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재은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정재은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Copied!
6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논문

강녕(康寧)의 의미를 지닌 주얼리 브랜드 개발 연구 -천도와 석류 문양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생활 문화 디자인학과

금속 & 주얼리 디자인 전공 정 재 은

2007

(2)

강녕(康寧)의 의미를 지닌 주얼리 브랜드 개발 연구

-천도와 석류 문양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정 용 진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7 년 7 월 일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생활 문화 디자인학과

금속·주얼리 디자인 전공 정 재 은

2007

(3)

정재은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2007 년 7 월 일

심사위원장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4)

국문 국문

국문 국문 요약 요약 요약 요약

이 논문은 강녕을 소재로 한 브랜드 개발 과정을 정리한 것으로, 강녕의 소재인 천도와 석류 문양을 주얼리로 표현하였다.

한국은 평화롭고 부드러우며 또한 너그러운 생활 환경을 지닌 축복 받은 자연 환경을 지니고 있다. 둥글둥글한 산과 초가집의 지붕도 이러한 환경적 영향을 미쳤을 것이고 자연환경은 그 속에서 사는 사람들의 성격에도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반도적 위치로 외세의 침략을 많이 받아 피해를 받기도 하였으며 뜻하지 않은 자연재해를 당하기도 하였다. 자연재해와 외세의 침략에 한국인의 불안한 마음은 항상 평안을 추구하였다.

이것은 자연과 외세 침략의 두려움을 극복하고자 자연물과 동식물, 인공물 등을 신격화, 형상화해 숭배의 대상으로 삼아 평안과 행복감을 느껴야만 했다. 그리하여 평안의 마음을 갖기 위하여 노리개를 한복에 착용하여 지니고 다니기도 하였으며 집안의 가구나 목재, 도자기에도 새와 동물, 꽃 등을 그려 넣었고 문양이나 형태를 형상화하여 그들의 일상생활과 늘 함께 하였다.

이러한 우리의 선조들은 그 소재들에게 의미를 부여하여 평안이라 는 의미를 반영한 강녕(康寧) 이라는 이름을 자주 사용하였다. 이를 테면 “부디 강녕하십시오” “수복강녕” “부귀강녕” 등의 말들이 대표 적으로 상대방과 자기 자신의 안녕을 기원하였다. 이렇듯 강녕(康 寧)은 우리나라의 복(福)을 상징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한국의 고유한 정서라고 생각된다.

서구문물에 찌든 현대 한국인의 정신과 문화에 강녕(康寧)의

정서가 담긴 새로운 주얼리 브랜드 가능성을 제시해본다. 동시에

현대인의 감각과 감성에 맞춰 현대 의상에 어울리는 주얼리

브랜드를 개발한다. 또한 서양의 정서와 문화가 중심인 세계의

주얼리 시장에서 우리 한국 감성을 보여주는 디자인을 상품으로

제작하여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주얼리 브랜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5)

차 차 차 차 례 례 례 례

국문 국문 국문 국문 요약 요약 요약 요약

I. I.

I. I. 머리말 머리말 머리말 머리말

1. 연구목적 1

2.

연구내용과 방법 3

II. II. II. II. 강녕 강녕 강녕 강녕((((康寧 康寧 康寧 康寧))))의 의 의 이해 의 이해 이해 이해

1. 강녕의 의미를 지닌 한국 전통 배경 5

2. 강녕의 의미를 지닌 사례 9

3. 강녕의 의미를 지닌 문양 17

4. 강녕의 의미를 지닌 주얼리 브랜드 가능성 22

III. III. III. III. 강녕 강녕 강녕 강녕((((康寧 康寧 康寧 康寧))))의 의 의 의미를 의 의미를 지닌 의미를 의미를 지닌 지닌 지닌 주얼리 주얼리 주얼리 주얼리 브랜드 브랜드 브랜드 브랜드 개발 개발 개발 개발

1. 브랜드 컨셉 설정 25

2. 브랜드 위치 설정 26

3. 목표고객 설정과 분석 29

4. 브랜드 네이밍 30

5. 로고타입 및 심볼 32

6. 디자인 구상 35

7. 시제품 36

IV. IV. IV. IV. 맺음말 맺음말 맺음말 맺음말

55

참고문 참고문 참고문 참고문헌 헌 헌 헌

56

Abstract

Abstract

Abstract

Abstract

57

(6)

I. I.

I. I. 머리말 머리말 머리말 머리말

1. 연구목적

우리나라 문화는 조상들의 생활 지혜에서 땀과 슬기가 돋보인다고 할 수 있다. 조상들의 땀과 슬기로 만들어진 우리만의 고유한 정신과 아름다운 문화 요소들이 많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가치를 느끼지 못한 채 우리나라의 문화보다 다른 나라 문화의 가치만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조상들의 정성과 정신은 우리가 아닌 외국인으로 인해 진가를 평가 받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것은 우리가 외면해 왔던 우리나라의 문화나 정신을 바탕으로 상품으로의 고부가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을 뜻한다

최근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미적 가치로 재평가하는 상품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한복 디자이너 이영희가 1993 년 패션쇼에서 한복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전위(前衛)패션을 선보여 극찬 받은 것을 계기로 여러 디자이너가 한복의 현대화, 세계화에 뛰어들었다. 해외 영화제 시상식에 국내 여배우가 한복을 입고 참가해 한복의 아름다움을 전파하는 모습은 이제 관례가 됐다. 이는 우리 문화의 고부가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문화와 얼이 깃든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경쟁력을 키우고 전통적인 가치관을 확립하여 상품의 가격이나 질적 수준뿐만 아니라 상품의 예술적인 측면이 추가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각국의 전통적인 요소들은 형식적인 요소만 디자인에 사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각 나라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자연적인 환경이나 인문사회적인 역사와 문화에 바탕을 둔 민족적인 특성이나 특질이 끊임없이 사회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유연성 있게 변화하면서 디자인의 속성으로 나타나고, 이 속성이 형식화 되므로 국가적 디자인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다른 나라의 예를 들면 독일국민의 정확하고 철저한 국민성, 분업화, 전문화, 규격화를 요구하는 산업구조, 간결성은 독일의 기능주의를

(7)

가져왔다. 이탈리아의 맑은 풍광과 지중해성 기후는 라틴 특유의 낭만적인 국민성을 가져왔고, 가족주의 중심의 특수한 기업구조, 개인적인 독창성에 연유하는 차별성과 유연성 등은 세계적으로 독창적인 디자인을 끊임없이 개발하는 디자인 대국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단지 조형적 요소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 정신을 바탕으로 전통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러한 전통은 오랜 세월에 걸쳐서 민족의 생활감정에 의한 동화와 공감의 여과를 거쳐 어느 한 때 존재하다가 사라지는 역사 속에 매몰된 것이 아니고 현재에 재발견, 재발전, 재창조되어야 한다.

한국은 평화롭고 부드러우며 또한 너그러운 생활 환경을 지닌 축복 받은 자연 환경을 지니고 있다. 둥글둥글한 산과 초가집의 지붕도 이러한 환경적 영향을 미쳤을 것이고 자연환경은 그 속에서 사는 사람들의 성격에도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반도적 위치로 외세의 침략을 많이 받아 피해를 받기도 하였으며 뜻하지 않은 자연재해를 당하기도 하였다.

자연재해와 외세의 침략에 한국인의 불안한 마음은 항상 평안을 추구하였다.

이것은 자연과 외세 침략의 두려움을 극복하고자 자연물과 동식물, 인공물 등을 신격화, 형상화해 숭배의 대상으로 삼아 평안과 행복감을 느껴야만 했다. 그리하여 평안의 마음을 갖기 위하여 노리개를 한복에 착용하여 지니고 다니기도 하였으며 집안의 가구나 목재, 도자기에도 새와 동물, 꽃 등을 그려 넣었고 문양이나 형태를 형상화하여 그들의 일상생활과 늘 함께 하였다.

