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3 창업지원프로그램과 창업의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3 창업지원프로그램과 창업의지"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제5권 2호 : pp. 126~146 https://doi.org/10.48206/kceba.2021.5.2.126 2021년 05월

개인적 특성,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공연예술 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

송진화(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 목 차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1. 창업의지

2-2. 개인적 특성과 창업의지 2-3. 창업지원프로그램과 창업의지 2-4. 사회적 지지와 창업의지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도구 3-3. 분석방법

IV. 연구 분석 및 결과 4-1. 신뢰도 분석

4-2.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4-3. 기술통계량

4-4. 상관분석 4-5. 가설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요 약 >

본 고는 공연예술 전공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해 양적 연구하였다. 즉 공연 예술 전공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적 지 지가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독립변수인 개인적 특성의 혁신성과 위 험감수성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둘째, 개인적 특성의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이 창업 의지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조절변수로 기능하였다. 즉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창업의지 를 높이기 위해서는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지 유형의 창업지원이 필요함 을 시사할 수 있었다.

키워드 : 창업지원프로그램, 공연예술인 개인적 특성, 공연예술 전공, 공연예술인의 창업의지, 조절 효과

* 위 논문은 송진화(2021)의 박사학위논문을 요약 및 보완한 것임

**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박사, sjht1990@naver.com

(2)

Ⅰ. 서 론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기업 생존율 현황’에서 대한민국 창업 기업체의 5년 내 생존율은 29.2%였다. 즉 OECD 국가 평균치(41.7%)보다 12.5% 적은 수치를 보였다(중소 벤처기업부, 2020). 특히 5년차 폐업기업체 중 다른 업종에 비하여 문화예술을 비롯한 스 포츠, 여가 서비스업 기업체의 폐업률은 81.6%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중소벤처기업부, 2020). 문화예술계의 일자리 문제를 인지한 정부는 ‘문화비전 2030’을 발표하여 문화예 술시장 생태계, 체질 개선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을 시작하였다(문화체육관광부 2020). 특히 지원 방식을 예술작품 창작을 위한 보조금 지원방식에서, 문화예술시장 생태 계의 상태개선을 위한 투자적 지원방식으로 수정하였다(정종은, 2017). 즉 예술인들의 예 술작품 창작을 위한 생산자 중심의 지원을 넘어 사업모델 형성을 통해 예술인들의 경제적 독립성을 높일 수 있는 투자적 지원방식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이러한 문화예술시장 의 투자적 지원방식은 문화예술시장의 창업 지원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예술시장 지원방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절대적 지원프로그램 수의 부족, 지원프 로그램의 효과성 문제 등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송진화, 2019). 현재 매년 꾸준히 예술인 창업지원을 주관하는 기관은 한국콘텐츠진흥원과 예술경영지원센터뿐이며, 2020 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창업지원 사업 예산액(489억 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창업지원 사 업 예산액(107.2억 원)을 비교해 보았을 때, 사업예산액은 3배 이상 차이가 난다. 그리고 2020년 중소기업벤처부의 보고서에서 문화체육관광부의 창업지원예산액은 9.4억원이 삭 감되면서 가장 높은 감소액을 보여주었다(중소벤처기업부, 2020). 즉 국내정부기관별 문화 예술분야 창업지원은 타 분야 창업지원에 비해 비교적 지원 규모가 협소하다는 점과 타 부처의 창업지원예산 삭감액에 비해 많은 감소액을 보았을 때, 문화예술 분야의 창업 지 원에 대한 동향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소극적임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포괄적인 지원대상에 대한 지원은 지원취지와 효율성을 떨어뜨리면서 지원대 상의 세분화에 대해 필요성을 자세히 볼 수 있다. 국내 대학들의 창업지원 현황을 살펴보 았을 때, 창업교육 지원, 창업 활동 지원, 창업 사업화 지원으로 나누어 지원하고 있으나 대학내부 사업추진 체계 미확립으로 인해 정성적, 정량적 결과 모두 부족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허선영·장후은·이종호, 2017), 청년 창업과 연관된 지표에서 청년들의 창업률은 1990년대 창업붐이 일어났던 때보다 현저히 적은 점을 보았을 때, 현재 대학의 창업지원 은 미흡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볼 수 있다(이재훈 2013). 여기에 더하여 국내 일부 대학들 은 취업률 및 실적요인이 낮은 전공들을 통폐합하면서, 취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예술대 학*을 집중적으로 통폐합하고 있으며, 국내 대학 창업지원프로그램 또한 공대(기술) 중심

(3)

