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분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 분기"

Copied!
6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Ⅰ. 농축산물 수출입 개황

Ⅱ. FTA 체결국별 수출입 동향

Ⅲ.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2015년

1 분기

FTA 체결국

Trend of agricultural trade with FTA partners

농축산물 수출입 동향

제 3권 제 1호(통권 제 9호)

FTA

F T A 체 결 국 농 축 산 물 수 출 입 동 향

(2)

국 가

2014년 전체 교역규모 (백만 달러)

2014년 농축산물 교역규모

(백만 달러) 주요 교역 농축산물

수입 수출 수입 수출

칠레

발효(2004.4.1) 4,812(11) 2,083(11) 805(13) 7(48) 수입: 포도, 돼지고기

수출: 기타 음료, 라면

싱가포르

발효(2006.3.2) 11,307(6) 23,906(5) 145(28) 112(15) 수입: 기타 코코아조제품 수출: 딸기, 커피조제품

EFTA

발효(2006.9.1) 5,638(8) 2,021(12) 69(44) 6(49) 수입: 커피, 초콜릿

수출: 라면, 호두, 아이스크림

ASEAN

발효(2007.6.1) 53,430(3) 84,793(2) 4,618(3) 1,083(2) 수입: 팜유, 바나나 수출: 커피조제품, 물, 라면

인도

발효(2010.1.1) 5,275(10) 12,785(7) 700(14) 125(13) 수입: 채종ㆍ콜자씨박, 참깨 수출: 참깨, 커피조제품

EU

발효(2011.7.1) 62,342(2) 51,674(4) 3,437(4) 327(7) 수입: 돼지고기, 위스키 수출: 라면, 커피조제품

페루

발효(2011.8.1) 1,434(13) 1,392(15) 79(41) 3(64) 수입: 커피, 포도, 기타 과실 수출: 라면, 기타 음료, 소주

미국

발효(2012.3.15) 45,275(4) 70,327(3) 7,809(1) 580(4) 수입: 옥수수, 쇠고기, 밀 수출: 기타 음료, 배, 라면

터키

발효(2013.5.1) 655(14) 6,668(9) 51(49) 13(38) 수입: 잎담배, 헤이즐넛

수출: 젤라틴, 채소종자, 팜유

호주

발효(2014.12.12) 20,441(5) 10,309(8) 2,481(5) 106(16) 수입: 쇠고기, 사탕수수당 수출: 라면, 기타 음료, 맥주

캐나다

발효(2015.1.1) 5,443(9) 4,921(10) 959(8) 90(18) 수입: 밀, 돼지고기, 유채유 수출: 라면, 기타 음료, 홍삼

콜롬비아

비준(2014.4.29) 609(15) 1,509(14) 99(34) 5(57) 수입: 커피, 커피조제품

수출: 기타 음료, 선인장

뉴질랜드

정식서명(2015.3.23) 1,526(12) 1,739(13) 933(9) 37(22) 수입: 쇠고기, 치즈, 키위 수출: 커피조제품, 젤라틴

중국

가서명(2015.2.25) 90,072(1) 145,328(1) 4,833(2) 1,051(3) 수입: 대두박, 전분박, 고추 수출: 자당, 조제분유

베트남

가서명(2015.3.28) 7,989(7) 22,333(6) 875(10) 359(6) 수입: 대두유, 커피, 타피오카 수출: 닭고기, 조제분유

FTA 체결 현황

(3)

■ 2015년■1분기■전체■농축산물■수입액은■75억■4천만■달러로■평년■동기■대비■5.2%,■전년■동기■대비■0.3%■증가

•전체 농축산물 수출액은 14억 5천만 달러로 평년 동기 대비 10.4% 증가,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

■ FTA■체결국으로부터의■농축산물■수입액은■49억■1천만■달러로■평년■동기■대비■3.9%■증가,■전년■동기■

대비■0.5%■감소

•대FTA 체결국 수출액은 5억 6천만 달러로 평년 동기 대비 28.9%,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

■ 2015년■1분기■농축산물■수입액은■EU·미국·캐나다산■돼지고기,■호주·캐나다산■쇠고기,■ASEAN·

브라질·콜롬비아산■커피,■미국·EU·뉴질랜드산■치즈,■미국·호주·중국산■감자■등의■수입■증가로■전년■

동기■대비■0.3%■증가

•증가: 돼지고기(1억 2천만 $⇧), 쇠고기(8,147만 $⇧), 커피(3,638만 $⇧), 치즈(2,260만 $⇧), 감자(1,505만 $⇧)

•감소: 옥수수(6,472만 $⇩), 대두박(5,139만 $⇩), 대두(4,263만 $⇩), 오렌지(1,405만 $⇩), 참깨(1,239만 $⇩)

■ 2015년■ 1분기■ ASEAN,■ EU,■ 호주,■ 칠레,■ 페루,■ 터키로부터의■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그■중■EU산(18.4%⇧)■수입액이■가장■큰■폭으로■증가

•ASEAN(1.9%⇧), EU(18.4%⇧), 호주(12.9%⇧), 칠레(13.0%⇧), 페루(70.7%⇧), 터키(2.4%⇧)

•미국(8.9%⇩), 캐나다(19.2%⇩), 인도(35.6%⇩), 싱가포르(6.6%⇩), EFTA(9.7%⇩)

■ 2015년■1분기■돼지고기■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증가,■쇠고기와■닭고기는■감소

•돼지고기 수입량은 국내 도축두수 감소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8% 증가, 쇠고기는 도축두수 증가 등으로 소폭(0.4%) 감소, 닭고기는 도계마릿수 증가 등으로 26.2% 감소

■ 2015년■1분기■오렌지와■키위■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감소,■포도와■체리는■증가

•오렌지 수입량은 미국 캘리포니아산의 선적 지연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감소, 키위는 이탈리아산 수입단가 상승 등으로 47.0% 감소, 포도와 체리는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각각 21.1%와 3.5배 증가

■ 2015년■1분기■밀,■옥수수,■대두와■보리■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증가,■참깨는■감소

•밀, 옥수수, 대두와 보리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 25.8%, 4.8%와 5.6% 증가, 참깨는 14.5% 감소

요약 summary

단위: 억 달러 FTA 체결국 누적수입 기타국 누적수입

2014년 2015년 평년

75.2

49.4

75.4

49.1 0.3%

0.5%

5.2%

3.9%

71.7

47.3

단위: 억 달러 대FTA 체결국 누적수출 대기타국 누적수출

2014년 2015년 평년

14.9

5.2

14.5

5.6 2.4%

6.4%

10.4%

28.9%

13.2

4.3

(4)

