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시멘트 산업의 개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 시멘트 산업의 개요"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건설자재(시멘트) 시장동향과 대책

조 재 우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1. 시멘트 산업의 개요

시멘트는 석회석, 점토, 규석 및 산화철의 원 료들을 적당한 비율로 배합한 raw mix를 미분 쇄하여 예열기를 거쳐 소성로에서 약 1450℃의 고온으로 소성한 후 냉각기로 냉각시켜 시멘트 의 반제품인 클링커를 제조하며, 여기에 첨가제 로서 슬래그 및 석회석 등과 응결지연제인 석고 (CaSO4·2H2O 등)를 혼합 분쇄하여 제조한다.

이때 첨가제는 5% 이내로 규정되어 있으며, SO3는 3.5%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강열 감량은 3% 이내로 규정되어 있어, 혼합재 및 석 고 등의 함량을 간접적으로 제한하고 있기도 하 다. 중간 제품인 클링커는 소성온도, 소성속도 및 냉각방법 등에 따라 클링커를 구성하는 4대 광물(alite, belite, aluminate 및 ferrite)의 특 성이 변화하여 시멘트의 물성을 좌우하기도 한 다. 국내 시멘트 공장에서 사용되는 석회석은 raw mix의 약 90%를 차지하며, 석회석의 CaO 평균 품위는 약 47~48% 정도이다. 또한 dolomite(CaCO3·MgCO3)가 석회석 중에 미 량으로 존재하여, MgO의 탈탄산에 의해서도 CO2가스가 발생하기도 한다.

시멘트 제조공정은 원료 광산으로부터의 채 굴 또는 산업폐기물/부산물의 이송에 의한 원료 준비, 준비된 원료들을 적절히 혼합·분쇄하는

raw mill 분쇄 단계, 이후 preheater에 의한 하 소 공정 및 킬른에서의 소성 공정을 거친 후 제 조된 클링커가 냉각기에서 냉각된다. 이후 최종 밀(cement mill)에서 대략 클링커 90%, 석고 5% 및 첨가제 5%이하로 혼합·분쇄하여 출하 한다.

2. 국내시멘트 산업의 성장과정

우리 국토에서 시멘트가 처음 생산된 것은 일 본의 강점기부터이다. 1919년 일본의 시멘트회 사에 의해 평양 근교의 승호리에 첫 번째 공장 이 세워진 후 군수용을 주목적으로 속속 증설하 여 광복 전까지 일본의 3개 회사에서 북한에 5 개, 남한에 1개 공장을 세움으로써 연산 180만 톤의 생산능력을 갖게 된 것이다. 그러나 남한 의 삼척공장(1942년 가동)은 광복 당시 정상 가 동이 되지 못한 상태에서 그나마 6·25 사변 시 에 모두 파괴되었다. 전후 UNKRA의 도움으로 1953년에 삼척공장이 보수되어 1956년에는 동 양시멘트사로 발족하였고, 1957년에 대한양회 문경공장이 새로 건설되어 가동되면서 우리나 라 시멘트 산업은 자족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62년부터 약 10여 년간에는 경제개발 기초 전략의 기간산업으로 지원되어 8개의 시멘트 공장이 설립됨으로써 연산 약 50만 톤이던 생산

(2)

량이 687만 톤으로 급증하여 짧은 시간에 세계 20위권의 시멘트 생산국으로 돌입하게 되었다.

그 결과 시멘트 수입국이던 우리나라는 1964년 부터 수출국으로 전환하였고 1971년에는 수출 량이 100만 톤을 넘어 세계 11위의 수출량을 기 록하였다.

경제개발 기간산업으로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룬 우리나라의 시멘트 산업은 70년대부터는 품질 향상, 품종 다양화와 생산 기술의 향상 등 과 같은 질적 성장에 치중하기 시작하였으며 80 년대에 들어서는 최신 설비의 증설과 함께 중유 에서 석탄으로의 연료 전환을 완료하여 경제성 과 생산 안정성을 기하는 한편 시멘트 산업의 제반 기술 수준도 선진국 수준에 이르러 세계 6 위권의 시멘트 강국이 되었다.

