 안에 나누어 놓았다. G장조 오음음계를 사용.

6 42 관동팔경가 6/4박자 무가풍의 창가, 오음음계사용

<표 4> 민요풍의 애국창가

위의

<

3> 1910

년대

애국창가

에 기록된 노래들의 노래 가사의 주제적 특성을 크게 나누어 보면

,

첫째

,

애국적인 내용이 가장 많다

. <

애국가

>, <

정신가

>, <

국민가

>, <

보국가

>, <

국기가

>

등 나라사랑을 노래했다

.

<

단군가

>, <

한반도가

>,

대한인국민회 탄생을 경축하는

<

경축가

>, <

국민회가

>, 1902

년 프란츠 에케르트가 작곡한

<

대한제국 애국가

>

21) 등 구한말부터 부르기 시작한 노래를 수록하고 있다

.

대한제국 시기에 망국을 눈앞에 두고 동포들에게 정신을 차리라고 호소하고 독립을 염원하는 노래로

<

애국가

>, <

정신가

>, <

동포가

>

등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원통함과 국권회복을 위해 동포들의 일치단결을 호소하는 노래가 주를 이룬다

.

둘째

,

애국계몽을 위한 교육적인 내용이 많다

. <

학도가

>, <

권학가

>, <

운동가

>, <

전진가

>, <

소년남자가

>,

<

행보가

>, <

용진가

>, <

혈성대가

>

등이 있다

.

Ⅳ. 하와이판 󰡔애국창가󰡕의 음악 장르적 특성

하와이판󰡔애국창가󰡕 의 음악 장르적 특성은

1)

민요풍의

애국창가

로 전통민요의 선율을 차용하거나

,

한 국의 전통음악의 리듬적 특성을 사용하여 작곡된

애국창가

’ 2)

창가풍 애국창가로 일본창가를 직접 차용하거 나 창가풍으로 작곡한

애국창가

’ 3)

찬송가풍의 애국창가로 찬송가를 직접 차용하거나 찬송가풍으로 작곡한 애국창가로 분류된다

.

다음은 하와이판 󰡔애국창가󰡕에 수록된

77

개 곡목을 장르별로 파악하여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

1. 민요풍의 애국창가

21) 하와이판 󰡔애국창가󰡕에서는 <대한제국 애국가>제목을 <독립가와 황실가>로 바꿔서 기록하였다.

(13)

곡제목 악곡 설명

7 45.거국가 3/4박자로 표기되었으나 6/8박자로 노래한다. G장조 안창호작사/정사인 작곡 창작가요

8 47 망향곡 3/4박자 G장조 민요풍 3박자, 오음계사용 도음 종지. 라 – 시 – 도 – 미 – 파(미야코부시 음계)를 사 용했다.

9 49춘유가 4/4박자로 쓰였지만 한박자가 복합박을 포함하는 기능이 있다. G장조 민요풍 창가 do음 종지 10 52 귀안가 6/8박자 D장조 굿거리장단과 같이 사용 그러나 도음으로 종지

11 55 사시가 4/4박자 G장조 민요풍의 창가

12 57-2 십자전가 6/8박자 G장조 52장<귀안가>과 같은 곡조를 사용. 13 59 츈가 <거국가>와 비슷한 노래

14 60 졸업식가 3/4+4/4박자 복합박자사용. A장조 sol음종지 15 62 컬넘버스 3/4박자, 오음음계, ‘레’로 끝남

(1) <국문가>

<

국문가

>

는 방아타령조로 노래하라고 표시하고

,

가사만

14

절을 필사하였다

.

정찬생 작사로 노동은의 󰡔항 일가요

330

곡󰡕에서 방아타령곡조에 가사를 입혀 방아타령조로 부르던 독립운동가요를 오선보로 재구성하였 다

.

23) 민요풍의 노래는 창가가 소개되기 이전에

<

국문가

>

에서 방아타령의 선율에 맞추어

독립전쟁에 에화 나갑세다

라고 불렀다

. 14

절의 가사에 맞춰

<

국문가

>

를 만들었다

.

