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및 Fy 항원과 관련된 대립유전자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 및 Fy 항원과 관련된 대립유전자 분석"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Fy

a

, Fy

b

, Fy

x

및 Fy 항원과 관련된 대립유전자 분석

박경운, 전애란1, 허세란1, 송정한, 한규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검사의학교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1

= Abstract =

Alleles for Associated with Fya, Fyb, Fyx and Fy Antigens in a Korean Population

Kyoung Un Park, Ae Ran Jeon1, Se Ran Heo1, Junghan Song, Kyou Sup Ha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1, Gyeonggi-do, Korea

Background: In the Duffy blood group system (Fya, Fyb, Fyx, and Fy antigens), Fyx antigen is associated with weak Fyb while Fy antigen means the null phenotype Fy (a-b-). Fyx antigen and Fy antigen result from the polymorphisms of Fy125 allele. This report assessed the allele frequency and genotype frequency of Fya, Fyb, Fyx, and Fy antigens in Koreans.

Methods: We performed a study of the followings on 253 visitors to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PCR-RFLP and PCR-SSP for the detection of Duffy 125G>A and -33T>C; PCR-SSP for the detection of Duffy 265C>T and 298G>A.

Results: The results of PCR-RFLP and PCR-SSP were consistent with each other in a total of 253 subjects.

Allele frequency was as follows: Fy 92.3%, Fy125 6.1%, and fy125/265 1.6%. The fy125/265 allele was newly observed. Fy125/298, fy125/265/298

, and fy-33/125 alleles were not detected in Koreans. The distribution of Duffy phenotypes in Koreans was as follows: Fy (a+b-) 88.1%, Fy (a-b+) 0.4%, Fy (a+b+) 11.5%, and Fy (a-b-) 0.0%. Fy (a+) was 99.6% and Fy (b+) was 11.9%.

Conclusion: In our study for Duffy polymorphisms, the frequency of Fy allele was very high. The frequency was similar to those of other Asian populations, but different from those of Caucasians. The fy125/265 allele, which was associated with Fyx antigen, was newly detected in Koreans. (Korean J Blood Transfusion 16(2) : 209∼217, 20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Duffy blood group, Fyx, Polymerase chain reaction, Genotype, Phenotype, Allel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책임저자:한 규 섭 110-744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28 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2)

서 론

Duffy 혈액형군(국제수혈학회 혈액형번호 008) 에는 Fya, Fyb, Fyx 및 Fy 항원 등이 포함된다. Fyx 는 발현이 약화된 Fyb 항원으로서, 항-Fyb와 매우 약하고 다양한 반응을 보이며 백인에서 2% 정도 의 표현형빈도를 보인다1). Fy 항원은 아프리카계 미국인(African American)에서 발견되는 Fy (a-b-) 표현형을 의미한다. Fyx 및 Fy 항원은 Fy125 대립 유전자의 다형성에 기인한다2-4).

Duffy 혈액형군의 주요 항원들에 대해 클로닝 및 염기서열분석 등의 기법을 통해 밝혀진 분자 유전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5-10). Duffy 당단 백질을 산물로 하는 Duffy 유전자는 염색체 1q23.2 에 위치한다9). 면역원으로서 Duffy 항원은 Kell 항원보다 40배 정도 더 약하며, 대부분의 Duffy 항체는 수혈에 의하여 형성된다10).

지금까지 한국인에서 Duffy 대립유전자 분석은 Fya 및 Fyb 항원과 관련된 Duffy 125G>A의 검출 에 한정되었고, 또한 표현형의 분포에 대한 보고가 연구자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11,12). 저자들은 Duffy 혈액형군(Fya, Fyb, Fyx, Fy 항원) 과 관련된 다양한 다형성(Duffy 125G>A, -33T

>C, 265C>T, 298G>A)의 분석을 통해 한국인 에서의 Duffy 대립유전자빈도 및 유전형빈도를 조사하고, 기존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 를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2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핵산추출에는 QIAamp blood mini kit (Qiagen, Hilden, Germany)를 이용하 였다.

