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목표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목표 -"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방 기 혁 광주교육대학교

/ 다문화사회와 교육 : 제3강 /

(2)

목표

-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의 추진 배경과 체계를 알 수 있다.

-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의 주요 추진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내용순서

- 추진 배경 - 추진 체계 - 추진 내용

(3)

다문화사회에 부합하는 새로운 교육정책 방향 수립 요구 - 외국인 주민과 자녀 수 급증

- 학교 중심의 지원 노력 필요

다문화학생의 교육 수요에 맞는 맞춤형 지원 필요 - 다문화학생의 다양한 특성 고려

- 특성에 따른 교육 수요 분석 및 맞춤형 교육지원 강화 필요

다문화학생 지원을 위한 전 사회적인 협력 체계 구축 필요 - 가정, 학교, 기업, 지역사회의 유기적 협력 : 다문화 친화적 교육 지원 체제 구축 필요

- 다문화가정 지원 정책의 유기적 연계

(4)
(5)

공교육 진입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중도입국, 외국인가

정 자녀)

(6)

정규학교 입학 절차 정비

- 전담 코디네이터가 다문화학생의 한국학교 입학을 위한 전 과정 지원

- 중도입국 자녀 재학률을 매년 10%씩 상승 :

(’11) 57% → (’12) 60%

대 진입 → (’13) 70%대 진입 → (’14) 80%대 진입

- 전담 코디네이터 운영(안)

(양성) 기존 교육청 공무원, 이중언어 강사 등 전문 인력을 동시 활용 (배치) (’12) 예비학교를 운영하는 시‧도 교육청에 배치하여 업무 수행 (주요 역할) 학력인정 → 학교배치 → 사후관리 등 전 과정을 지원, 특히 지역 내 평생교육기관과 협력하여 학교 밖 다문화학생을 적극 발굴하여 공교육 진입을 지원

한국어 등 사전교육을 위한 다문화 예비학교 확대

- (’11) 서울・부산・광주 등 3개 ⇒ (’12) 전국 확대(15개 지역, 26개교) 운영

- 예비학교에 한국어 강사, 이중 언어 강사 및 상담교사 배치

(7)

다문화학생 교육 내실화 및 재능 발현 지원 : 한국어 및 기초

학력 책임지도

- 다문화학생의 한국어 능력에 맞는 단계별 KSL과정 도입

. KSL 교육과정‧진단도구‧교재개발 ’12년 내 완료, ’13년 전면 시행

- 다문화학생의 여건에 맞는 KSL 교육 환경 조성

. 특별학급, 방과 후 학교, 방학 및 주말과정 운영, 자기주도 학습

(8)

- 1:1 멘토링 강화를 통한 다문화학생 기초학력 책임지도

. 다문화학생 기초학력미달비율 ‘12년 2%대, ’13년 1%대 진입 . 멘토링 대상 확대 : 초, 중, 고까지 확대

. 맞춤형 멘토링 : 대학생, 이중언어 강사 등 참여, 또래나 상급생 멘토 링, 온라인 멘토링 등 활용

* 온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12) 및 시범 운영(‘13)

. 교사와 멘토 간 정보 공유 강화 : 대학생 멘토링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멘토링 학습 보조 자료 지원

(9)

다문화학생 교육 내실화 및 재능 발현 지원 : 한국문화 및 학교적응 지원

- 한국 문화 및 기초 예절 지도 강화

. 기본 예절을 담은 교사용 지도서 제작, 예비학교 및 정규학교 교사들에게 제공

.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한국 문화 익히기 지원 강화

(10)

- 다문화학생 대상 학교 적응 지원 강화

. 다문화 학교 폭력 발생 예방 교육 강화

. 학교 폭력 가해자(다문화이해교육 이수 의무화) 및 피해자 대상 교육 강화 . Wee센터에 전담 코디네이터를 파견하여 다문화학생 합동 상담 실시, 다 문화 학생용 상담 보조 자료 개발 및 제공

- 다문화학생 학교 선택 기회 제공

. 학업 중단을 고려하는 다문화학생에게 예비학교 이용, 다문화 친화적인 학교 전학 허용

(11)