1990년대 들어 우리나라의 건설경기부양책 에 따른 시멘트 수요의 급증으로 시멘트 산업은 호황기를 맞아 90년대 중반에는 연산 6,000만 톤에 이르기도 하였으나 1997년 말에는 IMF구 제금융이라는 경제 위기를 맞아 총체적인 불황 속에서 업계 전체가 심각한 경영난에 빠지게 되 어 구조조정 등으로 위기에 맞서야 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는 IMF 체제의 탈피와 정부의 경기 부양 의지 등에 의한 건설 경기 회 복과 업계의 자구노력의 성공으로 우리나라 시 멘트 업계는 경영실적이 호전되면서 재도약의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의 Lafarge사나 일본의 Taiheyo Cement사 등 외 국 시멘트 메이저 회사들의 우리나라 진출로 우 리 시멘트 산업은 또 다시 새로운 환경에 대응 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고 철강재와 같은 시 멘트 대체재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시멘트 수요

의 잠식도 어려움으로 다가와 있는 실정이다.

사회·환경적으로는 불시에 찾아오는 물류대 란과 유연탄 수급 불안정에도 대비하면서 시멘 트 산업이 환경 문제를 해소하고 녹색 성장에 동참하는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서의 역할을 강 화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의 건설 산업뿐만 아니라 국가발전의 원동력 역할 을 수행하여 온 시멘트 산업은 오늘 날 또 다른 국면을 맞아 중차대한 결정과 변모를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될 실정이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멘트를 생산하는 회사 는 표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양, 쌍용, 한일, 현대, 아세아, 성신, 유진, 라파즈한라, 한국 및 유니온 등 10여 개의 회사가 있으며 이들 회사 가 보유한 50기의 시멘트 소성로(특수시멘트 제 외)에 의한 연간 생산능력은 약 6,200만 톤에 이른다. 시멘트의 생산은 수요에 맞추어 조절하 고 있으며 2008년도의 시멘트 총생산량은 5,165만 톤이었고 이중 쌍용, 동양 및 성신 등 3 사회·환경적으로는 불시에 찾아오는 물류 대란과 유연탄 수급 불안정에도 대비하면서 시 멘트 산업이 환경 문제를 해소하고 녹색 성장 에 동참하는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 의 건설 산업뿐만 아니라 국가발전의 원동력 역할을 수행하여 온 시멘트 산업은 오늘 날 또 다른 국면을 맞아 중차대한 결정과 변모를 모 색하지 않으면 안 될 실정이 되었다.

건설생산기반 진단 및 대응

(3)

개 업체가 약 53%인 2,717만 톤의 시멘트를 생 산하였다. 모든 시멘트 생산 기업은 전국에 걸 쳐 잘 조직된 유통망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시멘트 산업은 기본적으로 에너지·

자원 다소비형의 공해유발산업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안고 있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자 원의 고갈, 대기환경 오염, 지구 온난화 및 폐기 물 처리 문제 등에 대한 관심이 날로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시멘트 산업도 예외 없 이 풀어 나아가야 할 많은 사회적, 환경적 문제 를 안게 되었다. 그 중 근래에 들어 시멘트 원료 및 연로로서의 폐자원 재활용이 선진국에서는 이미 권장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 사회 의 일각에서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세계적으로 시멘트 산업에서 는 소성 설비의 특성상 환경을 저해하지 않고 각종 산업의 폐부산물을 시멘트 소성의 원료 및 연료로 재활용함으로써 국가의 환경 및 경제효 과와 매립지 부족 문제 등에 기여하고 있다. 우

리나라도 다양한 산업 폐부산물을 점차 시멘트 제조 원료 및 연료로 재활용하여 국가정책에 이 바지하는 한편 생산 단가의 저감 효과도 도모하 고 있다. 우리나라 시멘트 산업에서의 폐자원 활용은 그 시점과 종류의 다양성 및 사용량 면 에서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매우 뒤져 있는 상 황이다. 따라서 폐기물의 시멘트 원료?연료화 를 통한 자원, 에너지 및 환경문제의 해소를 위 해 자원 재활용에 관한 국가적 차원의 규제 개 선과 폐기물 활용기술 향상을 위한 시멘트 업계 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시멘 트 산업은 이러한 이미지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폐자원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이용과 CO2배출 량의 저감 대책뿐만 아니라 시멘트 콘크리트 산 업을 활용한 국토환경의 개선 및 지속 가능한 녹색 성장의 구축에 앞장서지 않으면 안 될 중 요한 사회적 의무를 안고 있다고 할 것이다.

