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여 자 중 학 교 무 용 교 육 의 내 용 분 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여 자 중 학 교 무 용 교 육 의 내 용 분 석"

Copied!
6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 학 위 논 문

여 자 중 학 교 무 용 교 육 의 내 용 분 석

Contents analysis of Dance education in Girl's Middle School

-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이 영 란

2 0 0 2

(2)

여 자 중 학 교 무 용 교 육 의 내 용 분 석

지 도 교 수 조 한 범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002년 11월 일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체 육 교 육 학 과

이 영 란 2 0 0 2

(3)

이 영 란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2002년 11월 일

심사위원장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4)

국문초록

여자 중학교 무용 교육의 내용 분석

이 영 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본 연구는 여자중학교 무용교육의 내용을 총괄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무용 교 육의 충실화와 효율적인 수업 운영 및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연구할 내용을 1) 무용수업 경험여부와 이유, 2) 무용수업 실태, 3) 무용수업에 대한 흥미와 이유, 4) 선호종목과 미래생활에 도움을 주는 정도, 5) 무용수업의 필요성과 이유, 6) 무용감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지역의 5개 학교를 선정하여 설 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529부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채택하여 SPSS Windows 10.0 Version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 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 수업 경험 여부는 ‘경험 있다’가 ‘경험 없다’보다 많았으며, 무용 수업을 경험하지 못한 이유는 남자 체육교사만 있어서의 경우보다 여자 체육 교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용수업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가 많았 다.

둘째, 무용 수업은 무용 이론보다 실기나 무용 감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기 수업의 경우 창작 무용, 민속 무용, 한국 무용 순으로 수업이 이

(5)

루어지고 있었다. 무용 수업 시간의 적절성 여부는 부족하거나 많다는 학생들 에 비해서 적당하다는 응답률이 높았다.

셋째, 무용 수업에 대한 흥미도는 ‘흥미 있다’가 ‘흥미 없다’보다 많았고, 흥미 가 없었던 이유는 ‘소질이 없어서’, ‘관심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 수업 시간에 배우고 싶어하는 종목으로는 ‘째즈’, ‘현대 무용’, ‘발 레’와 같은 활동적인 외국 무용에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학습한 무용수업이 미래 생활에 도움을 주는가에 대한 응답으로는 ‘그저 그렇다’라는 내용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무용 수업의 필요성 여부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필요하다’라고 응답 하였으며, 필요한 이유로는 ‘리듬감과 유연성이 좋아진다’, ‘몸의 자세가 바르게 된다’, ‘정서 및 심리적으로 도움을 준다’라는 이유였으며, ‘필요하지 않다’라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는 ‘실생활에 필요가 없으므로’, ‘취미가 없어서’의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무용 감상 여부는 ‘가끔 있다’가 가장 많았다. ‘없다’의 경우 그 이유 는 ‘관심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학 관계로 시간이 없 어서’라는 이유가 그 다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6)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3

3. 연구 문제 ··· 3

4. 용어의 정의 ··· 4

5.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1. 무용 교육의 이해 ··· 6

2. 학교 무용 교육의 변천 과정 ··· 10

3. 중학교 무용 교육 과정 현황 ··· 20

4. 우리 나라 무용 교육의 문제점 ··· 22

5. 선행 연구 ··· 26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 29

2. 조사 도구 ··· 29

3. 조사 절차 ··· 30

4. 자료 처리 ··· 30

(7)

Ⅳ. 결과 및 논의

1. 무용 수업 경험 여부와 이유 ··· 31

2. 무용 수업 실태 ··· 33

3. 무용 수업에 대한 흥미와 이유 ··· 37

4. 선호 종목과 미래 생활 도움 정도 ··· 39

5. 무용 수업의 필요성과 이유 ··· 41

6. 무용 감상 ··· 45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 48

2. 제언 ··· 49

참고문헌

··· 51

ABSTRACT

··· 54

부록(설문지)

··· 57

(8)

표 목 차

표 1. 제7차 교육 과정 내 무용 지도 내용 ··· 20

표 2. 무용 수업 경험 여부 ··· 31

표 3. 무용 수업을 경험하지 못한 이유 ··· 32

표 4. 경험한 무용 수업 내용 ··· 33

표 5. 경험한 무용 실기 내용 ··· 35

표 6. 경험한 무용 수업 시간의 적절성 여부 ··· 36

표 7. 무용 수업에 대한 흥미도 ··· 37

표 8. 흥미가 없었던 이유 ··· 38

표 9. 무용 수업 시간에 배우고 싶은 종목 ··· 39

표 10. 학습한 무용 수업이 미래 생활에 도움을 주는가 ··· 41

표 11. 무용 수업의 필요성 여부 ··· 42

표 12. 무용 수업이 필요한 이유 ··· 43

표 13. 무용 수업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 44

표 14. 무용 감상 경험 여부 ··· 45

표 15. 무용 감상 기회가 없었던 이유 ··· 47

(9)

그 림 목 차

그림 1. 무용 수업 경험 여부 ··· 32

그림 2. 무용 수업을 경험하지 못한 이유 ··· 33

그림 3. 경험한 무용 수업 내용 ··· 34

그림 4. 경험한 무용 실기 내용 ··· 35

그림 5. 경험한 무용 수업 시간의 적절성 여부 ··· 36

그림 6. 무용 수업에 대한 흥미도 ··· 37

그림 7. 흥미가 없었던 이유 ··· 38

그림 8. 배우고 싶은 종목 ··· 40

그림 9. 미래 생활의 도움 여부 ··· 41

그림 10. 무용 수업의 필요성 여부 ··· 42

그림 11. 무용수업이 필요한 이유 ··· 43

그림 12. 무용 수업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 44

그림 13. 무용 감상 경험 여부 ··· 46

그림 14. 무용 감상 기회가 없었던 이유 ··· 47

(10)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무용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움직임으로 이루어지는 예술로써 신체의 활동 에 의한 공간 형성을 통하여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 감각을 표현하고 미래의 가치 판단을 나타내는 예술이다(김양곤, 1977). 또한 무용은 다른 장르의 예 술과는 달리 인간의 신체를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모든 인간이 자연 스럽게 경험할 수 있는 예술 활동이다. 따라서 무용을 교육한다는 것은 창의력 개발, 표현 능력 육성, 정서 순화, 리듬감 향상 및 사회적 행동 발달 등을 통 해 바람직한 인간으로 육성시키는 것이다(김숙희, 1993). 무용 교육의 본질은 미적 가치를 추구하는 과정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개성적, 창조적, 감각적 능력 의 향상을 꾀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학교에서 무용을 학습하는 목적은 “춤”이나 무용의 “작품”이 아니라 작품이 성취될 때까지의 과정에 있으며, 특히 정서 계 발을 통한 무용 교육의 효과는 다른 어떤 교육의 장에서도 마련되지 않는 특수 한 교육의 장으로써, 오늘날 교육에서 중요시되는 창의력 계발과 과정 중심 교 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김현주, 1997).

박종애(1996)는 교육은 일생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특히 예술 교 육은 어떠한 연령, 장소에서든지 학습을 자극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며, 무용 교육의 절대적인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가치를 이해 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이난숙(1979)의 경우 무용의 교육적 가치, 즉 인 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그 중요성에 비해 현행 교육 현장에서의 무용 지도는 참으로 한심스러울 정도로 경시되고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고 하

(11)

였으며, 이는 제도적으로 교육 과정의 개정이 필요하고, 무용과 체육은 그 본 질적인 면에서부터 다르며 의도하는 교육적 목표와 방법도 다르므로 미술, 음 악이 예술인 것과 같이 무용도 체육이 아닌 예술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 였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무용 교육에 대한 기본 인식은 무용이 특수한 계층의 신 체적 율동으로 잘못 인식되고 있거나, 개개인의 기호나 소질에 관계없이 입시 위주의 단기적 교육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어 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또한, 무용 교육의 내용도 무용 과목이 독립된 교과 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체육과목의 일부분으로 신체적 율동을 강조하고 있어 정 신적, 정서적 측면의 가치는 소홀하게 취급되고 있기 때문에, 무용의 예술적 가치가 전혀 무시되고 있는 형편이다. 그리하여 그 교육적 기대 효과도 달성하 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볼 수 있겠다(박경옥, 1995).