의 지원으로 예술전공 학생을 위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이러한 배 경들을 통해 많은 학문과 융합할 수 있으며 실용성과 창의성을 갖출 수 있는 예술 전공 학생들을 위한 대학 창업지원 프로그램은 미흡하며, 필요성 역시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았을 때, 예술 분야 창업의 지원을 위해서는 지원대상을 단순 히 예비 예술창업자가 아닌, 지원대상의 세분화를 기할 필요가 있으며, 절대적인 증설이 필요한 것을 볼 수 있다. 때문에 본 고에서는 문화예술 장르 중 대중성과 시장규모가 더 큰 공연예술 장르를(송진화, 2019) 집중적으로 연구하려 한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반 예비 창업자가 아닌 창의성을 가장 중요시하는 예술인 창업의 의의(강주희·최나영, 2017; 하주현, 2001)에 더 적합한 예술전공 학생으로 좁혀, 공연예술 전공 학생을 연구대상 으로 지정하여 연구하려 한다.

창업 활성화와 성공적인 결과에는 개인의 창업의지가 중요하다(홍정표, 2014). 선행연구 에서는 창업의지를 높이는 요인으로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창업지원 프로그램, 사회적 지 지 등 외적 요인을 말하고 있다(이정란·장규순, 2018; 정연우·반성식, 2008; 박지유·양 해술, 2014; 호병환, 2016; 김춘호, 2018; 홍정표,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간의 관계 를 고찰하여 공연예술을 전공한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과 대학의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 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외부의 지원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적 지 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공연예술 전공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향상시키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고는 공연예술인 창업문화 활성화에 기초 연구자료가 될 수 있는 공연예 술전공 학생들의 창업의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공연예술인 창업문화의 연구를 발전 시킬 수 있는 틀을 만들고자 한다. 즉 공연예술인 창업 지원 정책 개발과 방향성 제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공연예술 전공 학생들의 대학 내 창업지원프로그램, 개인의 특성, 사회적 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창업의지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2.1 창업의지

국가적 미래의 성장 주력을 찾아내기 위한 노력과 정부 차원에서 청년 실업률 문제와

* 예술대학이라는 단어는 종합대학 내 단과대학, 종합예술대학 또는 일부 예술계열 학과들의 형태로 존재하는 예술계열 고등교육제도를 호칭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본 고에서는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들을 직관적으로 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예술대학’을 단일 체제로서의 종합대학, 종합예술대학 내 단과대

(4)

고용창출 효과에 대한 대책으로 창업분야를 육성하고 시점에 창업의지를 강화시키는 노 력은 매우 중요하다. Shapero(1984)는 정체된 국가와 지역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유의 자기쇄신적(Self-Renewing), 회복력(Resilence) 특징을 갖추어야 가능한데, 이러한 특징을 갖추기 위해서는 창업의지를 잠재하고 있는 예비 창업가들의 활동과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창업의지에 대한 의의는 다양하지만 창업하기 전에,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에 대한 동기와 신념을 의미하며, 창업에 대한 자신의 흥미 정도, 관심을 측정하는 인 지된 욕구(Perceived Desirability), 개인적인 부분에서 창업에 대해 가능성을 느끼는 인지 된 적성(Perceived Feasibility), 창업에 대한 행동성향(Propensity to Act)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Shapero, 1984).

자신의 사업을 시작하여 창조적 경제활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창업의지는 창업 과정에 서 중심이 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배익건, 2012). 창업의지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모형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창업에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을 의미하는 것이 다. 즉, 창업자 개인적 요인과 주변 환경적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지, 어떤 관계를 통하여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가설이 수립되었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2.2 개인적 특성과 창업의지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창업가의 개인적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 히 개인적 역량 중 ‘현재 상황에 대한 판단을 통해 불안정한 미래의 위험을 감수하며 새 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마인드’로 해석되는 기업가 정신 수준을 강화하는 것이 필 요하다(강병오·김진수·안성식, 2010). 홍정표(2014), 이일한·이은천(2019), 박지선 (2016), 서정훈(2013), 홍정표·양해술(2014)의 선행연구를 통해,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개인적 특성은 혁신성, 성취욕구, 위험감수성으로 구성되고 있으며(이일한·이은천, 2019), 혁신성은 새로운 자극에 대한 개방적인 자세(Midgley & Dowling, 1978)로, 성취욕구 는 목표를 신속하고 적절하게 수행하려는 경향(Murray, 1938)으로, 위험감수성은 불확실 한 사업 환경 속에서 기업가의 행동 지침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Hornaday & Aboud, 1971) 로 정의되고 있다.

홍정표(2014), 이일한·이은천(2019), 박지선(2016), 서정훈(2013), 홍정표·양해술(2014) 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통해 개인적 특성은 창업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볼 수 있 다(김수진·김종성, 2020; 정연우·반성식, 2008; Johnson, 1990; McClelland, 1962). 또한 창 업의지를 향상시키는 개인적 특성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위험감수성과 성취욕구는

(5)

특히 창업의지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성 역시 무시할 수 없는 것 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공연예술 전공 대학생에게 적용하 여 공연예술 전공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끼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가설 1을 설정하였다.

