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물이란 인간에게 어떤 존재일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물이란 인간에게 어떤 존재일까? "

Copied!
3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성 정 용

(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

(2)

물이란 인간에게 어떤 존재일까?

물이 없는 삶 ??? H2O(水) 우리몸70%

=> 치수의 역사 * 물의 미래?

[구석기시대]

불과 석기 도구 이용 => 인간다운 여정의 시작

[신석기시대 ]

1. 인류 최대 최고 발견과 발명! 불+흙=> 토기

- 無에서 有! 전혀 다른 새로운 창조물 - 인간 상상력의 결집체

2. 환경변화와 인구 증가 =>채집에서 농경으로

- 화전 등 물이 그다지 필요없는 농경 - 수렵채집을 일정부분 뒷받침

(3)

[청동기시대 전기]

-

동아시아 각 지역 전쟁과 기근, 한파 등 수많은 요인으로 집단 이동 활발

-

한반도 인구 기하급수적 팽창하는 지역 증가

-

화전 농경(조, 수수 등) => 잦은 이동

=> 새로운 식량 공급 시스템 필요

(4)

[청동기시대 전기~중기 : 대형고인돌의 등장

요녕성 해성

석목성 고인돌

(5)

강화도 부근리 고인돌 (인천시 기념물44호)

(6)

창원 덕천리 1호지석묘

(7)

[청동기시대 중기]

* 토지 집약적 이용 식량생산 증대 =>水稻作

- 안정적 식량 자원 공급 필요성에 따라 자연스레 등장 => 벼농사는 치수사업 뒷받침 없이는 불가능

- 물이 인간 삶의 근본을 지배하는 물질로 그 중요성이 부각

=> 물”곧 수자원을 어떻게 이용하는지가 인간의 생존을 좌우하는 문제 :

“홍수”가뭄”극복

- 청동기시대를 거쳐 고대-중세로 이어지면서, 효율적인 물의 관리 곧

“治水” 는 지역집단 뿐만 아니라 국가 존망을 좌우하는 문제로 대ㅜ

(8)

춘천 천전리 B지역 다지구 수전전경

송국리 주거지 부여 송국리유적(사적249호)

(9)

부여 송국리 : 석관묘와 탄화미

(10)

1. 1단계 : 청동기~초기철기시대

發達過程

■ 청동기시대 관개시설

- 곡저 하부의 보 등 引水 시설 위주

- 각 지천마다 분산적으로 설치, 공동체 단위 소규모로 관리 운영하는 체계

■ 청동기시대 관개시설 발달이 갖고 있는 한계

- 청동기시대 후기 논 농사 일부 지역과 취락 한정 운영 => 생산량 증대 통해 주변 취락 인구까지 부양에는 한계

집단 간의 우열을 심화시키는 기폭제로 작용

- 일부 계층에 의한 사회와 집단의 통제적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하더라도, 체계적인 관개 시설이 뒷받침되는 지역의 도작 생산량이 다른 곳보다는 높을 수밖에 없으며, 이는 해당 집단의 경제적 힘을 배가시킴

(11)

2차 저수지 출수구

1차 저수지와 수로

도2.

제철유구 (통일신라)

안동 저전리유적 : 청동기시대 수로개발의 시작!

(12)

2. 2단계 : 원삼국 시대 후기 ~삼국시대 초

■ 백제의 澤地 개발

- 古爾王 九年(242) : 春二月 命國人開稻田於南澤(《三國史記》百濟本紀) 기록

- 澤은 자연적으로 물이 고여 있는 소택지나 저습지 의미 : 지하수위 높고 배수가 불량한 담수전이어서 생산성은 그리 높지 않았을 것

- 3세기 마한 54개국 : 대국 만여가, 소국 수천가 (약 15~20만호?) => 백제말기(7세기) 78만호로 4~5배 증가

- 정치적 결집력 높아지고 인구도 증가(소국) => 새로운 식량공급 체계 필요성

■ 1단계와는 다른 보다 광역적이며 체계적인 관개시설, 하천과 하천을 연결하여 供水와 排水를 하는 인공적인 수로의 존재 등 상정 => 초기 왕권 또는 지역 수장이 노동력을 동

원하여 관개시설을 축조 운영하는 國 주도형 개발로서 저습지 개발의 서막

發達過程

(13)

보성 조성리 유적

득량만에 인접한 해안지대로 구릉말단부 저지대

구하도에서 보 3개와 유물집중지(수변제사흔)

(14)

1호보

2호보

3호보

보의 축조는 3기의 보에서 동일한 각재, 일정한 간격으로 확인되므로 동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생각됨

