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1Head and Neck structures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1Head and Neck structures +"

Copied!
3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11 Head and Neck structures

Glands

Lymphatics

Nasal cavity

Paranasal sinuses

1

(2)

+ 샘 (Glands)

(glands)

정상적인 인체의 기능에 필요한 화학적 분비물을 만들어 내는 구조, 운동신경에 의해 분비의 유출을 조절

외분비샘

(exocrine gland)

샘에서 만들어진 분비물이 도관

(duct)을 통해 직접 필요한 부위로

이동하는 샘

내분비샘

(endocrine gland)

도관이 없이 분비물(호르몬)이 혈관을 통해 운반되어 필요한 부위로 이동

2

(3)

+ 샘 (Glands)

외분비샘

타액을 직접 구강 내로 옮겨 주는 도관을 가지고 있음

타액(침, saliva)

구강점막 보호, 음식물의 소화, 항세균작용, 치면의 재광화, 세균치태형성, 치석형성의 공급원이 되기도 함.

타액선 (침샘, salivary glands)

3

(4)

+ 샘 (Glands)

분비물의 화학적 성분에 따라

장액침(serous saliva)

: 효소를 포함하는 단백질성 액체로 물과 같이 흐르는 상태

점액침(mucous saliva)

: 탄수화물성 액체로 점성이 있어 걸쭉한 상태

타액 (침)의 분류

4

(5)

+ 샘 (Glands)

(선)의 크기에 따라

대타액선(큰침샘, major salivary glands)- 3 쌍

귀밑샘(이하선, parotid gland)- 총 타액량의 25%

턱밑샘(악하선, submandibular gland)- 총 타액량의 60~65%

혀밑샘(설하선, sublingual gland)- 총 타액량의 10%

5

타액 (침)의 분류

(6)

6

(7)

큰침샘. A: 귀밑샘(이하선)

7

(8)

큰침샘. B: 턱밑샘(악하선)

8

(9)

큰침샘. C: 혀밑샘(설하선)

9

(10)

10

11-1 대타액선의 비교

크기 가장 크다.

피막으로 덮여있다

중간 크기.

피막으로 덮여있다

가장 적다. 피막이 없다

위치 하악가지 뒤편, 귀의 전하방 하악 아래 구강바닥

배출도관 귀밑샘관(Stenson’s duct):

상악제2대구치 반대편 볼점 막에 개구

턱밑샘관(Wharton’s duct):

구강저의 설소대 가까이에 개구

혀밑샘관(Bartholin’s duct):

턱밑샘관과 같은 부위에 개 , 설하주름에 부가도관이 있을 수 있다.

선조관

(줄무늬관) 짧다 길다 드물거나 없다

개재관(사이관) 길다 짧다 없다

선포(분비꽈리) 주로 장액성 장액성과 점액성 주로 점액성, 약간의 장액성

대타액선(큰침샘)의 비교

(11)

+ 샘 (Glands)

샘의 크기에 따라

소타액선(작은침샘, minor salivary glands)

큰침샘에 비해 크기는 작지만 많은 수의 샘이 볼, 입술, 혀점막, 연구개, 경구개 가쪽 부분, 구강바닥에 산재해 있음

작은침샘은 약간의 장액성분이 포함된 점액침으로 분비

** von Ebner 침샘

(von Ebner’s salivary gland)

o 외측설선

o 혀의 등쪽면 뒷부분에 위치 o 예외적으로 장액침만을 분비

11

타액 (침)의 분류

성곽유두

(12)

+ 샘 (Glands)

상피와 결합조직으로 구성

피막(capsule)

중격(septum)

(lobes)

소엽(lobule)

분비종말부(secretory end piece) + 도관(duct)

침샘의 조직학

침샘의 구성

12

(13)

+

분비종말부

(secretory end piece)

분비세포(secretory cell)

침을 만드는 상피세포

분비물의 종류에 따라

점액세포(mucous cells)

장액세포(serous cells)

분비꽈리(acinus)

분비세포가 이루는 하나의 집단으로 포도송이모양

샘의 끝부분에 위치하며 도관계와 연결되어 있음

* 분비세포가 하나의 층을 이루어 중앙에 내강(lumen)을 형성 하는데 이곳에서 분비된 침이 축적됨

13

(14)

 장액성 분비꽈리(serous acini)

 점액성 분비꽈리(mucous acini)

 점장액성 분비꽈리(mucoserous acini, 혼합성 분비꽈리 mixed acini)

* 장액성반달(serous demilune)- 장액성과 점액성을 분비하는 혼합샘구조

14

(15)

15

A. 이하선, B: 설하선, C: 악하선

점액세포 장액세포

(16)

+

근상피세포(myoepithelial cell)

세포체와4~8개의 세포질 돌기로 구성(바위 위에 올라앉은 문어모양)

수축할 수 있는 특수화된 상피세포

신경능선세포에서 유래

16

(17)

+

도관계

(ductal system)

분비꽈리에 연결된 관에서 시작하여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굵어지는 여러 도관들로 구성

사이관(개재관, intercalated duct)

분비꽈리에 연결된 도관, 한 층의 입방상피세포로 구성

타액에 대한 통로를 제공

17

(18)

+

줄무늬관(선조관, striated duct)

사이관에 연결된 도관

한 층의 원주상피세포로 이루어진 관으로 세포 바닥쪽에 줄무늬가 있음(세포의 표면적을 넓히는 기능)

