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ackground/Ai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survival rates of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Background/Ai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survival rates of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2000;35:600 - 609

No. 99-225

수술 가능한(UICC T 병기 1, 2 및 3), Ch ild A인 간세포암 환자의 초기 치료로서 수술적 절제술과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생존율 비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간연구소, 한국방송대학교 응용통계학과*

김강모・이효석・윤정환・이태림*・김태헌・우광훈・김정룡

An a ly s i s o f S u r v i v a l R a t e s b y S u rg i c a l R e s e c t i o n o r Tr a n s a r t e ri a l Ch e m o - e m bo liza ti o n a s th e In i ti a l Tre a t m e n t fo r t h e P a t ie n t s w i th H e pa to c e llu la r

Ca rc i n o m a (UICC T s ta g e 1, 2, 3) a n d Ch i ld -P u g h Cla ss A Liv e r F u n c t io n

Kang Mo Kim, M.D., Hyo-Suk Le e , M.D., J ung-Hw an Yoon, M.D., Tae -Rim Le e , Ph.D.*, Ta e H u n Kim , M.D., Gw a n g H o o n Wo o, M.D. a n d Ch u n g Yo n g Ki m ,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Applied Statistic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Korea

Background/Ai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survival rates of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who were treated either with surgical resection (SR) o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Methods: From 1993 through 1994, 183 patients with HCC in UICC T1-3N0M0 and liver function of Child-Pugh class A were enroll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R group and TACE group)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y. Stratific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umor stage (UICC or CLIP) and the degree of lipiodol retention. Survival rates of SR group and TACE group were compared. Results: When the both groups were stratified with UICC T stage, median survival of SR group and TACE group was 54 and 31 months, respectively, in UICC T1 HCC (p=0.0998), 65 and 37 months in T2 (p=0.0154), and 14 and 27 months in T3 (p=0.5432). In the stratification with CLIP stage, median survival of SR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in CLIP 0 or 1 HCC patients than that of TACE group. In the patients showing compact lipiodol uptake, median survival of SR group and TACE group in UICC T1 and T2 was 65 and 50 months (p=0.1529), and 65 and 48 months in CLIP 0 (p=0.1012), respectively. Conclusions: When compact lipiodol uptake is observed, repeated TACE may be as effective as surgery in patients with HCC of UICC T1, 2 or CLIP 0, as well as the patients with more advanced HCC. (Kor J Gastroenterol 2000;35:600 - 609)

Key Words: Hepatocellular carcinoma,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Surgical resection, UICC, CLIP

접수: 1999년 11월 8일, 승인: 2000년 2월 3일

연락처: 이효석, 110-744,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28번지, 서울대학병원 내과 소화기분과 Tel: (02) 760-2228, Fax: (02) 762-9662

※ 수술 가능한(UICC T병기 1, 2 및 3), Child A인 간세포암 환자의 초기 치료로서 수술적 절제술과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생존율 비교 본 논문의 요지는 1999년 5월 대한간학회 제5차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 본 연구는 1997년도 서울대병원 지정연구비(02-1997-018-0)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음.

(2)

김강모 외 6인. 수술 가능한 간세포암 환자에서 수술과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생존율 비교 601

