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자산업의 핵심직업과 커리어 경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전자산업의 핵심직업과 커리어 경로"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전자산업의 핵심직업과 커리어 경로

최동선, 한상근, 정윤경, 김기헌

2005. 11.

(2)

Working Paper 2005-08

전자산업의 핵심직업과 커리어 경로

최동선

1)

․한상근

2)

․정윤경

3)

․김기헌

4)

< 목 차 >

Ⅰ. 서론 ··· 1

Ⅱ. 전자산업의 핵심직업 ··· 2

Ⅲ. 전자산업의 핵심직업별 커리어 경로 ··· 17

Ⅳ. 결론 ··· 21

참고문헌 ··· 25

국가 경제 및 전략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전자산업은, 기술 집약적 산업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인력을 양성․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분야이지만 수요-공급의 질적 불균형 문제는 여전히 숙제로 남겨져 있으며 더욱 심화 되기도 한다. 산업별 수요와 공급의 합리적인 조정은 산업계의 여러 가지의 모습들이 인력양성 단계에 반영될 때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즉 기존의 양적인 접근, 즉 어 느 분야에서 어느 정도 규모의 인력이 요구되는지와 같은 분석과 함께, 업무수행에 요 구되는 스킬(skills)의 유형 및 수준, 산업계에서 수행하는 직무내용, 입직 이후의 개인 의 성장 가능성 및 경로 등과 같은 질적인 분석도 병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에 따 라 이 연구에서는 전자산업을 대표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업, 휴대폰 제조업, 전자 의료기기 제조업 분야를 대상으로, 어떠한 직업들이 어떠한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주 요 핵심직업의 커리어 경로(career path)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탐색함으로써 전자산 업에서의 직업연구의 기본 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진로정보센터 전문연구원 (dongson@krivet.re.kr) 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진로정보센터 연구위원 (hansang@krivet.re.kr) 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진로정보센터 전문연구원 (ykjeong@krivet.re.kr) 4) 일본 東北大 사회계층과 불평등연구센터 박사후연구원 (kihuns@kli.re.kr)

(3)

Ⅰ. 서론

전자산업은 전자(electronic)의 운동 특성을 응용하는 기기나 여기에 주로 사용되는 부품 또 는 재료를 제조․활용(개발․생산․판매도 포함함)하는 산업(한상근 외, 2005)을 의미한다1). 전 자산업은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핵심 원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통계적으로 보더라도 전자산업은 2002년 12월 현재 부가가치 산출액에서 전체 제조업의 21.3%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자산업의 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액도 제조업 평균의 1.5배에 달하고 있다. 또한 전자산업의 고용규모는 제조업 총 고용의 12.8%를 담당하고 있다(통계청, 2003a, 2003b). 이와 함께 반도체, 휴대폰, 컴퓨터 등 3개 품목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28%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 레이,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전지 등의 전자산업이 차세대 신성장동력 산업에 포함되어 있어, 전자산업은 국가경제 및 전략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전자산업은 상대적으로 기술집약적 산업에 해당한다. 따라서 전자산업의 주요 경쟁전략은 제 품의 기술적 우위 확보전략이며, 이를 위해 우수한 연구개발인력 및 기술․기능인력의 확보와 질적 제고는 중요한 과제이다(정진화, 2004). 특히 외형적인 경쟁력과는 달리 질적인 경쟁력에 서 취약한 구조를 지니고 있는 우리에게 있어서 중국의 추격은 위협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현재보다 한 단계 도약한 기술발전과 산업경제의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교육 을 통한 우수한 인력의 양성․확보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인력양성에 있어서 산업계와 교육계 의 괴리, 즉 산업별 수요와 공급의 질적 불균형(skill mismatch) 문제는 만성적인 과제로 남아있 으며, 일부 산업부문에서는 기술발전으로 인하여 산업계와 교육계 사이의 괴리가 더욱 심화되 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하여 다양한 문제제기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가운데 우리의 교육훈련 시스템이 인력 수요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은 학교교육을 통한 인력양성 시스템의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로 이해할 수 있다. 즉 기존의 공급자 위주의 교육 훈련 체계를 수요자 중심의 체계로 개편해야 한다는 것으로, 학교교육을 통해 양성하는 인력이 갖추어야 할 직업적인 능력이나 이들에게 제공되는 학습내용이 산업계로부터의 요구에 부응하 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별 수요와 공급의 합리적인 조정은 산업계의 여러 가지의 모습이 학교교육에 반영될 때

1) 전자산업은 전자부품, 산업용기기, 가정용기기 등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구체적으로 보면 매우 다양한 산업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생산액이나 종사자 규모 등의 노동시장적인 특성, 국가 전 략 산업으로서의 중요성, 전문가들의 의견 등을 종합하여 연구 대상 산업 부분을 전자집적회로 제조 업(반도체), 무선통신기기제조업(휴대폰), 전기식 진단 및 요법기기 제조업(전자의료기기) 등의 세 업 종으로 제한하였다. 반도체 산업은 디지털 전자산업에 있어서 핵심이자 원천기술이 되는 중요한 기반 산업이며, 휴대폰 산업은 전자산업의 다양한 기술이 컨버전스를 이루어 생산되는 제품으로, 특히 우리 나라의 국제적인 경쟁 우위가 있는 산업 부문이고, 전자의료기기 산업은 전자․정보․계측․제어 및 바이오기술의 접목으로 각 부문간 기술 융합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기술 복합형 산업으로, 특히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 구조가 이 연구에 주는 의미가 크다는 점에서 선정되었다.

(4)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산업계의 여러 가지 모습들에는 업무 수행에 요 구되는 스킬(skills)의 유형 및 수준, 산업계에서 수행하는 (또는 수행하게 될) 직무내용, 입직 이 후의 개인적인 성장 가능성 및 경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특정한 산업 내에서 어떠한 직 업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이 어떠한 상호작용의 관계를 갖고 있고, 특정한 직업에 입직한 이후에 펼쳐질 경로는 어떠한지 등과 같은 질적인 정보들이 어느 분야에서 어느 정도 규모의 인력이 요구되는지와 같은 양적인 정보와 함께 분석․생성․활용될 필요가 있을 의미한다. 이 를 위해서는 학교교육을 통해 양성되는 인력이 산업계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직업적인 측 면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특정 산업 분야의 직업들이 서로 어떠한 관계를 이루고 있 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교육훈련의 입장에서 중요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전자산업을 구성하고 있는 직업에는 무엇이 있으며, 이들이 어떠한 관 계를 이루고 있고, 이들 가운데 핵심직업은 무엇이며, 핵심직업별 커리어 경로는 어떻게 구성되 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전자산업에서의 직업연구의 기본 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2).

