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선대학교 대학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조선대학교 대학원"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1 2 박사학위논문

다양한 표피종양에서 syndecan-1, 발현에 E-cadherin, beta-catenin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 학 과

신 봉 석

(2)

다양한 표피종양에서 syndecan-1, 발현에 E-cadherin, beta-catenin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for Syndecan-1, E-cadherin, and Beta-catenin Expression in Various Epidermal Tumors

2011 2 25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 학 과

신 봉 석

(3)

다양한 표피종양에서 syndecan-1, 발현에 E-cadherin, beta-catenin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지도교수 최 규 철

이 논문을 의학 박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0 10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 학 과

신 봉 석

(4)

신봉석의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기 근 홍 印

위원 조선대학교 조교수 김 종 규 印

위원 조선대학교 조교수 김 선 표 印

위원 조선대학교 조교수 김 대 현 印

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최 규 철 印

2010 12

조선대학교 대학원

(5)

목 차

표목차 도목차 ABSTRACT

서 론

I. ……… 1

대상 및 방법

II. ……… 3

대 상 A.

방 법 B.

결 과

III. ……… 4

염색 결과 A. Syndecan-1

염색 결과 B. E-cadherin

염색 결과 C. β-catenin

고 찰

IV. ……… 5

결 론

V. ……… 9

참고문헌 ……… 10

그림설명 ……… 17

(6)

표 목 차

Table 1. Expression of syndecan-1 in various epidermal tumor

14

………

Table 2. Expression of E-cadherin in various epidermal tumor

15

………

Table 3. Expression of β-catenin in various epidermal tumor

16

………

(7)

도 목 차

Figure 1. Normal epidermis. A) syndecan-1 B) E-cadherin C) β-catenin

18

………

Figure 2. Seborrheic keratosis. A) syndecan-1 B) E-cadherin C) β-catenin

18

………

Figure 3. Actinic keratosis. A) syndecan-1 B) E-cadherin C) β-catenin

18

………

Figure 4. Bowen’s disease. A) syndecan-1 B) E-cadherin C) β-catenin

18

………

Figure 5. Keratoacanthoma. A) syndecan-1 B) E-cadherin C) β-catenin

19

………

(8)

Figure 6. Poor-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A) syndecan-1 B) E-cadherin C) β-catenin

19

………

Figure 7. Acantholytic squamous cell carcinoma.

A) syndecan-1 B) E-cadherin C) β-catenin

19

………

(9)

ABSTRACT

Immunohistochemical Study for Syndecan-1, E-cadherin, and Beta-catenin Expression in Various Epidermal Tumors

Shin Bong Seok

Advisor : Prof. Choi Kyu Chul, M.D., Ph.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Background: Syndecan-1, E-cadherin, and beta-catenin are cell adhesion molecules which are expressed primarily on the surface of adult epithelial cells. Their expression have been appeared to be inversely correlated with tumor aggressiveness and invasivenes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syndecan-1, E-cadherin, and beta-catenin in tissue sections of normal sun-damaged skin, cutaneous premalignant lesions,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all stages of the evoluation associated sun exposure.

Methods: Five normal skins in the patients with the actinic keratosis, 10 cases of seborrheic keratosis, 5 cases of actinic keratosis, 5 cases of Bowen's disease, 5 cases of keratoacanthoma without dysplatic cells, 5 cases of keratoacanthoma with dysplastic cells in invasive margin, 5 cases of poor-differentiated squqmous cell carcinoma, and 5 cases of acantholytic squamous cell carcinoma were investigated. Specimens were assessed for syndecan-1, E-cadherin, and beta-catenin expression using a semi-quantitative method in which intensity of membranous staining was evaluated.

Result: In almost cases the expression of the E-cadherin and beta-catenin

(10)

was very similar. These adhesion molecules were progressively reduced in the epidermis of normal sun-damaged skin through premalignant lesions (actinic keratosis and Bowen’s disease) to squamous cell carcinoma. Also, the expression of syndecan-1 was similar to the E-cadherin and beta-catenin expression except for normal expression in premalignant lesions. But, all three adhesion molecules diminished with decreasing cell differenti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yndecan-1, E-cadherin, and beta-catenin is expressed similarly in the epithelium, and that the decreased expression of these adhesion molecules is associated with malignant transformation.

(11)

1 서 론 I.