이와 같이 무용 교육이 체육교육의 일부분으로 취급되고 있다는 현실에서 볼 때 중ㆍ고등학교 무용 교육의 정착과 올바른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중요한 문 제이다.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무용 교육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파 행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원인으로 김혜숙(1994), 허정(1995) 등은 시설의 부족과 무용 전공 교사의 부족에 따른 비전공자 및 타교과 교사의 배치를 들었으며, 김혜숙(1994), 김지은(1994)등은 교재 교구의 부족과 입시 위주의 교과 과정에 따른 편파적인 수업 운영 등을 원인으로 지적하였다. 그밖 에도 무용 교육의 파행적 운영의 원인으로 무용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 족, 무용 교사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 부족 등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환경에서 중요한 교육적 역할을 하는 무용 교육의 실태를 조사ㆍ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을 연구하는 것은 앞으로의 새로운 무용 교육의 정립과 활성화에 기틀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12)

2. 연구 목적

학교 교육 과정 가운데 무용은 일반 주기 교육과는 달리 전인적 교과 교육 활동으로서 교육 과정 운영 과정에서 크게 중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장에 서는 표면적 교육 과정과 관련시켜 잠재적 교육 과정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는 이해를 달리하여 파행적인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청도 지역 여자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용 수업 실태를 총괄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무용 교육의 충실화와 효율적인 수업운영 및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3. 연구 문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1) 여중생들의 무용 수업 경험 여부에 따른 원인은 어떠한가?

2) 여중생들의 무용 수업 실태는 어떠한가?

3) 무용 수업의 흥미와 이유는 어떠한가?

4) 여중생들의 무용 수업에 있어 선호하는 종목은 어떠한가?

5) 무용 수업의 필요성과 이유는 어떠한가?

6) 여중생들의 무용 감상 여부는 어떠한가?

(13)

4. 용어의 정의

1) 전인 교육 : 인간이 지니고 있는 모든 자질을 전면적ㆍ조화적으로 육 성하려는 교육으로 정의하였다.

2) 한국 무용 : 한국적 미 형식을 본질로 삼은 모든 무용. 한국에서 옛 부 터 전해져 현존하는 춤이거나 소멸되어 이름만 남아 있는 춤, 혹은 새 롭게 창조되어진 춤 양식을 총칭으로 정의하였다.

3) 현대무용 : 20세기에 발생한 새로운 무대무용. 서양에는 16세기이래 발레라는 유일한 무대무용이 있었으나, 발레는 지나치게 기교적이고 형 식적 이어서, 그 인습과 질곡을 벗어나 인간의 정신과 내재한 영혼의 소리를 자연스럽게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무용을 추구하였다. 이러 한 기운에 부응하여 생긴 것이 모던 댄스이다. 그러므로 초기에는 프리 댄스, 익스프레싱 댄스라고 불렀고 독일에서는 노이에 탄츠라고 하였 다. 그후 모던 댄스라고 총칭하게 되었고, 이를 현대 무용이라고 번역 하기도 한다.

4) 발 레 : 유럽에서 발생하여 발달해온 무용형식이며 ‘춤을 추다’를 의 미하는 이탈리아어의 동사 ‘ballare'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다 리의 포지션에 기초를 둔 클래식 댄스의 정형 기법을 기준으로 하여, 그 기법을 사용하는 무용으로 정의하였다.

5) 째 즈 : 1920년대 이래로 “째즈 댄스”라는 용어는 대중적이며 예술 적인 댄스 움직임을 끊임없이 발전시켰음을 설명하는데 주로 쓰여졌다.

재즈댄스는 우리 대중문화의 반향이며, 문화로서 째즈댄스의 틀을 변화 시켰다. 째즈 댄스는 ‘즉흥’과 ‘개성’을 핵심으로 하는 춤으로 정의하였 다.

(14)

5.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1) 연구 대상을 충청도 지역 학생들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2) 질문지 응답 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의 심리적 상태 나 신체적 상태는 고려하지 않았다.

3) 피검자가 본 연구 도구인 설문지에 성실히 응답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15)

Ⅱ. 이론적 배경

1. 무용 교육의 이해

1) 무용 교육의 개념

무용은 인류사와 함께 최초로 발생되어 오늘날까지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예 술 중에서도 가장 최고의 것임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무용은 단순 한 예술이기 이전에 인류 발달이라는 차원에서 생의 약동이요, 그것을 본질로 한 인류진화의 원동력이기도 하다(배소심ㆍ김영아, 1985).

‘무용은 가장 인간적인 예술이다‘. 라고 언급한 것과 같이 무용의 매개체는 바로 인간의 신체이다. 인간은 자신의 신체를 통하여 내면 세계의 사상이나 감 정을 표출하여 자기 만족을 얻을 수 있고 미적 욕구에의 충족감을 맛볼 수 있 게 된다(김미자외, 1981).

그러나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은 무용이란 단지 천부적인 재능을 가지고 태어 난 특별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예술이라고 생각한다.

무용은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은 아름답고 리드미컬한 동작으로 표현하는 예 술이며 시간과 공간 속에 존재하는 육체의 율동적 운동이다. 또한 무용은 인간 의 감정과 의지를 몸으로 그럴듯하게 나타내는 동작이며 인간 내부의 미적인 정서를 율동적인 신체 운동을 통해서 표현하는 예술이다(한형식, 1991).

따라서 무용 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들어보면 더불리는 ‘무용은 운동을 통해 나타내어지는 전통적이며 지적 리듬형식의 확충이다’라고 하였고, 이사도라 덩컨은 무용은 형식에 얽메이지 않고 인간의 움직일 수 있는 모든 형

(16)

태의 움직임을 동원해서 새로운 미를 창조하는 예술이다‘라고 하였다(김지은, 1994).

이와 같이 학자들의 정의를 종합해 보면 무용은 움직임을 통하여 창작자의 미적인 가치관을 나타내는 예술이다. 다시 말해 신체를 통하여 내면 세계를 표 현하는 순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2) 무용 교육의 목표

교육의 기회 균등이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지위, 남녀, 경제 문제에 관계없이 누구나 다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기본 권리를 말한다.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 이 인간 형성에 있듯이 학교에서의 무용 학습은 인간 형성을 위한 것이지 무용 의 전문적 교육을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며, 또 종래와 같은 낡은 방법의 학교 무용에 있어서도 그 이념은 역시 인간으로서 보다 높은 교양을 쌓는데 있지, 결코 직업 교육을 시킨다는 것이 아니었다(황향희, 1997).

교육무용의 한 영역에서 진술되는 목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적, 표현적 신체를 기른다. 즉 무용적 신체를 기른다. 무용은 그것 이 어떤 위치에 속하는 것이던 신체적 운동으로 이루어지는 미적인 운동일 뿐 만 아니라 풍부한 표현력을 가지도록 엄밀하게 정신 된 운동이다.

둘째, 리듬감을 인간을 고통에서 해방시켜 주고 질서감을 불어넣어 능동감을 길러준다. 같은 리듬 속에 젖을 때 동류 의식이 싹트게 되고 여기서 단결과 용 기와 우애가 나타난다. 즉 무용은 이와 같은 리듬감을 파악케 할 뿐 아니라 창 조해내는 능력까지 길러준다.