〈표 1〉우리나라의 시멘트 생산 회사와 회사별 생산능력

자료 : 한국양회공업협회

회사명/설립연도 소성로 보유 수(기) 및 소재지 연 생산능력 (천 톤) 비고

동양시멘트(주)/1957 7(삼척) 10,045

쌍용양회공업(주)/1962 7(동해), 5(영월), 4(문경) 15,160

한일시멘트(주)/1961 6(단양) 7,131

현대시멘트(주)/1963 4(단양), 2(영월) 6,865

아세아시멘트(주)/1957 4(제천) 4,146

성신양회(주)/1967 5(단양) 9,686

유진기업(주)고려시멘트/1962 1(장성) 660

라파즈한라(주)/1978 4(옥계), 1(신기) 8,184

한국시멘트(주)/1976 (포항)

(주)유니온 (청주) 특수시멘트

합계 50 61,877

(4)

3. 우리나라의 시멘트 수급 특성

앞에서 대략적으로 살펴 본 바와 같이 우리나 라 시멘트 산업의 급속한 발전은 국가 정책에 의해 가능하였다. 즉 60년대 초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서 시멘트 산업을 주요 국가사업 으로 중점 육성하게 된 것이 계기가 되었다. 70 년대의 시멘트 수요 증대도 정부의 SOC 확충 정책과 건설수요 확대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 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시멘트의 수요는 국가 정책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건설 경기의 변화 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 1979년 석유파동 이후 에는 건설경기 침체, 시멘트 내수부진으로 가동률 낮추지 않을 수 없었으며 1986년 이후 국내경기 회복과 아시안게임, 88올림픽 등 특수요인과 정 부의 각종 건설공사 추진에 힘입어 우리나라 시 멘트 산업은 새로운 도약기를 맞기도 하였다.

그림 1.은 1990년부터 2008년까지의 우리나 라의 시멘트 생산ㆍ출하량을 나타낸 것이다. 90 년대에 들어서는 아파트 200만 호 건설, 신도시

개발, 지하철, 고속도로 건설, 서해안 개발 사업 과 같은 SOC 투자 확대 등 정부의 건설경기 관 련 정책으로 인한 건설경기 과열로 시멘트 수요 가 약 7년간 꾸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이와는 반대로 과거의 건설경기 침체기 중에는 부동산 투기 억제책이나 건축허가 동결과 같은 정부시 책에 기인된 것들도 있다). 그러나 1997년 IMF 구제금융을 초래한 총체적인 불황기를 맞아 시 멘트 수요가 급감하고 시멘트 업계도 심각한 경 영난을 경험하게 된다. 4년간의 IMF 관리 체제 가 끝나면서 정부의 경기 부양책과 건설경기 회 복으로 시멘트의 생산과 출하량은 1998년을 저 점으로 회복기를 맞아 5년간 계속 증가하였으 나 2003년을 정점으로 경기침체에 의해 다시 감소하여 증가와 감소의 사이클을 보이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의 시멘트 산업은 국가 시책의 민감한 영향 하에서 시멘트의 수요가 건 축허가 및 건설 수주를 변수로 이에 뒤따르거나 동시에 변하며, 이러한 사이클은 반복됨을 알 [그림 1] 1990년 이후의 시멘트 생산·출하량 변화

자료 : 한국양회공업협회

건설생산기반 진단 및 대응

(5)

