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 단독주택지 가로공간 계획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 단독주택지 가로공간 계획"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Ⅰ. 서 론

우리나라 대도시의 단독주택지는 택지개발사업을 통하 여 형성된 곳이 대부분이며, 그 조성과정에 있어서 필지분 할 및 주택지내 가로망 계획에 치중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이유로 택지개발지구내 단독주택지는 거주자의 이 용행태 및 주거생활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지 못하고 획일적인 공간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한, 평면적이고 비영 역적인 가로공간1)이 되어 거주자의 행태․심리적인 특성 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택지내 주차문제 에서부터 거주자들의 커뮤니티 와해현상까지 물리적․사회 적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주택지내 가로는 차량의 통행이나 보행자의 이동, 거주 자들의 주차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로 인한 보행자의 안전사고와 이웃간의 갈등이 조장되고 있 다. 특히, 단독주택지의 주차공간 부족현상은 비계획적으로 조성된 가로공간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 중 하나이다. 더욱이, 단독주택지내 노상주차로 인한 가로공간 의 축소는 거주자들의 다양한 행위를 방해하고 있어 가로 공간의 기능을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도시단독주택지내 개별필지, 즉 마당과 가 로공간은 거주자의 다양한 생활행위와 이웃과의 교류행동 이 발생할 수 있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폐쇄적인 담장과

* 정회원,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교수. 공학박사.

** 정회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1) 가로공간은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으로 구분되는 동시에 두 공간에 대 한 매개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반사적․반공적공간으로 분류된다.

이 때, 매개공간은 집단의 결속력과 사회적 교류를 활발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O. Newman,1972).

닫혀 있는 대문으로 인하여 거주자간의 수평적인 교류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김영석, 2001).

최근 들어, 주거지내 가로공간을 거주자의 다양한 행위 가 발생하는 주거생활공간 및 주거행위의 무대로 전환하려 는 시각이 대두되면서, 가로계획의 초점이 차량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박광재 외, 1997; 민병호, 2002; Clarence Perry. 1999;

Philip H. Lewis, JR. 1996).

이러한 연구경향은 단순히 차량의 통행이나 보행자의 이동에 초점을 맞춘 일원적인 계획에서, 사회적 교류의 기 능을 포함하는 생활 전반을 위한 복합적인 계획개념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많은 도시에서는 현재,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 로 주거지내 가로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주민들의 참여에 의하여 실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독주택지 내부를 통과하는 외부차 량을 통제하고 개별주차공간을 확보하여 활발한 가로활동 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로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커뮤니티 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이루 어졌다. 특히, 개별 필지내 공지를 주차공간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대구시 ‘담장 허물기’ 운동을 활용하는 방안2)과 함 께, 외부차량의 진입 및 통행을 제한하여 주거지내 거주자 의 안전한 가로활동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로공간 조성방 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2) 기존에 실시된 담장허물기 사례주택의 경우, 개별필지내에 주 차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채, 가로공원조성에 중점을 두어 여전 히 노상주차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 단독주택지 가로공간 계획

Street Planning of Urban Detached Housing Area for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하 재 명*

김 묘 정**

Ha, Jae-Myung Kim, Myo-Jung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street planning for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in urban detached housing area. Some ideas of this study were applied for planning for revitalization of community of urban residents.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observations and actual survey, and suggested several street planning methods : control of the passing cars and the resident's cars by one-way passage, providing of the parking area on the individual lot by the ‘Break down Fence' campaign in Daegu, and provision of the common space for social relationship and community of the residents.

Through this process, the front space of each house could be intermediate space between the private space and the public space, such as the semi-private space and the semi-public space.

………

키워드 : 도시단독주택지, 주차공간 확보, 가로공간 계획, 커뮤니티 활성화

Keywords : Urban Detached Housing Area, Security of the Parking Area, Street Planning, Revitalization of Community

………

(2)

Ⅱ. 연구방법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서 우리나라 도시단독주택지의 주 차문제와 가로공간 이용행태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을 고찰 하고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살펴본다.

둘째, 기존의 시범사례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대구시 담 장 허물기 운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와 함께, 개별주택마다 주차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주택지내 매개공 간(반공적공간과 반사적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이웃간의 사회적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마을형 도시단독 주택지3)(광명타운하우스; 대구시 수성구)에 대하여 가로체 계, 영역적 위계, 그리고 다양한 주차공간 확보방식 등을 살펴본다.

