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태적 측면에서 바라본 흙 재료 활용 실내 표현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생태적 측면에서 바라본 흙 재료 활용 실내 표현 연구"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18.10.10 심사기간_2018.11.01-18 게재확정일_2018.11.28

생태적 측면에서 바라본 흙 재료 활용 실내 표현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Expression of Soil Material from Ecological Aspects

이양숙, 비트윈랩 / 김미옥(교신저자), 서일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Lee, Yang Sook_Between Lab / Kim, Mi Ok(Corresponding author)_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Seoil University

차례 1. 서론

2. 생태건축과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2.1. 생태건축의 개념과 특성 요소

2.2.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2.3. 생태건축 재료로서의 흙

3. 실내 표현에 있어 흙 재료 활용 3.1. 흙 재료 실내 마감재

3.2. 흙 재료 활용 실내 표현

4. 흙 재료 활용 실내 표현 분석 4.1. 분석 방법

4.2. 사례 분석 4.3. 분석 종합

5. 결론

참고문헌

(2)

생태적 측면에서 바라본 흙 재료 활용 실내 표현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Expression of Soil Material from Ecological Aspects

이양숙, 비트윈랩 / 김미옥(교신저자), 서일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Lee, Yang Sook_Between Lab / Kim, Mi Ok(Corresponding author)_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Seoil University

요약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 관점에서 흙 재료를 활용한 자연 경험이 실내 공간에 표현되는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건축의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 및 흙 재료 활용과 관련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경험 속성 을 도출해 21세기 이후 흙 재료 활용 실내 표현 사례들을 분석하였고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자연 중심의 사고를 바탕으로 하는 생태건축의 철학과 자연과의 관계성을 통해 ‘전체성’, ‘연속성’, ‘다양성’, ‘역동성’, ‘진화성’, ‘균형성’의 6가지 생태적 관점의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건축 환경에서 자연을 향한 경험을 실천하기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경험 속성에서 생태건축의 주요 재료인 흙 재료의 경험 속성은 자연의 직접적인 경험으로는 ‘자연경관 및 생태계(Natural landscapes and ecosystems)’, 간접적 경험에서는 ‘자연의 이미지(Images of nature)’, ‘자연소재(Natural materials)’, ‘자연을 떠올림(Evoking nature)’, ‘시대·변화·변화에 따른 고색창연함(Age, change, and the patina of time)’, 공간 및 장소의 경험 영역에서는 ‘장소에 대한 문화 및 생태적 애착(Cultural and ecological attachment to place)’ 속성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셋째, 실내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흙 재료 활용으로 구현이 가장 용이한 자연 경험으로는 ‘자연이미지’, ‘자연 을 떠올림’ 등이 나타났고, 적합한 공법으로는 흙벽돌공법, 흙쌓기공법, 흙다짐공법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 연 경험과 가장 관계성이 높은 표현 특성 요소는 전체성, 연속성, 진화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생태건축의 재료로 선호되는 흙 재료를 활용하여 자연의 경험들을 전달할 수 있는 표현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자연의 경험을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활용법 모색을 위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실내 공간에서 흙 재료 활용을 통한 자연과의 연계 경험의 표현 특성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향후 보다 많은 사례 해석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xperience using the soil materials in the indoor space from the viewpoint of ecology. For this purpose, I have studied the cas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architecture design expression and the attributes of biophilic design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ilosophy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the nature, the six ecological aspects of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such as 'Holiness', 'Continuity', 'Variety', 'Dynamics', 'Evolution' and 'Balance'. Second, the biophilic design experience for practicing the experience of nature, the experience attribute of soil material, which is the main material of ecological architecture, are 'natural landscapes and ecosystems',' images of nature ',' natural materials ',' evoking nature ',' ages, changes, and the patina of time', and 'cultural and ecological attachment to place'. Third, in the case of interior design, 'natural image' and 'reflection of nature' were the easiest natural experiences to be implemented using soil materials, and the proper methods were soil brick method, soil piling method and soil compaction method. In additi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at are most related to the natural experience were 'Holiness', 'Continuity' and '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that can convey the experiences of nature by using the soil materials preferred as the material of ecological architecture. I hope that it will be a resource for finding appropriate ways to express the natural experience. In order to further refin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with nature through the use of soil materials in the indoor space, more case interpretation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중심어

흙 재료 활용 실내 표현 생태건축

바이오필릭 디자인

ABSTRACT Keyword

Utilizing soil material Interior representation Ecological architecture Biophilic Design

본 논문은 2018년도 서일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3)