Ⅱ. 전자산업의 핵심직업

1. 전자산업의 직업에 대한 개념과 분류

가. 전자산업 직업의 개념 및 범위

전자산업은 관점에 따라 그 범위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또한 최근의 ‘네트워크화’ 또는 ‘디 지털 컨버전스화’로 인하여 전자산업의 범위가 더욱 모호해지는 경향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자산업을 “전자(electron)의 운동 특성을 응용하는 기기나 여기에 주로 사용되는 부품 또는 재료를 제조․활용(개발, 생산, 판매 등도 포함)하는 산업(한상근 외, 2005)”으로 정의한다. 이러 한 전자산업은 통신업과 구분되는 제조업으로 ① 반도체, 인쇄회로, 전자관 등의 전자부품, ② 휴대폰, 컴퓨터, 모니터, 위성방송수신기 등 산업용기기, ③ TV, 냉장고, 에어콘, 음향기기 등 가 정용기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정의에 기초해 전자산업분야 직업의 범위를 1차적으로 정한다면 해당 제조업에 종사 하는 인력을 직업분류의 모집단으로 삼을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전자산업

2) 이 연구에서는 산업부문별 현직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관련 협회 및 단체의 관계자 등과의 협 의회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특히 핵심직업별 세부적인 분석을 위한 기본 틀을 구성하기 위하여 각 산업부문별로 대표적인 산업체에서 4~5년 이상 근무한 경험이 있는 현직자 및 산업부문별 협회(󰄤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한국전자산업협회 등)의 관계자와의 수차례에 걸친 협의를 실시하였다.

(5)

전자산업 제조업 종사자

전자분야 직업종사자

전자산업 핵심직업 종사자

전자산업 기술인력 전체 산업 종사자

[그림 4] 전자산업 제조업 종사자와 전자 분야 직업 종사자의 개념적인 관계도

제조업 종사자”와 “전자 분야 직업 종사자”를 구분해야 한다는 점이다3).

‘전자산업 제조업 종사자’는 말 그대로 전체 산업 종사자 중에서 전자산업 제조업에 종사하 는 모든 인력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개념은 산업에 기반을 둔, 즉 어느 인력이 종사하는 생 산단위(사업체 단위, 기업체 단위 등)의 성질에 따른 것으로, 삼성전자에 근무하는 전자공학 엔 지니어뿐만 아니라 삼성전자빌딩에 근무하는 수위 역시 전자산업 종사자에 포함된다. 이는 전 자산업이 제조업 총고용의 몇 %를 전자산업이 담당하는지 등과 같은 산업에 바탕을 둔 분석을 하는 경우에 유용한 접근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의를 따르면 2002년 12월 현재 전자산업 의 총 종사자수는 3,382,865명이며, 직업별로는 연구개발직이 8.2%, 기술직이 11.9%, 기능직이 28.7%, 단순직이 26.6%, 사무관련직이 24.6%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전자산업 은 제조업 총부가치의 21.3%, 제조업 전체 고용의 12.8%를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정진화, 2004). 이러한 정의는 그 자체로 유의미하지만 전자산업 그 자체가 아니라 전자산업의 직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이 연구의 목적과 비교해 볼 때 너무나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또 다른 한 극단은 전자산업 제조업과 관련된 핵심인력만을 전자산업 분야의 직업의 범위로 국한하는 것이다. 이러한 예는 산업자원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산업기술인력수급실태조 사에서 살펴볼 수 있다. 여기에서 산업기술인력은 기업에서 ‘관련 연구개발 및 기술업무에 종 사하고 있는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이공계 전공자(산업자원부, 2005)’로 정의된다. 이 조 사결과에 의하면 2004년 10월 1일 현재 전체 산업기술인력의 17.4%(제조업의 28.2%)에 해당하 는 69,573명이 전자산업 관련 인력으로 나타난다. 이 정의는 핵심인력을 파악하고 해당 인재를

3) 권남훈 등(2001)은 정보통신인력을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와 ‘정보통신 직업 종사자’로 구분하였는데, 이러한 분류의 틀은 이 연구에서의 ‘전자산업 종사자’와 ‘전자산업분야 직업 종사자’의 구분과 유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6)

육성하는 정책적 목적 하에는 매우 유의미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본 연구의 목적상 매우 협소한 정의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자산업 제조업 종사자 혹은 산업기술인력과는 달리 전자 분야 직업종사자는 어 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여기에서 우리는 전자산업의 산업적 특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연 구의 전자산업에 대한 정의는 제조업에 국한되며 제조업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제품을 기획하 고 개발하며 생산하는 판매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게 된다. 즉 전자 분야 직업 종사자는 ‘전자(electron)의 운동 특성을 응용하는 기기나 여기에 주로 사용되는 부품 또는 재료를 기획․개발․생산․판매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자’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 분야 직업종사자를 이처럼 제조공정에 기초해 정의한다면 가장 적정한 수준에서 해당 분야의 직업 범위를 확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삼성전자 빌딩에 근무하는 수위가 전자 분야의 직업 인가라는 의문은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개념적으로 볼 때 전자 분야 직업 종사자들이 모두 전 자산업 제조업 종사자에 포함된다고 보기는 힘들 것이다. 특히 최근의 디지털 컨버전스화 내지 는 네트워킹화 등의 추세는 전자 분야 직업 종사자들이 전자산업이 아닌 다른 산업분야에서 활 동할 개연성이 더욱 클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2003년도 산업․직업고용구조조사 결과를 보 면 전자산업분야 직업 종사자의 대표격인 전자공학기술자가 제조업이 아닌 사업 서비스업 (21%)이나 운수업(1%) 등에도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중앙고용정보원, 2003). 이 러한 개념적인 관계는 나중에 논의할 핵심직업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 전자산업의 직업의 분류

모든 형태의 직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직업분류는 “기업, 산업 또는 국가에서 발견되어지 는 모든 형태의 직무들을 수행하는 일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표현하는 수단이자 이러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도구(Elias et al, 1995, p. 1)”로 정의할 수 있다. 포괄적으로 모든 형태의 직 업을 분류하는 작업은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직능유형(skill type)”과 “직능수준 (skill level)”이라는 정교화된 분류 원칙을 가지고 있으나 개별 산업 혹은 특정 직업 분야별로 직업을 정의하고 분류하는 것은 새로운 분야인데다 매우 어려운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Freeman & Aspray, 1999).

다만, 특정 산업이나 직업분야별로 직업을 분류하고 있는 국내외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다음 과 같은 두 가지 전략 중 하나를 선택하고 있다. 첫 번째는 직접 설문조사를 진행하거나 관련 분야의 직업들을 일일이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해당 분야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직업분류를 개발하는 것이다(금재호 외, 1999; 금재호 외, 2003; IDC, 2000; NWCET, 2001). 두 번째는 해당 분야에 관해 그 범위를 명확히 정의한 후 기존의 표준직업분류나 고용직업분류를 활용해 해당 되는 직업분류를 가져와 정리하는 것이다(권남훈 외, 1999; 권남훈 외, 2001; Henry et al, 1999;

(7)