셋째, 시범사례에서 논의되는 가로공간 계획기법을 적용 하여 대구시의 실제 단독주택지에 대하여 가로체계의 변 화, 외부차량 통제, 그리고 담장 허물기를 통한 개별주차공 간 확보방안을 통하여 단독주택지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그림 1. 연구흐름도 연 구

목 적 연 구 목 적

이 론 적 배 경 이 론 적

배 경

가 로 공 간 조 성 방 안 가 로 공 간 조 성 방 안

분 석분 석

외 부 차 량 통 제 및 개 별 주 차 공 간 확 보 가 능 한 안 전 한 가 로 공 간 조 성 계 획 안 제 시 외 부 차 량 통 제 및 개 별 주 차 공 간 확 보 가 능 한

안 전 한 가 로 공 간 조 성 계 획 안 제 시

•대 구 시 담 장 허 물 기 운 동

•마 을 형 도 시 단 독 주 택 지 사 례

•대 구 시 담 장 허 물 기 운 동

•마 을 형 도 시 단 독 주 택 지 사 례

대 상 지 선 정 대 상 지

선 정

조 사 방 법 조 사 방 법

조 사 내 용 조 사 내 용

계 획 안 내 용 계 획 안

내 용

•사 회 적 교 류 증 대 및

커 뮤 니 티 활 성 화 가 능 성 측 면

•가 로 공 간 의 위 계 적 영 역 성 측 면

•사 회 적 교 류 증 대 및

커 뮤 니 티 활 성 화 가 능 성 측 면

•가 로 공 간 의 위 계 적 영 역 성 측 면 대 구 시 택 지 개 발 지 구 내 단 독 주 택 지 대 구 시 택 지 개 발 지 구 내 단 독 주 택 지

실 측 & 관 찰 조 사 , 도 면 분 석 , 면 접 조 사 실 측 & 관 찰 조 사 , 도 면 분 석 , 면 접 조 사

•가 로 유 형 및 연 계 성

•차 량 동 선 및 주 차 현 황

•거 주 자 의 가 로 활 동 특 성

•주 택 현 황

•필 지 내 주 택 배 치 형 태 및 공 지 여 부

•가 로 유 형 및 연 계 성

•차 량 동 선 및 주 차 현 황

•거 주 자 의 가 로 활 동 특 성

•주 택 현 황

•필 지 내 주 택 배 치 형 태 및 공 지 여 부

•외 부 통 과 차 량 통 제 방 법 제 시

•개 별 주 차 공 간 확 보 방 법 제 시

•매 개 공 간 및 공 동 공 간 조 성 방 법 제 시

•외 부 통 과 차 량 통 제 방 법 제 시

•개 별 주 차 공 간 확 보 방 법 제 시

•매 개 공 간 및 공 동 공 간 조 성 방 법 제 시

•도 시 단 독 주 택 지 의 주 차 문 제

•도 시 단 독 주 택 지 가 로 공 간 이 용 행 태

•도 시 단 독 주 택 지 의 주 차 문 제

•도 시 단 독 주 택 지 가 로 공 간 이 용 행 태 이 론

고 찰 이 론 고 찰

기 존 시 범 사 례 기 존 시 범 사 례

Ⅲ. 이론적 배경

1. 도시단독주택지의 주차문제

3) 주민들의 커뮤니티 의식을 강화시키고 적극적인 근린공동체를 형성 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조건을 충족시키는 도시단독주택지를 마을 형 단독주택지로 정의한다.

현재 대구시의 한 가구당 보유 차량수는 0.93대(대구시, 2004)에 이르고 있으나, 자동차 이용에 대한 편리함 보다 는 주차공간 부족에 대한 불편과 갈등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단독주택지 내부가로에서의 주차문제는 가장 심각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구시 단독주택지 내부가로의 주차실태를 분석해 보면, 대부분의 경우 내부가로에서 노상주차가 이루어지고 있으 며, 가로에 면한 주택의 거주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차량의 수에 비하여 주차공간이 부족하다. 특히, 주간에 비하여 야 간의 단독주택지의 내부가로의 노상주차 차량이 많은 것으 로 나타난다(최영은 외, 1999).