이러한 우리의 선조들은 그 소재들에게 의미를 부여하여 평안이라는 의미 를 반영한 강녕(康寧)1)이라는 이름을 자주 사용하였다. 이를테면 “부디 강

1) 강녕(康寧)은 사전적 의미로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 할 것을 의미한다. 중국

후학 말기의 대표적 유학자인 정현(鄭玄:127~200) 은 ‘사기집해’(集解)에서 강녕을

‘평안(平安)’이라고 간단하게 정의하였다. 또한 이것은 크게 보아 행복이라고 역사 평론가인 이덕일이 의미심장하게 말했다.

왕의 침실로 사용되었던 강녕전은 개국공신 정도전이 “만년에 걸쳐 큰 복을 누리라” 라는 의미로 경복궁을 비롯하여 그 명칭이 지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8)

녕하십시오” “수복강녕” “부귀강녕” 등의 말들이 대표적으로 상대방과 자 기 자신의 안녕을 기원하였다. 이렇듯 강녕(康寧)은 우리나라의 복(福)을 상징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한국의 고유한 정서라고 생각된다.

한국 고유의 정서가 반영된 강녕(康寧)의 의미를 지닌 주얼리를 브랜드에 적용해 보면 어떠할까? 현재 한국에는 많은 수입품이 패션 업계와 주얼리 업계를 장악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의 숨결이 베어있는 디자인은 식상한 문화상품이나 관광상품으로 응용 되어진 것들이 많아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또한 공방이나 샵에서 제작 되어진 제품들은 특정한 계층에서 소유할 수 있는 고가품들이 대부분으로 일반 소비자에게는 자리잡기 힘든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현대 한국인들에게 우리의 우수성을 먼저 알리고 한국의 경쟁력을 지켜나가기 위해서는 일반 소비자에게도 부흥할 수 있는 브랜드 개발이 시급하다.

지금부터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여 세계화 시대에 국가 경쟁력을 갖추는 연구를 시작하고자 한다. 서구문물에 찌든 현대 한국인의 정신과 문화에 강녕(康寧)의 정서가 담긴 새로운 주얼리 브랜드 가능성을 제시해본다.

동시에 현대인의 감각과 감성에 맞춰 현대 의상에 어울리는 주얼리 브랜드를 개발한다. 또한 서양의 정서와 문화가 중심인 세계의 주얼리 시장에서 우리 한국 감성을 보여주는 디자인을 상품으로 제작하여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주얼리 브랜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과 방법

오늘날 소비자들은 제품의 구매를 통해 단순히 기능적 속성뿐만이 아닌 보다 상징적이고 자기표현적인 가치를 얻고자 한다. 이러한 소비환경의 변화는 제품과 가격을 중심으로 하는 구시대적 마케팅 활동에만 머무를 수 없게 하며 나아가 브랜드는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과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차별화된 핵심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브랜드 중심의 시장은 철저히 소비자와의 관계를 중시하는 새로운 시장이다. 전 세계적으로 한 해에 수만 개의 새로운 브랜드가 등장하고

(9)

있다. 급변하는 현대 시장구조 속에서 제품의 기능적 품질만으로는 소비자를 사로잡을 수 없으며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소비자의 감성과 상징적 욕구를 채울 수 있는 브랜드가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옛 선조들의 정서가 담겨진 강녕의 의미를 지닌 주얼리 브랜드로 현대인들의 감성과 상징적 욕구를 채우고자 한다.

우선 한국 전통 사회에 강녕이 어떻게 형성될 수 밖에 없었는지 살펴보고 사례들을 제시하여 본다. 아울러 강녕의 의미를 지닌 주얼리 브랜드가 현대에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도 연구해 주얼리 브랜드의 가능성을 모색하도록 한다.

브랜드 개발에 있어 브랜드 개발 관련 마케팅 도서, 신문, 전문 잡지, 인터넷 사이트, 논문자료들을 참고하였다.

강녕의 의미를 지닌 새로운 주얼리 브랜드는 현대적인 세련미와 우아함, 대중성을 고려하여 20~30 대 여성 소비자가 쉽게 이해하고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브랜드를 기본으로 한다.

또한 소비자의 생활양식을 분석하고 트랜드와 시장 분석을 토대로 브랜드 컨셉, 위치설정, 목표고객 설정, 네이밍, 로고, 디자인으로 상품개발을 하였다. 강녕의 제품으로는 석류와 천도를 모티브로 사용하여 강녕에 내재된 편안함을 강조한 미적 아름다움과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고 한국적인 색을 배치 하여 감각적으로 현대화시켜 시제품을 제시한다.

오늘날 현대 여성들이 강녕을 통하여 우리 문화 정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주얼리 제품을 선보일 것이다. 더불어 착용자에게 미적인 요소뿐만 아닌 강녕이 느껴 질 수 있는 심리적 안정감을 전달하고자 한다.

(10)

II. II.

II. II. 강녕 강녕 강녕 강녕((((康寧 康寧 康寧))))의 康寧 의 의 이해 의 이해 이해 이해

강녕 강녕 강녕 강녕((((康寧 康寧 康寧 康寧)))) - - 몸이 - - 몸이 몸이 몸이 건강하고 건강하고 건강하고 건강하고 마음 마음이 마음 마음 이 이 이 편안 편안 편안 편안 할 할 할 할 것을 것을 것을 것을 의미 의미 의미 의미

1. 한국 전통 배경

우리의 옛 선조들은 어떻게 마음을 다스렸는지 살펴보겠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 인류 는 자신들의 삶의 경험을 통 해 자연 속에 신(神)적인 무엇 인가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한국은 전통적인 농경사회로 모든 식생활을 의존하였기에 풍년을 기원하였다. 이러한 풍 년의 기원은 자연에서 비롯되 는 것으로 여겨져 모든 것이 경외, 두려움의 대상이어서 천둥이 치면 하늘 이 노한 것으로 생각했고, 비가 많이 오거나, 가뭄이 드는 것도 신의 분노 로 생각했다. 엄청난 자연의 위력 앞에서 자신들의 능력이 한계에 부딪힐 때마다 자연의 신비와 그 속에 담긴 절대적인 힘을 느꼈을 것이라고 생각 된다.

이처럼 인류의 지혜가 아직 깨지 못한 상태에서는 많은 자연 현상들이 이 해할 수 없는 존재였고, 따라서 두려움의 대상으로 보인 것은 당연한 일이 다. 더구나 일찍이 큰 강 주변에 모여 살면서 문명의 싹을 틔운 한국의 경 우는 자연환경에 많은 부분을 맡길 수 밖에 없던 농경 중심의 상황에서 자 연의 변화는 엄청난 영향력을 가진 존재로 보였을 것이다.

이런 경험은 자연히 비와 바람을 내는 하늘을 정점으로 삼아 자연에 초월 적이며 절대적인 무엇인가가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하였다. 그러한 우리 고 대 조상들의 생각을 잘 나타낸 대표적 신화인 단군신화를 통해서도 조상들

(11)

이 태양 숭배, 산악 숭배, 호랑이 토템(Totem)2)이나 곰 토템 같은 종교적 믿음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의 선조들은 만물 모두에 신(神)적인 존재가 있다고 생각하여 다양한 제사 양식을 성립시켰다. 그리하여 자연의 정점인 하늘에 제사 지내는 천 제뿐 아니라 토지신에 제사 지내는 사직제, 산에 지내는 산제 등 다양한 모습의 제사가 자리잡았다. 이러한 자연 숭배는 우리나라에게는 가장 보편 적인 일이었다. 그 밖에도 한 해의 농사 시작을 알리는 선농단의 제사나 서울근교, 지방에서 지내는 전통 문화의 지역축제들도 모두 여기에 속하며, 이런 제사들과 축제들은 모두 자연 숭배 양식이었다.