1. 서론

현대 건축의 무분별한 환경 파괴와 인간중심적 사고는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인간 스스로에게 도 위협이 되고 있다. 산업사회 이후 콘크리트 건물이 보편적인 일상 환경이 되면서 현대인들 은 획일적이고 단순한 공간에 가로막혀 자연과 단절된 삶에 익숙해져왔다. 하지만 그 반작용으 로 최근 건강, 휴식과 힐링, 환경을 생각하는 움직임으로 생활공간에 식물, 자연재료 등 자연적 인 요소를 많이 대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흙 재료 활용을 통하여 자연의 경험들이 실내 공간에서 표현되는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흙 재료의 실내 활용에 있어서 자연적 경험을 실내공간에 창의적,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 수립이 가능할 것이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는 첫째, 생태건축의 특성을 고찰하고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를 도출한 다. 둘째, 자연의 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한 디자인 실천으로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경험 및 속성, 흙 재료의 특성 및 효용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실내에서 사용되는 흙 재료 기반 마감재 및 주요 흙 재료 활용 공법들을 살펴본 후, 넷째, 생태적 디자인 표현 특성과 흙 재료 활용을 통한 자연 경험 속성을 통해 사례를 분석하여 적절한 디자인 실천 방법에 대해 모색한다. 분석 범위가 되는 작품들은 21세기 이후의 가장 대표적인 흙 재료 공법을 활용한 실내디자인 사례 들로 디자인 및 건축 관련 매거진(Dezeen, Thisispaper, Homesthetics), 흙 건축 관련 업체 Claytec의 웹페이지에 소개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수집하였다.

2. 생태건축과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2.1. 생태건축의 개념과 특성 요소

생태학은 생물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현재의 생태학(ecology)은 과학을 넘어 철학, 사회학 및 환경디자인 등의 다양한 사조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생태학은 환경과 인간, 사회 및 생활의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통해 환경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생태건축 은 에너지 절약, 환경 친화적 건축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신이 반영된 건축이다. 인간과 환경의 이분법적 구분을 거부하고 체험의 생태계, 유기적인 건축이며 토속적(vernacular)인 특성을 띠고 있다. 이는 환경을 장애물로 생각해온 서양의 건축관과 달리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동양의 우주관과 관계 깊다고 할 수 있다.1)

산업혁명 이후의 현대건축은 재료를 얻기 위한 채굴부터 생산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투입되 고 이후 콘크리트 폐기물에 이르기까지 환경 파괴적이다. 게다가 포름알데히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 플라스틱, 페인트 등 재료의 독성은 사람들을 병들게 하고 있다. 또한, 현대 건축 의 획일성은 우리에게 감성을 자극하거나 다양한 경험을 전달하지 못하고 심리적·정신적인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가 있다.2) 생태건축은 인간이 이러한 자연정복적인 태도를 버리고 자연과의 생태학적 조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삶의 문화를 도모하는 일이다. 이러한 맥락 에서 건축물이란 하나의 인공적 생태계로서 자연과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폐기물을 감소시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녹지조성, 건물 내·외부 연계 등 자연환경과의 접촉을 최대화시켜 건강하고 쾌적한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3)

황혜주(2016)에 따르면, 생태건축을 실천하는 기본 철학은 조화(調和), 불이(不二), 상생(相 生)이며 이를 위한 요소로 자연환경과 건축, 건축과 사람, 건축을 매개로 한 인간과 인간 및 자연환경과 인간의 조화가 강조된다.4) 정무웅(1997)은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건축의 특징으 로 자연의 질서 원리에서 비롯한 통일(Unity), 역동적 균형(Dynamic Balance), 그리고 부분 과 전체의 상호보완(Complementarity)을 통한 유기적 체계를 꼽고 있다.5) 또한, 이영미와

1) 정무웅, 「생태, 도시 그리고 인간: 철학, 개념, 이론(Ⅲ)-생태건축의 특성과 도시·건축공간 구성」, 건축, 41(12), 1997, p.18.

2) 조지프 케네디, 캐서린 워넥, 마이클 스미스, 『자연을 닮은 집짓기(The Art of Natural Building: Design, Construction, Resource)』, 장수인 역, 도서출판 따님, 2009, pp.16-18.

3) 황혜주, 『흙건축 Earth Architecture』, 도서출판 CIR, 2016, pp.34-35.

4) 황혜주, Op. cit, pp.20-21.

5) 정무웅, Op. cit, pp.18-19.