1. Duffy 125G>A 검출

1) 중합효소연쇄반응-제한절편길이다형성(PCR- RFLP)

중합효소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 tion)에는 FY125-F1 (5'-TCC CCCTCAACTGAG AACTC-3')과 FY125-R1 (5'-AAGGCTGAGCCAT ACCAGAC-3') 시발체를 이용하였다13,14). 중합효 소연쇄반응의 반응액(25μL)은 다음과 같았다:

10 × buffer 2.5μL, dNTPs 2μL (2.5 mM), 시발체 (10 pmol) 각각 1μL, 0.625 단위 Taq 중합효소 (Takara, Shiga, Japan), 핵산추출물 2.5μL. 94oC에 서 5분간 초기변성을 시행하였고, 연속하여 35회 의 증폭반응(94oC 20초, 62oC 15초, 72oC 20초)을 실시한 후, 최종연장반응을 72oC에서 5분간 시행하 였다. 증폭된 산물을 BanI 제한효소로 절단(37oC, 18시간)하여 제한절편길이다형성(RFLP: restrict- ion enzyme length polymorphism)을 관찰하였다.

2) 염기서열특이시발체를 이용한 중합효소연 쇄반응(PCR-SSP)

125G 대립유전자의 검출을 위한 PCR-SSP (poly- merase chain reaction using sequence-specific pri- ming)의 시발체로 FY125-F2 (5'-GCCCTCATTAG TCCTTGG CTCTCAT-3')와 FY125G-R2 (5'-CAG CTGCTTCCAGGTTGCCAC-3')를 이용하였고, 125A 대립유전자의 검출을 위한 시발체로 FY125-F2와 FY125A-R2 (5'-CAGCTGCTTCCAGGTTGGTAT- 3')를 이용하였다1). 각각의 중합효소연쇄반응에 는 정도관리를 위하여 HGH-F (5'-TGCCTTCCCA ACCAT TCCCTTA-3')와 HGH-R (5'-CCACTCAC GGATTTCTGTTGTGTTTC-3') 시발체를 포함시 켰다. 중합효소연쇄반응의 반응액(25μL)은 다음 과 같았다: 10 × buffer 2.5μL, dNTPs 2μL (2.5 mM), 대립유전자 검출을 위한 시발체(10 pmol)

(3)

각각 1μL, HGH 시발체(10 pmol) 각각 0.5μL, 0.625단위 Taq 중합효소(Takara, Shiga, Japan), 핵 산추출물 2.5μL. 94oC에서 5분간 초기변성을 시 행하였고, 연속하여 35회의 증폭반응(94oC 30초, 63oC 30초, 72oC 30초)을 실시한 후, 최종연장반 응을 72oC에서 5분간 시행하였다. 증폭된 산물은 ethidium bromide (0.5μg/mL)를 포함하는 2% 아 가로오즈겔에서 100 V, 20분 동안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다.

2. Duffy -33T>C 1) PCR-RFLP

중합효소연쇄반응에는 FY33-F1 (5'-CAAGGC CAGTGACCCCCATA-3')과 FY33-R1 (5'-CATGG CACCGTTTGGTTCTC-3') 시발체를 이용하였다14). 시발체의 종류 및 핵산추출물을 1μL 분주한 점 을 제외하고는 증폭 반응액의 구성은 PCR-RFLP 방법에 의한 125G>A 검출의 경우와 같았다.

94oC에서 5분간 초기변성을 시행하였고, 연속하 여 35회의 증폭반응(94oC 30초, 60oC 30초, 72oC 30초)을 실시한 후, 최종연장반응을 72oC에서 5 분간 시행하였다. 증폭산물을 StyI 제한효소로 절 단(37oC, 18시간)하여 제한절편길이다형성을 관 찰하였다.

