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무용 수업의 필요성과 이유

Ⅲ. 연구 방법

5. 무용 수업의 필요성과 이유

6) 여중생들의 무용 감상 여부는 어떠한가?

4. 용어의 정의

1) 전인 교육 : 인간이 지니고 있는 모든 자질을 전면적ㆍ조화적으로 육 성하려는 교육으로 정의하였다.

2) 한국 무용 : 한국적 미 형식을 본질로 삼은 모든 무용. 한국에서 옛 부 터 전해져 현존하는 춤이거나 소멸되어 이름만 남아 있는 춤, 혹은 새 롭게 창조되어진 춤 양식을 총칭으로 정의하였다.

3) 현대무용 : 20세기에 발생한 새로운 무대무용. 서양에는 16세기이래 발레라는 유일한 무대무용이 있었으나, 발레는 지나치게 기교적이고 형 식적 이어서, 그 인습과 질곡을 벗어나 인간의 정신과 내재한 영혼의 소리를 자연스럽게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무용을 추구하였다. 이러 한 기운에 부응하여 생긴 것이 모던 댄스이다. 그러므로 초기에는 프리 댄스, 익스프레싱 댄스라고 불렀고 독일에서는 노이에 탄츠라고 하였 다. 그후 모던 댄스라고 총칭하게 되었고, 이를 현대 무용이라고 번역 하기도 한다.

4) 발 레 : 유럽에서 발생하여 발달해온 무용형식이며 ‘춤을 추다’를 의 미하는 이탈리아어의 동사 ‘ballare'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다 리의 포지션에 기초를 둔 클래식 댄스의 정형 기법을 기준으로 하여, 그 기법을 사용하는 무용으로 정의하였다.

5) 째 즈 : 1920년대 이래로 “째즈 댄스”라는 용어는 대중적이며 예술 적인 댄스 움직임을 끊임없이 발전시켰음을 설명하는데 주로 쓰여졌다.

재즈댄스는 우리 대중문화의 반향이며, 문화로서 째즈댄스의 틀을 변화 시켰다. 째즈 댄스는 ‘즉흥’과 ‘개성’을 핵심으로 하는 춤으로 정의하였 다.

5.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1) 연구 대상을 충청도 지역 학생들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2) 질문지 응답 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의 심리적 상태 나 신체적 상태는 고려하지 않았다.

3) 피검자가 본 연구 도구인 설문지에 성실히 응답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무용 교육의 이해

1) 무용 교육의 개념

무용은 인류사와 함께 최초로 발생되어 오늘날까지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예 술 중에서도 가장 최고의 것임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무용은 단순 한 예술이기 이전에 인류 발달이라는 차원에서 생의 약동이요, 그것을 본질로 한 인류진화의 원동력이기도 하다(배소심ㆍ김영아, 1985).

‘무용은 가장 인간적인 예술이다‘. 라고 언급한 것과 같이 무용의 매개체는 바로 인간의 신체이다. 인간은 자신의 신체를 통하여 내면 세계의 사상이나 감 정을 표출하여 자기 만족을 얻을 수 있고 미적 욕구에의 충족감을 맛볼 수 있 게 된다(김미자외, 1981).

그러나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은 무용이란 단지 천부적인 재능을 가지고 태어 난 특별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예술이라고 생각한다.

무용은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은 아름답고 리드미컬한 동작으로 표현하는 예 술이며 시간과 공간 속에 존재하는 육체의 율동적 운동이다. 또한 무용은 인간 의 감정과 의지를 몸으로 그럴듯하게 나타내는 동작이며 인간 내부의 미적인 정서를 율동적인 신체 운동을 통해서 표현하는 예술이다(한형식, 1991).

따라서 무용 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들어보면 더불리는 ‘무용은 운동을 통해 나타내어지는 전통적이며 지적 리듬형식의 확충이다’라고 하였고, 이사도라 덩컨은 무용은 형식에 얽메이지 않고 인간의 움직일 수 있는 모든 형

태의 움직임을 동원해서 새로운 미를 창조하는 예술이다‘라고 하였다(김지은, 1994).

이와 같이 학자들의 정의를 종합해 보면 무용은 움직임을 통하여 창작자의 미적인 가치관을 나타내는 예술이다. 다시 말해 신체를 통하여 내면 세계를 표 현하는 순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2) 무용 교육의 목표

교육의 기회 균등이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지위, 남녀, 경제 문제에 관계없이 누구나 다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기본 권리를 말한다.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 이 인간 형성에 있듯이 학교에서의 무용 학습은 인간 형성을 위한 것이지 무용 의 전문적 교육을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며, 또 종래와 같은 낡은 방법의 학교 무용에 있어서도 그 이념은 역시 인간으로서 보다 높은 교양을 쌓는데 있지, 결코 직업 교육을 시킨다는 것이 아니었다(황향희, 1997).

교육무용의 한 영역에서 진술되는 목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적, 표현적 신체를 기른다. 즉 무용적 신체를 기른다. 무용은 그것 이 어떤 위치에 속하는 것이던 신체적 운동으로 이루어지는 미적인 운동일 뿐 만 아니라 풍부한 표현력을 가지도록 엄밀하게 정신 된 운동이다.

