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소 마취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소 마취제 "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이명의 치료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이 호 기·최 현 승

Current Treatment Modalities for Tinnitus

Ho-Ki Lee, MD and Hyun-Seung Choi, M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현대 사회가 발전하고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서 질병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삶의 질을 추구하는 환경 이 되고 있다. 특히 노인 인구의 증가와 산업화에 따른 소음의 증가, 복잡해지는 생활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이명 환자가 늘어나고 있어 전체 성인의 30%

정도가 이명을 갖고 있으며 성인의 5%는 이명으로 인 해 고통을 받고 있고, 1%는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 이명은 외부로부터의 소리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느껴지는 이상 음감을 말하는 것으로, 다양한 특성을 갖 고, 복잡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환자 자신의 주관적인 증상으로 표현되며, 청각계의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하고, 중추신경계 및 정서와 깊은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그 치료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명의 치료를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제시 되었고 다양한 치료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치료법 에는 약물치료, 수술, 보청기, 이명차폐기, 자극 및 물리적 방법, 이명재훈련치료, 대체요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약 물 치 료

약물치료는 아직까지 안전하고 확실한 효과가 있는 약

제가 없고, 그 작용부위 및 기전이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은 한계가 있다. 부작용으로 내성의 발생과 금단현상 이 있을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습관화 과정이나 치료를 통한 습관화 과정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 리 몸의 신경생리학적, 생화학적 이해, 신경전달 물질 및 신경세포에 관하여 더 많은 연구가 이명의 발생과 지속, 그리고 치료에 대한 답을 제시해줄 것으로 보인다.

이명은 대부분 만성적이기 때문에 이명의 치료에 필요 한 약물 선택에는 다음과 같은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한 다. 즉, 약물투여 양과 사용기간, 약물의 일시적, 영구적 부작용, 약물 의존이나 중독의 가능성, 금단 증상 또는 내 성 여부, 정상적인 습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습관화 훈련에 방해가 되지 않는지 등을 반드시 고려하여 약물 선택을 해야 한다.

이명 치료 약물은 주로 세 가지 약리 기전이 있는데, 첫째, 중추 신경계의 반응을 조절하여 신경 반응에 영 향을 주는 것, 둘째, 직접・간접적으로 와우 내의 반응 변화를 유도하는 것, 셋째, 이명에 대한 환자의 내성을 도와주는 기전이다. 이러한 약물에는 진정제와 항경련제, 항불안제, 국소 마취제, prostaglandin agonist, Ca++

channel 차단제, 혈관 확장제, 은행나무추출물, 아스피 린, GABA agonist, glutamate 수용체 작용 약물 등이 있다(Fig. 1).

진정제 및 항경련제

Benzodiazepine계 약물은 이명에 가장 흔히 처방되는 약물로 항불안, 진정효과를 가지고 있다. Johnson 등은 alprazolam(Xanax, 250 mg tablets)을 이명 환자 치료 교신저자:이호기, 137-720, 서울 강남구 도곡동 146-9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3497-3460, 3462 전송:(02) 3463-4750

E-mail:hokilee@yumc.yonsei.ac.kr

(2)

에 이용하여 17명 중 13명(76%)에서 이명 치료 효과 를 보고하였다.1) 이 약물은 GABAergic 효과를 보이고, 의존 및 중독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ood- hill은 carbamazepine(Tegretol, 100~200 mg tablets) 을 이용하여 좋은 연구 결과를 보고 하였으나,2) 후에 Goo- dey, Lechtenberg 등의 연구에서는 다른 결과를 보고 하였다.3) 부작용으로는 위장관계 통증 및 졸음, 불안정 등이 있다.

