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말초형 간내담관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말초형 간내담관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3:268 - 275

1)

서 론

간내담관암은 조직학적으로 간내의 담관 상피세

접수: 1998년 4월 8일, 승인: 1998년 7월 1일

연락처: 김호영, 614-735,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 633-165, 부산백병원 일반외과

Tel: (051) 890-6352, Fax: (051) 896-7427

※ 이 논문은 1997년도 인제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보조 에 의한 것임.

포에서 기원하는 원발성 악성 종양으로 간문부의 주 간관을 침범하는 간문형과 말초 담관 분지를 이환하 는 말초형으로 구분된다. 간문형이 간외담관암과 유 사한 담도 폐쇄의 증상을 보이는 데 반하여 말초형 간내담관암은 간 실질 종괴의 소견을 주로 나타내고 증상이 불분명하여 임상적으로는 담관암보다 간암 의 범주에 가까운 질환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발생 빈도가 원발성 간암의 5-10%로 낮고 간세포암에 비하여 특별한 고위험군이 없어 screen-

말초형 간내담관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외과학교실

김호영・최창수・최영길

Cl i n i c o p a t h o l o g i c F e a t u re s a n d P r o g n o s i s i n P e r i p h e ra l Ch o la n g i o c a r c i n o m a

Ho Yo u n g Ki m , M.D., Ch a n g S o o Ch o i , M.D. a nd Yo u n g Ki l Ch o i , M.D.

Department of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Pusan, Korea

Background/Aims: There have been few reports about surgical treatment for peripheral cholangiocar

cinoma.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analyz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peripheral cholangio carcinoma and the results of treatment. Methods: Between 1989 and 1996, 34 patients underwen surgical exploration for peripheral cholangiocarcinoma of liver and were completely followed up. Results:

Twenty one patients underwent hepatic resection (61.8%). The morbidity was 35.3% (12 patients) There was no death due to operation. In the patients who had received hepatic resection, the 1-, 3 and 5- year survival rates were 38.5%, 32.1% and 32.1%, respectively. Mean survival time of non resection group was 4.2 months (from 1.0 month to 9.0 months). The patients with curative resection (p=0.02) and those with negative lymph nodes metastasis (p=0.02) had a better survival. The size gross appearence, histologic grade, lymphatic invasion and perineural invasion of tumor were shown to have no influence on survival. Conclusions: Surgical resection improves survival rate with accepta ble morbidity and mortality. To obtain better results, curative resection with negative resection margin and complete lymph node dissection is recommended. (Kor J Gastroenterol 1999;33:268 - 275)

Key Words: Peripheral cholangiocarcinoma, Hepatectomy

(2)

김호영 외 2인. 말초형 간내담관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 269

ing을 통한 조기 발견의 기회가 적으며, 종양의 국소 침윤과 영역 림프절 전이의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병리 진전상의 특성 등으로 인하여 외과적 절제율이 간외담관암과 간세포암의 어느 쪽보다도 낮아 예후 는 매우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영상 기술의 진보로 간종양의 조기 진단능 이 크게 향상하였고 이에 따라 간내담관암의 절제 증례도 증가하게 되었다. 이 보고는 과거 8년간 저 자들이 경험한 말초형 간내담관암 34예의 임상 및 병리 소견, 치료 내용, 그리고 수술 성적과 장기 예 후를 요약한 것이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8년 동안 인제 대학교 부산백병원 외과에서 말초형 간내담관암으 로 진단받고 수술이 시행된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기록지를 토대로 대상 환자의 임상 소 견과 진단 과정 및 수술 소견을 조사하였고 병리보 고서와 조직표본을 재검토하였다. 퇴원 후 외래일지 와 전화 및 서신 연락을 통해서 환자의 상태와 생사 여부를 파악하였다. 생존 분석은 Kaplan-Meier법으 로 누적 생존율을 구하였고 유의성 검정은 Wilcoxon test로 하여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적 의의를 부여하였다.

결 과

1. 임상 소견

환자의 연령은 최저 42세부터 최고 73세까지 분 포하였으며 평균 54세였다. 전체 환자의 50.0%에 해 당하는 17예가 50대였다. 총 34예 중 남자가 24예, 여자가 10예로 남녀 비는 2.4:1이었다.