은 핵심 단백질 에 글리코사미노글리칸

Syndecan (core protein)

일종인 가 연결되어 있는 세포막 프로테오글

(glycosaminoglycan) heparan sulfate

리칸(proteoglycan)이다. 이들은 세포와 세포 그리고 세포와 세포외 바탕질

을 부착시키고 바탕질에 있는 아교질 섬유결합소

(extracellular matrix) , ,

등의 다양한 성 (fibronectin), thrombospondi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장인자와 분자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정상세포의 구조, 분화, 성장, 그리고 이동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1,2. Syndecan에는 4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 중 syndecan-1이 가장 많이 연구되어 왔으며, 각질형성세포와 여러 상피세포에서 풍부하게 발현된 다1. 상처 회복동안 syndecan-1과 4는 진피와 육아 조직에서 높게 발현되며, 반대 로 악성 변환에서는 syndecan-1 발현이 표피에서 감소되고 이는 악성종양의 조직 학적 분화도와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6. 그러므로 최근 syndecan은 세포 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프로테오글리칸으로 많은 관심을 받아 오고 있다.

은 칼슘의존성 당단백질로 상피세포에서 세포간 부착에 중요한 역할 E-cadherin

을 하며, β-catenin은 E-cadherin의 세포내 영역과 결합되어 부착 복합체를 형성 하는 단백질이다. E-cadherin/ β-catenin복합체 역시 세포간 결합을 통한 상피의 구조적 안정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며, 이 복합체의 발현 감소는 종양세포의 침입과 전이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과 의 발현은 함께 조절되며 과

Syndecan-1 E-cadherin , Syndecan

복합체는 세포 부착 분자들로 세포의 악성 변환에 대한 E-cadherin/beta-catenin

예측인자들로 생각되어 지고 있다9. 표피의 각질형성세포에서 기원한 대부분의 피 부종양은 자외선이 그 발생에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며, 다양한 양성, 전암성, 그리고 악성 종양이 있다.

지루각화증은 피부의 흔한 양성 종양으로 그 원인이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지 만, 노출부위에 주로 노인에서 발생하는 것과 관련하여 햇빛 노출이 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대표적인 암전구증으로 광선각화증과 Bowen 병이 있으며, 이들은 편평세포암과 달리 비정형 세포가 기저세포막을 투과하지 않는다. 광선각화증은 대부분 노인의 햇빛 노출부위에 발생한 반면, Bowen 병은 햇빛 노출부 뿐만 아니 라 비소 섭취나 바이러스, 그리고 방사선치료와 관련되어 비노출부위에도 발생하

(12)

2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질가시세포종의 유일한 발생 유발인자는 없지만, 대부 분 노출부위에 발생하므로 자외선이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 빠른 성장과 저절로 퇴축되는 특징 때문에 양성 종양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엔 잘 분화된 편 평세포암의 한 아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가시세포분리(acantholytic) 편평세포 암은 노인의 햇빛 손상 부위에 주로 발생하며, 여러 편평세포암의 아형 중에서 특 히 광선각화증이 진행되어 자주 발생하는 형태이다. 최근에는 높은 전이와 재발율 로 예후가 좋지 않은 아형으로 알려져 있다10. 아직까지의 연구는 개별적 세포부착 분자에 대해 이루어져 왔으며, 자외선과 관련된 연속선상의 질환들에 대해서는 이 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저자는 햇빛의 노출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연속선상에 있는 질환인 양성종 양의 지루각화증, 암전구증의 광선각화증과 Bowen 병, 그리고 악성종양의 각질가 시세포종과 가시세포분리 편평세포암에서 syndecan-1, E-cadherin, β-catenin 발 현 양상을 각각 비교하고, 또한 광선각화증이 있는 노인의 정상 햇빛 노출 부위에 서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검사 방법으로 조사하여 이들이 피부의 표피종양 발생과 의 연관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13)

3

연구대상 및 방법 II.

연구 대상 A.

조선대학교병원 피부과에 내원하여 외과적 절제와 피부 생검으로 얻은 표본은 포르말린에 고정되고 파라핀에 포맷되어 보관된 조직들이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지루각화증 10 ,예 광선각화증 5 , Bowen예 병 5예, 형성이상세포가 포함된 것과 그렇지 않은 각질가시세포종 각각 5 ,예 불완전하게 분화된 편평세포암 5 ,예 가시세포분리 편평세포암 5 ,예 그리고 광선각화증이 있는 노인의 정상 햇빛 노출 부위에서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5 .

연구 방법 B.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1.