항우울제

Sullivan 등은 nortriptyline(Allegron, Motipress, Moti- val, 25 mg tablets)을 치료에 이용하여 불안, 이명 연관 무기력, 이명의 크기에 효과를 보인다고 하였고, Dobie 등은 우울증에는 좋은 효과를 보이지만 이명에는 효과가 좋지 않다고 보고한 바 있다.4)

국소 마취제

Lidocaine(lignocaine, xylocaine)은 국소 마취, 항부정 맥, 항경련 작용이 있으며, 정맥 주입을 통해 투여하면 수 분에서 수 시간 내에 효과를 보인다. 이 약물은 중추청각 경로와 와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akata, Umeda, Coles 등은 고실내 lidocaine 주입하여 치료를 시도하였으나 현훈 등의 부작용을 보고하였다.5)6)

경구 국소 마취제는 tocainide hydrochloride(Tonacard,

400 mg tablets), flecainide acetate(Tambocor, 100 mg tablets), mexiletine(Mexilin, 100 mg tablets)등이 있으 며, 심장전문의의 협조가 필요한 약물로 심혈관계 문제, blood dyscrasia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사실상 임상적 사용이 불가능한 약물이다.

Prostaglandin agonist

Misoprostol(합성 prostaglandin E1)은 아스피린, 일 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aminoglycoside계 항생 제의 와우에 대한 독성을 억제한다. 이는 와우 내의 pro- staglandin 기전의 변화에 따른 청력 감소와 이명을 pro- stagladin agonist가 억제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Briner 등은 24명 중 8명이 약제 활성기 동안 회복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7)

Calcium channel blockers

신경 생리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소리 전달을 위해서는 세포 내외의 calcium 농도가 매우 중요하다. 약물 유발 성 이명이 calcium이 포함된 물질 투여에 의해 약해질 수 있으며, Jastreboff는 L-type calcium channel blockers 가 약물 유발성 이명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를 하였다.8)

Davies 등은 nimodipine(Nimotop, 30mg tablets)를 이명 환자에 투여하여 31명 중 5명이 큰 효과를 보였고 2명은 악화됨을 보고하였다.9) 효과를 보인 환자 중 4명

Modulation of neural responses

Modification of cochlear responses

Antidepressants

Local anesthetics Ginkgo biloba

Vasodilators Prostaglandin agonists

Drugs acting on glutamate receptors Calcium channel blockers Aspirin

Sedatives & anticonvulsants

GABA agonists Psychotrophic

drugs

Fig. 1. Pharmacolo- gic approaches.

(3)

에 대해서는 4주간 약제를 더 투여하고, 최소 차폐 강도 측정으로 이명의 감소를 증명하였다.

혈관 확장제

혈관 확장제는 대뇌 혈류 향상 효과가 있으며, nicoti- nic acid(Hexopal, 500 mg tablets Ronicol, 500 mg tablets), naftidrofuril oxalate(Praxilene, 100 mg capsu- les), betahistine hydrochloride(Serc, 8 and 16 mg tab- lets) 등이 있다. 특히 betahistine은 메니에르병에 효과 가 있으며 미로의 순환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지 만 일부 환자에서 현훈의 정도와 빈도를 감소시키는 데 는 효과를 보이나 이명에 대한 효과는 확실치 않다.

Ginkgo biloba extracts

고사리류의 잎에서 추출한 물질로 오랜 역사의 한방의 학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혈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특 히 만성적인 뇌혈류장애나 말초 혈관 질환, 망막 질환, 현훈증상에 효과가 있다. 이명에 대한 효과적이라는 보 고가 있지만, Holgers 등의 연구에 의하면 이런 긍정적 인 결과만 보인 것은 아니었다.10)

Aspirin

이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약제로 이명환자에서는 피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이 약제는 자발 이음향방사를 억 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자발 이음향방사와 관련 된 이명 환자에서 효과를 보인다. 또한 비정상적으로 큰 변조 이음향방사를 가진 환자의 이명과 소리과민증에도 아스피린이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다.