이처럼 우리 문화의 많은 제사와 지역 축제들은 자연이 가지고 있는 신성 한 무엇에 대한 숭배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건강과 복(福)을 바라는 생 각이 그 속에 깔려 있다.

또한 자연을 생명력이 없는 죽은 존재가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존재로 봄 으로써 생명의 존중이라는 차원에서 자연을 높이고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 나며, 그 결과 자연을 단순한 이용대상이나 극복대상으로서가 아니라 내 생명과 하나로 연결된 유기체로 이해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과거 우리 조상들이 풀이나 나무 한 포기까지도 소홀히 보지 않았던 행동 속에는 위에서 본 자연관이 담겨 있는 것이다. 집을 지을 때에도 주변자연

과의 조화를 먼저 생각하였고 자연 을 인간의 방식대로 바꾸는 것이 아 니라 인간의 삶을 자연의 방식에 맞 추려 했던 것이다.

태초의 시대에 자연에 대한 경외, 바로 그것으로부터 시작한 제례의식 은 지금에 이르러 나를 있게 하는 자연과 조상에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우리 민족의 의식 저변에서 우리를 이끌어 가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의식은 자연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 하고 생업활동의 안전, 풍요, 다산 등을 기원하고자 하는 마음을 종교적인 신앙심으로 표현하여 자연물과 동식물, 인공물 등을 신격화, 형상화해 숭배

2) 신성하게 여기는 특정한 동식물 또는 자연물, 사회집단의 상징물이 되기도 한다.

(12)

의 대상으로 삼은 것을 알 수 있다.

자연관은 또한 하늘과 땅, 그리고 사람이 하나라는 우리 민족의 뿌리 깊 은 사고 방식에도 연관이 있다. 하늘은 인간의 지성으로서 상호교감이 될 수 있는 대상이며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친화력을 지닌 존재였다. 그러므 로 가장 한국적인 보편사상인 ‘하늘이 곧 인간이요, 인간이 곧 하늘이다’라 는 인내천 사상을 낳았던 것이다. 이런 사상은 우리 민족 고유의 것이었다.

인내천 사상은 인간의 존엄성을 하늘과 관련시켜 생각해 오던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사상인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천인합일(天人合一)은 天과 人이 원래 합체되어 하나인 것이다. 이러 한 천인합일은 자연의 천을 인간의 도덕적 요구에 의해 천(天)자체에 인간 의 도덕성을 부여하는 천의 도덕적 의미화 현상에 이르러서는 천인합덕 (天人合德) 이라는 개념을 창출하게 된다.

공자는 천(天)에 대해 이렇게 나타냈다.

천(天)은 밝고 기만을 못하며 상벌을 내린다. 또한 사람은 천의 지배를 받 으며 천을 지배하지 못한다고 명백히 인식하고 있다. 곧 사람은 천이 내린 존재로서 그 근원을 천과 같이 하고 있다는 이치다. 따라서 사람은 천의 법칙에 따르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인간의 도덕성과 윤리성 회복에 대한 염 원으로 하늘을 섬겨 왔다.3)

이것은 우리나라의 전통의 천인합덕(天人合德)과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통하여 천지 자연에 신성함이 부여되고 그 속에서 자신의 건강과 행복을 찾으려는 인간의 노력이 엿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내천 사상은 경 천사상에서도 볼 수 있다. 경천사상(敬天思想)은 하늘을 숭배하는 사상으로 우리 민족의 원시 무속신앙, 건국신화, 제천행사, 그리고 일상생활의 풍습 속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부여의 영고, 도예의 무천 등과 같은 제천 행사는, 생명의 근원으로 여겨 졌던 하늘에 대한 제사를 지내기 위한 것이었다. 제천 행사는 오늘날에 '굿 '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이것은 무당이 햇빛인 하늘을 받아들여 땅과 하늘

3) 박원철『한국 전통 사상을 통한 컨텐츠 디자인의 방향성 고찰』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06

(13)

의 교합을 추구하는 의식이었다. 또한 오늘날 마을 입구에 세워져 있는 천 하 대장군도 하늘에 대한 제사를 통해서 하늘과 인간과의 만남을 주선하였 던 경천 사상의 한 예이다.

현재 우리 민족의 일상적인 삶 속에 스며들어 있는 하늘에 대한 경외도 경천 사상의 한 예라고 볼 수 있다.

우리는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잘못된 일을 저지른 사람을 가리켜서 '천벌 을 받을 사람'이라고 표현한다. 천벌이란 곧 하늘이 내리는 벌임과 동시에 우리 민족이 가장 두려워하는 근원적인 처벌이 하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 음을 의미한다. 또한 '하늘이 무섭지도 않은가'라는 표현 등은 인간이 인간 답지 못한 행동을 하였을 때, 그 죄의식이나 두려움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 러한 우리 민족의 경천 사상은 하늘을 도덕적인 양심의 원천으로 여김으로 써, 끊임없는 자기 반성을 통해 도덕적 삶을 영위해 나가려는 하나의 생활 철학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또한 하늘이라는 자연의 가치를 인정하 면서 동시에 인간과 땅과의 교감을 통하여, 하늘과 땅과 인간의 조화를 추 구하는 우리 민족의 경천 사상은 오늘날 환경 위기 극복을 위한 철학적 근 거가 되고 있다.4)

이렇듯, 강녕이 내재된 뿌리는 무속적인 자연관과 인내천, 경천 사상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강녕의 정서는 자연에서 신성을 읽던 아름다운 마음을 엿볼 수 있는 것에서 비롯 되어진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건국 신화로부 터도 우리의 일상 생활 속에서 하늘과 인간과의 교감이나 하늘에 대한 두 려움과 경외가 뿌리 깊게 내재해 있다.

하늘에 올리는 제사나 축제들은 선조들이 현재의 문제들에 직면하고 미래 에 대한 불안을 잠재우는 방편들로 만들어 졌다고 생각 되어진다. 또한 자 신들의 마음이 편안하기 위한 수단으로 평안과 행복을 인생 최고의 목표로 삼고 이성적, 정신적인 만족을 추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이 우리가 평안하고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었던 선조들의 삶을 원리 였다고 생각된다. 즉 강녕이 항상 내재되어 있는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고 흐믓한 상태에서 복이 들어온다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진정한 강녕은 걱정이나 탈이 없고 한없이 평화가 넘치며 강하고

4)http://home.cein.or.kr/~kupkika

(14)

담대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희망사항 그 이상이었다. 오늘날 많은 자연이 개발이라는 이름 아래 훼손된 것과 비교하면 자연과 하늘에서 신성을 읽던 선조들의 마음가짐은 현재에도 유용한 관점으로 보여진다.

2. 강녕의 의미를 지닌 사례

① 노리개

여성의 몸치장으로 한복 저고리의 고름이나 치마허리 등에 다는 패물이다.

궁중과 상류층으로부터 평민, 노년층과 어린아이에 이르기까지 널리 애용되었으며 계절, 용도, 목적에 따라 노리개의 재료, 크기, 형태가 다양했다.

<그림 1> 호랑이발톱 노리개 <그림 2> 향갑 노리개

노리개의 구성은 띠돈과 노리개의 주가 되는 장식물인 주체(主體)5)와 주체를 걸고 있는 매듭과 장식 술,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끈목이 있다.