내원 당시의 임상 증상을 보면 상복부 동통이 23 예(67.6%)있었고, 발열이 7예(20.6%), 체중 감소와 복부 종괴가 각각 6예(17.6%)씩, 그리고 황달이 2예 (5.9%)로 나타났다. 임상 증상 없이 다른 질환이나 정기 검진으로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7예(20.6%)있 었다.

검사실 소견을 보면 간기능 검사에서 혈중 alka-

line phosphatase 증가(>250 U/L)가 29예(85.2%),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증가(>50 U/L)가 28 예(82.4%), bilirubin 증가(>1 mg/dL)가 6예(17.6%), 그리고 transaminase의 상승(>45 U/L)이 21예(61.7%) 에서 나타났다. 종양표지자 검사 결과는 혈청 alpha fetoprotein이 30예 중 2예(6.7%), carcinoembryonic antigen이 27예 중 18예(66.7%), 그리고 CA 19-9이 26예 중 23예(88.5%)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B 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검사는 34예 중 2예 (5.9%)에서 양성으로 나타났다.

2. 영상 진단 소견

수술 전 영상 진단법으로 복부 초음파, 전산화단 층촬영, 내시경적 담췌관조영술, 경피담관조영술, 간 혈관조영술 등이 시행되었다. 34예 전 예에서 시행 한 초음파 검사에서 간내 공간 점유 병소의 소견을 보인 예는 21예(61.8%)였으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간내 공간 점유 병소가 확인된 예는 32예 중 23예 (71.9%)였다. 내시경적 담췌관조영술과 경피담관 조 영술은 각각 4예씩 보조 진단법으로 시행되어 8예 중 4예(50.0%)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다. 간혈관조영 술은 11예에서 시행되었고 이 중 8예(72.7%)에서 양 성 소견을 보였는데 혈관 과소성의 종괴가 5예 (62.5%), 혈관 과다성의 종괴가 3예(37.5%)였다 (Table 1). 총 34예 중 23예에서 수술 전 진단이 이루 어져 술전 진단의 정확도는 67.6%였다.

Table 1. Preoperative Imaging Diagnosis

Modality No. of cases Accuracy (%) US

CT ERCP PTC Angiography

34 32 4 4 11

21 (61.8) 23 (71.9) 2 (50.0) 2 (50.0) 8 (72.2) US, ultrasonography; CT, computed tomography;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i- cography; PTC,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 giography.

(3)

27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2, 1999

3. 수술 내용과 경과

총 34예 중 21예에서 간절제가 이루어져 절제율은 61.8%였다. 이 중 8예(23.5%)에서 치유 절제가 이루 어졌고, 13예(38.2%)는 비치유 절제였다. 절제가 불 가능하였던 13예는 복막파종 7예, 광범위 림프절 전 이 4예, 양엽의 다발성 간내병소 2예 등이 있었다.

절제 술식으로는 우엽절제술 7예(20.6%), 좌엽절 제술 5예(14.7%), 외측구역절제술 4예(11.8%), 그리 고 부분절제술 5예(14.7%) 등이 시행되었다(Table

2).

수술 후 합병증은 12예(35.3%)에서 발생하였으며 그 내용은 간절제 시행군에서 호흡기 합병증 4예, 창상 감염 3예, 담즙 누출 2예 등이 있었고 비절제군 에서 호흡기 합병증 2예, 창상 감염 1예가 있었는데 모두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수술 사망은 간절 제 시행군에서는 1예도 없었고 비절제군에서 2예가 악액질로 병원사하였다.

4. 병리 소견

종양의 크기는 최소 2 cm에서 최대 9.5 cm였으며 5 cm 미만이 8예, 5 cm 이상이 13예였다. 평균 직경 은 5.4 cm였다. 종양의 개수는 단발성이 31예, 둘 이 상의 다발성이 3예였다. 위치별로는 우엽 15예, 좌엽 17예, 그리고 양엽에 걸쳐 발생한 것이 2예 있었다.

수술 당시 15예(44.1%)에서 영역 림프절 전이의 소 견을 보였고 7예는 복막 파종의 상태에 있었다. 절 제가 시행된 21예의 육안 소견은 결절형이 11예였고 침윤형이 10예였다. 조직 소견에서 유두암이 2예였 고 고분화암 8예, 중분화암 7예, 저분화암 4예 등이 었다. 8예(38.1%)에서 신경 침윤, 13예(61.9%)에서 림프관 침윤의 소견을 보였고, 종양의 침윤은 대부 분이 sinusoid를 통하여 주변의 간 실질로 직접 침윤 하는 양상을 보였다.