단독주택지의 내부가로는 최종 도착지까지의 지름길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간선도로 혹은 보조간선도로로부 터의 접근을 유도하고 주택지내 다른 여러 내부가로와 연 결되어 있다. 이처럼 거주자의 보행과 차량의 접촉이 빈번 하게 이루어지는 단독주택지의 내부가로는 잠재적 사고의 위험이 높은 곳이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 도시단독주택지 내 주차공간 부족현상은 무분별한 노상주차를 야기하여 보 행자 및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방해함으로써 응급․소방차 량 등의 긴급차량의 소통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위험률을 더욱 가중시키는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2. 도시단독주택지 가로공간

1) 가로공간의 이용행태 및 개념의 변화

도시단독주택지내 가로공간과 거주자 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김영석, 2001)에서는, 폭 2∼4m 정도의 골목 길에서는 어린이의 놀이, 이웃과의 대화, 이웃과의 간단한 휴식 등이 빈번하게 발생함으로써, 가로공간이 이웃과의 교류행동을 지원하는 반공적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강 조하고 있다. 그러나, 가로와 면한 주택의 경계면은 눈높이 이상의 폐쇄형 담장이거나 부속건물로 이루어져 있어, 가 로공간과 주택내 마당사이에서의 교류행동은 거의 불가능 함을 지적하였다.

주거지의 가로는 거주자의 주거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계획요소 중 하나이며, 특히, 동선계획 및 주거지 전체공간의 구성과 질서를 결정함으로써 외부공간과 관련 된 거주자의 주거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가로는 주거지의 가구(block)체계를 구성하고 인간과 차량의 통행 을 위한 이동의 목적으로 계획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가로 에는 거주자의 일정한 행위양식이 나타나는 장소이며 주거 생활을 위한 공간이라는 것은 분명하다(민병호 외, 2002).

이러한 의미에서 주거지내 가로는 일정한 행위기능을 목표로 계획된 놀이터나 공원 등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최근의 많은 연구들은 주거지의 가로가 ‘챠량’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바뀌어야 하며, 통과나 이동을 위한 ‘선적 인 계획’에서 거주자의 주거생활을 위한 ‘면적인 계획’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시사점

(3)

은 주거지의 가로를 계획하고 해석하는 시각의 전환을 의 미하는 것이며, 차량소통 중심의 의미를 가진 도로를 가로 인접기능을 갖춘 환경공간으로서의 가로를 계획한다는 것 을 의미한다(민병호 외, 2002 ; 제해성, 1990).

가장 이상적인 주거지내 가로는 거주자의 활용이 많은 가로인 동시에 다양한 행위가 발생하는 가로라 할 수 있다 (민병호, 2002). 제인 제이콥스(Jane Jcobs)는 가로공간의 활성화를 강조하면서 생활공간으로서의 가로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특히, 안전한 가로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첫째, 공적공간과 사적 공간사이의 매개영역이 필요하며, 둘째, 가로 주변의 거주자가 항상 가로를 관찰할 수 있어야 하고, 셋째, 주거지내 가로는 거주자가 항상 지 속적으로 사용가능해야 한다는 세 가지 조건을 제시하였다 (박광재 외, 1997). 이와 같은 내용은 가로공간이 통행의 수단만이 아닌, 거주자들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생활공간으로 계획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2) 도시단독주택 거주자의 가로행위

도시단독주택지내 각 장소에서 발생하는 거주자의 행동 과 그 행동 발생요인을 조사․분석한 연구(김영석, 2001)에 서는 주택지내 개별필지인 마당, 옥상 및 테라스, 베란다, 그리고 옥외계단 등에서 발생가능한 거주자의 행동을 물리 적 구성요소와 행동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 다(표 1 참조).

표 1. 단독주택지내 각 장소별 물리적 구성요소 및 행동의 종류

장소 물리적 구성요소 행동의 종류

마당

화초, 수목, 수돗가, 장독 대, 빨래줄, 테이블 및 의 자, 운동기구, 가사도구 등

화초정리, 청소, 빨래 말리기, 휴식, 운동, 어린이 놀이, 가사 노동 등

옥상/

테라스

장독대, 화분, 빨래줄, 의 자, 운동기구, 가사도구 등

화분정리, 물건말리기, 휴식, 운 동, 어린이 놀이, 가사노동 등 베란다 세탁기, 장독대, 빨래줄,

가사도구 등

세탁하기, 빨래말리기, 가사노 동 등

옥외계단 가사도구 등 통행 등

이러한 거주자의 행동은 단순한 생활행위에서 벗어나 이웃과의 시선교환 및 인사, 대화, 놀이와 같은 교류행동으 로 발전되어 최소한의 이웃과의 교류관계를 유지하는데 기 여한다. 이와 함께, 이웃과 가장 빈번히 마주치게 되는 장 소는 마당과 골목길인 것으로 조사되어, 도시단독주택지내 가로공간과 주택의 개별필지인 마당은 이웃과의 교류증진 을 위한 중요한 장소가 된다.