서 론

간세포암은 치료하지 않을 경우 중앙생존기간이 2-4개월 밖에 되지 않는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이 다.1-3 간세포암의 치료에는 수술적 절제술, 경동맥 항암색전술, 경피적 에탄올주입술, 전신 항암 약물요 법, 간이식 등이 있으며4-6 대부분의 환자에서 간경변 증이 동반되어 있으므로 치료의 선택에 있어서 병기 외에도 잔여 간기능이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수술적 절제술은 수술 가능한 병기와 간기능을 가진 환자에서 가장 좋은 치료법으로 시행되고 있 고5 5년 생존율이 전체적으로 30-40%에 달하나,6,7 치료 후 간내 재발이 3년에 85%에서 발생하여 주된 사망 원인이 되고8-10 종양의 크기나 개수, 혈관 침범 여부에 따라 예후가 좋지 않은 환자도 있다.11,12 이 에 비해 경동맥 항암색전술은 수술이 불가능한 환 자에게 주로 시행되며 보존적 치료만을 시행한 환 자와 비교해 생존 기간의 증가가 없다는 보고가 있 는 반면13,14 경동맥 항암색전술이 효과적인 경우 생 존율의 증가도 기대할 수 있으며15 소간세포암이나 절제 가능한 간세포암에서는 수술적 절제술에 버금 가는 성적도 보고되고 있다.16,17 경동맥 항암색전술 의 성적이 상이하게 보고되는 이유는 대상 환자의 특성이 보고마다 다르기 때문인데 특히 경동맥 항 암색전술의 초기 효과가 좋을수록 생존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수술적 절제술과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과를 뒤틀림(bias) 없이 비교하기 위해서는 종양의 병기와 간기능뿐만 아니라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과도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데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과는 치료 후 촬영한 리피 오돌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리피오돌의 침착 정도로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한편, 간세포 암에 대한 국소 치료로서 수술적 절제술과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전향적 무 작위 연구가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같은 기간 서울대학교병원 을 방문한 수술 가능한 간세포암 환자를 일률적으 로 등록하여 초기 치료로써 수술을 받은 경우와 반 복적인 경동맥 항암색전술만을 시행받은 환자군 간

의 생존율을, 종양의 병기와 간기능뿐만 아니라 초 기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과에 따라 각 환자군을 계층화하여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1993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 원에서 간세포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UICC T병 기가 1-3이고 N과 M병기는 각각 0이며 간기능이 Child-Pugh class A인 모든 환자를 일률적으로 연구 에 포함하였다. 총 183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는데 91 명은 수술적 절제술을, 수술을 거부하는 92명은 계 속적인 경동맥 항암색전술만을 시행받았다.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91명 중 10명을 제외한 81명은 수술 전 경동맥 항암색전술을 1회 시행받았으며 경 동맥 항암색전술만을 시행받은 92명은 추적 전산화 단층촬영과 FP의 결과에 따라 1-6개월 간격으로 평 균 5.5회의 경동맥 항암색전술을 시행받았다.

2. 방 법

대상 환자에 대해 1998년 10월 4일을 기점으로 하여 의무기록지와 방사선 사진을 중심으로 후향적 으로 분석하였고 중도에 관찰이 중단된 경우는 동 사무소와 파출소 조회 등을 통하여 생존 여부를 확 인하였다. 대상 환자의 초기 경동맥 항암색전술 시 행시의 성별, 연령, 나이, α-fetoprotein, B 또는 C형 간염바이러스 존재 여부, 간세포암의 크기, 개수, 혈 관 침범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초기 치료로 수술적 절제술을 받은 군과 계속적 인 경동맥 항암색전술만을 받은 군의 생존율을 비 교하였고 간세포암의 병기에 따른 치료 방법간의 생존율 비교를 위해 UICC T병기와 CLIP scoring 시 스템19을 이용하여 대상 환자를 계층화하여 생존율 을 비교하였다. 초기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과에 따른 생존율 비교를 위해서 경동맥 항암색전술 시 행 1-2주 후 시행한 리피오돌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리피오돌 침착이 치밀한 군(치료가 효과적인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간세포암 병기에 따른 치료 방법간의 생존율 차이를 비교하였다. 사망 원

(3)

60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5, No. 5, 2000

인이 확인 가능한 환자에서 사망 원인을 간기능 부 전, 정맥류 출혈, 종양 파열이나 골, 뇌전이 같은 종 양 자체에 의한 사망 등으로 나누어 조사한 후 두 치료 방법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환자의 생존율은 PC-SAS version 6.12를 이용하 여 Kaplan-Meier법으로 산출하였고 다른 군간의 생 존율 비교는 log-rank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자의 특성

두 치료군간에 성별, 나이, B 또는 C형 간염바이 러스 존재 여부, CLIP 병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적 절제술군과 경동맥 항 암색전술군에서 UICC T병기는 T1, 2, 3가 각각 19%, 69%, 12%와 15%, 53%, 32%로 경동맥 항암 색전술군에서 유의하게 T3가 더 많았다(p=0.006).