(4)

천득염(2005)은 생태건축이 자연 생성원리에서 발생·진화적, 복잡성, 자기조직화, 유기적인 성격을 가지고 접근하고 있으며 에너지 순환 및 환경조절 영역에서는 지속가능한 성격, 자연과 인간의 조화에 있어서는 전일적 사고를 통해 접근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생태 중심적 사고와 현대의 생태학적인 건축과의 관계 특성에 대한 연구(2009)에서는, 이 관계를 전체적 통합 및 유기적 관계성, 건축 환경 통제와 항상성, 유기적 구성의 다양화, 순환성, 상호의존성, 치유 성으로 정리하고 있다.6) 고귀한과 김정곤(2011)은 생태계를 구성하는 요소 분석을 통해 생태 학적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출했는데 전체로 상호작용하며 환경을 변화하는 전체성, 생물의 다양성,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진화성, 물질과 에너지의 흐름을 의미하는 순환 성, 일정한 균형과 자기조절 능력을 뜻하는 항상성의 5가지 특성으로 정리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건축의 개념 특성, 자연 질서 및 자연의 유기체적인 특징과 건축물과의 관계성에서 건축물에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를 다음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전체성

생태계 특성 전체/ 조화/ 균형/ 연속/ 순환/ 통일 연속성

유기체적 특성 모방/ 다양성/ 진화/ 전체와 부분의 통합/ 역동성 다양성

맥락적 특성 공생/ 상생/ 상호의존/ 지속 역동성

진화성 균형성

<표 1> 생태건축 특성을 바탕으로 적용 가능한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

생태건축의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 중 전체성에 대한 예를 살펴보자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자연사박물관인 캘리포니아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로 옥상녹화로 형성된 지붕은 주변 환경과 연결되어 조화를 이루고 있다.7)

또한,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 중 연속성은 <그림 2> 헤이그 중앙 기차역에서 살펴볼 수 있는 데, 반복적인 다이아몬드 패턴의 유리지붕으로 자연적이고 유연한 교통흐름 구조를 제공하고 최적의 자연광을 받아들일 수 있게 디자인되었다.8) 다양성은 <그림 3>의 일본 난바파크 (Namba Parks)에서 나타난다. 공원은 자연과의 연결을 강화하며 다양한 협곡과 층위를 형성 하며 상업공간과 주거공간을 형성하고 있다.9)

6) 이윤희, 「생태중심적 사고와 현대 생태학적 건축의 상관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공공시설, 상업건축, 문화시설 등을 중심으로」, 대한 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5(8), 2009, pp.8-14.

7) 친환경 건축,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건축물을 찾아서(http://blog.fujixerox.co.kr/931) 8) 친환경 건축의 정점, 옥상과 지붕을 새롭게 디자인하다.

(http://www.ecofuturenetwor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815) 9) https://www.archdaily.com/36987/namba-parks-the-jerde-partnership

<그림 1> 옥상녹화를 통한 주변과의 연계: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by Renzo Piano Building Workshop

<그림 2> 최적의 자연광을 받아들이는 역사의 지붕:

Hague Central Station by Benthem Crouwl

(5)

역동성은 중국 로터스 스퀘어 아트센터(Lotus Square Art Center)의 옥상을 통해 알 수 있는 데, 일렁이는 바다에서 영감을 받은 건물 형태로 인해 내부는 자연광을 여러 층을 통해 받아들 여 복합적인 시선을 만들어 낸다. 진화성의 디자인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그림 5>의 국립 생태원으로, 유기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디자인 형태를 통해 자연채광 유입과 에너지 절감을 실현하고 있다.10)

마지막으로, 균형성은 <그림 6> 싱가포르의 풍골 수로 테라스(Punggol Waterway Terrac es) 공동 주택의 경우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6각형의 블록의 끝을 따라 수로가 연결되는 친환 경 주택은 그 형태와 기능에 있어서도 환경과의 균형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11)

2.2.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은 ‘바이오필리아(Biophilia)’에서 출발한다. 바이오필리 아는 자연을 향한 인간의 내재된 성향을 의미한다(Wilson, 1984; Kellert and Wilson, 1993 ).12)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이를 바탕으로 건축 환경에서 자연의 만족스러운 경험을 위한 새로 운 틀을 실천하는 것을 뜻하며(Kellert et al., 2008; Kellert, 2005; Kellert and Finnegan, 2011; Browning et al., 2014), 사람들의 건강과 복지를 향상시키고자 한다.13) 우리는 수천 년 동안 이어져 온 인간 중심의 기술문명 세계에 익숙해져 있지만 자연의 힘과 자극에 반응하 는 인간 고유의 성향은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다(Öhman, 1986).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잠정적으로 노출된 이미지에 대해 유독 자연과 관련된 이미지에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반응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과 함께하고 연결되려하는 이 고유의 성향은 사람들의 신체적, 정신 적 건강, 성과와 복지에도 지속적이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의료분야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자연에 노출될수록 스트레스와 혈압을 낮추고 통증을 완화하며 질병 회복, 치유를 촉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원들의 사기와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환자와 직원 간의 충돌

10) 우리 주변에 있는 '친환경 건축 기술' 5가지(http://m.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32915) 11) https://www.archdaily.com/787479/punggol-waterway-terraces-group8asia

12) Stephen R. Kellert, Judith H. Heerwagen, and Martin L. Mador, 『Biophilic Design : The Theory, Science and Practice of Bringing Buildings to Life』, John Wiley&Sons: Hoboken, 2008, p.3.