Table 2. Modality of Treatment

Procedure No. of cases Resection

Curative Noncurative RL LL LS PR

Exploration only

21 (61.8%) 8 (23.5%) 13 (38.2%)

7 5 4 5 13

Total 34

RL, right lobectomy; LL, left lobectomy; LS, lateral segmentectomy; PR, partial resection.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resectability.

(4)

Kim et al.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Prognosis in Peripheral Cholangiocarcinoma 271

동반된 간질환으로는 간흡충증이 14예(41.2%), 간내결석이 8예(23.5%), 간경변이 6예(17.6%), 만성 간염이 2예(5.9%)있었다.

5. 생존 분석

34예 전 예에서 추적 조사가 가능하였는데 간절 제가 시행된 21예의 1년, 3년, 5년 누적 생존율은 각 각 38.5%, 32.1%, 32.1%였고, 절제하지 못한 13예의

경우 1년 생존율이 0%였다. 전체적인 1년, 3년, 5년 생존율은 21.6%, 18.0%, 18.0%였다(Fig. 1). 비절제 군의 평균 생존 기간은 4.2개월이었고, 최장 생존 기 간이 9.0개월이었다. 재발이 확인된 환자의 재발 양 상을 보면 간내 재발 3예, 광범위 림프절 전이 3예, 골 전이 2예, 복벽 전이 2예, 폐 전이 1예 등이었다 사망 원인은 간부전 3예, 악액질이 8예였다. 5년 이 상 장기 생존자가 2예 있었는데 각각 61개월, 71 Fig. 2.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curability.

Fig. 3.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regional LN metastasis.

(5)

272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2 호 1999

개월씩 생존 중이다. 간절제 시행군에서 치유도에 따른 생존율을 보면, 치유 절제군의 1년, 3년, 5년 생 존율이 각각 80.0%, 60.0%, 60.0%였고 비치유 절제 군의 1년, 3년 생존율이 각각 18.2%, 0%였다. 치유 절제군에서 의의있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p=0.02) (Fig. 2). 영역 림프절 전이 유무에 따른 생존율을 보 면, 림프절 전이 양성의 경우 1년, 3년, 5년 생존율이 각각 19.5%, 19.5%, 19.5%였고, 림프절 전이 음성인 경우 1년, 3년, 5년 생존율이 각각 55.0%, 45.8%, 45.8%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2)(Fig. 3).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5 cm를 기준으로 한 종양의 크기, 육안적 형태, 조직 학적 분화도, 신경 침윤 유무 그리고 림프관 침윤 유 무 등을 대상으로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종양 의 크기에 따른 1년, 3년, 5년 생존율은 각각 5 cm 이상이 20.1%, 0%, 0%, 5 cm 미만이 45.5%, 45.5%, 45.5%로 5 cm 미만 군에서 양호한 생존율을 보였으 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37). 조직학적 분화도 에 따른 예후는 고분화암의 1년, 3년, 5년 생존율이 38.1%, 25.4%, 25.4%, 중분화암이 60.0%, 60.0%,

60.0%, 그리고 저분화암이 각각 33.0%, 33.0%, 33.0%였다. 분화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p=0.58). 육안적 소견에 따른 1년, 3년, 5 년 생존율은 결절형이 60.0%, 45.0%, 45.0%, 침윤형 이 22.2%, 22.2%, 22.2%로 결절형에서 생존율이 높 았으나 통계적 의의가 없었다(p=0.68). 림프관 침윤 유무에 따른 1년, 3년, 5년 생존율은 음성이 66.7%, 50.0%, 50.0%, 양성이 20.0%, 20.0%, 20.0%였고 (p=0.11), 신경 침윤 유무에 따른 1년, 3년, 5년 생존 율은 음성이 30.0%, 20.0%, 20.0%, 양성이 50.0%, 50.0%, 50.0%였고 통계적 유의성도 없었다(p=0.12) (Table 3).