초기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과는 수술적 절제술 군에서 효과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서 두 군간의 통계적 차이를 알 수는 없었다. α-FP은 두 군에서 각 각 평균 4,995 ng/ml와 7,917 ng/ml로 경동맥 항암색 전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282)(Table 1).

2. 생존율

1) 전체 생존율과 치료 방법간의 생존율 비교 전체 대상 환자의 1, 3, 5년 생존율은 86%, 56%, 38%이었으며(중앙 추적 기간: 56개월)(Fig. 1), 이 중 수술적 절제술을 받은 군과 경동맥 항암색전술 만을 시행한 군의 1, 3, 5년 생존율은 각각 82%, 63%, 50%와 90%, 49%, 26%로 수술적 절제술을 받은 군 에서 유의하게 생존율이 높았다(p=0.0041)(Fig. 2).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Surgical resection (%) (n=91) TACE* (%) (n=92) p value Sex

Age

α-fetoprotein Viral marker Child-Pugh Effect UICC T stage CLIP stage

M: 76(84), F: 15(16) Mean: 49.96yr Mean: 4995 ng/ml

B: 71(78), C: 4(4), B&C: 2(2), NBNC†: 13(14), unknown: 1(1) A: 91(100)

compact: 53(58), non-compact:

28(31), unknown: 10(11) 1: 17(19), 2: 63(69), 3: 11(12) 0: 54(59), 1: 27(30), 2: 8(9), 3: 2(2), 4: 0(0)

M: 81(88), F: 11(12) Mean: 55.83yr Mean: 7917 ng/ml

B: 61(66), C: 14(15), B&C: 1(1), NBNC: 12(13), unknown: 4(4) A: 92(100)

compact: 54(59), non-compact:

36(39), unknown: 2(2) 1: 14(15), 2: 49(53), 3: 29(32) 0: 40(43), 1: 37(40), 2: 13(14), 3: 1(1), 4: 1(1)

0.380 0.9578 0.0282 0.075

0.042 0.006 0.187

*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Non-B, Non-C, Numbers in parenthesis indicate percentage.

Fig. 1. Surviv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These patients have HCC of UICC T1-3N0M0 and Child-Pugh class A liver function.

(4)

Kim, et al. Survival Analysis of Operable HCC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o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603

2) 각 병기에 따른 치료 방법간의 생존율 비교 전체 대상 환자에서 UICC T병기에 따른 중앙생 존기간은 T1, 2, 3에서 각각 51개월, 51개월, 26개월 로 T1과 T2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p=0.5713) T2 와 T3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94). 전 체 대상 환자에서 CLIP병기에 따른 중앙생존기간은 CLIP 0, 1, 2에서 각각 58개월, 36개월, 20개월로 CLIP 0과 1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

0.0055) CLIP 1과 2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7730)(Fig. 3).

간세포암의 병기가 UICC T1인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술군과 경동맥 항암색전술군의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54개월, 31개월이었고(p=0.0998) UICC T2인 환자에서는 각각 65개월, 37개월(p=0.0154), UICC T3인 환자에서는 각각 14개월, 27개월로(p=0.5432) UICC T병기가 낮을수록 수술적 절제술군의 생존율 이 높게 나타났다(Fig. 4). 간세포암의 병기가 CLIP 0인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술군과 경동맥 항암색전 술군의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65개월, 36개월 (p=0.0101), CLIP 1인 경우에는 각각 32개월, 39개 월이었고(p=0.9441) CLIP 2인 경우에도 CLIP 1인 경우와 같이 중앙생존기간에서 두 치료 방법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어서(p=0.4649)(Fig. 5) UICC T병 기에서와 같이 낮은 CLIP병기에서 수술적 절제술군 의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3) 초기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과에 따른 치료 방법간의 생존율 비교

전체 대상 환자에서 초기 경동맥 항암색전술이 효과적이었던 군과 그렇지 않았던 군의 1, 3, 5년 생 존율은 각각 91개월, 64개월, 42개월(중앙생존기간:

51개월)과 86개월, 44개월, 29개월(중앙생존기간:

Fig. 2. Surviv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ccording to the treatment. Sur- vival rate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S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TACE.