13) Kellert, S. and Calabrese, 『The Practice of Biophilic Design』. www.biophilic-design.com, 2015, pp.3~6

<그림 3>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도심 속 정원:

Namba Parks by The Jerde Partnership

<그림 4> 일렁이는 바다에서 영감을 받은 건물 형태:

Lotus Square Art Center by Raynon Chui Design

<그림 5> 유기적으로 변화하는 형태의 생태원: 충남 서천 국립 생 태원 by 삼우종합건축사무소

<그림 6> 수로로 연결된 매트릭스 형태의 대규모 공동 주택: Punggol Waterway Terraces by Group8Asia

(6)

도 줄일 수 있었다. 자연과의 이러한 접촉의 장점은 반복되는 경험으로 실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험을 개발하고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Wilson, 1986; Kellert 2012)14). 현대 건축 환경의 무분별한 개발과 자연환경의 파괴는 우리를 이러한 유익한 경험에서 끊임없이 분리시 키고 있다. 특히, 우리가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실내 환경에서의 자연과의 접촉이 어려워지 고 있는 상황이다. 『The Practice of Biophilic Design』 (2015)에서는 자연과의 분리를 극복 하고 생명력 있는 거주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자연의 직접적인 경험’,

‘간접적인 경험’, 그리고 ‘공간 및 장소의 경험’으로 나누었으며 관련 속성들은 다음 표와 같 다.15)

자연의 직접적 경험 자연의 간접적 경험 공간 및 장소의 경험

· 빛 · 자연의 이미지 · 전망과 피난처

· 공기 · 자연 소재 · 조직화된 복잡성

· 물 · 자연광 및 공기 모방 · 부분에서 전체로 통합

· 식물 · 자연적 형태 · 전이적 공간

· 동물 · 자연을 떠올림 · 이동성 및 길 찾기

· 날씨 · 풍부한 정보 · 장소에 대한 문화 및 생태적 애착

· 자연 경관 및 생태계 · 시대, 변화, 시간에 따른 고색창연함

· 불 · 자연의 기하학

· 생물체 모방

<표 2>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경험 및 속성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최근 사람들이 야외로 연결되는 공간을 원하는 트렌드에 따라 건축물 외부뿐만이 아니라 내부에도 적용되기 시작했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적용된 공간 내부는 흙, 나무, 돌과 같은 천연 재료 사용 및 대형 창문 설치, 건물 안과 밖에 물을 사용한 장식 등을 활용하고 공간 곳곳에 자연에서 발견되는 모양들과 유기적인 곡선들을 찾아볼 수 있 다.16) 이와 같이 공간에서의 다양한 경험들을 통해 자연과의 조화와 생명력을 갖춘 디자인을 실천할 수 있다.

2.3. 생태건축 재료로서의 흙

생태건축을 위한 여러 가지 재료들이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흙건축이 현실적·실제적 대안으 로 주목을 받고 있다. 흙은 자연에서 채취하고 집터의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음은 물론 해체되 더라도 자연으로 환원되어 생태계를 훼손하지 않고 순환이 가능하다.17) 또한, 재사용이 가능 한 재료로 자원 소비를 줄이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효율화 할 수 있다. 주거 환경적 측면에서 는 황토 재료의 생물 대상 생장 및 선호도 실험에서, 동물의 경우 몸무게 증가, 면역증강 효과 및 장기의 중량 증가가 나타났고 환경 선호도도 2배 이상이 차이가 났다. 습도 조절 능력에 있어서도 흙과 시멘트를 사용해 흡습방량을 측정한 결과, 흡수량은 흙이 3.08g/㎠, 시멘트가 0.81g/㎠으로 나타났고 방출량은 흙이 2.33g/㎠, 시멘트가 0.42g/㎠로 나타나 흙이 시멘트보 다 5배가량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탈취율 시험에 있어서도 시멘트(61%)에 비해 흙의 탈취율이 우수(98%)한 것으로 나타나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에 보다 유용하다. 나아가 예부 터 황토는 인체에 뛰어난 약리 효과가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는 높은 원적외선 방사량

14) ibid., p.4.

15) ibid., pp.9-10.

16) 중앙일보 2018년 6월 20일자 ‘자연과 연결 '바이오필릭' 인테리어 인기’

17) 황혜주, Op. cit, p.35.