2) PCR-SSP

시발체로 FY33-F2 (5'-GCCCTCATTAGTCCTT GGCTCTCAC-3')와 FY125A-R2 (5'-CAGCTGCT TCCAGGTTGGTAT-3')를 이용하였다1). 각각의 중합효소연쇄반응에는 정도관리를 위하여 HGH- F와 HGH-R 시발체를 포함시켰다. 시발체의 종류 를 제외한 증폭 반응액의 구성은 PCR-SSP 방법 에 의한 125G>A 검출의 경우와 같았다. 증폭을 위하여 94oC에서 5분간 초기변성을 시행하였고,

연속하여 30회의 증폭반응(94oC 60초, 63oC 60초, 72oC 60초)을 실시한 후, 최종연장반응을 72oC에 서 5분간 시행하였다. 증폭된 산물은 전기영동하 여 확인하였다.

3. Duffy 265C>T 검출 (PCR-SSP)

시발체로 FY265-F (5'-GATTCCTTCCCAGATG GAGACTACGA-3')와 FY265-R (5'-GCCAGGGC AGAGCTGCCACCA-3')을 이용하였다1). 각각의 중합효소연쇄반응에는 정도관리를 위하여 HGH- F와 HGH-R 시발체를 포함시켰다. 시발체의 종류 를 제외한 증폭 반응액의 구성 및 증폭조건은 PCR-SSP 방법에 의한 -33T>C 검출의 경우와 같았다.

4. Duffy 298G>A 검출(PCR-SSP)

298G 대립유전자의 검출을 위한 중합효소연쇄 반응의 시발체로 FY298-F (5'-CTGTCCTCCCC TCCCACCTG-3')와 FY298G-R (5'-GCCCACAGC CAGCTG AGC-3')를 이용하였고, 298A 대립유전 자의 검출을 위한 시발체로 FY298-F와 FY298A- R (5'-TGCCCACAGCCAGCTGAGT-3')를 이용하 였다1). 각각의 중합효소연쇄반응에는 HGH-F와 HGH-R 시발체를 포함시켰다. 시발체의 종류를 제외한 증폭 반응액의 구성 및 증폭조건은 PCR- SSP 방법에 의한 -33T>C 검출의 경우와 같았다.

5. 명명법

Duffy 유전자 엑손 1의 시작코돈 ATG의 A를 뉴클레오티드 일련번호의 시작점으로 하였다.

Duffy 혈액형군의 주요 항원들과 관계된 대립유 전자 이름 및 다형성을 Table 1에 정리하였다. 기

(4)

능적 대립유전자는 대문자 이탤릭체로, 비기능적 대립유전자는 소문자 이탤릭체로, 항원 및 표현 형은 비이탤릭체로 표기하였다.

결 과

1. Duffy 125G>A 검출

PCR-RFLP에 있어서 125G 대립유전자가 존재 하면 핵산증폭산물(392 bp)이 BanI 제한효소에 의해 86 bp, 96 bp 및 210 bp로 절단되었고, 125A 대립유전자가 존재하면 86 bp와 306 bp로 절단되 었다(Fig. 1). PCR-SSP에 의한 경우에는 각각의 FY125 시발체의 증폭산물은 715 bp이었고, HGH 시발체의 증폭산물은 434 bp이었다(Fig. 2).

2. Duffy -33T>C 검출

PCR-RFLP에 있어서 -33T 대립유전자가 존재 하면 핵산증폭산물(189 bp)이 StyI 제한효소에 의 해 81 bp와 108 bp로 절단되고, -33C 대립유전자

가 존재하면 20 bp, 61 bp 및 108 bp로 절단된다.

PCR-SSP에 의한 경우에는 -33C 대립유전자의 증폭산물은 715 bp이고, HGH 시발체의 증폭산물 은 434 bp이다.

3. Duffy 265C>T 검출

265T 대립유전자의 증폭산물은 186 bp이었고, HGH 시발체의 증폭산물은 434 bp이었다(Fig. 3).