Fig. 3. Surviv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ccording to the tumor stage. (a) UICC T stage.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with HCC of UICC T1 or 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s with HCC of UICC T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etween the patients of UICC T1 and T2 HCC. (b) CLIP stage.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with HCC of CLIP 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s with HCC of CLIP 1 or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etween the patients of CLIP 1 and 2 HCC.

(5)

604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5 권 제 5 호 2000

30개월)로 경동맥 항암색전술이 효과적이었던 군 에서 유의하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p=0.0071) (Fig. 6).

간세포암의 병기가 UICC T1, 2인 환자 중 경동 맥 항암색전술이 효과적이었던 환자에서 수술적 절 제술군과 경동맥 항암색전술군의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65, 50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1529) UICC T1, 2인 환자 중 경동맥 항암색전술이 효과적

이지 않았던 환자에서 치료 방법간 중앙 생존기간 은 각각 53개월, 29개월로 수술적 절제술 군에서 유 의하게 높았다(p=0.0230)(Fig. 7).

간세포암의 병기가 CLIP 0인 환자 중 경동맥 항 암색전술이 효과적이었던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술 군과 경동맥 항암색전술군의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65, 48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1012) CLIP 0인 환자 중 경동맥 항암색전술이 효과적이지

Table 2. Cause of Death of the Patients with Operable HCC and Child-Pugh Class A Liver Function

SR* (25/44) TACE (28/64) Hepatic function deterioration (PSE†, SBP‡ etc)

Varix bleeding

Tumor itself (tumor rupture, distant metastasis etc) Others (toxic megacolon, lung ca)

Unknown

14 (56%) 4 (16%) 6 (24%) 1 ( 4%) 19

17 (61%) 3 (11%) 7 (25%) 1 (4%) 36

* Surgical resection.

†Portosystenic encephalopathy.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p=0.952.

(6)

김강모 외 6인. 수술 가능한 간세포암 환자에서 수술과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생존율 비교 605

않았던 환자에서 치료 방법간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54개월, 29개월로 수술적 절제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460)(Fig. 8).

4) 사망 원인 비교

수술적 절제술군과 경동맥 항암색전술군의 사망 환자 중에서 사망 원인을 확인할 수 있었던 환자는 각각 44명 중 25명과 64명 중 28명이었는데 간성 혼수나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과 같이 간기능 부전 에 의한 사망이 각각 14명(56%)과 17명(61%)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간세포암 파열이나 골, 뇌 전이와 같은 종양 자체에 의한 사망으로 각각 6명 (24%), 7명(25%)이었다. 두 치료 방법간 사망 원인 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52)(Table 2).

고 찰

간세포암의 수술적 절제술은 진단 방법, 수술 수 기, 수술 후 보존적 치료의 발전에 힙입어 성적이 많이 향상되어 최근에는 5년 생존율을 50%까지 보 고하기도 한다.5,20 하지만 여기에는 영상 진단 기술 의 발전으로 이전에는 발견하지 못했던 딸결절의 Fig. 5. Surviv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 dality among different CLIP stages. (a) CLIP 0 stage. In the patients with HCC of CLIP 0,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S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TACE. (b) CLIP 1 st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etween the patients treated with different initial treatment modality. (c) CLIP 2 st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etween the patients treated with different initial treatment modality.

Fig. 6. Surviv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ccording to the pattern of lipiodol uptake following initial TACE.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with compact lipiodol uptake was signi- 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s with non- compact uptake.

(7)

60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5, No. 5, 2000

발견이 용이해져서 수술을 위한 환자의 선별이 엄 격해진 것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으며, 비교적 진행된 병기의 환자는 여전히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우리 나라에서는 간세포암의 60-70%에서 간경변증이 동반되어 있고 21,22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가장 큰 사망 원인이 간내 종양의 재발이라는 측면에서10 간세포암의 다

발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경동맥 항암색전술은 시행 후에도 살아 있는 종 양세포가 남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지만23 효과적 인 치료가 되었을 경우에는 수술 조직 소견에서 100%의 종양 괴사를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치 료의 효과가 좋을 경우 생존율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으며15 수술적 절제술에 비해 수술에 따른 합병증 Fig. 7. Surviv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y and the pattern of lipiodol uptake in UICC T1, 2 stage. (a) Compact lipiodol uptake. In the patients with HCC of UICC T1 or 2 and compact lipiodol uptak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etween the patients treated with different initial treatment modality. (b) Non-compact lipiodol uptake. In the patients with HCC of UICC T1 or 2 and non-compact lipiodol uptake,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S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TACE.

