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경험한 고정약진 환자들의 임상양상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경험한 고정약진 환자들의 임상양상 분석"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553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경험한 고정약진 환자들의 임상양상 분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원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연구소2,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유해반응관리센터, 서울대학교병원 지역약물감시센터3

*정재우

1,2,3

, 김윤정

1,2

, 양민석

1,2

, 김민혜

1,2

, 강혜련

1,2,3

, 조상헌

1,2,3

, 민경업

1,2

Introduction: 고정약진은 원인약제의 반복적인 투여에 의하여, 동일한 부위의 피부나 점막에 반복적인 발진과 수포 등이 발생하며, 치유 후 대부 분 과다색소침착을 남기는 약물과민반응으로 원인약제를 알면 예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경험한 고정약진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ethods: 서울대학교병원에서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고정약진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Results: 총 134명의 환자가 서울대병원에서 고정약진으로 진단받았으며, 나이는 평균 35.9 (0-82)세였으며, 남성은 69명(51.5%)이었 다. 내원 당시 급성병변 없이 색소침착 등만 남아있었던 경우가 68예(56.7%)이었다. 처음 병소 발생 후 외래 내원까지 걸린 기간은 1.86 (1-20)년이 었고, 평균 발생 횟수는 2.61 (1-10)회이었다. 이들 중 고정약진으로 입원치료가 필요했던 환자는 4명(3.1%)이었다. 발생위치는 상지가 64명(47.7%) 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하지, 안면, 복부, 흉부, 둔부, 회음부 순이었다. 단일병소로 나타난 경우는 30.6%였다. 명확한 원인약제가 확인된 경우는 38명(28.4%)에 불과하였으며, 이 중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가 71.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항생제가 15.8%에 해당하였다.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는 80명(59.7%)이었으며, 전신 스테로이드는 15명(11.2%)의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연고는 58명(43.3%)의 환자에서 처방되었다.

Conclusion: 고정약진은 드물지 않게 발생하는 약물과민반응으로, 본 연구에서 원인약제가 정확히 확인된 경우는 30% 미만이었다. 반복 노출에 의한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고정약진의 정확한 원인 약제의 감별과 환자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조

관련 문서

② contractPrice와 period를 인자로 받아, 사용 개월 수에 따른 할인금액을 return 하는 periodDiscount() 함수를 정의한다.. 위의 상세 요구사항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성분 단일 주사제에 대한 재심사 결과, 다음의 이상반응이 추가 되어 해당 약제의 허가사항을 변경지시 하였다.

The patients with older age or underlying cardiovascular disease had more severe anaphylaxis (P<0.05,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탁승제 교수는d이번 연구결과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게 시행한 것 이지만 다른 환자들의 스텐트 시술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더 많 은 고위험군

이상적인 마취 깊이 측정 장비는 사용되는 약제의 종류 에 상관없이 실제 마취 깊이와 일치하는 정확한 수치를 제 공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깊이의 마취, 각성과 회상의 소실 을

혼합 연구의 경우 대부분 단일 사례나 단일 개체를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에서 전후검사를 활용한 양적 비교 및 치료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을 동시에 하고

원인 약물 복용 8주 이내에 피부발진, 발열, 림프절 종대, 단일 또는 다 기관의 부전을 특징으로 하며 원인 약제는 주로 항경련제(phenytoin, phenobarbital,

birch pollens by skin prick tests and high serum levels of specific IgE to apple by ELISA. The IgE-binding component of apple allergen with a molec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