사용된 일차 항체는 mouse anti-human CD138(anti-syndecan-1, MI15, DAKO, Denmark), mouse anti-human E-cadherin(G-10: sc8426,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USA), mouse anti-human β-catenin(E-5: sc-7963, Santa 단클론항체로서 염색에 이용된 희석 비율은 각각 Cruz Biotechnology, Inc., USA)

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은 염

1:25, 1:50, 1:50 . ABC(avidin-biotin complex) 색법을 이용하였다. 5 mμ 두께의 파라핀 절편을 탈파라핀과 함수과정을 거친 다 음, 조직 중의 항원을 노출(unmasking)시키기 위하여 95℃의 항원복구용액(Dako 에 분 동안 처리하였으며 과산화수소에 분 동안 전 처리하였

A/S. Denmark) 5 , 3% 30

다. 일차 항체인 syndecan-1, E-cadherin, β-catenin은 각각 실온에서 3시간 반 응시켰으며, biotinylated horse anti-mouse IgG(Vector, CA, USA)에 30분간, 그 리고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1:200 in PBS, Vector, CA, USA)에 30분 간 반응시킨 후 3-3-diaminobenzidine으로 발색시키고, hematoxylin으로 대조 염 색하였다.

염색 평가 방법 2.

염색의 정도평가는 다음과 같은 반정량적인 방법을 이용하였다: 음성(-), 약염 색(+), 중간염색(++), 강염색(+++). 정상피부와 병변주위 정상 상피 또는 샘을 양 성 대조군으로 정하고, 강염색은 정상 표피와 진피내 상피세포의 양성강도에 상응 하는 소견으로 하였으며 광학현미경 하에 염색 결과를 판독하였다, .

(14)

4

연구 결과 III.

염색 결과

A. Syndecan-1 (Table 1)

광선각화증이 있는 환자의 정상 피부의 염색상 균일한 각질형성세포 표면에 염 색이 되었으며, 각질층에는 염색이 되지 않았다. 진피층의 내부 상피세포의 염색 과 비교했을 때 발현의 정도는 비슷하였다. 지루각화증, 보웬병, 광선각화증에서 는 정상 표피세포와 비슷한 강도의 염색을 확인할수 있었다. 다만 광선각화증 1예 에서 중간염색 강도(++)를 보였다. 각질가시세포종은 정상 표피와 비슷한 염색 강 도를 보였으나, 형성이상세포들이 침윤성 경계에 포함 되어있는 5예에서 4예가 중 간염색 강도를 보였다. 불완전하게 분화된 편평세포암에서는 중간염색 3 ,예 약염 색 2예의 강도를 보였으며, 가시세포분리 편평세포암에서는 4예가 중간염색 강도 를 보였다(Fig 1A – 7A).

염색 결과

B. E-cadherin (Table 2)

광선각화증이 있는 환자의 정상 피부, 양성 종양인 지루 각화증에서는 정상표피 와 같은 강염색 소견을 보였으나, 암전구증인 광선각화증과 보웬병에서는 중간염 색 강도가 각각 3예와 4예에서 관찰되었다. Syndecan-1과 비슷하게 각질가시세포 종은 정상 표피와 비슷한 염색 강도를 보였으며, 형성이상세포들이 침윤성 경계에 포함 되어있는 5예에서 4예가 중간염색 강도를 보였다. 불완전하게 분화된 편평세 포암에서의 염색 강도 역시 syndecan-1과 유사하였으나, 가시세포분리 편평세포암 에서는 4예가 약염색 강도를 보였다(Fig 1B – 7B).

염색 결과

C. β-catenin (Table 3)

대부분의 종양이 E-cadherin 염색 강도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즉 광선각화증 이 있는 정상 피부, 지루각화증은 모두 강염색, 광선각화증과 보웬병은 중간염색 강도가 각각 3예였다. 그리고 각질가시세포종은 강염색을 보였으나, 형성이상세포 들이 침윤성 경계에 포함 되어있는 5예 에서는 중간염색 4 ,예 약염색 1예가 관찰 되었다. 역시 불완전하게 분화된 편평세포암에서도 중간염색 3 ,예 약염색 2예로

염색과 유사하였다 하지만 과 달리 가시세포분리 편평세포

E-cadherin . E-cadherin

암에서는 음성을 예에서 보였다2 (Fig 1C – 7C).

(15)

5 고 찰 IV.

표피는 다양한 정도의 분화를 가진 각질형성세포들로 구성된다. 이들 세포들이 기저 층에서 각질층으로 증식, 분화되는 과정에서 세포와 세포외 바탕질 그리고 세포와 세포 부착의 변화가 생겨 각질형성세포는 진피와의 부착 소실이나 세포간 부착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세포외 바탕질을 침입할 수 있는 능력은 정상세포와 종양세포 모두에서 중요한데 정상세포는 상처 치유, 염증, 그리고 배아발생 과정 에서, 종양세포는 성장과 전이 과정에서 세포외 바탕질을 침입하게 된다11. 이러한 과정들은 세포부착분자들인 syndecan-1, E-cadherin, desmosome, interin 등의 변 화의 결과들이다.