Ⅰ 농축산물 수출입 개황 outlook

1)

수입 개황

2015년■1분기■전체■농축산물■수입액은■전년■동기와■비슷한■75억■4천만■달러이며,■FTA■체결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전년■동기와■비슷한■49억■1천■만■달러

단위: 억 달러

30 35

25

20

15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4년 2015년

[1분기 전체 수입액]

75억 2천만 달러(’14.1분기) → 75억 4천만 달러(’15.1분기) [1분기 FTA 체결국 수입액]

49억 4천만 달러(’14.1분기) → 49억 1천만 달러(’15.1분기)

2015년■1분기■주요■수입대상국■중■ASEAN,■EU,■호주,■브라질,■칠레■등으로부터의■수입액이■전년■동기■대비■

증가했으며,■EU산■수입액(18.4%⇧)이■가장■큰■폭으로■증가

미국 ASEAN 중국 EU 호주 브라질 칠레 우크라이나뉴질랜드 캐나다 인도 싱가포르 페루 EFTA 터키

단위: 억 달러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18.319.0 17.3

9.210.410.6 9.610.09.9 6.67.79.1

5.5 6.0

0.2 0.2 0.2

0.2 0.2 0.3 1.6 0.3

2.41.9 2.1 2.5 2.22.3 1.9 0.7

4.14.8 5.2

2.1 2.4 2.0 2.3 2.1 1.4

0.4 0.4 0.2 0.2 0.1 5.3

2015년■ 1분기■ 과일·채소(5.3%⇧),■ 축산물(16.5%⇧)과■ 가공식품(2.6%⇧)■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고,■곡물(11.2%⇩)과■임산물(2.8%⇩)은■감소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단위: 억 달러

곡물 과일·채소 축산물 임산물 가공식품

18.6 19.8 17.6

5.7 6.2 6.6

11.4 12.5

14.6 14.4 16.5 16.0

20.3 20.2 20.7

(5)

수출 개황

2015년■ 1분기■ 전체■ 농축산물■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14억■ 5천만■ 달러이며,■ FTA■

체결국으로의■수출액은■6.4%■증가한■5억■6천만■달러

단위: 백만 달러 600

550

500

450

4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11월 12월

평년 2014년 2015년

[1분기 전체 수출액]

14억 9천만 달러(’14.1분기) → 14억 5천만 달러(’15.1분기) [1분기 FTA 체결국 수출액]

5억 2천만 달러(’14.1분기) → 5억 6천만 달러(’15.1분기)

2015년■1분기■주요■수출대상국■중■일본,■ASEAN,■홍콩,■UAE,■인도■등으로의■수출이■전년■동기■대비■

감소했으며,■대일본■수출액(12.5%⇩)이■가장■큰■폭으로■감소

일본 ASEAN 중국 미국 EU 홍콩 UAE 대만 호주 싱가포르 캐나다 인도 터키 EFTA 칠레

단위: 백만 달러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306331 290

199 254245

227231240

109132143 69 6294

7097 89 4680 71

56 63 66

20 21 33 24 29 31 12 12 10

3813 3 3 3 1 1 2 1 2 2 24

2015년■1분기■축산물(27.7%⇧)과■가공식품(0.8%⇧)■수출액은■전년■동기■대비■증가했고,■곡물(20.6%⇩),■

과일·채소(4.7%⇩)와■임산물(41.8%⇩)은■감소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단위: 억 달러

곡물 과일·채소 축산물 임산물 가공식품

0.4 0.5 0.4

1.6 1.6 1.5

0.9 0.9 1.2 1.1 1.3 0.7

10.1 10.6 10.7

(6)

Ⅱ FTA 체결국별 수출입 동향 agricultural trade by FTA partners

2)

미국

2015년■1분기■미국산■농축산물■수입액은■전년■동기■대비■8.9%■감소한■17억■3천■만■달러

단위: 억 달러 9

7

5

3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4년 2015년

[수입액]

19억 달러(’14.1분기) → 17억 3천만 달러(’15.1분기)

• 1분기 수입액은 닭고기(40.9%⇩), 옥수수(42.1%⇩), 오렌지(17.7%⇩), 포도(24.4%⇩) 등의 수입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8.9% 감소

[수출액]

1억 3천만 달러(’14.1분기) → 1억 4천만 달러(’15.1분기)

• 1분기 수출액은 권련(43.4%⇧), 홍삼정(4.1배⇧), 라면 (9.9%⇧) 등의 수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

2015년■1분기■미국산■쇠고기,■옥수수와■오렌지■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감소,■돼지고기와■밀은■증가

2014년 단위: 억 달러

2015년 평년

19.0

17.3 8.9% 18.3

5.5%

[쇠고기 수입량]

미국산 수입단가 상승에 따른 호주산 수입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3.4% 감소

[돼지고기 수입량]

국내 도축두수 감소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 [밀 수입량]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 [옥수수 수입량]

수입대체에 따른 세르비아·브라질산 수입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8% 감소

[오렌지 수입량]

미국 캘리포니아산 선적 지연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 감소

2.9 3.0 2.6 3.7 3.4 3.6

30.5 29.9 31.5

12.8 11.4

6.6 6.6 5.3 4.8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쇠고기 돼지고기 옥수수 오렌지

단위: 만 톤

(7)

E U

2015년■1분기■EU산■농축산물■수입액은■전년■동기■대비■18.4%■증가한■9억■1천만■달러

단위: 억 달러 4

3

2

1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4년 2015년

[수입액]

7억 7천만 달러(’14.1분기) → 9억 1천만 달러(’15.1분기)

• 1분기 수입액은 돼지고기(63.1%⇧), 유제품(1.5배⇧), 옥수수(35.1%⇧) 등의 수입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8.4% 증가

[수출액]

6,154만 달러(’14.1분기) → 9,372만 달러(’15.1분기)

• 1분기 수출액은 커피조제품(118.2배⇧), 기타 음료 (34.2%⇧), 라면(7.0%⇧) 등의 수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52.3% 증가

2015년■1분기■EU산■돼지고기,■닭고기,■유제품,■옥수수와■보리■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모두■증가

2014년 단위: 억 달러

2015년 평년

7.7

9.1

6.6

18.4% 37.5%

[돼지고기 수입량]