Gamma aminobutyric acid(GABA) agonists

Baclofen(Baclofen, Lioresal, 10 mg tablets)은 GA- BAB 수용체에 선택적인 약제로 삼차신경통의 치료에 사 용되고, 근육 긴장도를 증가시킨다. Caspary와 Szczepa- niak 등은 L-Baclofen이 와우핵 내에 효과를 미쳐 이 명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11)12) 또 Westerberg 등은 이명에 대한 baclofen의 효과에 대한 이중 맹검 위약 대 조 연구에서 위약 그룹에서는 32명 중 1명(3.4%), ba- clofen 그룹에서는 31명 중 3명(9.7%)이 이명 호전을

보였다고 하였다.13) 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부작용으로는 혼란, 졸음, 어지러움증, 위장관계 부작용 이 있었다.

Glutamate 수용체 작용 약물

진경작용이 있는 caroverine은 와우 내의 glutamate 수 용체에 효용제로서 작용한다. Glutamate와 glutamate 수용체의 기능부전은 노인성 난청, 소음성 난청, 메니에 르병, 돌발성 난청을 비롯한 내의 질환의 다양한 범위를 포함하고 있다. Denk 등은 이명에 대한 효과를 보기 위 한 맹검 연구에서 caroverine 정맥 내 주입 후 대상의 50%에서 이명의 감소를 보고하였다.14) 와우 기원의 이 명에 caroverine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 술

약물이나 보존적 치료가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 수술 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내이 파괴 수술은 1928년 Jones와 Knudsen 에 의해 보고 되었지만 위험하고 효 과도 크지 않았다. 최근 와우신경과 전정신경 절제술에 대한 경험을 통하여 이명 발생이 중추 신경계 쪽에 있을 수 있고, 내이의 제거로 항상 이명의 감소를 가져올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House와 Brackmann은 메니에르병에서의 전정와우 신 경절제술 후, 이명 환자의 25%가 증상 호전을 보였고, 17명 중 1명(6%)에서 이명이 악화되었다고 보고하였 다.15) Pulec은 151예의 와우 신경 절제술 후에 67%가 이명의 완전 회복, 28% 이명감소, 5%는 이명이 증가되 었다고 보고하였다.16) Moller 등은 72예의 혈관 감압술 이후, 18% 완전 회복, 22% 상당한 이명 감소, 11%는 이명이 약간 감소되었으며, 46% 변화가 없었고 3%는 증 상 악화됨을 보고하였다.17) 최근 와우신경 절제술은 술전 질환이 없었던 환자의 약 50%에서 실제로 이명을 유발 할 수 있음을 보여준 연구결과도 있었다.

Warrick은 성상신경절 차단 또는 절단술을 보고하였 는데, 이는 허혈 이론에 기본을 둔 것으로 와우로의 혈 류 증가를 통해 메니에르병 환자의 56%, 특발성 이명의 27%에서 효과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18)

(4)

보청기/이명 차폐기

외부음은 많은 환자에서 이명을 없애주기 때문에 일시 적인 회복을 위해 외부음을 이용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1928년 Jones와 Knudsen에 의해 처음으로 이명차폐 기가 개발되었고, 1947년 Saltzman와 Ersner가 보청기 차폐기를 고안하였으며, 1977년 Vernon에 의해 상업적 인 차폐기가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차폐의 방법으로는 바 람 소리, 라디오 소리와 같은 배경음을 이용하기도 하고, 협소대역음(narrow band), 광역대역음(broad band)이 이용되기도 한다. 이명차폐기와 보청기를 같이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일정 부분의 이명은 외부 음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데 이는 순음이나 잡음이 이명을 차폐할 수 있다는 의미이 다. Vernon에 따르면 491명 중 91%의 환자가 완전 차 폐가 가능했다고 하였다.19) 일정 기간의 차폐 후에 이명 은 다양한 시간 동안 변할 수 있다. Vernon과 Meikle에 따르면 환자의 89%가 부분적 혹은 완전 잔여 억제를 보 였으며 잔여 억제의 50%는 2분을 넘지 않는다고 하였 다.20) 이명차폐의 성공여부는 환자의 종류, 상담의 질, 격려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자극 및 물리적 방법