은 세포와 세포 세포와 바탕질의 부착에 중요하며 그 외 성장인자들

Syndecan , ,

과 몇몇 효소들에 대한 수용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세포표면 분자이다.

의 종류는 각질형성세포 등의 상피세포에 주로 위치한 섬유

syndecan syndecan-1,

모세포에 풍부하여 fibroglycan이라고 불리는 syndecan-2, 신경계에서 주로 발현 되는 syndecan-3, 그리고 도처의 다양한 세포 형에서 발현되는 syndecan-4가 있 다. syndecan은 발달(development)동안이나 성숙 조직에서 독특한 형태로 발현이 되는데, 상처 회복 동안에는 syndecan-1과 4가 진피와 육아조직에서 유도되고, 종 양의 악성화 과정에서는 syndecan-1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2.

면역조직화학염색상 syndecan-1은 모든 표피층에 존재하는 층화편평상피세포 에서 풍부하게 발현되나 가장 표층인 최종분화 (stratified squamous epithelia) ,

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는다. 염색강도는 기저세포에서 상대적으로 약하고, 점점 위쪽으로 분화하면서 증가하며 가시세포 표면에서 가장 강하게 염색된다, 13-15.

Liebersbach 16은 syndecan-1이 type 1 콜라겐 겔로의 세포 침입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고, syndecan-1 발현의 소실이 암세포들의 전이하는데 중요한 단계일 수 있다고 보고 하였다. 또한 Inki 등6은 syndecan-1의 발현이 암의 조직학적 분화 도에 관련되어 불완전하게 분화된 암에서 발현이 결핍되었다고 보고하였고, 추후 의 발현 정도가 편평세포암의 하나의 독립된 예후 인자가 될 수 있을 syndecan-1

것으로 추측하였다. 이후 암형성동안 syndecan-1 발현의 변화들이 유방, 전립선, 머리와 목, 자궁, 그리고 대장암 등 다양한 조직들에서 보고되어 오고 있다5,6.

Anttonen 17은 머리와 목의 편평세포암에서 syndecan-1의 발현 정도가 현저히 감 소하였고, Bayer-Garner 등11은 피부편평세포암에서도 syndecan-1의 발현이 침입성

(16)

6

편평세포암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인 반면, 상피내 편평세포암에서는 그렇지 않았 다고 보고하면서, syndecan-1의 발현 감소는 암종의 공격성(aggressiveness)과 연 관된다고 하였다. 역시 최근의 보고에서도 주요 피부암종에서 syndecan-1의 발현 소실은 암의 진행을 모니터링 하는 표지자로서의 기능이 받아들여 지고 있다5. 본 연구에서도 햇빛 노출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연속선상의 질환들에서 양성종양과 암 전구증에서 악성종양으로 진행하거나, 그리고 분화도가 좋지 않을수록 발현이 소 실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한 점은 이전의 보고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 으나, 피부 외 장기의 암전구증에서는 발현이 소실되었다는 이전의 보고18-20와는 달랐다. 이는 아마도 피부의 암전구증에 대한 syndecan-1 발현에 관한 연구는 거 의 시행되지 않았으며, 또한 다른 장기에 비해 피부는 발병 초기에 검사가 시행되 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종양세포의 악성화 과정에서 syndecan-1의 소실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종양내의 증가된 바탕질 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활성화에 의한 외부영역 의 흘림

metalloproteinase) syndecan-1 (ectodomain)

전사 하향조절 또는 전사 후 조절

(shedding), (transcriptional down-regulation)

이상 등이 연관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5,15,21,22. 은 세포막 당 단백질의 일종으로 칼슘에 의존한 세포간 부착에 관여한

Cadherin ,

다. 여러 다양한 cadherins중 상피세포에서 발현되는 E-cadherin은 상피세포 구조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E-cadherin의 세포질 구역은 catenin과 상호작용을 한다. Catenin의 종류는 α, β, γ가 있으며, 이중 β-catenin은 92kDa 크기의 세포질 단백질로서 세포 부착과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막에서 β

은 복합체의 소단위로서 액틴 세포골격에 을 연결시켜

-catenin cadherin cadherin

세포간 부착이음(adherent junction)을 형성한다7. 또한 핵에서 β-catenin은 전사 인자와 관련된 유전자를 조절하고 세포 증식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 Tcf/Lef

을 수행한다23. 이전 연구들에서 암세포들이 감소된 세포간 부착을 보이기 때문에 복합체가 인간의 암종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생 cadherin/catenin

각되고 있다8,24-26. 또한 종양에서 E-cadherin이 소실되면 종양세포가 운동성과 형 태에 변화가 초래되는 것으로 보아 종양 억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과 의 발현감소에 대한 기전으로 종양 내에서

E-caherin β-catenin E-cadherin

가 낮게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전사 하향조절이나 또는

mRNA E-caherin, β

(17)

7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한 실질적 유전자 소실을 생각할 수 있다 그 외

-catenin .