수 있다. 대규모의 공공 투자가 있을 때에는 안 정적인 시멘트의 공급 확보가 우선적 과제로 등 장하지만 건설경기가 침체되면 시멘트 생산설 비의 가동률 저하, 재고 발생 등으로 업계의 경 영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건설경기의 침체기에는 향후에 있을 수요 확대에 대비할 수 있도록 시멘트 산업을 보호하는 국가적 정책과 업계의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건축허가 면적은 건설경기의 선행지표로 허 가 면적이 줄면 앞으로 건설경기가 위축될 것이 라는 것을 예고한다. <그림 2>는 1995년부터 2008년까지의 우리나라의 건축허가 연면적을 시멘트 생산 및 출하실적과 함께 연 단위로 나 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 멘트 생산·출하량은 연 단위로는 건축허가 연 면적에 연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건설경기를 대변하는 지표인 건설투자의 전 망은 이에 선행관계가 있는 건축허가 면적으로 대략 예측이 가능하며 특히 주거용 건설투자의 전망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안민규외,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22권 12호, 2006). 건축허가 면적에 대한 예측치를 먼저 구하고 이에 의거한 함수식을 설정하여 건설투자 전망치를 예측하 는 방법이다. 건축허가와 건설투자 사이에는 소 형 건축은 1-2분기 정도, 대형 건축은 4-6분기 정도의 시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축허가 면적은 건설 시공단계를 기준으로 하면 선행지표이므로 시공 단계에서 발생하는 시멘트 출하실적(동행지표)이 건축허가 후 대략 이 정도의 시차를 두고 이루어진다고 본다면 시 멘트의 생산은 건축허가 실적에 바로 뒤따르거 나 연동할 것이다. 따라서 건축허가 면적의 추 이는 건설투자를 지표로 하지 않고도 직접 시멘 트의 생산 및 출하 추이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 이며, 어떠한 방법으로 건축허가 면적을 예측한 다면 동일한 기간의 시멘트의 수요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그림 2>에서도 이들 사이의 관련성이 있음을 보인다.

따라서 1995년부터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의 시멘트 생산, 출하량의 추이는 건축허가 면적의 [그림 2] 연령별 건설기능인력

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12월 기준)

(6)

추이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공업 용의 건축허가는 주거용과 상업용의 허가면적 이 작았던 1997년부터 2000년 사이에는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2001년부터 현재까지는 거의 변화가 없이 싼 값을 유지하고 있으며, 문화·

사회·기타 용도의 건축허가는 2000년 이후 꾸 준히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며 시멘트 수급량에 완만한 상승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각종 변수로 인해 경제성장률 전망 치도 1년 사이에 4-6%p나 변하면서 성장전망 무용론까지 나오고 있다. 건설 분야에서도 건설 재료나 기술의 발전으로 건설 활동의 유형이 다 양해지고, 정부 정책에 의해 각종 테마와 기능 을 가진 신도시가 개발됨에 따라 건설경기 변동 의 불확실성이 커져서 건설경기 예측에 사용되 는 지수나 지표의 신뢰성이 매우 낮아진 상태이 므로 우리나라 시멘트 산업의 수요 예측에도 이 러한 경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시멘 트 수급 실적은 건축허가 면적과 동향이 매우 잘 일치하는 특징이 있음이 확인되므로 건축허 가 동향의 예측치를 우리나라 시멘트 산업의 수 요 예측에 활용할 그 경우 신뢰도가 매우 클 것 으로 생각된다.

4. 국내 시멘트 수요 예측

건설재료로서 시멘트를 대체할 재료가 당장 출현하기는 어려우며 또한, 시멘트산업이 국가 경제성장과 긴밀한 관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국가의 1인당 GDP와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의 관 계분석으로부터 시멘트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대체적으로 국가의 경제력과 시멘트 소비량에 대해서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각 나라의 문화적인 특 성에 의해 곡선의 형태는 유사하지만 사용량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1인당 GDP가 $5,000 이하로 낮은 국가는 시멘 트 소비가 작고, 대략 500kg/인 이하다. 한편 1 인당 GDP가 $5,000에서 $20,000 정도의 중진 국, 선진국은 시멘트 소비량이 상당히 많고 증 가하는 추세이다. 1인당 GDP가 높은 선진국은 시멘트 소비량이 안정 추세이다. 이것을 3분류 로 나누어, 1인당 GDP와 시멘트 소비량과의 관 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①제1그룹(1인당 GDP $5,000 이하) : 평균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은 233kg/인이다. 제1그룹 은 경제력이 없고 따라서 건설투자, 시멘트 소 우리나라의 경우 1인당 GDP가 $20,000 정 도 이므로 제2그룹에서 제 3그룹으로 넘어가 려는 시기에 있다. 2008년도 1인당 GDP는