Kochan & Barley, 1999; Magherio et al, 1998). 각 접근법은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전자 는 매우 세부적으로 특정 분야의 직업을 분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으나 많은 비용이 들고 표준적인 공통 언어로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호환성에 있어서 문제점을 드러낸다. 반 면, 후자는 명확한 범위 설정과 선별 기준을 마련한다면 매우 적은 비용으로 대표성을 갖고 있 는 기존의 표준분류를 활용하여 직업을 분류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고 표준직업분류에 기초한 다양한 기존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호환성이 높지만 현실적 합성이 떨어지고 특정 분야의 세부적인 정보 습득을 목적으로 활용하는데 제한점을 가지고 있 다. 동시에 어떤 연구 목적으로 특정 분야의 직업을 분류할 것인가에 따라서 두 접근법의 활용 여부가 결정되기도 한다. 국가표준직업분류를 개발하는 작업과 같이 직업분류 그 자체가 연구 목적이거나 세부적인 수준에서 직업별로 인력수요 및 전망을 해야 하는 연구일 경우 전자의 접 근법이 유용할 것이다. 반면, 특정 분야의 직업들을 참여관찰 등 탐색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거 나 직업보다는 직무 수준의 분석일 경우에 해당 분야의 직업을 분류하는 작업은 후자의 접근법 이 유용할 것이다. 직업 연구를 양적(quantitative) 접근과 질적(qualitative) 접근으로 구분(이영 대․김기홍, 1999)해 본다면 전자는 양적 접근에, 후자는 질적 접근에 유용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산업별 탐색적 접근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후자의 전략을 이용하여 전자산업의 직 업을 정의하고 분류하였다. 앞서 전자 분야 직업 종사자를 제조공정에 기초하여 그 개념을 정 의하였는데, 이와 같이 제조공정에 기초하여 전자산업 분야 직업의 범위를 규정하고 분류함에 있어서 매트릭스 모형(matrix model)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캐나다의 표준직업분 류(National Occupational Classification)에서 채용하는 방식으로, 국제표준직업분류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로 대변되는 기존의 분류구조의 문제점 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4). NOC의 매트릭스 모형은 전자산업분야 직업 종사자를 분류하는 기본 모형으로 도입한다면 <표 1>과 같은 형태를 취하게 된다. 곧 매트릭스 상의 X축 은 기존의 표준직업분류의 대분류가 되고 Y축은 ① 관리, ② 기획, ③ 개발, ④ 생산, ⑤ 조립,

⑥ 판매 등 전자산업의 제조공정과 관련된 항목들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조공정은 표준직업 분류에서 직업을 선별하는 기준이 된다5).

4) 분류학 혹은 계통학의 기본 관점에서 볼 때 ISCO는 하나의 단위에 두 가지 개념이 혼합된 모순을 가 지고 있었다. 그것은 직업분류의 기본 원칙으로 확립된 직능유형과 직능수준이 대분류 단계에서 동시 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ISCO는 여전히 전문가와 준전문가를 대분류 수준에 구분하고 있 다. 이것은 직업의 숙련 수준 혹은 요구되는 능력 수준이 변화한다는 점에서 애매한 구분이며 전문가 와 준전문가를 어떻게 나눌 것인가라는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표준직업분류(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와 캐나다의 NOC는 대분류 기준으 로 직능유형만을 고려하였다. 한 걸음 나아가 캐나다의 NOC는 두 번째 중요한 분류기준이 직능수준 을 중분류 단위에서 고려하는 매트릭스 모형을 도입해 분류 기준의 논리적 구조를 명확히 하였다. 곧 매트릭스 상의 X축은 직능유형이 되며 Y축은 직능수준이 된다.

5) 이 연구에서는 반도체, 휴대폰, 전자의료기기 제품을 기획․개발․생산․판매하는 공정별로 어떠한

(8)

대분류1 대분류2 대분류3 대분류4 대분류5 대분류6 대분류7 관리

기획 개발 생산 조립 판매

<표 1> 전자산업분야 직업분류를 위한 매트릭스(matrix) 모형

2. 전자산업의 제조공정 및 관련 직업

전자제품이 기획․개발․생산․판매되기까지 각각의 과정에 어떠한 직업 종사자들이 관여하 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전자산업의 제조공정을 파악하였다. 현직 자를 대상으로 한 수차례의 인터뷰를 통해 제조공정과 각각의 공정에 관계된 직업들을 확인하 였는데, 이러한 작업은 제품생산 공정에 기초함으로써 핵심직업에 근접하기 위한 기초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 반도체

하나의 반도체 집적회로 칩이 만들어지기까지 대략적으로 ① 반도체 생산의 설계도면이라 할 수 있는 회로를 설계하는 공정, ② 반도체의 전기적․전자적인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 위 공정별로 새로운 제조기술을 연구․개발하는 소자개발 공정, ③ 회로설계 공정에서 작성된 레이아웃과 개선된 공정별 제조기술을 접적하여 양산을 위한 반도체 제조 공정을 개발하고 시 뮬레이션 과정을 통해 연구․개발한 결과를 평가하는 공정 집적(process integration)의 공정, 그리고 ④ 실제 양산 팹(FAB)에서 각종 반도체 제조 장비와 재료를 이용하여 제품을 양산하는 제품생산 공정을 거쳐 이루어진다([그림 2] 참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회로설계 공정에서는 반도체 내부에서의 전자들의 움 직임 자체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고 회로적인 관점에서 메모리의 처리속도를 개선하거 나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도면을 작성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반면 소자개발 공 정에서는 단위 공정별로 새로운 공정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는데, 즉 반도 체 디바이스(device) 하나를 만드는 전체적인 기술 개선이라기보다는 세부적인 단위 공정에서 의 기술 개선이 주된 목적인 것이다. 회로 설계의 공정과 소자개발의 공정의 결과를 종합하여

직업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를 <표 1>에서의 매트릭스에 적용한 결과는 <부록 1>에 제시 하였다.

(9)

최 종 검 사 Final Test

반도체 회로 설계

반 도 체Concept의 디 자 인

회 로Layout의 디 자 인 반도체 회로 설계

반 도 체Concept의 디 자 인

회 로Layout의 디 자 인 반 도 체Concept의

디 자 인

회 로Layout의 디 자 인

반도체 소자 개발 반 도 체 의 전 기 적 인 특 성 을 개 선 하 기 위 하 여 단 위 공 정 별 로 새 로 운 제 조 기 술 을 연 구·개 발

반도체 소자 개발 반 도 체 의 전 기 적 인 특 성 을 개 선 하 기 위 하 여 단 위 공 정 별 로 새 로 운 제 조 기 술 을 연 구·개 발

웨이퍼

생산 단 결 정 규 소 봉 성 장

(Ingot Growing) 규 소 봉 절 단

Slicing 웨 이 퍼 연 마 Lapping & Polishing

W afer Epitaxial Process Cleaning and

Packing

웨 이 퍼 절 단 Sawing 칩 접 착 Die Attach

금 속 연 결 W ire Bonding 웨 이 퍼 자 동 선 별 Electric Die Sorting 조립공정

(Assembly 공정)

성 형 Molding

검사공정 (Testing 공정)

제품생산 공정 마 스 크

제 조

공정 집적(Process Integration, Pilot 공정) 반 도 체 회 로 설 계Layout과 공 정 별 제 조 기 술 을 집 적 하 여 실 제 소 자 를 개 발 하 는Simulation을 통 하 여 연 구·개 발 결 과 를 테 스 팅 함 과 동 시 에 양 산 을 위 한 반 도 체 제 조 공 정 을 개 발 함.