Table 1. The Duffy blood group system and the allele frequencies of Duffy gene in Koreans from this study Antigen name

Korea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llele name Molecular basis

frequency (%) Popular ISBT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Fya FY1 Fy -33T, 125G (Gly42), 265C (Arg89), 298G (Ala100) 92.3 Fyb FY2 Fy125 -33T, 125A (Asp42), 265C (Arg89), 298G (Ala100) 6.1

Fy125/298 -33T, 125A (Asp42), 265C (Arg89), 298A (Thr100) 0.0

Fyx - fy125/265/298

-33T, 125A (Asp42), 265T (Cys89), 298A (Thr100) 0.0

fy125/265 -33T, 125A (Asp42), 265T (Cys89), 298G (Ala100) 1.6

Fy - fy-33/125 -33C, 125A (Asp42), 265C (Arg89), 298G (Ala100) 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he A of the start codon ATG of exon 1 represents the first nucleotide and amino acid codon, respectively. An allele Fy indicates a functional allele and fy a nonfunctional allele. ISBT: International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Fig. 1. PCR-RFLP analysis of Duffy 125G>A polymorphism. The 392 bp product was cleaved by the BanI digestion. Lane M:

DNA size marker, lane 1: untreated 392 bp product, lane 2∼3: GG, lane 4: GA; lane 5∼6: GG.

306 bp M

210 bp 89 bp + 96 bp

1 2 3 4 5 6

(5)

4. Duffy 298G>A 검출

298G의 증폭산물은 379 bp, 298A의 증폭산물은 380 bp, HGH 시발체의 증폭산물은 434 bp이다.

이번 연구에서 125G>A 및 -33T>C 검출을 위하여 각각 PCR-RFLP 및 PCR-SSP의 두 방법으 로 반복하여 검사하였는데, 253명 모두에서 각각 의 검사방법 사이에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한국 인에서의 Duffy 대립유전자빈도 및 유전형빈도 결과를 Table 2에 정리하였다. 한국인의 Duffy 대 립유전자빈도는 Fy 92.3%, Fy125 6.1%, fy125/265 1.6%이었는데, fy125/265는 새롭게 발견된 대립유전 자이다. Fy125/298, fy125/265/298, fy-33/125 대립유전 자는 한국인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한국인의 Duffy 표현형 분포는 Fy (a+b-) 88.1%, Fy (a-b+) 0.4%, Fy (a+b+) 11.5%, Fy (a-b-) 0.0%였다 (Table 3). Fy (a+)는 99.6%, Fy (b+)는 11.9%이 었다.

고 찰

Duffy 당단백질은 적혈구의 chemokine 수용체 로서 모세혈관후세정맥 내피세포에 대한 proin- flammatory chemokine의 작용을 매개하며, 혈액 내 인터루킨(IL-8)의 제거제(scavenger)로 작용하 여 백혈구에 대한 자극을 억제한다15,16). 또한 Duffy 당단백질은 말라리아 원충인 Plasmodium vivax의 수용체이다17).

Duffy 유전자는 약 1.5 kb (cDNA 1,041 bp)에 걸 쳐 분포하며 2개의 엑손으로 이루어진다18). 엑손 2의 유전자다형성 125G>A에 의해 Fya와 Fyb 항 원이 결정된다13). 발현이 약화된 Fyb 항원인 Fyx 는 Fy125 대립유전자의 265C>T 및 298G>A 다형 성에 의한다4). Fy 항원은 Fy (a-b-) 표현형으로 서 Fy125 대립유전자의 promoter 다형성(-33T>C) 에 기인한다2,3).

이번 연구에서 얻어진 한국인에서의 Duffy 대 립유전자빈도 및 유전형빈도를 백인 및 흑인에서 Fig. 2. Determination of Duffy 125G and 125A al-

leles by PCR-SSP. Each allele was charac- terized by the amplification band of 715 bp.

Primers amplifying a fragment of the human growth hormone gene (locus position 5,559 to 5,992) served as internal positive controls and the common band of 434 bp appeared for both alleles. Lane M: 100 bp DNA size marker, lane 1-G and lane 1-A: negative control, lane 2-G and lane 2-A: GG, lane 3-G and lane 3-A: GA.