Fig. 8. Surviv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y and the pattern of lipiodol uptake in CLIP 0 stage. (a) Compact lipiodol uptake. In the patients with HCC of CLIP 0 and compact lipiodol uptak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etween the patients treated with different initial treatment modality. (b) Non-compact lipiodol uptake. In the patients with HCC of CLIP 0 and non-compact lipiodol uptake,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S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TACE.

(8)

Kim, et al. Survival Analysis of Operable HCC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o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607

이 없고 종양의 병기와 저하된 간기능에 따른 적응 증의 제한도 적다는 장점이 있다.

수술 가능한 조기 간세포암의 치료에 있어 수술 적 절제술과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비교 연구는 전 향적 무작위 연구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후향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수술적 절제술이 우수한 결과 를 보이고 있다.24 하지만 대부분의 이러한 연구는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과를 계층화하여 분석하지 않았는데 최근 색전술의 효과가 좋은 군에서의 보 고에 의하면 수술에 버금가는 성적을 나타내고 있 다.16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같은 기간 서울대학교 병원을 방문한 모든 수술 가능한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군과 반복적인 경동맥 항암색전술만을 시행받은 군 간의 생존율을 분석하면서 종양의 병기와 간기능뿐만 아니라 경동 맥 항암색전술의 효과에 대해서도 계층화하여 두 치료군을 비교하였다.

실질적으로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과를 수술하 지 않고 객관화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로, 치료 전후의 α-FP 수치 변화를 이용하거나16 경동맥 항암 색전술 시행 한 달 후 촬영한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의 조영 여부를 이용한 보고가 있다.15 본 연구에서 는 경동맥 항암색전술 후 조직 괴사의 정도와 리피 오돌 침착 정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에 따라18 경동맥 항암색전술 시행 1-2주 후 시 행한 리피오돌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리피오돌 침착 이 빈 곳 없이 치밀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 누어 효과를 판정하였으며 수술 후 조직에서의 종 양 괴사 정도와도 맞는 소견을 보였다(발표하지 않 은 내용임).

본 연구에서는 종양의 병기 분류 방법으로 UICC 와 CLIP병기 분류법을 사용하였는데, UICC T병기 에서는 T1과 T2 사이에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으며 이것은 이전의 보고와 일치하는 소견이다.25 CLIP병 기는 이와 달리 CLIP 1과 CLIP 2 사이에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으며 이 새로운 병기에 대한 검증은 향 후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하겠다.

본 연구 결과, 전체 대상 환자에서는 수술적 절제 술의 경우가 유의하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UICC T병기나 CLIP병기로 계층화하여 비교하였을 때

UICC T2와 CLIP 0에서 수술적 절제술의 경우 유의 하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UICC T1에서도 그러한 경향을 보여 결국 상대적으로 낮은 병기에서는 수 술적 절제술의 성적이 더 우수하였다. 그러나 상대 적으로 높은 병기인 UICC T3와 CLIP 1,2에서는 두 치료 방법간에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으므로 이들 환자에서는 수술에 따른 비용 및 위험성을 고려할 때 경동맥 항암색전술을 적용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한편, 전체를 대상으로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 과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하면 리피오돌 침착이 치 밀한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생존 율이 높으므로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효과도 생존율 의 분석에 고려 인자가 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수 술적 절제술의 효과가 더 우수하였던 UICC T1,2와 CLIP 0 환자 중에서 리피오돌 침착이 치밀하지 않 은 군의 생존율은 여전히 수술적 절제술의 경우에 서 더 높았으나, 리피오돌 침착이 치밀한 군에서는 수술적 절제술과 경동맥 항암색전술 간의 생존율에 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수술이 가능한 간 세포암 환자에서도 초기 경동맥 항암색전술 후 촬 영한 리피오돌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치밀한 리피오 돌 침착을 보인다면 수술 이외에 반복적인 경동맥 항암색전술이 하나의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 로 생각되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이를 검정하 기 위한 전향적 연구에 대한 중요한 임상적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요 약