(7)

에서 비롯된다. 원적외선 방사량은 황토 96%, 시멘트 85%로 나타나고 있으며 원적외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들은 세포활동 및 신진대사, 혈액순환 촉진 등으로 의학적으로 증명 되고 있다.18)

흙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해 온 전통적인 건축 재료로 현재에도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흙집에 거주하고 있으며, 어디서나 구하기 쉽고 다재다능하며 작업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19) 이러한 재료 활용상의 장점과 더불어 흙건축은 자연과 가까운 생활을 추구하며 소비사회의 관점에서 벗어나 스스로가 원하는 집을 짓고자 하는 이들에게 선호되고 있다.20) 이러한 흙의 다양한 장점과 효용으로 인해 흙 재료의 다양한 활용과 공법 연구들이 지속되고 있다. 현재 주로 알려진 흙건축의 재료와 주요 공법으로는 흙에 인위적 힘을 가해 압축한 압축벽돌 (pressed earth block), 전통적 방식으로 흙에 벼를 섞은 진흙 벽돌(mud brick), 그리고 흙을 호박돌만한 크기로 만들어 쌓는 흙 쌓기(cob, bogue), 흙을 넣은 자루(earth bag) 쌓기, 거푸 집에 흙을 채워 다져넣는 흙다짐(rammed earth), 볏단벽을 쌓고 그 위에 흙을 발라 마감하는 볏단벽공법(straw bale) 등이 현재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1)

3. 실내 표현에 있어 흙 재료 활용 3.1. 흙 재료 실내 마감재

건물 내부 공간에서도 다양한 흙 재료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휴식과 힐링이 강조되고 건강 과 전원생활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흙집의 효과에 주목하게 되었다. 도시생활에서도 전원 을 꿈꾸며 아파트에 황토방을 설치하거나 벽체, 바닥 등 실내 공간에 다양하게 흙을 활용하고 있다.22) 실내 공간에서 주로 사용되는 흙 재료 마감재로는 황토페인트, 바닥과 미장용의 모르 타르, 흙벽돌, 흙보드 및 판넬, 테라코타 타일 등이 있다.

흙 플라스터 황토 보드 황토 벽돌

아트패널 황토 타일 테라코타 타일

흙다짐 황토 석판재

(출처: http://www.tohwangto.com, http://www.ciaotoro.com, http://www.torolife.com, http://www.claytec.co.kr)

<표 3> 흙 재료 실내 마감재

18) ibid., pp.96-105.

19) 조지프 케네디, 캐서린 워넥, 마이클 스미스, Op. cit, p.107.

20) ibid., pp.22-23.

21) 황혜주, Op. cit, pp.169-227.

22) 건강을 위한 선택, 황토 인테리어 : 도심 속 아파트에 자리한 힐링 스페이스(월간 전원 속의 내집, 2013.7.).

(8)

이 밖에도 다양한 활용을 위해 기타 천연 재료와 혼합하는 등, 흙 기반의 신 재료 개발과 다양 한 자연스러운 색상이 개발돼 다소 투박하게 여겨졌던 흙건축은 현재 디자인 적용이 보다 다채 로워지고 있다.

3.2. 흙 재료 활용 실내 표현

흙 재료로 실내 디자인 표현이 가장 용이한 공법으로는 흙미장공법(plaster), 흙벽돌공법 (adobe), 붙임공법(board&panel), 흙다짐공법(rammed earth, pise), 흙쌓기공법(cob, bog ue)이 있다.

① 흙미장공법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바탕을 나무로 짜고 그 위에 흙을 발라 마무리한다. 첨가물 종류, 바르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표면효과 창출이 가능하다.

<그림 7> 흙미장공법의 표현(출처: http://www.torolife.com, http://www.claytec.co.kr)

② 흙벽돌공법

흙을 일정 크기의 벽돌로 만들어 쌓는 공법이다. 제조 방법에 따라 자름벽돌, 물벽돌, 다진벽 돌, 고압벽돌, 고강도벽돌로 나뉜다. 벽돌을 쌓은 형태 그대로를 살려서 표현하기도 한다.

<그림 8> 흙벽돌공법의 표현

(출처:https://www.youtube.com/watch?v=c9cDy9XkXPw,

https://www.dezeen.com/2017/11/16/entre-pinos-taller-hector-barroso-weekend-home s-soil-render-forest-mexico-architecture/)

③ 붙임공법

기존 콘크리트 벽체에 흙보드를 붙이는 공법으로 실내에 적용되는 흙보드는 미장 시 초벌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위에 정벌하여 사용한다. 정벌하지 않고 그대로 노출시켜 디자인적 요소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흙타일이나 판재 형태의 재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9)

<그림 9> 붙임공법의 표현(출처: http://www.claytec.co.kr)

④ 흙다짐공법

우리나라에서는 다짐벽, 흙담으로 불렸으며 담틀(흙을 다져넣는 틀)공법으로 불리기도 한다.

거푸집을 짜고 그 속에 흙을 넣고 다져서 벽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튼튼하고 아름다운 벽체 구성이 가능하다.

<그림 10> 흙다짐공법의 표현(출처: http://www.contemporist.com/what-are-rammed-earth-walls/)

⑤ 흙쌓기공법

흙을 호박돌만한 크기로 손으로 만들어 쌓아 만드는 방법으로 짚을 섞을 수도 있다. 흙을 다 쌓은 후에 그대로 두어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할 수도 있고 흙을 덧대거나 문질러 표면을 반듯 하게 하는 등 다양한 표면 연출이 가능하다.

