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궁경부 선암의 검출에 더 유용한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자궁경부 선암의 검출에 더 유용한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사"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자궁경부암은 현재 전체 여성암종의 약 10%로서 여성 생식기암의 약 25내지 45%를 차지한다. 대다수 인 85에서 90%는 편평세포암 이고 선암이 약 10에서 15% 정도를 차지한다.1전 세계적으로 자궁경부암은 여전히 유방암에 이어 여성암종의 두 번째로 흔한 암으로 매년 465,000건이 발생한다.2,3

자궁경부암의 선별검사 방법의 발달로 그간 발생율 의 감소가 있었으나 현재 이러한 선별검사가 잘 발달, 시행되고 있는 선진국에서도 자궁경부암의 발생율은 더 이상 감소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자궁경부암의 주 요 두 가지 유형인 편평세포암과 선암의 비율에도 변 화가 있어 편평세포암은 줄어들고 선암은 그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1-3

자궁경부암의 원인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자궁경부 선암의 검출에 더 유용한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이지현·박영한·양성천·김성주·강정배·장봉림

Human Papillomavirus (HPV) Test is More Useful in Cervical Adenocarcinoma

Ji-Hyun Lee, M.D., Young-Han Park, M.D., Seong-Cheon Yang, M.D., Sung-Joo Kim, M.D., Jung-Bae Kang, M.D., Pong-Rheem Jang, M.D.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Kangwon, Korea Objective : Histologically, 85-90% of carcinoma of uterine cervix are squamous cell carcinoma (SCC), whereas only 10-15% are adenocarcinoma (AC). This study will examine the HPV incidence according to the two cell types of cervical cancer.

Methods : The subjects were the 138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arcinoma of uterine cervix including CIS (carcinoma in situ) by means of punch biopsy and conization at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June 2003. Those who were given HPV test using hybrid capture Ⅱ were selected and their medical records were examined retrospectively. χ2-test was done with SPSS 10.0. Data that fall within the range of P<0.05 were conside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The number of patients given HPV test was 86 in total. Among them, 80 were with SCC, and 6 with AC.

HPV positives were 70 while 16 were negative. A total of 66 SCC patients (82.5%) were tested HPV positive and the figure was 4 (66.7%) among the AC patients. In the case of low-grade squamous epithelia lesion (LSIL) or higher than, HPV and Pap positives made up 83% (p=0.599), and among those with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SCUS) and atypical glandular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GUS), the rate was 100% (p=0.536).

Conclusion : First, HPV is a factor that causes carcinoma of uterine cervix regardless of histological types. Second, there must be other factors involved i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incidence of SCC and that of AC. Third, revealing different carcinogenic mechanism in the two groups can be helpful in the treatment of disease. Last, HPV test is more useful diagnostic tool on AC than SCC.

Key Words : Squamous cell carcinoma, Adenocarcinoma, HPV

책임저자 : 박영한

(2)

위험인자로서 성적 배우자의 숫자, 성경험의 조기연 령, 흡연, 감염 등이 제시되고 있고 HPV에 의한 감염, 특히 고위험군이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인자로 알려 져 있다.1-5

자궁경부 선암이 증가하는 원인으로서 자궁경부 세 포진검사를 통한 선별검사의 발달로 편평세포암을 조 기진단 함으로써 상대적인 편평세포암의 감소와, 선 암의 검출방법의 발달과 변화, 그리고 HPV 감염과 선 암 발생율의 동반상승으로 설명할 수 있는 실제 발생 율의 상승 등을 들 수 있다.6,7저자들은 발생부위가 같 지만 편평세포암과 선암 발생율의 유의한 차이를 유 발하는 원인들이 무엇인가 하는 의문을 갖게 되었고, 자궁경부암의 주요 두 가지 형태 사이에 HPV 감염과 관련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효용성이 입증된 Hybrid capture II 방법을 이용하여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두 가지 주 요 형태에 따른 HPV 감염율의 차이와 HPV test의 유 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1998년 1월부터 2003년 9월까지 한림대학교 성심 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한 환자 중 0기암을 포함하여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은 138명의 환자들에서 0기암 (CIS)은 34명, 침윤성 경부암은 104명으로 이중 HPV test를 시행한 환자 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Fig. 1. Distribution of the cell types.