혈관으로부터 능동적인 이온 수송

분비관(excretory duct, secretory duct)

침샘 도관계의 마지막 부분으로 이 관을 통해 침이 구강내로 배출

샘의 중격에 위치샘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나가면서 중층편평상피로 변화

18

(19)

19

(20)

** 침샘에 대한 임상적 고려사항 20

1. 구강건조증 (xerostomia, dry mouth) 2. 점액류종 (mucocele)

3. 하마종 (ranula)

4. 니코틴구내염 (nicotinic stomatitis)

(21)

21

(22)

+ 샘 (Glands)

가장 큰 내분비샘

목의 앞쪽 갑상연골 양 아래쪽에 위치

티로신(thyroxine)분비: 대사촉진

* 부갑상샘(parathyroid glands)

갑상샘의 양측으로 두 개씩 존재(4~8개)

22

갑상샘 (thyroid gland)

(23)

+ 샘 (Glands)

피막으로 덮여있음

피막이 샘의 안쪽까지 연장되어 중격(septum)을 이루고 이 중격이 샘을

엽(lobe), 소엽(lobule)으로 나눔

각 소엽은 콜로이드(colloid)를 한 층의 입방상피세포들이

둘러싸고 있는 소포(follicles)로 구성되어 있음

23

갑상샘의 조직학

(24)

+ 샘 (Glands)

배아발육시기에 최초로 나타나는 내분비샘

내배엽에 중간엽세포가 파고들면서 발생

혀뿌리에서 정중부가

아래쪽으로 성장하면서 좁은 관인 갑상혀관 (thyroglossal duct)에 연결되고 나중에 이 관은 폐쇄됨

24

갑상샘의 발생

설맹공

(25)

** 갑상샘에 대한 임상적 고려사항 25

1. 갑상선종 (goiter)

(26)

+ 림프계 (Lymphatics)

면역계의 일부분

전신에 존재하는 림프절과 이들을 연결하는 림프관의그물망으로 구성

구강내 편도조직도 림프계에 속함

26

(27)

+ 림프계 (Lymphatics)

내피세포로 덮여 있는 관으로 주로 정맥혈관과 평행하게 주행

각 림프관은 자신의 특정지역으로 배출되며 모든 림프관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음

림프관은 모세혈관에 비해 직경이 더 크다

* * 림프(lymph)- 주변 부위에서 림프관 내로 흘러 든 조직액

27

림프관 (lymphatic vessels)

(28)

+ 림프계 (Lymphatics)

콩 모양의 덩어리로 림프관에 연결되어 집단을 이루어 존재

림프에 있는 독성 물질을 걸러내는 기능

수입관(afferent vessels)- 림프절로 들어오는 림프관 수출관(efferent vessels)- 림프절로부터 나가는 림프관

28

림프절 (lymph nodes)

(29)

+ 림프계 (Lymphatics)

피막(capsule)

잔기둥(trabeculae)

림프소절(lymphatic nodule)

종자중심(germinal center)

29

림프절의 조직학

(30)

** 림프절에 대한 임상적 고려사항 31

1. 림프절병증 (lymphadenopathy)

(31)

+ 비강 (Nasal cavity)

코의 안쪽 공간

코구멍(nostrils), 코중격(nasal septum), 코선반(nasal conchae)

호흡기점막(respiratory mucosa)으로 덮여있음

거짓중층섬모원주상피, 술잔세포(goblet cell)

32

(32)

+

33

(33)

34

거짓중층섬모원주상피

(34)

+ 부비동 (코곁동굴, Paranasal sinuses)

양측성으로 존재하는 뼈 속의 공기가 가득 찬 공간

전두동(이미뼈동굴), 접형동(나비뼈동굴), 사골동(벌집뼈동굴), 상악동(위턱뼈동굴)

비강의 가쪽벽에 있는 작은 개구부를 통해 비강과 연결

머리뼈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소리의 공명을 일으키며 비강을 위한 점액을 생산

호흡기점막(respiratory mucosa)으로 덮여있음

35

(35)

36

(36)

** 비강과 부비동에 대한 임상적 고려사항 37

1. 부비동염 (코곁동굴염, sinusitis)

상악동염(위턱뼈동굴염)

상악 구치에서 일어난 치근단농양으로부터

위턱뼈 동굴이 감염되었을 경우

참조

관련 문서

 header includes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disk addresses of the file blocks as well as to record format descriptions, which may include field lengths and order of fields

Results after 4 weeks showed that both deep neck bending muscle exercise+general neck strengthening exercise group showed decreased pain and improved functional status

• Elastic body in equilibrium under the applied body forces and surface tractions undergoing compatible strain s whose displacement field is kinematically admissible, and for

We have implemented and developed a virtual angioscopy system based on the proposed methods, and tested it using several actual data sets of human blood

Microbubbles are created in copious quantities in the wakes of ocean vessels and, because of their large acoustical cross sections, are responsible for

Wang et al., Smart Soft Composite Actuator with Shape Retention Capability using Embedded Fusible Alloy Structures,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2015).. Shape

 Electric discharge is passed through gaseous hydrogen , H 2 molecules and H atoms emit lights of discrete frequencies.. Spectra

- Hooke’s law and the definition of stress and strain can be used to relate deformations and forces when all stresses are under the proportional limit of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