공정 집적(Process Integration, Pilot 공정) 반 도 체 회 로 설 계Layout과 공 정 별 제 조 기 술 을 집 적 하 여 실 제 소 자 를 개 발 하 는Simulation을 통 하 여 연 구·개 발 결 과 를 테 스 팅 함 과 동 시 에 양 산 을 위 한 반 도 체 제 조 공 정 을 개 발 함.

반도체 제조 관련 재료의

공급

반도체 장비 제조 및

관리

산 화 (Oxidation Layering)

노 광 (Scanner Exposure)

감 광 액 도 포 (Photoresist Coating)

현 상 (Develop & Bake)

노 광 (Scanner Exposure)

감 광 액 도 포 (Photoresist Coating)

현 상 (Develop & Bake) 노광공정

(Photo 공정)

식 각 (Etching) 식각공정

(Etching 공정) 식 각

(Etching) 식각공정

(Etching 공정)

이 온 주 입 (Ion Implantation) 확산공정

(Diffusion 공정) 이 온 주 입 (Ion Implantation) 확산공정

(Diffusion 공정)

증착공정 (Deposition 공정)

화 학 기 상 증 착 (Chemical Vapor Deposition)

금 속 배 선 (Metal Deposition)

화 학 기 상 증 착 (Chemical Vapor Deposition)

금 속 배 선 (Metal Deposition)

Cleaning & CMP (Chemical Mechnical Polishing)

생 산 될 상 품 에 대 한 기 획

생 산 될 상 품 의 기 술 적 측 면 의 기 획

생 산 될 상 품 에 대 한 기 획

생 산 될 상 품 의 기 술 적 측 면 의 기 획

제품 판매

[그림 2]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 공정

실제 반도체 제조 공정으로 구체화하는 것이 공정 집적 과정에 이루어진다. 공정 집적 단계에 서는 설계 도면과 소자개발 결과를 실제 공정에 적용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는데, 이를 통해 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결과를 양산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러한 이유로 공정 집적 단계를 양산 전의 테스트 공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Pilot 공정이 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공정 집적 단계를 통해 형성된 반도체 생산 공정은 제품생산 공 정 또는 양산 과정을 통해 실제 생산에 돌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품생산 공정은 아무런 작업 이 이루어지지 않은 웨이퍼에 노광(lithography), 식각(etching), 확산(diffusion), 증착 (deposition)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설계된 회로 패턴을 인쇄하는 ‘전공정’과, 전공정이 완료된 웨이퍼를 절단하여 단위 칩으로 조립하는 ‘조립공정’, 그리고 조립이 완료된 반도체 칩

(10)

을 최종 검사하는 ‘검사공정’으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전공정을 구성하는 노광․식각․확산․

증착 등의 공정은 어떠한 반도체 칩을 생산하느냐에 따라 그 순서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들 단위공정이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공정6)으로 나타난다. 또한 웨이퍼(wafers)를 비롯한 반도체 가공에 소요되는 재료를 제작․공급하는 공정, 설계된 회로 패턴을 웨이퍼에 인 쇄하기 위해 마스크(mask)를 제조하는 공정, 그리고 반도체 제조 과정에 사용되는 각종 장비들 을 개발․관리하는 공정도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 공정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반도체 집적회로 생산공정별로 다양한 엔지니어와 테크니션(technician), 오퍼리에 터(operator) 등이 활동하는데, 이를 공정별로 구분하면 <표 2>와 같다.

공정 직업명

기획 반도체상품기획자, 반도체기술기획자

개발

반도체 회로설계 반도체설계엔지니어, 반도체SoC설계엔지니어, 회로설계원 반도체 소자개발 반도체소자개발연구원

공정 집적 반도체공정기술개발엔지니어

생산

마스크 제조 마스크제조원

웨이퍼 생산 웨이퍼제조엔지니어, 웨이퍼제조기술공, 웨이퍼제조원 전공정 반도체제조엔지니어, 반도체제조기술공, 반도체제조원 반도체 재료개발 반도체재료개발엔지니어

반도체 장비 개발 및 관리

반도체장비개발엔지니어, 반도체장비개발기술공 반도체장비관리엔지니어, 반도체장비정비원

조립 후공정 반도체조립엔지니어, 반도체조립기술공, 반도체조립원 검사 반도체검사엔지니어, 반도체신뢰성시험원

판매 반도체판매사무원

〈표 2〉반도체 제조공정별 관련 직업

나. 휴대폰

휴대폰의 제조공정은 크게 기획, 개발, 생산, 관리의 4부분으로 나누어진다([그림 3] 참조). 기 획단계에서는 시장의 요구를 반영하고 제품의 트렌드를 분석하여 신제품의 개념을 잡는 상품 기획과 신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기존의 기술에 접목시키기 위한 원천기술 구매 및 기술 관련

6) 예를 들어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은 산화→노광 (또는 패턴화)→식각→확산(또는 이온주입)→산화→폴리실리콘의 화학기상증착(CVD)→노광(또는 패 턴화)→식각→노광→이온주입(P-소스와 Drain 또는 N-소스와 Drain)→산화물 증착→노광→식각→알 루미늄 및 텅스텐의 금속증착→노광→식각→BPSG의 증착→노광→식각→텅스텐의 금속증착→식각→

알루미늄의 금속 증착 및 식각→노광→식각 연결 등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이종현, 2005), 이처 럼 반도제 제조 전공정 또는 웨이퍼 가공 공정은 노광․식각․확산․증착이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형 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11)

[그림 3] 휴대폰 제조공정 로드맵을 작성하는 기술기획의 두 가지가 있다.

제품 및 기술 기획이 끝나면 개발공정에서 추상적인 신제품의 개념을 구체화하는데 이것은 디자인과 기구설계에서 구현된다. 디자인과정은 기구구조와 공학적 메커니즘에 근거하여 제품 의 외장을 디자인하는 과정이며, 기구설계는 디자인이 제품에 구현될 수 있도록 기구를 설계한 다. 이 단계에서 디자이너와 기구설계엔지니어간의 의사소통이 중요하다. 기구가 모양을 갖추 면 하드웨어는 이에 따라 회로를 설계하고 통화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R/F를 최적화한다. 소프 트웨어는 컴퓨터 언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구현하도록 명령체계를 짜는 프로그래밍 과정이다.

이 때 자바, 폰트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한 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완성된 시제품은 테스트 단계에서 검사하며 오류를 점검한 후 양산화 과정에 들어간다.