M

715 bp 434 bp

1 2 3 4 5 6

G A G A G A

Fig. 3. Determination of Duffy 265T polymorphism by PCR-SSP. Allele 265T was characterized by the amplification band of 186 bp. Primers amplifying a fragment of the human growth hormone gene served as internal positive controls (434 bp). Lane 1 and 3: positive for 265T, lane 2 and 4: negative for 265T, M:

100 bp DNA size marker.

M

434 bp 186 bp

1 2 3 4

(6)

의 빈도와 비교하여 Table 2에 정리하였다. 한국 인의 Duffy 유전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Fy 대립유전자빈도가 92.3%으로 백인이나 흑인에 비해 매우 높았다. 한편, 타이와 인도네시아의 8 개 종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표현형에 근거하여 추정된 Fy 대립유전자빈도는 95.8∼

100.0%였다19). 2) Fy125/298 대립유전자가 발견되지 않았다. Fy125/298 대립유전자는 Fy125 대립유전자 처럼 정상적인 Fyb를 발현한다. 100명의 백인과 100명의 흑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 따르면

Fy125/298 대립유전자는 백인의 33.0%에서 발견되

어 대립유전자빈도는 적어도 16.5%로 추정되었 으나, 흑인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4). 3) 새로운 대립유전자인 fy125/265가 1.6%에서 발견되었다.

Fyx 항원은 Fy125 대립유전자가 265C>T 및 298G

>A라는 두 가지 다형성을 동시에 가지는 경우 에 발현한다. 즉 Fyx 항원은 fy125/265/298 대립유전자 에 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20,21). 100명의 백 인과 100명의 흑인을 대상으로 fy125/265/298 대립유 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PCR-SSP를 시행한 연구에 Table 2. The difference in the putative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Duffy gene between populations

Korean Brazilian-B* Brazilian-C Tanzanian Austrian Phenotype

(n=253) (n=182) (n=179) (n=18) (n=3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Fy/Fy Fy (a+b-) 85.0 4.9 17.9 0.0 17.7

Fy/Fy125 Fy (a+b+) 11.5 7.1 35.2 0.0 47.6

Fy/Fy125/298 Fy (a+b+) 0.0 3.3 3.9 0.0

Fy/fy125/265/298

Fy (a+b-) 0.0 1.7 1.7 0.0 1.3

Fy/fy125/265 Fy (a+b-) 3.1 0.0 0.0 0.0 0.0

Fy/fy-33/125 Fy (a+b-) 0.0 24.2 1.1 0.0 0.7

Fy125/Fy125 Fy (a-b+) 0.4 2.2 35.7 0.0 30.7

Fy125/Fy125/298 Fy (a-b+) 0.0 2.7 2.8 0.0

Fy125/298/Fy125/298 Fy (a-b+) 0.0 0.0 0.0 0.0

Fy125/fy125/265/298

Fy (a-b+) 0.0 0.0 0.0 0.0 1.7

Fy125/298/fy125/265/298

Fy (a-b+) 0.0 0.0 0.0 0.0

Fy125/fy-33/125 Fy (a-b+) 0.0 11.0 0.0 0.0 0.3

Fy125/298/fy-33/125 Fy (a-b+) 0.0 2.2 0.0 0.0

fy125/265/298

/fy-33/125 Fy (a-b-) 0.0 1.7 1.7 0.0 0.0

fy-33/125/fy-33/125 Fy (a-b-) 0.0 39.0 0.0 100.0 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Fy allele Fy (a+) 92.3 23.1 38.8 0.0 42.5

Fy125 allele Fy (b+) 6.1 12.6 54.7 0.0 55.5

Fy125/298 allele Fy (b+) 0.0 4.1 3.4 0.0

fy125/265/298

allele Fy (b-) 0.0 1.7 1.7 0.0 1.5

fy125/265 allele Fy (b-) 1.6 0.0 0.0 0.0 0.0

fy-33/125 allele Fy (b-) 0.0 58.5 1.4 100.0 0.5

PCR method RFLP/SSP RFLP RFLP SSP SSP

Reference This study 20) 20) 1) 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Values are expressed as percentage. * Brazilians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Black, Brazilians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being of Caucasian ancestry

(7)

따르면, 각각 2.5%와 0.0%의 대립유전자빈도를 보였다4). 하지만 한국인에서는 다른 인종에서 Fyx 항원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fy125/265/298

대립유전자는 발견되지 않았고 대신에 1.6%에서

fy125/265 대립유전자가 발견되었다. 한국인에서의

Fyx 항원의 발현은 fy125/265 대립유전자에 의한다.