가설 1. 공연예술 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가설 1-1. 성취욕구가 창업의지에 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가설 1-2.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가설 1-3. 혁신성이 창업의지에 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2.3 창업지원프로그램과 창업의지

현재 정부는 실업률 문제를 중요 키워드로 선정하며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을 하는 와중에 창업을 그 핵심으로 잡으며, 정부는 각각 민간 및 공공기관의 협력을 통해 많은 창업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다. 또한 각각 대학에서는 준비된 예비창업자 발굴을 위해 기 업가 육성과 창업 준비부터 창업 후 창업기업의 성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원을 바탕으로 창업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각 대학에서는 창업교육 및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개발하기 위한 창업 사업화 지원과, 인프라 지원, 인력 지원 등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각 대학의 전체적인 사업비 대비 창업 관련 지원프로그램은 그 규모가 편협하며 분산 지원이라는 한계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작은 규모의 단기간 프로그램이 대 부분이고 지원프로그램 사이에 지속성 및 연계성 부족으로 정기적인 지원 및 대학의 참여 가 부족한 것이 현재 상태이다.

대학의 창업지원프로그램의 특징은 일반적인 창업기업의 지원들과 다른 차이점이 있다.

대학의 창업지원프로그램은 학업과 창업활동을 병행해야 한다는 점과 경제활동이나 사회 활동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다는 것을 적용해야 한다. 기업이나 조직의 시스템에 대한 이 해가 부족한 부분이 있고 전공 교수라든지 산업체 멘토에 의존하는 성향이 무엇보다도 높 다. 또한 대학들의 창업자금, 창업지원프로그램은 창업교육센터, 창업보육센터, 창업특강, 창업경연대회, 창업동아리 등으로 나누어 운영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은 이러한 다양한 사항에 어려움을 두고 지원정책을 펼쳐야 하며, 당장의 단기적 인 성과물 위주의 지원형식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대학의 창업지원프로그램은 창업기업 에 대한 저변확대, 기업가 정신의 확산, 경영이나 창업에 대한 연관 지식을 학습하는 데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한다.

(6)

대학의 창업지원프로그램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호병환(2016), 김춘호 (2018)의 연구에서 창업지원프로그램은 창업의지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교육이 창업의지와 창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유연호·양동 우, 2008), 적절한 창업환경을 형성해주는 것이 창업의지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박재환·

안태욱, 2016).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 2를 설정하였다.

가설 2.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가설 2-1. 창업 교육 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가설 2-2. 창업 활동 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가설 2-3. 창업 사업화 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다.

2.4 사회적 지지와 창업의지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는 개인이 타인이나 외부환경으로부터 획득하는 다양한 형 태의 긍정적 요소를 의미하며 개인이 조직이나 외부환경으로부터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 키면서 심리적 적응을 돕는 긍정적인 요인이 된다(Cohen & Hoberman, 1985). Courneya 외(2000)는 사회적 지지란 행동을 실행하는 데 있어 후원자에 대한 인식으로 개인에게 중 요한 조직이나 타인이 개인이 계획하는 행동에 대한 후원자의 지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였다.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은 개개인이 이러한 사회적인 지지의 요인 을 어떻게 동원하고 활용하는지가 중요한데, 개개인이 객관적인 지지의 요인을 가지고 있 어도 이를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지 못하면 가치를 상실한다(Vaux, 1988).

House(1981)는 사회적 지지를 4가지 종류로 분류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정, 신뢰, 관심, 사랑 등 개인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지원하는 정서적 지지, 일을 대신 도와주거나 금전적 인 도움을 제공하는 등 적극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물질적 지지,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충고를 하는 정보적 지지, 행위와 수행된 업무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는 평가적 지지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외부의 지원은 창업의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조한준·최대수·성창수(2020), 김성환·김주섭(2018), 김춘호·유연호(2019) 등 연 구에서 대학생 창업자들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사회적 지지 역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 창업자에게 제공되는 외부의 지원은 창업의지를 고취하는 데 필수적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많은 선행 연구에서 자체적인 효과를 검증하기보다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중간 단계로서의 역할 을 검증하여 현상을 정확하게 설명하는 요인으로 설정되기 때문에(김춘호, 2018; 김춘호·

(7)

유연호, 2019; 장영미·하규수 2018; 조한준·최대수·성창수, 2020)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 3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창업지원프로그램, 개인적 특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역 할을 할 것이다.