국내 가격 상승과 냉동가공육 수요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64.6% 증가

[닭고기 수입량]

미국산 수입 금지에 따른 대체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

[유제품 수입량]

EU산 원유 생산량 증가와 수입단가 하락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배 증가

[옥수수 수입량]

EU산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1% 증가 [보리 수입량]

국내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3% 증가

3.6 3.9 6.5

0.1 0.2 0.2 0.2 0.2 0.8

11.4

4.3 6.9

0.2 0.7 0.8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돼지고기 닭고기 유제품 옥수수 보리

단위: 만 톤

(8)

FTA 체결국별 수출입 동향 agricultural trade by FTA partners

ASEAN

2015년■1분기■ASEAN산■농축산물■수입액은■전년■동기■대비■1.9%■증가한■10억■6천만■달러

단위: 억 달러 5

4

3

2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4년 2015년

[수입액]

10억 4천만 달러(’14.1분기) → 10억 6천만 달러(’15.1분기)

• 1분기 수입액은 밀(17.5%⇧), 당근(72.8%⇧), 오이(18.5%⇧) 등의 수입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

[수출액]

2억 5,414만 달러(’14.1분기) → 2억 4,501만 달러(’15.1분기)

• 1분기 수출액은 과당(36.4%⇩), 자당(65.7%⇩), 잎담배(84.0%⇩) 등의 수출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

2015년■1분기■ASEAN산■당근,■밀,■오이,■오리고기와■고구마■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모두■증가

1.9%

2014년 단위: 억 달러

2015년 평년

10.4

10.6

9.2 14.8%

[오리고기 수입량]

국내 AI 여파에 따른 공급량 부족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배 증가

[밀 수입량]

국내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7% 증가 [당근 수입량]

국내 수요처의 저렴한 베트남산 선호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99.9% 증가

[오이 수입량]

국내 외식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2% 증가 [고구마 수입량]

ASEAN산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0% 증가

75 2,079

4,155

3,527 2,937

3,634

162 1,037 1,225

7 20 150 0 188 260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당근 오이 오리고기 고구마

단위: 톤

(9)

호주

2015년■1분기■호주산■농축산물■수입액은■전년■동기■대비■12.9%■증가한■6억■달러

단위: 억 달러 3.0

2.5

2.0

1.5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4년 2015년

[수입액]

5억 3천만 달러(’14.1분기) → 6억 달러(’15.1분기)

• 1분기 수입액은 쇠고기(26.9%⇧), 감자(2.5배⇧)의 수입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2.9% 증가

[수출액]

2,097만 달러(’14.1분기) → 3,308만 달러(’15.1분기)

• 1분기 수출액은 권련(18.3배⇧), 김치(65.6%⇧), 채소종자(14.9배⇧) 등의 수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57.8% 증가

2015년■1분기■호주산■쇠고기,■유제품,■보리,■밀,■감자■등의■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모두■증가

9.0%

12.9%

2014년 단위: 억 달러

2015년 평년

5.3

6.0

5.5

[쇠고기 수입량]

관세 인하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 [유제품 수입량]

관세 인하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 [밀 수입량]

도입 및 통관 시차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 [보리 수입량]

관세 인하효과 및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

[감자 수입량]

관세 인하효과와 국내 칩용 감자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배 증가

46

3 3 3

39

255 209 223

4 1 5

59 61 38 43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쇠고기 유제품 보리 감자

단위: 천 톤

(10)

FTA 체결국별 수출입 동향 agricultural trade by FTA partners

캐나다

2015년■1분기■캐나다산■농축산물■수입액은■전년■동기■대비■19.2%■감소한■1억■9천만■달러

단위: 억 달러 1.2

1.0

0.8

0.6

0.4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년 2014년 2015년

[수입액]

2억 4천만 달러(’14.1분기) → 1억 9천만 달러(’15.1분기)

• 1분기 수입액은 밀(38.5%⇩), 대두(3.8%⇩) 등의 수입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19.2% 감소

[수출액]

1,243만 달러(’14.1분기) → 2,375만 달러(’15.1분기)

• 1분기 수출액은 인스턴트면(20.8%⇧), 당면(5.7배⇧), 소주(51.4%⇧) 등의 수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91.0% 증가

2015년■1분기■캐나다산■돼지고기,■쇠고기,■보리와■대두■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모두■증가,■밀은■감소

22.3%

19.2%

2014년 단위: 억 달러

2015년 평년

2.4

1.9

2.5

[돼지고기 수입량]

관세 인하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8% 증가 [쇠고기 수입량]

관세 인하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배 증가 [밀 수입량]

수입 대체에 따른 미국·호주산 수입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1% 감소

[보리 수입량]

관세 인하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2% 증가 [대두(가공/식용) 수입량]

수입 대체에 따른 중국산 수입 감소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0% 증가

13

0.3 0.4 0.9

45

7 8 10

1 2 3

50

31

10 16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돼지고기 쇠고기 보리 대두

단위: 천 톤

(11)

기타 국가

[칠레] ■2015년■1분기■농축산물■수입액은■평년■동기■대비■26.1%,■전년■동기■대비■13.0%■증가한■2억■4천만■달러

26.1%

13.0%

2014년 단위: 억 달러

2015년 평년

2.1

2.4

1.9

[돼지고기 수입량]

6,117톤(’14.1분기) → 6,295톤(’15.1분기) [쇠고기 수입량]

125톤(’14.1분기) → 128톤(’15.1분기) [포도 수입량]

1만 6천 톤(’14.1분기) → 1만 8천 톤(’15.1분기)

[인도] 2015년■1분기■농축산물■수입액은■평년■동기■대비■16.6%,■전년■동기■대비■35.6%■감소한■1억■4천만■달러

16.6%

35.6%

2014년 단위: 억 달러

2015년 평년

2.1

1.4

1.6

[보리 수입량]

9,434톤(’14.1분기) → 1만 톤(’15.1분기) [참깨 수입량]

5,450톤(’14.1분기) → 3,699톤(’15.1분기) [대두 수입량]

2,496톤(’14.1분기) → 2,332톤(’15.1분기)

[기타] 2015년■1분기■싱가포르·EFTA산■농축산물■수입액은■전년■동기■대비■각각■6.6%,■9.7%■감소한■반면,■

터키·페루산은■각각■2.4%,■70.7%■증가

단위: 백만 달러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33 4037

16 17 16 15 19 19

16

32

13

싱가포르 EFTA 터키 페루

[싱가포르산 밀(가공/식용) 수입량]

