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통상 4.0시대를 선도하는 한국의 통상정책: 3대 핵심 과제와 7대 주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통상 4.0시대를 선도하는 한국의 통상정책: 3대 핵심 과제와 7대 주문>"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보고서 요약>

<통상 4.0시대를 선도하는 한국의 통상정책:

3대 핵심 과제와 7대 주문>

□ 한국은 수출주도형 성장전략과 대외개방 정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비약 적인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최근 지속 성장을 위협하는 대내외 도전에 직면

- 대내적으로는 낮은 고용률, 내수와 수출의 양극화, 고령화와 성장잠재력 저 하, 경제민주화 열망 등에 대한 도전에 직면

- 대외적으로는 선진경제권의 저성장, 성장 중심축의 신흥국 이동, 광역 FTA 추진 움직임 가시화,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직면

□ 통상 4.0 시대를 맞아 신정부는 성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국내경제의 질적 발전과 연계시킨 종합적 통상정책 추진 필요

- 기존 통상정책이 관세, 통관 등 국가 간 무역장벽 해소에 중점을 두었다면 통상 4.0시대는 국경 간 무역장벽과 국내정책 간의 효율적 연계에 초점

□ 신정부의 향후 통상정책 방향은 △ 수출 모멘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 수출과 내수의 연계고리를 강화하여 내수 진작과 고용 창출을 유발하며,

△ 경제전반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

- 수출은 여전히 우리 경제의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원천이며, 최근 내수의 활력 약화가 성장률 둔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평가

□ 상기 통상정책 방향을 구현하기 위한 3대 핵심 통상정책 과제로 △ 혁신 촉진형 통상정책, △ 일자리 창출형 통상정책, △ 서비스 빅뱅 촉발형 통상

(2)

정책 추진 필요

- ‘혁신 촉진형 통상정책’의 실천과제로 △ 포괄적·높은 수준의 FTA 추진, △ 첨단·서비스 산업의 외국인투자 유치제도 정비, △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를 위한 TISA(Trade in Services Agreement) 활용, △ 부품·소재 중소기 업의 글로벌화 지원 등 추진 필요

- ‘일자리 창출형 통상정책’을 실천하기 위한 과제로 △ 수출 관련 내수 산업 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출의 고용유발 효과 제고, △ 경쟁력과 지속경영 에 초점을 맞춘 KSO 인증제 도입, △ 일자리 창출형 외국인투자 유치 등 추진 필요

- ‘서비스산업 빅뱅 촉발형 통상정책’을 위한 실천과제로 △ 네거티브 방식의 규제 시스템 시행, △ 경제자유구역(FEZ)내 무규제 의료·교육·법률·문화 서 비스 융복합 투자지구 설립, △ FEZ내 영어공용화 실행으로 외국인 정주여 건 획기적 개선 등 필요

□ 상기 3대 핵심 정책과제를 실천하기 위한 각각의 Action plan 중에서 전 분야에 대한 파급효과가 높은 7가지를 추출하여 ‘통상 4.0시대의 핵심 주 문사항’으로 제시

⑴ TPP 참여를 통한 광역 FTA 추진 모멘텀 형성

▷ TPP 조기 참여로 규범 제정 과정 참여 및 일본에 비해 불리한 여건 해소 등 경제적 실익 확보

▷ TPP 시장 내에서 통일 원산지 규정 도입에 따른 글로벌가치사슬(GVC:

Global Value Chain) 활용

▷ 글로벌스탠다드를 강조하는 TPP 참여로 국내 글로벌스탠다드 확립 계기 마련

(3)

⑵ 포괄적·높은 수준의 한중 FTA 추진

▷ 실익 제고를 위해서는 NTBs, 서비스 및 투자자유화, 규범 등을 포함한 FTA 추진 필요

▷ FTA에 포함된 규범 분야는 적어도 WTO plus 이상 수준으로 목표 설정

▷ TPP 참여 등을 통해 대중 협상력을 강화함으로써 한중 FTA 수준 제고

⑶ 수출 관련 내수산업 경쟁력 강화로 수출의 고용유발 효과 제고

▷ 자동차, 전자 등 주력 수출산업의 업스트림 산업인 부품소재 부문의 경쟁력 강화로 수출의 국내 고용유발효과 제고

▷ 고용 창출 효과가 높은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수출화로 국내 고용 증진 효과 도모

▷ 경쟁력과 지속경영에 초점을 맞춘 KSO 인증제 도입 (ISO 인증의 평가항목에 보 유 기술의 창의성, 재무적 안정성, 노사관계 등 한국기업 고유의 경영 제약 사안을 가미한 글로벌 경쟁력 지향의 인증제도 도입)