목적: 간세포암의 치료에 있어 경동맥 항암색전 술(TACE)은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주로 시행 되어 왔으며 수술이 가능한 환자에서 TACE 효과에 따라 계층화하여 분석한 TACE 성적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 기간 수술 가능한 병기와 간기능을 가진 간세포암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술(SR)을 받은 환자들과 수술을 거부하여 TACE 를 시행받은 환자들을 일률적으로 등록한 후 추적 관찰하여 두 군간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에서 199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9)

608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5 권 제 5 호 2000

간세포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UICC T병기가 1, 2, 3이고 간기능이 Child A에 속하는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183명의 대상 환자 중 91명은 SR을, 92명은 반복적인 TACE를 시행받았다. 10명 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첫 번째 TACE 2주 뒤 촬 영한 리피오돌 전산화단층촬영(L-CT)으로 리피오돌 의 침착 정도를 평가하였고 리피오돌의 침착 정도 와 UICC T병기, CLIP병기로 계층화하여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SR과 TACE군의 1년, 3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82%, 63%, 50%와 90%, 49%, 26%

이었다(p=0.0041). 두 군을 UICC T병기로 계층화하 여 중앙생존기간을 비교하면 UICC T1일 때 SR과 TACE 각각 54개월과 31개월(p=0.0998), T2일 때 65개월과 37개월이었고(p=0.0154), T3일 때는 14개 월과 27개월이었다(p=0.5432). 두 군을 CLIP병기로 계층화하여 중앙생존기간을 비교하면 CLIP 0일 때 SR과 TACE 각각 65개월과 36개월(p=0.0101), CLIP 1일 때 32개월과 39개월이었고(p=0.9441), CLIP 2 인 환자에서는 CLIP 1인 경우와 같이 중앙 생존기 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649). UICC T1, 2이더라도 리피오돌 침착이 치밀했던 환자에서는 각각 65개월과 50개월이었고(p=0.1529) CLIP 0이더 라도 리피오돌 침착이 치밀했던 환자에서는 65개월 과 48개월로서 두 치료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p=0.1012). SR과 TACE 두 군간에 사망 원인에 는 차이가 없었다(p=0.952). 결론: UICC T1, 2 및 3, Child A(수술 가능)인 간세포암의 초기 치료에서 전 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SR이 TACE보다 생존 율에서 우수하나, UICC T1, 2, CLIP 0이고 초기 TACE 후 리피오돌 침착이 치밀했던 경우와 UICC T3, CLIP 1, 2에서는 SR과 TACE군 간에 생존율에 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참 고 문 헌

1. 김정룡, 이준성, 이한주, 이효석, 윤용범, 송인성. 간 세포암의 자연경과와 여러 치료방법에 따른 생존율 에 관한 연구. 과거 20년간의 경험을 토대로. 대한내 과학회지 1993;45:141-153.

2. Okuda K, Ohtsuki O, Obata H, et al. Natural his-

tor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prognosis in relation to treatment. Study of 850 patients. Cancer 1985;56:918-928.

3. Pawarode A, Voravud N, Striuranpong V, Kullava- nijaya P, Patt YZ. Natural history of untreated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a retrospective study of 157 patients. Am J Clin Oncol 1998;21:

386-391.

4. Bruix J.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epatology 1997;25:259-262.

5. Farmer DG, Rosove MH, Shaked A, Busuttil RW.

Current treatment modalities for hepatocellular car- cinoma. Ann Surg 1994;219:236-247.

6. Mor E, Kaspa RT, Sheiner P, Schwartz M. Treat- 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ssociated with cirrhosis in the era of liver transplantation. Ann Intern Med 1998;129:643-653.

7. Okuda K.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out- come, prognosis and follow-up. In: Terblanche J, ed. Hepatobiliary malignancy: its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Avon, UK: The Bath Press, 1994:

159-163.

8. 서경석, 윤효영, 이건욱, 김수태. 간세포암 환자에서 근치적 간절제술 후 간내 재발 양상. 대한소화기병학 회지 1994;26:669-674.