777톤(’14.1분기) → 1,218톤(’15.1분기) [EFTA산 유제품 수입량]

44톤(’14.1분기) → 76톤(’15.1분기) [터키산 밀(가공/식용) 수입량]

106톤(’14.1분기) → 1,911톤(’15.1분기) [페루산 포도 수입량]

3,120톤(’14.1분기) → 4,943톤(’15.1분기)

(12)

Ⅲ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3)

축산물 livestock products

2015년■1분기■쇠고기와■닭고기■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각각■0.4%와■26.2%■감소,■돼지고기는■32.8%■증가

32

21 27

8 5 8

44

34 44 단위: 천 톤

쇠고기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

8만 톤(’14.1분기) → 8만 톤(’15.1분기) [돼지고기]

9만 2천 톤(’14.1분기) → 12만 2천 톤(’15.1분기) [닭고기]

2만 9천 톤(’14.1분기) → 2만 1천 톤(’15.1분기)

2015년■1분기■쇠고기,■돼지고기■수입량은■평년■동기■대비■증가,■닭고기는■감소

77 80 80

27 29 21 98 92

122

단위: 천 톤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

수입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평년 동기 대비 4.3% 증가 [돼지고기]

국내 도축두수 감소와 가격 상승으로 평년 동기 대비 25.4% 증가

[닭고기]

국내 도계마릿수 증가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22.4%

감소

2015년■1분기■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평균■수입단가는■전년■동기■대비■각각■18.7%,■8.4%,■4.3%■상승

단위: $/kg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3월

5월 7월 9월 11월 2월 5월 7월 9월 11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1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1월2월3월

2013년 2014년 2015년

7.50 6.00 4.50 3.00 1.50 0.00

[쇠고기]

5.56$/kg(’14.1분기) → 6.60$/kg(’15.1분기) [돼지고기]

2.92$/kg(’14.1분기) → 3.17$/kg(’15.1분기) [닭고기]

2.01$/kg(’14.1분기) → 2.09$/kg(’15.1분기)

(13)

쇠고기 beef

2015년■미국산■냉동쇠고기,■냉장쇠고기와■냉동갈비에■적용된■협정관세율은■모두■29.3%로■전년■대비■

2.7%p■하락,■호주산은■모두■34.6%로■전년■대비■2.7%p■하락

수출국 세부■품목 기준관세율

(%)

FTA■협정관세율(%)

2014 2015 2016 비■고

미국

냉동쇠고기

40 32.0 29.3 26.6 -

냉장쇠고기 냉동갈비

호주

냉동쇠고기

40 37.3 34.6 32.0

한·호주 FTA

발효일(2014.12.12)을 기점으로 협정관세율 적용

냉장쇠고기 냉동갈비

2015년■ 1분기■ 쇠고기■ 수입량은■ 국내■ 도축두수■ 증가(2.2%)와■ 수입단가■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0.4%)■감소한■8만■톤

2014년 단위: 천 톤

2015년 평년

80 0.4% 80 4.3% 77

기타 8 기타 8

기타 10 미국

30

미국

26 미국

29

호주 43

호주

46 호주

38

[한우 도축두수]

24만 두(’14.1분기) → 24만 5천 두(’15.1분기) [한우가격]

5,016천 원/600kg(’14.1분기) → 5,090천 원/600kg (’15.1분기)

[수입단가]

호주산: 5.56$/kg(’14.1분기) → 6.60$/kg(’15.1분기) 미국산: 6.43$/kg(’14.1분기) → 8.06$/kg(’15.1분기)

2015년■1분기■냉동쇠고기■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6.7%■감소한■반면,■냉동갈비와■냉장쇠고기는■각각■

1.3%와■19.7%■증가

기타 17.7%

냉장쇠고기 13.0%

냉동갈비

26.0% 냉동쇠고기

42.7%

호주: 67.4%

미국: 31.8%

호주: 67.8%

미국: 25.3%

미국: 52.9%

호주: 29.1%

2015년 1분기

[냉동쇠고기]

3만 8천 톤(’14.1분기) → 3만 5천 톤(’15.1분기) [냉동갈비]

2만 톤(’14.1분기) → 2만 1천 톤(’15.1분기) [냉장쇠고기]

8,207톤(’14.1분기) → 9,827톤(’15.1분기)

(14)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돼지고기 pork

2015년■EU산,■미국산,■캐나다산■냉동돼지고기에■적용된■협정관세율은■각각■8.3%,■4.0%,■20.0%로■전년■

대비■4.2%p,■4.0%p,■5.0%p■하락,■칠레산에는■무관세■적용

수출국 세부■품목 기준관세율

(%)

FTA■협정관세율(%)

2014 2015 2016 비■고

EU

냉동돼지고기 25 12.5 8.3 4.1 0

7월 ~ 익년 6월

냉동삼겹살 25 18.1 15.9 13.6 11.3

냉장삼겹살 22.5 16.3 14.3 12.2 10.2

미국

냉동돼지고기 25 8.0 4.0 0.0

-

냉동삼겹살 25 0.0

냉장삼겹살 22.5 15.7 13.5 11.2

캐나다

냉동돼지고기 25 25.0 20.0 15.0

-

냉동삼겹살 25 25.0 23.0 21.1

냉장삼겹살 22.5 22.5 20.7 19.0

2015년■ 1분기■ 돼지고기■ 수입량은■ 수입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국내■ 구제역■ 여파에■ 따른■ 도축두수■

감소(2.6%)와■가격■상승■등으로■전년■동기■대비■32.8%■증가한■12만■2천■톤

단위: 천 톤

2014년 2015년 평년

92 32.8% 98

25.4%

122

캐나다 10

캐나다 13

캐나다 16 미국

34

미국 36

미국 37

EU

39 EU

36 EU

65

[돼지 도축두수]

395만 두(’14.1분기) → 385만 두(’15.1분기) [돼지가격]

333천 원/110kg(’14.1분기) → 393천 원/110kg(’15.1분기) [수입단가]

미국산: 2.93$/kg(’14.1분기) → 3.54$/kg(’15.1분기) EU산: 3.11$/kg(’14.1분기) → 3.08$/kg(’15.1분기)

2015년■1분기■냉동돼지고기,■냉장삼겹살■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각각■49.1%,■17.7%■증가한■반면,■

