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3. 6. 2. 5. 1. 4.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 3. 6. 2. 5. 1. 4."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범위 이차함수 점과좌표 : -

1.

1) 원점을 지나고 기울기가 양수 인 직선이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두 점 P, Q에서 만난다 두. 점 P, Q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 Q′이라 하자.

선분 PP′과 선분 QQ′의 길이의 차가 일 때, 의 값은?

①  ② ③

④  ⑤

2.

2)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이차함수 에 대하여 의 값은?

가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    이다.

( )   ,   

①   ②  ③ 

④   ⑤ 

3.

3)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가 축과 두 점 A  , B 에서 만날 때 실수, , 에 대하여  의 값은?

①   ② ③

④  ⑤

4.

4)   ≤  ≤ 에서 이차함수    의 최댓값이

일 때 실수, 의 값은?

①   ②   ③

④  ⑤ 

5.

5)   ≤  ≤ 일 때 이차함수,    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각각 , 이라 할 때, 의 값은?

①  ②  ③

④  ⑤ 

6.

6 ) 사차방정식   의 한 근을 라 할 때, 보기 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 ? ( ,  는 의

켤레 복소수이다.)

.

ㄱ  이다.

.

ㄴ    일 때,    이다.

.

ㄷ  이 음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값이 존재하며 그때의,

 의 값은  

이다.

보 기

[ ]

① ㄱ ② ㄴ ③ ㄷ

④ㄱ ㄷ, ⑤ㄱ ㄴ ㄷ, ,

(2)

7.

7)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m인 정육각형 모양의 꽃밭이 있고 꽃밭의 둘레에 폭이,

 m로 일정한 길을 만들려고 한다 길의 넓이가. 

 m이하가 되도록 하는 모든 자연수 의 값의 합은? (단 길의 폭은, m보다 넓다.)

①  ② ③

④  ⑤

8.

8) 연립부등식        의 해가 없을 때 실수,

의 값의 범위를 바르게 구한 것은?

①  ≤  또는    ②  ≤  또는  ≥ 

③    또는    ④    또는  ≥ 

⑤    또는   

9.

9) 다음 에 대한 연립이차방정식이 정수인 해를 가질 때, 정수 의 값은?

     

      

①   ②  ③

④  ⑤

10.

1 0) 연립부등식

     

    에 대하여 보기 중[ ]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 , 는   인 실수이고,단

 ≠이다.)

.

ㄱ   이면 연립부등식의 해는 항상 존재한다.

.

ㄴ   이고 연립부등식의 해가 존재하면

  이다.

.

ㄷ   이고 연립부등식의 해가 존재하면

      또는     이다.

보 기

[ ]

① ㄴ ②ㄱ ㄴ, ③ㄱ ㄷ,

④ㄴ ㄷ, ⑤ㄱ ㄴ ㄷ, ,

11.

11) 실수 에 대한 부등식   ≤   에 대하여 보기 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 ? ( , , 는

상수이다.)

ㄱ   일 때 부등식의 해는. ,  ≤   이다.

.

ㄴ   일 때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정수 의 개수는 개다.

.

ㄷ   ≤  ≤ 일 때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의 값은 항상 존재한다.

보 기

[ ]

① ㄱ ② ㄴ ③ㄱ ㄷ,

④ㄴ ㄷ, ⑤ㄱ ㄴ ㄷ, ,

(3)

12.

1 2)  ≥ 인 실수 에 대하여 연립부등식

       가 항상 성립하고 이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음의 정수 의 값이 개가 되기 위한 실수 의 값의 범위에 대하여 정수 의 개수는?

①  ② ③

④  ⑤

13.

1 3) 에 대한 이차부등식      ≤ 의 해가

 ≤  ≤ 이다 두 실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 )  는 자연수이다.

( )  ≤  ≤ 를 만족하는 정수 의 개수는 이다.

①  ② ③

④  ⑤

14.

1 4) 세 점 A  , B

 

, C

 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의 외접원과 내접원의 넓이의 차는?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15.

15) 레이저 빛을 거울에 비추면 반사 법칙에 따라 입사각과 같은 각도로 반사한다 다음 그림은 가로의 길이. , 세로의 길이가 각각 m, m이고 벽면이 거울인 방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낸 것이다 점.   에서 레이저 빛을 쏘아 점  에서 반사시킨 후 점    점,  를 지나 점  에 다다르게 할 때,   의 값은?

②  ②  ③

④  ⑤ 

16.

16) 이차함수 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을 A,

축과 만나는 점을 B라 하고 이때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 이 축과 만나는 점을 C라 하자 삼각형. OAC의 넓이가 삼각형 OAB의 넓이의 배일 때 양의 실수, 의 값은?

( , O는 원점이다.)

① 

 ② 

 ③ 

④ 

 ⑤ 

(4)

17.

1 7) 직선      위의 점 A 직선,

     위의 점 B 두 직선의 교점, P 에 대하여 선분 PA와 선분 PB를   으로 외분하는 점을 각각 C, D라 한다.