SCC=squamous cell carcinoma, AC=adenocarcinoma,

AS=adenosquamous cell carcinoma,

For data analysis, AS was categorized as AC.

환자의 연령은 29세에서 81세 까지 평균 49세 였다.

전체 138명의 환자 중 편평세포암은 127명으로 92.1%, 선암은 9명으로 6.5%, 선편평세포암(adenosquamous cell carcinoma)은 2명으로 1.4%였다(Fig. 1).

2. 방법

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HCII(Diegene, USA) test8,9를 사용하여 HPV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들 을 선별하였다.

선편평세포암은 선암에 포함시켜 자료를 분석하였 고 통계프로그램으로 SPSS 10.0, χ2-test를 이용하였 다. p값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 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첫째, 전체 138명 중 HPV test를 시행한 86명에서 HPV test 양성인 경우가 편평세포암에서 66명으로 82.5%, 선암에서는 66.7%인 4명으로 총 70명이었고, HPV test 음성인 경우는 편평세포암에서 14명으로 17.5%, 선암에서는 33.3%인 2명으로 총 16명 이었다.

p값은 0.309로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able 1).

둘째, HPV test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 중 자궁 세포진검사가 정상인 3명 중 HPV test가 양성으로 나 온 환자는 3명이었고, 세포진 결과 LSIL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이상인 경우에 HPV 음 성인 경우가 11명, 양성은 57명으로 나왔다. 이것은 세포진 검사에서 ASCUS (atypical squamous cell of undetermined significance)와 AGUS (atypical glandular cell of undetermined significance)를 제외한 것으로 HPV와 Pap smear 양성율은 83%였고 P값은 0.599이었 다(Table 2). 셋째, ASCUS와 AGUS를 포함한 경우에 는 HPV 음성인 경우가 16명, 양성은 67명으로 나왔다.

HPV와 Pap smear로 전체 86명을 선별하였으므로 양 성율은 100%였고 P값은 0.536이었다(Table 3).

고 찰

자궁경부암 선별검사의 목적은 자궁경부암의 발생 을 줄이는 것이며, 치료가 간단하고 효과적인 전구암 단계에서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헌 마다 차이는 있지만, 세포진검사의 양성율은 편평세 포암에서 약 75%, 선암에서 약 55%로 선암에서 그 유

(3)

용성이 더 적다.21-24따라서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로서 선암을 조기진단 하는데는 그 한계가 있다. 현재 선별 검사의 발달에도 자궁경부암의 5년 생존율은 단지 67%로 1960년대 이후 크게 향상되지 못하였다.18,19그 이유로서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를 전체 대상여성에 시행하기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낮은 민감도로 인 해서 세포진 검사 자체의 암을 발견해 낼 수 없는 제 한성, 비정상 세포진으로 판정된 여성에 적절한 처치 가 실패한 경우, 매 검진의 시간적 간격보다도 짧은 진행기간을 갖는 급속도로 진행되는 신종 자궁경부암 의 출현 가능성, 젊은 연령층을 중심으로 전구암 발생 율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20자궁경부 세포진 검사가 자궁경부암의 조기진단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인 것은 주지의 사실이나 높은 위음성율을 보인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면에서 자궁경부암의 원인 인자를 밝혀 내어 원인인자를 가진 여성을 대상으로 좀더 면밀한 추적관찰을 한다든지 혹은 원인 인자 그 자체에 노출 이 안되도록 할 수 있다면 자궁경부암의 발생 자체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며, 자궁경부암에 의한 사망 또 한 상당부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10-12