자기 자극법

Roland 등은 근골격계의 통증 치료에 이용되는 낮은 주파수의 파동성의 전자기파를 이명환자의 유양동에 적 용하여, 플라시보 군에서는 12.6%의 효과를 보인 반면 에 실험군에서는 22.6%의 효과를 보였다고 하였다.21)

초음파 자극법

상악동의 초음파 조사 후에 이명의 호전이 우연히 관 찰된 바가 있어, Carrick 등은 초음파 조사를 통하여 이 명 환자 40명 중 16명에서 이명의 호전을 보였고, 플라 시보 군은 3명만 호전을 보였음을 보고하였다.22) 그러나 Rendell 등은 유용성을 입증하는데 실패하였다.23)

저강도 레이저 자극법

저강도의 레이저는 경부 근육, 턱주위의 trigger-point 를 자극하여 근육의 통증 경감에 이용되기도 한다. Witt 와 Von Wedel 등은 ginko가 레이저 광자의 조직 민감 도를 높이기 때문에 저강도의 레이저를 ginko 정맥 제재 투여 후 유양동에 조사하여 50% 이상의 효과를 보고하 였다.24) 하지만 이는 대조군 실험이 없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전기적 억제

Hatton과 Portman 등은 직류 전류가 이명 환자의 46~

66%까지 증상의 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보고한 바 있 고,25) Graham 등은 고실로의 교류 전류가 이명 환자의 10~58%에서 이명 억제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26) 또한 Vernon과 Fenwick은 경피(transcutaneus) 교류 전류 가 22% 이명 개선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한 바 있다.27)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는 골의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데, Engelberg와 The- dinger 등은 낮은 강도의 정방형의 파나 biphasic 직 류 전류를 이개나 유양동에 적용함으로써 유의한 성공 률을 보고하였다.28)29) 하지만 Thedinger 등은(1987) 30명 중 단 2명에서만 확실한 효과를 보였다고 하였다.

이 후 특별히 고안된 헤드폰이나 보청기 모양의 자극기 가 생산되었다.

Tyler와 Keisay는 인공 와우를 시술 받은 환자가 이 명의 감소를 경험한다고 하였고,30) House는 고도의 청 력 손실을 가지고 단극성의 인공와우를 이식받은 5명의 환자 중 1명이 400~16000 Hz에서 이명이 감소하였다 고 보고하였다.31) 또한 Hazell 은 단극성의 인공 와우 를 이식받은 6명 모두 100 Hz에서 이명의 감소를 보였 다고 발표한 바 있다.32)33)

침 술

침술이 이명 치료에 이용되기도 하지만, 대조군 실험 이 거의 없다는 단점이 있다. Hansen 등은 전통적인 한 방 침 놓은 위치와 그렇지 않은 곳을 비교하였고,34) Marks 등은 삽입, 비삽입 바늘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 는데 다양한 성공 또는 실패율의 치료 결과를 보였다. 35)

(5)

고압 산소 치료

고압 산소는 청각 외상이나 혈관기능 부전의 원인으로 발생한 돌발성 난청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갑작 스러운 이명의 치료에도 시도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임 상적인 실험을 통한 보고는 많지 않다.