고 찰

말초형 간내담관암은 전체 원발성 간암의 5- 10%1,2 빈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예후가 간세포암에 비해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성별 빈도는 간세 포암에서 남녀 비가 6:1 전후이나 담관암은 2:1 정도 로 현저한 차이가 없으며,4 주로 60대에서 호발한다 고 한다.1,5 저자들은 남녀 비가 2.4:1이었으며 50대 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간내담관암의 임상 증상에 관한 보고를 보면 간 문부 담관암일 경우 황달이 주 증상이고 말초형 담 관암은 특이 증상이 없거나 황달보다는 체중 감소와 상복부 동통이 많은 비율로 발생한다고 하였다.6 또 간내결석이 동반되면 발열, 복통 등의 담관염 증상 이 많으나, 간내결석이 없는 경우는 체중 감소, 빈혈, 전신 쇠약감 등의 비특이적 증상이 많다고 하였다.7 두 가지 유형에서 증상학과 진행 양상이 다르지만 병리조직학적인 차이는 없다고 하는 보고8도 있다.

저자들의 경우 상복부 동통이 67.6%로 가장 많았고 그외 발열, 체중 감소와 복부 종괴 등이 주 증상이었 으며, 임상 증상이 없이 다른 질환이나 정기 검진으 로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20.6%였다. 종양표지자 검 사는 alpha fetoprotein은 간세포암 환자에서 민감한 검사법이나 담관암에서는 양성 소견이 드물며 car- cinoembryonic antigen이 간내담관암의 진단에 도움 이 되고 수술 후 추적 관찰에 이용되기도 하지만 민 감도와 특이도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하였다.5 간 Table 3. Prognostic Factors of Peripheral Cholan-

giocarcinoma

Variable 5 YRS (%) p-value Tumor size

≥ 5 cm 5 cm Histologic grade

Well differentiated Moderately differentiated Poorly differentiated Gross type

Nodular Infiltrative Lymphatic invasion

Absent Present Neural invasion

Absent Present

0.0 45.5 25.4 60.0 33.3 45.0 22.2 50.0 20.0 20.0 50.0

0.37

0.58

0.68

0.11

0.12

5 YRS, 5 year survival rate.

(6)

김호영 외 2인. 말초형 간내담관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 273

내담관암에서 alpha fetoprotein 증가 18.2%, car- cinoembryonic antigen 증가 72.7%로 보고한 예2도 있다. 저자들의 경우 alpha fetoprotein, carcinoem- bryonic antigen, CA 19-9의 증가가 각각 6.7%, 66.7%

및 88.5%로 CA 19-9이 다른 두 표지자에 비해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말초형 간내담관암의 원인이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여러 다른 질환을 동반하고 있는데, 동반 질환의 양상이 지역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여 동 양에서는 간내결석, 간흡충증이 서양에서는 경화성 담관염과 만성 궤양성 대장염이 흔하다.9 간내담관 암과 간내결석증의 관계는 1942년 Sanes와 Mac- Callum10이 두 질환이 동반된 2예를 부검에서 우연 히 발견하여 보고한 이후 알려지게 되었으며 많은 저자들은 간내결석증이 있을 때 담관 상피세포가 반 복된 궤양화 및 치유의 과정을 거쳐 담석 근처에서 점막 변성이 유발되고 이것이 말초형 담관암의 전구 체로 작용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간내결석이 위치 하는 담관 점막에 21.4%에서 이형증이 생기며, 30.8%에서 담관상피 비후가 발생한다고 보고11도 있 고, 염증이 심한 담관 상피세포에서 뚜렷한 선종형 과증식 현상 및 이형증을 보고12하기도 했다. 간내담 관암 환자 중 간내결석증 동반율을 80.0%로 보고하 면서 간내담관암이 간내결석증 자체보다는 이와 관 련된 여러 요인들 즉, 식습관, 유전, 환경 그리고 면 역학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한다는 연구8도 있다. 간 내결석증은 한국을 포함한 동북 아시아 지역에서 흔 한 질환이고 간내결석증과 동반된 간내담관암 환자 가 이 지역에서 2.4-10.0%7,11의 비율로 보고되고 있 다. 저자들의 경우 말초형 담관암과 동반된 간내결 석증이 34예 중 8예로 23.5%의 빈도를 보였으며, 간 내결석증으로 간절제 수술을 받은 149예 중 2.7%에 서 말초형 담관암의 발생을 보고한 본 교실의 연구13 도 있었다. 이는 간내결석증의 수술시 적극적인 간 절제를 추천하는 이유의 하나가 되는 것으로 사료된 다. 간흡충증과 담관암에 대한 보고는 말초형 담관 암의 담관내 변형에 대한 보고에서 간내담관암의 46.9%에서 간흡충증이 동반되었다고 연구14도 있고, 간 흡충증의 만성 감염으로 인해 담관 점막이 생화 학적으로 변성된 담즙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여러

단계의 점막 변성을 거쳐 선종형 과증식을 보이게 되며 이것이 담관암의 전구단계라는 연구15도 있다.