다문화학생 교육 내실화 및 재능 발현 지원 : 이중언 어 교육 활성화

- 이중언어 강사 확대 및 양성 체계화

. 2015년까지 이중언어 강사 1,200명 양성, 이중언어 강사 1인당 다문화 학 생 수 50명까지 축소

* (‘11) 이중언어 강사 125명, 강사 1인당 학생수 310명

. 이중언어 강사 양성계획 수립 및 추진, 학기 시작 전 배치(시도교육청)

(12)

- 이중언어 강사의 질 제고

. 심화연수 과정 신설 : 이중언어 지도, 생활지도, 심리 상담 등 . 강사요원의 질 제고 : 초청된 외국 교원을 강사로 활용 등

- 수준별 이중언어 교재 개발 및 보급 지원 : 초, 중, 고급 - 일반학생과 다문화학생이 함께 배우는 이중언어 교육 기회 제공

. 정규학교: 방과 후 학교/ 거점학교: 방학 및 주말 지도/ 자기주도 학습

- 일반학생과 다문화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이중언어 캠프 개최

. 이중언어 강사 양성과정 운영대학, 글로벌 브릿지 사업 대학을 중심으로 개최

(13)

다문화학생 교육 내실화 및 재능 발현 지원 : 진로 및 진 학 지도 강화

-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다문화 역량 제고

. 연수과정에 다문화교육 이해 과정 반영

. 진로 및 진학상담 보조자료 제공(중앙다문화교육센터) : ‘진로진학

지도 상담교사 업무 및 활동 매뉴얼’

(14)

- 글로벌 브릿지 사업을 통한 우수 다문화학생 발굴/ 지원

. 다문화학생을 다양한 분야(5개)의 글로벌 인재로 육성(300명) 확대 : 매년 수학‧과학 150명, 언어 60명, 예체능 40명, 리더십 50명 등 육성

. 민간의 교육기부 활용 (예) 교과부-우리금융그룹 간 MOU체결에 의한 ‘금 융교육 프로그램’ 운영

- 부모 국가와의 교류 지원을 통한 글로벌 마인드 함양

. GKS(Global Korea Scholarship)장학생과 다문화학생 간 형제 자매 결연 프 로그램 운영

. 부모나라 이해 프로그램 : 외국의 역사 및 문화 관련 방송 콘텐츠 제공

- 다문화학생 대상 직업교육 활성화

. 다솜학교 확대, 다솜학교가 없는 지역에 직업교육과정 운영 지원(수강료, 실습비 등)

- 대학 진학기회 확대

. 사회적 배려대상자 전형, 재직자 특별전형에 다문화학생 선발 권장

(15)

다문화 친화적 교육 체제 구축 - 글로벌 선도학교 확대

.

기존의 ‘다문화 거점학교 지원 사업’을 ‘글로벌 선도학교 지원 사업’

으로 전환

.

(’11) 초・중 125개교 → (‘12) 초・중・고 150개교로 확대

_거점학교 : 초, 중, 고 120개교

_집중 지원형 : 초 20개교(도시형 10개교, 농촌형 10개교), 중고 10개교

- 예비교원 및 현직교원 지원

. 다문화학생 지도를 위한 교사용 3종 매뉴얼 발간

(학적관리 매뉴얼, 생활지도 매뉴얼, 학부모 상담용 학교 용어사전)

. 교대의 다문화학생 특별전형 확대

: (‘12) 5명(춘천교대) ⇒ (’13) 20명 (대상학교 확대)

. 교원 양성 및 연수과정 개선

_다문화강좌 운영 현황을 교원양성대학 평가지표에 반영 _ 규교사 직무연수에 ‘다문화 이해 과정’ 포함

_다문화 이해 연수를 기초와 심화연수로 체계화

. 다문화교육 연구학교 확대

: (’11) 16개교 → (’12) 23개교

(16)

- 다문화가정 학부모 교육 강화

. “한국에서의 자녀교육” 제작 및 보급

_입학절차, 학교 정보 등을 다양한 언어로 번역 지원

_학부모지원센터(평생교육진흥원), 출입국관리소, 주민센터, 홈페이지 등 적극 활용

. “학부모를 위한 다문화 이해하기” 제작 및 보급 . 다문화가정 학부모교육 활성화

_교육청 : 다문화 전담코디네이터가 글로벌선도학교, 평생교육기관 등과 협력하여 정기적으로 학부모교육 개최

_평생교육기관 : 대학 평생교육원 등에 다문화가정 대상 교육 프로그램 지원 확대

_방송대 : 다문화가정 학부모 교육과정 개설 및 지원, 이수 학부모를 멘 토로 활용

.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교육참여 확대

_학부모 모니터링단에 다문화가정 학부모 위촉 _학교운영위원회에 다문화가정 학부모 참여 권장

(17)