직선 BC와 직선 AD의 교점 Q에 대하여    일 때,

의 값은? (단,   ,   )

①  ② ③

④ ⑤

주관식

18.

18 ) 실수 에 대하여  ≤  ≤   일 때 함수,

   의 최댓값을 라고 하자 방정식.  의 두 실근을 , 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19.

1 9) 에 대한 연립부등식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가 이 되도록 하는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이 성립하도록 하는 정수

의 개수를 구하시오. (단,  ≤  ≤  

 )

20.

20) 에 대한 삼차방정식      이 서로 다른 세 정수를 근으로 갖는다 두 정수.  가 ≤ ,

≤ 일 때 순서쌍,  의 개수를 구하시오.

21.

21) 두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의 최솟값을 이라 할 때, 의 값을 구하시오.

(5)

빠른정답

(6)

정답 및 풀이

1) ⑤

원점을 지나는 기울기가 인 직선을

  라고 하자.

함수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의 교점의

좌표는 방정식      의 두 근이다.

방정식      의 두 근을 ,  (   라) 하면    

,   

이다.

P , Q 

PP ′ , QQ ′ 

QQ ′ PP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2) ③

가 에 의하여 함수

( ) 의 그래프는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다.

   라 하자.

나 에 의해

( )    ,    이고 두 식을 연립하면   ,   이다.

그러므로    이고   

3) ②

    의 두 근이   이므로 두 근의 곱:    ,   

두 근의 합:        그러므로   

4) ②

       

  ≤  ≤ 에서   일 때 최댓값을 가지므로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5) ①

   에서     이므로 함수   는 범위   ≤  ≤ 에서

  일 때 최솟값  을 갖고

  일 때 최댓값 이다.

즉,   ,   

그러므로   

6) ①

  

  

  

     

ㄱ 는 방정식 .      또는     의 근이므로 두 가지 경우 모두  이다. ( )참

.

ㄴ    이면 는 방정식     의 한 근이다.

   의 양변에 를 곱하면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따라서       이다. (거짓) .

ㄷ 가 방정식     의 근이면

   이다.

  

 

이므로

  이 음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가

  

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때   의 값은  

이다.

같은 방법으로 가 방정식     의 근이면     이다.

  

 

이므로  이 음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가   

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때   의 값은 역시  

이다.

거짓 ( )

그러므로 참인 것은 ㄱ이다.

7) ②

다음 그림과 같이 정육각형의 중심을 O, 각 꼭짓점을 A~F라 하자.

정육각형이므로 삼각형 OAB와 삼각형 OCD는 정삼각형이다.

(7)

OE는 삼각형 OAB의 높이이므로



×  

 이고

OF 

 

   

 이다.

∆OCF는 직각삼각형이고 ∠OCF  이므로

OC  OF   

OC   

   

∴ OC   

따라서 바깥 정육각형의 넓이는

∆OCD   × 

×  

  이고 작은 정육각형의 넓이는

∆OAB   × 

× 

 이다.

따라서 길의 넓이에 대해

∆OCD  ∆OAB  

 x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이때 길이의 폭은  보다 넓으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 는 , 이다.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자연수의 합은 

8) ②

부등식     에서     부등식     에서    이다.

i    일 때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연립부등식의 해가 없으므로  

 ≤  

 에서

 ≤ 이다.

∴   

ii      일 때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연립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iii    일 때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연립부등식의 해가 없으므로  

 ≤  

 에서

 ≥ 이다.

∴  ≥ 

iv   일 때

부등식    에서   는 거짓이므로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립부등식의 해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성립한다.

v   일 때

부등식    에서   는 참이므로 부등식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따라서 연립방정식의 해가 존재하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i ~v에서 연립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의 값의 범위는  ≤  또는  ≥ 

9) ④

주어진 연립이차방정식의 정수인 해를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을 하면

     

∴   

 

    

이 정수이려면  의 값이 ± ±일 때이다.

   일 때,   

   일 때,   

   일 때,   

   일 때,   

그러므로 정수 의 값은 

10) ④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ㄱ   이면     이다.

반례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또는    이므로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

ㄴ   일 때 해가 존재하려면,

      이거나       이다.

따라서  이다.

.

ㄷ   일 때 해가 존재하려면,

      이거나       이므로

      또는     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 이다.

11) ④

(8)

.

ㄱ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일 때   ≤  ≤  ∴거짓 .

ㄴ   일 때

  ≤   

    ≤ 을 만족하는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     의 판별식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정수 의 개수는 개다. ∴참 .

ㄷ   ≤   

    ≤ 을 만족하는 실근이 존재하려면

     의 판별식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이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성립하려면

   의 판별식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  ≤  ∴참

그러므로 보기에서 참인 것은 ㄴ ㄷ, 이다.

12) ②

 ≥ 인 실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이 항상 성립하려면

   이어야 한다.