인유두종바이러스는 현재 약 100여 개의 아형이 알 려져 있는데 생식기 HPV와 피부 HPV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생식기 HPV는 자궁경부암과 그 전구체인 자궁 경부 상피내 이형증에서 일관되게 발견되고 있으며 인과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13-15 HPV DNA 검출방법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hybrid capture II test 는 감염된 HPV를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구분하여 알 수 있으며 그 존재를 정량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 으로 높은 민감도 및 특이도와 함께 아형분류가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다. 13종의 고위험군(type 16,18,31, 33,35,39,45,51,52,56,58,59,68)과 저위험군(type 6,11,42, 43,44)을 구분하여 고위험군에 양성인 경우를 HPV 감 염군으로 간주하였다.

연구 결과를 볼 때, 편평세포암의 HPV양성율은 82.5%, 선암은 66.7%이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 는 없었다(Table 1). 두 유형간에 HPV 검출율의 유의 한 차이가 없다면, HPV test는 선암에서 유용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왜냐하면 선암의 세포진 검사 양성율이 편평세포암의 양성율보다 더 낮은 반면 HPV test 양성율의 의미있는 차이가 없으므로 선암에 서 HPV test 시행이 편평세포암에서 보다 더 효과적이 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세포진 검사의 양성율이 편 평세포암보다 더 낮은 선암에서 HPV test를 선별검사

로서 병행할 경우 세포진검사에서 누락된 선암의 조 기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된다. 또한 자 궁경부암 환자 중 세포진 검사상 정상인 경우 3명에 서 HPV양성이었고, 세포진 검사상 ASCUS와 AGUS 를 제외한 경우 HPV와 Pap의 양성율은 83%인 반면 (Table 2), ASCUS와 AGUS를 포함한 경우 HPV와 Pap 의 양성율은 100%였다(Table 3). ASCUS나 AGUS를 보이는 경우에는 진단기준이 모호하고 자궁경부의 병 변이 임상적인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기 적인 세포진 검사를 반복적으로 시행하도록 권유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처치이다. 하지만, 위 결과

Table 1. HPV incidence according to cell type

SCC (%) AC (%) Total (%)

HPV(+) 66 (82.5) 4 (66.7) 70 (81)

HPV(-) 14 (17.5) 2 (33.3) 16 (19)

Total 80 (93) 6 (7) 86 (100)

SCC=squamous cell carcinoma AC=adenocarcinoma χ2test with SPSS 10.0

Table 2. HPV & pap smear in cervical cancer without ASCUS & AGUS

PAP PAP (WNL) PAP (LSIL↑) Total HPV

HPV(-) 0 11 11

HPV(+) 3 57 60

Total 3 68 71

HPV+PAP in CIS & cancer: 71/86=0.83 without ASCUS, AGUS WNL=with in normal LSIL↑=LSIL or higher degree than LSIL χ2test with SPSS 10.0

Table 3. HPV test & pap smear in cervical with ASCUS

& AGUS

PAP PAP (WNL) PAP (LSIL↑) Total HPV

HPV(-) 0 16 16

HPV(+) 3 67 70

Total 3 83 86

HPV+PAP in CIS & cancer: 86/86=100 with ASCUS, AGUS ASC↑=ASCUS, AGUS or higher degree than ASCUS, AGUS χ2test with SPSS10.0

(4)

를 볼때 세포진 검사상 ASCUS나 AGUS가 나왔을 경 우 통계상 17%에 해당하는 병변을 놓치지 않기 위해 서 추적검사 또는 고위험 병변을 선별하는 과정에 HPV 선별검사가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HPV 검사를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와 같이 선 암의 선별검사로 병행한다면, 현재 정체되어 있는 자 궁경부암의 발생율을 줄이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 을 것이다. HPV 양성율의 국내 통계자료를 참고해 볼 때 두 유형간 양성율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고(Table 4), Sean 등은 HPV 감염은 조직학적 유형에 관계없이 자궁경부암의 유발인자로 두 유형간 감염율의 의미있 는 차이는 없으며 다른 유발인자를 비교연구 하였다.5 즉 편평세포암과 선암에서 HPV 감염율의 유의한 차 이가 없다면 두 유형의 발생율의 차이에는 다른 원인 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4. HPV positivity in other institutions