<국문가> 가사

1절:가장 귀한 대한청년 거름 거름 전진하세 구름같이 쌓인 눈을 봄눈같이 엘화 쓸어냅시다.

후렴:엥—헤--에 에헤이오 에와 지화자 정조크나 독립전쟁에 에화 나어 나갑세다.

아래의 악보에서 알 수 있듯이

<

국문가

>

의 예로 민요풍 창가의 특성을 설명하자면 첫째

, 3

박자 계열의 박 자와 복합리듬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

예를 들면

,

우리민족이 노래해 왔던 리듬체계는

2

박자

, 4

박자의 곡 안 에서도 복합 리듬체계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 <

악보

6>

에서는

9/8

박자

, 3

박자 계통의 복합리듬인 세마치장단 을 사용하였다

.

선율에서는 주로 오음음계 솔선법

(

솔 – 라 – 도 – 레 – 미

)

를 중심으로 된 기존의 민요

<

방아타 령

>

곡을 차용하였다

.

22) 노동은의 󰡔항일음악 330곡집󰡕54쪽 <국문가>에서 방아타령 선율에 가사를 얹어 복원하였다. 14절의 가사가 있다. 23) 노동은, 앞의 책, 54쪽.

(14)

<악보 6> <방아타령>선율에 맞춰 부르던 <국문가> (장천생작사)

(2) <불여귀>

<악보 7> 시조, 가사와 같이 복합리듬을 사용한 창작곡 <불여귀>

(15)

곡제목 악곡 설명 1 11.소년남자가

4/4박자의 최신창가집 <야구>와 같은 곡. 광복의 메아리 37쪽

<소년행진가>안창호 작사 이상준 작곡, <운동회>

2 13.세계지리가 3/4박자, A장조, 창작곡

김인식, 󰡔보통창가집󰡕1922, <세계지리가>와 같은 가사와 선율, 장음계 3 14 모험행진가 4/4박자, C장조, 창작가요

4 15 애국가2 2/4박자. F장조, 창작가요

5 17.부모은덕가 4/4박자, G장조 이 곡은 1910년대 유행된 창가. 송승용본 󰡔창가집󰡕12장<부모사은가>

6 19. 애국가2 2/4박자, 부점사용,

<성경목록가>오오노 우메와카 <철도창가>작곡

7 20 작별가 4/4박자. Ab장조, 창작가요 김인식 작곡 ‘보통창가집’ <석별>과 같다. 1922 8 26.단군가 단군을 기념한 곡. 【대한매일신보】<단군가> 1909.8.6.

9 30.가정가

2/4박자 G장조, 일본<군함행진곡>, <승리행진곡>야마다 겐이찌로오가 작곡한 <군함>이다. 1900년 군악사 출신인 세토구찌가 새로 작곡하여 <군함행진곡>으로 발표한 후 일본의 군가가 되었다.24)

10 31 하경가 4/4박자 못갖춘 마디, C장조, 자연 경치를 노래, 서정적인 창작가요 11 32사의 은가 4/4박자, Eb장조, 오음음계

<표 5> 하와이판 󰡔애국창가󰡕에서 ‘일본창가’를 차용하거나 창가풍으로 작곡된 ‘애국창가’

<

불여귀

>

는 오음음계를 사용하여 도

(do)

음으로 종지하는 곡이다

.

박자도

4/4

박자로 표기되었지만 시조나 가사에서

2

마디

8

박자를 기준으로

5+3=8

또는

3+2+3

으로 나뉘는 한국전통음악의 리듬구조를 변용했지만 전통음악의 리듬구조와 크게 벗어나지 않게 작곡된 곡이라고 본다

. (sol-la-do-re-mi)

오음음계를 사용하였으 나 서양음악의 영향으로 도

(do)

음으로 종지하였다

.

2. 창가풍의 애국창가

일본과 서양음악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창가는 한인의 독립운동가요에서 찬송가의 영향과 버금가는 영향 을 주었다

.