의 티로신 인산화반응 그리고 의

catenin (tyrosine phosphorylation), E-cadherin 비정상적 재활용(abnormal recycling)이 제시 되고 있다27-30. 본 연구에서 β

과 발현 양상은 서로 비슷하였으며 이는 이전의 연구들과

-catenin E-cadherin ,

일치하는 결과였다31. 하지만 가시세포분리 편평세포암에서는 β-catenin이 더 높 은 발현소실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가시세포분리 형태에서 우선적으로 β-catenin 의 소실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또한 syndecan-1과는 달리

과 은 암전구증에서도 발현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E-caherin β-catenin .

의 경우 저자 마다 약간의 결과에 차이가 있어 발현이 정상이었다는 보 E-cadherin

고들25,32과 감소하였다는 보고들24,33이 있다. 이러한 점으로 추후 암전구증에 대한

세포부착분자들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각질가시세포종의 생물학적 성향은 논란이 되고 있지만, 전이되는 실제 악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어 편평세포암의 한 아형으로 간주 되거나, 빠른 성장과 치료 없 이 자연 퇴축 가능성이 있어 양성 종양으로 간주 되기도 한다. 각질가시세포종과 편평세포암은 때로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구별이 어려울 있다. Mukunyadzi 등34은 의 발현양상이 침입성 편평세포암에서는 소실되었으며 각질가시세포종

syndecan-1 ,

에서는 잘 보존되어 정상표피나 상피내 편평세포암과 유사한 발현을 관찰하여 각 질가시세포종이 생물학적으로 침입성 편평세포암보다는 표피내 편평세포암과 밀접 한 연관이 있다고 하였다. 역시 Tataroglu 등35은 β-catenin과 CD44을 이용하여 각질가시세포종과 편평세포암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여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들은 모두 이런 세포 부착 분자들의 발현 정도가 각질가시세포종을 침입성 편평 세포암과 구별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각질 가시세포종의 발현 정도는 침입성 경계부위의 일부 형성이상세포에서 약한 감소를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정상 표피의 발현 정도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 은 상피세포의 형태를 안정화 시키는데 동시에 조절이

E-cadherin syndecan-1

되며 서로 협력하여 작용할 수 있다. 생체 내 검사를 통해 E-cadherin과 의 합성은 상피세포가 세포외 바탕질을 침입하기 위해 운동성 중간엽 syndecan-1

세포(motile mesenchymal cell)로의 전환과정인 epithelial-mesenchymal 초기에 동시에 하향 조절된다

transformation 9. 또한 syndecan-1이 antisense

에 의해 하향 조절될 때 의 발현은 상피세포표면에서 소실

transfection E-cadherin

되고, 반대로 E-cadherin이 상피종양세포의 transfection후에 발현될 때

(18)

8

의 발현은 상향 조절되었다 즉 과 의 발현은 서

syndecan-1 . syndecan-1 E-cadherin

로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36,37. Bayer-Garner 등38은 가시세포분리 편평세포암 에서 syndecan-1이 E-cadherin보다 우선적으로 발현이 감소했다고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그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이는 syndecan-1과 E-cadherin이 어떤 것이 먼저 소실되고 어떤 것이 그 뒤를 따르는지, 또는 같이 동시에 소실되는 지 는 아직까지도 논쟁이 되고 있는 상황이며, 또한 본 연구의 적은 대상 수나 염색 평가 방법 그리고 항체의 다른 클론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9.

(19)

9 결 론 V.

의 발현은 정상 및 암전구증에서는 거의 감소하지 않았으나 이상형

Syndecan-1 ,

성세포를 포함한 각질가시세포종과 편평세포암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인다. 또한 분화가 좋지 않을수록 발현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과 의 발현양상은 거의 유사하였으며 과는 달

E-cadherin β-catenin , syndecan-1

리 암전구증에서도 발현이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그러므로 암종으로 진행하는 과 정에서 E-cadherin/β-catenin이 syndecan-1보다 먼저 변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특징적으로 β-catenin은 E-cadherin보다 가시세포분리 편평세포암에서 더욱 높은 발현소실이 관찰되었다.

