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usiness-NGO Partnership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Business-NGO Partnerships"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업-NGO 간의 파트너십에 대한 고찰

1. 도입: 파트너십의 개요

 파트너십의 증가

 1990 년대 이후 기업-NGO 파트너십 급증: 2004 년, SAM(Sustainable Asset Management)에 의하면 554 기업 중 45%가 다양한 종류의

“지속적인 파트십”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힘

 여러 성공적인 기업-NGO 파트너십이 거론되고 있지만, 파트너십은 아직 초기단계: 많은 기업-NGO 파트너십은 구체적이고 비연속적이며 구속력이 없는 “프로젝트 협력”으로 인식되어옴

 진정한 “파트너십”이란?: 기업과 NGO 가 기술, 전문성, 자원을 제공하고 위험요소까지 함께 공유하면서 기업과 NGO 가 서로의 발전에 기여하는 관계

 설문조사 개요

 이 설문조사는 기업, NGO, 정부, 경제단체, 컨설턴트, 파트너십

“브로커”, think tanks, 학자 등을 대상으로 한 100 여 건의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함

 설문조사의 목적: 파트너십에 관련한 행사(회의)에 대한 기업과 NGO 의 관심정도를 조사하고, 나아가 파트너십 사안에 대한 기업과 NGO 측의 포괄적 의견 파악

 설문조사에 의하면, 많은 기업과 NGO 가 파트너십을 결성했지만, 아직 위험요소와 기회요인을 평가하고 있는 기업과 NGO 들이 더 많음

 많은 인터뷰 응답자들은 너무 잘 알려진 파트너십 성공사례 보다는 비성공적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알고 싶다고 밝힘

 응답자들 중 많은 수가 아직은 기업-NGO 간의 파트너십에 대해 회의감을 표현하며 기업과 NGO 는 그들의 전통적인 역할에만 충실해야 한다고 밝힘

 전반적으로 파트너십에 대한 NGO 와 기업의 태도가 많이 변화하고 있음을 인지

 NGO 는 더 실용적이고, 융통적인 접근법으로 문제의 해결점을 기업 영역에서 찾으려는 열의를 보임

Business-NGO Partnerships

Ethical Corporation Report

(2)

 기업은 대중과 이해관계자 사이에서 신뢰감을 획득하고 명성을 높이기 위한 제 3 부문과의 긴밀한 협력에서 오는 잠재력을 인식

 미국과 유럽의 시각 비교

 쓰나미와 카트리나 같은 자연재해 이후 미국의 기업들은 자연재해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시민단체와의 관계를 공고히 하려는 노력에 착수

 미국의 기업은 모든 종류의 자선운동에 관대하고 유용하게 기부하는 열정적인 자선사업가인 반면, 유럽의 기업은 NGO 와의 의미있는 협력을 이끌어가는 역할 수행

 영국 출신 파트너십 브로커: “유럽의 기업은 NGO 와의 협력에 더 개방적이며 미국에서는 NGO 가 급진적인 단체로 인식되어 기업이 파트너십에 많은 자본을 투자하지 않는다”

 파트너십 이해관계자의 참여미흡

 카트리나와 같은 자연재해가 정부실패를 보여주면서 기업-NGO 파트너십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

 설문 응답자들은, 기업과 NGO 는 정부가 필수적인 서비스 제공을 기업이나 NGO 에 떠넘기고 있는 현상이 늘고 있으며, 이는 기업- NGO 파트너십이 증가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에서 더 심각하다고 밝힘

 파트너십에 대한 정부의 관심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공무원이 기업- NGO 파트너십의 브로커 역할 수행 필요

 많은 응답자들이 경제단체, 종교단체, 중소기업의 파트너십 참여 촉구

2. Part 1: 변화하는 파트너십 전망

 NGO

 UNEP 와 SustainAbility 의 2003 년 보고서 ¡21 세기의 NGO”에 따르면, NGO 가 기관으로서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는지를 기술하면서 NGO 가 실용적이고 융통적으로 변하고 있고 때로는 “기업화” 되고 있다고 밝힘

 NGO 의 변화

 “제도권에 도전하는 제 3 자”에서 제도권의 일부가 되어감

 시장실패를 파악하는 역할에서 새로운 시장의 해결점에 대해 주장

 NGO 에 대한 단순한 기부가 아닌 NGO 의 투자가치에 대해 후원자를 설득

 책임성(accountability)

 NGO 는 리더쉽, 마케팅, 투명성과 관련하여 관련 단체와 경쟁

(3)

