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방자치론 제7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방자치론 제7강"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지방자치론 제7강

(한국 전 근대적 지방행정)

소진광

행정학과 교수

sojk514@gachon.ac.kr

(2)

강의 순서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3)

삼국시대

- 부족국가---부족연맹체---중앙집권적 전제왕권체제 구축.

- 지방 부족의 족장은 점차 전제왕권의 귀족으로 전환.

- 지방 귀족 혹은 왕이 파견한 관리가 지방행정의 책임자.

- 지방관의 역할: 지방의 행정권, 군사권, 조세권, 재판권.

삼국시대

(4)

통일신라

- 지방행정체제: 9주 5소경.

- 9주는 과거 고구려, 백제, 신라의 옛 땅을 3주씩 설치하여 통치.

- 5소경(일종의 특별행정구역): 중원경(충주), 북원경(원주), 서원경(청주), 남원경(남원), 금관경(김해)

통일신라시대

(5)

고려시대

- 왕권이 강화되면서 지방호족들의 자율성이 제한되기 시작.

- 제8대 현종: 전국을 경기와 5도 양계로 구분---도에는 안 찰사, 계에는 병마사를 중앙에서 파견.

- 도와 계 밑에는 경, 도호부, 목, 부, 그리고 군, 현, 진을 두 어 계층적 지방행정제도 구축.

- 사심관제도와 향직단체: 사심관은 건국공신에게 ㅌ특정 지방통치를 맡기는 제도, 향직단체는 지방토호에게 중앙 관직을 부여하고, 목, 군, 현의 지방행정을 맡겼던 제도.

고려시대

(6)

조선시대 지방제도

- 중앙의 직할지(한성부, 수원부, 개성부, 광주부, 강화부)를 제외한 전국을 8도로 구분.

- 8도 밑에 4부, 4대도호부, 20목, 44도호부, 82군, 75현을 두었음.

- 8도에는 중앙에서 관찰사 파견, 그 외 지역엔 품계에 따라 수령을 파견하여 통치하게 함.

- 지방관(외관)은 왕의 대리인으로서 관할구역 안에서 행정, 사법, 군사상의 권력을 행사.

조선시대(1)

(7)

조선시대 지방제도 특징(1)

- 군현승강법(郡縣昇降法): 충신이나 역신이 나왔을 경우 해당 군 현의 품격을 승강시키는 집단상벌제도.

- 월경지(越境地).

-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들의 막강한 권한은 봉건적 지방분권과 연계.

- 지방행정조직의 인사행정은 분권적 자율성에 기초: 수령 미만 의 지방관리 임용은 수령의 권한. 이들 이서(吏胥)들의 행정실 무권한이 막강.

- 중앙의 권한이 면리(面里)까지는 미치지 못함.

조선시대(2)

(8)

조선시대 지방제도 특징(2)

- 향회를 중심으로 한 군현의 주민자치

- 촌회를 중심으로 한 면리의 주민자치

조선시대(3)

(9)

Question & Answer

(질의 응답) Q & A

(10)

Reference(참고문헌)

소진광, 2005, 지방자치와 지역발전, 서울: 박영사

소진광 외, 2008, 한국지방자치의 이해, 서울: 박영사

소진광, 2004, “사회적 자본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6권 제1호, pp.89-118.

참조

관련 문서

신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관계 법령이 모호하거나 불명확하여 사업 시행이 불가능한 경우 신제품 및 서비스의 시장 출시를 위해 임시로 허가를 부여하고, 소관 부처로 하여금

지방자치단체가 담당하는 복지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복지사업의 종류와 규모, 그 리고 사업의 책임 주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 지방자치단체 복지사업

다음 자료와 관련된 개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 에서 모두 고른 것은. ○ 목 부 군 관리가 지계와 양지 사무에 대하여 감리의 지시를 따르되 혹 위반하는

ID 개념의 바코드 체계 수립 우편물 제작 및 접수 정보 연계 요금결재 통합정보시스템 도입 요금결재 자동화기기 도입 고객 요금지불 채널 확충 기술 적용 및 제도

제도 초기에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산림조성 등 의 투자를 통한 크레디트 양도 수요가 동시 다발적 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도 적용 대상지 역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넷째, LCC 기법 도입에 따른 관련 제도 및 법률과의 연계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건설 산업기본법과 연계운영방안을 강구하고,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예산 제도를 개선하 도록 한다..

국방부에서 문제점 및 개선사항으로 제시된 내용은 대부분 제도 발전과 관계된 사항으로, 각각의 원인 또 는 대응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령상

- 문화재 유형별 특성에 맞는 보존․전승 제도 개선, 고도 및 문화재 주변 역사문화환경 체계적 보호, 보수정비 기준 마련 등은 문화재 보존관리의 품질 고도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