축조시기는 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방사성 탄소연대측정 결과, 기준토층 4층에서 유물집중지에서 삼각형점토대 토기 확인)

보성리 부엽공법은 대형 제언의 것과는 다른 기능과 계통

(15)
(16)

3. 3단계 : 삼국시대(5세기) ~ 고려

■ 대규모 제언(댐) 건설을 통해 하천 하류 충적지 전체를 개발 : 국가 주도형

1) 山谷形 저수지 축조 : 영천 청제, 경주 영지, 울산 약사동, 상주 공검지, 제천 의림지…

- 대규모 용수 저장, 수문을 통해 상시로 용수 공급할 수 있는 체계 - 홍수시에도 저수 통해 경작지 보호 기능

- 하천 유로 완전히 차단하여 유로 자체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이 더 큰 의미 => 제외지 거의 전체가 경작지로 탈바꿈

=> 계곡 하천을 적극적으로 통제함으로써, 수로 굴착 등을 통한 저습지 개발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관개체계가 성립

* 신라 訥祗麻立干 十三年(429)에 길이 2100步 矢堤신축 * 원성왕 6년(790) 벽골제 중수

* 영천 청제 : 병진명 476년 또는 536년(법흥왕23) 초축 7000명, 정원명(798년) 수축 14,000명

發達過程

(17)

의림지 관개지역과 수로 흐름

평면 만곡형, 제방길이 320m

총 저수량 501,000㎥

수혜면적 187ha

朝鮮五萬分一地圖(1918)의 의림지 주변 지형도

[제천 의림지]

(18)

의림지 1단계의 지형

용두산 계곡의 하천이 의림 지 남쪽 충적평야지역에서 크게 3갈래의 하천으로 분

충적지 중앙부에 자연하천 이 존재

현재 충적단구면과 비슷한 높이에 하천이 위치

높은 지점에는 취락이 입지 하였을 가능성

중앙의 하천을 이용한 경작 활동 및 기타 생업활동 가

(19)

의림지 2단계의 지형

기후변동에 의한 해수면 하강

의림지 충적평야의 단구화

하방침식이 강했던 의림지 동 편과 서편으로 하천이 양분됨

중앙의 하도는 하천으로서의 기능을 상실

충적지는 솟아오른 구릉지와 같은 형상

물의 공급이 차단

거주집단의 생업환경 위협

(20)

의림지 3단계의 지형

단구면의 토지이용을 위해서는 인위적인 급수시설이 필요

정확한 시기는 중앙 구하도의 매 몰시점(연대측정 가능)

충적단구면 보다 높은 위치에 저 수지 축조

그 지점은 현재의 의림지 제방이 가장 적소

구하도의 자연하천을 개보수하 여 충적단구를 관통하는 인공하 도 설치

인공하도에는 둑을 설치한 흔적 이 관찰됨

논을 개간하고 관개수로를 설치

(21)

제언, 고대의 토목기술의 결정체 :

울산 약사동제방(신라 6~7세기)

(22)

대정년간지도(1/10,000) 1916년 제작

1.계획 및 위치선정 : 측량 등 토목기술

-약사천 중류역에 입지

-곡의 좌우 구릉 간격 좁은 곳 -상류쪽으로 집수가 가능한 곳 -하류쪽 너른 평지가 존재하는 곳 제방 위치와 주변일대 항공사진 (국토정보지리원, 1979년

)

(23)

2. 제방 축조

1)1공정 : 기초지반의 가공

- 구릉부 암반 : 구지표 제거, 계단식 절토

- 사면말단~곡부( 산사면붕적토+하천퇴적토 ): 구지표 제거, 평탄정지

(24)

* 지반 상부 최초

: 흑색 점질실트 지하수의 제체 침투 차단

2) 2공정 : 지반 차수

제외지 쪽으로 패각 성토 : 굴 95%

2. 제방 축조

(25)

3) 3공정 :

- 심조성, - 요철형성토

2. 제방 축조

(26)

2. 제방 축조

3) 3공정 : - 심조성, - 요철상부성토

(27)

2. 제방의 축조

4공정 : 본격 성토

(28)

4) 4공정 : 본격 성토

실트 – 역의 반복 성토

2. 제방 축조

(29)

역층 – 실트층 셋트 반복

2. 제방 축조

(30)

2. 제방 축조

4) 4공정 : 본격 성토

(31)

5공정 : 피복마감

2. 제방 축조

(32)
(33)
(34)