애국창가 중에 많은 곡들이 일본창가의 선율을 차용하거나 창가풍으로 창작된 노래이다

.

창가의 음악적 특징은 한국의 전통리듬과는 달리

2/4

박자

, 4/4

박자 계통의 리듬을 사용하며

,

행진가 풍의 붓점으로 구성된 스코티쉬리듬

(

깡총리듬

)

을 사용한다

.

선율은 동요와 같이 간결하고 일본의 오음음계인 요나누끼 장음 계

(

도 – 레 – 미 – 솔 – 라

)

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 1910

년대부터 활동한 작곡가로 김인식

<

학도가

>,

이성 식

<

격검가

>,

이상준

<

석별

>,

정사인

<

거국가

>

등을 작곡하여 애국창가를 보급하였다

.

(16)

곡제목 악곡 설명

12 33.슈신가 3/4으로 표기되었으나 실제로는 6/8박자이다, G장조 유희곡 󰡔최신창가집󰡕100,

<입은 하나>로 되어 있음. 3/4박자이다, G장조 13 34.동포가 6/8박자, Bb장조, 창작곡

14 35.녀자단심가 6/8박자와 3/4박자의 혼합 리듬으로 되어 있다. G장조 김인식의 <학도가>와 비슷하다. 15 36.상사가 4/4박자. G장조, 인사 노래

16 38.대한혼가 4/4박자 <운동가>

17 44 젼진가 <젼진2> <용진가>

18 44-1 동지가 <권학가>(세월이) 같은 곡 19 50 죽어도 못놓아 4/4박자 부점사용 C장조

20 50-2운동가 <성경목록가>, <철도창가> 같은곡 21 52-1. 운동가 2/4박자, 부점사용,

<성경목록가>오오노 우메와카 <철도창가>작곡과 같은 곡

22 53. 산보가 6/8박자

23 56 원족회가

4/4박자 부점사용. 보표가 잘 못되었음. e단조 일본군가 <군함행진곡>25) <승리행진곡>, <이 천만 동포들아 일어나거라>, <조선물산 장려가>에 같은 곡조를 사용했다. 야마다 겐이찌로오 작곡가 <군함>을 작곡했고, 세토구찌 토오키찌가 작곡하여 <군함행진곡>으로 작곡

24 58.복슈가 4/4박자 F장조

25 61 권학가 오오노 우메와카 작곡<성경목록가>와 같다. 26 61-2 운동가 애국창가 19장<애국>, <성경목록가>와 같은 곡이다, 27 62-02 찬미가 11장 <소년남자가>와 같은 곡

28 63.구쥬셩탄가 3/4박자 d 단조 일본곡 <망향가>와 같은 곡 타나카 호즈미 (田中槥積)작곡 29 65.성경책명기억가 이 곡는 <성경목록가> 또는 오오노 우메와카 작곡<철도창가>

30 66 구쥬전집가 63장 <구쥬성탄가><망향가>와 같은 곡. 타나카 호즈미 (田中槥積)작곡

31 67. 십자형가 65번<성경칙명 긔억가>와 같은 곡. 이 곡는 <성경목록가> 또는 <철도창가>로 알려진 변종 곡 이다. 오오노 우메와카 <철도창가>작곡

하와이판 󰡔애국창가󰡕에서

일본창가

중 가장 많이 차용된 곡은 오오노 우메와카가 작곡한

<

철도창가

>

이 다

.

이곡의 선율을 차용하여 가사를 바꿔서 만든 곡으로

<

애국가

>, <

운동가

>, <

권학가

>, <

학도가

>

<

성경 목록가

>, <

운동

>, <

복구설치가

>

<

중국의 학당악가

>,

26) 등에도

<

철도창가

>

선율이 차용되었다

.

야마다 겐 이찌로오가 작곡한

<

군함

>

을 차용한

<

가정가

>

<

원족회가

>,

타나카 호즈미

(

田中槥積

)

작곡

<

망향곡

>

을 차 24) 노동은 참조,

25) 1921년 이상준 풍금독습중등창가집에 <원족가>로 실림, 노동은, 앞의 책, 447쪽.