저자들의 경우 간흡충증은 41.2%에서 동반되어 있 었다. 그외 간내낭종성 질환, 경화성 담관염, 만성 궤양성 대장염 등이 발병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9 동양에서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으며 저자들의 경우 도 증례가 없었다.

간암의 진단율이 높아졌지만 아직도 초기 말초형 담관암의 진단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있다.8 Jan과 Chen7은 간내결석이 동반된 경우 진단율이 20.0%에 불과 하였으나 간내결석이 없는 경우는 80.0%로 높 았으며 전체 수술 전 진단율을 40.0%로 보고하였고, Kawarada와 Mizumoto2의 수술 전 진단율은 54.5%

였다. 저자들은 34예 중 23예에서 수술 전 진단이 이 루어져 수술 전 진단의 정확도가 67.6%였다. 간내담 관암이 초음파 촬영이나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균질 의 간내 종괴와 종종 위성 결절이 동반되는 소견을 보이고 전이 병소나 간세포암 등이 감별 대상이나 임상적으로 alpha fetoprotein이 정상 범위에 있으면 간세포암을 배제시킬 수 있다는 주장16도 있다. 말초 형 담관암의 선택적 복부혈관 조영술 소견은 해외의 보고2에 의하면 혈관 과소성의 종괴가 56.5%, 혈관 과다성의 종괴가 30.4%였다. 저자들의 증례에서는 혈관조영술에서 72.7%에서 양성 소견을 나타내었 고, 혈관 과소성이 45.5%, 혈관 과다성이 27.3%였 다. 혈관 과다성의 병소이더라도 alpha fetoprotein 수치가 정상 범위이고 carcinoembryonic antigen이나 CA 19-9이 상승되어 있으면 간내담관암을 의심할 수 있다. 수술 전 진단율 22.8%, 수술 중 진단율 62.8%로 보고하면서, 수술 전 진단율이 낮으므로 간 내결석증 및 간흡충증과 연관된 반복된 담관염, 체 중 감소, 빈혈 및 복부 동통시 간내담관암의 동반 가 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며 특히 수술시 총수 담관에서 점액성 담즙이 보일 경우 말초형 담관암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술 중 담도경이나 냉동 절편 조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17

말초형 담관암의 치료는 근치적 간절제술만이 완 치를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법인데 외과적 절 제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국의 경우 50.6%,5 29.3%7의 절제율을 보고했고 저자들은 34예

(7)

274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2, 1999

중에서 21예에서 절제가 가능하여 61.8%의 절제율 을 보였다. 말초형 담관암의 육안적 형태에 따라 뚜 렷한 종괴를 형성하는 팽창형은 광범위 간절제를, 담관을 따라 침윤하는 침윤형은 간절제와 함께 간외 담관 절제 및 간문부 림프절 곽청을 시행할 것을 주 장하는 보고3도 있다. 절제 불능이거나 양엽성 담관 암의 경우 전 간절제 및 간이식이 시도 되기도 하였 으나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최근에는 대부분의 저자들이 더 이상 간이식의 대상으로 고려하지 않고 있다.5

간절제술 후의 합병증은 술후 출혈, 복강내 감염, 담즙 누출, 간부전 등이 흔한데18 저자들의 경우 간 절제군에서 42.9%의 이환율을 보였으나 모두 보존 적 치료로 호전되었고 수술 사망 예는 1예도 없었다.

간내담관암은 육안적 형태에 따라 결절형과 침윤 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3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선암 이기 때문에 대부분에서 점액을 생성하므로 점액 생 성으로 담관암을 다른 원발성 간암과 구분할 수 있 다고19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 육안적 형태로는 결절 형이 11예, 침윤형이 10예였고 조직학적으로는 유두 암이 2예, 고분화암 8예, 중분화암 7예, 저분화암 4 예 등이 있었다. 다른 보고19에서 26예의 간내담관암 중 혈관 침윤이 5예, 림프관 침윤이 7예에서 발견되 었는데 이는 빈번한 간내외 전이가 발생할 수 있는 증거로 여겨지며, 간내담관암의 특징 중의 하나인 간문부 림프절 전이와 함께 간세포암만큼은 두드러 지지 않지만 간내전이에 문맥이 상당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여지기도 한다.20 간문부 림프절이 양성이 면 예후가 아주 불량한 것으로 보고21하였고, 통계적 의의가 없지만 간내 담관암의 림프절 전이 유무가 술후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22고도 하였다. 다른 연구7 에서는 점액성 담즙, 담관내 유두종 양상, 종양 절제 연의 충분한 확보를 장기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 후 인자들로 보고하면서 1년, 3년, 5년 누적 생존율 을 29.3%, 14.7%, 8.0%라 하였다. 최근 연구도 림프 관 침윤 및 간문부 림프절 음성일 경우가 의의있게 나은 생존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5 저자 들의 경우 간절제를 시행한 경우 1년, 3년, 5년 누적 생존율이 38.5%, 32.1%, 32.1%였고 치유 절제군과 영역 림프절 전이 음성인 경우 의의 있게 높은 생존