또한, 도시단독주택의 마당의 경우, 거주자의 다양한 생 활행위가 발생하는 장소인 동시에 이웃과의 수직적 교류가 가능한 장소이긴 하지만, 수평적 교류는 불가능하다(김영 석, 2001). 즉, 마당과 이웃집의 옥상사이에서 인사와 같은 교류행동이 수직적으로 이루어질 수는 있지만, 담장이 폐

쇄적이며 대문을 거의 닫아 놓고 생활하는 도시주거의 특 성상 마당에서 이웃집이나 골목길을 지나는 사람과의 수평 적 교류행동의 발생빈도는 매우 드물다고 할 수 있다.

3.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노력

우리나라는 대도시내의 노후화된 주거지의 경우는 계획 적 개념에 의해 개발된 것이 아니라 자연발생적으로 형성 되었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주거환경이 열악하다. 이러한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재개발 사업 및 주거 환경개선사업 등을 실시하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주로 기존 건물을 전면적으로 철거한 후 재개발하는 것으 로, 기존에 형성되어 있던 커뮤니티가 해체되고 거주하던 주민들이 다시 정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계기석 외. 2000). 뿐만 아니라, 이웃과의 관계가 더욱 단절되면서 주거공동체 역시 급속히 와해되었으며 주택외부의 공유공 간에 대하여 지나치게 무관심하면서 주택내부의 사유공간 가꾸기에는 과도할 정도로 집착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게 되 었다(정석, 1999).

그러나, 삶의 편의와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한 관심과 활동이 증대되면서, 거주자 스스로 생활환경을 개선하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확산되고 있다. 즉, 거주자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골목 가꾸기’, ‘담장 허물 기’, ‘차 없는 골목 만들기’, ‘통학로 개선 운동’ 등과 같이 도시단독주택지내 가로공간을 중심으로 주민 참여를 통한 마을 만들기4)가 실현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마을 만들 기 운동은 생활환경개선, 공동체적 삶의 회복, 지역상권의 활성화, 어린이에 대한 배려와 같은 4가지 주요 목적에 의 해 실현되고 있으며(정석, 1999), 실제로, 마을 만들기 운동 을 통하여 도시단독주택지 가로공간의 환경이 개선되고 커 뮤니티 역시 다시 활성화되는 효과를 얻고 있다.

4. 기존 시범사례 연구

1) 대구시 담장 허물기 운동

대구시 ‘담장 허물기’ 운동은 주택을 둘러싸고 있는 기존 의 담을 허물고 개별 마당을 정원화하여 가로공원을 조성 함으로써, 주민 모두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 하여 지역의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는 시 민과 자치단체의 협력으로 인하여 범시민운동으로 확대되 고 있으며, 쾌적한 주거환경조성에 이바지하고 있다는 평 가를 받고 있다(대구광역시, 2002). ‘담장 허물기 운동’은 1995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개별주택에 대하여는 시보조금 이 지원되고 있다. 2004년 6월 현재, 총 302개 참여시설 중 83개 주택이 담장 허물기 운동에 참여하였다(표 3 참조).

4) 마을만들기란 주민들이 스스로 다양한 지역에서 일상 생활환경 의 문제들을 풀거나 개선하고자 하는 활동전반을 지칭한다.

(4)

표 2. 대구시 담장허물기 실적 및 사업규모

2004년 6월 현재 년도

전 체 주 택

실적 (건)

사업규모 실적

(건)

사업규모 담장길이(m) 조경면적(평) 담장길이(m) 조경면적(평) 1995

1997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1 3 60 62 52 63 51 10

100 266 358 3,596 3,069 2,849 1,912 246

253 5,010 5,710 17,636 19,054 4,534 5,729.3 131

- - 4 11 10 32 21 5

- - 69 288 220 369 342 63

- - 80 365 200 450 223 34 292 12,150 57,926.3 83 1,378 1,352

그러나, 개별주택에 대하여 담장을 허물고 정원을 형성 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제한점을 찾는다면, 주차공간에 대 한 고려가 미흡하고 담장 허물기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즉, 기존에 이루어진 담장 허물기 사례주택 의 대부분이 필지내 개별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노상주차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또다 시 단독주택지내 주차문제와 차량통행 및 거주자의 가로활 동에 대한 안전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주택지내 여러 주택들이 담장 허물기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거주자에 한해서만 부분적으로 행해지고 있기 때문 에 가로공원을 조성하려는 담장 허물기 운동의 기본 취지 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그림 2).