각질가시세포종은 침입성의 형성이상세포들이 있는 곳에서만 syndecan-1, 발현의 약한 감소를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정상 표피의 E-cadherin, β-catenin

발현 정도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예후를 예측하는데 이들 세 부 착분자들의 발현 정도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세포간 부착분자인 syndecan-1, E-cadherin, β-catenin은 세포의 악성화 진행 동안 점진적으로 발현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20)

10 참고문헌

1. Jouni U, Mon-Li C, Richard G, Arthur ZE. Disorders of the dermal connective tissue. In: Wolff K, Goldsmith LA, Katz SI, Gilchrest BA, Paller AS, Leffell DJ, editors.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7th ed. New York: McGraw-Hill, 2008:536-542.

2. Carey DJ. Syndecans: multifunctional cell-surface co-receptors. Biochem J, 1997;327 (Pt 1):1-16

3. Gallo R, Kim C, Kokenyesi R, Adzick NS, Bernfield M. Syndecans-1 and -4 are induced during wound repair of neonatal but not fetal skin. J Invest Dermatol, 1996;107:676-683

4. Inki P, Jalkanen M. The role of syndecan-1 in malignancies. Ann Med, 1996;28:63-67

5. Stepp MA, Pal-Ghosh S, Tadvalkar G, Rajjoub L, Jurjus RA, Gerdes M, et al. Loss of syndecan-1 is associated with malignant conversion in skin carcinogenesis. Mol Carcinog 2010;49:363-373

6. Inki P, Joensuu H, Grenman R, Klemi P, Jalkanen M. Association between syndecan-1 expression and clinical outcome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Br J Cancer 1994;70:319-323

7. Huber AH, Weis WI. The structure of the beta-catenin/E-cadherin complex and the molecular basis of diverse ligand recognition by beta-catenin.

Cell 2001;105:391-402

8. Nollet F, Berx G, van Roy F. The role of the E-cadherin/catenin adhesion complex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ancer. Mol Cell Biol Res Commun 1999;2:77-85

9. Sun D, McAlmon KR, Davies JA, Bernfield M, Hay ED. Simultaneous loss of expression of syndecan-1 and E-cadherin in the embryonic palate during epithelial-mesenchymal transformation. Int J Dev Biol 1998;42:733-736 10. Petter G, Haustein UF. Histologic subtyping and malignancy assessment of

(21)

11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Dermatol Surg, 2000;26:521-530 11. Bayer-Garner IB, Sanderson RD, Smoller BR. Syndecan-1 expression is

diminished in acantholytic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J Cutan Pathol 1999;26:386-390

12. Contreras HR, Ledezma RA, Vergara J, Cifuentes F, Barra C, Cabello P, et al. The expression of syndecan-1 and -2 is associated with Gleason score an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markers, E-cadherin and

beta-catenin, in prostate cancer. Urol Oncol 2010;28:534-540

13. Inki P, Larjava H, Haapasalmi K, Miettinen HM, Grenman R, Jalkanen M.

Expression of syndecan-1 is induced by differentiation and suppressed by malignant transformation of human keratinocytes. Eur J Cell Biol

1994;63:43-51

14. Hayashi K, Hayashi M, Jalkanen M, Firestone JH, Trelstad RL, Bernfield M. Immunocytochemistry of cell surface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in mouse tissues. A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y. J Histochem Cytochem. 1987;35:1079-1088

15. Sanderson RD, Hinkes MT, Bernfield M. Syndecan-1, a cell-surface

proteoglycan, changes in size and abundance when keratinocytes stratify.

J Invest Dermatol 1992;99:390-396

16. Liebersbach BF, Sanderson RD. Expression of syndecan-1 inhibits cell invasion into type I collagen. J Biol Chem 1994;269:20013-20019 17. Anttonen A, Kajanti M, Heikkila P, Jalkanen M, Joensuu H. Syndecan-1

expression has prognostic significance in head and neck carcinoma. Br J Cancer 1999;79:558-564

18. Jackson LL, Wade Z, Hessler RB, Abdelsayed R, Rogers JB, Gourin CG.

Quantitative analysis of syndecan-1 expression in dysplasi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Laryngoscope, 2007;117:868-871

19. Soukka T, Pohjola J, Inki P, Happonen RP. Reduction of syndecan-1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dysplastic oral epithelium. J Oral Pathol Med, 2000;29:308-313

20. Inki P, Stenback F, Grenman S, Jalkanen M. Immunohistochemical

(22)

12

localization of syndecan-1 in normal and pathological human uterine cervix. J Pathol, 1994;172:349-355