26) 김성준, 「日本 <鐵道唱歌>의 流轉및 凡首 朝鮮 中國 歌曲 曲源을 더듬어」, 󰡔한국국립국악원논문집󰡕1990. http://210.95.2 00.119/100_ncktpa/400_book/3000001.071.html.

(17)

용한

<

구쥬셩탄가

>, <

구쥬전진가

>

등이 있다

.

1895

년 안창호가 고향인 평남 강서군에 점진학교를 세우고 교가를 불렀던

<

점진

>

은 학생들이

<

전진

>

으 로 바꾸어 노래를 했으며

,

후에

<

격검

>, <

장검

>, <

용진가

>, <

유격대행진곡

>

으로 가사를 바꾸어 같은 선율로 노래했다

. <

권학가

>

에 일본의

<

용감한 수병

>

의 선율을 차용하였다

.

일본창가

<

용감한 수병

>

27)

1895

년 사사키 노부쓰나라가 작사하고 오쿠 요시이사라가 작곡한 노래이다

.

28)

<

모험맹진가

>, <

운동가

>, <

해가

>, <

복구설치가

>

은 요나누끼 장음계29)를 사용한 일본 창가에 가사를 바 꾸거나 비슷하게 모방하여 작곡된 것이다

.

창가풍의 노래는 교가에거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 <

용진가

>, <

거 국가

>, <

츈가

>, <

영웅모범가

>, <

혈성가

>, <

귀안가

>, <

장검가

>, <

청년득심가

>, <

산보가

>, <

동포가

>, <

여자

단심가

>

등은 한국인에 의해 창작된 애국창가 이다

.

(1) 일본창가를 차용해 작곡한 애국창가

<악보 8> 오오노 우메와카가 작곡한 <철도창가> 선율을 차용한 <애국가>

27) 조형균, 「8·15에 못 다한 말 __이 치욕의 장, 무지인가 무관심인가?」, 조형균(78) 계성종이 역사박물관 관장 한계레신문, 2007-10-07조 관장은 <권학가> 노래에 붙은 곡은 1895년 사사키 노부쓰나라는 사람이 작사하고 오쿠 요시이사라는 사람 이 작곡한 <용감한 수병>에서 따온 노래로, 청일전쟁 승리를 찬양하고 애국심을 고취하는 일본의 국민가요였다고 했다. 그 노래 8절에 나오는 “아직 그대롭니까 적함 정원(定遠)은?/ 그 말 한 마디는 짧을지라도/ 황국을 생각하는 온 국민의/ 마음 에 길이길이 쓰여지리라”라는 가사는 중상을 당하고도 부함장을 찾아 적함이 격침됐는지를 묻고 바로 숨졌다는 어느 3등 수병을 영웅화한 내용이다.ⓒ 한겨레 (http://www.hani.co.kr)

28) 김보희, 앞의 글, 28~30쪽.

29) ‘요나누끼음계’는 음계에서 4번째, 7번째, 음정이 빠진 음, 즉 요나누끼 장음계는(도-레-미-솔-라), 요나누끼 단음계는 (라-도-레-미-솔)로 구성된 음계를 말한다. 요나누끼 단음계는 (라-도-레-미-솔)로 구성된 음계를 말한다.

(18)

하와이판 󰡔애국창가󰡕

<

19

장 애국가

>

1908

년 󰡔찬양가󰡕에서 선율을 차용한 것이다

.

창가식으로 작곡되 어

<

성경목록곡

>

으로 알려져 있다

.

작곡자는 오오노 우메와카

(

多 梅稚

)

이며

, 1900

년에

<

철도창가

>

를 작곡

하였다

. 1905

년 김인식이

<

학도가

>

를 작사하여 이 곡에 얹혀 불렀다

.

이 시기 교회에서는 성경 목록을 외우

기 위한

<

성격목록가

>

로 불렀다

.