이명 재훈련 치료

(Tinnitus retrainingtherapy,TRT)

1988년 Jastreboff 등이 동물모델을 통하여 이명 재 훈련 치료(tinnitus retraining therapy, TRT)를 개발하 였으며, 1990년 최초로 임상에 응용하여 이명 치료의 새 로운 접근 방법으로 인정되어36-38) 국내외의 많은 연구에 서도 이명 재훈련 치료의 효과에 대한 보고가 있다.39-44) 이명 재훈련 치료는 환자를 적절히 평가하여 치료 방침 을 설정한 후 개인 별 상담을 통한 재훈련과 소리 치료 를 시행한다. 환자의 평가는 이명 설문지를 포함한 환자 의 병력 조사와 기본적인 청각학적 평가 및 의학적 평 가를 통해서 이명의 원인 확인과 이명의 정도, 청각 과 민 및 난청의 유무에 따라 치료 범주를 결정한다. 지도 상담(directive counseling)은 청각 기관의 기본적인 구 조와 이명의 기전에 대해 Jastreboff 모델을 이용해서 자 세하게 설명하며, 이 과정을 통해서 이명에 대한 불필요 한 공포를 없애고 이명 현상에 적응을 할 수 있는 계기 를 마련해 준다. 이명에 대하여 자율 신경계와 감정의 반 응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서 궁극적으로는 변연계(limbic system)와 자율신경계의 습관화(habituation)를 유도하 고, 나아가서는 이명에 대한 인식(perception)을 습관화 하는 것이다.45) 환자에 따라서는 소리발생기(noise ge- nerator)나 보청기를 사용하여 적절한 외부 소리를 들려 줌으로써 이명의 감지 정도를 감소시키고 점차적으로 중 추신경계에서 적절한 변화를 유도하여 이명의 습관화를 유도한다.46) 이명 습관화의 과정은 약 1년의 기간이 필 요하며 대뇌에서 적응이 완전히 일어나기 위해서는 1년 6개월 가량이 소요된다. 현재까지 약 80%의 치료 효과 를 보고하고 있으며 이명 치료의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39-44)

대체 요법(보완적 치료)

건강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이 아직까지 확립된 내과적, 외과적 치료가 없어 과학에 기본을 둔 의학에서 벗어나 민간요법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대체 치 료는 주로 편안함을 가져오거나 치유을 촉진하는 많은 방 법들로 발전되어 왔다. 최근 많은 환자들은 여러 대체 의 학 전문가들로부터 이러한 방법에 대해 배운다. 그러므 로 올바른 이명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열린 마음으로 이것들에 대한 자각과 지식이 요구된다. 대체 치료에는 생체자기제어(biofeedback), 척주지압요법, 정골요법(os- teopathy), 식이요법, 허브학(herbology), 동종요법(ho- meopathy), 최면요법(hypnotherapy), 안마치료, 긴장 완화 및 명상, 반사학(reflexology), 알렉산더 요법 등 수 많은 방법이 있다.

중심 단어

:이명・치료

REFERENCES

1) Johnson RM, Brummett R, Schleuning A. Use of alprazolam for relief of tinnitus. A double-blind stud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3;119:842-5.

2) Goodhill V. Ben H. Senturia lecture. Leaking labyrinth le- sions, deafness, tinnitus and dizziness. Ann Otol Rhinol La- ryngol 1981;90:99-106.

3) Goodey RJ. Drugs in the treatment of tinnitus. Ciba Found Symp 1981;85:263-78.

4) Dobie RA, Sakai CS, Sullivan MD, Katon WJ, Russo J. An- tidepressant treatment of tinnitus patients: report of a ran- domized clinical trial and clinical prediction of benefit. Am J Otol 1993;14:18-23.

5) Sakata E, Umeda Y, Takahashi K, Ohtsu K. [Treatment of the cochlear tinnitus blocking therapy with 4% lidocaine (au- thor’s transl)] Nippon Jibiinkoka Gakkai Kaiho 1976;79:

741-6.

6) Coles RR, Thompson AC, O’Donoghue GM. Intra-tympanic injections in the treatment of tinnitus. Clin Otolaryngol 1992;17:240-2.

7) Briner W, House J, O’Leary M. Synthetic prostaglandin E1 misoprostol as a treatment for tinnitu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3;119:652-4.

8) Chen GD, Jastreboff PJ. Salicylate-induced abnormal activity in the inferior colliculus of rats. Hear Res 1995;82:158-78.