셋째, 공간 구성의 능력을 기른다. 예를 들어 세모진 방보다 네모진 방이 안 정감을 주고 균등과 배색과 구조가 잡힌 옷이 쾌감을 주게 하는 것은 모두가 공간 구성의 결과 여하에서 기인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간 구성의 능력은 무한

(17)

한 공간 속에 유한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며, 유한한 공간 속에 또 다른 유한의 공간을 형성케 한다.

넷째, 즉흥력을 길러 준다.

즉흥력은 창조력과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어떤 사항이나 사고의 과정을 거 치지 않고 영감과 직결되어 자기가 처해 있는 적절한 대책이나 방법을 강구해 낼 뿐 아니라 자기에게 가장 유리한 조건이나 환경의 세계로 전환시키는 능력 을 기를 수 있다.

다섯째, 풍부한 표현력을 기른다.

풍부한 표현력은 사상, 감정, 이밖에 의지적, 의식적 바탕을 필요로 하는 정 신적 요소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무용은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객체와 주체가 자기란 단일체 인데 특색이 있다.

따라서 풍부한 표현력을 가진 인간은 다양한 표현 능력을 가진 인간이라 볼 수 있다(문인숙, 1979).

3) 무용 교육의 가치와 특성

무용은 창조적인 움직임을 통해 학생들이 예술적 가치를 깨닫도록 돕고, 인 간 표현의 가장 기초적인 양식-움직임(movement)을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교 육에 매우 독특한 기여를 한다(김화숙, 1995).

지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 도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조화 있게 발달을 하고, 건강한 신체를 가진 이상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 바로 교육의 목적이라 본 다면 무용 교육이야말로 어떤 교과목보다도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는데 이상적 인 수단이라고 믿는다(오정근 외1, 1972). 왜냐하면 무용 교육의 목표는 신체 와 정신의 조화로운 발달로 완전한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는 예로부터 몸가짐에 대해 보수성을 띠고 있었다. 몸의 움직임을

(18)

최대로 제한하여온 전통적인 생활상에 의거하여 아직도 그러한 생각에서 벗어 나지 못한 부분이 남아 있는데, 무용 역시 그 전통의 영향을 받고 있어 무용이 교육적인 측면에서 부각된 것도 오랜 시간의 일은 아니다.

무용의 교육적 가치를 보면 다음과 같다(김지은, 1994).

첫째, 신체를 매개로 하여 표현하는 예술이므로 신체가 조화있게 발달한다.

둘째, 내면의 감정을 표출하여 스트레스와 긴장을 해소시켜서 건강한 정신 세계를 구축한다.

셋째, 심미적 인간 육성으로 정서가 메마른 현대인들의 정서 순화에 도움을 주므로 문화적 인간을 육성할 수 있다.

무용에 속하는 운동은 인간의 모든 생활에서 하는 인간동작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무용을 한다는 것은 대단히 많은 운동을 신체적으로 경험한다는 것이라 고 말할 수 있다(Martin, 1972). 이러한 운동 형태는 일상의 운동을 가장 리 듬화한 것이며, 미적인 운동, 풍부한 정서적 표현력을 가진 무용 운동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용 학습은 신체 운동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걷기, 회전, 진동, 굴신, 파동 등의 운동을 함으로써 풍부한 운동 능력과 미적, 조화적, 균형적 발육 발달의 기능과 유연한 몸매와 아름다운 표현 능력의 배양 등으로 질 높은 운동 경험을 맛보게 한다(전미숙, 1984).

우리는 학교 교육을 통해 성장기 내내 창조적 충동을 계속 유지시키도록 도 와주어야 하며, 또한 이 충동은 학생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보다 증대된 노력과 진보된 목적을 가지고 실생활에 활용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따라서 이희선(1993)은 다음과 같이 교육 무용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① 움직임 교육을 통하여 움직임의 원리를 이해시키며, 움직임을 최대 한 다양하게 확대시켜나가는 과정에서, 자아실현을 할 수 있게 한 다.

(19)

② 개인의 창의성을 계발시키기 위하여, 잠재된 감각을 일깨워 주어서 자유롭게 창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③ 무용의 표현성과 감상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미적 경험을 할 수 있 게 한다.

④ 무용을 통하여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도록 하고, 다른 예술과 밀 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예술에 대한 통합적인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⑤ 무용하는 과정에서 사회성을 육성시킨다.

⑥ 미래의 생활에서 레저 활동으로 무용을 즐길 수 있게 한다.

김화숙(1995)은 교육 무용의 특성을 신체와 인성 자체를 포함하며 운동 교 육과 표현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가치를 갖는 영역으로 즉 무용은 인간자체를 다루는 학문으로 모든 사람을 위한 교육이며 창조 활동으로서 인간 형성을 지 향하고 있는 교육이라 하였다.

2. 학교 무용 교육의 변천 과정

1) 우리 나라의 무용 교육

우라 나라 무용 교육의 시작을 살펴보면, 가ㆍ무를 중히 여기던 고려 시대부 터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서기 1160년 예종 11년 임금께서 중국으로부터 ‘일 무’라는 춤을 도입하여 궁중에서 무동들에게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춤 은 공자 탄신, 제사, 나라의 향연, 오국 사신의 영접 등 나라의 큰 행사 때 추 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춤과 노래를 배우고 익힌다는 것은 높은 교양을 쌓 는 것으로서 바른 몸가짐과 정신 교육에 뜻을 두었다고 하여 인격 도야에 있어 높은 학문과 함께 갖추어야 하는 덕목이었다고 전한다.

(20)

이와 같이 우리 나라의 무용은 역사와 함께 존재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편, 1800년대 말 우리 나라는 학교 설립과 함께 일본식 현대의 서구식 교 육이 도입되었으며, 학교 교육에서 체육이 정규 수업으로 채택된 것은 1900년 대 초였다. 수업 내용은 남학생에게는 체조를, 여학생에게는 ‘유희’를 가르쳤다.

‘유희’는 1850년경 독일의 “그르게”(Grge)라는 교육자가 여학생의 체육을 위하 여 창안하였으며, 음악에 맞추어 쉬운 춤동작을 엮어 실시하였고, 이것을 ‘음악 유희’ ‘합창 유희’라고 하였다.

1908년에는 교육 칙령 제22호를 선포하여 고등 여학교에서 체육을 정규 과 목으로 가르치게 하였는데, 그것이 계기가 되어 1909년에는 ‘체조는 유희나 학교 체조로 수업이 가함’이라 제정하게 됨으로써, 이때부터 여학생들에게 ‘유 희’를 가르치게 된다. 1911년에는 조선교육령에서 ‘체조는 유희 또는 보통 체 조로 수업이 가함’이라 하였으나, 1914년의 체육수업 목표는 ‘전쟁 수단의 방 법으로 체조와 ‘유희’를 행함‘이라고 기록되어, 당시 ‘유희’의 내용이 어떠했는가 를 짐작케 한다. 그리고 1919년 총독부령 제188호에서는 ‘체육과의 교과에 대 해 그 내용은 체조, 교련 및 유희로 함’으로 바뀌게 되었다(김옥진, 1995). 또 한 구국 운동으로 시작된 우리 나라 병식 체조는 민족주의 차원에서 교육된 것 인데, 이 체조는 움직임을 천시하는 일반 대중에게 움직임에 대한 새로운 인식 을 불어넣음으로써 그 속에서 무용 교육이 자연스럽게 싹틀 수 있는 터전을 제 공하였다.