이러한 노리개는 우리 한복의 악센트와 같은 역할로 색과 선, 그리고 재료의 미를 한층 돋보이게 해주며, 그 아름다움을 통해 선조들의 미적 감각을 발견할 수 있게 하여준다. 또한 주체에는 다양한 형태와 문양을 담아 착용함으로써 가정의 행복과 소원을 빌기도 하며 마음을 다스리는 옛

5) 주체(主體)-금은이나 옥 혹은 각종 보석으로 만든 장식물을 말한다. 노리개에서 핵심이 되 는 부분인 주체는 갖가지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노리개의 이름 역시 주체의 형태나 재료에 따라 결정된다. 김은자『노리개 활용을 통한 전통 미술지도 』경인교육대학교 2004

(15)

여인들의 지혜와 소망이 두루 담겨져 있다. 여인들의 염원이 담겨진 노리개는 노리개의 주체 형태에서 보여진다. 노리개의 주체는 금, 은, 보석 등 귀한 재료를 써서 갖가지 형상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주체의 형상에 따라 조선시대 여인들은 액을 막는 노리개, 소원성취 노리개, 종교적 의미를 지닌 불로 장생 노리개, 현모양처의 부덕을 강조하는 노리개로 소망과 의미를 부여하였다.

노리개의 형상으로는 자연에서 얻은 형태와 생활주변에서 얻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자연에서 얻은 형태로는 동물형과 식물형이 있는데 동물형으로 동자, 편복(박쥐), 오리, 매미, 해태 등이 있고, 식물형으로는 가지, 고추, 포도송이, 천도, 석류, 연화 등이 있다. 생활주변에서 얻은 형태로는 호리병, 주머니, 표주박, 북, 안경집, 도끼, 버선 등이 있다.

노리개들은 외형상 섬세하고 호화로우며 다채, 다양할뿐더러 그 정신적인 배경에는 부귀다남, 불로장생 등 그 시대의 행복관을 바탕으로 염원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강한 정신성이 조형미와 진귀성을 더욱 윤색하여 우리 민족의 심금에 합치되는 고유한 특색을 이룩한 것으로 보여진다.

알뜰한 삶의 슬기와 격조 높은 옛 여인들의 심미안에 아기자기한 그녀들의 심리묘사까지 곁들인 것이 바로 그녀들이 맺고, 엮고, 수를 놓아 몸에 지녀 사랑하고 대를 물려 전해 주며 살뜰히도 아끼던 장신구가 아니었던가 한다. 하늘에 있는 해와 달, 별, 구름, 산, 바위, 사람 갖은 새, 짐승, 꽃, 곤충, 나무 열매 심지어는 이름모를 풀꽃에 이르기까지 그녀들의 눈길이 스치지 않은 것이 없었다. 대자연의 품에 안겨 살면서 그 속에서 공존하는 모든 것에 사랑을 주고 그것들을 소재로 형태문양 색채 구성 등 무궁무진한 표현방법으로 조상들이 살아온 발자취를 부각시켜 주고 천지와 통하는 듯한 조바심 없고 느긋한 정서의 평안이 충분히 느껴진다.

② 장석

장석이란 금속, 나무, 종이, 돌 등의 각종 공예품의 제작에 있어서 기능과

(16)

장식의 목적으로 부착된 금속제 장식을 통틀어 말한다.6) 문을 여닫는 경첩, 들어올리거나 당기는 들쇠, 손잡이 역할의 고리, 자물쇠 등의 특징적인 기 능과 감잡이와 귀잡이, 통귀삼 등과 같은 이음새와 짜임새 부분에 대한 역 학적인 보강이 장석에서 주어진 본연의 역할이다.

장석은 목각의 기능적인 보강 목적과 장식적인 효과를 유도하고 있어 단순, 소박하면서도 깊은 생활 철학이 담겨 있다.

우리나라에서 금속을 장식 용구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상당히 오래 되 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상고시대 유물이 거의 없어 확정 짓기는 곤란하다.

그러나 철기시대 이후 여러가지 금속재료와 제조기술과 가공법이 발달되면 서 각종 기물 및 생활 용품이 제작되었으므로 여기에 자연히 보강 목적이 나 특정한 기능을 지닌 금속재 장식이 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예로 부여 부소산성 성문지에서 발견된 괴불형 자물쇠는 백제에서 제작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통일신라 초기에 안압지에서 출토된 유명동제 자물쇠와 부도에 양각되어 있는 자물쇠 형상들에서는 장석의 기원을 더듬 어 볼 수 있다.

이 시대의 장석은 금속공예 기술이 발달한 중국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 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의 분묘에서도 목관 장식이나 금속제품, 목공예품 에 부착된 장석들이 출토되었으며 이들을 통해 고려시대에도 장석은 널리 목공예품에 사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귀족 중심의 고려시대와 달리 조선시대의 장석을 대중적이었다는 이유로 아직까지 많은 수가 현존하고 있다. 서민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고유의 미 감을 지닌 민예품이 장인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특히 영.정조의 문예 중흥 정책 아래 공예문화가 꽃을 피우게 되자 서민적인 미감과 감성이 그대로 노출된 다양한 형태의 가구 및 문방구류가 만들어졌다.7)

장석은 목공예품의 한 부분에 불과한 듯 보이지만 가구 전체의 조형미에 있어 조형적 완성도를 이루는 데에 큰 몫을 하고 있다. 동시에 가구에 부 착된 장석들의 다양한 장식 문양 속에서 당시의 사상과 생활, 감성을 읽을 수 있다.

시대와 사용계층에 따라 철, 주석, 백동 소재의 장석이 만들어졌으며 장,

6) 이성민 『실내장식 도벽에 관한 연구-장석, 조각보 응용』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3

7) 이지윤 『조선시대 목가구의 장석형태를 응용한 금속작품 연구』대구카톨릭대학교 2006

(17)

농, 반닫이, 문갑, 경대, 함 등에 장식되었다.

<그림 3> 연밥형과 칠보형 <그림 4> 화조형

쓰임새에 따라 각기 다르게 택하여진 목재의 색감과 무늬결의 미감은 소박 한 자연의 미를 소중히 여겼던 선조들에 의해 조형적으로 고안되었고, 금 속제 장석들은 가구의 형태와 용도에 따라 모양과 문양이 적절히 표현되어 전체 의장을 더욱 품격 있는 조화로 이끌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장석의 형태와 그 안에 표현된 내용들은 상당히 다양하여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려는 태도와 자연의 관찰에서 오는 직관의 세계가 일상 생활과 연결 지어 그 의미를 부여하였을 것이다. 장식과 보호 역할 외에 장석의 형태와 문양이 시대적 사상과 생활감정이 담겨 있어 그 의의가 크다.

장석에서 나타난 문양의 형태는 자연형에서 따온 것과 문자형에서 발전시 킨 기하학적인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렇듯 장석의 형태와 문양에서도 대중적인 바램인 번영, 부귀, 다산, 수복, 행복 등의 강녕의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③ 떡살

떡의 문양을 찍는 도구이다. 고려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떡 살은 누르는 면에 음각 혹은 양각의 문양이 있어서 절편에 찍으면 문양이 아름답게 남는다.

선사시대의 고분에서 떡시루가 출토되었던 점으로 보아 상당히 옛적부터

(18)

떡이라는 음식을 사용했던 것 같고,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걸로 판단 되어진다.

떡은 단순히 기호품의 형태로 시작 되었기 보다 농경사회에서 행해졌던 영고, 무천, 동맹 등의 제천의식에서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어 하늘에 바친 데서 더 깊은 의미를 찾아 볼 수 있다.

세시와 절기에 따라 또는 관혼상제 등의 사례와 갖가지 향토의식, 종교의 식 심지어는 무당들의 한마당 굿과 살풀이에서까지 상하귀천의 계급을 뛰 어넘었다. 의례히 떡이 빠지면 의식이 경건과 엄숙성 뿐 아니라 흥이 나질 않았기 때문에 떡과 떡살의 구실은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옛부터 떡에 무늬를 찍는 것은 “살 박는다”라고 일컬어 왔으며, 떡에 살을 부여한다는 뜻이다. ‘살’이라는 말은 골간을 의미한다. ‘떡살’이라고 할 때는 곡물로 만든 흰 떡에 어떤 의미를 지닌 문양을 놓아 그 골격을 형성한다는 의미에서 ‘떡살’이라고 부른 모양이다.