9) Davies E, Knox E, Donaldson I. The usefulness of nimodipine, an L-calcium channel antagonist, in the treatment of tinnitus.

Br J Audiol 1994;28:125-9.

10) Holgers KM, Axelsson A, Pringle I. Ginkgo biloba extract

(6)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Audiology 1994;33:85-92.

11) Caspary DM, Rybak LP, Faingold CL. Baclofen reduces tone-evoked activity of cochlear nucleus neurons. Hear Res 1984;13:113-22.

12) Szczepaniak WS, Moller AR. Effects of L-baclofen and D- baclofen on the auditory system: a study of click-evoked potentials from the inferior colliculus in the rat. Ann Otol Rhinol Laryngol 1995;104:399-404.

13) Westerberg BD, Roberson JB Jr, Stach BA.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baclofen in the treatment of tinni- tus. Am J Otol 1996;17:896-903.

14) Denk DM, Heinzl H, Franz P, Ehrenberger K. Caroverine in tinnitus treatment. A placebo-controlled blind study. Acta Otolaryngol 1997;117:825-30.

15) House JW, Brackmann DE. Tinnitus: surgical treatment. Ciba Found Symp 1981;85:204-16.

16) Pulec JL. Cochlear nerve section for intractable tinnitus. Ear Nose Throat J 1995;74:468, 470-6.

17) Moller MB, Moller AR, Jannetta PJ, Jho HD. Vascular de- compression surgery for severe tinnitus: selection criteria and results. Laryngoscope 1993;103:421-7.

18) Warrick JW. Stellate ganglion block in the treatment of Me- niere’s disease and in the symptomatic relief of tinnitus. Br J Anaesth 1969;41:699-702.

19) Vernon J. Conservative treatment of tinnitus in Meniere’s disease. Am J Otol 1988;9:201-2.

20) Vernon JA, Meikle MB. Tinnitus masking: unresolved pro- blems. Ciba Found Symp 1981;85:239-62.

21) Roland NJ, Hughes JB, Daley MB, Cook JA, Jones AS, McCormick MS. Electromagnetic stimulation as a treatment of tinnitus: a pilot study. Clin Otolaryngol 1993;18:278-81.

22) Carrick DG, Davies WM, Fielder CP, Bihari J. Low-powered ultrasound in the treatment of tinnitus: a pilot study. Br J Audiol 1986;20:153-5.

23) Rendell RJ, Carrick DG, Fielder CP, Callaghan DE, Thomas KJ. Low-powered ultrasound in the inhibition of tinnitus. Br J Audiol 1987;21:289-93.

24) von Wedel H, Calero L, Walger M, Hoenen S, Rutwalt D.

Soft-laser/Ginkgo therapy in chronic tinnitus. A placebo- controlled study. Adv Otorhinolaryngol 1995;49:105-8.

25) Portmann M, Negrevergne M, Aran JM, Cazals Y.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ear: clinical applications. Ann Otol Rhinol Laryngol 1983;92:621-2.

26) Graham JM, Hazell JW.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human cochlea using a transtympanic electrode. Br J Audiol 1977;

11:59-62.

27) Vernon JA, Fenwick JA. Attempts to suppress tinnitus with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5;93:385-9.

28) Engelberg M, Bauer W.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for tinnitus. Laryngoscope 1985;95:1167-73.

29) Thedinger BS, Karlsen E, Schack SH. Treatment of tinnitus

with electrical stimulation: an evaluation of the Audimax Theraband. Laryngoscope 1987;97:33-7.

30) Tyler RS, Kelsay 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reported by some of the better cochlear-implant patients. Am J Otol 1990;11:282-9.

31) House JW. Therapies for tinnitus. Am J Otol 1989;10:163-5.

32) Hazell JW, Meerton LJ, Conway MJ. Electrical tinnitus sup- pression (ETS) with a single channel cochlear implant. J Laryngol Otol Suppl 1989;18:39-44.