$19,875,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은 1,028kg/인 으로 제2그룹의 평균 1인당 시멘트 소비량 741kg/인보다 287kg/인을 더 소비하는 것으 로 나타나 다른 나라보다는 1인당 시멘트 소비 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GDP로 만 볼 때, 앞으로 우리나라는 1인당 GDP의 증가 가 예상되므로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국내 시멘트 소비특성상 다른 나라보다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생산기반 진단 및 대응

(7)

비도 적은 나라이다.

② 제 2그 룹 (1인 당 GDP $5,000 이 상

$20,000 이하) : 평균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은 741kg/인 이다. 국가로는 체코, 우루과이, 사우 디아라비아, 오만, 아르헨티나, 바바도스, 한국, 슬로베니아, 포르투갈, 그리스, 키프로스, 대만, 쿠웨이트, 마카오, 뉴질랜드, 스페인, 브루나이, 카타르, 이스라엘, UAE 등이다. 제2그룹은 어 느 정도 경제가 발전하고, 고도 성장기에 있는 나라이다.

③제3그룹(1인당 GDP $20,000 이상) : 평균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은 430kg/인 이다. 국가로 는 이탈리아, 캐나다, 호주, 잉카폴, 프랑스, 아 일랜드, 벨기에, 영국, 홍콩, 네덜란드, 핀란드, 오스트리아, 독일, 스웨덴, 아이슬란드, 덴마크, 미국, 노르웨이, 일본, 스위스, 룩셈부르크 등이 다. 제3그룹은 이미 선진국에 진입한 나라로 건 설투자가 일단락되어 시멘트 소비가 안정적인 나라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인당 GDP가 $20,000 정 도 이므로 제2그룹에서 제 3그룹으로 넘어가려

는 시기에 있다. 2008년도 1인당 GDP는

$19,875,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은 1,028kg/인으 로 제2그룹의 평균 1인당 시멘트 소비량 741kg/인보다 287kg/인을 더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나라보다는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GDP로 만 볼 때, 앞으로 우리나라는 1인당 GDP의 증가가 예상 되므로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국내 시멘트 소비특성상 다른 나라보 다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1970년부터 2008년까지 우리나라의 총인구 대비 GDP, 1인당 GDP, 시멘트 생산량, 시멘트 출하량, 인구수,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을 <표 2>

에 나타냈다. 1인당 GDP가 $11,234인 1997년 에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이 최고인 1,343kg/인 을 기록하였다. 그 후 서서히 감소하여 2007년 1인당 GDP $20,240에서 1048kg/인을 나타내 어, 1인당 GDP가 $10,000에서 $20,000 증가 에 따라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은 전반적으로 감 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럽의 경우 1인당 GDP가 $20,000 정도에서 1인당 시멘트 소비 [그림 3] 우리나라 1인당 GDP와 1인당 시멘트 소비량과의 관계

(8)

〈표 2〉우리나라 GDP, 인구수, 시멘트 생산량의 연도별 변화량

[출전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NationMaster를 통해 세계 개발 지표를 데이터베이스와 CIA의 세계 Fact book The Economist The World in 2007

한국양회공업협회 출간지『시멘트』통계자료

년도 총인구

(천명)

GDP ($m)

1인당 GDP($)

시멘트 생산량(톤)

1인당 시멘트 소비량(톤)

시멘트 국내 출하량(톤)