떡살은 날마다 사용된 일용품은 아니었지만, 신께 풍요를 기원하거나 조 상에게 제사를 드릴 때, 잔치에는 빠지지 않는 떡과 관련된 것으로 이때 소중한 생활도구로써 등장하는 것이다. 떡살 무늬는 인간의 소망과 기구에 직결되는 내용을 지니며 무늬가 담고 있는 강한 기원적인 요소가 있다.8)

<그림 5> 국화 무늬 <그림 6> 배꽃 무늬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떡살무늬를 통해 드러나는 다양함과 그 밑에 면면 히 이어져오는 자연을 사랑하고 그 자연에서 체득한 아름다움을 응용시키 는 민족적 심미성과 그 속을 흐르는 역사성이다.

일상에서 사용하는 생활도구들이 비교적 간결한 형태를 가진 반면에 그 간

8) 정혜진『떡살 문양을 응용한 도제 접시 연구』진주교육대학교 2000

(19)

결함을 무의미한 채 두지 않고, 무늬를 새겨 변화를 시도하기를 좋아하는 것이 우리 조상들의 마음씨였다. 우리나라는 예부터 농경사회였기 때문에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자연의 모든 현상을 살아내야 했으므로 철저한 자연 숭배사상을 지니고 있다. 떡살을 통해 나타난 우리민족의 의식구조는 다신 관이어서 모든 사물에 신이 있고 그 신을 따르기 위해 자연을 모방하고 그 법칙을 도안화해서 어떤 주술적이고 신적인 힘을 얻으며 보호 받으려 했다.

거기에 수, 복, 부, 귀의 염원이 더해진 것이다. 그러므로 떡에 여러가지 문양을 넣은 것은 단순한 외형의 미관만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었으며 떡살의 다양한 문양과 곁들여 이들의 염원이 담겨져 있다.

이렇든 문양은 당 시대 사람들의 의식 표현과 함께 생활감정의 표현이기 도 하다. 따라서 고사, 경축, 연중행사 등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수복대길 을 비는 마음을 담아서 신성한 떡에 찍은 떡살문양은 조선시대 사람들의 소망이 잘 표현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생활의 사소한 것 하나에도 의미를 부여하고 치장하기를 즐기던 우리 문 화의 상징성을 보여주는 떡살 또한 선조들의 격조 있던 문화이며 강녕의 정서를 잘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④ 강녕의 의미를 지닌 현대 상품의 응용 사례

한국인의 정서가 잘 반영된 강녕 의미의 상품은 주로 문양을 현대화한 상 품들이 많았다.

문양의 범위는 매우 광범위한 가운데 그 의미를 함축시켜 이미지를 형상화 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문양의 정의를 말한다면 한 민족 문화의 소 산으로서 각 시대 대중들의 생활풍습이나 정서를 상징적으로 표현된다.

자연물, 동물문, 식물문, 기하학문, 문자문 등에 문양들은 사상적 배경이 변화되면서 주술적 의미가 부여되고 형태의 다양화를 이루면서 차츰 선조 들의 장식적 기능으로도 부각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문양은 생활 미술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지만 단순히 감상의 대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욕망과 기원을 담은 주술적 대상 으로 또는 그런 정서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매개체 구실을 하고 있는 조형 물이라고 할 수 있다.

(20)

이러한 전통 문양들은 현재 많은 부분에서 활용 되어지고 현대적으로 재해 석 된다. 이를테면 한복, 접시, 명함꽂이, 조명 등이 현대인의 감성에 맞게 새로운 감각으로 표현된다.

<그림 7>이노 태극문양 시리즈

최근에는 산업 디자인 분야에도 한국 전통디자인을 활용한 제품이 늘어나 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디자이너 중 한명 인 김영세 이노 디자이너는 전통문 양 중 태극을 소재로 한 제품을 현대적으로 재창조하여 세계 무대에 활발 하게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태극문양은 음양화합을 통한 풍년과 다산의 상징으로 새로운 이미 지로 형상화시켜 현대의 미의식과 개성미를 반영할 수 있는 제품화 작업이 장신구를 비롯 지갑, 만년필 등 여러 제품에 활용하였다.

또한 세계가 공감할 수 있는 제품을 선보임으로서 2004년 당대 최고 디자 이너의 아이디어만을 엄선, 작품을 제작하는 미국 디자인메이커 ‘애크미’에 태극문양 제품을 선보였다. 이것은 우리의 문양이 세계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우수성과 잠재력을 보여준 사례라고 생각된다.

태극 문양의 아름다움을 소재로 현대화하였지만 한국 전통 고유의 의식을 살릴 수 있는 제품으로서 강녕의 의미를 찾아 볼 수 있다.

(21)

<그림 8> 최복호 디자이너 의상

최복호 디자이너의 작품은 전통문양을 현대적으로 패션에 활용한 사례이 다.

한국적이고 동양적인 민족성 색채의 모티브에서 출발한다. 조금 더 깊숙이 보면 불교적인 깨달음이나 주술적인 샤머니즘이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한국의 정서를 명확히 볼 수 있는 사례이다.

<그림 9> 완자 가죽 명함집(좌), 당초문 지칼 세트(우)

문화상품인 완자 가죽 명함집은 신분이 높은 사대부 집의 창살이나 가구 등에 표현한 "완자문"을 응용한 것으로 "수명장수"와 "복된 삶"을 소망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당초문을 활용한 지칼 세트도 역시 덩굴식물의 모양으 로 강한 삶과 끈기를 상징하며 생명불사, 즉 장수를 기원하는 것으로 덩굴 처럼 길게 장수하라는 의미로 제작되어졌다고 한다.

이러한 것들은 단순히 문양의 아름다움을 근간으로 시작되었지만 그 디자 인 속에는 우리 선조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는 행복, 부귀, 장수, 복을 기

(22)

원했던 강녕의 마음을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전통 문양으로 디자 인 된 상품들의 옷을 입음으로서 복을 얻을 수 있고 접시를 사용함으로서 풍요를 얻을 수 있는 강녕으로, 심리적 안정감과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

3. 강녕의 의미를 지닌 문양

인간의 생명유지의 식생활이 조수어패류를 주식으로 하는 시대가 가고 농 경문화가 도래하면서 식물이 주식이 되면서 그 가치가 더욱 중요한 소망의 대상으로 되었다. 이와 함께 식물숭배사상이 농경문화와 함께 발생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식물은 자연변화에 민감하게 작용하고 자연현상에 절대적인 지배를 받는 다. 따라서 초인적인 지배 즉 초자연의 절대자의 존재를 의식하게 된다.

이러한 절대자인 신이나 혹은 정령 및 악령 등이 자연물에 깃들고 인간의 생활에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고 생각하면서 자연숭배사상이 발달하 게 되고 그 사상을 반영하고 그것을 소망하는 주술적인 조형이 결국 회화 나 공예 및 생활 저변에 식물문양으로 발생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식물문양 중에서도 그 문양의 생성배경이 인간 본연의 염원인 행복과 부 귀영화를 상징하는데 대표적으로 인생 최대 행복을 기원한 삼다 식물을 설 명해 보고자 한다. ‘삼다(三多)’라 하는 것은 다남(多男)(아들을 많이 낳는 바람), 다복(多福)(복을 많이 받길 바람), 다수(多壽)(장수하길 바람)를 이르 는 것으로 인생의 최대의 행복을 상징한다. 화의 국경을 지키는 봉인이 요 임금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축원하였다. ‘성인으로 하여금 부유하게 하시고, 성인으로 하여금 장수하게 하시고 성인으로 하여금 아들을 많이 낳게 하십 시오’ 이 세가지 축원은 복을 많이 받고, 오래오래 살면서, 또한 아들을 많 이 두기를 축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에 연유하여 조상들의 최대 행복은 삼다(三多)를 기원하였다고 볼 수 있다.