21. Subramanian SV, Fitzgerald ML, Bernfield M. Regulated shedding of syndecan-1 and -4 ectodomains by thrombin and growth factor receptor activation. J Biol Chem 1997;272:14713-14720

22. Kirjavainen J, Leppa S, Hynes NE, Jalkanen M. Translational suppression of syndecan-1 expression in Ha-ras transformed mouse mammary epithelial cells. Mol Biol Cell 1993;4:849-858

23. Barker N, Clevers H. Catenins, Wnt signaling and cancer. Bioessays 2000;22:961-965

24. Lyakhovitsky A, Barzilai A, Fogel M, Trau H, Huszar M. Expression of e-cadherin and beta-catenin in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and its precursors. Am J Dermatopathol 2004;26:372-378

25. Fuller LC, Allen MH, Montesu M, Barker JN, Macdonald DM. Expression of E-cadherin in human epidermal non-melanoma cutaneous tumours. Br J Dermatol 1996;134:28-32

26. Fukumaru K, Yoshii N, Kanzaki T, Kanekura T. Immunohistochemical comparison of beta-catenin expression by human normal epidermis and epidermal tumors. J Dermatol 2007;34:746-753

27. Le TL, Yap AS, Stow JL. Recycling of E-cadherin: a potential mechanism for regulating cadherin dynamics. J Cell Biol 1999;146:219-232

28. Tamura S. The E-cadherin-mediated cell-cell adhesion system in human cancers. Br J Surg 1997;84:899-900

29. Christofori G, Semb H. The role of the cell-adhesion molecule E-cadherin as a tumour-suppressor gene. Trends Biochem Sci 1999;24:73-76

30. Bongiorno PF, al-Kasspooles M, Lee SW, Rachwal WJ, Moore JH, Whyte RI, et al. E-cadherin expression in primary and metastatic thoracic

neoplasms and in Barrett's oesophagus. Br J Cancer 1995;71:166-172 31. Andrews NA, Jones AS, Helliwell TR, Kinsella AR. Expression of the E-cadherin-catenin cell adhesion complex in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and their nodal metastases. Br J Cancer

(23)

13 1997;75:1474-1480

32. Koseki S, Ansai S, Aoki T, Hozumi Y, Mitsuhashi Y, Kondo S. E-cadherin expression in skin tumors using an AMeX immunohistostaining method. J Dermatol 2000;27:307-311

33. Li ZX, Peng ZH, Ji FP, Yuan JY, Pan M, Liu Y, et al. [Expression of E-cadherin and beta-catenin in Bowen's disease and squamous cell carcinoma]. Nan Fang Yi Ke Da Xue Xue Bao, 2006;26:1245-1247

34. Mukunyadzi P, Sanderson RD, Fan CY, Smoller BR. The level of syndecan-1 expression is a distinguishing feature in behavior between

keratoacanthoma and invasive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Mod Pathol 2002;15:45-49

35. Tataroglu C, Karabacak T, Apa DD. Beta-catenin and CD44 expression in keratoacanth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kin. Tumori 2007;93:284-289

36. Leppa S, Vleminckx K, Van Roy F, Jalkanen M. Syndecan-1 expression in mammary epithelial tumor cells is E-cadherin-dependent. J Cell Sci 1996;109 (Pt 6):1393-1403

37. Kato M, Saunders S, Nguyen H, Bernfield M. Loss of cell surface syndecan-1 causes epithelia to transform into anchorage-independent mesenchyme-like cells. Mol Biol Cell 1995;6:559-576

38. Bayer-Garner IB, Smoller BR. The expression of syndecan-1 is

preferentially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E-cadherin in acantholytic squamous cell carcinoma. J Cutan Pathol 2001;28:83-89

(24)

14

Table 1. Expression of syndecan-1 in various epidermal tumor

* : 4 comprised in 5 keratoacanthomas with dysplastic cell in invasive margin

Syndecan-1 expression

+++ ++ + 0

Normal skin (n=5) 4 1

Seborrheic keratosis (n=10) 10

Actinic keratosis (n=5) 4 1

Bowen’s diesease (n=5) 5

Keratoacanthoma (n=10) 6 4*

Squamous cell carcinoma poor- differentiated

(n=5)

3 2

Acantholytic (n=5)

4 1

(25)

15

Table 2. Expression of E-cadherin in various epidermal tumor

* : 4 comprised in 5 keratoacanthomas with dysplastic cell in invasive margin

E-cadherin expression

+++ ++ + 0

Normal skin (n=5) 5

Seborrheic keratosis (n=10) 10

Actinic keratosis (n=5) 2 3

Bowen’s diesease (n=5) 1 4

Keratoacanthoma (n=10) 5 5*

Squamous cell carcinoma poor- differentiated

(n=5)