4) Fy (a-b-)와 관련된 fy-33/125 대립유전자는 발 견되지 않았다.

Fyx 항원은 일반적으로 항-Fyb 시약과의 반응 에서 음성소견을 보이며, 흡착 및 용출을 시행하 여야만 약한 Fyb 항원을 증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면역혈청학적 방법으로는 검출하기 어 려워 Fyb 음성으로 판독하게 된다1,22). 항-Fyb는 급 성 및 지연성 용혈성수혈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 으며23), 항-Fyb를 가진 환자에게는 해당 항원 음 성인 적혈구를 수혈해야만 한다24). Fyx 항원을 가 진 혈액을 수혈하는 경우에 항-Fyb를 가진 환자에 서 이차적인 감작반응 및 적혈구 수명의 단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DNA를 이용한 Duffy 혈액 형군의 분석이 중요하다1,4).

기존에 알려진 한국인의 Duffy 표현형 분포11) 따르면 Fyb 항원 양성률은 43.7%로, 중국인 9.2% 및 일본인 18.5%와 큰 차이를 보였다. 하지 만 이번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에서의 Fyb 항원 양

성률은 11.9%였으며 이는 최근의 다른 보고12) 도 일치한다(Table 3). 교차시험을 위해 혈액을 선 택하는 과정 중 ABO 및 RhD 혈액형이 동일한 혈 액 중에서 Fy (b-)인 적합한 혈액을 찾을 확률을 생각해보면7), 기존에 알려진 한국인에서의 Duffy 표현형 분포에 따르면 56.3%이지만 실제로는 88.1%인 것이다.

요 약

배경 : Duffy 혈액형군은 Fya, Fyb, Fyx 및 Fy 항 원을 포함한다. Fyx 항원은 발현이 약화된 Fyb 고 Fy 항원은 Fy (a-b-) 표현형을 의미한다.

Fyx 항원 및 Fy 항원은 Fy125 대립유전자의 다형 성에 기인한다. 저자들은 한국인에서 Fya, Fyb, Fyx 및 Fy 항원의 대립유전자빈도 및 유전형빈도 를 조사하였다.

방법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

문한 2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Duffy 125G>A 및 -33T>C 검출을 위해 각각 PCR-RFLP 및 PCR-SSP의 두 방법으로 반복하여 검사하였다.

Duffy 265C>T 및 298G>A 검출에는 PCR-SSP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 125G>A 및 -33T>C 검출을 위한 PCR- Table 3. Incidence (%) of Duffy phenotypes in different populations

Korean Korean Korean Caucasian African Chinese Japanese Thai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Fy (a+b-) 88.1 88.1 56.3 17.0 9.0 90.8 81.5 69.0

Fy (a-b+) 0.4 0.5 3.9 34.0 22.0 0.3 0.9 3.0

Fy (a+b+) 11.5 11.4 39.8 49.0 1.0 8.9 17.6 28.0

Fy (a-b-) 0.0 0.0 0.0 0.068.0 0.0 0.0 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Fy (a+) 99.6 99.5 96.1 66.0 10.0 99.7 99.1 97.0

Fy (b+) 11.9 11.9 43.7 83.0 23.0 9.2 18.5 31.0

Reference This study 12) 11) 10) 10) 10) 10) 1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8)

RFLP 및 PCR-SSP의 두 방법의 결과는 253명 모 두에서 일치하였다. 한국인의 Duffy 대립유전자 빈도는 Fy 92.3%, Fy125 6.1%, fy125/265 1.6%이었다.

fy125/265는 새롭게 발견된 대립유전자이며 Fy125/298,

fy125/265/298

, fy-33/125 대립유전자는 한국인에서 발견 되지 않았다. 한국인의 Duffy 표현형 분포는 Fy (a+b-) 88.1%, Fy (a-b+) 0.4%, Fy (a+b+) 11.5%, Fy (a-b-) 0.0%이었다. Fy (a+)는 99.6%, Fy (b+)는 11.9%였다.