<그림 11> 흙쌓기공법의 표현(출처: 황혜주, 『흙건축』, 도서출판 CIR, 2016, p.175)

4. 흙 재료 활용 실내 마감 표현 분석 4.1. 분석 방법

앞서 살펴본 생태 건축 특성에 따라 적용 가능한 디자인 표현 특성, 그리고 자연과 연계되는 경험 확대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로서 바이오필릭 디자인 경험 속성들 중 흙 재료 활용에 해당하는 속성들을 추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내 공간에서의 흙 재료 활용 방법에 따른 표현 사례들을 분석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 경험 속성 중 흙 재료 및 활용과 관련 있는 것은 다음 <표 4>에 표시된 바와 같다.

(10)

자연의 직접적 경험 자연의 간접적 경험 공간 및 장소의 경험

· 빛 · 자연의 이미지 · 전망과 피난처

· 공기 · 자연 소재 · 조직화된 복잡성

· 물 · 자연광 및 공기 모방 · 부분에서 전체로 통합

· 식물 · 자연적 형태 · 전이적 공간

· 동물 · 자연을 떠올림 · 이동성 및 길 찾기

· 날씨 · 풍부한 정보 · 장소에 대한 문화 및 생태적 애착

· 자연 경관 및 생태계 · 시대, 변화, 시간에 따른 고색창연함

· 불 · 자연의 기하학

· 생물체 모방

<표 4> 흙 재료 활용과 관련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경험 및 속성

자연의 직접적인 경험에서는 ‘자연경관 및 생태계(Natural landscapes and ecosystems)’ 속성 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간접적 경험에서는 ‘자연의 이미지(Images of nature)’, ‘자연소재 (Natural materials)’, ‘자연을 떠올림(Evoking nature)’, ‘시대·변화·변화에 따른 고색창연함 (Age, change, and the patina of time)’, 공간 및 장소의 경험 영역에서는 ‘장소에 대한 문화 및 생태적 애착(Cultural and ecological attachment to place)’ 속성에 해당된다.

상기 내용들을 바탕으로 도출한 분석틀은 다음과 같다.

흙 재료 활용 경험의 속성

자연경관 및 생태계

(S)

자연 이미지 (I)

자연 소재 (M)

자연 형태 (F)

자연을 떠올림

(E)

시대, 변화, 고색창연함

(C)

장소에 대한 문화·생태적

애착 (P)

생태적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

전체성(H) HS HI HM HF HE HC HP

연속성(C) CS CI CM CF CE CC CP

다양성(V) VS VI VM VF VE VC VP

역동성(D) DS DI DM DF DE DC DP

진화성(E) ES EI EM EF EE EC EP

균형성(B) BS BI BM BF BE BC BP

<표 5> 흙 재료 활용 실내 표현 특성 분석틀

4.2. 사례 분석

앞서 도출된 분석틀로 생태적 관점에서 흙 재료 활용을 통한 실내 표현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범위는 앞서 살펴본 대표적 흙 재료 활용 공법별로 최근 21세기 이후, 건축 및 디자인 전문 매거진, 흙 건축 관련 업체를 통해 소개된 주요 실내디자인 사례 5가지를 선정하였다.

(11)

01 흙미장공법: 한남동 Wellness Center23)

U LAB에서 설계한 건강관리 센터로 유기적인 곡선과 친환경 재료로 건축되었다. 내부 공간은 여러 가지 형태의 플러 스터로 마감되어 질감변화를 주며 은은한 간접조명과 자연 재료들이 어우러져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

생태적 실내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

HS HI HM HF HE HC HP

-

CS CI CM CF CE CC CP

VS VI VM VF VE VC VP

- -

DS DI DM DF DE DC DP

- - - - - - -

ES EI EM EF EE EC EP

- -

BS BI BM BF BE BC BP

-

02 흙벽돌공법: Muyinga 지역 사회를 위한 도서관24)

벨기에 스튜디오 BC Architects and Studies와 지역사회 구성원에 의해 지어진 아프리카 브룬디에 있는 어린이 도서 관. Muyinga 도서관은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새로운 학교를 짓고, 현지 재료 및 건축 기술을 사용하고 원주민에 의한 건축 유형학을 참조하는 첫 번째 프로젝트 건물.