1970 32241 8,900 278 5,821,604 165 5,330,952

1971 32883 9,850 302 6,872,289 185 6,101,859

1972 33505 10,735 322 6,486,293 169 5,672,163

1973 34103 13,691 403 8,179,801 210 7,182,039

1974 34692 19,229 555 8,838,306 220 7,655,164

1975 35281 21,459 608 10,129,264 239 8,434,663

1976 35849 29,555 824 11,873,092 250 8,983,133

1977 36412 37,926 1,041 14,418,187 305 11,116,764

1978 36969 51,125 1,382 15,466,872 399 14,762,331

1979 37534 65,562 1,746 16,614,450 421 15,825,014

1980 38124 63,834 1,674 15,573,117 345 13,172,037

1981 38723 71,469 1,845 15,599,640 321 12,438,683

1982 39326 76,218 1,928 17,912,285 363 14,301,021

1983 39910 84,510 2,117 21,213,807 442 17,648,742

1984 40406 93,210 2,306 20,358,740 458 18,506,172

1985 40806 96,619 2,367 20,498,373 465 18,976,265

1986 41214 111,305 2,702 23,225,377 494 20,387,363

1987 41622 140,005 3,367 25,661,794 546 22,755,184

1988 42031 187,446 4,465 28,995,332 623 26,201,987

1989 42449 230,472 5,438 30,473,882 664 28,210,064

1990 42869 263,777 6,153 33,574,874 741 31,803,235

1991 43296 308,185 7,122 38,334,812 857 37115,328

1992 43748 329,886 7,555 42,650,272 939 41,114,773

1993 44195 362,136 8,219 46,893,970 1,030 45,562,528

1994 44642 423,434 9,525 51,634,555 1,179 52,667,983

1995 45093 517,118 11,467 55,129,583 1,253 56,501,765

1996 45525 557,644 12,249 57,260,245 1,318 60,012,801

1997 45954 516,282 11,234 59,796,075 1,343 61,741,635

1998 46287 345,432 7,462 46,091066 963 44,615,093

1999 46617 445,399 9,554 48,156,548 959 44,721,156

2000 47008 511,657 10,884 51,255,129 1,021 48,000,094

2001 47357 481,895 10,176 52,046,329 1,056 50,054,852

2002 47622 546,933 11,486 55,514,831 1,140 54,291,800

2003 47859 608,147 12,709 59,194,796 1,218 58,302,257

2004 48039 680,491 14,152 54,330,760 1,143 54,942,318

2005 48138 791,426 16,387 47,197,201 961 46,285,524

2006 48297 888,024 18,340 49,199,785 1,001 48,386,021

2007 48456 992,013 20,240 52,182,351 1,048 50,790,839

2008 48607 929,121 19,875 51,653,418 1,041 50,636,800

건설생산기반 진단 및 대응

(9)

량이 최고점에 도달하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는 반 정도인 $11,000에서 최고 소비량을 나타냈다.

일본의 경우 1980년에 1인당 GDP $13,428 에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이 632kg/인으로 최고 점에 도달한 후,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2006년 현재 1인당 GDP $37,940에서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이 459kg/인을 나타내고 있다.

최고 1인당 소비량은 우리나라에 비해 약 47%

정도에 해당되며, 전반적으로 우리나라가 일본 에 비해 1인당 대략 2배 정도 시멘트를 더 사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1인당 GDP와 1인당 시멘트 소비 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 그림 3.이다. 1인당 GDP $11,000-$12,000에서 정점을 나타내고 그이후에서서히감소하는경향을나타내고있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우리나라의 1인당 GDP와 1인당 시멘트 소비량과의 관계를 추론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제1기 : 1인당 GDP $11,000 이하(1997년 까지)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1인당 GDP $11,000 부근에서 1,343kg/인까지 증가한다.

② 제2기 : 1인당 GDP $11,000부터

$35,000까지 (1998년~2024년)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이 서서히 감소하여 1인당 시멘트 소비량 이 안정화될 때까지의 시기로 1인당 소비량이 1,343kg/인에서 900kg/인 정도로 떨어지는 시 기이다.

③ 제3기 : 1인당 GDP가 $35,000 이상 (2025년 이후) 시멘트의 1인당 소비량이 안정화 되는 시기로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이 대략 일본 의 2배인 900kg/인 정도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향후 1인당 GDP 전망치에 따르 면 2010년 $22,847, 2020년 $31,209, 2030년

$39,977, 2040년 $48,801, 2050년 $61,863로 전망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총인구는 2019년까 지 증가하여 49,338천명을 나타내고 그 이후에 는 서서히 감소하여 2050년에는 42,343천명이 예상되고 있어, 2008년 인구보다 6,264천명 적 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우리 나라의 1인당 GDP와 1인당 시멘트 소비량과의 관계를 가지고 시멘트 수요를 예측하면 표 3.과 같이 점차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10)