3 2

Acantholytic (n=5)

1 4

(26)

16

Table 3. Expression of β-catenin in various epidermal tumor

* : 4 comprised in 5 keratoacanthomas with dysplastic cell in invasive margin

: 1 comprised in 5 keratoacanthomas with dysplastic cell in invasive

margin

-catenin expression β

+++ ++ + 0

Normal skin (n=5) 5

Seborrheic keratosis (n=10) 10

Actinic keratosis (n=5) 2 3

Bowen’s diesease (n=5) 2 3

Keratoacanthoma (n=10) 5 4* 1†

Squamous cell carcinoma poor- differentiated

(n=5)

3 2

Acantholytic (n=5)

1 2 2

(27)

17

LEGEND OF FIGURES

Fig. 1. Normal epidermis. Syndecan-1(A), E-cadherin(B), β-catenin(C) showing uniform immunoreactivity on the cell surface of the keratinocytes throughout the epidermis except for stratum corneum. (X400) ………

Fig. 2. Seborrheic keratosis. Syndecan-1(A), E-cadherin(B), β-catenin(C) showing essentially no difference in staining intensity relative to the normal skin. (X200) ………

Fig. 3. Actinic keratosis. Syndecan-1(A) showing essentially no difference in staining intensity relative to the normal skin. E-cadherin(B) and β -catenin(C) showing slightly decreased staining intensity relative to that seen in normal skin. (X200) ………

Fig. 4. Bowen’s disease. Syndecan-1(A) showing essentially no difference in staining intensity relative to the normal skin. E-cadherin(B) and β -catenin(C) showing slightly decreased staining intensity relative to that seen in normal skin. (X200) ………

Fig. 5. Keratoacanthoma. Syndecan-1(A), E-cadherin(B), β-catenin(C) are essentially no difference in staining intensity relative to the normal skin, except for decreased expression in cytologically more dysplastic area (arrow). (X200) ………

Fig. 6. Poor-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Syndecan-1(A), E-cadherin(B), β-catenin(C) showing decreased staining intensity relative to that seen in normal skin(arrow). (X200) ………

Fig. 7. Acantholytic squamous cell carcinoma. Sydecan-1(A) showing decreased staining intensity relative to that seen in normal skin. E-caherin(B) and β -catenin(C) showing almost no expression or weak expression. (X200) ……

(28)

18 Fig. 1

Fig. 2

Fig. 3

Fig. 4

(29)

19 Fig. 5

Fig. 6

Fig. 7

(30)

20

저작물 이용 허락서

본인이 저작한 위의 저작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 아래 조선대학교가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고 동의합니다.

- -

저작물의 구축 및 인터넷을 포함한 정보통신망에의 공개를 위한 저작물의 복제 기억장

1. DB ,

치에의 저장 전송 등을 허락함,

위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의 편집 형식상의 변경을 허락함 다만 저작물의

2. . ,

내용변경은 금지함.

배포 전송된 저작물의 영리적 목적을 위한 복제 저장 전송 등은 금지함

3. , , .

저작물에 대한 이용기간은 년으로 하고 기간종료 개월 이내에 별도의 의사표시가 없을

4. 5 , 3

경우에는 저작물의 이용기간을 계속 연장함.

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을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또는 출판을 허락을 하였을 경우에는 개월

5. 1

이내에 대학에 이를 통보함.

조선대학교는 저작물의 이용허락 이후 해당 저작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타인에 의한 권리 6.

침해에 대하여 일체의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

소속대학의 협정기관에 저작물의 제공 및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저작물의 7.

전송 출력을 허락함.

동의여부

:

동의

( O )

반대

( )

2011 2 25

저작자 신 봉 석: (서명 또는 인)

조선대학교 총장 귀하

의학과 학 번 20077546 박사

성 명 한글 신 봉 석: 한문: 申 奉 錫 영문: Shin Bong Seok 주 소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 한국 아델리움 101 1703 연락처 E-MAIL : derm75@honmail.net

논문 제

한글 : 다양한 표피종양에서 syndecan-1, E-cadherin,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beta-catenin

영문 : Immunohistochemical study for syndecan-1,

E-cadherin, and beta-catenin expression in various epidermal tumors

참조

관련 문서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death and the ethical attitude to Do-Not-Resuscitate (DNR) among s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n the will of start-up according to experienc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trend in incidence of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patients from the Gwangju C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after compulsory cer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8-week aerobic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physical strength and stress of obese women in th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experience of falling in some local elderly people using the 20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ckground,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in Chapter 1, and the second part of the theoretical study is related to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vocabulary ability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