우리 나라 신 무용의 역사는 석정막의 내한 공연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공연 은 무용을 예술로서 인식하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하여, 학교 무용 교육 에 영향을 끼치게 되며, 1926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최된 무용 강습회는 주로

‘율동 유희’를 교육함으로써 무용을 가르치는 교원들의 교육 기회로 자리 잡았 으며, 운동회나 학예회 등의 각종 행사를 통해 무용이 체육 교육적 측면을 탈 피하고 예술 교육의 한 분야로 인식되는데 기여했다. 그리하여 1930년대 후반

(21)

에 이르면 일본의 영향에서 벗어나 우리 고유의 ‘유희’의 개발과 ‘교육 무용 연 구소’의 설립으로 무용 교육은 활성화된다. 그후 1949년 12월 31일에는 법률 제86호로 해방 이후 최초의 교육법이 공포되며, 1951년에는 중ㆍ고등학교가 분리되면서 개편된 학제 변경에 따라 교과목별 시간표가 작성되고 교수 요목 조직 심의회도 구성되어 1955년에 비로소 학교 교육에서 다루는 무용을 ‘학교 무용’이라 명하게 된다. 그러나 무용은 독립된 교과로 인정받지 못한 채 초등은 보건과에 속했고, 중등은 체육의 일부분으로 속하게 된다. 해방후 두 번째의 교육 과정 개편이 이루어지는데 이 때의 교육 과정 내용에서 무용은 초등의 경 우 체조 놀이, 춤 놀이, 보건 위생 등과 같은 단원으로 구분되었고, 중등은 몸 익히기, 리듬 훈련, 옮겨가기, 나타내기, 춤추기, 무용 이론 등으로 세분화된 다.

1981년의 교육 과정 개편에서는 리듬 동작 익히기, 민속 무용, 창작 무용 등으로 편성되었으며, 1987년 개편된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움직임 교육과 예술적 교육이 대폭적으로 강화된다. 그리하여 무용 교육의 내용이 기본 움직 임을 결합한 기능 익히기, 무용 동작의 기본 요소를 결합한 기능 익히기, 무용 동작의 기본 요소와 무용과의 관계를 기본 요소를 결합한 기능 익히기, 형태를 갖추어 춤추기, 사람 및 물체와의 관계를 구성하여 춤추기 등의 인지적 요소가 첨가된 예술적 측면이 강조되었다. 따라서 교육의 예술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 이 고루 다루어지게 되었다.

무용의 교육적 측면이란 창조적인 잠재력을 자극하고 자신과 사회적 인식을 촉진하며, 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다. 사실 지금까지는 무용의 교육적 중요성을 인정하라는 소리 높은 외침만 있었을 뿐 참된 무용 교육은 실시되지 않았고, 교과 과정 자체도 그저 사회적 시류에 따라 표류하면서 어느 한 면에 만 치중하거나 겉으로 드러나는 결과에만 집착해 왔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무 용 교육은 확실한 교과과정을 바탕으로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하는 무용 교육의

(22)

속성이 잘 관철되는 방향으로 예술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이 균형 있게 발전되 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김운미, 1996).

2) 외국의 무용 교육

(1) 일본의 무용 교육

일본은 풍부한 지역 문화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문 무용인 보다는 아마츄어 무용 인구가 훨씬 더 많은 나라이다. 일본의 무용 교육은 체육 교과에 포함되 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메이지 7년(1894)에 아이치 사범 학교의 이자와가 프뢰벨(Frobel)에게서 영감을 얻어 ‘동백꽃’, ‘나비’등의 창가 유희를 초등학교에서 시도하게 된 것이 무용 교육의 시작이 된다. 그리고 명치 9년에 도쿄 여자 사범학교 부속 유치원에서는 도요다, 곤도 등의 지도자 가 ‘풍차’, ‘집비둘기’등의 유희를 지도하였다. 또한, 메이지 30년경에는 학교에 서 가르치는 보통 체조가 형식화됨으로써 체육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반면에 유희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로 인하여 유희에 관한 저서 의 출판과 체조 유희 조사위원회가 조직되어 경쟁 유희, 행진 유희, 동작 유 희, 창가 유희, 표정 유희 등의 새로운 명칭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얼마 후 경쟁 유희는 스포츠 경기로, 행진 유희는 현재의 포크 댄스로, 동작 유희, 창가유희, 표정 유희는 창작 무용으로 발전 변모해 간다.

한편, 형식 체조 일색이던 체육시간에 자주적이고 자유로운 활동인 유희의 도입은 유희가 아동들에게 한 발 다가서는 기회가 되었으나, 일본의 부국 강병 책 으로 인해 체육 속에 유희가 확고하게 자리잡기까지는 대단한 노력이 필요 했다. 메이지 시대이래 보통 교육에서의 무용 교육은 3차례에 걸친 교육 개혁 으로 체육 교과의 목표 변화에 따라 무용 교육은 3차례에 걸친 교육 개혁으로 체육 교과의 목표 변화에 따라 무용 교육도 변화하게 된다.

(23)

제1기는 메이지 시대의 유희와 카드리유(quadrille), 코티용(cotillon) 등의 무용곡, 여러 가지 무용 스텝의 연습을 중심으로 한 교재(행진 유희)와 표현위 주인 무용(창가 유희)의 실행을 거쳐, 전시 색채가 강한 쇼와 11년(1936)에 는 학교 체조 교수 요목에 행진 유희와 창가 유희를 여학교에 처음으로 채택하 였다. 그러나 표현성을 중시하면서도 교사가 만든 기성 작품을 따라하는 교수 내용을 위주로 하여 신체 수련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제2기는 교육 개혁에 의해 창작 무용과 포크 댄스가 주 내용으로 되었고, 명 칭은 체육 교과에 포함된 무용이라 하여, 처음으로 무용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사용된다. 창작 무용의 내용은 표현 기술, 작품 창작, 작품 감상이며, 포크 댄 스의 내용에는 외국 민요, 일본 민요가 채택되었다. 그 후 일본의 무용 교육은 창작 무용을 중시하면서도 대개 포크 댄스와 같이 내용이 구성되어 왔다. 2차 교육 개혁은 미국의 주도로 행해져 당시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마쓰모 토를 중심으로 구성된 창작 무용 지도법은 일본의 독자적인 무용 교육의 기틀 이 되었다.

제3기는 ‘평생 스포츠’라는 새로운 시대적 사조의 환경 속에서 1990년에 제 정된 새 교과 과정의 내용인 평생 교육, 국제화, 개인차라는 과제를 향해 다양 한 무용 학습 내용과 남녀가 같이 할 수 있는 무용을 도입하게 된다. 중등학교 에 있어서 무용은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표현하고 민 속 무용을 즐겁게 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창작 무용은 표현하고 민속 무용을 즐겁게 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창작 무용은 표현의 방법을 연구하여 작품을 창작할 수 있도록 하고, 민속 무용은 즐겁고 경쾌하게 출 수 있도록 하였다.

일본은 학교 교육 제도에 있어 무용을 철저하게 체육 교과의 한 단원으로 위 치하게 했을 뿐, 예술 교과에는 포함시키지 않음으로써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체 육 또는 무용 교사의 양성은 충실히 하고 있으나, 전문적인 무용가 양성은 제

(24)

도적으로 되어있지 않다. 그러므로 전문 무용가 양성은 고교 발레에서 교육하 여 직업 무용가로 진출하고 있다. 그리고 유치원, 초ㆍ중등 교육에서 대학까지 종적인 연결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952년 발족한 체육의 소집 단 학습 연구는 체육에 자주적 학습 형태를 도입하게 되고 무용의 창작 학습은 자주적 학습의 가장 자연적인 형태로서 권장되었다. 그리하여 마쯔모도지오에 를 중심으로 구성된 일본의 무용 학습 연구 그룹은 창작 무용의 과학적, 체계 적인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의 1990년 개정된 학습지도 요령과 무용의 관계에서도 표현력을 중시하 고 있는데, 그 내용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생활 과목에 체험이나 활동을 신체 적으로 표현하라로 되어있다. 따라서 일본의 무용 교육은 체육에 포함되어 표 현 운동 혹은 댄스의 한 영역으로 되고 있다. 그러므로 창작 학습을 다방면으 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창의적, 미적 능력을 고취시키고, 유치원 놀이 활동에서 부터 고등학교의 고차원적인 무용에까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김정희, 1995). 더불어 일본의 무용 교육은 평생 교육으로써 일반인에게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제도적인 차원에서 지원을 충분히 함으로써 지역적 특성에 맞는 풍부한 춤이 발전되고 있다.

