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아 피질골성 과골증의 재발 - 증례 보고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영아 피질골성 과골증의 재발 - 증례 보고 -"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49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제 36 권 제 5 호 2001

J. of Korean Orthop. Assoc. 2001; 36: 493-6

영아 피질골성 과골증(Caffey 질환)은 연부 조직의 종창, 피질골의 비후와 과잉 흥분성을 특징으로 영아기에 나타나는 원 인 미상의 자기 한정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생후 3일째 영아 피질골성 과골증으로 입원치료한 병력이 있는 16 개월 된 여아의 원인 미상의 피질골의 비후 및 연부 조직 종창을 영아 피질골성 과골증의 재발로 진단하고 보존적 치료로 써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과거력상 영아 피질골성 비후증의 병력이 있다면 원인 미상의 피질골 비후에 대해 영아 피 질골성 과골증의 재발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색인 단어 : 영아 피질골성 과골증, 재발

493

영아 피질골성 과골증의 재발

- 증례 보고 -

김성수∙김철홍∙신상화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영아 피질골성 과골증(Caffey 질환)은 재발이나 변형을 동반 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되어 있다. 저자들은 과거력상 영아 피질골 과골증의 병력을 가지는 16개월 된 여아에서 경골 골간 부에 국한된 재발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보고

16개월 된 여아로 외상이나 감염의 병력 없이 갑작스러운 좌 측 하퇴부의 동통을 주소로 내원 하였다. 출생력과 가족력상 특 이 소견은 없었으나, 과거력상 생후 10일째 우측 하퇴부의 종창 으로 입원하여 영아 피질골성 과골증 진단하에 치료받은 병력이 있었다.

생후 3일째 입원당시 과흥분성 및 우측 하퇴부의 압통이 동반 되어 있었고, 체온은 38.5℃였고 당시 방사선 소견 상 우측 경 골 및 양측 하악골의 피질골 비후 소견을 보였다(Fig. 1A). 일 반 혈액 검사(CBC) 및 적혈구 침강 속도(ESR)는 정상이었다.

매독 검사 및 혈액 배양 검사는 음성이었고, 단지 alkaline phosphatase 수치만 738 IU/L로 증가되어 있었다. 이상의 소 견을 종합하여 영아 피질골성 과골증으로 진단 후 보존적 치료

및 주기적 방사선 관찰만 시행하였다. 임상적인 증상은 생후 3 개월부터 점차적으로 소멸하였으나, 방사선 소견상 피질골의 비 후는 좌측 경골, 양측 대퇴골 및 양측 상완골로 확산되는 소견 을 보였고(Fig. 1B), 생후 4개월에 임상적 증상은 완전히 소멸 되었으며, 생후 8개월에 외래 방문시 촬영한 방사선 소견상 양 측 대퇴골의 골막반응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Fig. 2).

생후 16개월에 2일전부터 좌측 하퇴부의 동통이 발생하여 내 원 하였을 때는 상기도 감염이 동반되어 있었고, 체온은 38.5

℃였다. 이학적 검사상 전신상태는 양호하였으며, 좌측 하퇴부

493 493 통신저자 : 김 성 수

부산시 서구 동대신동 3-1 동아대병원 정형외과

TEL: 051-240-5166∙FAX: 051-254-6757 E-mail: sskim2@mail.donga.ac.kr

Fig. 1.(A) At the age of 10 days, radiograph shows considerable hyperostosis of right tibia. (B) At the age of 3 months, radiograph shows spreading of hyperostosis to left tibia and both femora.