율을 보였다. 간내담관암이 이처럼 예후가 불량하고 절제율이 낮은 이유는 간내담관종양이 비교적 서서 히 성장하지만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 없으며 간세포 암처럼 명확한 고위험군이 없어서 진단시에는 이미 절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진행된 경우가 많고, 또 침 습성이 강해 주변 간실질 및 담관 그리고 특히 간문 부 영역 림프절의 침윤, 전이가 많아 치유 절제가 적 기 때문이다.

요 약

목적: 말초형 간내담관암은 외과적 절제율이 낮 고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발생 빈도 가 낮아 이에 관한 보고가 적다. 저자들은 8년간 본 교실에서 경험한 말초형 간내담관암 증례의 임상 및 병리학적 특성과 치료 성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말초형 간 내담관암으로 진단받고 개복 수술이 시행된 34예의 임상 기록을 검토하고 추적 조사 하였다. 결과: 임 상 증상은 상복부 동통과 발열이 흔하였고 7예 (20.6%)는 무증상이었다. 영상 진단법을 동원한 술 전 진단율이 67.6%였고 CA 19-9이 88.5%의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종양의 평균 직경은 5.4 cm, 위치 분포는 좌우엽이 비슷하였고, 44.1%에서 영역 림프 절 전이가 있었다. 절제 증례의 육안 소견에서 결절 형 11예, 침윤형 10예 였고 조직 소견은 유두암 2예, 고분화암 8예, 중분화암 7예, 저분화암 4예 등이었 다. 간흡충증이 41.2%, 간내결석이 23.5%에서 동반 되어 있었다. 수술한 34예 중 21예에서 절제 가능하 였고(절제율 61.8%) 치유 절제는 8예, 비치유 절제 가 13예였다. 술후 이환율이 35.3%였으나 모두 보존 치료로 호전되었고, 절제 증례의 수술 사망은 없었 다. 절제군의 1년, 5년 생존율은 38.5%, 32.1%였고 치유 절제군의 1년, 5년 생존율은 80.0%, 60.0%였 다. 비절제군의 경우 최장 생존 기간이 9.0개월이었 다. 절제군에서 치유 절제군과 영역 림프절 전이 음 성 예에서 유의하게 양호한 생존율을 보였다. 병리 소견에서 종양의 크기 5 cm 미만, 육안 소견의 결절 형, 림프관 침윤 음성의 경우 예후가 좋았으나 통계 적 의의가 없었고 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른 예후의

(8)

Kim et al.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Prognosis in Peripheral Cholangiocarcinoma 275

차이도 없었다. 결론: 말초형 간내담관암은 증상 발 현이 적고 술전 진단율이 낮으므로 간내결석, 간흡 충증 등의 고위험군에 대한 면밀한 추적 조사가 필 요하다. 절제군의 생존율이 양호하나 치유 절제율이 낮은 점, 림프절 전이의 빈도가 높은 점, 그리고 수 술의 위험이 적은 점 등을 고려할 때 충분한 절제연 의 확보를 위한 대량 간절제와 영역 림프절 곽청을 시행함으로써 생존율의 향상이 기대된다.

색인단어: 말초형 간내담관암.

참 고 문 헌

1. Tobe T, Endo Y, Hattori N, et al. Primary live cancer in Japan: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Ann Surg 1990;211 277-288.

2. Kawarada Y, Mizumoto R. Cholangiocarcinoma of the liver. Am J Surg 1984;147:354-359.

3. Yamamoto J, Kosuge T, Takayama T, et al. Surgica treatment of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four patients surviving more than five years. Surgery 1992;111:617-622.