가설 3-1. 성취욕구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3-2.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3-3. 혁신성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3-4. 창업 교육 지원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역 할을 할 것이다.

가설 3-5. 창업 활동 지원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역 할을 할 것이다.

가설 3-6. 창업 사업화 지원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 역할을 할 것이다.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과 창업지원프로그램이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구성하였다. 이들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연구의 일차적 목표로 한다. 이에 <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그림 1> 연구모형

(8)

3.2 연구도구 및 조작적 정의

3.2.1 개인적 특성

개인적 특성의 하위요인은 홍정표(2014), 이일한·이은천(2019), 박지선(2016), 서정훈 (2013), 홍정표·양해술(2014)의 논문들을 기반으로 혁신성, 성취욕구, 위험감수성으로 구 성하였다. 각 요인에 대해 조작적 정의를 설명하자면, 성취욕구는 ‘자발적으로 목표를 설 정하고 달성하려는 욕구’로 정의하였으며, 혁신성은 ‘아이디어를 발굴하거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성향’으로, 위험감수성은 ‘위험을 예측하고 감수할 수 있는 위험을 선 택함으로써 성과를 도출하는 성향’으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또한 개인적 특성을 측정 하기 위해 정연우·반성식(2008), Johnson(1990), McClelland(1962), 강재학(2016), 이재석·

이상명(2015) 등의 연구를 참고하여 성취욕구 6문항, 혁신성 5문항, 위험감수성 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Likert 5점 척도로 설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요소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고 설정하였다. 개인적 특성의 신뢰도는 전체 0.898, 성취욕구 0.846, 위험감수성 0.869, 혁신성 0.847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개인적 특성 측정문항

요인 문항 Cronbach’s

α

성취욕구

나는 적극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욕구가 있다.

0.846 나는 동료나 친구들 보다 더욱 성공하고 싶은 욕구가 있다.

나는 어떤 일이건 더욱 잘해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싶어 한다.

나는 주변의 여러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싶어 한다.

나는 무엇을 하든 늘 남보다 잘하고 싶어 한다.

나는 좀 어렵다는 생각이 드는 일이 내게 맡겨져도 그것을 꼭 해내야겠 다는 의지가 있다.

위험감수성

나는 위험이 뒤따르더라도 새롭고 도전적인 일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

0.869 나는 일단 기회가 주어졌다고 생각하면 위험이 따르더라도 그 기회를 잡

으려고 한다.

나는 불확실한 상황이 오면 위험으로 보기보다는 흥미로운 자극으로 간 주한다.

나는 내 사업에서 비교적 확실히 예상되지 않는 상황이라 할지라도 위험 을 감수하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고자 한다.

나는 사업을 좀 더 성장시키기 위해 크고 작은 위험을 감수할 수 있다.

(9)

3.2.2 창업지원프로그램

창업지원프로그램은 대학에서 지원하는 대학 지원프로그램과 민간, 정부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주체를 나눌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창업지원프로그램을 학생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학 창업지원프로그램으로 간주하였으며, 이정란·장규순(2018)의 연구 를 기반으로 창업지원프로램을 창업 사업화 지원, 창업교육 지원, 창업활동 지원으로 구성 하였다. 또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의 하위요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첫째, 창업 사업화 지원 은 ‘학생의 창업모델 구축에 대한 구체적 지원’으로, 둘째, 창업교육 지원은 ‘대학에서 창업에 관련된 정보 제공’으로, 셋째, 창업활동 지원은 ‘대학 창업프로그램을 통한 창업 참여 증진’으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창업 사업화 지원 4문항, 창업교육 지원 5문항, 창업활동 지원 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Likert 5점 척도로 설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요소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창업지원프로그램의 신뢰도는 창업 사업 화 지원 0.920, 창업교육 지원 0.905, 창업활동 지원 0.938로 신뢰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표 2> 창업지원프로그램 측정문항

위험이 높더라도 수익이 큰 사업을 선호한다.

혁신성

나는 새로운 기회를 감지하는 창의성과 혁신성이 있다.

0.847 나는 항상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 등에 관심이 많다.

나는 끊임 없이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과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혁신적이고 독창적으로 행동하려고 한다.

일을 처리할 때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개선점을 찾는다.

요인 문항 Cronbach’s

α

창업 교육 지원

우리 대학은 창업을 장려하는 과목을 제공한다.

0.905 우리 대학의 창업 과목은 다양한 창업정보 및 유익한 내용을 제공한다.

우리 대학은 창업에 중점을 둔 프로젝트를 제공한다.

우리 대학은 창업과 관련된 학사 또는 석사 과정을 제공한다.

우리 대학은 창업과 관련된 세미나 및 워크숍 등을 개최하거나 정보를 제공한다.