생산 공정은 생산공정관리팀에서 시제품의 양산성을 조사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생산공정관 리단계에서 양산화를 위해 생산 및 조립 단계에서 필요한 작업지시서를 작성하고 구매자재부

(12)

서에서는 관련 부품 및 자재를 구매한다. 외주업체에서 제작한 PCB, IC칩, 저항콘덴서 등이 입 고되면 장비를 이용하여 부품실장을 한다. 이 단계는 설계도면을 따라 보드판에 칩을 올리는 과정인데 장비를 이용한 자동화 공정이어서 설비가 중요하며 설비장비를 프로그램화하고 다시 셋팅하는 설비기사들이 있다. LCD, 안테나, 배터리, 케이스, 진동모터, 사출물 등의 외관자재들 이 입고되면 실장을 끝낸 보드판 위에 조립을 한다. 조립을 끝낸 휴대폰은 품질 및 성능검사를 거쳐 출하여부를 결정하는 출하검사를 거치고 포장한다. 휴대폰 제조공정에서의 사후관리는 제 품의 사후관리인 A/S와 제품 구매고객을 관리하는 고객지원으로 나뉜다.

이와 같은 휴대폰 제조공정별로 다양한 엔지니어와 전문가들이 있는데, 이를 공정별로 구분 하면 다음의 <표 3>과 같다.

공정 직업명

기획 상품기획 휴대폰상품기획자, 모바일기술기획자

개발

디자인 휴대폰디자이너

H/W 휴대폰기구설계엔지니어, 휴대폰R/F개발자, 모바일H/W엔지니어, 모바일기술컨설턴트

S/W 모바일S/W시스템엔지니어, 모바일아키텍처, 휴대폰컨텐츠개발자 테스트 휴대폰테스터

생산 기술지원 구매자재관리자 생산관리 생산공정관리자

조립

부품실장 설비기사

조립 수리사, 휴대폰조립원 품질관리 품질검사원

판매 사후관리 모바일A/S엔지니어 제품 판매 휴대폰판매사무원

〈표 3〉휴대폰 제조공정별 직업

다. 전자의료기기

전자의료기기 공정은 전자의료기기 설계 관련 공정, 제조 관련 공정, 판매 공정 등 3개의 공 정으로 크게 구분된다. 전자의료기기 설계 관련 공정은 다시 상품기획, 연구설계, 시제품 개발 을 거치며 이 과정에서 임상연구와 규격 관련 업무의 지원을 받는다. 제조 관련 공정은 전자의 료기기 업체 내에서 PP생산, 양산이관, 양산, 검사, 포장 공정을 거치게 된다. 전자의료기기 업 체는 양산 공정에 앞서 식약청이 지정한 검사기관으로부터 전기적․기계적 안정성 및 임상적 유효성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품목허가를 받아야 하며, 양산 공정에서 완성품 조립에 필요한 제품(부품)들은 일반적으로 외부의 전문제조업체에 제작을 의뢰한다. 마지막으로 판매 공정에

(13)

연구•제조하여 판매할 상품을 기획하는 과정 전자의료기기 설계 관련 공정

상품기획

기획된 상품을 설계•

개발하는 과정 연구설계

시제품(기구물)을 개발 하는 과정 시제품 개발

Pilot production을 소량 생산하는 과정 전자의료기기 제조 관련 공정

PP생산

양산 작업을 위한 표준 마련 과정(작업지도서, 검사표준서 등) 양산이관

설계도에 따라 제품을 조립하여 완성품을 제작하는 과정

전문제조업체에 제품, 부품 제작 발주하여 납입 받는 과정 부품 외주 제작 식약청 지정 검사기관

에서 품목허가 받음 품목허가

완제품을 검사기준에 따라 최종 검사하는 과정

해외, 국내에 직판하거나 대리점에 위탁 판매하는 과정

전자의료기기 판매 공정

상품판매 완제품을 포장하는

과정 포장된 완제품을 창고에

보관 보 관

출하 임상적 유효성 검증

임상연구

해외규격, 국내법 서류 준비하는 과정 규 격

전기적•기계적 안정성 검증

임상적 유효성 검증

해외, 국내에 직판하거나 대리점에 위탁 판매하는 과정

A/S

[그림 7] 전자의료기기의 제조 공정

는 상품 판매와 A/S가 포함된다([그림 4] 참조). 이처럼 전자의료기기가 개발되어 판매되기까 지 각각의 과정에 관련되는 직업은 <표 4>와 같다.

3. 전자산업의 핵심직업

구체적인 수준에서 살펴보면, 전자산업은 매우 다양한 종류의 직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 로 다양한 방식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제품생산에 기여하고 있다. 그런데 전자제품이 기획․개 발․생산․판매되는 과정에 기여하는 정도나 중요도에 있어서는 직업별로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기에서는 전자산업의 직업들을 핵심직업(core occupations)과 주변 직업(peripheral occupations)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는 이후에 전개될 직업별 커리어 경로를 도출하는 대상을 제한함과 동시에 논의를 집중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7). 또한

7)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직업연구(Ⅰ)󰡕에서는 이들 핵심직업별로 직업적 특성,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스킬, 커리어경로, 전망 등을 조사․분석하고 있다.

(14)

공정 직업명 기획 상품기획 의료기기상품기획자, 의료기기마켓조사원

임상연구 임상연구원

개발

연구설계 의료기기하드웨어설계연구원, 의료기기소프트웨어설계연구원 시제품개발 의료기구디자이너

규격 의료규격엔지니어

생산 PP생산․양산이관 품질시스템관리자

양산 구매자재관리자, 생산제조관리자

조립 검사 의료기기품질검사원

양산 및 포장 의료기기조립원

판매 상품 판매 의료기기판매원, 의료기기임상마켓터(판매지원자)

A/S 사후관리자

〈표 4〉전자의료기기 제조공정별 관련 직업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으로의 구분은 해당 산업 분야를 직업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핵심직업의 개념을 살펴본 뒤, 전자산업의 주요 업종별로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가. 핵심직업의 개념 및 범위

핵심직업의 개념이나 범위를 보는 관점은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다르게 규정될 수 있다. 이 러한 구분은 정보통신 관련 직업에 대하여 자주 적용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Ellis와 Lowell(1999)은 스킬 요구도에 따라 핵심 IT 인력과 주변 IT 인력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이 말하 는 핵심 IT 인력이란 주로 IT 제품의 개발, 창조, 구체화, 설계, 검사하는데 관여하는 인력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전문 훈련 및 스킬을 요구하는 활동을 수행한다. 반면 주변 IT 인력은 타인에 의해 설계․개발된 IT 제품이나 서비스를 적용하거나 실행 및 지원하는 활동을 수행한 다. 따라서 주변 IT 인력에게는 높은 수준의 기술적인 스킬이 요구되지만 핵심 IT 인력과는 달 리 창조성, 의사소통능력, 비전 등은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이들은 컴 퓨터과학자, 컴퓨터엔지니어, 시스템분석가, 프로그래머 등이 핵심 IT 인력에 포함된다고 설명 하였다. 미국 상무성(Meares et al., 1999; 권남훈 외, 2001에서 재인용)에서도 정보기술의 개발 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네 가지 부문에 종사하는 인력으로, 특히 정보인력의 부 족 현상이 이슈로 제기되는 부문을 핵심 IT 인력으로 규정하였다. 이처럼 업무수행에 요구되는 지식 및 스킬의 정도에 따라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으로 구분하는 방식은 금재호 등(2003)의 연 구에서도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직무수행에 있어서 정보통신기술에 관한 지식이 보다 큰 비

(15)

중을 차지하는 직업을 정보통신 핵심직업군으로 규정한 반면, 설치나 조작, 조립 등과 같이 직 무수행에 있어서 특정 사업부문에 관한 전문지식이 더 중요한 직업을 정보통신 비핵심직업군 으로 규정하였다.