(2) 한국인이 창작한 애국창가

<

9

장 소년남자가

>

는이상준 작곡

,

안창호 작사로 알려져 있다

.

최신창가에도 같은 곡이 수록되었는데 이곡의 선율과 리듬은 창가풍으로 작곡되었다

.

<악보 9> <소년남자가> 안창호 작사, 이상준 작곡

<악보 10> <애국가2>(15장) 창가풍의 애국가

(19)

하와이판 󰡔애국창가󰡕

<

15

장 애국가

>

는 창가풍의 노래로

나아가누나 나아가누나 우리학생들이 나아가누

” 2/4

박자의 노래로 학생들에게 씩씩한 기상을 북돋아주는 노래이다

.

이 곡은 서울 상동교회

(

尙洞敎會

)

옥소학교

(

攻玉小學校

)

에서

1907

10

<

공옥소학교행보가

>

로 창가식으로 작곡되었다

.

30)후렴구에

나아가 누나 나아가누나

가사는 학생들에게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행진가 형식을 갖추었다

.

이 곡은 손승용 필사본

󰡔창가󰡕와 노동은의 󰡔항일가요

330

곡집󰡕에는

<

행보가

>

로 소개되었다

.

(3) 일본유행가를 차용한 ‘애국창가’

일본유행가

<

아름다운 천연

>

<악보 11> 일본유행가 <아름다운 천연>에서 선율을 차용한<십자형가>

3. 찬송가풍의 ‘애국창가’

1910

년대 서양음악으로 애국가를 작곡하는 문제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

우선 한국인은 삼박자 계통의 노 래가 가장 편하게 부를 수 있는 노래이기 때문에 영국 국가인

<God, save the Queen>(

하나님

,

여왕을 지 켜주소서

)

<

조선혼

>, <

명동학교 교가

>, <

한반도

>

의 가사를 얹어 노래하였다

.

하와이판 󰡔애국창가󰡕

2

<

애국가

>

1910

년 경솔국치를 맞이하여 애통한 심정을 찬송가와 비슷하게 작곡하여 부른 곡이라고 본다

.

이 애국가의 작곡가는 교회에서 선교들로부터 서양음악을 배운 음악가라고 생각한다

.

김인식과 이상준은 국

30) 노동은, 앞의 책, 189쪽.

(20)

내에서 창가집을 편찬하고 자신의 곡조라고 밝히기도 한 작곡가들이다

.

그러나 국내에서 금지된 불온창가는

<

애국가

>, <

영웅모범가

>, <

대한혼

>

은 국내에서는 출판이 금지되고 검열을 받아 국내 한국인들이 부르지 못 하게 금지된 노래이다

.

이러한 애국정신을 노래한 작곡자는 누구인가에 대해 앞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1903

년 이후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 이주자들은 기독교인들이 대부분이며

,

찬송가를 많이 불렀다

.

하와이 판 󰡔애국창가󰡕

(1916)

에 나타난 찬송가는 주로 조국의 독립과 애국심 그리고 동포애가 절심함을 노래하는 가 사를 지어 찬송가 곡조에 얹어 노래하였다

.

󰡔애국창가󰡕

(1916) 77

곡 중에 찬송가를 직접 차용한 것은

19

곡이지만 찬송가풍으로 창작된 곡 하와이판

󰡔애국창가󰡕

2

<

애국

>, 3

<

정신가

>, 7

<

학교기념식가

>, 19

<

작별가

>, 20

<

자유가

>, 22

<

유시변천 가

>, 26

<

단군가

>, 27

<

한반도가

>, 27

<

경축가

>, 34

<

동포가

>, 43

<

자유가

>, 50

<

운동가

> 64

<

구주성탄가

>

13

곡이 찬송가풍의 창작곡 이다

.

32

곡이 찬송가와

13

곡의 찬송가풍으로 창작한 곡으로 구성되어있다

.

