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5. 선행 연구

요즘 학교에서는 예술 교육이 그 중요성을 인정받게 되면서, 무용의 교육적 기능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으며, 무용을 통한 교육의 적용 범위 또한 유아에 서 시작하여 성인의 교양 교육까지 평생 교육으로 넓어지고 있는데 따른 현상 이다. 특히, 무용은 자신의 신체를 통해 감정이나 사상을 나타내며, 지적인 활 동과 창조적 활동을 동반하여, 가장 종합적으로 인간 능력의 유기적인 발달을 도울 수 있으므로 오늘날 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이 다. 따라서 중학교의 무용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와 실태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강명선(1995)이 연구한 ‘전라북도 지역의 학교 무용 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무용 교육의 시설 면에서 70% 이상의 학교가 무용실 및 시청각 시설을 갖추 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교에서 무용 수업을 연간 수업 량에 맞추어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김혜숙(1994), 김지은(1994) 등이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무용 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무용에 대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으 며, 무용 수업 시간에 주로 하는 실기 수업은 민속 무용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느끼는 무용 교육의 문제점은 시설 및 교재 교구의 부족과 입시 위 주의 교과 과정으로 인한 수업 결손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결손의 원인으로는 무용 전공 교사의 부족에 따른 비전공자 및 타과 교사의 배치로 인해 나타난 학습 내용의 잘못된 인식, 체육 교과 내의 한 영역으로 다루어져 편증 되고,

불합리한 수업 시수의 배치 및 부족 현상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이 학교 무용 교육의 실태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무용 교육의 문제 점으로는 시설 및 교재 교구의 부족과 입시 위주의 교과 과정에 의한 수업 결 손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결손의 원인으로는 무용 전공 교사의 부족에 따른 비 전공자 및 타과 교사의 배치로 인해 나타난 학습 내용의 잘못된 인식, 체육 교 과 내의 한 영역으로 다루어져 편중되고, 불합리한 수업 시수의 배치 및 부족 현상을 지적하였다.

김희정(1999)은 중등학교 무용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무용 수 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용교사의 배치가 선결되어야 하며, 행정적 측면에서 무용 교사의 배치가 어려울 경우에는 무용을 순회하면서 지도하는 순 회 교사제도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 하였다.

유순복(1995)은 무용 교육은 개인의 발달에 따른 무용의 역할, 창조적 표현 능력과 미적 체험을 통한 성숙, 감성과 지적 학습의 상호 작용, 타 과목과의 관계, 지역의 사회적, 문화적 생활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고 완전한 인격 형 성을 위하여 심미적 감수성과 지각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 방법을 개선하고 그것을 통해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육 과정의 재평가를 위한 조직적인 체계를 갖추어 무용이 학문적, 예술적으로 독자적인 한 분야로 수용되어져야 한다고 결론 지였다.

문희라(1997)는 현행 입시 제도하에서는 무용 교육이 가지는 정서적인 효과 를 인지하면서도 현실적으로 주지 교과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이 사실이 다. 이는 전인 교육을 표방하는 교육의 목표와 모순되는 것이며, 무용 교사는 교육의 이상과 현실 사이에 갈등하게 된다. 결국 학생들의 바람직한 전인 교육 을 위해서라도 현재와 같은 주지 교과 위주의 입시 제도는 하루 속히 고쳐져야 한다고 하였다.

이현미(1997)는 중학교 무용 교육의 실태 분석과 운영 방안에서 무용 교육

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를 통해 교자재와 공간의 확보, 무용 교사의 증원이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교과의 독립이 이루어져 청소년들의 정서 함양 교육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장문녀(1996)는 공간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한 무용 교육 환경을 제시하기 위 하여 초ㆍ중등학교의 무용 교육 실태를 조사한 결과 현재 우리 나라의 초ㆍ중 등학교의 무용 교육은 무용실의 유ㆍ무에 따라 무용 교육의 차이가 나타남으 로, 무엇보다도 학교 건축 계획시부터 무용실에 대한 배려가 절실히 필요하다 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학교와 지역 사회의 지원을 위해 무용인 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김정희(1995)는 무용 문화의 정착을 위하여 무용의 과학화와 평생 교육으로 서 무용의 생활화를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주장 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