창업 활동 지원

우리 대학은 창업이 진로선택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0.938 우리 대학은 학생들이 창업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10)

3.2.3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학자들의 연구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본 고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사 회적 관계 및 활동 속에서 타인으로부터 받는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지원으로 간주하였 으며, 특히 사회적 지지의 요소 중에서도 정서적 지지를 중심으로 ‘창업할 경우 주위 사 람들이 보이는 긍정적인 태도의 정도’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김춘호 (2018)가 사용한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신뢰도는 0.784로 양호한 수준으로 검증되었다.

<표 3> 사회적 지지 측정문항

우리 대학은 다양한 창업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우리 대학의 창업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창업 참여를 유도한다.

우리 대학의 창업 프로그램은 창업 정보를 설득력 있게 제공한다.

우리 대학의 창업 프로그램은 창업 정보를 충분히 담고 있다.

우리 대학은 학생들에게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전문가들의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창업 사업화

지원

우리 대학은 학생들에게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0.920 우리 대학은 창업모델(제품, 서비스 등) 사업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지원

한다.

우리 대학은 창업모델(제품, 서비스 등)이 구체화될 수 있도록 마케팅을 지원한다.

우리 대학은 창업모델(제품, 서비스 등)이 성공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 해준다.

요인 문항 Cronbach’s

α

사회적 지지

나의 가족들은 창업관련 이야기를 호의적이고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호 응하여 준다.

0.784 나의 가족들은 내가 하는 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

나의 주변사람(친구, 선후배, 지인)들은 창업에 관한 일에 관심을 갖고 걱정해 준다.

나의 주변사람(친구, 선후배, 지인)들은 창업에 관해 호의적이고 긍정적 으로 생각한다.

나의 친구 및 선후배들은 내가 창업을 한다면 물심양면으로 적극적으로 도와줄 것이다.

(11)

3.2.4 창업의지

창업의지를 측정하기 위해 호병환(2016)의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창 업의지는 창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창업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요소로, 본 고에서는 ‘창 업과 관련된 진로를 선택하려는 성향’으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창업의지는 5개 문항 으로, Likert 5점 척도로 설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창업의지의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신뢰도는 0.912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표 4> 창업의지 측정문항

3.3 분석방법

3.3.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인 공연예술 전공 학생은 국내 예술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연예술 전공자 를 대상으로 2020년 9월부터 한 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3.2 통계분석방법

본 고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인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였으며, 신뢰 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통계분석은 유 의수준 5%, 신뢰수준 95%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요인 문항 Cronbach’s

α

창업의지

나는 기회가 닿으면 창업을 하고 싶다.

0.912 나는 장래에 회사를 창업할 것이다.

나는 장차 창업할 확고한 의지가 있다.

나는 학교 졸업 후 5년 이내에 창업할 것이다.

나는 이미 사업시작을 위해 준비(정보수집, 아이디어 탐색 등)를 어느 정도 하고 있다.

(12)

Ⅳ. 연구 분석 및 결과

4.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공연예술분야 창업을 희망하는 공연예술 전공 전국 대학 재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2020 년 9월~2020년 10월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성별은 남 33명(18.6%), 여 144명(81.4%)으로 나타났고, 연령대는 19~20세 31명(17.5%), 21~22세 47명(26.6%), 23~24세 37명(20.9%), 25~26세 25명(14.1%), 27세 이상 37명(20.9%)으로 나타났다. 직장경력은 있음 58명(32.8%), 없음 119명(67.2%)으로 나타났다. 본인 창업 경험은 창업한 경험이 있다 18명 (10.2%), 창업한 경험이 없다 159명(89.8%)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창업 경험은 창업한 경험 이 있다 79명(44.6%), 창업한 경험이 없다 98명(55.4%)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표 5>에 정리하였다.

<표 5>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4.2 기술통계량

연구대상의 주요 변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개인적 특성은 평균 3.51 점, 하위요인인 성취욕구는 평균 3.88점, 위험감수성은 평균 3.15점, 혁신성은 평균 3.48점 으로 나타났고, 창업지원프로그램은 평균 2.92점, 하위요인인 창업 교육 지원은 평균 2.99 점, 창업 활동 지원은 평균 3.01점, 창업 사업화 지원은 평균 2.65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범주 구분 N %

성별 33 18.6

144 81.4

연령대

19~20세 31 17.5

21~22세 47 26.6

23~24세 37 20.9

25~26세 25 14.1

27세 이상 37 20.9

직장경력 있음 58 32.8

없음 119 67.2

본인 창업 경험 창업한 경험이 있다 18 10.2

창업한 경험이 없다 159 89.8

부모 창업 경험 창업한 경험이 있다 79 44.6

창업한 경험이 없다 98 55.4

전체 177 100.0

(13)

지지는 평균 3.29점으로 나타났고, 창업의지는 평균 2.86점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요 변수의 정규성을 검정하기 위해 왜도와 첨도를 산출한 결과, 모든 변수의 절댓값이 왜도 는 2 미만, 첨도는 5 미만으로 나타나 정규성을 만족하였다.