생태적 실내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

HS HI HM HF HE HC HP

CS CI CM CF CE CC CP

-

VS VI VM VF VE VC VP

DS DI DM DF DE DC DP

- - -

ES EI EM EF EE EC EP

-

BS BI BM BF BE BC BP

23) http://www.claytec.co.kr/bbs/board.php?bo_table=sub03_01&wr_id=13

24) https://www.dezeen.com/2014/01/14/childrens-library-muyinga-africa-rammed-earth-walls-bc-architects/

(12)

03 붙임공법: 스페인 Felanitx의 오랜 양조장25)

스페인 건축그룹 Aulets Architecture의 이 프로젝트는 Felanitx의 오래된 유적지의 부속건물을 개보수하여 원래 의도 를 회복하기 위함이었음. 버려진 건물의 벽, 바닥 및 목공은 실내공간 재구성을 위한 중요한 요소와 출발점.

생태적 실내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

HS HI HM HF HE HC HP

-

CS CI CM CF CE CC CP

- -

VS VI VM VF VE VC VP

- - - - -

DS DI DM DF DE DC DP

- - - -

ES EI EM EF EE EC EP

- -

BS BI BM BF BE BC BP

- -

04 흙다짐공법: 독일의 에코루트 센터( Ecolut Center)26)

에코루트 센터는 점토라는 라틴어 단어를 기반으로 생태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 천연자원의 의미있는 사용에 주안 점. 독일 건축의 전통과 미래의 상호의존성을 보여주며 전통적 재료로 지어졌지만 현대적으로 표현되었음. 탁 트인 창 을 통해 아름다운 경관을 내려다보며 결혼식을 축하하고, 머무를 수 있는 이벤트 공간.

생태적 실내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

HS HI HM HF HE HC HP

CS CI CM CF CE CC CP

VS VI VM VF VE VC VP

-

DS DI DM DF DE DC DP

- - - - - - -

ES EI EM EF EE EC EP

BS BI BM BF BE BC BP

25) https://thisispaper.com/aulets-reform-of-oenological-station/

(13)

05 흙쌓기공법: 스위스 Dietikon의 주택 단지 'Lättenstrasse'27)

스위스의 환경 건축가 페터 베치(Peter Vetsch)가 설계한 인공호수를 둘러싼 지하 동굴과 같은 9개의 주택. 자연 재해 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면으로 덮인 주택 설계.

생태적 실내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

HS HI HM HF HE HC HP

CS CI CM CF CE CC CP

VS VI VM VF VE VC VP

DS DI DM DF DE DC DP

ES EI EM EF EE EC EP

-

BS BI BM BF BE BC BP

- - - - - -

26) http://www.claytec.co.kr/bbs/board.php?bo_table=sub03_01&wr_id=8

27) https://homesthetics.net/earth-house-estate-lattenstrasse-in-dietikon-switzerland-by-vetsch-architektur/

(14)

4.3. 분석종합

분석 결과, 흙 재료 활용을 통한 실내공간의 자연 경험 표현에 있어 간접적 경험으로서의 ‘자연 이미지’, ‘자연을 떠올림’이 각각 27, 26개의 특성 요소에 해당돼 가장 두드러졌고 직접적인

‘자연경관 및 생태계’ 경험이 뒤를 이었다. 각 사례로 구분한 흙 재료 활용 공법별로는 ‘흙벽돌 공법’, ‘흙쌓기공법’, ‘흙다짐공법’ 순으로 자연적인 경험 표현에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흙벽 돌공법은 쌓기의 여러 가지 변주를 통해 표현의 폭이 손쉽고 추상적인 자연이미지를 비롯해 자연생태계 표현도 가능하게 하였다. 흙쌓기는 자연적 형태에 가장 가까운 구현이 가능해 다양 한 형태의 자연 경험을 할 수 있고 특히 장소에 대한 생태적 표현이 용이하였다. 흙다짐공법은 현대적 표현으로 인테리어 요소로 선호되고 있는 동시에 고른 자연 경험 표현이 가능한 공법으 로 나타났다. 자연경험과 가장 관계성이 높은 표현 특성 요소로는 전체성(33)과 연속성(32), 진화성(29)의 순이었다. 이처럼 생태계, 유기체 특징의 구현을 통해 자연에 대한 심상이 구체 화되고 경험이 다양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론

본 연구는 생태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흙 재료를 활용하여 자연의 여러 경험들이 실내 공간 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 그 특성에 대한 파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생태건축의 디자인 표현 특성 및 바이오필릭 디자인에서 흙 재료 활용에 해당되는 구체적인 디자인 경험 속성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21세기 들어 생태적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는 흙재 료 활용의 실내 표현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자연 중심의 사고를 바탕으로 하는 생태건축의 철학과 자연과의 관계성을 통해 ‘전체성’, ‘연속성’, ‘다양성’, ‘역동성’, ‘진화성’, ‘균형성’의 6가지 생태 적 관점의 디자인 표현 특성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건축 환경에서 자연을 향한 경험을 실천하기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경험 속성에서 생태건축의 주요 재료인 흙 재료의 경험 속성은 직접 경험으로는 ‘자연경관 및 생태계’, 간접 경험에서는 ‘자연의 이미지’, ‘자연소재’, ‘자연을 떠올림’, ‘시대·변화·변화에 따른 고색창연함’, 공간 및 장소의 경험 영역에서는 ‘장소에 대한 문화 및 생태적 애착’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셋째, 실내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흙 재료 활용으로 구현이 가장 용이한 자연 경험으로는