- 일반학생 상호이해교육 강화

.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검토 및 개선 : 보급계획 (’13) 유,초1‧2, 중 → (’14) 초3‧4, 고 → (’15) 초5‧6

. 일반학생 대상 상호이해교육 강화 : CCAP 지원, 다문화 이해 주간 (Harmony Week) 지정 운영

. 다문화학생 멘토링 실적을 학생부에 기록하여 상급학교 진학 등에

활용

(18)

다문화학생 교육을 위한 전 사회적 협력 강화 - 전 부처 협력 강화

. 다문화학생 실태 조사 체계화

_법무부 : 외국인 관련 출입국 관리/ 행안부 : 외국인 주민 관련 주민등록 관리/ 교과부 : 다문화학생 관련 재학현황 관리 등

. 다문화학생 교육 지원 강화를 위한 범부처 협력 강화

(19)

- 교육기부 활성화

. 기업의 교육기부 활성화

▶우리금융그룹 “우리 다문화 장학재단 사업”

_글로벌 브릿지 사업과 연계한 다문화 금융영재(40명) 육성 프로젝트 추진 _다문화학생 장학금 지원, 세계인의 날 기념 다문화 그림‧글짓기 대회 후원 ▶ 포스코

_다문화가정 학생・부모 대상 언어・문화교실(연 2회) 운영 ▶LG “사랑의 다문화학교”

_한국외대와 협력하여 다문화 언어 인재 육성 과정 운영 _KAIST와 협력하여 다문화 과학 인재 육성 과정 운영

. 개인적 교육기부 활성화 :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의 학부모 등 . 민간, NGO 교육기부 활성화

▶세이브더칠드런(Save the Children)

_다문화/일반학생을 위한 이중언어 방과후학교 활동 지원 추진 (강사, 교재 등)

(20)

<학습 정리>

-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의 추진 배경 -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의 주요 내용 -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의 발전 방향

--- <평가>

- 국내 다문화교육정책의 핵심 비전은?

- 대표적인 다문화교육정책 내용 3가지는?

- 광주에 있는 다문화 예비학교는?

--- <차시 예고>

“외국 다문화교육정책의 이해”

(21)

1. 국내 다문화교육정책의 핵심 비전은?

- 다양성을 이해하는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 양성

2. 대표적인 다문화교육정책 내용 3가지는?

- 공교육을 진입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운영 - 다문화 예비학교 확대,

- 글로벌 선도학교 확대 - KSL 과정 운영 등

3. 광주에 있는 다문화 예비학교는?

- 광주새날학교

참조

관련 문서

교육 목표 지식의 전수 지식의 전수, 창출 및 활용 교육 내용 전통적 지식 교과 중심 다원적․확산적 교육내용 교육 방법 획일적 집단수업 중심 개별화 수업, 사이버 수업

그러나 물은 예외로 액체인 물이 고체인 얼음이 되면 부피가 증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되면 감소한다.. 그런데 물 분자는 산소 원자가 수소 원자에 비해 공

이 단원은 혼합 물의 정의와 혼합물을 분리하는 이유를 알아보는 전반부와 혼합물을 분리하는 여러 가지 방법 을 혼합물을 이루고 있는 각 물질의 성질의 차이와

아동보호전문기관 및 학대피해아동쉼터 직원 직무교육, 아동학대예방 관련 교육 및 홍보 - 아동보호전문기관 직원 대상 아동학대 관련

예를 들어, 농민이 정책가에게 개인적인 정보를 제공하려는 인센티브를 부 여하는 incentive-compatible 특징이 정책 프로그램을 만들 때 고려되어야

이러한 STEAM 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학교 과학 교육 및 연계 과목의 운영을 탄력 있게 편성하고 학교 현장의 여건을 조성하면 STEAM 교육은 교과부에서 추진하는 융합

치과기공사와 치과의사의 업무관계 이해, 역할 교육..

 현대사회에서 신체와 감정의 표현이 점점 통제 받고 규제 되면서 선수들과 관중들은 스포츠에서의 제어된 폭력을 흥미로운 것으로 간주함.  상업화, 프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