 외부적으로 NGO 의 변화를 요구하는 압력 증가: 신뢰성 향상 요구

 NGO 가 기관 수준의 연례보고서를 발간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며 지역사회에 신뢰성을 보여줘야 한다고 기업은 주장

 신뢰성이 NGO 에게 중요한 사안임에는 분명하지만, NGO 는 기업이 대중의 관심을 기업활동으로부터 돌리기 위해 이를 고의적으로 악용하고 있다고 주장

 기업

 기업에 대한 변화 요구

 언론과 NGO 의 감시가 늘어나면서 기업활동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고려가 필수적

 과거에는 기업의 이해관계자가 정부, 주주, 고용인 뿐이었지만 현재는 소비자, 파트너, 공급업자, 지역사회, 환경, 미래의 후손까지 포함

 과거에는 정부의 법이 기업활동을 결정했지만, 현재는 지구온난화, HIV/AIDS, 세계화와 같은 정부가 관여할 수 없는 문제들이 증가

 파트너십의 필요성

 파트너십은 기업의 사회책임경영보다 한발 더 나아간 개념으로, 단순한 상호작용이 아닌 상호합의된 문제점에 대해 협력하는 과정

 도전과제

 기업과 NGO 는 기업-NGO 파트너십의 주요 도전과제는 “신용”

이라고 응답

 상반된 시각을 갖고 있는 기업과 NGO 의 업무에 대한 접근법, 회의 스타일, 업무 진행속도 등은 매우 다름

 NGO 의 내부적 설득작업 필요: NGO 는 기업과의 파트너십으로 인해 타시민단체와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배신자”로 낙인찍히지 않기 위해 내부 로비가 필수적이고 이러한 이유로 파트너십이 실패하는 경우도 존재

 기업과 NGO 가 이용가능한 자원차로 인한 문제: 기업은 NGO 의 파트너십에 대한 기여도가 낮다고 생각하고, NGO 는 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자본력과 인력을 가지면서도 기여도가 낮다고 생각

3. Part 2: 위험요소와 기회요인

 위험요소와 기회요인 분석

 파트너십 목표화 활동이 부합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4)

 파트너십 초기에 인지된 위험요소와 기회요인이 협력 이후 변화 가능

 기업과 NGO 는 파트너십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에 노력

 NGO

 기회요인

 자금제공: 파트너십을 통해 지속적인 재정자원 확보

 경영과 기술적 전문성: 기업이 제공하는 기술력과 학습기회 이용 가능

 내부 지식: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의 내부적 운영에 대한 지식획득 가능, 캠페인 전개의 초석 제공

 산업계 변화의 기회: 기업 활동의 변화가 산업 전반에 영향 미칠 수 있음

 새로운 해결방안: 정부에 실망한 NGO 가 기업으로부터 새로운 해결방안 모색 가능

 신용: 파트너십은 정부, 기업, 대중의 NGO 에 대한 신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며 문제를 제기하기 보다는 해결방안을 모색하려는 태도가 긍정적으로 작용 가능

 위험요소

 추가적 업무/비용: 캠페인에 사용가능한 자원의 낭비

 Co-option: 캠페인과 원칙에 대해 NGO 스스로 타협

 신용: 관련단체, 대중, 가장 중요 그룹인 자금제공자 사이에서 신용을 잃을 수 있음

 분열: “배신행위”와 연결지어, 급진적운동가들이나 동일 사안에 종사하는 단체 사이에서 분열이나 의견불일치 조장 가능

 유화정책 전개의 역할 수행: 특히, 개발도상국 내에서 기업을 대신하여 지역사회연계업무를 NGO 가 도맡아옴

 조직: 파트너십이 조직에게 관료주의, 형식주의, 침체 조장 가능

 문화의 변화: 측정이 어려운 기업문화에 파트너십이 어떤 영향을 가져올 것인가?

 기업

 기회요인

 대립의 감소: NGO 캠페인이나 보고에 사전대응 가능

 시장 개발: NGO 와의 협력으로 제품 판매환경과 인프라를 구축하고, 상업적 파트너/네트워크 파악 가능

 브랜드 구축: 파트너십이 직접적 판매전략(BTL: below-the-line)의 일환으로 기능

 언론관계: 언론과의 관계 향상, 기업에게 우호적인 기사 게재 가능

(5)

 재정적 혜택: 예를 들면, 윤리적 투자그룹이나 주요 펀드로 재정적 혜택 제공 가능, 주가에 긍정적 영향

 새로운 종류의 제품과 서비스: 예를 들면, 윤리적 제품이나 구체적인 시장조건을 위해 개발된 제품

 기술과 네트워크: 개발 도상국 내에서 우수한 네트워크 보유 가능, 또는 기업이 갖고 있지 않은 기술 보유 가능

 고용인들과 가치에 대한 의견교환: 직원 채용, 로열티 확립, 직원자원프로그램 개발

 위험요소

 파트너의 잘못된 선택: 협력할 NGO 를 찾는 데 따르는 어려움 존재

 법적 위험요소: 계획대로 일이 진행되지 않을 시 어느 쪽이 책임질 것인가?