냉동삼겹살은■1.5%■감소

냉동 돼지고기

69.0%

기타 8.2%

냉장삼겹 1.7%

냉동삼겹 21.1%

2015년 1분기

미국: 35.6%

칠레: 19.6%

캐나다: 13.5% 미국: 36.9%

EU: 46.0%

캐나다: 11.9%

칠레: 4.0%

EU: 87.3%

칠레: 9.2%

미국: 1.6%

[냉동돼지고기]

5만 7천 톤(’14.1분기) → 8만 4천 톤(’15.1분기) [냉동삼겹살]

2만 6천 톤(’14.1분기) → 1만 6천 톤(’15.1분기) [냉장삼겹살]

1,808톤(’14.1분기) → 2,127톤(’15.1분기)

(15)

닭고기 chicken

2015년■EU산과■미국산■냉동닭다리에■적용된■협정관세율을■각각■12.7%와■12.0%로■전년■대비■1.8%p와■

2.0%p■하락

수출국 세부■품목 기준관세율

(%)

FTA■협정관세율(%)

2014 2015 2016 비■고

EU

냉동닭다리

20

14.5 12.7 10.9 9.0

7월 ~ 익년 6월 냉동닭날개

15.7 14.2 12.8 11.4

냉동닭가슴

미국

냉동닭다리

20

14.0 12.0 10.0

냉동닭날개

15.0 13.3 11.6

냉동닭가슴

2015년■1분기■닭고기■수입량은■미국■AI■발생에■따른■수입■금지와■브라질산■수입단가■상승■및■도계마릿수■

증가(5.7%)로■전년■동기■대비■26.2%■감소한■2만■1천■톤

2014년 단위: 천 톤

2015년 평년

29 27

26.2%

22.4%

21 EU 2

EU 2

EU 1 브라질

14

브라질 11

브라질 11

미국 13

미국 미국 14

8

[도계마릿수]

1억 9,103만 마리(’14.1분기) → 2억 191만 마리(’15.1분기) [육계 산지가격]

1,578원/kg(’14.1분기) → 1,725원/kg(’15.1분기) [수입단가]

브라질산: 2.48$/kg(’14.1분기) → 2.63$/kg(’15.1분기) 미국산: 1.46$/kg(’14.1분기) → 1.39$/kg(’15.1분기)

2015년■1분기■냉동닭다리,■냉동닭날개,■냉동닭가슴■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각각■27.3%,■33.1%,■56.3%■

감소

기타 4.6%

냉동닭날개 냉동닭가슴5.0%

1.2%

냉동닭다리 89.1%

2015년 1분기

EU: 83.8%

브라질: 16.2%

미국: 42.8%

브라질: 56.0%

[냉동닭다리]

2만 6천 톤(’14.1분기) → 1만 9천 톤(’15.1분기) [냉동닭날개]

1,580톤(’14.1분기) → 1,057톤(’15.1분기) [냉동닭가슴]

607톤(’14.1분기) → 266톤(’15.1분기)

(16)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유제품 dairy products

2015년■1분기■치즈,■유장과■탈지분유■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각각■26.3%,■19.5%와■15.8%■증가

치즈 유장 탈지분유

9.5

3.8

1.9 8.6

4.9

1.5 10.3

5.3

1.4 단위: 천 톤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치즈]

2만 2천 톤(’14.1분기) → 2만 8천 톤(’15.1분기) [유장]

1만 2천 톤(’14.1분기) → 1만 4천 톤(’15.1분기) [탈지분유]

4,233톤(’14.1분기) → 4,901톤(’15.1분기)

2015년■1분기■치즈와■탈지분유■수입량은■평년■동기■대비■증가,■유장은■감소

단위: 천 톤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치즈 유장 탈지분유

18

14

3 22

12

4 28

14

5

[치즈]

주요 수출국 생산량 증가와 가격 하락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56.7% 증가

[유장]

미국·호주산 수입 감소로 평년 동기 대비 1.3% 감소 [탈지분유]

주요 수출국 생산량 증가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62.5% 증가

2015년■1분기■치즈,■유장과■탈지분유의■평균■수입단가는■전년■동기■대비■각각■5.0%,■24.5%와■30.0%■하락

6월 8월 10월 12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5월 7월 9월 11월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4월 1월 1월2월3월

2013년 2014년 2015년

6.00

5.00

4.00

3.00

2.00

단위: $/kg 치즈 유장 탈지분유

[치즈]

5.03$/kg(’14.1분기) → 4.78$/kg(’15.1분기) [유장]

2.97$/kg(’14.1분기) → 2.25$/kg(’15.1분기) [탈지분유]

4.56$/kg(’14.1분기) → 3.19$/kg(’15.1분기)

(17)

치즈 cheese

2015년■미국산■치즈■TRQ■초과물량에■적용되는■협정관세율은■26.4%로■전년■대비■2.4%p■하락,■

호주산은■모두■32.0%로■전년■대비■2.0%p■하락

수출국 세부■품목 기준관세율

(%)

FTA■협정관세율(%)

2014 2015 2016 비고

미국 모차렐라,

크림, 체더 36

0 TRQ 물량 이내

28.8 (7,426톤 초과)

26.4 (7,649톤 초과)

24.0

(7,879톤 초과) -

호주 모차렐라,

크림, 체더 36

0 TRQ 물량 이내

34.0 (4,630톤 초과)

32.0 (4,769톤 초과)

30.0

(4,912톤 초과) -

2015년■1분기■치즈■수입량은■주요■수출국의■생산량■증가와■수입단가■하락으로■전년■동기■대비■26.3%■

증가한■2만■8천■톤

2014년 단위: 천 톤

2015년 평년

22

28

18

26.3% 56.7%

호주 2 뉴질랜드

3 EU 2

미국 15

뉴질랜드 5 EU 2 미국 7

EU 7

미국 15 호주 1

호주 2 뉴질랜드

4

2 기타

[치즈 생산량]

EU: 789만 8천 톤(’13.4~’14.2) → 792만 2천 톤 (’14.4~’15.2)

호주: 2만 6천 톤(’14.1월) → 2만 9천 톤(’15.1월)

※ European Milk Market Observatory(’15.4)

[수입단가]

EU산: 8.24$/kg(’14.1분기) → 4.87$/kg(’15.1분기) 호주산: 5.02$/kg(’14.1분기) → 4.54$/kg(’15.1분기) 미국산: 4.49$/kg(’14.1분기) → 4.78$/kg(’15.1분기) 뉴질랜드산: 5.05$/kg(’14.1분기) → 4.54$/kg(’15.1분기)