9. Matsumata T, Kanematsu T, Takenaka K, Yoshida Y, Nishizaki T, Sugimachi K. Patterns of intra- hepatic recurrence after curative resection of hepa- tocellular carcinoma. Hepatology 1989;9:457-460.

10. Nagasue N, Uchida M, Makino Y, et al. Incid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ntrahepatic recurrence following resec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Gastroenterology 1993;105:488-494.

11. Nagao T, Inoue S, Goto S, et al. Hepatic resec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Clinical features and long-term prognosis. Ann Surg 1987;205:33-40.

12. Ikeda K, Saitoh S, Tsubota A, et al. Risk factors for tumor recurrence and prognosis after curative resec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ancer 1993;

71:19-25.

13. Bruix J, Llovet JM, Castells A, et al. Transarterial embolization versus symptomatic treatment in pati-

(10)

김강모 외 6인. 수술 가능한 간세포암 환자에서 수술과 경동맥 항암색전술의 생존율 비교 609

ents with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a single institution. Hepatology 1998;27:1578-1583.

14. Groupe dEtude et de Traitement du Carcinome Hepatocellulaire. A comparison of lipiodol chemo- embolization and conservative treatment for unre- 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N Engl J Med 1995;332:1256-1261.

15. Ikeda K, Kumada H, Saitoh S, Arase Y, Chayama K. Effect of repeated transcatheter arterial embo- lization on the survival time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An analysis by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Cancer 1991;68:2150- 2154.

16. 신경한, 이효석, 이준성 등. 경동맥 색전술에 초기 반 응을 보인 간세포암 환자의 생존율 및 예후 결정인 자. 대한간학회지 1998;4:264-277.

17. Bronowicki JP, Boudjema K, Chone L, et al. Com- parison of resection, liver transplantation and trans- catheter oily chemoembolization in the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J Hepatol 1996;24:293- 300.

18. Imaeda T, Yamawaki Y, Seki M, et al. Lipiodol retention and massive necrosis after lipiodol- chemoemboliz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orrelation between computed tomography and his-

topathology.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3;16:

209-213.

19. The Cancer of the Liver Italian Program (CLIP) Investigators. A new prognostic system for hepato- cellular carcinoma: a retrospective study of 435 patients. Hepatology 1998;28:751-755.

20. Takenaka K, Kawahara N, Yamamoto K, et al.

Results of 280 liver resection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rch Surg 1996;131:71-76.

21. Lee NW, Wang J, Ong GB. Surgical management of primary carcinoma of liver. World J Surg 1982;

6:66-75.

22. Takeuchi J, Kasai Y, Mizumoto R, et al. Primary liver cancer in Japan. Cancer 1984;54:1747-1755.

23. Kuroda C, Sakurai M, Monden M, et al. Limitation of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using iodized oil for small hepatocellular carcinoma. A study in resected cases. Cancer 1991;67:81-86.

24. Kanematsu T, Matsumata T, Shirabe K,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hepatic resection and trans- 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Cancer 1993;71:

2181-2186.

25. 윤종길, 김현각, 이창희 등. 간세포암의 비수술적 치 료후 생존율 평가에 의한 UICC병기의 타당성에 관 한 후향적 연구. 대한내과학회지 1996;51:437-444.

수치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Fig. 3. Surviv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ccording to the tumor stage
Table 2. Cause of Death of the Patients with Operable HCC and Child-Pugh Class A Liver Function
Fig. 6. Surviv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ccording to the pattern of lipiodol uptake following initial TACE
+2

참조

관련 문서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endoscopic modality for assessment of severity of ulcerative colitis during follow up and to know whether there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reat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 and the availability of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two-stage CO 2 system with two-different evaporator temperature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outdoor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how applying a critical pathway to stomach cancer patients affects their recovery and treatment, the clinical effect of the critical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trend in incidence of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patients from the Gwangju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of advanced airway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by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ion pattern of the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inferior alveolar nerve

This study focuses on the overall survival(OS) and the re-recurrence free survival (RFS) rates for patients according to the Milan criteria status at the time of recurrence 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