⑷ 서비스산업 빅뱅의 테스트베드(test bed)로 FEZ 활용

▷ 의료, 교육, 법률 등 기초서비스 부문 강화로 서비스부문 성장 잠재력 확충

▷ 기초서비스부문의 점진적 개방으로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어느 정도 경 쟁력이 있는 인프라 서비스(통신, 건설, 해운 등)의 해외 진출 확대 도모

▷ 경제자유구역(FEZ)을 서비스 시장개방을 통한 서비스 빅뱅을 촉진하는 시 험대로 활용하여 개방화 성공 사례를 제시하고 대국민 인식 전환

⑸ 첨단산업의 외국인투자 유치 확대를 위한 제도 정비

▷ 첨단산업이나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의 외국인투자 유치 확대로 혁신 주도 형 경제 전환 도모

▷ 지재권 등 글로벌스탠다드 강화 및 규제완화로 M&A, 합작(joint venture), 협력(alliance) 등의 활성화 여건 조성

▷ 유망 전략 산업 클러스터/융복합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외국인투자 입 지 매력도 제고

▷ 국내 기업경영환경개선, FTA 허브효과 활용가능성, 한국 대기업과의 구매 협력관계 및 비즈니스 기회 확대를 통해 외국기업의 국내투자에 대한 기대

(4)

수익 제고

⑹ 글로벌 전문인력 확충을 위한 이민법 개정

▷ 첨단산업,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제고는 국제적 소통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의 공급확대가 매우 중요

▷ 외국 전문인력의 영주권 발급 조건 완화 등 이민법을 전향적으로 개정하여 해외 고급인력의 국내 유입 확대 도모(국내 체류 외국인 중 전문인력 비율 은 4.3%에 불과)

1)

▷ 외국 전문인력이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외국인 생활 인프라 점검 필 요(예, 영어상용화 적극 검토 등)

⑺ 부품소재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화 지원

▷ 혁신 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부품·소재 등 업스트림(upstream) 산 업의 경쟁력 강화가 필수

▷ 중소기업 중심의 부품소재 산업에 대한 글로벌화 지원은 기업규모․세부업 종․국제화 경험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

▷ 중소 부품소재 기업의 역내 또는 글로벌 생산네트워크(production networks) 참여 지원, 대기업과의 동반 진출 지원 등을 통해 경쟁력 제고 도모

□ 이 밖에 신정부는 △ 한미 ISD, △ 쌀 관세화, △ 한중 FTA, △ TPP 등 현안 과제의 효과적 대응 필요

- 한미 ISD 추가협의는 제도의 남용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한 절차기준을 보완 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현실적

- 2014년 말 쌀 관세화 유예가 종료됨에 따라 쌀 관세화를 위한 대내외 협상 안 마련 필요

1) 2013년 5월 현재 법무부 자료를 통한 추정치 (매일경제신문 6월 17일자 기사 참조)

(5)

- 한중 FTA는 중국 내수시장 선점을 통한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중국내 한국 기업의 이익보호를 위해서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으로 체결 필요

- TPP 참여에 따르는 실익을 극대화하고 참여 지연에 따르는 비용을 방지하 기 위해서는 TPP 조기참여 필요

참조

관련 문서

반면 개방으로 생존권을 위협받을 정도로 직접적 손해를 보는 농업이나 사양산업 import-competing industries 은 정치적으로 강하게 반 발한다.. 그러나

패가

4차 산업혁명, 통일한국, 새만금 시대를

소근 소근 재잘 재잘 이야기 소리 행복이 가득한 아주 동산 우리들은 아주 아주의 어린이 몸도 튼튼 마음도 튼튼 자라나지요. 하하 호호 하하 호호 웃음소리에 사랑이

Council Regulation (EU) 2015/1919 of 26 October 2015 amending Regula tion (EC) No 314/2004 concerning certain restrictive measures in respect of Zimbabwe.

L245-6 Trade Council Decision (EU) 2015/1570 of 18 September 2015 establishi ng the position to be taken on behalf of the European Union withi n the Council for Trade in

L256-9 COP Commission Implementing Regulation (EU) 2015/1748 of 30 Septe mber 2015 derogating in respect of claim year 2015 from the third subparagraph of Article 75(1)

L019-1 Energy Commission Delegated Regulation (EU) 2016/89 of 18 November 2015 a mending Regulation (EU) No 347/201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 f the Council as