삼다로 칭하여 최고의 즐거움을 바라는 식물은 천도와 석류에서 그 의미 가 전해진다.

(23)

① 천도

복숭아는 천도라 불리어지는데, ‘서왕모의 복숭아’라고 불리어지기도 하였다. 즉, 전설적인 곤륜산에 살고 있는 서왕모가 가꾼다는 천도는 삼천년 만에 한 번 꽃이 피 고 삼천년 만에 열매를 맺는다고 한다. 전설적인 인물 삼천갑자 동방삭이는 서왕모가 가꾼다는 천도를 훔쳐 먹고 오랫동안 살았 다고 전한다.

또한 <시경>9)에서는 또 ‘모과’라는 아름다운 시가 있다. “큰 복숭아를 받았 으니, 나는 경요(瓊瑤)로 보답하리. 보답으로 부족하지만, 영원히 잘 지내 고 싶어.” 이는 남녀 사이에 선물을 주고받으며 애정을 표시하는 장면이다.

시에서 알 수 있듯이 고대에 비교적 귀한 과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이고 가던 물동이에 복숭아가 떨어지는 꿈이나 치마 폭 에 복숭아를 받는 꿈은 귀한 아들을 얻을 길한 태몽으로 자손을 의미하였 다. 이것은 복숭아가 씨앗이 들어 있으므로 자손을 연상한다 하였다.

이와 같은 복숭아의 의미들이 있지만 또 하나의 의미는 ‘벽사’이다. 겨울 의 얼음을 보관할 때 빙실 입구에 복숭아나무 활과 가시나무 화살을 걸어 놓아 사악함을 내쫒았다. 선조들은 추위가 더위로 변할 때 온갖 병과 전염 병이 창궐하는 것을 보고, 이때 액이 많다고 생각하였다. 마찬가지로 얼음 이 풀릴 때를 염려하여 액막이를 해야 했던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전 통적으로 복숭아를 대문에 걸어두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또한 복숭아 나무를 두려워하는 귀신 이야기 가운데 동진의 대조가 지은

<견이문>은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

하후문규라는 사람은 죽은 후 형체를 드러내고 집에 돌아왔는데, 마당 앞 의 복숭아나무를 보고 말하였다. “이 나무는 내가 예전에 심었는데 열매가 참 좋구나.” 그 말을 들은 부인이 물었다. “사람들은 죽은 자는 복숭아나무 를 무서워한다는데 당신은 어찌하여 무서워 않는가요?” 이에 하후문규는

“동남쪽으로 뻗은 가지 가운데 두 자 여덟 치 길이로 태양을 향해 뻗은 가 지만을 무서워한다오.”라 대답하였다. 복숭아나무에 왜 태양을 향해 뻗은

9) 시경-춘추 시대의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모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 된 시집

(24)

두 자 여덟 치 되는 가지만 두려워하는지 알 수 없지만, 당시 사람들이 복 숭아나무에 부여한 관념은 뚜렷하다.

조선 시대에 “동도지10)를 잡고 동경하면 환자의 병이 낫는다”는 풍속이 있 는데, ‘동도지’는 하후문규가 말한 동남쪽으로 뻗은 가지로 보인다.11)

귀신은 복숭아나무를 두려워한다는 관점에서 복숭아를 제사상에 올리지 않는 것은 복숭아가 차려져 있으면 조상의 혼령들이 강림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림 10> 청자복숭아 연적 <그림 11> 복숭아 자수(베게)

<그림 12> 선도도 <그림 13> 복숭아형 12지신상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복숭아에 대한 이야기들은 조상들이 복숭아가 장수와 불로장생, 벽사를 뜻한다고 생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베겟모에는 복숭 아 문양의 자수를 수놓아 자손과 관련된 의미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복숭아는 최대의 복이라 생각하여 연적이나 실패, 부작으로 사용 된 12지신상은 복숭아 모양을 사용하였고 옛 여인들의 장신구인 노리개에 서는 복숭아 형태를 달고 다녀 강녕의 마음을 지니고 다닌 사례로 분석된

10) 동도지-동쪽으로 뻗은 복숭아 나무의 가지, 술가에서 귀신을 쫒을 때 쓴다.

11) 중국어 전공 교수. 열린사이버대학교 서성, 오마이뉴스

(25)

다.

② 석류

석류문은 연화 머리초에서 속칭 ’석류동’ 이라 한다. 이 것은 석류와 항아리를 뜻하는 동(垌)자가 합쳐진 말로서, 석류 외에 어김없이 항아리가 결합되어 있는 문양을 총 칭해 ‘석류동’이라 부르게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석류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다산과 자손의 번영을 상징 한다.

중국 한나라 무제 때, 장건이 서역으로 나아가 황하의 근원지를 찾아 보 고 돌아오는 길에 안석국에 들러 석류를 가져왔다고 전한다. 이와 관련해 서진의 장화가 쓴 『박물지』에는 “사신 장건이 서역에서 돌아올 때 안석 류(安石榴), 호도, 포도의 종자를 얻어 가지고 와서 그것을 심었다.”는 기 록이 있다. 여기에서 안석은 지금의 이란 지역을 말한다. 따라서 한자로 안 석류(安石榴)는 이란에서 온 석류라는 뜻이다.

석류와 관련된 중국의 옛 문양 가운데 ‘유개백자’라는 도안이 있는데, 이 는 자식, 특히 아들을 많이 낳을 것을 축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당 나라 학자인 이연수가 편찬한 『북사(北史)』제56권 「위수전」에는 다음 과 같은 기록이 실려 있다.

제의 안덕왕 연종이 조군 이조수의 딸을 맞아들여 왕비로 삼았다. 후에 황제가 이택안을 총애하자 왕비의 어머니 송씨가 석류 두 개를 황제에게 바쳤는데, 여러 사람에게 물어도 그 뜻을 알지 못하자 황제는 그만 던져버 리고 말았다. 이조수가 아뢰기를 “석류는 자방 속에 알갱이가 많습니다. 왕 께서 새로 혼인하셨기에 왕비의 어머니가 그 자손이 만기를 바라는 마음에 서 바친 것입니다.”하였다. (그 뜻을 깨달은)황제는 크게 기뻐하여 이조수 를 경(卿)의 반열에 오르게 하고, 게다가 아름다운 비단 두 필을 하사하였 다.

이와 같은 고사의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석류는 이미 오래 전부터 다 산(多産)을 바라는 기복의 의미로 상징되었다.

(26)

한편 우리 나라에서는 중국의 명칭을 그대로 받아들여 석류라 부르게 되었 다. 조선 세조 때의 뛰어난 화가이자 문신인 강희안이 지은 원예관련 책

『양화소록』에는 석류를 화목 9품 중 제 3품에 속하는 것으로 기록하였 다.

이는 석류가 그 이전부터 재배되었으며 중요하게 여겨진 과수임을 확인할 수 있는 기사이다. 상기하였듯이 석류가 다산을 상징하게 된 이유는 속에 많은 씨가 들어 있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특히 전통 혼례용 활옷이나 원삼 에는 주로 석류, 포도, 동자 문양을 장식하는데, 이는 열매가 많이 맺히는 것처럼 자손, 특히 아들을 많이 낳으라는 염원을 담은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여인네의 비녀머리 가운데 석류 모양을 조형한 석류잠이 크 게 유행하였다. 또한 문갑이나 장롱, 도자기 등의 장식 문양으로도 애용되 었고, 사군자 다음으로 각광 받는 그림의 소재이기도 했다.