31)

1908

년 윤치호가 󰡔찬미가󰡕를 간행했는데

15

곡의 찬미가 중에

3

곡이

<

애국가

>

였다

. 1

장 애국가

(

우리황상 폐하 텬지일월 갓치 만수무강

)

는 영국국가

<

피난처 있으니

>

32)를 사용했고

, 10

장 애국가

(

승자신손 천만년은 우리 황실이오

)

14

장 애국가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말으고 달토록

)

는 스코틀랜드 민요

<

올드 랭 사인

>(Auld Lang Syne)

33)의 선율은 사용하였다

.

34) 󰡔애국창가󰡕

(1916)

에서는

<

애국가

>, <

학교기념식가

>

에 이 선율을 차용하였다

.

󰡔

21

세기 찬송가󰡕

350

<

우리들이 싸울 것은

>,

일명

<

조지아행진곡

>

선율은 하와이판 󰡔애국창가󰡕에서는

<

보국가

>, <

만세가

>, <

군병가

>, <

한영서원가

>, <

작대가

>, <

자유가

>

곡조로 사용되었고

,

󰡔최신창가󰡕

(1914)

에서는

<

경성

>, <

국문창립기념

>, <

독립군가

>, <

신흥무관학교교가

>

곡조로 사용되어 이 곡에서 가장 많은 독립운동가요를 파생시켰음을 알 수 있다

.

또한

<

혈성대가

>

는 󰡔

21

세기 찬송가󰡕

174

<

대속하신 구주께서

>

와 󰡔

21

세기 찬송가󰡕

61

<

주여 복을 비옵나니

>

35)에 각기 다른 찬송가 곡조에 가사를 얹어 사용하였다

.

1900

년대

<

애국가

>(

긴 날이 맛도록 생각하고 깊은 밤들도록 생각함은 우리나라로다 우리나라로다

)

는 󰡔

21

기 찬송가󰡕

338

<

내주를 가까이 하게 함을

>

의 곡조를 사용하였다

. <

대한소년기개

>, <

맹진

>, <

숭실학교 교가

>

는 󰡔통일 찬송가󰡕

(1983) 388

<

마귀들과 싸울지라

>

곡조를 차용하였다

.

31) 한국 찬송가 발행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892년 󰡔찬미가󰡕, 1894년 언더우드가 펴낸 󰡔찬양가󰡕, 1895년 󰡔찬셩 시󰡕, 1905년 애국가 가사가 실려있는 윤치호 역술의 󰡔찬미가󰡕, 1908년 한국최초의 장감연합찬송가인 󰡔찬송가󰡕가 있다. 이 후 연합찬송가 시대인 1908년부터 1945년까지 󰡔신뎡찬송가󰡕, 󰡔신편찬송가󰡕등의 찬송가가 발행된다. 1894년 󰡔찬양가󰡕 언 더우드(H.G.Underwood)가 편찬한 한국 최초의 악보찬송가이다.

32) 󰡔21세기 찬송가󰡕70장 <피난처 있으니>

33) 󰡔21세기 찬송가󰡕280장 <천부여 의지없어서>

34) 윤치호(역), 󰡔찬미가󰡕, 광학서관, 1908.

35) 󰡔21세기 찬송가󰡕54장 <주여 복을 구하오니>는 Jean Jacque Rousseau(1752)가 직접 대본을 쓰고 작곡한 <마을의 점쟁 이>(Le Devin de village)라는 오페라에 나오는 곡이다. 이 노래는 <예수님은 누구신가?><주여 복을 구하오니> 등의 선율 로 사용하다가 일본동요로 불려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도 동요, 창가, 독립군가로 불려지게 되었다. 이천진, 󰡔영성과 음악󰡕, 서울: 나눔사, 2018, 133~134쪽.

참조

관련 문서

This paper studies bloodletting therapy in Huangdineijing to provide the Korean Medicine doctors with knowledge of the therapy to effectively utilize it in

Thus, The Diary of Muk-Jae may represent a point of transition between in the perception of cold damage as seen in the Uibang Yuchui ( The Collection of Medical Procedures )

Lee, “Brief screening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outpatient clinic: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Journal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