33) Hazell JW, Jastreboff PJ, Meerton LE, Conway MJ. Electri- cal tinnitus suppression: frequency dependence of effects.

Audiology 1993;32:68-77.

34) Hansen PE, Hansen JH, Bentzen O. Acupuncture treatment of chronic unilateral tinnitus-a double blind cross-over trial.

Clin Otolaryngol 1982;7:325-9.

35) Marks NJ, Emery P, Onisiphorou C. A controlled trial of acupuncture in tinnitus. J Laryngol Otol 1984;98:1103-9.

36) Jastreboff PJ. Phantom auditory perception (tinnitus): me- chanisms of generation and perception. Neurosci Res 1990;

8:221-54.

37) Jastreboff PJ, Sasaki CT. An animal model of tinnitus: a decade of development. Am J Otol 1994;15:19-27.

38) Berry JA, Gold SL, Frederik EA, Gray WC, Staecker H.

Patient-based outcomes in patients with primary tinntus un- dergoing tinnitus retraining therap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2;128:1153-7.

39) Lee HK. Tinnitus retraining therapy. Korean J Audiol 2002;

6:71-5.

40) Park SN, Yeo SW, Chung SH, Lee SJ, Park YS, Suh BD.

Clinical implication and therapeutic efficacy of tinnitus ret- raining therapy. Korean J Otolaryngol 2002;45:231-7.

41) Lee HK, Kim CW, Chung MH, Kim HN. The effectiveness of the directive counseling in tinnitus retraining therapy.

Korean J Otolaryngol 2003;in press.

42) Kroener-Herwig B, Biesinger E, Gerhards F, Goebel G, Grei- mel KV, Hiller W. Retraining therapy for chronic tinnitus:

a critical analysis of its status. Scand Audiol 2000;29:67-78.

43) Jastreboff PJ, Jastreboff MM. Tinnitus retraining therapy (TRT) as a method for treatment of tinnitus and hyperacusis patients. J Am Acad Audiol 2000;11:162-77.

44) Bartnik G, Fabijanska A, Rogowski M. Effects of tinnitus retraining therapy (TRT) for patients with tinnitus and sub- jective hearing loss versus tinnitus only. Scand Audiol 2001;

30:206-8.

45) Jastreboff PJ, Hazell JWP, Graham RL. Neurophysiological model of tinnitus: dependence of the minimal masking level on treatment outcome. Hear Res 1994;80:216-32.

46) Baguley DM, Beynon GJ, Thornton F. A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ear canal resonance and hearing loss upon white noise generators for tinnitus retraining therapy. J Laryngol Otol 1997;111:810-3.

수치

Fig. 1. Pharmacolo- Pharmacolo-gic approaches.

참조

관련 문서

(Background) The standard triple therapy used as the first-line treatment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re a combination of proton pump inhibitor(PPI),

 정지운전 모드에서 장기 교류전원상실 사고 연구 수행 [Supplemental Information for Operator Response to Extended Loss of AC Power in Modes 4, 5 and 6,

JST일자리지원본부 취업과 창업 업무를 통합해 원스톱 일자리 서 비스를 지원한다. JST일자리종합센터 인천의 구직자 및 구인 업체에 취업 지원 서 비스를

The desalted crude is then sent to another series of heat exchangers (6 10) for heating to 427 o F then sent to exchangers (6-10) for heating to 427 o F, then, sent

– Example, for a desert project, the engineer might have to go as high as 6% above the optimum water content as a target for all water application calculations so that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PBA and 6-gingerol induced the cleavage of caspase-3, caspase-4, PARP, GRP78, p-eIF2α, and CHOP in DU145 cells and Western blot analysis for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is an economical green technology, however, the effluent water quality of a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i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aromatherapy pimple treatment program with the pimple skin care and treatment by testing the act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