Institiution SCC (%) AC (%)

KSUH (1992)29 37.1 33.3

KHUH (1995)30 70.6 55.5

KRUH (2001)31 91.7 85.7

SNUH (2003)12 79.3 100

HSHH (2004) 82.5 66.7

KSUH: Kosin univ. hospital KHUH: Kyung-hee univ. hospital KRUH: Korea univ. hospital SNUH: Seoul national univ. hospital HSHH: Hallym univ. sacred heart hospital

SCC: squamous cell carcioma AC: adenocarcinoma

편평세포암과 선암의 몇 가지 다른 특징으로 HPV 16은 편평세포암에서, HPV 18은 선암에서 그 빈도가 높고 다산부, 다수의 성배우자, 흡연 등은 편평세포암 에서 그 연관성이 높다.5 예후는 선암에서 좀더 좋지 않다는 보고가 많이 되고 있고,5 자궁경부암과 그 전 구체에서 발현되는 cyclin dependent kinase inhibitor 인 P16은 HPV DNA에서 발현되어 종양억제 유전자인 P53의 변형과 파괴에 관여한다고 밝혀진 E6/E7 단백 질과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5 3번 염색체 단완에 위치한 종양 억제 유전자인 RASSF1A는 자궁경부암을 비롯하여 각종 부인암에 서 유전자 변이가 흔히 일어나는데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있는 자궁경부암에서 RASSF1A promoter의 불 활성화가 자궁경부 선암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고 보 고하고 있다.26현재 밝혀진 종양표식자로 편평세포암

에서 SCC와 CYFRA,27선암에서 CA 125가 이용될 수 있겠다.28

결론적으로 첫째, HPV는 조직학적 유형에 관계없 이 자궁경부의 유발인자로 생각된다. 둘째, 편평세포 암과 선암의 발생율의 차이에는 HPV 외에 다른 원인 이 있을 것이다. 셋째, 두 그룹간의 다른 발암 기전을 밝혀야 한다. 마지막으로 HPV test는 편평세포암 보다 선암에서 더 유용한 검사이다. 표본집단의 수가 작아 좀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고 세포유형에 따른 HPV genotyping과 분자생물학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 이다.

참고문헌

1. Ursic-Vrscaj M, Kovacic J, Poljak M, Marin J.

Association of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 and human papillomaviruses in invasive cervical cancer. Eur J Gynecol Oncol 1996; 17(5): 368-71.

2. Zehbe I, Wilander E. Human papilloma virus infection and invasive cervical neoplasia: A study of prevalence and morphology. J Pathol 1997; 181: 270-5.

3. Nubia M, Xavier B, Silvia S, Rolando H, Xavier C, Keerti S, et al. Epidemilogic class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s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 N Eng J Med 2003; 348: 518-27.

4. Keng C, Anders H. Persistent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s preceding cervical carcinoma. Cancer 1996; 77:

121-7.

5. Sean A, James L, Louise B, Patti G, Steven S, Willard B, et al. Comparison of human papillomavirus genotypes, sexual, and reproductive risk factors of cervical adeno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Northeastern United States. Am J Obstet Gynecol 2003;

188: 657-63.

6. Alan G, Jacob B, Raymond K, Rolando E, Ervin A, Karen AS. Human Papillomavirus Associated with Adenocarcinoma and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Cervix: Analysis by in Situ Hybridization. Gynecol Oncol 1989; 35: 345-8.

7. Bekkers RLM, Bulten J, Wiersma-van T, Mravunac M, Schijf CPT, Masuger LFAG, et al. Coexisting high-grade glandular and squamous cervical lesions and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s. Br J Cancer 2003; 89: 886-90.

8. Sun W, Ferenczy A, Johnson D, Koulos P, Lungu O, Richart M, et al. Evaluation of the Hybrid capture human papillomavirus DNA detection test. Am J Obstet Gynecol 1995; 173(5): 1432-7.