2015년■1분기■모차렐라,■체더와■크림■치즈■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각각■38.3%,■31.0%와■7.6%■증가

기타 16.5%

크림 8.3%

체더 19.1%

모차렐라 56.1%

2015년 1분기

미국: 73.6%

호주: 21.0%

미국: 34.2%

뉴질랜드: 58.4%

미국: 59.2%

EU: 34.6%

[모차렐라치즈]

1만 2천 톤(’14.1분기) → 1만 6천 톤(’15.1분기) [체더치즈]

4,148톤(’14.1분기) → 5,433톤(’15.1분기) [크림치즈]

2,189톤(’14.1분기) → 2,355톤(’15.1분기)

(18)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유장 whey

2015년■미국산과■EU산■사료용■유장분말,■기타■변성유장에는■모두■무관세가■적용되고,■기타■유장에는■각각■

21.6%와■22.9%■적용

수출국 세부■품목 기준관세율

(%)

FTA■협정관세율(%)

2014 2015 2016 비고

미국

사료용 유장분말

49.5 0 즉시 철폐

사료용 기타 변성유장

기타 유장 36 25.2 21.6 18.0 -

EU

사료용 유장분말

49.5 0 즉시 철폐

기타 변성유장

기타 유장 36 26.1 22.9 19.6 16.3 7월~익년 6월

2015년■1분기■유장■수입량은■주요■수출국■유장의■수입단가■하락■등으로■전년■동기■대비■19.5%■증가한■■

1만■4천■톤

2014년 단위: 천 톤

2015년 평년

12

14

19.5%

14 1.3%

캐나다 2

캐나다 1

캐나다 2

EU 6 미국

3 미국

3

EU 7 미국

3

EU 8

기타 1칠레 1 기타 2

[수입단가]

EU산: 4.01$/kg(’14.1분기) → 2.85$/kg(’15.1분기) 미국산: 1.39$/kg(’14.1분기) → 1.21$/kg(’15.1분기) 캐나다산: 1.99$/kg(’14.1분기) → 1.39$/kg(’15.1분기) 칠레산: 1.48$/kg(’14.1분기) → 1.27$/kg(’15.1분기)

2015년■1분기■기타■유장과■사료용■유장분말■수입량은■전년■동기■대비■각각■15.4%와■1.7배■증가한■반면,■

사료용■기타■변성유장은■22.6%■감소

기타 26.3%

기타 유장 40.1%

2015년 1분기

사료용 사료용

유장분말 20.6%

기타 변성유장

13.0%

미국: 79.3%

캐나다: 8.2%

EU: 97.0%

미국: 49.7%

캐나다: 18.6%

[기타 유장]

4,879톤(’14.1분기) → 5,630톤(’15.1분기) [사료용 유장분말]

1,075톤(’14.1분기) → 2,899톤(’15.1분기) [사료용 기타 변성유장]

2,355톤(’14.1분기) → 1,824톤(’15.1분기)

(19)

탈지분유 nonfat dry milk

2015년■ 미국산과■ EU산■ 탈지분유■ TRQ■ 초과물량에■ 적용되는■ 협정관세율은■ 모두■ 176%이고,■ 무관세■

할당물량은■각각■5,464톤과■1,060톤

수출국 세부■품목 기준관세율

(%)

FTA■협정관세율(%)

2014 2015 2016 비고

미국

무가당 (지방분 1.5% 이하)

176

0 TRQ 물량 이내

176 (5,305톤 초과)

176 (5,464톤 초과)

176

(5,628톤 초과) -

EU

0 TRQ 물량 이내

176 (1,030톤 초과)

176 (1,060톤 초과)

176 (1,092톤 초과)

176

(1,125톤 초과) 7월~익년 6월

호주 176 양허 제외

2015년■1분기■탈지분유■수입량은■주요■수출국■원유■및■탈지분유■생산량■증가에■따른■수입단가■하락으로■

전년■동기■대비■15.8%■증가한■4,901톤

2014년 단위: 톤

2015년 평년

4,233

3,017 15.8%

62.5%

4,901

EU 1,274 호주 1,639 미국 1,104

EU 2,252

호주 1,865 미국 525

EU 955 호주 1,625 미국 171

[원유 생산량]

EU: 1억 3천만 톤(’13.4~’14.2) → 1억 4천만 톤(’14.4~’15.2) 호주: 663만 톤(’13.7~’14.2) → 681만 톤(’14.7~’15.2) 미국: 1,506만 톤(’14.1~2월) → 1,534만 톤(’15.1~2월) [탈지분유 생산량]

EU: 104만 2천 톤(’13.4~’14.2) → 125만 7천 톤(’14.4~’15.2) 호주: 15만 톤(’13.7~’14.1) → 17만 톤(’14.7~’15.1) 미국: 12만 7천 톤(’14.1~2월) → 14만 2천 톤(’15.1~2월)

2015년■1분기■호주산,■EU산과■미국산■탈지분유■평균■수입단가는■전년■동기■대비■각각■27.6%,■32.5%와■

27.6%■하락

3월

5월 7월 9월 11월 2월 5월 7월 9월 11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1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1월2월3월

2013년 2014년 2015년

6.00

5.00

4.00

3.00

2.00

단위: $/kg 미국 EU 호주

[호주산]

4.57$/kg(’14.1분기) → 3.31$/kg(’15.1분기) [EU산]

4.59$/kg(’14.1분기) → 3.10$/kg(’15.1분기) [미국산]

4.44$/kg(’14.1분기) → 3.22$/kg(’15.1분기)

(20)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과일 fruits

2015년 1분기 오렌지와 키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5%와 47.0% 감소, 포도와 체리는 각각 21.1%와 3.5배 증가

단위: 톤

오렌지 포도 키위 체리

2,9265,759 40,091

4,134 5,622 14,574

224 0 139 282 60 0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오렌지]

5만 3천 톤(’14.1분기) → 4만 9천 톤(’15.1분기) [포도]

2만 톤(’14.1분기) → 2만 4천 톤(’15.1분기) [키위]

685톤(’14.1분기) → 363톤(’15.1분기) [체리]

75톤(’14.1분기) → 342톤(’15.1분기) 2015년 1분기 오렌지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감소, 포도, 키위와 체리는 모두 증가

단위: 톤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오렌지 포도 키위 체리

65,805

53,327 48,776

17,46020,09724,330

308 685 363 104 75 342

[오렌지]