그림 2. 대구시 담장 허물기 사례 주택

반면, 담장허물기를 실시한 주택들 중, 3개 주택이 연속 적으로 담장을 허문 사례가 있지만 매우 드문 경우이다.

그림 3의 사례와 같이 동일한 가로내에서 여러 개의 주택 이 연속적으로 담장을 허문다면 이웃간의 만남과 교류의 기회가 증대되어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고 연속적인 가로공 원이 조성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 사례 역 시 개별주차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노상주차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림 3. 연속적 담장허물기의 사례(대구시 황금동)

2) 마을형 도시단독주택지 사례

대구시 수성구 만촌동에 위치한 광명타운하우스(1985년 준공, 총 주택수 68호)는 일반적인 대도시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마을형 도시단독주택지이다. 이 곳은 대도시 단독 주택지의 전형적인 격자형 가로구조와는 달리, 루프형의 가로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주진입부에 위치한 관리사무소 가 외부차량을 통제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통과교통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주택지 경계부에는 다른 동네와 영 역을 구분 지어주는 외부담장이 존재한다(그림 4).

그림 4. 광명타운하우스의 전경 및 개별담장

특히, 주택지 내에는 생울타리가 조성되어 있어 주택지 내 가로공간의 영역적 위계가 매우 뚜렷한 곳이다. 일반적 인 도시단독주택지에서는 외부차량 통행 및 노상주차, 그 리고 담장 등으로 인하여 가로공간의 영역이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으로 이분된 장소라고 한다면(그림 5), 사례 주택 지에서는 외부차량을 통제하고 담장을 허물어 이웃과 공유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공적공간과 사적공간 사 이에는 매개공간이라 할 수 있는 반공적공간과 반사적공간 이 형성되어 영역의 위계가 자연스럽게 연계된다(그림 6).

그림 5. 격자형 도시단독주택지의 가로체계에 따른 영역별 위계 및 전형적인 가로의 모습

그림 6. 광명타운하우스의 가로체계에 따른 영역별 위계

(5)

이러한 주택지내에서의 반공적공간은 집단의 결속을 돕 고 이웃간의 사회적 교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회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반사적공간은 소규모 집단 에게 강한 일체감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이웃간 의 커뮤니티를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 이웃이 공유하는 가로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은 주민들간의 약속과 철저한 관리, 그리고 독특한 주차 공간확보 방식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곳에서는 각 주호 마다 개별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있어 일반 단독주택지내에 서의 주차문제와 이웃갈등은 찾아보기 어렵다. 뿐만 아니 라, 주차공간 확보방식에 있어서도 개별필지의 형태와 크 기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는 점도 흥미롭다. 예를 들어, 그 림 6과 같이, 필지내 공지를 이용하여 주차공간을 확보하 는 방법을 기본으로(ꊱ번), 필지내 공지와 가로의 일부를 이용하는 방법(ꊲ번), 필지내 공지를 이웃과 함께 공유하는 방법(ꊴ번), 그리고 필지내 주차공간이 부족할 경우는 허용 된 곳에 한하여 노상주차를 하고 있다(ꊳ번). 광명타운하우 스는 단독주택지내 노상주차로 인한 가로공간의 축소가 거 주자들의 다양한 행위를 제한하고 가로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다면, 매우 바람직한 단독주택지 가로공간을 조성하고 있다(그림 7).

그림 7. 다양한 형태의 주차공간 확보방식

Ⅳ. 가로공간 조성방안 적용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차공간 확보미흡이라는 담장 허물기 운동의 문제와 부분적인 시행으로 인한 문제 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마을형 도시단독주택지의 다양한 개별 주차공간 확보방법을 적용하여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사레연구 방법

1) 대상지 선정

가로공간 조성방안 적용을 위한 사례연구의 대상지는 다음의 관점에서 그 조건을 충족시키는 곳을 선정하였

다. 첫째, 택지개발사업을 통하여 형성된 단독주택지 중 에서 비교적 가로의 위계가 명확하고 체계적인 가로구 조를 갖추고 있는 곳으로 하였다. 둘째, 격자형의 가로구 조로 인하여 통과교통이 많고 노상주차가 빈번하게 발 생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성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는 곳으로 하였다. 셋째, 담장 허물기가 가능하여야 하므로 다세대 주택이 적고 주택내 공지가 존재하는 곳으로 하 였다. 이상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곳으로서 대구광역시 동구의 안심1지구내 단독주택지를 사례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2) 조사방법

주요조사방법으로 대상지 및 주택에 대한 실측 및 관 찰조사와 도면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거주자에 대한 면접 조사가 병행되었다.