반면 사업성과(business performance)와의 관계 속에서 핵심인력과 주변인력으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주로 인력관리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데, 핵심인력은 사업 수행에 있어서 중 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거나 전략적으로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인력으로, 상대적으로 좋은 고용조건과 직업안정성을 지니며,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의 차원으로 훈련을 제공받는다. 반면 주변인력은 덜 중요하다고 인식되며, 제한된 시간 동안 업무를 수행하며, 노동의 요구도가 낮은 경우에 활용되는 경향이 강하다는 차이가 있다(http://www.eurofound.eu.int). 인적자원관리의 차원에서 볼 때, 핵심인력은 자산 또는 투자의 대상으로 간주되는 반면, 주변인력은 주로 비용 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이유로 핵심인력에게는 다양한 부가급부, 훈련 및 승진의 기회, 의사결 정에의 참여 기회 등이 부여되지만, 주변인력은 임시적인 계약에 의한 고용이 주를 이루게 된 다(Lewin, 2003).

이러한 논의를 살펴보면, 앞서 정보통신과 관련한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의 차이가 직무수행에 있어서 어떠한 종류와 어느 정도 수준의 스킬(skills)이 요구되느냐에 따른 것인 반면, 인력관리 차원의 핵심과 주변의 차이는 사업수행(business performance)에 주는 영향력에 따른 차이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전자산업의 직업을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으로 구분하는 것은 궁극적으 로 이들 직업에서 요구하는 스킬을 구명하고 인력양성 과정에서의 교육훈련 및 자격에 대한 개 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틀을 구성하고 논의의 초점을 집중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나중에 살펴본 인력관리 차원에서의 핵심 대 주변의 관점은 이 연구에서의 논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다. 반면 스킬 요구도에 따른 핵심과 주변의 구분은 개념적인 유용성에도 불구하 고 여전히 논의의 범위가 쉽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핵심 직업을 ‘해당 업종의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공급하는데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 는 직업’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의 ‘중심적인 역할’이란 개별 공정에서의 역할 및 개별 공정 내에서 다른 직업들과의 관계, 입직 이후 직무수행을 원활히 하기까지 걸리는 훈련 및 숙련기 간, 인력확보의 난이도, 관련 인력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현직자 및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선정하였다8).

8) 핵심직업을 선정함에 있어서 직업별 종사자 규모를 분석하는 등의 양적인 방법, 직무분석을 통해 규 명된 스킬의 내용과 수준을 토대로 선정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단위가 매우 작 은 단위(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세분류보다 작은 단위)로 양적인 분석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수많은 직 업들을 직무분석을 실시하는 데에 따르는 비용 등을 감안하여, 현직 종사자 및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 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16)

반도체공정기술 개발엔지니어 IV 반도체공정기술

개발엔지니어 IV 반도체소자 개발연구원 IV* 반도체소자 개발연구원 IV* 반도체설계

엔지니어 IV* 반도체설계

엔지니어 IV*

반도체SoC 설계엔지니어반도체SoC IV* 설계엔지니어 IV* 회로설계원 III

회로설계원 III

마스크제조원 II 마스크제조원 II 기획

개발

반도체 상품기획자반도체 IV 상품기획자반도체 IV

상품기획자 IV 반도체 기술기획자반도체 IV 기술기획자반도체 IV 기술기획자 IV

반도체장비 관리엔지니어반도체장비 IV

관리엔지니어 IV 반도체장비 정비원 III 반도체장비

정비원 III 웨이퍼제조

엔지니어 IV 웨이퍼제조

엔지니어 IV 반도체제조

엔지니어 IV 반도체제조

엔지니어 IV 반도체제조

기술공 III 반도체제조

기술공 III

반도체제조원 II 반도체제조원 II

웨이퍼제조 기술공 III 웨이퍼제조

기술공 III

웨이퍼제조원 II 웨이퍼제조원 II 생산

반도체검사 엔지니어 IV 반도체검사

엔지니어 IV 반도체신뢰성 시험원 III 반도체신뢰성

시험원 III 반도체조립

엔지니어 IV 반도체조립

엔지니어 IV 반도체조립

기술공 III 반도체조립

기술공 III

반도체조립원 II 반도체조립원 II 조립

판매

핵심직업

주변직업 주변직업

주: 1) 직업간의 관계에서 는 협력관계를, 는 지시·관리의 관계를, 는 업무이관의 관계를 의미함.

2) 직업별로 제시된 I, II, III, IV, IV*는 직능 수준(skill level)을 제시한 것으로, I은 초등학교 졸업 정도를, II는 중등학교 졸업 정도 를, III은 전문대학 졸업 정도를, IV는 대학교 졸업 정도를, 그리고 IV*는 대학원 졸업 이상을 의미함.

반도체판매원 III 반도체판매원 III 반도체장비

개발엔지니어반도체장비 IV 개발엔지니어 IV 반도체장비

개발기술공 III 반도체장비 개발기술공 III

반도체재료 개발엔지니어반도체재료 IV 개발엔지니어 IV

반도체재료 개발엔지니어반도체재료 IV 개발엔지니어 IV

[그림 8]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 분야의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의 관계 나. 전자산업의 핵심직업과 주변직업

다음의 [그림 5]에서 [그림 7]까지는 각각 반도체 집적회로, 휴대폰, 전자의료기기의 기획․개 발․생산․조립․판매 과정에 관련된 직업을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으로 구분한 뒤, 이들간의 상 호작용 유형과 각각의 직업에 요구되는 직능수준(skill level)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들 핵심직업 대 주변직업의 관계도는 각각의 산업 분야의 특성을 상당히 반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 분야의 경우에는 휴대폰이나 전자의료기기 분야와는 달리 개발에서 판매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산업의 범주에 포함되어 있다. 최근에는 디자인 하우스라 불리우는 설계 전문업체에서 반도체 집적회로의 설계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나, 삼성이나 하이닉스와 같이 종합 반도체 기업체가 국내 반도체 생산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 상당 부분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 분야에서는 최종 제

(17)

기획

개발

생산

조립

판매

휴대폰 상품기획자휴대폰

상품기획자 모바일

기술기획자모바일 기술기획자

모바일S/W시스템엔지니어 모바일S/W시스템엔지니어

휴대폰디자이너

휴대폰디자이너

휴대폰기구설계엔지니어 휴대폰기구설계엔지니어

휴대폰R/F개발자 Ⅳ*

휴대폰R/F개발자 Ⅳ*

모바일H/W엔지니어 모바일H/W엔지니어

모바일컨텐츠개발자 모바일컨텐츠개발자

모바일기술컨설턴트 모바일기술컨설턴트

모바일아키텍처 Ⅳ*

모바일아키텍처 Ⅳ*

휴대폰테스터 III 휴대폰테스터 III

생산공정관리자 IV

생산공정관리자 IV 구매자재관리자구매자재관리자 IVIV

휴대폰조립원 II 휴대폰조립원 II

품질검사원 II 품질검사원 II 수리사 II

수리사 II

모바일A/S엔지니어 II 모바일A/S엔지니어 II 설비기사 II 설비기사 II

휴대폰판매원 II 휴대폰판매원 II

핵심직업 핵심직업 주변직업

주변직업 주변직업주변직업

주: 1) 직업간의 관계에서 는 협력관계를, 는 지시·관리의 관계를, 는 업무이관의 관계를 의미함.