미국 캘리포니아산 선적 지연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25.9% 감소

[포도]

칠레산과 페루산의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39.3% 증가

[키위]

1분기에 주로 수입되는 EU산은 2013년부터 수입되기 시작 [체리]

호주산 관세 인하효과 등으로 평년 동기 대비 2.3배 증가

2015년 1분기 오렌지, 포도와 체리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4%, 1.8%와 20.4% 하락한 반면, 키위는 17.1% 상승

단위: $/kg

품목: 체리 단위:$/kg

품목: 오렌지, 포도, 키위

포도 키위

오렌지 체리

25.00 20.00 15.00 10.00 5.00 0.00

5.00 4.00 3.00 2.00 1.00 0.00 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2013년 2014년 2015년

[오렌지]

1.72$/kg(’14.1분기) → 1.56$/kg(’15.1분기) [포도]

3.40$/kg(’14.1분기) → 3.34$/kg(’15.1분기) [키위]

2.31$/kg(’14.1분기) → 2.70$/kg(’15.1분기) [체리]

15.51$/kg(’14.1분기) → 12.34$/kg(’15.1분기)

(21)

오렌지 orange

2015년 미국·EU산(3~8월)과 호주산(4~9월) 신선오렌지에 적용된 협정관세율은 각각 15%와 25%로 전년 대비 모두 5.0%p씩 하락

수출국 세부 품목 기준관세율

(%)

FTA 협정관세율(%)

2014 2015 2016 비 고

미국 신선오렌지 50

20 15 10 3~8월

50 1~2월, 9~12월

TRQ 물량(2,732톤) 초과

EU 신선오렌지 50

25 20 15 10 3~8월

50 1~2월, 9~12월

TRQ 물량(20톤) 초과

호주 신선오렌지 50

30 25 20 4~9월

50 1~3월, 10~12월

TRQ 물량(20톤) 초과 주: *TRQ 물량은 2015년 기준이며, 미국은 2,500톤, EU와 호주는 20톤에서 시작하여 매년 3%씩 증량, TRQ 물량 이내는 무관세 적용

2015년 1분기 오렌지 수입량은 미국 캘리포니아산 작황호조에도 불구하고 선적 지연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감소한 4만 9천 톤

2014년 단위: 천 톤

2015년 평년

53

미국 53

49

미국 48

66

미국 66

8.5% 25.9%

[미국산 생산량]

총 생산량: 156백만 박스(’13/14) → 154백만 박스(’14/15)

캘리포니아 非발렌시아: 39백만 박스(’13/14) → 40백만 박스(’14/15),

※ 1박스=36.3kg, USDA(’15.3.10)

[주요 수입시기]

미국산: 12월~익년 7월 칠레산: 8~10월 남아공산: 8~11월

2015년 1분기 미국산과 스페인산 오렌지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1%와 12.0% 하락

단위: $/kg 5.00 4.00 3.00 2.00

0.00 1.00

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미국 칠레 남아공 스페인

[미국산]

1.72$/kg(’14.1분기) → 1.57$/kg(’15.1분기) [스페인산]

1.16$/kg(’14.1분기) → 1.02$/kg(’15.1분기)

(22)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포도 grape

2015년 국내산 포도 출하기의 미국산, 페루산, 호주산에 적용된 협정관세율은 각각 34.4%, 45.0%, 45.0%이고, 비출하기의 협정관세율은 각각 6.0%, 0%, 18%이며, 칠레산에는 출하기에 상관없이 무관세 적용

수출국 세부 품목 기준관세율

(%)

FTA 협정관세율(%)

2014 2015 2016 비 고

미국 신선포도 45

37.0 34.4 31.7 5~10월 15일

12.0 6.0 0 1~4월,

10월 16일~12월

건포도 21 0 -

페루 신선포도 45 45.0 5~10월

9.0 0 1~4월, 11~12월

건포도 21 12.6 10.5 8.4 -

호주 신선포도 45 45.0 5~11월

24.0 18.0 12.0 1~4월, 12월

건포도 21 0 -

2015년 1분기 포도 수입량은 칠레산과 페루산의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한 2만 4천 톤

17

칠레 15

21.1% 39.3%

페루 2 미국 1 24

20

칠레 칠레 18

16

페루 5 페루 3

미국 1 미국 1

2014년 단위: 천 톤

2015년 평년

[수입단가]

칠레산: 3.51$/kg(’14.1분기) → 345$/kg(’15.1분기) 페루산: 3.25$/kg(’14.1분기) → 3.11$/kg(’15.1분기) 미국산: 2.46$/kg(’14.1분기) → 2.55$/kg(’15.1분기) [주요 수입시기]

칠레산: 1~6월 페루산: 11월~익년 3월 미국산: 6월~익년 1월

2015년 1분기 신선포도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4.2% 증가한 반면, 건포도는 23.9% 감소

2015년 1분기

신선 95.9%

4.1%건조

칠레: 78.2%

페루: 21.2%

미국: 97.0%

터키: 1.4%

[신선포도]

1만 9천 톤(’14.1분기) → 2만 3천 톤(’15.1분기) [건포도]

1,312톤(’14.1분기) → 998톤(’15.1분기)

(23)

키위 kiwi

2015년 EU산 키위에 적용된 협정관세율은 33.7%로 전년 대비 2.8%p 하락했고, 칠레산과 호주산(5~10월)에는 모두 무관세 적용

수출국 세부 품목 기준관세율

(%)

FTA 협정관세율(%)

2014 2015 2016 비 고

칠레 신선키위 45 0 연중

EU 신선키위 45 36.5 33.7 30.9 28.1 7월~익년 6월

호주 신선키위 45 45.0 1~4월, 11~12월

0 5~10월

2015년 1분기 키위 수입량은 이탈리아산 수입단가 상승과 국내산 출하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0% 감소한 363톤

2014년 단위: 톤

2015년 평년

363 308

EU 685

EU

363 EU

(526) 685

47.0%

17.7%

[주요 수입시기]

뉴질랜드산: 4~11월 칠레산: 4~9월 이탈리아산: 1~4월

※ 평년 수입량 산출 시 특정 연도의 수입 실적이 부재한 경우, 수입대상국별 수입량 합계와 평년 총수입량이 불일치할 수 있음.