<표 6> 기술통계량

4.3 상관분석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 과, 개인적 특성과 창업지원프로그램의 일부 하위요인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 간에서 유의 한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표 7> 상관분석

1: 개인적 특성, 1-1: 성취욕구, 1-2: 위험감수성, 1-3: 혁신성, 2: 창업지원프로그램, 2-1:

창업 교육 지원, 2-2: 창업 활동 지원, 2-3: 창업 사업화 지원, 3: 사회적 지지, 4: 창업의지

변수 N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개인적 특성 177 3.51 0.57 -0.21 1.49

성취욕구 177 3.88 0.66 -0.88 1.58

위험감수성 177 3.15 0.77 -0.11 -0.15

혁신성 177 3.48 0.71 -0.11 0.39

창업지원프로그램 177 2.92 0.85 -0.19 -0.58

창업 교육 지원 177 2.99 0.90 -0.29 -0.68

창업 활동 지원 177 3.01 0.92 -0.26 -0.54

창업 사업화 지원 177 2.65 0.94 0.03 -0.53

사회적 지지 177 3.29 0.71 0.17 0.08

창업의지 177 2.86 1.00 0.07 -0.51

1 1-1 1-2 1-3 2 2-1 2-2 2-3 3 4

1 1                  

1-1 .761*** 1                

1-2 .797*** .308*** 1              

1-3 .851*** .566*** .536*** 1             2 .313*** .242** .316*** .177* 1           2-1 .306*** .271*** .247*** .213** .934*** 1         2-2 .292*** .234** .309*** .135 .955*** .831*** 1       2-3 .269*** .140 .334*** .145 .878*** .739*** .773*** 1     3 .344*** .326*** .285*** .369*** .545*** .326*** .476*** .508*** 1   4 .522*** .244** .553*** .437*** .261*** .230** .232** .278*** .495*** 1

(14)

* p<.05, ** p<.01, *** p<.001

4.4 가설검증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집단의 창업의지에 개인적 특성과 창업지원프로그램이 미치 는 영향에 대한 회귀모형은 적합하였으며(F=8.536, p<.001), 모형의 설명력은 35.0%로 나타 났다(R2=0.350). Durbin-Watson값은 1.669로 잔차의 독립성 가정에 문제가 없었고, VIF값 은 3.985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도 없었다.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결과, 개인적 특성인 혁신성(β=0.362, p<.01), 위험감수성(β

=0.283, p<.01) 순으로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 지원프로그램은 모든 하위요인이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5).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은 집단의 창업의지에 개인적 특성과 창업지원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모형은 적합하였으며(F=4.434, p<.001), 모형의 설명력은 28.1%로 나타났 다(R2=0.281). Durbin-Watson값은 1.564로 잔차의 독립성 가정에 문제가 없었고, VIF값은 4.281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도 없었다.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 결과, 개인적 특성인 위험감수성(β=0.484, p<.001)은 창업의지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지원프로그램은 모든 하위요인 이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5).

이를 종합하면,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창업의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 인적 특성인 위험감수성과 혁신성에 집중하되, 혁신성에 더욱 집중한다면 창업의지를 효 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은 집단에게는 위험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창업의지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표 8>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른 창업의지의 영향 요인

사회적 지지 변수 B SE β t p F

(R2)

성취욕구 0.047 0.155 0.031 0.305 .761

8.536***

(.350) 위험감수성 0.359 0.135 0.283 2.663** .009

혁신성 0.522 0.170 0.362 3.070** .003 창업 교육 지원 0.063 0.162 0.056 0.386 .700 창업 활동 지원 0.044 0.179 0.040 0.245 .807 창업 사업화 지원 -0.048 0.147 -0.046 -0.331 .742

성취욕구 -0.188 0.169 -0.142 -1.110 .271 4.434***

(15)

Ⅴ. 결론

본 고는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개인적 특성, 창업지원프로그램과 창업의지의 관계에 대 해 보려 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보기 위하여 양적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공연예술 전공 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177부의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첫 번째,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위험감수성과 혁신성은 창업의지에 유의적 영향을 끼쳤 다. 이러한 연구내용은 홍정표(2014)의 선행연구와 부분적으로는 일치하였으나 일부의 결 과에서는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의 이유로, 현재 창업교육 지원은 개인적 특성을 높이는 지원보다 경영 역량을 높이는 경영학 이론 교육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병권·전인오, 2014). 즉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창업의지를 효율적으로 높이기 위해서 는 개인적 특성인 위험감수성과 혁신성을 높이는 창업 기업가적 정신 교육 지원을 증설해 야 한다.