결론 : 한국인의 Duffy 대립유전자빈도는 Fy allele이 매우 높아 동양인과는 유사했으나 서구 백인과는 달랐다. 특히, Fyx 항원을 유발하는 대 립유전자 fy125/265는 한국인에서 새롭게 발견된 유 형이었다.

감 사

이번 연구에 도움을 주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광우, 장호은, 진선경 병리사 께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Gassner C, Kraus RL, Dovc T, Kilga-Nogler S, Utz I, Mueller TH, Schunter F, Schoenitzer D.

Fyx is associated with two missense point mutations in its gene and can be detected by PCR-SSP. Immunohematol 2000;16:61-7 2. Tournamille C, Colin Y, Cartron JP, Le Van

Kim C. Disruption of a GATA motif in the Duffy gene promoter abolishes erythroid gene expression in Duffy-negative individuals. Nat Genet 1995;10:224-8

3. Iwamoto S, Li J, Sugimoto N, Okuda H, Kajii E. Characterization of the Duffy gene promo- ter: evidence for tissue-specific abolishment of

expression in Fy (a-b-) of black individua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6;222:852-9 4. Olsson ML, Smythe JS, Hansson C, Poole J,

Mallinson G, Jones J, Avent ND, Daniels G.

The Fyx phenotype is associated with a mis- sense mutation in the Fyb allele predicting Arg89Cys in the Duffy glycoprotein. Br J Haematol 1998;103:1184-91

5. Issitt PD, Anstee DJ. Applied blood group serology. 4th ed. Durham, North Carolina:

Montgomery Scientific Publications, 1998 6. Garratty G, Dzik W, Issitt PD, Lublin DM, Reid

ME, Zelinski T. Terminology for blood group antigens and genes-historical origins and guide- lines in the new millennium. Transfusion 2000;

40:477-89

7. Brecher ME. Technical manual. 14th ed. Bethe- sda, Maryland: American Association of Blood Banks, 2002

8. Daniels G. Human blood groups. 2nd ed. Mal- den, Massachusetts: Blackwell Science, 2002 9. Daniels G, Fletcher A, Garratty G, Henry S,

Jorgensen J, Judd WJ, Levene C, Lomas- Francis C, Moulds JJ, Moulds JM, Moulds M, Overbeeke M, Reid ME, Rouger P, Scott M, Sistonen P, Smart E, Tani Y, Wendel S, Zelin- ski T. Blood group terminology 2004: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committee on terminology for red cell surface antigens. Vox Sang 2004;87:304-16

10. Westhoff CM, Reid ME. Review: the Kell, Duffy, and Kidd blood group systems. Immuno- hematol 2004;20:37-49

11. 최성엽, 김상인, 조한익. 한국인의 혈액형 유전자 빈도에 관한 연구. 대한혈액학회지 1984; 19:63-75 12. 김일태, 서인범, 마경란, 임채승, 김영기, 이갑노. 한 국인의 Kell, Duffy Kidd 항원의 유전자형 분 포에 관한 연구. 대한수혈학회지 2003;14:9-19 13. Iwamoto S, Omi T, Kajii E, Ikemoto S. Geno-

mic organization of the glycoprotein D gene:

(9)

Duffy blood group Fya/Fyb alloantigen sys- tem is associated with a polymorphism at the 44-amino acid residue. Blood 1995;85:622-6 14. Rios M, Cash K, Strupp A, Uehlinger J, Reid

M. DNA from urine sediment or buccal cells can be used for blood group molecular geno- typing. Immunohematol 1999;15:61-5