‘자연이미지’, ‘자연을 떠올림’ 등이 나타났고, 적합한 공법으로는 흙벽돌공법, 흙쌓기공법, 흙 다짐공법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연 경험과 가장 관계성이 높은 표현 특성 요소는 전체성, 연속성, 진화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생태건축의 재료로 선호되는 흙 재료를 통해 자연의 다양한 경험들을 전달할 수 있는 표현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자연적인 경험을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활용법 모색을 위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실내의 흙 재료를 통한 자연과 의 연계 경험의 표현 특성을 보다 구체화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향후 보다 많은 사례 해석과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경험속성 자연경관 및 생태계(S) 자연 이미지(I) 자연 소재(M) 자연 형태(F) 자연을 떠올림(E) 시대, 변화, 고색창연함(C)

장소에 대한 문화·생태적 애착(P)

표현특성 요소

사례 (H)

(C)

(V)

(D)

(E)

(B)

(H)

(C)

(V)

(D)

(E)

(B)

(H)

(C)

(V)

(D)

(E)

(B)

(H)

(C)

(V)

(D)

(E)

(B)

(H)

(C)

(V)

(D)

(E)

(B)

(H)

(C)

(V)

(D)

(E)

(B)

(H)

(C)

(V)

(D)

(E)

(B)

C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C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C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C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C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소 계 5 5 4 3 4 4 5 5 5 3 5 4 5 5 4 1 2 4 4 4 3 2 4 3 5 4 5 3 5 4 5 5 3 1 5 4 4 4 3 1 4 3

합 계 25 27 21 20 26 23 19

<표 6> 사례 분석 종합

(15)

참고문헌

조지프 케네디, 캐서린 워넥, 마이클 스미스, 『자연을 닮은 집짓기(The Art of Natural Building: Design, Construction, Resource)』, 장수인 역, 도서출판 따님, 2009.

황혜주, 『흙건축 Earth Architecture』, 도서출판 CIR, 2016.

Kellert, S. and Calabrese, 『The Practice of Biophilic Design』. www.biophilc-design.com, 2015.

Stephen R. Kellert, Judith H. Heerwagen, and Martin L. Mador, 『Biophilic Design : The Theory, Science and Practice of Bringing Buildings to Life』, John Wiley&Sons: Hoboken, 2008.

이윤희, 「생태중심적 사고와 현대 생태학적 건축의 상관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공공시설, 상업건축, 문화시설 등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5(8), 2009.

정무웅, 「생태, 도시 그리고 인간: 철학, 개념, 이론(Ⅲ)-생태건축의 특성과 도시·건축공간 구성」, 건축, 41(12), 1997.

주진형, 「‘리좀’ 개념에 기초한 현대 건축공간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질 들뢰즈의 공간 담론을 중심으로」,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9(2), 2014.

월간 전원 속의 내집, 2013년 7월호.

중앙일보 2018년 6월 20일자 ‘자연과 연결 '바이오필릭' 인테리어 인기’.

http://www.ciaotoro.com http://www.claytec.co.kr

http://www.contemporist.com/what-are-rammed-earth-walls/

https://www.dezeen.com/2017/11/16/entre-pinos-taller-hector-barroso-weekend-homes-soil-r ender-forest-mexico-architecture/)

https://homesthetics.net/earth-house-estate-lattenstrasse-in-dietikon-switzerland-by-vetsch-arc hitektur/

https://thisispaper.com/aulets-reform-of-oenological-station/

http://www.tohwangto.com http://www.torolife.com

https://www.youtube.com/watch?v=c9cDy9XkXP

(16)

참조

관련 문서

This study researched the possibility of using natural products for hair growth agents and hair loss prevention materials based on the test for the antioxidant and

In this paper, it is implemented the image retrieval method based on interest point of the object by using the histogram of feature vectors to be rearranged.. Following steps

If we think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and responsibility as principal, we should be oriented to the solution system of making private insurance contract against the

The key to the geopolitics of energy in Northeast Asia is clearly the Korean peninsula. Russia, to the North and East, possesses nearly one third of global natural gas reserves,

Edit the layout in the design magazine, the nature of the design, the designers are trying to convey the power of the message depends on the magazine

– Treat wastewater before it is discharged to maintain the water quality of the natural waters for the benefit of humans and aquatic ecosystem. • Wastewater management goal

As can be seen from examples of convergence with other fields already attempted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and the integratio n of liberal arts and

Third, objet, which appeared in the interior design, creates a form of space that makes mental process that triggers observers a sensation and a des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