두 번째, 공연예술 전공 학생을 위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은 창업의지에 유의적 영향을 끼 치지 못했다. 위와 같은 연구내용은 이정란·장규순(2018)의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나타났 다. 위의 이유로는, 이정란·장규순(2018) 연구는 연구대상을 일반적 대학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나. 본 고는 공연예술 전공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즉, 공 연예술 전공 학생과 비 예술전공 학생의 차이점을 분석해보면, 공연예술 전공 학생은 단 체생활에 대한 미숙함, 독립적 활동 추구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이종희·안정욱, 2000).

또한 이러한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특징을 고려한 창업지원프로그램 현황 역시 저조하기 때문에(송진화, 2019) 창업지원프로그램은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특징에 맞춤화된 창업지원 프로그램 의 적극적 증설이 필요하다.

세 번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 변수는 혁신성, 위험감수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김춘호(2018)의 선행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즉, 공 연예술 전공 학생의 창업의지를 높이고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부적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혁신성을 높이는 창

위험감수성 0.627 0.152 0.484 4.123*** <.001

(.281) 혁신성 -0.037 0.169 -0.029 -0.221 .826

창업 교육 지원 0.061 0.221 0.059 0.275 .784 창업 활동 지원 -0.133 0.201 -0.133 -0.663 .510 창업 사업화 지원 0.243 0.165 0.239 1.474 .145

* p<.05, ** p<.01, *** p<.001

(16)

업 교육 지원이 필요하며,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은 집단에는 위험감수성을 높이는 창업 교육 지원이 필요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사회적 지지에 해당하는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 기 위해서는 대상을 특징을 고려함과 동시에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지원해야 한다는 점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창업 지원 명목 의 광범위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공연 예술 장르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된 기업가 정신 교 육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정 부 차원의 창업 지원 역시 단순한 양적지원이 아닌 장르별 세분화된 창업 지원 프로그램 이 포함된 질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볼 수 있었다.

본 고는 공연예술 전공 대학생들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한 양적연구였으 나, 아래의 내용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본 고에서는 공연예술 전공 학생의 기업가적 정신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기 어 려웠기 때문에 독립변수를 개인적 특성으로 대체하였다. 이후 심화연구에서는 공연예술 전공학생의 기업가적 정신을 파악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 변수를 채택한 양적 연구가 필 요해 보인다.

두 번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정의와 범위는 넓으나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한정 적 연구대상으로 외부 환경의 세분화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또한 대학생들은 사회 초 년생으로 보호자들로부터 경제적 독립을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보호자들을 제외한 외부 요소로부터 창업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해야 한다.

세 번째, 공연예술 전공 학생은 비 예술전공 학생들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이들의 특징을 고려한 창업의지 측정도구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고에서는 창업지원프 로그램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가 유효하지 않았었는데, 이는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결과임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연구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변수 간의 관계 성을 검토해야 한다.

네 번째, 본 논문은 공연예술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나 코로나라는 상황 때문에 177명 이상의 연구대상자를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창업지원프로그램의 영향 력을 검증한 척도 또한 교내 창업지원프로그램으로 한정되어 있었으므로, 본 논문의 결과 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성이 있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300명 이상으로 연구대상자를 넓 혀야 하며, 창업지원프로그램은 정부, 민간 영역의 지원까지 연구범위를 넓혀 연구의 일반 화를 높여야 한다.

(17)

참고문헌

(1) 국내문헌

강병오·김진수·안성식(2010),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CEO의 기업가정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유통연구 제15권 제4호」, 2010.10, 87-117 (31 pages)

강재학(2016).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기업가정신이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기회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강주희·최나영(2017).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2(3), 51-79.

김성환·김주섭(2018).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창업의지에 미치 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303-320.

김수진·김종성(2020). “예비창업자의 창업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4, 180-208.

김춘호·유연호(2019). “대학생들의 창업의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JSBI)(구 벤처경영연구)」, 22(3), 65-81.

김춘호(2018). “대학생들의 창업교육참여도와 기업가정신, 교내창업지원제도가 창업의지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문화체육관광부, 문화비전 2030 발간물. 2020.

박재환·안태욱(2016). “기업가정신과 창업준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인프라 활용 매개효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1(1), 39-47.

박지선(2016). “개인적특성요인과 환경적인식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 예술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글로벌창 업벤처대학원

박지유·양해술(2014). “기업가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교육 을 이수한 예비창업자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9(2)」, 97-107.

배익건(2012). “개인발명가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남 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서정훈(2013).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경력지향성 및 환경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18)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송진화·이동수(2019). “예술인 창업교육 지원 사례연구 및 제언.”「연기예술연구」, 16, 199-215.