15. Darbonne WC, Rice GC, Mohler MA, Apple T, Hebert CA, Valente AJ, Baker JB. Red blood cells are a sink for interleukin 8, a leukocyte chemotaxin. J Clin Invest 1991;88:1362-9 16. Peiper SC, Wang ZX, Neote K, Martin AW,

Showell HJ, Conklyn MJ, Ogborne K, Hadley TJ, Lu ZH, Hesselgesser J, Horuk R. The Duffy antigen/receptor for chemokines (DARC) is expressed in endothelial cells of Duffy nega- tive individuals who lack the erythrocyte rece- ptor. J Exp Med 1995;181:1311-7

17. Chitnis CE, Chaudhuri A, Horuk R, Pogo AO, Miller LH. The domain on the Duffy blood group antigen for binding Plasmodium vivax and P. knowlesi malarial parasites to eryth- rocytes. J Exp Med 1996;184:1531-6

18. Chaudhuri A, Polyakova J, Zbrzezna V, Wil- liams K, Gulati S, Pogo AO. Cloning of glyco- protein D cDNA, which encodes the major subunit of the Duffy blood group system and the receptor for the Plasmodium vivax malaria

parasite. Proc Natl Acad Sci USA 1993;90:

10793-7

19. Shimizu Y, Ao H, Soemantri A, Tiwawech D, Settheetham-Ishida W, Kayame OW, Kimura M, Nishioka T, Ishida T. Sero- and molecular typing of Duffy blood group in Southeast Asians and Oceanians. Hum Biol 2000;72:511-8 20. Tournamille C, Le Van Kim C, Gane P, Le

Pennec PY, Roubinet F, Babinet J, Cartron JP, Colin Y. Arg89Cys substitution results in very low membrane expression of the Duffy anti- gen/receptor for chemokines in Fyx indivi- duals. Blood 1998;92:2147-56

21. Yazdanbakhsh K, Rios M, Storry JR, Kosower N, Parasol N, Chaudhuri A, Reid ME. Mole- cular mechanisms that lead to reduced expres- sion of Duffy antigens. Transfusion 2000;40:

310-20

22. Castilho L, Rios M, Pellegrino J Jr, Saad ST, Costa FF, Reid ME. A novel FY allele in Brazilians. Vox Sang 2004;87:190-5

23. Moise KJ Jr. Non-anti-D antibodies in red-cell alloimmunization. Eur J Obstet Gynecol Re- prod Biol 2000;92:75-81

24. Daniels G, Poole J, de Silva M, Callaghan T, MacLennan S, Smith N. The clinical signi- ficance of blood group antibodies. Transfus Med 2002;12:287-95

수치

Table 1.  The  Duffy  blood  group  system  and  the  allele  frequencies  of  Duffy  gene  in  Koreans  from  this  study Antigen  name

참조

관련 문서

조직 내에서 각각의 직무가 차지하는 상대적 가치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직무가 지니는 책임도, 업 무수행상의 곤란도, 복잡도 등을 비교 평가하여 이들

① 작성된 연명의료계획서를 해당 의료기관 내에서 관리하기 위하여 부여하는 번호로 각각의 의 료기관에서 정한 관리번호 부여체계에 따라 부여함. 또한, 해당

Spool stops at a position where feedback spring torque equals torque due to input current Therefore spool position is proportional to input current. With constant pressures flow

또한 집단별 상호작용 효과에 따른 각각의 집단(운동집단ㆍ통제집단)에 대한 측점별 구체적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

이성질체에 대한 수학적 구조에 대한 분석 선행 연구들은 과학고 수준의 결과물에서도 방법적 문제에 대한 내용 은 전무하며 각각의 이론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각각의 사물의 이름과 그에 맞는 도형의 이름을 말해 보세요

장치의 운전에 앞서 장치에 부착된 각각의 계측기의 값과 통신으로 송신된 계측값의 오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준 계측 장비에 의하여 오차를

장치의 운전에 앞서 장치에 부착된 각각의 계측기의 값과 통신으로 송신된 계측 값의 오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준 계측 장비에 의하여 오차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