(2) 미국의 무용 교육

미국에서는 19세기 무렵 여학교와 여자대학이 설립되면서부터 무용 수업이 시작되었다. 그 발단은 체육지도자 앤더슨(Anderson)의 폭크 댄스(Falk dance)도입에 있었다고 한다. 19세기 무렵에서 20세기 초두에 걸쳐 미국의 무용 교육은 다양하게 전개되었는데, 20세기 초두의 미국 무용 교육의 내용은 미적인 무용, 체조 무용, 포크 댄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적인 무용은 델 사르트(Delsarte)식 미적 체조를 발전시킨 것으로 주로 여성들이 즐겨 했으 며, 신체의 발달보다는 아름다움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명칭은

(25)

비록 체육의 한 영역인 체조였지만 실제로는 무용으로서 독자적인 길을 걷고 있었다. 그리고 남성적 근육의 발달을 목표로 한 체조 무용은 남성들 사이에서 추어졌다. 또한 포크 댄스는 레크리에이션(recreation)과 어울려 20세기 초두 에 급속히 대중화되었다. 한편 근대로 접어들면서 체육은 사회, 문화적 상황에 힘입어 몸과 마음의 조화를 목표로 하는 심신 일원론적 자연 운동 방향으로 나 아가고 있었다. 체육이 생리학적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자 새로운 미적 감각에 대한 갈망도 훨씬 구체화되기에 이른다. 그리하여 무용은 체육이나 체조와는 구별되는 독자적 영역으로 사람들에게 인식되었으며, 학교 교육에서도 무용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를 두고 우리는 근대 무용 혁명이라고 부 른다. 근대의 무용 혁명을 거치면서 학교 교육에서는 독자적인 위치를 굳혀온 무용은 1900년에서 1910년에 여성들을 위한 체육 교육 프로그램의 필수 과목 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1910년대에는 콜비(Colby), 라슨(Lason), 드블러(Doubler) 등이

‘자기 표현’이라는 개념을 무용 교육에 도입한 결과 무용 교육의 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무용 교육이 급진전을 이루게 된 배경에는 듀이 (Dewey), 파커(Parker) 등의 철학자들에 의한 새로운 교육 사상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그들은 ‘행하면서 배우는’ 유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신교육 사상이 바탕이 된 콜비의 ‘자연 무용’이 널리 소개되면서 1920년대에는 학생의 전체적인 성장과 관련된 더 넓은 목표가 강조된다.

1910년대 이래로 개인적인 욕구에 초점을 맞춘 체육의 자연 주의 운동과 진 보적 교육 사상에 의한 아동 중심적 교육 원리가 결합된 무용은 그 교육적 가 치를 최대한 발휘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무용은 체육의 한 형식 이자 예술의 형태인 창작 활동으로서 학생들에게 창조적 예술 체험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창조적 예술 경험으로 인식된 무용교육이 창조적지도 과정을 중 시하는 전인 교육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26)

이 시기에는 사교장이나 YWCA 등의 사회 단체에서도 무용 강습 프로그램 을 확충함으로써 일반인에게도 무용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켜 무용인구의 저변 확대와 더불어 무용의 위상이 높아지게 되었다(김운미, 1996).

한편, 미국 모던 댄스(modern dance)의 발전과 무용 교육의 변혁이 활발 히 일어났던 1930년대를 ‘무용의 시대’라고 불렀는데 그 이유는 ‘무용 전문 분 과회’와 ‘베닝턴 학교(Bennington school)의 설립 때문이었다. 그 당시 미국 의 무용 교육은 학교 현장에 빠르게 보급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교사의 지도력 과 지도 내용 방법 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문제의 해결책으로 ’무용 전문 분과회‘ 와 ’베닝턴 학교‘가 설립된다. 그리하여 이를 계기로 교육과 예술 문화가 병행하여 발전하기 시작한다.

‘베닝턴 학교’의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실기와 이론 수업, 프로 예술가의 무 대 상연 등으로 구성된 6주간의 프로그램과 테크닉(technic), 컴퍼지션 (Composition), 관련 예술, 이론, 교육법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베 닝턴 학교’의 교육 과정에는 이미 오늘날 대학의 무용학과 교육 과정의 전체 상이 담겨 있었다. 한편 제2차 세계 대전 후 초등 교육에서는 창작 무용을 하 였으며, 중등 교육의 내용은 모던 댄스(modern dance)를 중심으로 포크댄 스, 탭 댄스(tap dance), 사교 무용(social dance), 스퀘어 댄스(square dance), 발레(ballet)등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1950년대 이후에도 계속해 서 ‘무용 전문 분과회’를 중심으로 무용 교육은 발전되어 갔으며,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103개의 대학에 무용학과가 체육 학부에서 예술학부로 눈에 뛰게 이동하며, 예술계 출신 무용 교사의 인정 제도가 마련되기도 하였다(현희정, 1993).

(3) 영국의 무용 교육

영국의 학교 교육에 있어서 무용 교육의 시작은 오스터버그(Osterberg)가

(27)

1885년에 개교한 ‘체조 전문 학교’에서 시작되었다.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체 조, 육상, 수영, 스웨덴의 내셔널 댄스(national dance)등을 가르쳤다. 그후 1910년대는 그리스 무용을, 1920년대는 모던 댄스를 대학에 도입하게 되었으 며, 1930년대에는 라반(Labsn)의 이론에 입각한 모던 댄스가 도입되었다.

1938년에 영국으로 망명한 라반은 무용 코스를 개설하는데, 이곳은 당시 학 교 교육에 도입되기 시작한 모던 댄스를 배우기 위해 현직 교사들이 모이는 거 점으로, 라반은 영국 무용 교육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이와 같은 동향 속에서 영국의 무용 교육이 크게 전환하는 계기가 된 것은, 1941년에 링(Ling)협회 가 주최한 ‘무용의 교육적 가능성 연구’라는 주제의 회의였으며, 이 회의에서 합의한 모던 댄스를 체육계와 교육부의 후원을 얻어 널리 보급하게 된다. 라반 의 이론과 방법이 도입되기 시작한 1930년대 영국의 무용은 예술 문화적인 측 면보다 이론에 입각한 교육적인 무용 형태가 현장에 침투해 갔다.

영국의 라반 센터(Laban Center)교장인 라리온 노스(Lalion nos)교수의 연구에 따라 1940년대의 학교 무용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기초 수준(11년 과정으로 우리 나라 초등학교 수준)에서는 연령에 알맞은 기능 교육과 음악, 연극 등 다른 종류의 시각 예술을 경험시키면서 주로 상상력과 창의력 육성에 역점을 두었으며, 춤을 안전하고 균형 잡힌 체계 안에서 신체와 정서, 긴장과 이완 등의 관계가 표현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중등 과정(11∼18세)이 되면 춤 기술은 보다 높은 수준으로 발전되어 숙련된 활동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즉흥, 안무, 창의성에 역점을 둔 교육과 무용의 역사, 사회학, 인류학, 미학, 철학 등의 광 범위한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또한 움직임의 원리를 학생들에게 깨닫게 하고 무용 교육이 타 교과와 연관을 갖도록 하면서 교육의 목적을 달성시키는데 중 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영국의 교육계는 듀이(Dewey)의 프라그머티즘(Pragmatizm)에 기초를 둔

(28)

교육 이념을 주축으로 아동의 주체성과 경험을 중시하는 자유롭고 창조적인 교 육을 지향하였다. 표현 활동의 일환으로서 무용 교육은 이 목적에 합치했고, 나아가서 무용에 대한 명확한 이론을 제시한 라반의 출현은 무용교육의 발달을 지향하였다. 라반은 인간의 신체 운동을 과학적ㆍ예술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운동은 무게ㆍ시간ㆍ공간ㆍ흐름이라는 4요소의 구성에 의해 생기는 것임을 명 확히 하고, 그 운동을 추진하는 통합적 힘을 「에포트(epport)」라는 개념으 로 설명하였다. 모든 움직임은 에포트의 실현으로 가능하고, 4요소에 입각한 운동 분석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라반의 이론은 무용이나 교육분만 아니라, 연극, 산업, 치료 등 다방면에 응용되었다.