3) 조사내용

대상지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상지의 가 로유형 및 연계성, 차량동선 및 주차현황, 거주자의 가로 활동 특성, 주택현황, 필지내 주택배치 형태와 공지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2. 대상지 현황

대구광역시 동구에 소재하고 있는 안심1 지구내 단독주 택지의 가로는 대부분이 격자형이거나 이를 변형한 형태, 그리고 순환형 가로가 혼용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가로의 위계가 명확하여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 로, 국지도로의 순으로 그 연계가 체계적이며, 특히 집산도 로는 단독주택지 내부를 통과하면서 블록과 블록을 서로 연결해주고 있다(그림 8).

그림 8. 대상지 주변의 도로위계 및 차량동선

놀이터 놀이터

대상지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 가로내 차량동선

1) 차량통행 및 주차현황

조사대상지 가로는 개별주택으로의 접근을 유도하는 폭 6m의 국지도로이며 통과형 가로이다. 관찰 결과, 거주자들 의 주요 가로활동으로는 주차기능 외에 어린이의 놀이, 이 웃간의 만남 및 대화, 간단한 휴식과 산책 등 다양한 행위 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표 2. 그림 9).

(6)

표 3. 조사대상 가로의 현황

가로 유형 폭 6m의 국지도로이며 통과형 가로

가로 활동 주차, 어린이 놀이,

이웃간의 만남 및 대화, 휴식 및 산책 가로공간의

문제점 ․외부차량의 통행

․노상주차

․가로공간의 축소

․지속적인 가로활동 저해

․가로공간 활용 부족

그림 9.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대상지 가로공간

그러나 조사대상지 가로에는 외부차량의 통행이 빈번하 게 이루어지고 있고 가로변의 노상주차는 가로공간을 축소 시켜 지속적인 가로활동을 저해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가로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 히, 폭 6m 가로 양쪽으로 노상주차가 되어 있을 경우, 통 과차량의 진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부차량의 통행이 서행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보행자들에2게 사고의 발생 우 려가 매우 높다(그림 10, 표 3).

그림 10. 외부차량의 통행과 노상주차 현황

2) 주택현황

조사대상 가로공간에 면한 주택은 모두 27개 주택으로, 이 중 1층 부를 상업용도로 이용하기 위하여 건축된 3∼4 층 규모의 다가구 주택이 8개이며, 나머지 19개 주택은 순 수 주거용도의 단독주택으로 모두 2층 규모이다. 가로에 면한 27개 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수는 총 94가구로 주 호당 최소 2가구에서 최대 6가구까지 거주하고 있었다.

표 4. 조사대상 가로공간내 주택의 일반현황

주택 특성

주택유형 단독 다가구 계

주 호 수 19 8 27

규 모 2층 3∼4층 -

거주 가구수

전체 거주가구수 94가구

거주가구 분포 1가구∼6가구

소유 차량수

전체 차량수 73대

호당 소유차량 분포 1대∼6대

개별주택의 대문 및 현관, 그리고 외부계단 등을 살펴본 결과, 주택의 주출입구인 대문 이외에도 임대가구를 위하

여 가로와 면한 별도의 출입구가 있는 주택이 대부분이었 다. 또한, 1층부에서 2층으로 향하는 외부계단이 담장과 일 체화 되어 가로와 면하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그림 11).

그림 11. 대상지내 개별주택의 현황

6m

6m

단독주택 1층부 상업용 주택 소매점 공실 세탁소 쌀집

부품상사 창호상사 슈퍼

차량동선 1층 출입구* 2층 출입구**

전신주

* 주택의 주출입구인 현관 이외에 임대가구를 위한 별도의 1층 출입구를 모두 표시한 것임. ** 2층의 출입구로 진입하기 이전에 1층부에서 2층으 로 향하는 계단의 방향을 표시한 것임.

주택 필지내 공지여부는 그림 5와 같으며, 대부분의 주 택에는 마당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그 공간을 조경이나 주차를 위한 공간으로 이용한 주택이 있는 반면, 일부 주택은 빈 공간으로 남겨둔 채 전혀 활용하지 못하는 곳도 있었다.