    

∴   또는   

 ≥ 인 실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이 항상 성립하려면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또는   

⋯ ㉠

에서

㉠     의 해는 모든 실수이므로 연립부등식

      의 해는      이다.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음의 정수 의 값이

개이려면   ≤ 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 ㉡에서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정수는

개다.

13) ③



 

 

에서       

   또는   이므로 범위를 나누어 구하면

i   ≤  ≤ 일 때

     ≤ 의 해는



 

≤  ≤ 

이다.



의 값이 자연수이면



 

 

 

   

   ±

 성립하지 않는다.



의 값이 자연수가 아닐 때



 

 

 

   

     

  이면,  ≤  ≤ 이므로 조건 나 를( ) 만족하지 않는다.

  이면,  

≤  ≤ 

이므로 조건 나 를( )

만족한다.

ii     또는   일 때

     ≤ 의 해는



≤  ≤ 

 

이다.



 

의 값이 자연수일 때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이므로 자연수가

아니다..

  일 때, 

 

 

  

 이므로 성립한다.



 

의 값이 자연수가 아닐 때

(9)



 

 

 

    

   ±

 성립한다.

따라서 모든 의 값의 합은 

14) ②

선분 AB의 기울기는  

,

선분 BC의 기울기는 이므로 선분 AB와 선분 BC는 수직이다.

따라서 선분 AC는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지름이다.

AC

  

  

 이므로

외접원의 반지름은 

 이다.

따라서 외접원의 넓이는 

이다.

AB

  

  

, BC=

    

 삼각형 ABC의 내심에서 세 변 AB, BC, CA에 내린 수선의 발을 D, E, F라고 하면

AD AF, BD BE, CE CF이다.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을 라고 하면

BD BE 이다.

AD AF 

 , CE CF 

  

AC AF CF이므로



 

  

  에서   

 이다.

그러므로 내접원의 넓이는 



∴ 

  

  



15) ③

다음 그림과 같이 P  , Q  , R , S 이라 하자.

∆PCA ∆QCD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PCA ∆RED이므로         

     ⋯ ㉡

∆PCA ∆SEB이므로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16) ②

     이므로

꼭짓점 A의 좌표는 A    이고

절편 점 B의 좌표는   이다.

삼각형 OAC의 넓이가 삼각형 OAB의 넓이의

배이므로 CA  AB    이다.

또한 직선 은 점 A  B를 지나는 직선이므로

기울기는 

  

 이고 직선 의 방정식은    이다.

따라서 점 C의 좌표는    이다.

점 A는 선분 CB를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17) ①

두 직선     ,      의 교점은

  

P  와 A  를    으로 외분하는 점 C 는

  

 

   

  

      

P  와 B 를    으로 외분하는 점 D 는

  

  

   

 

      

(10)

따라서 AB  DC    이고 AB 와 DC가 평행하므로 QA QD  QB  QC     점B는 선분 QC 의 중점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이므로    

그러므로   

18) 

        

i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ii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19) 

       ≤  에서

 ≤  ≤     또는     이다.

 ≤  ≤  

 이므로 부등식의 해는

 ≤    이다.

이를 만족하는 정수가 개이므로     ≤  즉, 

  ≤ 이다.



  ≤ 에서 부등식    이 항상

성립하려면    라 할 때

  이다.

i   

 ≤ 

 ≥ 



일 때

    이려면 

≥ 이다.

 × 

× 

 ≥ 이므로

       ≤ 

즉,   ≤  ≤ 이고 정수의 개수는 개다.

ii  

 

 ≤ 

 

≤   



일 때

 



 이다.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이므로

만족하는 실수 는 존재하지 않는다.

iii   

  

  



일 때

  이므로    

즉,         이므로

 

   

만족하는 실수 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정수 의 개수는 개

20) 

     

  

   

 

이므로 방정식의 세 근을    라 하자.

  이고    

 

   

이다.

i      일 때

    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고

순서쌍  는 총 쌍이다.

ii        일 때

     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

이고

순서쌍  는 총 쌍이다.

iii       일 때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고

순서쌍  는 총 쌍이다.

iv        일 때

     

이므로



   

 ⋯  

이고

순서쌍  는 총 쌍이다.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순서쌍  는 개

2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P , A   , B 라고 하자.

(11)

 

  

   

 AP BP  ≥

 AB

AB

   

 이므로 최솟값은

 

 ×

  

 이므로

 

참조

관련 문서

http://blog.naver.com/op2330

*단어 사이의 공통성과

약국은 당초 수집 목적과 합리적으로 관련된 범위에서 정보주체에게 불이익이 발생하는지 여부,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등을

동결방지 조치를 취하여 등을 사용하여 적절한 우려가 있는 곳은 보온재 드레인 호스 설치시 동결.

[r]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

15) 세광음악출판사

Pol y(2, 3, 4, 5-tetraphenyl )si l ol es (1 1 1, so cal l ed pol ysi l ol e, PTPS) shown i n Scheme1possessboth 2, 3, 4, 5-tetraphenyl -1-si l acycl openta- 2, 4-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