둘째, 리듬감을 인간을 고통에서 해방시켜 주고 질서감을 불어넣어 능동감을 길러준다. 같은 리듬 속에 젖을 때 동류 의식이 싹트게 되고 여기서 단결과 용 기와 우애가 나타난다. 즉 무용은 이와 같은 리듬감을 파악케 할 뿐 아니라 창 조해내는 능력까지 길러준다.

셋째, 공간 구성의 능력을 기른다. 예를 들어 세모진 방보다 네모진 방이 안 정감을 주고 균등과 배색과 구조가 잡힌 옷이 쾌감을 주게 하는 것은 모두가 공간 구성의 결과 여하에서 기인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간 구성의 능력은 무한

한 공간 속에 유한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며, 유한한 공간 속에 또 다른 유한의 공간을 형성케 한다.

넷째, 즉흥력을 길러 준다.

즉흥력은 창조력과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어떤 사항이나 사고의 과정을 거 치지 않고 영감과 직결되어 자기가 처해 있는 적절한 대책이나 방법을 강구해 낼 뿐 아니라 자기에게 가장 유리한 조건이나 환경의 세계로 전환시키는 능력 을 기를 수 있다.

다섯째, 풍부한 표현력을 기른다.

풍부한 표현력은 사상, 감정, 이밖에 의지적, 의식적 바탕을 필요로 하는 정 신적 요소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무용은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객체와 주체가 자기란 단일체 인데 특색이 있다.

따라서 풍부한 표현력을 가진 인간은 다양한 표현 능력을 가진 인간이라 볼 수 있다(문인숙, 1979).

3) 무용 교육의 가치와 특성

무용은 창조적인 움직임을 통해 학생들이 예술적 가치를 깨닫도록 돕고, 인 간 표현의 가장 기초적인 양식-움직임(movement)을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교 육에 매우 독특한 기여를 한다(김화숙, 1995).

지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 도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조화 있게 발달을 하고, 건강한 신체를 가진 이상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 바로 교육의 목적이라 본 다면 무용 교육이야말로 어떤 교과목보다도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는데 이상적 인 수단이라고 믿는다(오정근 외1, 1972). 왜냐하면 무용 교육의 목표는 신체 와 정신의 조화로운 발달로 완전한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는 예로부터 몸가짐에 대해 보수성을 띠고 있었다. 몸의 움직임을

최대로 제한하여온 전통적인 생활상에 의거하여 아직도 그러한 생각에서 벗어 나지 못한 부분이 남아 있는데, 무용 역시 그 전통의 영향을 받고 있어 무용이 교육적인 측면에서 부각된 것도 오랜 시간의 일은 아니다.

무용의 교육적 가치를 보면 다음과 같다(김지은, 1994).

첫째, 신체를 매개로 하여 표현하는 예술이므로 신체가 조화있게 발달한다.

둘째, 내면의 감정을 표출하여 스트레스와 긴장을 해소시켜서 건강한 정신 세계를 구축한다.

셋째, 심미적 인간 육성으로 정서가 메마른 현대인들의 정서 순화에 도움을 주므로 문화적 인간을 육성할 수 있다.

무용에 속하는 운동은 인간의 모든 생활에서 하는 인간동작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무용을 한다는 것은 대단히 많은 운동을 신체적으로 경험한다는 것이라 고 말할 수 있다(Martin, 1972). 이러한 운동 형태는 일상의 운동을 가장 리 듬화한 것이며, 미적인 운동, 풍부한 정서적 표현력을 가진 무용 운동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용 학습은 신체 운동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걷기, 회전, 진동, 굴신, 파동 등의 운동을 함으로써 풍부한 운동 능력과 미적, 조화적, 균형적 발육 발달의 기능과 유연한 몸매와 아름다운 표현 능력의 배양 등으로 질 높은 운동 경험을 맛보게 한다(전미숙, 1984).

우리는 학교 교육을 통해 성장기 내내 창조적 충동을 계속 유지시키도록 도 와주어야 하며, 또한 이 충동은 학생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보다 증대된 노력과 진보된 목적을 가지고 실생활에 활용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따라서 이희선(1993)은 다음과 같이 교육 무용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① 움직임 교육을 통하여 움직임의 원리를 이해시키며, 움직임을 최대 한 다양하게 확대시켜나가는 과정에서, 자아실현을 할 수 있게 한 다.

② 개인의 창의성을 계발시키기 위하여, 잠재된 감각을 일깨워 주어서 자유롭게 창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③ 무용의 표현성과 감상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미적 경험을 할 수 있 게 한다.

④ 무용을 통하여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도록 하고, 다른 예술과 밀 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예술에 대한 통합적인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⑤ 무용하는 과정에서 사회성을 육성시킨다.

⑥ 미래의 생활에서 레저 활동으로 무용을 즐길 수 있게 한다.

김화숙(1995)은 교육 무용의 특성을 신체와 인성 자체를 포함하며 운동 교 육과 표현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가치를 갖는 영역으로 즉 무용은 인간자체를

김화숙(1995)은 교육 무용의 특성을 신체와 인성 자체를 포함하며 운동 교 육과 표현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가치를 갖는 영역으로 즉 무용은 인간자체를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