A B

3 MON

INTIAL INTIAL

10D

(2)

의 근위 전방에 경미한 국소 종창, 홍조 및 압통이 있었다. 방사 선 소견 상 좌측 경골의 근위 골간에 골막 반응이 관찰되었으며, 골수강 확장과 전방 각 변형이 관찰되었으나(Fig. 3), 피질골과 수질골의 이상 소견은 없었다. 전신 동위원소 골 주사에서 좌측 경골 골간의 흡수 증가가 나타났으며(Fig. 4),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수치(WBC)는 11,000/ L, 혈침 속도(ESR)는 6 mm/hr, C 반응성 단백(CRP)은 음성이었으며, alkaline phos-

phatase 만 926 IU/L로 증가되어 있었다. 처음 입원 당시 급성 골수염으로 진단하여 수일간 부목 고정을 하고 항생제를 투여하 였으나, 혈액 배양 검사상 음성과 임상 증상의 소실을 보고, 영 아 피질골성 과골증 재발로 진단 후에는 모든 약을 끊고 증상의 소멸을 보여 입원 후 12일만에 퇴원하였다. 퇴원시 방사선 사진 상 좌측 경골 근위 골간의 골막 반응은 증가 되었으나 골간단부 와 피질골의 천공이나 골흡수 소견은 없었다(Fig. 5).

494 김성수∙김철홍∙신상화

Fig. 2. At the age of 8 months, radiograph shows general remission of hyperostosis.

Fig. 3.The radiograph shows focal perio- steal reaction of anterolateral tibia and wi- dening of medullary cavity in left tibia at that time diagnosed as recurrence.

Fig. 4. The Tc99mbone scan shows diffuse uptake, centered on the diaphysis without metaphyseal extension in left tibia at rec- urence.

8 MON

16 MO

Fig. 5. During conservative treatment for recurrence, radiograph shows increased periosteal reaction in the diaphysis of left tibia without osteolytic lesion and involve- ment of the metaphysis.

Fig. 6. Two months follow up after recur- rence, radiograph shows complete reso- lution of periosteal reaction in left tibia.

Fig. 7. At the final follow up, 6 years old age, radiograph of both lower leg shows no evidence of abnormality.

16.5 MO

18 MO

6 yr

(3)

생후 18개월에 방사선 사진상 골막 반응의 소실을 볼 수 있었 고(Fig. 6), 생후 5세까지 양측 경골의 골수강 확장 및 경도의 전방 만곡을 관찰할 수 있었지만, 생후 6세까지 추시 관찰에서 재발은 없었으며 양측 경골이 정상화되었다(Fig. 7).

고 찰

영아 피질골성 비후증은 1945년 Caffey와 Silverman4)이 4예 를 처음 보고한 이후로 일명 Caffey 병으로 불리면서 많은 보 고가 있었다.

호발연령은 6개월 이전의 유아에서 발생하여 3세 이전에 대 부분의 방사선적인 변화는 소실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4), Pajewski와 Vure10)는 청소년기까지도 방사선적 변화의 잔존을 보고하고 있고, Caffey5)에 의하면 말기 합병증으로 요-척골의 골 결합, 경-비골의 골 결합, 안면 비대칭, 장골의 각 변형 등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Pajewski와 Vure10)는 골수강의 확장과 경골의 전방 각 형성은 성장이 끝난 이후에도 지속되는 경우를 보고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사선 소견이 관해와 재발이 있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증례도 최초 발병은 생후 3일째 였고, 임상 증상은 생후 4개월에 소실 되었으며, 생후 8개월에 피질골의 비후는 감소 되었으나 얇은 피질골, 골수강의 확장과 경골의 전방 각 형성은 5세까지 지속되었다.