영국의 중학교 무용 교육을 살펴보면 첫째, 움직임에 그 자신의 표현적 가능 성을 가미하는 것, 둘째, 학생들의 학창 시절, 세계와 예술에 관한 의견들, 생 활의 여러 가지 상황이나 국면을 객관화시키는 움직임의 힘을 감지하고 판단하 는 것 셋째, 무용의 예술적 형식에 있어서 움직임의 가능성을 발전시키고 감지 하는 것 그리고 전신 또는 부분의 움직임 원리로서 공간, 시간, 흐름, 힘, 방 향, 높낮이 등을 지도하였다. 더불어 개인과 동료의 관계를 강조한 자주, 창조 적 활동과 신체 훈련, 사회적 행동과 신체 훈련 등이 통합된 교육으로 무용에 의한 풍부한 인간 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등학교 무용 교육은 미국의 드블러(Doubler)가 ‘창조적 예술 경험으로서 무용’이라는 무용 원론을 세워 무용에 대한 연구화 교육을 하고 대학을 중심으 로 무용 교육의 새로운 형식인 모던 댄스를 받아들였다. 오늘날 영국의 무용 교육은 초ㆍ중등 교육 단계에 있어서 일관된 자주, 창조의 활동과 신체 훈련 및 사회적 행동과 신체 훈련이 종합되어진 교육 형태를 가지고 충실하게 발전 되고 있다. 또한 영국 무용 교육의 발자취 속에서 특기할만한 것은 대학에 Human movement studies라는 전공과의 탄생이다. Human movement studies는 1967년 런던대학(Goldsmiths College)에 설치된 ‘인간의 움직임

(29)

에 관한 학문’으로 내용은 무용의 이론과 실기를 중심으로 하며 라반로테이션 (Labanrotation), 에포트순회(effort rotation), 동기쓰기(motive writing) 등을 사용한 동작 분석(movement analysis)도 병행해서 교수되어지고 있다.

3. 중학교 무용 교육 과정 현황

1) 무용 지도 내용

표 1. 제7차 교육 과정 내 무용 지도 내용

1학년

- 무용 영역(창작 무용) - 표현 방법의 이해, 기능 - 내용의 특성, 효과, 기본원리 - 가치의 인식, 창의적 표현

2학년

- 무용 영역(창작 무용, 민속 무용) - 표현 방법의 이해, 기능

- 특성, 효과, 민속 무용의 역사

3학년

- 무용 영역(창작 무용, 민속 무용) - 다양한 표현 방법을 이해, 기능 - 특성, 효과, 무용의 역사 - 가치의 인식, 적극적 표현

<표 1>에서와 같이 제7차 교육 과정기의 무용 내용에서는 학년 별로 1학년 은 창작 무용, 2학년은 우리 나라 민속 무용, 3학년은 외국의 민속 무용을 필 수 내용으로 구성한 뒤, 그 밖의 내용은 선택으로 하여 학년 별로 특성을 고려 하였으며, 학교 교육에서 선택할 수 있는 무용 교육의 폭이 넓어진 것으로 보 인다. 더욱 폭넓은 무용 장르의 확대와 교육 기회의 제공이야말로 21세기의

(30)

다양한 정보ㆍ지식사회에서 자칫 소홀해지기 쉬운 정서적인 면이나 체력 향상 에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2) 무용 교육 과정의 특성

무용은 예술의 한 장르이다. 소리를 표현하는 것이 음악이며, 문자를 나타내 는 것이 문학이고, 자신의 내면세계를 모든 언어적인 표현과 표정으로 나타냄 이 연극이라면 무용은 신체 운동을 통해 표현되는 예술이다(김희정, 1999).

무용의 본질적인 특성은 첫째, 유희성이 풍부한 문화적 활동이며, 둘째, 예 술성을 가진 상징형식의 활동이며, 셋째, 보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춤추며 즐기는 독자성을 지니고 있는 활동인 것이다.

우리 나라 무용이 교육으로 도입 된지 80년이 되었으나 아직까지 무용 문화 의 본질적인 특성이 교육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교 교육으 로서의 우수한 무용 교육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학교 교육으 로서의 우수한 무용 교육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해 많은 토론과 일선 교사를 위 한 재교육을 실시해야하며, 무용 교육과정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확립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첫째, 무용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구조는 폭넓은 기 초를 확보하여야하며,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양상들을 총망라하여 설계되어 야 한다. 폭 넓은 기초란, 신체 인지의 발달과 무용 기술, 창의적인 체험, 민 속, 민족적 자료들, 미학적 인식, 체력 단련 등을 통하여 무용에 대한 기반을 확보하여야 하며, 학생들은 지역 사회와 교육적 현장에서 적절한 경험을 수행 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자격교사 선발, 즉 공인된 무용 교사란 대개 무용 전공자, 무용에 각별한 관심을 가진 체육 교사, 또는 무용가로서 교육에 뜻이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박시종, 1994).

(31)

4. 우리 나라 무용 교육의 문제점

일반적인 교육 계획에 있어서 무용을 포함하는 것은 자연적인 신체의 성장과 개성의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모든 학생들에게 경험할 수 있는 자유로운 기회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Margaret N. H'Doubler, 1957)고 무용의 교육적 의미 를 정의하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에서의 무용은 창의적으로 자신을 표현해 보 는 활력의 장이어야 하며 전인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개발의 능력을 키워 나가 야 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무용 교육의 현실은 이를 실현해 나가기에는 아 직까지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면 우리 나라 무용 교육의 문제점이 며 이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1) 대학 무용 교육의 문제점

우리 나라 무용 교육의 기본은 아직도 그 문제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 우리 나라 대학의 무용 교육은 무용실기에 있어서 전문가의 양산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무용이론가, 무용 교사에 대한 교육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 정이다. 특히, 대학의 무용 교육과 중등학교의 무용 교육이 긴밀한 연계성을 맺지 못한 채 서로 겉도는 현상이 나타나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기 위한 해결 책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1) 제도상의 문제점

우리나라 중ㆍ고등학교에서는 무용 교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무 용교사라는 명칭이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체육 교사라는 명분으로 체육 교과 목 안에서 극히 일부분인 무용을 담당하고 있을 뿐이다.

대학 교육에서는 체육(학)과, 무용(학)과로 분리되어 전혀 다른 구조의 교육

(32)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졸업 후 교사 자격증은 체육 교사 자격증을 받게 된다. 대학의 무용(학)과에서는 무용과 체육의 구분을 짓는 시기를 떠나 무용과 자체 내에서 진보된 무용학적 학칙을 마련하여 보다 전문적인 무용교사 의 양성을 위하여 준비를 해야 한다(박현옥, 1985).