그림 12. 필지내 공지의 분포

개 별 필 지 내 공 지

개별필지내에 확보가능한 주차공간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택별 차량소유 대수를 조사하였다. 한 주택에 여 러 가구가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최소 1대에서 최대 6대의 차량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27호(94가구)가 소유하고 있는 차량은 모두 73대로 대부분 노상주차를 하고 있었다. 차고 가 있는 주택은 모두 9호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그 중 주 차 용도로 사용하지 않고 있는 곳이 4군데 있었다.

(7)

3. 가로공간 조성방안

1) 외부차량의 통제

외부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기 위한 가로계획으로 조사대 상 가로로 진입하는 모든 외부차량은 통제하되, 거주자 차 량만 통행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림 6과 같이 가로 A, B, C, D로 진입하는 외부차량은 모두 통제하며, 거주자 차량은 B지점과 D지점을 통하여 진입한 후 개별 주택내로 주차하게 된다. 또한, 블록 외부 로 나가게 될 경우 A지점과 C지점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일방향 통행을 유도한다. 이 경우 통과차량은 자연스럽게 대상지 내부를 경유하지 않고 외부도로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차량을 통제하더라도 대상지를 둘러싸고 있는 도로(12m)는 내부도로(8m)보다 위계상 상위에 해당하고, 기존의 통과교통이 B↔D 및 A↔C를 지나 다음블록까지 연결되는 동선이 아니기 때문에 주변블록 및 전체 주택지 에서의 차량흐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 상된다.

그림 13. 외부차량의 통제방법

2) 개별 주차공간 확보

각 주택의 담장을 허물어 필지내 공지를 개방하고, 그 공지 내에 거주자 차량을 위한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 다. 그림 14와 같이 공지가 넓은 경우 차량의 직각주차가 가능하며 이 때, 대부분의 마당은 가로면과 20㎝ 이상의 단차가 있으므로 차량이 진입하는데 용이하도록 경사로를 설치한다.

a) 평면도 b) 단면도 그림 14. 주차공간 확보방법1 : 개별필지내 주차공간 확보

반면, 필지내 공지가 넓지 않거나 담장과 일체화된 외부 계단이 있는 주택의 경우와 같이 개별주차공간을 확보하기 가 어려우면 그림 15와 같이 가로폭의 일부를 주차공간의 일부로 활용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주택내 마당이 가로면보다 높다면 차량의 진입이 용이하도 록 경사로를 설치하거나 높이를 조절한다.

a) 평면도 b) 단면도

그림 15. 주차공간 확보방법2 : 가로의 일부를 주차공간으로 활용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개별주차공간을 확보했을 때, 대상 지 가로내부의 노상주차 모습은 전혀 찾아볼 수 없게 되 며, 그에 대한 예상 모습은 그림 16과 같다.

a) 확보전 b) 확보후 그림 16. 주차공간 확보 전과 후의 가로공간 비교

3) 가로공간의 위계 형성

외부차량 통행 및 노상주차, 그리고 담장 등으로 인하여 가로공간의 영역이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으로 이분된 장소 라고 한다면, 외부차량을 통제하고 담장을 허물어 이웃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게 됨으로써 공적 공간과 사 적공간 사이에는 매개공간이라 할 수 있는 반공적 공간과 반사적 공간이 형성되어 영역의 위계가 자연스럽게 연계된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가로공간에서는 담장을 기준으로 가로공간은 공 적공간, 담장 내부의 정원 및 마당은 사적공간으로 그 영 역이 구분될 뿐만 아니라, 이웃간의 교류가 쉽게 형성될 수 없는 조건을 만들게 된다. 즉, 기존의 가로공간은 외부 차량이 통행하게 됨으로써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적 공간이 되어 거주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상 황이었다.