9. Hesselink T, Brule J, Brink A, Berkhof J, Kemenade J,

(5)

Verheijen H, et al. Comparison of hybrid capture2 with in situ hybridization for the detection of high risk human papillomavirus in liquid-based cervical samples. Cancer 2004; 102(1): 11-8.

10. Keith L, Wong F, May C, James L, Poon S, Vivian W, et al. Prevalence of human papillomavirus in cervical cancer: a multicenter study in china. Int J Cancer 2002;

100: 327-31.

11. Tamas S, Zoltan H, Jozsef K, Lorand L. Poor clinical outcome in early stage cervical cancer with human papillomavirus-18 positive lymph nodes. E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2000; 90: 93-5.

12. Mandic A, Vujkov T. Human papillomavirus vaccine as a new way of preventing cervical cancer: a dream or the future? Ann Oncol 2004; 15: 197-200.

13. Ruud L. Bekkers M, Leon FA. Massuger G, Johan B, Willem M.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aspects of human papillomavirus detection in the prevention of cervical cancer. Rev Med Virol 2004; 14: 95-105.

14. Stephan MS, Janet RD, Katherine AS, Margaret MM, Barbara M, Denise A, et al. Human papillomavirus and progress of invasive cervical cancer: a population-based study. J Clin Oncol 2001; 19: 1906-15.

15. Akihiko I, Pekka N, Matti L, Jorma P. Human papillomavirus DNA in uterine cervix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denocarcinoma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Cancer 1996; 77: 2275-9.

16. 박영세. 일차진료 의사가 비정상 자궁경부 세포진 여 성의 선별기준으로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과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회지 2003; 46: 337-48.

17. Dewer MA, Hall K, Perchalski J. Cervical cancer screening. Past success and future challenge. Prim care 1992; 19(3): 589-606.

18. Lieu D. The papanicolaou smear. Its value and limitations.

J Fam Pract 1996; 42: 391-9.

19. 김용범, 전용탁, 서상수, 김재원, 박노현, 송용상 등. 한 국 여성의 자궁경부암에서 인유두부종 바이러스의 감 염양상. 대한산부회지 2003; 46: 789-94.

20. Ulla H, Christence ST, Jacob V, Johannes EB. Human papillomavirus types 16 and 18 in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Gynecol Oncol 1992; 46: 313-6.

21. Santos C, Munoz N, Klug S, Almonte M, Guerrero I, Alvarez M, et al. HPV types and cofactors causing cervical cancer in Peru. Br J Cancer 2001; 85: 966-71.

22. Uchiyma M, Iwasaka T, Matsuo N, Hachisuga T, Mori M, Sugimor H. Correlation between human papillomavirus positivity and p53 gene over expression in adenocar- cinoma of the uterine cervix. Gynecol Oncol 1997;

65: 23-9.

23. Bosch FX, Manos MM, Munoz N, Sherman M, Jansen AM, Peto J, et al. Prevalence of human papillomavirus in cervical cancer: a world wide perspective international biological study on cervical cancer(IBSCC) study group. J Natl Cancer Inst 1995; 87(11): 796-802.

24. Zur Hausen H. Are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s not necessary or sufficient causal factors for invasive cancer of the cervix? Int J Cancer 1995; 63(2): 315-6.

25. Masumoto N, Fujii T, Ishikawa M, Saito M, Zwata T, Fukuchi T, et al. P16 overexpression and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in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Hum Pathol 2003; 34(8): 778-83.

26. Cohen Y, Singer G, Lavie O, Dong SM, Beller U, Sidransky D. The RASSF1A tumor supressor gene is commonly inactivated in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Clin Cancer Res 2003; 9(8): 2981-4.

27. Pras E, Willemse PH, Canrinus AA, Bruijn HW, Sluiter WJ, Ten Hoor KA, et al. Serum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and CYFRA 21-1 in cervical cancer treatment.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2; 52(1): 23-32.