무용학과 졸업생들에게 주어지는 학사 학위에 대한 체제 개편 또한 시급한 실정이다. 무용학과 졸업자에게 부여되는 학위 명칭은 모두 체육학사ㆍ이학사 ㆍ문학사 등 획일화된 학사 제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근 들어 각 대학 무용학과에서는 이와 같은 제도를 개혁하기 위하여 체육학사ㆍ이학사ㆍ문학사 등의 학사를 「무용 학사」로 내보내고 있는 학교가 있고, 또한 「무용 학사」

로 개편하려는 제도를 마련 중인 학교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석사 학위의 경 우 대부분의 학교가 「체육학 석사」로 학위가 나가고 있으며, 교사 자격증의 경우 교사 자격증의 명칭이 「체육 교사 자격증」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교육과 정은 획일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학 교육의 가장 큰 모순은 예술가 양성의 교육자 육성의 두 가지 측면 어 느 쪽도 충족시켜 줄 수 없는 불투명한 교육이 되었다는 점이다. 훌륭한 무용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항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로 대학교 무용(학)과의 졸업생 학사 학위는 무용 학사ㆍ체육 학사ㆍ이 학사 등 각 학교마다 그 학위제도가 다르다. 따라서 통일된 학사개편이 이루어 져 무용학과 졸업생은 「무용 학사」로 통일되어야 한다.

둘째로 교직 과정 이수 후 주어지는 교사 자격증은 체육 교사 자격증이 아니 라 「무용 교사 자격증」으로 독립시켜야 한다.

셋째로 소속 단과 대학에 적합한 교육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여 개성 있는 교 과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현재와 같이 무용학과 내에 실기 위주인 한국 무용, 발레, 현대 무용 전공으로만 구분하여 교육할 것이 아니라 무용 이론 전 공, 무용 교육 전공 등 보다 세분화된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33)

따라서 이와 같은 사항은 무용 교육을 보다 전문화, 체계화된 형식으로 이끌 어 보다 실질적인 교육을 형성시키는 요소라 볼 수 있다(노윤재, 1996).

2) 중ㆍ고등학교 무용 교육의 문제점

(1) 교육 목적의 불분명성

무용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무용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사 상, 사고,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다(Atleene, Lockhart Esther, 1966). 따 라서 무용 교육의 개성적, 감상적, 창조성, 표현성과 감상의 원리에 기초를 두 고 미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데 그 본질이 있다. 또한 중등 체육의 교과 목표는 여러 가지 운동을 통하여 체육과 다양한 운동기능을 기르고 건강과 안전 및 운 동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여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며 운동을 통한 건전한 생활 태도를 기른다(문교부, 1987).이며, 고등학교 체육의 교과 목표는 “여러 가지 운동을 통하여 운동의 기능과 체력을 기르고 운동과 건강에 필요한 지식을 습 득하여 바람직한 사회적 태도를 기른다(문교부, 1988).”고 되어 있다. 물론 구 체적 목표에 신체 활동을 통하여 사상과 감정의 표현 및 감상 능력을 기르게 한다고 무용의 목표를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인 교육 목표에 가장 큰 모순은 무용은 예술이고 체육은 예술이 아니라는 점이다.

음악ㆍ미술과 같은 무용도 독립된 과목으로 취급되어야 하며 체육 교육의 일 환으로서가 아니라 예술 교육의 일환으로 취급될 때 무용 교육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며, 교육 목표와 방향이 분명해질 것이다. 따라서 남ㆍ녀 중ㆍ고등학교를 불문하고 무용 교육은 체육 교육에 종속될 것이 아니라 근원적 인 측면에서 미술ㆍ음악과 같이 예술 교육 대열에서야 한다.

(2) 교과서 내용의 빈약

(34)

교재의 교육 목표와 방향이 뚜렷하지 못하다. 무용은 예술이고 체육은 예술 이 아니라는 데에 있다. 물론 무용이 체육 교육의 목표 달성에 바람직한 방법 인 것만은 사실이나 이것이 무용 교육의 전부가 되어서는 결코 안 된다는 것이 다. 음악ㆍ미술과 같이 무용도 독립된 과목으로 취급되어져야하며 체육 교육의 일환으로서가 아니라 예술 교육의 일환으로 취급될 때 무용 교육 본래의 목적 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중ㆍ고등학교 체육 교과서에 무용내용은 무용 이론, 민속 무용, 창작 무용으로 요약된다. 그러나 최기숙(1985)의 연구에 의하면 서울의 여자 중학 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무용 수업 내용은 에어로빅→외국민속무용→창작무용→

한국무용 순으로 나타났고, 서울의 인문계고등학교에서는 에어로빅→한국무용

→외국민속무용→창작무용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재 교과서에 제시된 무용의 내용과 교육 현장과의 상이점을 단적으로 증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교과서의 내용과 실제 수업의 괴리현상은 교과서 내용이 현실성이 없기 때문 이라고 단정할 수 있으며, 체육교과서의 무용내용 중에서 두드러진 문제점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 교과서 내용은 체육의 5-7%밖에 되지 않아 그 내용이 빈약하다 둘째, 교과서마다 단원의 전개 방법에 일관성이 없고 용어 자체의 개념 조차 도 혼돈되고 있어 교과 내용이 상식적이거나 조잡하다.

셋째, 창작 무용의 전개 방법이 교과서마다 서로 다르고 과학성이 없어 지도 방법에 혼선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사실은 내용 전개의 불합리성, 학생 발달 단계와 내용의 수준차, 불투명한 개념과 용어의 남용 등 이렇게 기본적인 문제조차 혼선이 야기되는 근본적인 모순은 체육 교과서의 저자 중 무용전공자가 단 한 명도 없다는 사실 에 근거한다. 이것은 행정적 측면의 부당성에서 오는 것인지 혹은 무용 교육자 들의 현실 참여의 결여에서 오는 현상인지 모르겠지만 이와 같은 사실이 무용

(35)

교육의 가장 큰 저해 요인인 것만은 사실이다.

또한 창작 무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참고 자료나 지도 방법에 관 한 지침서가 미비하여 체계적인 수업을 실시하기가 매우 어려운 현실에 있다.

5. 선행 연구

요즘 학교에서는 예술 교육이 그 중요성을 인정받게 되면서, 무용의 교육적 기능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으며, 무용을 통한 교육의 적용 범위 또한 유아에 서 시작하여 성인의 교양 교육까지 평생 교육으로 넓어지고 있는데 따른 현상 이다. 특히, 무용은 자신의 신체를 통해 감정이나 사상을 나타내며, 지적인 활 동과 창조적 활동을 동반하여, 가장 종합적으로 인간 능력의 유기적인 발달을 도울 수 있으므로 오늘날 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이 다. 따라서 중학교의 무용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와 실태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강명선(1995)이 연구한 ‘전라북도 지역의 학교 무용 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무용 교육의 시설 면에서 70% 이상의 학교가 무용실 및 시청각 시설을 갖추 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교에서 무용 수업을 연간 수업 량에 맞추어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김혜숙(1994), 김지은(1994) 등이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무용 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무용에 대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으 며, 무용 수업 시간에 주로 하는 실기 수업은 민속 무용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느끼는 무용 교육의 문제점은 시설 및 교재 교구의 부족과 입시 위 주의 교과 과정으로 인한 수업 결손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결손의 원인으로는 무용 전공 교사의 부족에 따른 비전공자 및 타과 교사의 배치로 인해 나타난 학습 내용의 잘못된 인식, 체육 교과 내의 한 영역으로 다루어져 편증 되고,

(36)

불합리한 수업 시수의 배치 및 부족 현상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이 학교 무용 교육의 실태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무용 교육의 문제 점으로는 시설 및 교재 교구의 부족과 입시 위주의 교과 과정에 의한 수업 결 손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결손의 원인으로는 무용 전공 교사의 부족에 따른 비 전공자 및 타과 교사의 배치로 인해 나타난 학습 내용의 잘못된 인식, 체육 교 과 내의 한 영역으로 다루어져 편중되고, 불합리한 수업 시수의 배치 및 부족 현상을 지적하였다.