한편, 또 다른 의미로 석류는 불교의 상징적인 열매로 수용된다. 그 까닭 은 역시 생명 잉태와 관련된 설화에서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야차신의 딸인 귀자모신은 천명이나 되는 아이를 낳았지만 사람 고기를 좋아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아이를 잡아 먹었다. 부처님은 다시는 그러 지 못하도록 사람 고기와 같은 맛인 석류를 주었다고 한다.

이는 부처님이 야차녀에게 구아의 힘을 부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13)

<그림 14>석류도 <그림 15>석류 장석

이처럼 석류는 불교에서도 생명 잉태와 자손번영의 의미를 상징하였다.

13) 곽동해(2002),『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27)

우리나라는 농경문화로 자식이 많다는 것은 부를 늘리는 확실한 방법이었 기 때문에 자손번영의 의미도 있지만 돈을 담아온다는 뜻으로 복을 부르는 것으로 여겨졌다.

석류 그림은 병풍으로 꾸며서 새댁의 안방에 치거나 다락문에 붙이기도 하 고 젊은 며느리의 눈에 잘 뜨이는 화초담에 그려서 치장했으며 서재를 그 린 서가도에서도 반드시 두 개를 쌍으로 탐스럽게 그려 넣었다. 그뿐만 아 니라 혼례복을 비롯하여 혼수, 침구, 가구 장식, 능화판, 도자기 등에 많이 쓰여 왔고 단청에서도 볼 수 있다.

한편 재액을 막아준다고 하여 부녀자들의 손길이 잘 닿는 장독대 옆에다 석류나무를 심기도 했다. 붉은색에는 귀신을 제압하는 능력이 있다고 믿었 던 조상에게 꽃, 열매, 씨 껍질 모두가 붉은 석류는 그야말로 집안을 보호 하는 수호신의 의미를 지녔다고 생각한다.

이처럼 천도와 석류는 아름다움과 영화로움, 화려함 등을 상징하는 대표적 인 자연물로서 만인의 사랑을 받으며 생활 전반에 걸쳐 직접, 간접적으로 즐겨 애용되었다. 장수, 벽사, 부귀영화 등의 표시로 전달되는 매개물에서 부터 각종 생활도구와 공예품 등에 길상을 나타내는 존재로 나타남은 그 시대의 중요한 강녕문화로 표현된 예술 작품이었다.

4. 강녕의 의미를 지닌 주얼리 브랜드 개발 가능성

4.1) 현대에 응용 될 강녕의 의미

선조들의 강녕 문화인 장수, 부귀영화, 행복 등을 기원한 그들의 생활 속 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 역시 같은 기원을 갖고 살아가고 있다.

과거의 강녕 문화가 현대에 와서는 웰빙 문화라고 생각된다. 웰빙은 사전 적 의미로는 건강한, 건전한, 안락한, 고급스러운의 ‘well’과 삶의 ‘being’

을 합쳐 ‘안녕’, ‘행복’, ‘복리’로 규정하고 있다. 쉽게 풀이 하자면 삶의 질 을 높일 수 있는 모든 활동과 소비문화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웰빙의 정의는 행복, 삶의 만족, 질병이 없는 상태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

(28)

이다. 행복, 삶의 만족은 육체적 정신적 건강과의 조화를 뜻하며 질병이 없 는 상태는 건강한 생활 양식을 추구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웰빙이 정신적으로 균형을 누리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향유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강녕 문화와 닮아있다. 현대의 정서는 끊임없는 우 리 삶의 전반을 얼룩지게 하고 있다. 불안한 경제, 늘어나는 실업률, 그리 고 개인적인 삶의 위기, 이 모든 것들이 과도한 걱정과 미래에 대한 두려 움을 양산한다.

그래서 현대인들은 삭막하고 복잡한 도시에 따뜻하고 위로 받을 수 있는 명상과 테라피로 지친 영혼을 치유하며 자연을 동경한다. 과거 및 전통의 회상을 통해 일상의 삶을 시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며 여유와 낭만은 새로 운 미학으로 추구되며 웰빙에 민감하여 잘 먹고 잘사는 것에 대한 관심이 많다.

유연성, 평온함 등의 분위기를 현대 생활로 공유하고 자신의 주변을 새롭 게 바라보고 그 안에서 행복을 갖길 원하며 감정, 본능, 자연의 에너지, 원 초적 감각을 통해 삶의 균형을 재발견하려는 단순하고 상징적인 가치를 추 구하여 자신이 소중한 가치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렇듯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사회, 경제적인 스트레스가 지속되면서 웰 빙 트랜드가 계속 되고 있고 꾸준히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웰빙 에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 복제인간, 불치병의 치유가 현대인들에게 무병장 수에 대한 열풍이 불고 있는 것을 보면 고대사회나 현대사회나 인간의 소 원은 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소비 트랜드가 형성이 된다. 천연소재의 기능성을 지닌 친환경적 제품이나 자연을 모방한 형상이 나 장식을 지닌 제품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현대 웰빙에 연유되어 복숭아와 석류를 이용한 여자의 여심을 사로잡는 제 품들이 많이 등장하였다. 특히 석류는 여성에게 좋은 에스트로겐 함량이 많아 미녀가 석류를 좋아한다는 이미지를 식품업계에서 강하게 심어 주었 다. 그리하여 음료를 비롯하여 화장품, 식품업계 등에서 호황을 누리고 있 고 계속 성장세를 그칠 줄 모르고 있다.

이러한 복숭아와 석류의 등장은 장수, 행복 등의 의미로 주얼리 시장에서 도 여성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로 얻어질 수 있 다고 생각된다.

(29)

또한 주얼리를 착용하는 이로 하여 하나의 복이 되고 좋은 기운을 누릴 수 있는 제품이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다.

외국인들에게 형태적인 의미가 있음을 깨닫게 해 줌으로서 더욱 귀중히 생 각하게 될 것이며 우리 문화의 현주소를 동시에 홍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4.2) 전통을 소재로 한 현대화의 가능성

고리타분하였던 것으로 치부된 전통 소재는 중 장년층만이 아니라 젊은이 들에게도 모습을 드러내어 전통에 현대미를 담은 디자인이 뜨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전통을 활용한 인테리어나 화장품의 용기도 고급스러 움을 더하여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얼리 시장도 가 능성이 무한하다고 생각된다.

전통을 소재로 한 제품들이 활성화 된 사례를 앞서 살펴보았지만 소재에 대해 무작정 사용 되진 않았다.

이를 테면 전통 문양과 형태를 이용한 현대 디자인들은 표현의 방법과 형 태의 응용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의 효과를 보인다.

최복호 디자이너의 의상은 문양을 활용하면서 색채 등을 염두에 두고 배치 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노의 제품은 태극문양을 율동성, 반복, 대비, 비례를 고려한 제품으 로 모던하고 세련된 조형성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석류와 복숭아가 전통의 소재로 이용되는 만큼 우리의 감성이 담긴 색채의식을 사용하여 배치하고 그 특성에 따라 조형적인 제품을 선보여 재 창조되어 된다면 이와 같은 세계적인 제품이 될 수 있으리라 확신된다.

강녕에 나타난 의식을 전통디자인으로 재조명해보고 현대인의 정서를 채 울 수 있는 트랜드와 공유되어 브랜드의 가능성을 삼는다. 또한 독특하고 참신한 브랜드로 개발하여 상품의 가격이 합리적이며 젊은층에서도 쉽게 소유할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도록 소비자에게 인식시킨다.

이러한 것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브랜드의 개발은 한국 문화가 가질 수

(30)

있는 친근하고 새로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어 잠재성이 무한하다.