임상 경과에서 Hatori 등8)은 후향적 방사선 연구를 통해 임 상적 증상의 발현 1개월 전에 이미 피질골의 비후와 alkaline phosphatse의 상승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반면 Finsterbush와 Rang7)은 과흥분성과 연부조직 종창이 방사선적 변화 이전에 나타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증례는 최초 발생 시 및 재발 시 모두 증상 발현 후 방사선 검사 및 혈액검사가 이루어져 임상 증상과 검사간의 선행여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지만 두 경우 모두 alkaline phosphatase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형이나 후유증을 동반하지 않는 영아 피질골성 비후증의 활 동성 재발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3,6,10,12). 피질골의 비후가 관찰되는 질환은 다발성 병변의 경우 괴혈병, 구루병, 매독 및 비타민 A 과섭취증을 생각할 수 있고, 국소적 병변의 경우 급 성 화농성 골수염, 외상 및 종양과 감별하여야 한다. 이중 괴혈 병 및 구루병은 발병기, 혈청내 전해질 및 비타민 농도로 감별 이 가능하고, 선천성 매독도 혈청 반응(VDRL) 및 임신 전후 부모의 과거력 및 방사선 소견으로 감별할 수 있다. 비타민 A 과섭취증은 나이 및 병력으로, 화농성 관절염은 검사소견 및 발 병 형태로 감별할 수 있다5,11). 본 증례는 생후 4개월에 모든 증 상의 소실을 보였고, 생후 8개월에 피질골 비후의 감소를 보였 기 때문에, 생후 16개월의 좌측 하퇴부의 종창, 동통 및 방사선 소견상의 골막 비후로 내원 하였을 때는 급성 감염성 질환의 병 변으로 판단하고 치료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좌측 경골부의 병 변과 발열 반응을 제외하고는 임상 증상의 호전과 반복적으로

시행한 모든 염증 반응검사가 정상 범위였고, 방사선 검사상 골 간단은 침범하지 않고, 골막 반응은 심한데 비하여 피질골의 파 괴나 골흡수 소견은 전혀 없었던 점으로 보아 골수염을 배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물론 영아기 피질골성 비후증과 동 반된 골수염의 보고도 있지만2), 심한 임상 증상, 혈액 검사상 미숙한 백혈구 출현, 염증 반응 검사, 혈액 배양 검사, 전신 동 위 원소 골주사 검사와 방사선 사진상 골간단부의 침범 및 골 파괴 병변이 동반되는 것을 가지고 감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단순 방사선 소견에서 영아기 피질골성 비후증의 경우 대부분 골간부에 발생하며, 드물게는 골간단부에도 발생하나 골단부에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4,9). Blasier와 Aroson2)은 급성 화농성 골수염의 경우 전신 동위원소 골주사에 서 대부분 국소적인 골간단부의 이상이며, 영아 피질골성 비후 증의 경우는 대부분 골간부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이상이 있으며 골간단부는 잘 침범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영아 피질골성 비후증의 재발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았으며, Pajewski와 Vure10)가 1967년 최초로 보고한 이후 몇몇 저자

1,3,6,10,12,13)에 의해 추가적인 보고가 있었다. 특히 Borochowitz

3)은 골 생검상 재발된 영아 피질골성 비후증으로 진단하고, 최초 발생 후 증상이 완전히 소멸된 뒤의 재발이 지극히 드물다 고 하였다. Taji-Elden과 Al-Jawad13)는 생후 4개월에 처음 발 생한 후 19세까지 관해와 재발을 반복하는 증례를 보고하였다.

이 예에서 최초에는 스테로이드 투여로써 관해와 재발 사이의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었으나 14세 이후에는 스테로이드 투여에 반응하지 않았다고 하며, 조직 생검과 혈액 검사 소견 상 특이 점은 없었다고 한다.

영아 피질골성 비후증은 Caffey의 보고 후 비교적 많은 연구 와 임상적 경험을 통해 환자의 발생 시 진단에 어려움은 없으나 증상 및 방사선적 소견이 완전한 소멸된 뒤 일정 기간 경과 후 발생하는, 설명하기 어려운 피질골의 비후나 연부조직의 종창은 쉽게 진단에 접근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많은 예에서 이런 경우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진단되어 치료되지 않았을까 하는 가정과 함께 과거력상 영아 피질골성 비후증의 병력이 있 다면 우선적으로 재발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또 한 성장 장애나 각 변형에 대한 것은 장기간 추시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Blank E:Recurrent Caffey’s cortical hyperostosis and persistent deformi- ty. Pediatrics, 55: 856-860, 1975.