A-A'4배 확대

범 례

잔존성토체

만수위범위(추정 여수로 해발21.5m기준) 만수위높이

기반암 추정 여수로 검은색실트층 추정훼손구간

A-A'부분3배 확대

1. 잔존 붕적토 최상면 의(추정 여수로) 해발 고로 21.5m기준으로 만수면적은 23,639

50 100M

0 20

2. 잔존 성토체 상부 (둑마루) 해발고도 22.3m기준으로 만수 면적은 30,474

만수위범위(잔존성토체 상면 기준22.3m)

패층 기반암

(35)

35

永川 菁堤

* 청제비(보물517호) : 병진년(536년,법흥왕 23년)

* 정작 제방은 지정되어 있지 않음

* 『영천군지』기록 : 1980년 현재 134ha

* 위성사진 분석 : 청제 아래 구암들 관개면적 약 1.3㎢

=> 과연 얼마나 많은 생산을 할 수 있었을까?

(36)

36

저수량을 이용한 관개면적

- 저수량 59만㎥

- 1ha당 연간 관개용수 공급량 13,000㎥ 가정 => 59만㎥는 45ha(45만㎡) 관개 가능

『청제 중수비(798년)』의 농업생산력 기록

- ‘…대개 이 못은 300여석을 생산하는 논에 물을 대어 오늘에 이르렀는데…’

- 나말여초 1결당 수확량은 10석, 고려시대는 20석 추정(위은숙)

- 300석 = 30결(1결 = 15,447㎡: 『신라 및 고려의 양전법에 관하여』, 박흥수, 1980) => 30결은 46만㎡에 해당

1910년 조선총독부 통계

- 각 도별 논과 밭의 평균 면적 조사 제시

- 전국 평균 논 1결은 약 1.73ha(1ha = 1정보) => 30결은 51.9ha(약 52만㎡)

벼 300여석의 생산력은 관개면적 45만㎡ ~ 52만㎡의 범위로 추정

청제의 현재 관개면적인 134ha의 1/3 수준이 수축 당시 면적으로 추정됨

[청제의 관개면적과 수확량]

(37)

37

수문학적 분석(김현준, 장철희) : 청제의 농업생산력은?

* 청제 상류 유역의 유입량 산정

- 채약산 발원 물줄기의 연간 유출량이 청제로의 유입량 -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수문해석 모형(김현준∙장철희, 2012)을 이용 유입량 산정 - CAT 입력자료 : 기상청 영천 측후소의 일별 기상자료(강우, 평균기온, 습도, 풍속, 일조시간 등), 청제 저수지 제원(영천군) - CAT 모의기간 : 1973.01.01 ~ 2002.12.31(30년)

* 산정결과

- 강우량 30년 평균 연간 1,022mm : 이 중 59%(604mm)가 증발하고, 41%(418mm)가 저수지로 유입

- 저수량 : 청제 상류 유역면적 1.4㎢ × 0.418m = 585,200㎥

* 두 물줄기(유역면적: 1.4㎢)의 연간 유입량 585.200㎥바탕 =>45ha 이내의 관개면적에 10년 빈도

한발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안정적인 용수 공급

* “날아다니는 새는 굶어 죽어도 도동 안씨(약 400년전 구암동에 정착하여 동족부락 형성)들은 굶지 않는다”는 영천의 속언 탄생

(38)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치수인가? 미래의 치수 방향은?

물고기? 인간? 자연?

참조

관련 문서

- 학교 내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의 경우 교육활동 과의 관련성 여부와는 별개로 피해 학부모가 가 해학생의 학부모보다는 학교장이나 담당교사에 게 책임을 전가하고

다만, 예비입주자의 동호수배정일(당첨일)이 입주자 선정일보다 빠른 경우 예비입주자 계약체결은 가능하며 입주자선정내역은 무효처리됩니다... 청약 당일

다만, 예비입주자의 동호수배정일(당첨일)이 입주자 선정일보다 빠른 경우 예비입주자 계약체결은 가능하며 입주자선정내역은 무효처리됩니다... 청약

이 경우 법인이 설치・운영하는 시설에 있어서는 시설의 장을

다만, 예비입주자의 동호수배정일(당첨일)이 입주자 선정일보다 빠른 경우 예비입주자 계약체결은 가능하며 입주자선정내역은 무효처리됩니다... 청약

다음은 연결살수설비가 설치된 하나의 송수구역에 설치한 헤드수가 12 개인 경우 송수구의 설치 상태이다..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물분무 소화설비를 설치한 차고 또는 주차장의 배수설비 기준에

약물, 화학 성분 등 과학(화학) 기술 의 무분별한 발전이 인간에게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고 과학자가 가져 야 할 윤리 의식에 대해 생각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