III. III.

III. III. 강녕의 강녕의 강녕의 강녕의 의미를 의미를 의미를 의미를 지닌 지닌 주얼리 지닌 지닌 주얼리 주얼리 주얼리 브랜드 브랜드 브랜드 브랜드 개발 개발 개발 개발

1. 브랜드 컨셉

물질 사회의 풍요로움 속에서 이제는 어떤 물건을 소비하는가가 그 사람 의 사회적 위치를 대변해주고 더 나아가 그 사람의 심리와 인격을 말해주 는 기호적 소비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처럼 상품이 갖는 이미지나 상징성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비언어적 커뮤 니케이션 매체로서 브랜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15)

때문에 브랜드 컨셉은 소비자들에게 보여지는 브랜드 이미지를 설정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브랜드 컨셉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소비자, 일 반대중의 욕구 파악이 전제되어야 한다.

컨셉은 단순히 제품의 보이는 특성이라는 개념을 넘어 새로운 주장, 제품 이나 서비스에 부여된 특별한 사상이나 의미,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품질과 편익을 개념화 한 것, 본성이나 본질, 생각의 방향, 일반적인 통념 을 깨는 새로운 개념, 눈에 띄게 다른 무엇 등으로 다양한 갈래를 쳐 나간 다.16)

주얼리 브랜드가 경쟁력을 인정 받기 위해서는 독창적이고 다른 상품과 차 별되는 동시에 소비자의 공감을 얻어야 한다.

주얼리 상품은 대부분의 경우 단순한 상품으로 홍보되고 판매되기 보다는 이미지로 판매되는 고부가가치의 상품으로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브 랜드의 컨셉이 중요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1.1) 브랜드 컨셉

15) 박윤정 『하트형을 주제로 한 주얼리 브랜드 “emile”개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2004

16) 『브랜드 만들기』 이관수

(31)

옛 선조들의 강녕의 정서를 현대인들의 정서에 적용하고자 웰빙 문화와 접목된다. 강녕의 의미를 지닌 주얼리로 현재 웰빙이 반영된 행복, 삶의 만 족, 편안한 마음의 여유를 느낄 수 있는 브랜드로 컨셉을 정하였다.

이는 편안한 마음을 느낄 수 있는 주얼리로 내면의 미학을 추구하고 럭셔 리한 감성을 표현한다. 또한 행복의 지수를 높여 줄 수 주얼리로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다.

주얼리를 착용하는 이로 하여 하나의 복이 되고 좋은 기운을 누릴 수 있 어 심신의 안정을 줄 수 있어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 시킨다.

복숭아와 석류의 소재로 이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멋을 부각시키고 정신 적으로 풍요롭고 친근하며 아름다움을 느껴 정신적인 매개체로 애용될 것 이다.

소비자들은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데 독특한 멋을 지닌 주얼리를 선 호한다. 이러한 주얼리를 시대적 욕구에 맞추어 현대 패션과 어울리는 스 타일에 맞추었다.

20~30대의 신선한 감각과 트랜드에 발맞추어 여성스러움과 우아함을 강 조한 심플하고 세련된 모습의 이미지로 다가갈 수 있게 한다.

2. 브랜드 위치설정

브랜드 포지셔닝은 고객을 중심으로 고객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그림을 브

(32)

랜드 전략으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하나의 축이다.17)

포지셔닝은 1972년 라이즈(Al Ries)와 트라우트(Jack Trout)라는 광고 전 문가가 광고 전문지(Advertising Age)에 포지셔닝이 시대(The Positioning Era)라는 연재 사설을 실음으로써 대중화되었는데 그들은 그 후 포지셔닝 이라는 책을 내면서 포지셔닝 제품(상품, 서비스, 회사, 제도, 사람 등)에서 부터 시작하지만 제품 그 자체에 대한 노력이 아닌 사람의 마음에 대한 노 력으로 특정 제품을 사람들의 마음 속에 위치시키는 것이라 하였다.

어떤 방향으로 포지셔닝을 이해하든 상품 포지셔닝은 어떤 상품을 경쟁 상품에 비하여 차별적 특징을 갖도록 제품의 포지션을 정하고 그에 따라 개발, 생산된 상품을 소비자의 지각 속에 적절히 위치화시키는 노력이다.

따라서 제품의 여러 이미지 중에서 고객에게 인식시키고 싶은 이미지를 강 조하는 것으로 시장을 세분화하고 목표시장을 선정하는 작업이며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 속에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성공 적인 브랜드로 가는 지름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2.1) 새로운 브랜드 위치설정

새로운 브랜드는 정은과 준보석을 소재로 하여 과시적이고 유명 명품 브 랜드를 추종하는 무조건적인 소비자들이 아닌 자신이 생각하는 합리적인 가격선에서 자신의 가치를 확인시켜 준다.

이러한 브랜드를 찾아 소비를 즐기는 고객층을 타겟으로 품질, 가격대 만 족이라는 요소를 강점으로 보여 지게 될 것이다. 합리적인 가격과 품질, 감 성을 중시하는 젊은 고객층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브랜드로서 포지셔 닝 전략을 전개하고 한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고급스럽고 신선한 분위기 로 현대적이면서 세련되고 개성있는 주얼리 브랜드로 설정하였다.

저가의 준보석을 위주로 한 브랜드로 디자인의 신뢰성이 바탕으로 이루어 지도록 한다.

이 논문을 통하여 개발되는 브랜드는 20~30대의 고객층을 대상으로 많

17) 삼성경제연구소 – 박경균

(33)

은 사랑을 받고 있는 브랜드로 위치해 보고자 한다.

현재 유통 중인 여성 소비자들이 많이 애용하는 브랜드는 티파니, 아가타, 제이에스티나, 폴리폴리, 클레오 블루, 엠포리오 아르마니 등이 있다.

티파니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쥬얼리 브랜드로 자리 매김 하고 있다. 특유의 심플함을 강조한 감각적인 디 자인으로 대중들의 인기를 꾸준히 누리고 있다. 또한 은제품으로 가격대가 저렴하여 젊은층에게 많은 선호를 받고 있다.

아가타는 파리에서 탄생한 액세서리 전문 브랜드이다.

아가타를 상징하는 강아지를 소재로 한 캐릭터로 현대 적이면서 고급스러운 다양한 디자인과 저렴한 가격대로 소비자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브랜드이다.

제이에스티나는 20~30대 여성을 고객층으로 하고 있 는 국내 주얼리 브랜드이다. 이태리 감성을 가미한 이 브랜드는 이탈리아 공주를 소재로하여 티아라의 다양한 디자인을 뽑아내어 소비자에게 높은 인지도를 보이고 있다. 제이에스타나만의 감성과 캐릭터로 고급스러우면서도 아기자기한 디 자인이 돋보인다.

새롭게 개발하는 브랜드는 은을 소재로 한 제품으로 현대적이며 모던하며 한국의 대표하는 세련된 색상을 가미한 스타일이 보여지게 될 것이다.

가격대는 반지 7~20만원, 귀걸이 8~25만원, 목걸이 10~30만원, 브로치 10~30만원대로 정하였다.

남들이 한다고 따라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것을 빨리 흡수하고 도전해 나 가는 가치중심형 마인드를 가진 여성을 정하였다.

가격대비 고품질이라는 전략을 가지고 브랜드 고급화를 추구하여 소비자의 정서적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참조

관련 문서

This course is intended to introduce the legal controls among the manufactured goods development and the production understanding the law in the inside

If the information related to schools and education were opened, schools would compete to be recognized as a good school, and students could get better education.. Since

For this study—our third on global workforce trends, follow- ing studies in 2014 and 2018—Boston Consulting Group and The Network surveyed some 209,000 people in 190 countries

KMA GEMS AND JEWELRY OFFICE- SHOWROOM - CONTINUOUS DINA, engaged with the phone, leads HOWARD!.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tudy curriculum and management statu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focused on Korean music among the

It would be reasonable as a teacher to make efforts not only to reflect on the class on their own, but also to improve th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e monthly average incom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novation and danger sensibility as business person spirit, in emotional immersion and

A culture service (Oks) operated by the Min- istry was established to create contact between artists and culture workers on the one hand and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