2. Blasier RB and Aronson DD: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with osteomyelitis of the humerus. J Pediatr Orthop, 5: 222-224, 1985.

3. Borochwitz Z, Gozal D, Misselevitch I, Aunallah J and Boss JH:

Familial Caffey’s disease and late recurrence in a child. Clinical Genetics,

영아 피질골성 과골증의 재발 495

(4)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Caffey’s disease) is considered to be a benign self- limiting dis- ease of uncertain etiology that appears in early infancy. A 16 month old girl, who had an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after her birth, was admitted because of irritability and a painful swelling of her leg and a cortical thickening in her left tibia. We diagnosed this as being a recurrence of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according to clincal and radiologic findings. Recurrence of cortical thickening in patient with a history of Caffey’s disease may be suspected in the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disorder.

Key Words :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Recurrence

Recurrence of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 A Case Report -

Sung Soo Kim, M.D., Chul Hong Kim, M.D., and Sang Howa Shin,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Pusan, Korea

Abstract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ung Soo Kim,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ong-A University Hospital 3-1, Dongdaesin-dong, Seo-gu, Pusan 602-715, Korea Tel : +82.51-240-5166, Fax : +82.51-254-6757 E-mail: sskim2@mail.donga.ac.kr

40: 329-335, 1991.

4. Caffey J and Silverman WA: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es. Prelimi- nary report on new syndrome. Am J Roentgenol & Rad Therapy, 54: 1- 16, 1945.

5. Caffey J: On some late skeletal changes in chronic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Radiology, 59: 650-657, 1952.

6. Drinkwater BM, Crino JP, Garcia J, Ogburn J and Hecht JT:

Recurrent severe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Caffey’s disease) in sib- lings. Prenatal Diagnosis, 17-8: 773 -776, 1997.

7. Finsterbush A and Rang M: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Follow-up of 29 cases. Acta Orthop Scand, 46: 727-736, 1975.

8. Hatori M, Kondo Y and Kokubun S: Radiological and laboratory fea- tures of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International Orthopaedics

(SICOT), 22: 272-274, 1998.

9. Leung VC and Lee KE: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with intrame- dullary lesions. J Pediatr Orthop, 5: 354-357, 1985.

10. Pajewski M and Vure E:Late manifestations of infantile cortical hyper- ostosis (Caffey’s disease). Br J Radiol, 40: 90-95, 1967.

11. Sidbury JR and Sidbury JB: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An inquiry into the etiology and pathogenesis. New Eng J Med, 250: 309, 1954.

12. Swerdloff BA, Ozonoff MB and Gyepes MT: Late recurrence of infantile cortical hyperostosis (Caffey’s disease). Am J Roentgenol Radium Ther Nucl Med, 108-3: 461-467, 1970.

13. Taj-Eldin S and Al-Jawad J:Cortical hyperostosis. Infantile and juve- nile manifestations in a boy. Arch Dis Child, 46: 565, 1971.

496 김성수∙김철홍∙신상화

수치

Fig. 1. (A) At the age of 10 days, radiograph shows considerable hyperostosis of right tibia
Fig. 2. At the age of 8 months, radiograph shows general remission of hyperostosis.

참조

관련 문서

다음 반응은 자발적으로 일어나는가?... 다음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foreign policy triumphs with China and the Soviet Union and the administration’s announcement that peace “is at hand” in Vietnam helped reelect Nixo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thical dilemma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age, economic status and satisfaction of

First, in the difference in Taekwondo image, Taekwondo loyalty, and memorial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nationality,

(C-D) The hip anteri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 shows bone ingrowth without subsidence or osteolysis after 62 months follow up aft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PS and ionomers as function of the weight percentage of glycerol in the polymer, measured at 1 Hz.... 상 분리가 일어나는

해부학적 정복을 얻기 위한 근위 경골 골절의 골수정내 삽입술시 적절한 도입부 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Al ms 1) 는 외측 경골극의 외측부를,Chapman 5) 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