2015년 1분기 이탈리아산 키위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24.7% 상승한 반면, 프랑스산은 35.5%

하락

단위:$/kg 뉴질랜드 칠레

3.50

3.00

2.50

2.00

1.50

1.00

2013년 2014년 2015년

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프랑스 이탈리아

[이탈리아산]

2.31$/kg(’14.1분기) → 2.89$/kg(’15.1분기) [프랑스산]

2.23$/kg(’14.1분기) → 1.44$/kg(’15.1분기)

(24)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체리 cherry

미국산과 호주산 신선체리의 기준관세율(24%)이 FTA 발효 즉시 철폐되어 2015년 모두 무관세 적용

수출국 세부 품목 기준관세율

(%)

FTA 협정관세율(%)

2014 2015 2016 비 고

미국 신선체리 24

0 즉시 철폐

일시저장 체리 30

호주 신선체리 24 0 즉시 철폐

일시저장 체리 30 28 26 24 -

2015년 1분기 체리 수입량은 한·호주 FTA 체결에 따른 기준관세율(24%) 철폐와 뉴질랜드산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배 증가한 342톤

2014년 단위: 톤

2015년 평년

뉴질랜드 70

호주 231

뉴질랜드 97 뉴질랜드

111 75

104 342

354.1%

227.6%

[주요 수입시기]

미국산: 4~8월 호주산: 12월~익년 2월 뉴질랜드산: 12월~익년 2월

2015년 1분기 호주산 체리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1.6% 상승, 뉴질랜드산은 26.8% 하락

단위:$/kg 미국 호주 뉴질랜드

20 16 12 8 4

0 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1월2월3월

2013년 2014년 2015년

[호주산]

12.53$/kg(’14.1분기) → 12.73$/kg(’15.1분기) [뉴질랜드산]

15.73$/kg(’14.1분기) → 11.52$/kg(’15.1분기)

(25)

기타 과일 other fruits

2015년 1분기 바나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 망고, 자몽과 파인애플은 각각 12.7%, 42.7%와 9.8% 증가

단위: 천 톤

바나나 망고 자몽 파인애플

26 24 35

2.8 2.2 2.4

6 7 9 0.5 0.7 1.3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바나나]

8만 7천 톤(’14.1분기) → 8만 5천 톤(’15.1분기) [망고]

2,248톤(’14.1분기) → 2,533톤(’15.1분기) [자몽]

5,166톤(’14.1분기) → 7,374톤(’15.1분기) [파인애플]

2만 톤(’14.1분기) → 2만 2천 톤(’15.1분기)

2015년 1분기 바나나, 망고, 자몽, 파인애플 수입량은 평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단위: 천 톤 평년 1분기 2014년 1분기 2015년 1분기

바나나 망고 자몽 파인애플

82 87 85

3 5 7

21 20 22

1 2 3

[바나나]

국내 수요 증가로 평년 동기 대비 3.7% 증가 [망고]

국내 소비 확대로 평년 동기 대비 3.2배 증가 [자몽]

신선 및 가공품 소비 증가로 평년 동기 대비 1.4배 증가 [파인애플]

수입선 다변화로 평년 동기 대비 9.1% 증가

2015년 1분기 바나나, 자몽과 파인애플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 4.9%와 6.9%

하락했고, 망고는 6.4% 상승

단위: $/kg 바나나 망고 자몽 파인애플

6.00 5.00 4.00 3.00 2.00 1.00

0.00 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1월2월3월

2013년 2014년 2015년

[바나나]

0.86$/kg(’14.1분기) → 0.84$/kg(’15.1분기) [망고]

3.73$/kg(’14.1분기) → 3.97$/kg(’15.1분기) [자몽]

1.48$/kg(’14.1분기) → 1.41$/kg(’15.1분기) [파인애플]

0.91$/kg(’14.1분기) → 0.85$/kg(’15.1분기)

(26)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분석 import trends by main products

바나나 banana

ASEAN산 바나나는 양허제외 품목으로 기준관세율(30%)이 적용되고, 페루산은 2015년부터 무관세 적용

수출국 세부 품목 기준관세율

(%)

FTA 협정관세율(%)

2014 2015 2016 비 고

ASEAN 바나나 30 30 양허 제외

페루 바나나 30 6 0 2015년부터 무관세 적용

2015년 1분기 바나나 수입량은 농약 검출에 따른 국내 소비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한 8만 5천 톤

2014년 단위: 천 톤

2015년 평년

87

ASEAN 85

85

ASEAN 기타 5

80

82

ASEAN 81

2.6% 3.7%

[주요 수입대상국별 비중]

필리핀: 8만 톤(93.9%) 과테말라: 3,237톤(3.8%) 페루: 1,305톤(1.5%) [주요 수입시기]

필리핀: 1~12월 과테말라: 5~12월 페루: 5~12월

2015년 1분기 필리핀산, 과테말라산과 페루산 바나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 21.4%와 23.0% 하락

단위: $/kg 필리핀 페루

1.80 1.60 1.40 1.20 1.00 0.80 0.60 0.40

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2013년 2014년 2015년

과테말라

[필리핀산]

0.85$/kg(’14.1분기) → 0.83$/kg(’15.1분기) [과테말라산]

0.97$/kg(’14.1분기) → 0.76$/kg(’15.1분기) [페루산]

1.57$/kg(’14.1분기) → 1.21$/kg(’15.1분기)

참조

관련 문서

해당 품목은 흑 마늘액, 블루베리액, 홍삼액, 매실액 등이 관세청 분류사례로 포함... 『FTA 체결국 농축산물

서 국내 농업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해 주요 농식품에 대해서는 양허제외 또는 부분적 개방을 대체로 유지한 반면, FTA 상대국들은 자국의 농식품 시장을 전반적으로

한국국제협력단 (KOICA) 은 북동부 포도르 지역을 중심으로 관개수로 지원 , 생산성 증대 및 역량강화 등 쌀의 통합적 가치사슬 강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 해양수산부는

Ø 한·중 FTA 농업분야 협상전략수립과 대응방안모색에 기여 Ø 중국의 식품소비와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을 충족. 지금까지 축적된 중국 농업 관련 정보와

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볼리비아의 의회는 양원제로 구성되며 , 주요 정당은 사회주의운동당 (Movement for Socialism, MAS) 과 기독민주당 (Christian Democratic Party, PDC) 이다.. 6) 15세 이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TEAM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특징과 장점 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TEAM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At the same time, member countries may draw up partial scope agree- ments with other developing countries or respective economic integration areas outside Latin Ame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