〈표 3〉1인당 GDP와 1인당 시멘트 소비량으로 예측한 우리나라의 시멘트 내수량

[출전 : 통계청『장래인구추계』]

Global economics paper No. 188

년도 인구수(천명) 1인당 GDP($) 1인당 시멘트

소비량(톤/명)

시멘트 내수량(톤)

2010 48,875 22,847 1,040 50,830,000

2011 48,989 23,829 1,031 50,458,670

2012 49,083 24,854 1,022 50,064,660

2013 49,163 25,923 1,013 49,654,630

2014 49,227 27,037 1,004 49,227,000

2015 49,277 27,111 995 48,784,230

2016 49,312 28,277 986 48,325,760

2017 49,332 29,493 977 47,852,040

2018 49,340 30,761 968 47,366,400

2019 49,338 32,084 959 46,871,100

2020 49,326 31,209 950 46,366,440

2021 49,300 32,114 941 45,849,000

2022 49,263 33,045 932 45,321,960

2023 49,219 34,004 923 44,789,290

2024 49,168 34,990 914 44,251,200

2025 49,108 35,656 905 44,197,200

2026 49,039 36,690 900 44,135,100

2027 48,959 37,754 900 44,063,100

2028 48,866 38,849 900 43,979,400

2029 48,758 39,976 900 43,882,200

2030 48,635 39,977 900 43,771,500

2031 48,493 40,697 900 43,643,700

2032 48,333 41,429 900 43,499,700

2033 48,154 42,175 900 43,338,600

2034 47,954 42,934 900 43,158,600

2035 47,734 43,797 900 42,960,600

2036 47,494 44,585 900 42,744,600

2037 47,234 45,388 900 42,510,600

2038 46,954 46,205 900 42,258,600

2039 46,657 47,037 900 41,991,300

2040 46,343 48,801 900 41,708,700

2041 46,011 49,484 900 41,409,900

2042 45,663 50,177 900 41,096,700

2043 45,297 50,879 900 40,767,300

2044 44,917 51,592 900 40,425,300

2045 44,521 54,524 900 40,068,900

2046 44,111 55,287 900 39,699,900

2047 43,688 56,061 900 39,319,200

2048 43,251 56,846 900 38,925,900

2049 42,803 57,642 900 38,522,700

2050 42,343 61,863 900 38,108,700

건설생산기반 진단 및 대응

참조

관련 문서

Rail Truck Level for Water Spray 제어 우수 처리 시설의 수위 측정 및 운전 제어 오일 수위 및 유량 측정.. 시멘트 높이 측정

㉥ 재료분리:굵은 골재, 모르타르,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 트가 혼합되어 반죽상태인 콘크리트의 유동성 때문에 골고 루 섞이지 않는 현상으로 콘크리트의 수밀성 저하, 강도

그런데 물이 위로 뜨면서 혼자 올라오지 않고 시멘트 입자를 끌고 위로 올라오게 되는데, 이것이 블리딩된 물의 아래 쪽에 가라앉게 되며 레이턴스(laitance)라

 시멘트 입자의 크기 정도를 분말도 또는 비표면적으로 나타내며 시멘트의 입자가 미세할 수록 분말도가 크다.. • 물과

 제빙화학제에 노출된 콘크리트에 있어서 플라이 애쉬, 고로 슬래그 미분말 또는 실리카 흄 을 시멘트 재료의 일부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들 혼화재의 사용량은

그런데 물이 위로 뜨면서 혼자 올라오지 않고 시멘트 입자를 끌고 위로 올라오게 되는데, 이것이 블리딩된 물의 아래 쪽에 가라앉게 되며 레이턴스(laitance)라

• 골재의 표면이 거칠수록 부착력(골재와 시멘트 풀)이 좋기 때문에 일반적으 로 부순 돌을 사용한 경우가 강자갈을 사용한 경우보다 강도가

(Impermeable wall) In-situ 불투수성 재료 (흙, 시멘트 등)를 이용하여 오염지하수가 주변으로 이동 및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염지하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