그러나 계획안에서는 외부차량을 통제하고 담장을 허물 어 개별 필지내에 주차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가로와 개별주

(8)

택의 마당 일부가 공유공간으로 조성된다. 다시 말해, 공적 공간이었던 가로는 거주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유공 간으로서의 반공적 공간이 형성되며, 사적공간이었던 정원 및 마당이 개방되어 공유공간으로서의 반사적 공간이 자연 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반공적 공간은 집단의 결속을 돕고 이웃간의 사 회적 교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회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반사적 공간은 소규모 집단에게 강한 일 체감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이웃간의 커뮤니티 가 보다 활성화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표 5. 주차공간 확보 후 형성되는 공간의 위계적 영역성

주차공간 확보전 주차공간 확보후

가로 특성

․빈번한 외부차량의 통행

․무질서한 노상주차

․담장으로 인한 가로공간의 이분화

․가로공간 및 가로활동의 축소

․외부차량 통제와 노상주차 문제 해결로 가로의 안전성 확보

․매개공간 형성: 가로공간의 체계적 영역성 형성

․주민들 간의 교류 증대

가로 체계

영역성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단독주택지 내부를 통과하는 외부차량을 통 제하고 개별주차공간을 확보하여 활발한 가로활동이 이루 어질 수 있는 가로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거주자의 커뮤니 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이 루어졌으며, 그 내용 및 기대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 가로체계를 부분적으로 변화시켜 통과차량 을 제한하고, 십자형 가로 중앙에 볼라드를 설치하여 일방 향 통행을 유도한다. 이는 대상지를 통과하려는 외부차량 을 통제하게 됨으로써 거주자의 안전한 가로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둘째, 주택의 담장을 허물고 주택내 개별주차공간을 확 보한다. 이는 대상지내 노상주차가 빈번히 이루어지던 기 존 거주지의 무질서한 상태를 정비함으로써 축소된 가로공 간을 다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집단의 결속력과 활발한 사회적 교류 형성에 영향 을 주는 매개공간이 형성된다. 즉,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으

로 이분화 되었던 기존의 가로공간에 외부차량의 통행이 제한되고 담장이 제거됨으로써, 반사적공간과 반공적공간 이 형성되어 이웃간의 만남과 교류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 다. 이와 더불어, 볼라드가 설치된 가로중심부에는 주민들 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동마당의 개념의 공유공간이 형 성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 자 한다. 가로공간조성방안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한 결 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계획안에 의해 단독주택지내 무질 서한 주차공간을 정비하고 축소된 기존의 가로공간을 커뮤 니티 공간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주자의 소 속감 및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반공적 공간과 반사적 공간으로서의 매개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는 거주자들의 사회적 교류가 훨씬 원활하고 적극적으로 형성되어 그들의 커뮤니티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여겨진다.

끝으로, 본 연구는 주민들 스스로 그들의 커뮤니티 활성 화를 위하여 가로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 려는 의지와 참여의식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 서, 대구시 담장허물기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질서 있고 활 력 있는 가로공간 조성을 위한 정비방안 및 기초 계획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1. 김영석. 도시단독주택지에 있어서 환경과 행동과의 상호침투관 계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10). pp.137- 145. 2001.

2. 민병호․윤택용. 아파트 단지 가로의 주민이용행위 분석.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18(1). pp.133-144. 2002.

3. 박광재․강부성․강인호․박인석․박철수․이규인. 우리나라 주거단지계획에 있어서 가로공간 해석태도의 전개과정. 대한건 축학회논문집 13(6). pp.151-161. 1997.

4. 서성택. 도심 단독주택지의 가구내 획지특성 및 진입방식에 과 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5. 신남수․김종선․오세규. 도시 주거지역 “길”에서의 주민행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2), pp.3-10. 2001.

6. 정석.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현기본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9.

7. 제해성. 주거지역의 도로유형과 영역성능의 평가: 쿨데삭과 통 과도로의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3). pp.123- 134.

1990.

8. 최영은․홍원화․하재명. 단독주택지 유형별 내부도로 주차상 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9). pp.81-89. 1999.

9. Philip H. Lewis, JR. Tomorrow By Design ; A Regional Design Process for Sustainability.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1996.

10. Peter Katz. The New Urbanism : Toward an Architecture of Community. McGraw Hill. 1994.

(接受: 2005. 1. 4)

참조

관련 문서

We therefore link these wonderful creatures to our LIN RGB products which enable changing ambient light according to the car

Basic aspects of AUTOSAR architecture and methodology Safety mechanisms supported by AUTOSAR.. Technical safety concepts supported by AUTOSAR Relationship to ISO

GDP impact of COVID-19 spread, public health response, and economic policies. Virus spread and public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International Academic Year (Includes free airport transfer),.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Evening Primrose Oil which contains 7 -linolenic acid (18:3n-6)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roportions of 20:4n-6 and 22:4n-6 in

Micro- and nano-sized pores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lloy using PEO and anodization methods, and the pore shape change according to the Zr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dhesion control standards of pain relieving patch (PRP) drugs and to survey it′s adverse effects on the skin of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