김희정(1999)은 중등학교 무용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무용 수 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용교사의 배치가 선결되어야 하며, 행정적 측면에서 무용 교사의 배치가 어려울 경우에는 무용을 순회하면서 지도하는 순 회 교사제도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 하였다.

유순복(1995)은 무용 교육은 개인의 발달에 따른 무용의 역할, 창조적 표현 능력과 미적 체험을 통한 성숙, 감성과 지적 학습의 상호 작용, 타 과목과의 관계, 지역의 사회적, 문화적 생활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고 완전한 인격 형 성을 위하여 심미적 감수성과 지각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 방법을 개선하고 그것을 통해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육 과정의 재평가를 위한 조직적인 체계를 갖추어 무용이 학문적, 예술적으로 독자적인 한 분야로 수용되어져야 한다고 결론 지였다.

문희라(1997)는 현행 입시 제도하에서는 무용 교육이 가지는 정서적인 효과 를 인지하면서도 현실적으로 주지 교과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이 사실이 다. 이는 전인 교육을 표방하는 교육의 목표와 모순되는 것이며, 무용 교사는 교육의 이상과 현실 사이에 갈등하게 된다. 결국 학생들의 바람직한 전인 교육 을 위해서라도 현재와 같은 주지 교과 위주의 입시 제도는 하루 속히 고쳐져야 한다고 하였다.

이현미(1997)는 중학교 무용 교육의 실태 분석과 운영 방안에서 무용 교육

(37)

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를 통해 교자재와 공간의 확보, 무용 교사의 증원이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교과의 독립이 이루어져 청소년들의 정서 함양 교육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장문녀(1996)는 공간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한 무용 교육 환경을 제시하기 위 하여 초ㆍ중등학교의 무용 교육 실태를 조사한 결과 현재 우리 나라의 초ㆍ중 등학교의 무용 교육은 무용실의 유ㆍ무에 따라 무용 교육의 차이가 나타남으 로, 무엇보다도 학교 건축 계획시부터 무용실에 대한 배려가 절실히 필요하다 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학교와 지역 사회의 지원을 위해 무용인 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김정희(1995)는 무용 문화의 정착을 위하여 무용의 과학화와 평생 교육으로 서 무용의 생활화를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주장 하였다.

(38)

Ⅲ. 연구방법

본 연구는 충청도 지역 여자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용 수업 내용을 총 괄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무용 교육의 충실화와 효율적인 수업 운영 및 활성화 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할 연구 대상, 조사 도구, 조사 절차, 자료 처리 방법 은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

본 연구에서는 2002년 현재 충청도에 소재한 여자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단순무선표집법(simple random sampling)을 사용 하여 600명을 표집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배부된 총 600부의 설문지 중 536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 된 설문지 중 이중 기입 및 무성의한 반응을 보인 설문지 7부를 제외하고 총 529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조사 도구

학교 현장의 전반적인 무용 교육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장 춘자(1991), 정청자(1994), 김희정(1999)이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무용 수업 경험 여부와 이유, 무용 수업 실태, 무용 수업에 대한 흥미와 이유, 선호

(39)

종목과 미래 생활에 도움을 주는 정도, 무용 감상 등 14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전문가 집단 10명(무용전문 가 3인, 무용학과 석ㆍ박사 과정생 7인)에게 내적 타당도와 문항의 적합성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3. 조사 절차

본 연구자가 직접 대상 학교를 방문하여 쉬는 시간과 방과후 시간을 이용하 여 설문지를 배포한 다음, 응답 요령 및 주의 사항을 설명한 후 자기 평가 기 입법(Self-adminstration method)으로 작성하도록 한 후, 바로 설문지를 수 거하거나, 무용 담당 교사의 협조를 받아 회수하였다.

4. 자료 처리

설문지에 대해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한 후 이중기입 및 무기입한 자료 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유효 표본만을 코딩 지침에 따라 부호화 (coding)하였다. 부호화된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통계프로그램인 SPSS Windows 10.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다중응답분석을 실시 하였다.

(40)

Ⅳ. 결과 및 논의

본 연구는 여자 중학교 무용 교육의 내용 분석을 위하여 첫째, 무용 수업 경 험 여부와 이유, 둘째, 무용 수업 실태, 셋째, 무용 수업에 대한 흥미와 이유, 넷째, 선호 종목과 미래 생활에 도움을 주는 정도, 다섯째, 무용 수업의 필요 성과 이유, 여섯째, 무용 감상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용 수업 경험 여부와 이유

1) 무용 수업 경험 여부

‘문항 1. 무용수업을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경험 있다’라는 응 답은 529명 중 475명으로 89.8%였고, ‘경험 없다’라는 응답은 54명으로 10.2%로 무용 수업을 받아본 경험을 가진 학생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표 2. 무용 수업 경험 여부 결과 구분

분류 빈도(명) 백분율(%)

경험 있다 475 89.8

경험 없다 54 10.2

계 529 100

수치

표  5.  경험한  무용  실기  내용  결과(복수응답)                                                         구분 분류 빈도(명) 백분율(%) 창작무용 363 26.3 민속무용 263 19.1 한국무용 257 18.6 발        레 205 14.9 현대무용 296 14.2 에어로빅 84 6.1 리듬체조 11 0.8 계 1379 100 그 림  4  경 험 한  무 용 실 기  내 용26.319.118
표  10.  학습한  무용  수업이  미래  생활에  도움을  주는가에  대한  결과                                                     구분 분류 빈도(명) 백분율(%) 도움을  준다 136 25.7 그저  그렇다 341 64.5 도움을  주지  못한다 45 8.5 무응답 7 1.3 계 529 100 그 림  9  미 래 생 활 의  도 움  여 부25.764.58.5 1.302 04 06 08 0도 움 을
그림 13 무용감상 경험여부74.36.4 19.301020304050607080가끔있다자주있다없다 경험여부 위  내용으로  보면  알  수  있듯이  많은  학교에서  무용  감상  수업이  적절히  이 루어지고  있다
표  15.  무용  감상  기회가  없었던  이유에  대한  결과                                                           구분 분류 빈도(명) 백분율(%) 관심이  없어서 65 63.7 진학관계로  시간이  없어서 14 13.7 무용을  이해하지  못해서 10 9.8 발표회가  없어서 9 8.8 경제적인  사정으로 4 3.9 계 102 100 그 림  1 4  무 용 감 상  기 회 가  없 었 던  이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는 무용교육을 받은 유아와 무용교육을 받지 않은 유아의 두 집단 간 사 전,사후검사를 비교하여 창의성 개발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유아 무용교육이 창의

수강신청확인서로 이동하여 수강신청확인서 상에 신청한 과목들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확인후 출력하여 보관.. ※ [수강신청확인서]

② 논문지도교수는 2년 이내에 정년퇴임하지 않는 본교 전임교원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논문지 도교수가 퇴임한 경우에는 퇴임 후 2년까지 논문지도를 할 수 있다..

수강신청확인서로 이동하여 수강신청확인서 상에 신청한 과목들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확인 후 출력하여 보관.. ※ [수강신청확인서]

신청방법 : 웹정보시스템에서 내용 입력 후, “학위취득과정 선택신청서”를 출력하여 논문지도교수·주임교수 날인을 받은 후 교학행정팀으로

however the martial arts tradition of Korea gradually disappeared due to the Western cultural invasion of modern times and the lack of adequate response to

수강신청확인서로 이동하여 수강신청확인서 상에 신청한 과목들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확인후 출력하여 보관.. ※ [수강신청확인서]

다만, 논문지도교수는 2년 이내에 정년퇴임하지 아니하는 교원으로 하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