4. Gall EA. Tumor of the liver. In: Schiff L, ed Diseases of the liver. Volume 2. 2nd ed. Philadel phia: JB Lippincott, 1956:543-564.

5. Chu KM, Lai ECS, Al-Hadeedi S, et al.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World J Surg 1997;21:301-306.

6. Altaee MY, Johnson PJ, Farrant JM, Williams R Etiolog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ripheral and cholangiocarcinoma. Cancer 1991;68:2051-2055.

7. Jan YY, Chen MF. Surgical treatment of periphera cholangiocarcinoma. Asian J Surg 1996;19:105-111.

8. Chen MF, Jan YY, Wang CS, Jeng LB, Hwang TL Clinical experience in 20 hepatic resections for peripheral cholangiocarcinoma. Cancer 1989;64:

2226-2232.

9. Berdah SV, Delpero JR, Garcia S, Hardwigsen J Letreut YP. A western surgical experience of peri pheral cholangiocarcinoma. Br J Surg 1996;83:1517- 1521.

10. Sanes S, MacCallum JD. Primary carcinoma of the liver: Cholangioma in hepatolithiasis. Am J Patho 1942;18:675-687.

11. Ohta G, Nakayama Y, Terata T. Intrahepatic calculi In: Nakayama F, ed. Pathology of hepatolithiasis cholangitis and cholangiocarcinoma. New York:

Alan R Liss Inc., 1984:91-113.

12. Falchuk KR, Lesser PB, Galdabini JJ, Isselbacher KJ. Cholangiocarcinoma as related to chronic intrahepatic cholangitis and hepatolithiasis. Am J Gastroenterol 1976;66:57-61.

13. 김운원, 오상훈, 최영길. 간내결석에 대한 간절제술의 성적. 대한외과학회지 1997;53:833-838.

14. Kim YI, Yu ES, Kim ST. Intraductal Variant o peripheral cholangiocarcinoma of the liver with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Cancer 1989;63:1562- 1566.

15. Hou PC. The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carcino ma of the liver and infestation with C. sinensis.

Pathol Bacteriol 1956;72:239-246.

16. Ros PR, Buck JL, Goodman ZD, Ros AM, Olmsted WW.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radiologic- pathologic correlation. Radiology 1988;169:689-693.

17. Chen MF, Jan YY, Wang CS, et al. A reappraisal o cholangiocarcinoma in patient with hepatolithiasis.

Cancer 1993;71:2461-2465.

18. 손영기, 박호철, 홍성화. 간절제술의 술후 합병증. 대 한외과학회지 1990;39:755-764.

19. Weinbren K, Mutum SS. Pathological Aspects of Cholangiocarcinoma. J Pathol 1983;139:217-238.

20. Nakajima T, Kondo Y, Miyazaki M, Okui K. A histologic study of 102 cases of intrahepatic cholan giocarcinoma: histologic classification and modes of spreading. Hum Pathol 1988;19:1228-1234.

21. Chou FF, Sheen-Chen SM, Chen CL, Chen YS Chen MC. Prognostic factors of resectable intrahe patic cholangiocarcinoma. J Surg Oncol 1995;59:40- 44.

22. Pichlmayr R, Lamesch P, Weimann A, Tusch G Ringe B. Surgical treatment of cholangiocellular carcinoma. World J Surg 1995;19:83-88.

수치

Table 1. Preoperative Imaging Diagnosis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resectability.
Fig. 3.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regional LN metastasis.

참조

관련 문서

-심박동수와 혈압을 측정하여 부정맥, 고혈압이 발생하는지 모니터 -부정맥과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을 천천히 주입.

● 중소기업이 ①「중소기업기본법」의 규정에 따른 중소기업 외의 기업과 합병하는 경우 ②유예 기간 중에 있는 기업과 합병 ③독립성기준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r]

[r]

넷째, 스마트 기기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학교육활동을 통한 덧셈 문항의 오답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피드백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고, 학습용

다양한 외계 행성계의 탐사 방법을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외계 행성계 의 특징,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의 조건을 설명할 수

시범사업지는 인천의 대표적인 야간경관 연출이 필요한 곳을 선정하였는데 선정기준은 ①인천시의 지역적 특성과 야간의 도시이미지를 형성 할 수 있는 곳,

이는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수의 무용 실력의 단편적인 문제가 아닌 무용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무용수행능력과 자아존중감에 작용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