송진화(2019). “공연예술인 창업지원 사업 개선방안”,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유연호·양동우(2008). “창업의지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경력지향성과 사회문화 적요인 그리고 창업지원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1(5), 2347-2368.

이병권·전인오(2014). “창업동기요인이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 향: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9(6), 213-230.

이일한·이은천(2019). “청년농업 예비 창업자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춘계학술대회」, 2019(4), 97-102.

이재석·이상명(2015).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관계: 기업가 지향성과 환경적 요인의 조 절효과”. 「벤처창업연구」, 10(3), 61-74.

이재훈(2013). “대학생 창업의도에 개인적 특성, 대학 및 사회의 지원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정란·장규순(2018). “대학생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효능감, 기회인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3(1), 43-60.

이종희·안정욱(2000). “예술전공 (무용, 음악, 미술) 대학생과 비예술전공 대학생의 성격 특성에 관한 연구”. 「체육학논문집」, 28, 47-53.

장영미·하규수(2018). “시니어의 창업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적지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3(3), 13-36.

정연우·반성식(2008). “청소년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 지」, 3, 45-67.

정종은(2017). “‘예술의 산업화’지원정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연구”. 「예술경영연 구 」, 43, 155-184.

조한준·최대수·성창수. (2020). “창업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지 지,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벤처창업연구」, 15(2), 81-96.

중소벤처기업부, 창업기업 생존률 현황 보고서, 2020.

하주현(2001). “창의적 사고의 발달경향 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 문, 75-86.

허선영·장후은·이종호(2017). “대학 창업 지원 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산학

(19)

기술학회 논문지, 18(1), 75-84.

호병환(2016). “대학 및 사회의 창업지원과 대학생의 창업의지간의 관계: 자기 효능감과 위험 감수성의 매개효과와 멘토링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홍정표(2014). “대학생들의 창업의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홍정표·양해술(2014). “대학생들의 창업의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 연구」, 12(11), 141-157.

(2) 국외문헌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Courneya, K. S., Plotnikoff, R. C., Hotz, S. B., & Birkett, N. J.(2000). Social support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exercise domain.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4(4), 300-308.

Cohen, S., Mermelstein, R., Kamarck, T., & Hoberman, H. M. (1985). Measuring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In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pp. 73-94). Springer, Dordrecht.

Hornaday, J. A., & Aboud, J. (1971).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entrepreneurs.

Personnel psychology.

House, J. S.(1981). The nature of social support.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1330.

Johnson, B. R. (1990). Toward a multidimensional model of entrepreneurship: The case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entrepreneu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4(3), 39-54.

McClelland, D. C. (1962). Business drive and national achievement. Harvard Business Review, 40(4), 99-112.

Midgley, D. F., & Dowling, G. R. (1978). Innovativeness: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4), 229-242.

Murray, H. A. (1938). Explorations in personality: A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fifty men of college age.

Shapero, A.(1984). The Entrepreneurial Event, in C. A. Kent, Environment for

(20)

Entrepreneurship, Lexington, MA: D C Health 2140

Vaux, A.(1988).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Praeger publishers.

(21)

<Abstract>

Study Of Effectiveness Of Personal Trait & Startup Supporting Program On Startup Willing And Regul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Performance Art Major Student.

Subject research is a quantitative study to analyze major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art major student’s willingness of startup. It is to study how personal traits and startup supporting program affect willing of startup, and analyze if social support can function as regulative tool. As a first result of research, innovativeness and risk sensitivity of personal traits were figured out to have meaningful, direct effect on startup willing.

Secondly, innovativeness and risk sensitivity of personal traits were having meaningful effect on startup willing, in terms of regulation effect social support. We have theoretically clarifying variables related to Art major students’ willing on startups as per these two studies, and hereby suggest ways to improve on startup supporting program for art major students.

Keywords : Startup Supporting Program, Personal Trait, Social Support, Entrepreneurship Intention, Regulation Effect

참조

관련 문서

15) 세광음악출판사

[r]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스킨스쿠버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가 자발적 행동의 도에 미치는 영향은 &lt;표 19&gt;와 같다... 즉,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

본 논문을 통해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현장에서 적절하 게 사용할 수 있는 전문 프로그램의 효율성 등을 가늠해 볼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는

회원국의 영토밖에서 다른 회원국의 , 영토내에서 회원국의 서비스 소비자에게

판단되는 경우에는 즉시 의사의 의료지도에 따를 것 다만 통신장애 등으로 인해 의사의 의료지도가 불.. 사람 외국에 있는 교육기관에서

[r]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는 교 사의 능력과 그러한 능력을 발휘하여 진로지도를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