2) 직업별로 제시된 I, II, III, IV, IV*는 직능 수준(skill level)을 제시한 것으로, I은 초등학교 졸업 정도를, II는 중등학교 졸업 정도를, III은 전문대학 졸업 정도를, IV는 대학교 졸업 정도를, 그리고 IV*는 대학원 졸업 이상을 의미함.

[그림 9] 휴대폰 제조 분야의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의 관계

품을 생산하기까지 엔지니어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장비산업이라는 특성이 반영되어 ‘반도체장비개발엔지니어’나 ‘반도체장비관리엔지니어’가 생산과 조립이라는 두 가지 영역에 모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즉 반도체 분야의 경우 4년제 대학(일부 전문대학을 포함하여)에서의 양질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될 필 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FAB이라는 공간에서 생산과 조립 공정을 통한 양산의 과정에 엔 지니어-테크니션-오퍼레이터 구도가 유지된다는 특징도 있다.

반면 휴대폰 제조 분야의 경우에는 전형적인 제품 개발 중심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생산이 나 조립 공정에서는 단위 부품들을 조립하는 측면만이 나타날 뿐, 개별 부품을 제조하는데 관 여하는 직업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여기에는 생산 및 조립단계의 과정이 상당히 중국 등으로 이전한 상태이고, 이러한 경향성이 앞으로 지속될 것이라는 점과 깊은 관계가 있을 것이다. 이 때문에 오히려 외주를 통해 제작된 단위 부품들을 조립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오류들을 수정하 는 ‘수리사’가 생산․조립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었다. 반면 다른 전자산업 분야와는 달리, 휴대폰 제조의 경우 개발 단계에 엔지니어 중심의 매우 다양한 직업 이 분화되어 있으며, 하드웨어와 함께 소프트웨어나 콘텐츠가 강조되고 있다. 휴대폰의 경우 사

(18)

의료기구 디자이너 IV 의료기구 디자이너 IV 기획

개발

의료기기 상품기획자의료기기 IV*

상품기획자 IV*

의료기기 조립원 II 의료기기

조립원 II 구매자재

관리자 III 구매자재

관리자 III

생산제조 관리자 III 생산제조

관리자 III 생산

의료기기 임상마케터의료기기 IV 임상마케터 IV 의료기기

판매원 IV 의료기기

판매원 IV 조립

판매

핵심직업 핵심직업

주변직업 주변직업주변직업

주: 1) 직업간의 관계에서 는 협력관계를, 는 지시·관리의 관계를, 는 업무이관의 관계를 의미함.

2) 직업별로 제시된 I, II, III, IV, IV*는 직능 수준(skill level)을 제시한 것으로, I은 초등학교 졸업 정도를, II는 중등 학교 졸업 정도를, III은 전문대학 졸업 정도를, IV는 대학교 졸업 정도를, 그리고 IV*는 대학원 졸업 이상을 의 미함.

사후관리자 IV 사후관리자 IV 의료기기

품질검사원의료기기 IV 품질검사원 IV 품질시스템

관리자 IV 품질시스템

관리자 IV

임상연구원 IV 임상연구원 IV 의료기기

마켓조사원의료기기 IV 마켓조사원 IV

의료규격 엔지니어 IV 의료규격 엔지니어 IV 의료기기S/W

설계연구원 IV* 의료기기S/W

설계연구원 IV*

의료기기H/W 설계연구원 IV* 의료기기H/W

설계연구원 IV*

[그림 10] 전자의료기기 제조 분야의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의 관계

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즉각적으로 부응하는 신제품 개발이 관건이라고 할 때, 하드웨어, 소프트 웨어, 디자인 등의 각 부문 사이의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생산공정으로의 이관 단계에서의 적절 한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의 경우에도 대부분의 핵심직업이 엔 지니어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때, 반도체에서처럼 인력양성에 있어서 4년제 대학의 역할은 매 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전자의료기기 제조 분야의 경우에도 산업 부문의 특성이 직업간의 관계에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전자의료기기는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설계 뿐만 아니라 개발된 제품이 국내 및 국제 규격에 적절한지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다. 이러한 역 할을 ‘의료규격엔지니어’가 담당한다. 또한 의사들과의 공동연구 등을 통하여 제품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을 담당하는 역할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도 이 분야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개발된 의료기기를 판매함에 있어서 일정 정도 이상의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19)

반도체나 휴대폰 분야와는 달리 ‘의료기기판매원9)’의 직능수준이 높게 설정되어 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그림 7]에서 보는 것처럼, 전자의료기기 분야도 외주 등을 통해 제작된 각종 부품 을 조립하여 제품을 생산하는데, 반도체나 휴대폰과는 달리 기획이나 개발뿐만 아니라 판매에 있어서도 전문적인 능력을 지닌 인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인력 양성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할 때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Ⅲ. 전자산업의 핵심직업별 커리어 경로

과학기술의 발달과 직업의 수요가 복잡․다양화함에 따라 입직 이후에 수행하는 직업은 고 정되어 있지 않다. 이는 인력 양성 및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데, 특정 직업 내에 서의 지속적인 발전가능성과 이를 위한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그리고 직업간의 이동 가능성은 어떠한지 등에 대한 종합적인 밑그림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 에서 이 연구에서는 전자산업의 핵심직업별로 직업 내 또는 직업 간의 이동 경로를 정리한 커 리어 경로를 제공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커리어 경로의 개념을 고찰한 뒤, ‘반도체공정기술개 발엔지니어’와 ‘휴대폰디자이너’의 두 직종을 대상으로 커리어 경로를 개발하였다10).

1. 커리어 경로의 개념

진로(career) 또는 커리어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일생동안 수행하는 일의 총체(Sears, 1982)라 고 설명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커리어 경로(career path)는 개인이 어떠한 일을 수행하여 왔 는지의 흐름을 보여주는, 즉 개인이 삶을 살아가면서 갖는 지위(positions)나 역할의 연속적인 패턴11)(Walker, 1992)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리어 경로란 한 개인의 커리어가 전개되어가는 연속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사람에게는 그 들만의 독특한 커리어 경로―그것이 계획에 의한 것이든지 아니면 우연히 만들어진 것이든지 간에―가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커리어 경로에 대한 개념규정과는 달리, 인적자원개발

9) ‘의료기기판매원’은 일반적인 판매 종사자나 판매 관련 사무 종사자와는 달리, 전자공학이나 의공학 등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주로 병원이나 의사에게 의료기기 제품의 판매를 수행하는 자로 상당한 수준의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특성이 있다.