 시간 낭비: 성과 대비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함

 정보 유출: 기업 운영에 대한 정보 유출이 기업에게 불리한 기사가 될 수 있으며, NGO 와의 계약을 통해 보도를 막을 수 있어도 언론통제는 불가능

 언론관계 실패: 기업명성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언론이 파헤칠 뉴스거리 제공 가능

 수익과 이윤에 피해: 파트너십 자체에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고, 경쟁기업과의 관계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 있음

4. Part 3: 실제적 문제

 파트너 선택

 많은 기업이 NGO 파트너 선택을 가장 어려운 과제로 손꼽음

 기업과 전혀 다른 분야의 NGO 에 대한 파악이 어려우며, NGO 가 언론과 손잡고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악용할 여지도 존재

 기업과 NGO 를 잘 이해하는 파트너십 브로커의 역할이 필수적

 Affinity Solutions(www.affinity-uk.com)이나

www.partnershipbrokers.net 을 이용하여 파트너십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컨설턴트 이용 가능

 기본 규칙

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위해서는 기본규칙과 법으로 구속된 합의사항 필요

 파트너십이 갈등상황에서 시작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는 견해 존재: 갈등상황으로 인해 기업과 NGO 가 서로 연계해야 할 필요성을 느낌

(6)

 기업과 NGO 가 파트너십을 결성해도 기업은 민감한 기업정보가 NGO 에 의해 유출되지 않길 바라고, NGO 는 파트너 기업에 대한 비판이나 캠페인을 계속 유지하길 원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합의를 도출 하는 데 어려움 존재

 책임과 신뢰

 각각의 업무마다 책임을 명확하게 구분 기업과 NGO 의 파트너십 업무담당자가 바뀌어도 파트너십 유지할 수 있는 역량 필요

 커뮤니케이션 사안: 파트너십 관련한 외부 커뮤니케이션 담당자와 언론보도자료 작성과 관련한 신뢰도의 수준 등을 정함

 차이점 수용

 기업과 NGO 의 상반된 성격으로 인하여 공통적 업무에 합의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솔직한 방식으로 의견을 교환하고 서로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

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성취정도와 기간에 대한 합의와 이해 필요

 프로젝트의 각 단계에서 객관적이고 정량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성과 측정 필요

 내부관계자 설득

 타협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파트너십은 논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내부관계자들이 파트너십을 긍정적으로 인지하지 않을 수 있음 내부적 분열이나 의견불일치가 파트너십에 잠재적 피해를 미칠 수 있으므로 NGO 와 기업의 내부관계자들이 파트너십을 완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업무진행속도를 조절

 계획에 차질이 생겼을 시

 어떤 상황에서도 기업과 NGO 측의 의견교환창구를 공개하려는 노력 필요

 파트너십이 종료될 시의 조건과 방법에 대한 논의 필요, 이는 파트너십을 협상하는 데 있어 가장 어려운 부문임

제목 : Business-NGO Partnerships 출처 : Ethical Corporations Report 발행일자 : 2006 년

내용 문의: 김보영 연구원

Tel: 02 6050 3802~4, Fax: 02 6050 3810,E-mail: admin@bisd.or.kr Homepage: www.bisd.or.kr

참조

관련 문서

[r]

제3장 전자상거래

5) Business Process Modeling & Analysis..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다른 수단들, 전화를 통한 지불 수단들을 통한 상품,서비스, 정보 등의 인도. 거래과정 작업흐름과 사업 거래의

z e-비즈니스 자체는 기업 내부 통합 단계를 지나 기업간 통합 단계로 발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해외 선진국에 비해 기업간 통합 단계 진입이 지연되고 있음.

공기업, 금융자격증을 준비하는 학술 동아리 공부 잘하는 학생과 잘 노는 학생들이 많아요~. 혁신도시

# 청년 벤처창업 : 기술기반 - Digital Business, Silver business, Multimedia Business, Technology Innovation Business, etc - 확실하고 장기적인 수익모델 분야

Marginal Line에 맞추어 Inside Address 위에, 또는 Salutation과 같은 Line. – File NO.~;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