28. Bender DP, Sorosky JI, Buller RE, Sood AK. Serum CA125 i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cervical adenocarcinoma. Am J Obstet Gynecol 2003; 189(1):

113-7.

29. 박연, 김민수, 정기묵, 정재훈. 자궁경부암에서 Human Papillomavairus DNA Detection Kit (Vira Pap) 및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이용한 Human Papillo- mavirus 감염의 진단. 대한산부회지 1992; 35: 1501-8.

30. 장미경, 이선경, 김승보, 이재현, 이주희. 자궁경부암에 서 P53 억제 유전자 단백의 발현과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과의 상관관계. 대한산부회지 1995; 38: 2347-58.

31. 최귀연, 배동한, 김인선. 자궁경부암종에서 HPV 감염 과 Ki-ras 및 P53 유전자 돌연변이와의 관계에 대한 연 구. 대한산부회지 2001; 44: 525-31.

(6)

국문초록

목적 : 자궁경부암은 조직학적으로 편평세포암이 85-90%, 선암이 10-15%를 차지한다. 해부학적으로 같은 장소 에 있으면서 선암의 발생율이 편평세포암에 비하여 현저하게 적은 것은 어떤 원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유두종바이러스와의 관련된 두 그룹간의 빈도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3년 9월까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하여 질확대경하 조직생검 및 자궁경부 원추생검 시행결과, 0기암을 포함하여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은 13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 다. Hybrid capture II를 사용하여 HPV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들을 선별하였으며, 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 고 SPSS 10.0으로 χ2-test를 시행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HPV 검사를 시행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들은 86명이었고, 편평상피세포암은 80건, 선암은 6건이었다.

HPV 양성군은 70명, 음성군은 16명이었다. 편평상피세포암 환자들중 HPV 양성은 82.5 (66/80)%, 선암환자들 중 HPV 양성은 66.7 (4/6)% 였다(p=0.236). 세포진(Pap) 검사결과 저등급 편평상피내손상(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LSIL) 이상인 경우에 HPV와 Pap의 양성율은 83%였고(p=0.599), 비정형 편평세포(atypical squamous cell undetermined significance, ASCUS)와 비정형 선세포(atypical glandular cell undetermined significance, AGUS)를 포함한 경우 HPV와 Pap의 양성율은 100%였다(p=0.536).

결론 : 자궁경부암 환자들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는 편평상피세포암군과 선암군 사이에 Hybrid capture II 로 검출되는 빈도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첫째, 조직학적 타입에 상관없이 자궁경부암의 발생에는 인유두종바이 러스가 관여한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 선암과 편평상피세포암이 발생하는 빈도의 차이는 HPV 감염 이외의 다 른 인자들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두 그룹간의 분자생물학적 차이점을 밝히면 치료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HPV test는 편평세포암 보다 선암에서 더 유용한 검사로 보인다.

중심단어 : 자궁경부 편평세포암, 자궁경부 선암, 인유두종바이러스

수치

Fig. 1. Distribution of the cell types.
Table 3. HPV test &amp; pap smear in cervical with ASCUS
Table 4. HPV positivity in other institutions

참조

관련 문서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induces E2F-1-mediated growth inhibition and cell-cycle arrest in human cervical cancer cells.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by adenosine in human oral fibroblast and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 ·

For patients treated for chin augmentation using either genioplasty with Medpor Ⓡ or osteotomy, the predictive value of the correlation of the hard and

It also suggest that cell proliferation inhibits by a novel signal transduction for adenosine effect in human FaDu hypopharynx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Differential Expression of Desmoglein1, Desmoglein3, Epithelial Membrane Antigen, Ber-EP4 and CD10 in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trend in incidence of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patients from the Gwangju City

A Retrospective Study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Neonatal Occipital

Comparison of genotypes using REP-PCR and Integron-IS26 PCR results among 78 IRAB strains isolated from 2 university hospitals.. The result of REP-PCR genotype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