10)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직업연구(Ⅰ)󰡕에서는 20개의 핵심직업에 대한 커리어 경로 를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의 직업을 예시로 하여 커리어 경로를 제시하는데 몇 가지의 대 안이 가능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11) the actual patterned sequence of positions or roles individuals hold during their lives

(20)

(HRD) 또는 조직내 경력개발 및 경력관리의 관점에서는 커리어 경로를 다소 다르게 규정하고 있는데, 가장 큰 차이점은 커리어 경로를 조직 내의 경력사다리(career ladder)에 따른 수직적인 향상(vertical progression)을 근거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호주의 정보산업훈련자문 협의체(Information Industry Training Advisory Body)에서는 커리어 경로를 한 개인이 점진적 인 능력 및 기타 자질의 획득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일 구조 내에서의 연속적인 직업 또는 계 층을 의미하며, 따라서 커리어 경로는 사람들이 특정한 산업체 또는 산업군 내에서 계층적인 향상(hierarchical progression)이 가능하도록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McMahon과 Merman (1987)은 어느 위계구조에서의 향상을 위해 사전에 결정된, 구조화된 현직경험의 연속이라고 설 명하였으며, Gomez-Mejia와 Balkin(2003)은 사람들이 커리어 목적을 향한 향상(advancement) 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내지는 시간계획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커리어 경로에서는 최상위 계층에 도달한 개인의 경로를 조사하여 시작점(entry point)과 종착점(exit point)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련 요인들―예를 들어 교육수준, 전문능력, 현장경험, 재 직기간 등―을 포함하여 왔다(Walker, 1992).

이렇게 볼 때, 이 연구에서의 커리어 경로는 ‘특정 직업의 종사자들이 입직한 후 경력을 쌓아 조직 내에서 상위 직급으로 올라가거나, 소지한 스킬이나 경력을 가지고 이동할 수 있는 직업 이나 직무 분야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는 종사자 개인적인 진로목적 달성을 위한 계획이라는 개인적인 측면보다는, 사업체 또는 직업에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설정하는 조직적․경영적인 관점이 강한 개념임을 내포하는 것이다. 또한 종사자 개개인이 지 금 현재의 직위에 이르기까지의 과거의 경험이라는 관점보다는, 직업별․사업체별․사업부문 별․단위 부서별로 사전에 설정하는 계획적인 요소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에 서는 커리어 경로에 대한 인적자원 관리 측면에서의 특징과 함께, 학교교육을 통해 양성되는 인력과 현직자들의 장기간에 걸친 진로개발(career development)을 위한 방향을 제공하는 기능 도 강조하려 한다.

커리어 경로를 확인하는 방법은 크게 직접적으로 도출하는 방법과 다른 자료를 활용한 간접 적인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Cochran, Carter, & Dorsey, 2003). 직접적인 방법은 해당 직종이 나 사업체의 종사자나 내용전문가(SME)의 의견을 조사하거나 이들의 커리어 경로를 추적하는 방법이 포함되며, 간접적인 방법에는 기존의 직업분류체계 등을 활용하여 직무를 분류하는 방 법, 직무분석 등을 통해 도출된 지식․스킬․태도 등을 종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 는 직종별 또는 산업부문별로 ‘보편적인’ 커리어 경로를 도출하기 위하여 해당 직종의 종사자 또는 내용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21)

2. 주요 핵심직업의 커리어 경로

커리어 경로에는 조직 내의 위계구조에 따른 수직적인 상승 경로와 함께, 여기에 요구되는 재직기간, 교육훈련의 수준, 전문능력, 그리고 직업간의 이동 가능성 등의 다양한 정보가 포함 될 수 있다. 이는 커리어 경로를 제시하는 양식에 있어서도 목적이나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직업(직무)의 변화에 초점을 둔 양식([그림 8] 참조)과 경력년수에 초점을 둔 양식([그림 9] 참조)의 두 가지 모형을 제시하였다.

가. 반도체공정기술개발엔지니어의 커리어 경로

반도체공정기술개발엔지니어, 즉 공정기술자는 입사 이후 상당 기간 동안 엔지니어로써 공정 기술의 개발 및 셋업(set-up), 기존 공정의 개선, 생산성 제고를 위한 수율 및 불량 분석 등의 업 무를 수행한다. 하지만 승진과 함께 담당하게 되는 업무의 범위는 세부공정에서 단위공정, 그리 고 전체 공정으로 점차 확대하여 수석연구원급에 이르면 제품을 생산하는 전체 공정을 관리․

책임지면서 타 부서와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유지할 수 있는 관리자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 공정 자체의 위계적인 구조와 깊은 연관이 있 음을 알 수 있다. 승진과 함께 담당하는 공정의 범위가 확대한다는 것은, 이들에게 요구되는 전 문기술에 대한 학습의 깊이와 범위가 점차 확대함을 의미한다. 공정기술자는 대체로 반도체 관 련 전공의 4년제 대학 졸업자 또는 석사 학위 소지자가 입직한다. 여기에서 반도체 관련 전공 은 전자공학을 비롯하여 전기공학, 기계공학, 재료공학, 화학공학, 금속공학, 물리학, 화학 등이 포함된다.

반도체공정기술개발엔지니어는 집적회로를 ‘개발’하는 단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 만 이들이 시제품을 개발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임무를 완수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개발한 공정이 FAB에서의 양산에 적합한지를 따지는 것도 중요한 임무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반 도체공정기술개발엔지니어는 실제 양산 현장을 담당하는 반도체제조엔지니어의 직무를 맡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양산 현장에서 생산 과정을 경험한 이후에 공정개발 업무를 맡기도 한다.

반도체공정기술개발엔지니어의 이․전직 가능 경로를 보면, 반도체 산업 내에서의 이동이 가 능하다는 것이 확인된다. 즉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의 후방산업이라 할 수 있는 재료 및 장비 관 련 분야와, 반도체 유사분야인 디스플레이(LCD, PDP, OLED 등) 분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재직 경험을 토대로 한 기술기획, 기술분석, 기술영업, 기술사무 등의 사업서 비스적인 분야로의 이동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조

관련 문서

셋째, 전략과 전술 같은 효과적인 행동과정 개발이 있어야 한다.. 넷째, 다양한 위험과

[r]

또한 공공 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오픈 API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디자인 씽킹 과정을 통해 창의적인 설계를 할

마지막으로 최적화 프로그램 LINGO를 사용하여 각 씨앗지점에 따른 그룹별 최적화 운행 경로 탐색을 실시하여 최적 운행 경로를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 기에 모두가 중요하다고 인정하고 수학 공부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NP-난제에 속하며, 흔히 계산 복잡도 이

이렇게 얻은 많은 정보들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이용하면 새롭게 재생산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 할 수

먼저 크게 데이터나 프로그램의 명령과 같은 정보를 기억할 수 있도록 만든 반도체 IC인 메모리와 메모리 제품을 메모리를 제외한 반도체 제품 인

4) 프로그램 적용을 위하여 교육 프로그램 개발 협의회를 실시하였고, 온오프라인 상으로 의견 교 류를 활발히 함으로써 각 학교의 다양한 상황에 일반화가 가능한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